KR20180099167A - 검색 결과 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검색 결과 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167A
KR20180099167A KR1020170026247A KR20170026247A KR20180099167A KR 20180099167 A KR20180099167 A KR 20180099167A KR 1020170026247 A KR1020170026247 A KR 1020170026247A KR 20170026247 A KR20170026247 A KR 20170026247A KR 20180099167 A KR20180099167 A KR 20180099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user
search result
query term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영진
Original Assignee
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영진 filed Critical 태영진
Priority to KR1020170026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9167A/ko
Publication of KR2018009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06F17/3086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G06F17/30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검색 질의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실효성이 높은 콘텐츠가 우선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원하는 콘텐츠에 보다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결과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검색 결과 제공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Result}
본 실시예는 검색 결과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검색 결과 제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최근,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들은 웹 서핑을 통하여 뉴스, 지식, 게임, 커뮤니티 등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노출되는 콘텐츠의 양이 급증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손쉽게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상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콘텐츠와 관련된 소정의 검색어를 입력함으로써 웹 문서, 뉴스, 이미지 등의 카테고리별로 검색어와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검색 서비스는 검색 결과로서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참조할 만한 정보가 거의 포함되지 않은 불필요한 콘텐츠 또한 제공할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즉, 기존의 검색 서비스에 의하는 경우 콘텐츠가 얼마나 정확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검색어를 포함하기만 하면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불필요한 콘텐츠가 무수히 배열되어 있는 검색 결과 중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실효성 있는 콘텐츠를 찾기 위해, 검색된 다수의 콘텐츠의 내용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이는 곧, 검색 서비스에 대한 불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검색 질의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실효성이 높은 콘텐츠가 우선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원하는 콘텐츠에 보다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결과 제공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검색 질의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기 등록된 콘텐츠 중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과정;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결과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하여 기 제공되던 기존 검색 결과 내 상기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검색 순서를 재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색 질의어에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 질의어를 선별하고, 선별된 유사 질의어를 상기 검색 질의어와 동일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동일 그룹 내 포함된 질의어들의 조합에 따른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상기 유사 질의어에 대응되는 유사 대응 콘텐츠를 추가로 제공하되, 상기 유사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 및 상기 유의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검색 결과 내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검색 순서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각각의 콘텐츠 중 사용자 만족도 지수가 높은 콘텐츠들을 상기 검색 결과 내 우선 배열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색 질의어, 상기 대응 콘텐츠 및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의 매칭 결과에 따라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서도 질의어별로 검색 결과 내 검색 순서를 서로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책정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평가 정보로서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집하고, 수집한 평가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응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대응 콘텐츠를 제공 시 상기 대응 콘텐츠 내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평가 수단을 추가로 포함시켜 제공하며, 상기 책정하는 과정은, 상기 평가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값에 기반하여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의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만족도 지수가 최초 책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요청 신호에 기반한 상기 검색 결과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책정하는 과정은,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의 신뢰성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책정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평가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 상기 대응 콘텐츠를 작성한 작성자에 대한 정보,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응되는 사용자 평가 정보의 수집 시점 및 상기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시점에 각각의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기 부여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값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평가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검색 질의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를 포함한 검색 결과를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책정부; 및 기 등록된 검색 질의어별 대응 콘텐츠 및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기반하여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검색 질의어에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 질의어를 선별하고, 선별된 유사 질의어를 상기 검색 질의어와 동일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선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 시 상기 검색 질의어와 동일 그룹 내 포함된 다른 질의어에 대한 관련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검색 질의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실효성이 높은 콘텐츠가 우선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원하는 콘텐츠에 보다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검색 질의어와 관련된 유사 질의어에 대한 콘텐츠를 추가로 제공하되,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 또한 추가로 고려한 검색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실효성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장치가 기존의 검색 로직에 따라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방법을 위한 과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방법의 부가 기능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및 검색 서버장치(12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검색 질의어가 입력되면, 검색 질의어를 검색 서버장치(120)로 전송하고, 검색 서버(200)로부터 검색 질의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검색 서버장치(1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설치된 검색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검색 서버장치(120)로부터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기(110)는 검색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검색 서버장치(120)로 검색을 요청하고, 수신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검색 결과 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수집하여 검색 서버장치(12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선택하였을 시 제공되는 콘텐츠 링크 화면상에 해당 콘텐츠의 평가를 위한 평가 수단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질의어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표출 형태를 갖는 검색 결과를 검색 서버장치(120)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110)는 검색 결과 제공 방식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기 설정된 기존의 검색 로직(ex: 시간순, 제목순)에 기반하여 산출된 검색 결과 또는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그 표출 형태가 보정된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해당 검색 질의어와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 질의어에 대한 콘텐츠를 추가로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10)는 검색 결과 제공 방식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검색 서버장치(120)로부터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해당 검색 질의어와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 질의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추가로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검색 결과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그 표출 형태가 보정된 검색 결과일 수 있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클라이언트(Client)인 사용자 단말기(110)를 대상으로 검색 결과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측 장치를 의미한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엔진 역할을 수행한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서버 컴퓨터에 해당되는 것으로, 서버 컴퓨터의 예로는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 개인용 컴퓨터, 서버 컴퓨터, 일련의 서버 컴퓨터들, 미니 컴퓨터, 및/또는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 컴퓨터는 분산형 시스템일 수 있고, 서버 컴퓨터의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상에서 동시에 그리고/또는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검색 질의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기 등록된 콘텐츠 중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콘텐츠(이하, 대응 콘텐츠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제공되는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사용자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검색 서버장치(120)는 검색 질의어별로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수치를 책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이후, 검색 서버장치(120)는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 제공 시 기 등록된 검색 질의어별 대응 콘텐츠 및 해당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서로 상이한 표출 형태를 갖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장치(120)가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검색 질의어에 대하여 도출된 대응 콘텐츠를 기 설정된 검색 로직에 따라 배열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존의 검색 로직은 서비스 제공자 측에 의해 기 설정된 가장 기본적인 검색 결과 제공방법에 대한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존의 검색 로직은 예컨대, 시간순 또는 제목순에 따라 각각의 대응 콘텐츠를 배열한 검색 결과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검색 질의어에 대하여 도출된 대응 콘텐츠를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따라 배열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해당 검색 질의어에 대하여 도출된 대응 콘텐츠뿐만 아니라, 해당 검색 질의어에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 질의어에 대하여 도출된 대응 콘텐츠(이하, 유사 대응 콘텐츠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장치(120)가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2의 검색 서버장치(120)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자세하게 후술토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장치(120)는 송수신부(200), 책정부(210), 선별부(220), 제어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0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 제공 서비스를 위한 필요정보들을 송수신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송수신부(20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검색 질의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 이때, 송수신부(200)가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하는 검색 요청 내에는 검색 결과의 표출 방식에 대한 사용자 설정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송수신부(200)는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230)로부터 산출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송수신부(20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송신된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책정부(210)로 제공한다.
책정부(210)는 송수신부(200)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의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수치를 책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책정부(210)는 사용자 평가 정보로서 해당 대응 콘텐츠에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평가 점수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책정부(210)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평가 점수를 합산한 합산결과 또는 이에 대한 평균 결과값을 사용자 만족도 지수로서 책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책정부(210)는 수집되는 사용자 평가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 평가 정보를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과정에서 반영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책정부(210)는 공정한 절차에 따라 수집된 사용자 평가 정보에 대해서만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과정에서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책정부(210)는 사용자 평가를 제공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대응 콘텐츠를 작성한 작성자에 대한 정보, 대응 콘텐츠에 대응되는 사용자 평가 정보의 수집 시점 및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시점에 각각의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부여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값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고려하여 사용자 평가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책정부(210)는 사용자 평가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가 자신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송신한 경우, 이를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과정에서 미 반영한다.
책정부(210)는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 대비 현저히 낮은 점수를 책정한 경우, 이를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과정에서 미반영한다.
책정부(210)는 동일한 사용자에 대해서 특정인이 올린 콘텐츠에 대한 평가 횟수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과정에서 미반영한다.
이 밖에도 책정부(210)는 다양한 요건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 평가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책정부(210)가 사용자 평가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특정 방법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책정부(210)는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서도 검색 질의어별로 상이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콘텐츠가 검색 결과로서 제공되더라도, 검색 질의어의 종류에 따라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책정부(210)는 검색 질의어 및 해당 검색 질의어에 기초하여 수집된 사용자 평가 정보에 따라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서도 상이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여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만족스러운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책정부(210)는 송수신부(200)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사용자들에 대한 보너스 포인트를 책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책정부(210)는 사용자들에 대한 보너스 포인트를 책정 시 그 공정성 등을 위해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평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책정부(210)는 특정 콘텐츠에 대하여 5점 평가가 2명, 4점 평가가 4명, 3점 평가가 3명, 2점 평가가 1명, 1점 평가가 0명이라고 한다면, 가장 많은 평가가 이루어진 4점대에 대응되는 사용자에게는 1점, 두번째 많은 평가가 이루어진 3점대에 대응되는 사용자에게는 0.5점, 세번째 많은 평가가 이루어진 5점대에 대응되는 사용자에게는 0점, 네번째 많은 평가가 이루어진 2점대에 대응되는 사용자에게는 -0.5점, 가장 낮은 평가가 이루어진 1점대에 대응되는 사용자에게는 -1점의 보너스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보너스 포인트 부여 방식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들이 콘텐츠에 대하여 좀더 신중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이후, 책정부(210)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기 설정된 소정 기간 내에 책정된 보너스 포인트를 합산하고, 합산결과에 기반하여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책정부(210)는 합산결과에 따라 소정 임계치 이상의 보너스 포인트를 부여받은 사용자들을 선별하고, 선별된 사용자들 중 일부를 추첨 등의 방식을 통해 재선별하여 상기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책정부(210)는 합산결과에 따라 가장 많은 보너스 포인트를 부여받은 순으로 상기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책정부(210)가 보너스 포인트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에 대하여 특정 방식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보상 제도에 의하는 경우 콘텐츠에 대한 평가에 대하여 사용자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곧,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들의 신뢰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책정부(210)가 합산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별도의 이벤트 서버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책정부(210)는 산출한 사용자별 보너스 포인트를 이벤트 서버로 제공함으로써, 이벤트 서버가 사용자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선별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검색 질의어에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 질의어를 선별하고, 선별된 유사 질의어를 해당 검색 질의어와 동일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선별부(220)는 특정 검색 질의어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검색 질의어와 종래에 입력된 다른 검색 질의어를 비교하고, 각각의 검색 질의어 사이에 공통된 단위 문자가 존재하면 서로를 동일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선별부(220)는 사전에 각각의 검색 질의어에 대하여 선별된 유사 질의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의 그룹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산출하여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일한 검색 질의어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표출 형태를 갖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기 등록된 검색 질의어별 대응 콘텐츠 및 해당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기반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기 등록된 콘텐츠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를 추출하고, 이를, 기 설정된 기본 검색 로직에 따라 배열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30)는 각각의 대응 콘텐츠를 시간순 또는 제목순에 기반하여 순차적으로 배열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검색 질의어에 대응하여 추출한 대응 콘텐츠를 각각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따라 배열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기존 검색 결과 내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검색 순서를 재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30)는 각각의 대응 콘텐츠 중 사용자 만족도 지수가 높은 콘텐츠들을 검색 결과 내 우선 배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 만족도 지수가 최초 책정된 시점으로 기준으로 상기의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들에 대하여 어느 정도 수준 이상의 사용자 만족도 지수가 축적된 경우에 한해서 상기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질의어와 동일 그룹으로 분류된 유사 질의어들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검색 질의어 및 유사 질의어 간의 조합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 및 유사 질의어에 대응되는 유사 대응 콘텐츠가 조합된 형태의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유사 질의어에 대응되는 유사 대응 콘텐츠를 추가로 제공하되, 유사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추가로 고려한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 및 유사 질의어에 대응되는 유사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 내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검색 순서를 재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30)는 각각의 콘텐츠 중 사용자 만족도 지수가 높은 콘텐츠들을 검색 결과 내 우선 배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30)는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서도 질의어별로 검색 결과 내 그 검색 순서를 서로 상이하게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검색 결과 제공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필요한 필요정보들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40)는 검색 질의어별로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들을 저장하여 제공한다. 이때, 저장부(240)는 검색 질의어,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저장부(240)는 검색 질의어별로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 질의어를 동일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검색 질의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S302).
검색 서버장치(120)는 단계 S302의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기 등록된 콘텐츠 중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한다(S304).
검색 서버장치(120)는 단계 S304에서 제공한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수집한다(S306). 이를 위해서, 검색 서버장치(120)는 단계 S304에서 대응 콘텐츠를 제공 시 대응 콘텐츠 내 해당 대응 콘텐츠에 대한 평가 수단을 추가로 포함시켜 제공한다. 이 경우, 검색 서버장치(120)는 해당 평가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값 예컨대, 평가 점수를 상기의 사용자 평가 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단계 S306에서 수집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의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한다(S308). 검색 서버장치(120)는 검색 질의어별로 단계 S302 내지 단계 S308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검색 질의어별로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수치를 책정한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특정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검색 요청이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 요청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10).
검색 서버장치(120)는 단계 S310의 확인결과에 따라 특정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요청이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 요청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존의 검색 로직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를 산출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312).
검색 서버장치(120)는 단계 S310의 확인결과에 따라 특정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요청이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 요청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그 표출 형태가 보정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314). 단계 S314에서 검색 서버장치(120)는 단계 S310에서 입력된 검색 질의어에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 질의어를 선별하고, 선별된 유사 질의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추가로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검색 결과는 유사 질의어에 대응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그 표출 형태가 보정된 검색 결과일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302 내지 S314는 앞서 설명된 검색 서버장치(12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장치가 기존의 검색 로직에 따라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장치(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검색 질의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먼저, 해당 검색 요청이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 요청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의 검색 요청이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 요청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 등록된 콘텐츠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를 추출하고, 이를, 기 설정된 기본 검색 로직에 따라 배열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0)가 검색 서버장치(120)로부터 수신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이러한, 검색 결과가 기 설정된 기본 검색 로직에 따라 각각의 대응 콘텐츠를 시간순 또는 제목순으로 순차 배열하여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방법을 위한 과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평가 정보 수집을 위한 과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검색 서버장치(120)로 검색을 요청하고, 수신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검색 결과 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수집하여 검색 서버장치(12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선택하였을 시 제공되는 콘텐츠 링크 화면상에 해당 콘텐츠의 평가를 위한 평가 수단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검색 결과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선택하였을 시 이동되는 콘텐츠 링크 화면상에 별모양의 평가 수단이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해당 별모양을 클릭하면, 콘텐츠에 대한 점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링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평가 수단의 형태에 대해서 특정 형태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평가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값 즉, 평가 점수는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의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기 위한 기준 파라미터(=사용자 평가 정보)로서 검색 서버장치(120)로 전송된다.
한편, 동일한 콘텐츠가 검색 결과로서 제공되더라도, 검색 질의어의 종류에 따라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동일한 콘텐츠라 하더라도 질의어에 따라 상이한 평가 점수를 책정 가능토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 지수 책정 과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장치(120)는 도 5의 과정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의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수치를 책정한다.
검색 서버장치(120)는 검색 질의어별로 도 5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검색 질의어별로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수치를 책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검색 서버장치(120)가 검색 질의어(=키워드),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A, B) 및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평점, 평가자 수)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장치(120)는 검색 질의어 및 사용자 평가 점수에 따라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서도 상이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만족스러운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 제공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제공되는 검색 엔진 화면상에는 검색 결과 제공 방식에 대한 옵션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선택 수단은 검색 창의 일단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검색 옵션란 내 선택 가능한 일 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해당 선택 수단을 이용하여 동일한 검색 질의어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표출 형태를 갖는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해당 선택 수단을 선택하는 횟수에 따라 각기 다른 표출 형태를 갖는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사 질의어의 조합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질의어와 동일 그룹으로 분류된 유사 질의어들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검색 질의어 및 유사 질의어 간의 조합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검색 서버장치(120)는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 및 유사 질의어에 대응되는 유사 대응 콘텐츠가 조합된 형태의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항공권이라는 검색 질의어에 대한 유사 질의어(항공비, 항공료, 비행기 등)와 싸게라는 검색 질의어에 대한 유사 질의어(절약, 특가, 저가 등)의 조합에 따라 보다 폭넓은 검색 결과가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검색 서버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유사 질의어에 대응되는 유사 대응 콘텐츠를 추가로 제공하되, 유사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추가로 고려한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검색 서버장치(120)는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 및 유사 질의어에 대응되는 유사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기존의 검색 결과 내 각각의 콘텐츠에 대한 검색 순서를 재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만을 제공하는 경우 자칫 해당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를 평가한 평가자의 수가 적을 시에는 검색 결과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유사 질의어의 조합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며, 이를 통해 상기와 같이 어느 하나의 검색 질의어에 대하여 검색 결과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상황에서도 사용자의 검색 만족도를 항시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 제공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 제공방법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검색 질의어에 대응하여 추출한 대응 콘텐츠를 각각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따라 배열한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 제공방법에 의해,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기존 검색 결과 내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검색 순서가 재설정되어 제공되는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 제공방법에 의하는 경우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각각의 대응 콘텐츠 중 사용자 만족도 지수가 높은 콘텐츠들이 검색 결과 내 우선 배열되어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 제공방법에 있어서, 검색 서버장치(120)는 사용자 만족도 지수가 책정된 대응 콘텐츠에 대해서는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 내 그 검색 순서를 설정하고, 사용자 만족도 지수가 책정되지 않은 나머지 대응 콘텐츠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기존의 검색 로직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 내 그 검색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방법의 부가 기능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버장치(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 질의어와 동일 그룹으로 분류된 유사 질의어들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검색 질의어 및 유사 질의어 간의 조합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칫, 잘못된 조합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검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점에 기인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연관 검색어 추천 기능과 유사하게 검색 질의어 및 유사 질의어 간의 조합에 따라 생성 가능한 조합 질의어를 검색창의 하단에 일정 개수 이상 나열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는 검색 결과가 사용자 의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의 조합 질의어 중 어느 하나를 새로운 검색어로써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는 검색 결과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검색 결과 제공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기
120: 검색 서버장치 200: 송수신부
210: 책정부 220: 선별부
230: 제어부 240: 저장부

Claims (10)

  1.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검색 질의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기 등록된 콘텐츠 중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과정;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결과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하여 기 제공되던 기존 검색 결과 내 상기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검색 순서를 재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결과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질의어에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 질의어를 선별하고, 선별된 유사 질의어를 상기 검색 질의어와 동일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동일 그룹 내 포함된 질의어들의 조합에 따른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결과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질의어, 상기 대응 콘텐츠 및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의 매칭 결과에 따라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서도 질의어별로 검색 결과 내 검색 순서를 서로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결과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정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평가 정보로서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평가 점수를 수집하고, 수집한 평가 점수를 합산하여 상기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결과 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대응 콘텐츠를 제공 시 상기 대응 콘텐츠 내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평가 수단을 추가로 포함시켜 제공하며,
    상기 책정하는 과정은, 상기 평가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값에 기반하여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결과 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검색 결과의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결과 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만족도 지수가 최초 책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요청 신호에 기반한 상기 검색 결과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결과 제공방법.
  9.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검색 질의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응되는 대응 콘텐츠를 포함한 검색 결과를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평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평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응 콘텐츠 각각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지수를 책정하는 책정부; 및
    기 등록된 검색 질의어별 대응 콘텐츠 및 상기 대응 콘텐츠에 대하여 책정된 사용자 만족도 지수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기반하여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질의어에 관계된 적어도 하나의 유사 질의어를 선별하고, 선별된 유사 질의어를 상기 검색 질의어와 동일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선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 시 상기 검색 질의어와 동일 그룹 내 포함된 다른 질의어에 대한 관련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버장치.
KR1020170026247A 2017-02-28 2017-02-28 검색 결과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80099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47A KR20180099167A (ko) 2017-02-28 2017-02-28 검색 결과 제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47A KR20180099167A (ko) 2017-02-28 2017-02-28 검색 결과 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67A true KR20180099167A (ko) 2018-09-05

Family

ID=63594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247A KR20180099167A (ko) 2017-02-28 2017-02-28 검색 결과 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91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15314B (zh) 一种意图识别方法、识别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862022B (zh) 文化资源推荐系统
CN103577416B (zh) 扩展查询方法及系统
CN100545847C (zh) 一种对博客文章进行排序的方法及系统
KR101491627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평가를 위한 리뷰 정량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1875452A2 (en) Compatibility scoring of users in a social network
CN101957845B (zh) 一种在线应用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427233B1 (ko)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당첨 확률이 높은 번호를 제공하는 로또 번호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10083774B (zh) 应用推荐列表的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1909018A (zh) 根据用户浏览网页返回即时通信群组的方法与系统
KR20020025142A (ko) 키워드 광고 서비스를 위한 키워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2334A (ko)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기반의 질의 응답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문가 추천 방법 및 전문가 추천 시스템
US20150058136A1 (en) Attribute based coupon provisioning
CN106462644A (zh) 标识来自多个结果页面标识的优选结果页面
US9396273B2 (en) Forensic system, forensic method, and forensic program
KR101972660B1 (ko) 팩트체크 시스템 및 방법
CN109558531A (zh) 新闻信息推送方法、装置以及计算机设备
JP2013054606A (ja) 文書検索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11711B2 (ja) 当選ライン予測システム
CN110209804B (zh) 目标语料的确定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20180099167A (ko) 검색 결과 제공방법 및 장치
KR101318843B1 (ko) 시간 정보를 활용한 블로그 카테고리 분류 방법 및 장치
CN112182390B (zh) 一种函件推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078972B (zh) 提问行为数据的获取方法、装置和服务器
CN109213937B (zh) 智能搜索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