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398A -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398A
KR20180098398A KR1020187021940A KR20187021940A KR20180098398A KR 20180098398 A KR20180098398 A KR 20180098398A KR 1020187021940 A KR1020187021940 A KR 1020187021940A KR 20187021940 A KR20187021940 A KR 20187021940A KR 20180098398 A KR20180098398 A KR 20180098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information
network device
cel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959B1 (ko
Inventor
준렌 장
수란 펑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98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83Multi-mode cell search, i.e. where several modes or systems can be used, e.g. backwards compatible, dual mode or flexibl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86Search parameters, e.g. search strategy, accumulation length, range of search,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89Search hardware arrangements, e.g. sharing of correlators to reduce complex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9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a plurality of users or terminals, e.g. group communication or moving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38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secur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통신에 필요한 몇몇 작업을 실행하고,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와 적절하게 통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에 필요한 제1 사용자 기기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대기 시간이 연장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그 중에서도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단말이 출현하였다. 웨어러블 기기는, 예를 들어, 손목에 의해 지지되는 시계 및 손목 스트랩, 발에 의해 지지되는 신발 및 양말 또는 다리에 입는 다른 제품, 머리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 헬멧, 헤드밴드 등 및 스마트 의류, 스마트 책가방, 스마트 지팡이, 및 스마트 액세서리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운반하기에 편리하고 소형이기 때문에 널리 적용된다.
웨어러블 기기는 기능이 다양해지고 휴대 가능해지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웨어러블 기기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모바일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웨어러블 기기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를 지원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웨어러블 기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고 제한된 크기의 배터리를 운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웨어러블 기기는 보통 상대적으로 짧은 배터리 대기 시간을 갖는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통신 기능은 모두 상대적으로 큰 전력량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이런 기능들이 시작될 때, 전력 소비가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웨어러블 기기의 배터리 대기 시간이 짧을 수록, 실용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의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실용성이 향상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1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결과의 획득을 결정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1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과는, 페이징 정보, 또는 캠프온(camp on)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제1 작업을 실행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에 요구되는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작업을 계속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없어서,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기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가 제1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보다 적기 때문에, 에너지가 더 절약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작업은, 셀 탐색(search), 또는 셀 측정,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또는 셀 시스템 정보 청취(listening),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트래킹(tracking) 영역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제1 사용자 장비는 앞서 설명한 작업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어서 에너지가 절약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작업만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작업은, 셀 탐색, 셀 측정, 셀 선택, 셀 재선택, 셀 시스템 정보 변경 청취(listening), 셀 시스템 정보 수신,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트래킹(tracking) 영역의 결정, 및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내에서 상기 제1 작업과 다른 작업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모든 작업은 제1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통신의 프로세스에서 실행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몇몇 작업이 제2 사용자 장비의 실행을 위해 주어지면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1 작업을 실행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작업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는, 작업의 반복되는 실행을 막거나 제1 사용자 장비가 아이들 상태로 되는 것을 막고, 일반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오직 특정 지시에 의해서만 제1 작업의 실행을 중지 또는 스킵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필요가 있을 때 저장된 제1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결과를 수신할 때, 제1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장비는 먼저 제1 결과를 저장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장비가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저장된 제1 결과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결과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결과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가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1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불필요한 통신이 회피될 수 있고, 통신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결과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결과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직접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결과 및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와 비직접적으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 간의 직접 통신을 회피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통신 프로세스의 데이터는 또한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group establishment acknowledgement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는 그룹이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구축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방법은 그룹을 구축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1 사용자 장비, 제2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통신이 그룹에 기반하여 수행되어, 작업이 더 명확하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2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을 구축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룹 구축 요청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트리거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비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트리거, 또는 그룹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되면 트리거 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그룹이 필요할 때 구축될 수 있고, 자원이 절약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여기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페이징 객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임;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의 콘텐츠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서비스 알림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제1 사용자 장비의 페이징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서도 수신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에너지 소비가 역시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그룹을 해제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룹은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단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기반으로 또는 그룹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기반으로 구축된다. 그러므로, 조건이 더 이상 만족되지 않으면, 그룹은 해제될 수 있고, 그룹에 의해 점유된 자원이 해제되어서, 그룹 구축이 더 유연해질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은,
신호의 품질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에 도달한 것;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해제 지시 정보(group release indi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사람-기계 인터페이스(man-machine interface)를 사용하여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 제2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는 모두 그룹 해제를 트리거할 수 있어서, 그룹 구축 및 해제가 유연해질 수 있고 사용자 경험이 나아진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그룹을 해제한 이후,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작업의 실행을 시작 또는 재시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을 계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룹이 해제된 후, 즉, 제2 사용자 장비가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하여 제1 작업을 실행하지 않은 후, 제1 사용자 장비는 또한 다른 사용자 장비와 그룹을 구축하거나 또는 제1 작업을 독립적으로 실행한다. 제1 사용자 장비가 캠프 상태이면,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선택된 또는 재선택된 셀에 캠프온을 계속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룹 구축이 더욱 유연해질 수 있고, 다양한 케이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실용성이 향상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그룹을 해제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3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3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상기 그룹을 해제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그룹 해제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그룹 해제 프로세스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사용자 장비가, 그룹이 해제된 후, 제2 사용자 장비와 동일한 셀 또는 동일한 트래킹 영역 내에 있을 지 여부를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룹이 해제된 후, 셀 및 트래킹 영역과 같은 정보는 다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장비는 지시를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그룹이 해제된 후,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용자 장비의 위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 관한 정보를 알고, 일반 통신이 보장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버을 제공하고,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제1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과는, 페이징 정보, 또는 캠프온(camp on)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의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와 제1 결과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는 데 요구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작업을 계속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없어서,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기 위해 소비되는 에너지가 제1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소비되는 에너지보다 적어서 에너지가 더 절약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는,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셀 측정을 수행하고, 서빙 셀 측정 결과 및/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하고 선택된 셀 또는 재선택된 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를 청취하고,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면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페이징 메시지를 청취하고, 페이징 객체가 제1 사용자 장비인 페이징 메시지가 청취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제4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4 요청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요구되는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됨 -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는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또는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물리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하여 앞서 설명한 작업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실행하여, 이 작업들을 독립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구되는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고,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결과를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결과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제1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가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제1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불필요한 통신이 회피될 수 있고, 통신 효율이 향상되며,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을 구축하도록 결정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지시함 -; 및 상기 그룹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구축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그룹의 구축에 의해 구현된다. 이 방식은 제1 사용자 장비, 제2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통신이 그룹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고, 작업이 명확해 진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을 구축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에게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그룹 구축 메시지에 따라 상기 그룹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제1 사용자 장비, 제2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가 모두 그룹 관계를 알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에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가 공유하는 것을 지시한다. 앞의 정보를 공유하여,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공유된 앞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햐,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한 그룹 내에 있음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룹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양자택일로 구축될 수 있고, 제2 사용자 장비는 그룹이 구축된 이후 그룹의 네트워크 장치에게 알린다.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그룹이 구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룹이 구축될 때,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네트워크 장치의 지시 하에 그룹을 구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는, 그룹-특정 식별자(group-specific identifier),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특정 식별자는 제2 사용자 장비 또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대응하는 장치 또는 그룹이 대응하는 식별자에 기반하여 발견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청취하고, 페이징 객체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인 페이징 메시지가 청취에 의하여 획득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페이지 메시지는 상기 그룹의 상기 그룹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 및 그룹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를 포함한다. 앞선 방식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페이징 객체가 그룹인 페이징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제2 사용자 장비가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더 감소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페이징 객체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인 페이징 메시지가 청취에 의하여 획득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콘텐츠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서비스 알림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는 페이징 메시지의 콘텐츠의 일부만이 제2 사용자 장비를 위한 것이므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자원이 앞의 방식에서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그룹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룹은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단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 또는 그룹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기반으로 구축된다. 따라서, 조건이 더 이상 만족되지 않으면, 그룹은 해제될 수 있고, 그룹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이 해제되어, 그룹 구축이 더 유연해진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은, 신호의 품질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에 도달한 것;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해제 지시 정보(group release indi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사람-기계 인터페이스(man-machine interface)를 사용하여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 제2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가 모두 그룹 해제를 트리거할 수 있다는 것이 적절히 구현되어서 그룹 구축 및 해제가 더 유연해지고, 사용자 경험이 나아진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그룹을 해제하는 것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에게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상기 그룹을 해제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도 대응하는 그룹을 해제할 수 있고, 그룹에 관한 정보만이 저장되어 있을 때 그룹에 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에게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또는 위치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또는 상기 위치 업데이트 프로세스 내의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에게 송신되는 그룹 해제 지시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가 계속해서 동일한 셀 및/또는 동일한 트래킹 영역 내에 있을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그룹이 해제된 후, 즉, 제2 사용자 장비가 더 이상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하여 제1 작업을 실행하지 않으면, 제1 사용자 장비는 다른 사용자 장비와 그룹을 구축하거나 또는 제1 작업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가 캠프 상태에 있음녀,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선택된 또는 재선택된 셀에 계속 캠프온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룹 구축이 유연해지고, 다양한 케이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실용성이 향상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그룹 해제 지시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가 동일한 셀 및/또는 동일한 트래킹 영역 내에 계속 있을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대응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대응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제1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대응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결과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제1 결과는, 페이징 정보,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에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작업을 계속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없어서,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기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가 제1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보다 적기 때문에, 에너지가 더 절약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그룹이 구축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룹은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1 작업을 실행하여,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결과를 획득하는 것을 지시한다. 이 방식으로, 제1 사용자 장비, 제2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통신이 그룹에 기반하여 수행되고 작업이 더 명확해 진다.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대응을 결정하는 것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그룹에 관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상기 그룹을 구축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룹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축될 수 있고,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축될 수 있다. 그룹을 구축하는 데 요구되는 데이터는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그룹이 구축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을 구축하는 단계 및 그룹의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그룹의 구축에 동의하였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대응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장비가 제1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는, 페이징 객체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인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때,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대응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선 방식에서, 페이징 메시지가 페이징 객체가 그룹인 페이징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제2 사용자 장비가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모가 더 감소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페이징 메시지는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는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그룹 동작의 수행여부를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는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페이징 메시지를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전달할지 여부의 지시를 포함하거나, 또는 페이징 메시지는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그룹은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축되거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알려질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 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1 사용자 장비와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대응을 결정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이용하여 제1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통신에 필요한 제1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 및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함-; 및 상기 대응에 기초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통신 프로세스에서,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기와의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제1 작업을 계속 실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감소된다. 또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기 위해 소비되는 에너지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보다 적기 때문에, 에너지가 더 절약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1 사용자 장비와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대응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전송 된 그룹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그룹 설정 요청 메시지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운반하며, 상기 그룹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포함함 -; 및 상기 그룹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그룹을 구축하는 단계 그리고 그룹의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그룹을 구축하는 프로세스가 이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 그룹 구축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그룹 구축 확인 응답 메시지는 그룹의 식별자를 포함함-; 및 그룹을 구축한 후,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여 그룹의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를 통지하여, 그룹에 따라 장치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가 더 절약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는 단계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그 페이징 대상이 제1 사용자 장비 인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있을 때,상기 대응에 따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페이징 메시지가 그룹인지 페이징 메시지가 그룹인지 여부가 판정될 수 있으므로,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 대신에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더욱 감소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로의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협력으로 제3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통신에서 요구되는 작업이고, 상기 제3 작업은,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 또는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타겟 셀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통신 프로세스의 측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으며, 대기 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정보(channel state indication information, CSI)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RRM 측정 및/또는 CSI 측정의 프록시 측정이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어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 한 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는 상기 측정 설정 정보를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전송하여 제1 사용자 장비가 독립적으로 측정 또는 검증을 수행해야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 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측정 결과는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여 획득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한 측정을 수행하여 제2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측정 결과와 제2 측정 결과 사이의 차이가 미리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측정 결과와 상기 제2 측정 결과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 할 때,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측정 결과와 상기 제2 측정 결과 간의 차이가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한다는 것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수행 된 측정을 취소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자율적으로 측정을 시작한다는 것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2 측정 결과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2 측정 결과에 따라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프록시 측정의 검증이 구현 될 수 있으며,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얻어진 결과가 독립적으로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된 결과에 보다 근접함을 보장하고, 제1 사용자 장비가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 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핸드오버 정보는, 타겟 셀에 관한 정보,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비 대신에 제2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핸드오버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되고, 제1 사용자 장비는 정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물리 계층 제어 시그널링, 또는 MAC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일 수 있음 -; 및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타겟 셀 또는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직접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의 고속 핸드오버를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4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작업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직접 송신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직접 송신되는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스케줄링 요청 시그널링을 직접 송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보안 활성화 관련(secure activation-related) 시그널링을 직접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보안 활성화 관련 시그널링을 직접 송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CSI 측정 결과 정보를 직접 피드백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보안을 고려하여, 제1 사용자 장비는 데이터 통신의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술한 작업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4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4 작업을 실행하고 - 여기서 상기 제2 결과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디코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되는 HARQ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HARQ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정확하게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임-;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HARQ 정보를 직접 피드백하는 단계;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4 작업을 실행하고-여기서 상기 제2 결과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처리 또는 상기 보안 활성화 관련 시그널링의 처리가 정확하게 완벽한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처리가 완벽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직접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장비가 전술한 작업을 독립적으로 실행하기 때문에, 통신 프로세스의 보안이 개선될 수 있고, 통신이 보다 잘 보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3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에 요구되는,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이고, 여기서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 또는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통신 프로세스에서 측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고, 대기 시간이 연장 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할 것을 요청하거나 또는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청을 획득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이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측정 구성 정보가 획득 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정보(channel state indication information, CSI)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RRM 측정 및/또는 CSI 측정의 프록시 측정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또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가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는 명령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정상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 및 / 또는 상기 측정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는,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제1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프록시 측정 및 피드백 프로세스가 구현될 수있어, 제1 사용자 장비의 통신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전력이 감소되고, 대기 시간이 연장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한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에 따른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해, 상기 제 측정 구성 정보 및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2 사용자 장비에 의해 포괄적인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에 따른 측정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사용자 장비는 상기 측정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독립적으로 측정 또는 검증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프록시 측정 프로세스에서, 상기 방법은, 제1 측정 결과가 특정 임계 값을 만족할 때,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측정 결과를 제1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트리거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프록시 측정 프로세스에서, 상기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2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2 측정 결과는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됨-상기 제1 측정 결과와 상기 제2 측정 결과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제1 사용자 장비 대신에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수행된 측정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취소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측정 결과와 상기 제2 측정 결과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 측정 결과와 상기 제2 측정 결과 간의 차이가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한다는 것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 단계 또는 자율적으로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1 사용자 장비에 지시하는 단계.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이용함으로써,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얻어진 결과가 독립적으로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된 결과에 더 가깝도록 보장할 수 있도록 프록시 측정의 검증이 구현될 수 있고, 첫 번째 사용자 장비가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이 보장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측정 결과와 제2 측정 결과 간의 차이가 사전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은, 제1 측정 결과와 제2 측정 결과 사이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3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는 - 여기서 제 3 작업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 또는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것, 또는 랜덤 접속 방식으로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여기서 핸드오버 명령은 타겟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사용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비 대신에 제2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핸드오버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되고, 제1 사용자 장비의 정상 통신이 보장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타겟 셀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로 핸드 오버되는 단계는,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정보 및 타겟 셀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 핸드 오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사용자 장비와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그룹에 관한 정보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와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대응에 관한 정보를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그룹 또는 대응은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다음 작업: 셀 탐색, 셀 선택, 셀 재선택, 셀 시스템 정보 변경 청취, 셀 시스템 정보 수신,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서빙 셀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송신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송신 전력 조정 정보를 결정하는 것, 서빙 셀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를 결정하는 것, 트래킹 영역을 결정하는 것, 트래킹 영역을 업데이트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와 계속 통신할 수 있으므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되고, 대기 시간이 연장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기지국에 관한 정보, 타겟 셀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업 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및/또는 타겟 셀에서 사용되는 업 링크 송신 전력 정보 또는 업 링크 송신 전력 조정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로 핸드 오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정보는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기지국에 관한 정보, 상기 타겟 셀에서 사용되는 상기 업 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기 업 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셀에서 사용되는 상기 업 링크 송신 전력 정보 또는 상기 업 링크 타겟 셀에서 사용되는 전력 조정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비 대신에 제2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핸드오버 동작이 수행 될 수 있으므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되고, 제1 사용자 장비가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한 제1 사용자 장비로의 핸드오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핸드 오버지시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은,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타겟 셀 또는 상기 타겟 기지국에 직접 접속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핸드오버 정보를 운반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의 고속 핸드 오버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한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사용자 장비로의 연결을 구축한 이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3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구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구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이고,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 또는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타겟 네트워크 장치로 핸드오버 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통신 프로세스에서 측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고, 대기 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운반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2 사용자 장비로 측정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지시 정보는 측정 구성 정보를 더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제2 사용자 장비가 측정 구성 정보를 통지 받을 수 있고, 제2 사용자 장비가 프록시 측정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지시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지시 정보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 3 작업을 실행하도록 제2 사용자 장비에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시 정보는 독립적으로 송신될 수 있고, 측정 구성 정보는 제2 사용자 장비가 프록시 측정 프로세스를 시작한다고 결정한 후에 제2 사용자 장비로 전송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RRM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CSI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RRM 측정 및/또는 CSI 측정의 프록시 측정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타겟 셀로 핸드오버 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1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비 대신에 제2 사용자 장비에 대한 핸드오버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되고, 제1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 통신이 보장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타겟 셀로 핸드 오버되는 것으로 결정한 후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 핸드 오버 지시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핸드 오버 지시 시그널링은 물리 계층 정보, MAC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이다. 제1 사용자 장비의 고속 핸드오버가 본 발명의이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상에서 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필요가 있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또는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상에서 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필요가 있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사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대응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그룹 또는 대응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셀 탐색, 또는 셀 측정,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또는 셀 시스템 정보 변경 청취, 또는 셀 시스템 정보 수신,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의 고속핸드 오버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을 직접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안 상황 정보(security context information)에 따라,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 키 및/또는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생성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및/또는 상기 사용자 평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생성된 암호화 키를 사용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암호화 키 및 상기 무결성 보호 키 또는 상기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암호화 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암호화 키 및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에 대한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를 수행한 이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된다. 본 발명의이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보안키 및 제2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보안키는 서로 독립적일 수 있고 서로 보이지 않아서, 제1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직접 데이터 전송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장비를 이용하여 키 업데이트 프로세스가 업데이트됨으로써,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대기 시간을 길게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안 상황 정보(security context information)에 따라,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 키 및/또는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보안 상황 정보에 따라 제1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키, 또는 NAS COUNT 정보,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2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위한 보안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2 키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암호화 키 및 상기 무결성 보호 키 및/또는 상기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암호화 키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면, 상기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평면 상의 데이터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하고,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평면 상의 상기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 보호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평면 상의 상기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및/또는 상기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평면 상의 데이터를 복호화 또는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1 사용자 장비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보안 상황 정보에 따라,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및/또는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security mode activation command)을 송신하는 단계, 제1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간의 키가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전용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암호화 키 및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에 대해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를 수행한 이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다. 본 발명의이 실시 예를 사용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보안키 및 제2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보안 키는 서로 독립적일 수 있고 서로 보이지 않아서, 제1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직접 데이터 전송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된다. 또한, 제2 사용자 장비를 이용하여 키 업데이트 과정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대기 시간을 길게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전달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01]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이고,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1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결과의 획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1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과는, 페이징 정보, 또는 캠프온(camp on)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제1 작업을 실행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작업은, 셀 탐색(search), 또는 셀 측정,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또는 셀 시스템 정보 청취(listening),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트래킹(tracking) 영역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2 작업만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2 작업은, 셀 탐색, 셀 측정, 셀 선택, 셀 재선택, 셀 시스템 정보 변경 청취(listening), 셀 시스템 정보 수신,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트래킹(tracking) 영역의 결정, 및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내에서 상기 제1 작업과 다른 작업들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작업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할 필요가있을 때 상기 저장된 제1 결과를 획득하도록 상기 프로세서가 추가로 구성되도록, 상기 제1 결과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결과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직접 연결을 구축하여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결과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간접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group establishment acknowledgement message)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는 그룹이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구축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2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을 구축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페이징 객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의 콘텐츠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서비스 알림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그룹을 해제하도록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은,
신호의 품질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에 도달한 것;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해제 지시 정보(group release indi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사람-기계 인터페이스(man-machine interface)를 사용하여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그룹을 해제한 이후, 상기 제1 작업의 실행을 시작 또는 재시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을 계속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3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3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상기 그룹을 해제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그룹이 해제 된 후에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와 동일한 셀 또는 동일한 트래킹 영역에 계속 있는지 여부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이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제1 결과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결과는, 페이징 정보, 또는 캠프온(camp on)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의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셀 측정을 수행하고 서빙 셀 측정 결과 및/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를 획득하거나;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하고, 선택된 또는 재선택된 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거나;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를 청취하고, 상기 캠프온 될 셀 또는 상기 서빙 셀의 상기 시스템 정보가 변경될 때 상기 캠프온 될 셀 또는 상기 서빙 셀의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결정하거나;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청취하고, 페이징 객체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인 페이징 메시지가 청취에 의하여 획득되는 것을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제4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4 요청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요구되는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는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또는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물리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결과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을 구축하도록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그룹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구축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그룹 구축 메시지에 따라 상기 그룹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에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지시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한 그룹 내에 있음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그룹이 구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는, 그룹-특정 식별자(group-specific identifier),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청취하고, 페이징 객체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인 페이징 메시지가 청취에 의하여 획득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페이지 메시지는 상기 그룹의 상기 그룹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 및 그룹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콘텐츠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서비스 알림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그룹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은,
신호의 품질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에 도달한 것;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해제 지시 정보(group release indi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사람-기계 인터페이스(man-machine interface)를 사용하여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상기 그룹을 해제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또는 위치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또는 상기 위치 업데이트 프로세스 내의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에게 전송된 그룹 해제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동일한 셀 및/또는 동일한 추적 영역에 계속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수신기는 또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그룹 해제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동일한 셀 및 / 또는 동일한 추적 영역에 계속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고,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대응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대응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제1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대응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결과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제1 결과는, 페이징 정보,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에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그룹이 구축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의 통신에 필요한 제1 결과를 얻는다는 것을 지시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그룹에 관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상기 그룹을 구축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그룹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에 그룹을 구축하고, 상기 그룹의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그룹 구축 확인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그룹 구축 확인 응답 메시지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그룹을 수립하는데 동의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프로세서가 페이징 객체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인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대응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2 사용자 장비에 전송 된 페이징 메시지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제2 사용자 장비로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는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그룹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하거나,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포워딩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하거나,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용자 장비와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대응인,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대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대응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1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기기와의 통신에 필요한 제1 결과를 얻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수신기는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전송된 그룹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그룹 설정 요청 메시지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운반하고, 그룹에 관한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그룹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에 그룹을 구축하고, 상기 그룹의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그룹 구축 확인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그룹 구축 확인 응답 메시지는 그룹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송신기는, 그 페이징 객체가 제1 사용자 장비 인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기가 송신할 필요가 있을 때, 대응 관계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를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 메시지를 제2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이며,
네트워크 장치로의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협력으로 제3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통신에서 요구되는 작업이고, 상기 제3 작업은,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 또는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타겟 셀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정보(channel state indication information, CSI)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수신기는 또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제1 측정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측정 결과는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해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1 측정 결과와 상기 제2 측정 결과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측정 결과와 상기 제2 측정 결과 간의 차이가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함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수행된 측정을 취소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자율적으로 측정을 시작한다는 것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측정 결과를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트리거링 방식으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2 측정 결과에 따라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드오버 정보는, 타겟 셀에 관한 정보,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물리 계층 제어 시그널링, 또는 MAC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타겟 셀 또는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직접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4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작업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직접 송신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직접 송신되는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스케줄링 요청 시그널링을 직접 송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보안 활성화 관련(secure activation-related) 시그널링을 직접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보안 활성화 관련 시그널링을 직접 송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CSI 측정 결과 정보를 직접 피드백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2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4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2 결과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디코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되는 HARQ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HARQ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정확하게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이며,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HARQ 정보를 직접 피드백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2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4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2 결과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처리 또는 상기 보안 활성화 관련 시그널링의 처리가 정확하게 완벽한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처리가 완벽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직접 피드백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이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제3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에 요구되는,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이고,
여기서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 또는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할 것을 요청하거나 또는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요청을 획득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정보(channel state indication information, CSI)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또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가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제1 측정 결과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프로세서는 또한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 제2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포괄적인 측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1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여 제1 측정 결과를 얻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송신기는 또한, 제1 측정 결과가 특정 임계치를 만족할 때, 제1 측정 결과를 제1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거나, 제1 측정 결과를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트리거링에서 제1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타겟 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로 핸드오버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 측정 결과와 상기 제2 측정 결과 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 할 때, 상기 제1 측정 결과와 상기 제2 측정 결과 간의 차이가 상기 사전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한다는 것을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거나, 자율적으로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제1 측정 결과와 제2 측정 결과 사이의 차이가 사전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은,
제1 측정 결과와 제2 측정 결과 간의 차이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전송된 핸드 오버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핸드 오버 명령은 타겟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타겟 셀에 관한 정보에 따라 타겟 셀로 핸드오버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상기 정보 및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 핸드오버 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대응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대응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셀 탐색, 또는 셀 측정,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또는 셀 시스템 정보 변경 청취, 또는 셀 시스템 정보 수신,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상기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기지국에 관한 정보,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핸드오버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정보는,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상기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기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기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 또는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직접 액세스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운반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고,
제1 사용자 장비로의 연결을 구축한 이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3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구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구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이고,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 또는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타겟 네트워크 장치로 핸드오버 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운반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구성 정보는 RRM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CSI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타겟 셀로 핸드오버 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1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타겟 셀로 핸드 오버되는 것으로 결정한 후에 상기 핸드 오버 지시 시그널링을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핸드 오버 지시 시그널링은 물리 계층 정보 , MAC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일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상에서 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필요가 있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또는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상에서 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필요가 있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대응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대응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셀 탐색, 또는 셀 측정,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또는 셀 시스템 정보 변경 청취, 또는 셀 시스템 정보 수신,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이며,
네트워크 장치와의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을 직접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보안 상황 정보(security context information)에 따라,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 키 및/또는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생성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및/또는 상기 사용자 평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생성된 암호화 키를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암호화 키 및 상기 무결성 보호 키 또는 상기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암호화 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업데이트 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암호화 키 및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에 대한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를 수행한 이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보안 상황 정보에 따라 제1 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키, 또는 NAS COUNT 정보,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2 키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위한 보안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2 키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암호화 키 및 상기 무결성 보호 키 및/또는 상기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암호화 키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면, 상기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평면 상의 데이터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하고,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평면 상의 상기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 보호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평면 상의 상기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및/또는 상기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평면 상의 데이터를 복호화 또는 암호화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고,
제1 사용자 장비와의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보안 상황 정보에 따라,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및/또는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security mode activation command)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간의 키가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전용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암호화 키 및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에 대해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를 수행한 이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전달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측면들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거나, 또는 시스템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코어 네트워크 장치, 제1 사용자 장치 및 제2 사용자 장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컴퓨터 저장 매체는 전술 한 측면들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컴퓨터 저장 매체는 앞서 설명한 측면을 실행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통신에 필요한 일부 작업을 수행하고,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와 적절하게 통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대기 시간이 연장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0002]
[0100]
[0101]
[0102]
[0103]
[0104]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LTE 네트워크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다시 또 다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다시 또 다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다시 또 다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다시 또 다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다시 또 다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장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설계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한층 나은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사용하며, 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와 관련된 시스템 아키텍쳐의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대로, 상기 시스템 아키텍처는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장비(101), 제2 사용자 장비(102), 및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코어 네트워크 장치(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거리(short-range)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등을 이용한 통신이 제1 사용자 장비(101) 및 제2 사용자 장비(102)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101) 및 제2 사용자 장비(102)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03)를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 장치(104)에 액세스할 수 있고, 또한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예를 들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과 같은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 등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을 사용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기술은 LTE 시스템의 5세대 5G 시스템과 같은 다음 진화 시스템(subsequent evolved system)에도 적용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여기서 LTE 시스템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서만 사용된다. LTE 시스템에서, 진화된 UMTS 지상 무선 접속 네트워크(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로서 동작하고,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는 코어 네트워크로서 동작한다. UE는 E-UTRAN 및 EPC를 사용하여 IMS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제1 사용자 장비(101)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다양한 핸드헬드(handheld) 장치, 차량내 장치, 웨어러블 기기, 또는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장치, 및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terminal), 및 단말 장비(Terminal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위에서 언급된 모든 장치는 총괄적으로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UE로 지칭된다.
제2 사용자 장비(102)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WD), 예를 들어 손목으로 지지되는 시계 및 손목 스트랩과 같은 제품, 발에 의해 지지되는 신발 및 양말 또는 다리에 착용된 다른 제품, 머리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 헬멧, 헤드밴드 등, 및 스마트 의류, 스마트 책가방, 스마트 지팡이, 및 스마트 액세서리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비(102)는, 예를 들어 핸드헬드 장치, 차량내 장치, 웨어러블 기기,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장치와 같은 에너지를 절약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 장비,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Terminal), 및 단말 장치(Terminal Equipment)일 수 있다. 설명의 용이함 및 제1 사용자 장비와의 구별을 위해,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위에서 언급된 모든 장치는 총괄적으로 제2 사용자 장비 또는 WD라고 지칭된다.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03)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UE 또는 WD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일 수 있다. 상기 기구는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 노드, 액세스 포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 내에서, 기지국 기능을 갖는 장치의 이름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에서, 상기 장치는 진화된 NodeB(evolved NodeB, eNB 또는 eNodeB)라고 하며, 3세대 3G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장치를 노드 B(NodeB)라고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에서, UE에게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모든 장치는 총괄적으로 기지국 또는 eNB로 지칭된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104)는 사용자 연결을 제공하고, 사용자를 관리하고, 서비스 운반을 완료하는, 외부 네트워크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베어러 네트워크로서 사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연결의 구축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MM), 호 관리(call management, CM), 교환/라우팅, 및 기록 통지(recording notification)(지능형 네트워크 서비스를 참조하여 지능형 네트워크의 주변 장치에 대한 연결을 완료)와 같은 기능을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는, 사용자정보 서술체계(user description), QoS(Quality of Service), 사용자 통신 기록(계정(accounting)), 지능형 네트워크 플랫폼과의 대화에 의한 가상 주택 환경 제공, 및 보안(인증 센터에 의해 제공되는 대응하는 보안 측정은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보안 관리 및 외부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보안 처리를 포함)을 포함한다. 베어러 연결(Access to)은, 외부 PSTN, 외부 회로 데이터 네트워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인터넷 및 인트라넷, 이동 통신 사업자의 SMS 서버 등과의 연결을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기본 서비스는 모바일 오피스, 전자 상거래(e-commerce), 통신,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여행 서비스, 위치 기반 서비스, 텔레메트리(telemetry) 서비스, 간편 메시지 전송 서비스(simple message transfer service)(청취 컨트롤(listening control))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장치(104)는 LTE 네트워크 내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및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이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연결을 제공하고, 사용자를 관리하며, 서비스 운반을 완료하고, 외부 네트워크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베어러 네트워크로서 사용되는 위에서 언급된 장치들은 총괄적으로 MME 또는 SGW 등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로 지칭된다.
단거리 통신은 제1 사용자 장비(101)와 제2 사용자 장비(102) 사이에서 수행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는 모두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고, 블루투스 연결은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에 미리 구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는 모두 WiFi(Wireless Fidelity, Wireless Fidelity) 기능을 지원하고,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가 동일한 무선 라우터에 미리 접속할 수도 있고, 또는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중 하나가 두 개의 사용자 장비 사이에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WiFi 핫스폿으로서 동작한다. 단거리 통신은 제1 사용자 장비(101)와 제2 사용자 장비(102) 사이에서 대안으로서 비연결(connectionless)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0 이후 버전의 블루투스를 갖춘 사용자 장비는 연결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명심해야 할 것은, 여기서 블루투스 또는 WiFi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단거리 통신의 구체적인 구현은 단지 하나의 예시이며, 2개의 사용자 장비 간의 단거리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또 다른 구현도 포함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세부 사항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다.
추가로, 본 출원 내의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103)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104)를 포함할 수 있다.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or 범용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과 같은 시스템은 특히 LTE의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에 적용할 수 있다. EPS는 4세대 모바일 통신의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 위원회에 의해 제안된 개념이다.
도 2는 LTE 네트워크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LTE 네트워크는 주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 등을 포함한다. UE는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를 포함 할 수 있다. EPC는 주로 MME,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및 SGW를 포함하고, 사용자를 위한 가입자 데이터 스토리지, 이동성 관리, 및 데이터 교환과 같은 모바일 네트워크의 기존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초고속 인터넷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E-UTRAN은 복수의 eNB(Evolved NodeB)를 포함하고, 무선 물리 계층 기능, 자원 스케줄링 및 무선 자원 관리, 무선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 관리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UMTS 시스템은 주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및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를 포함한다. UTRAN은 주로 복수의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이다. 코어 네트워크(CN)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를 포함하고, SGSN은 기지국 제어기를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분석에 의하여,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통신을 위한 전력 소비가 네트워크 장치와 제1 사용자 장비 간의 통신을 위한 전력 소비보다 적으며, 제1 사용자 장비와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통신은 빈번하게 측정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더 많은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요구되는 일부 작업을 수행하고,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와 적절하게 통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대기 시간이 연장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작업 및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아래에서 세부적으로 설명된다.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는 프로세스에서, 제1 사용자 장비는 통상적으로,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서빙 셀 측정 결과, 이웃 셀 측정 결과,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셀 선택 또는 셀 재 선택 후에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서빙 셀의 상향링크 송신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송신 전력 조정 정보, 서빙 셀의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와 같은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정보가 획득될 때만, 제1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와 정상적으로 통신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고,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획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대로,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작업을 실행한다. 여기서 제1 작업은, 셀 탐색(search), 또는 셀 측정,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또는 셀 시스템 정보 변경 청취(listening), 또는 셀 시스템 정보 수신,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트래킹(tracking) 영역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등에서 하나 이상의 작업을 포함하고, 제1 결과는, 페이징 정보, 또는 캠프온(camp on)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등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제2 작업은 셀 탐색, 셀 측정, 셀 선택, 셀 재선택, 셀 시스템 정보 변경 청취, 셀 시스템 정보 수신,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서빙 셀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서빙 셀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트래킹 영역의 결정,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내에서 제1 작업과 다른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작업과 제2 작업의 세트는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해 요구되는 모든 작업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비의 통신 프로세스에서, 제1 사용자 장비는 일부 작업을 독립적으로 실행하고, 에너지를 절약하고, 대기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다른 작업을 제2 사용자 장비(프록시 장치)에게 실행을 위해 전한다.
제2 사용자 장비는 구체적으로, 아래 방식으로 제1 작업의 실행의 시작을 결정할 수 있다.
방식 1: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요청하고,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대개 UE와 WD를 둘 다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UE단에서, 제1 작업의 실행을 위한 요청을 트리거 할 수 있으며, UE는 요청을 수신한 후 WD에 통지하고, WD는 통지를 수신한 후 제1 작업의 실행을 중지하거나 건너뛴다. 이러한 방식으로 WD는 제1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부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방식 2: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제1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D는 WD가 전력을 절약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결정한 이후 또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 요청을 수신한 이후, UE가 WD 대신 제1 작업을 실행하도록, 요청 메시지를 UE에게 송신한다.
방식 3: 제2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요청 메시지 또는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가 WD가 전력을 절약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결정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UE 또는 WD에 의해 송신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네트워크 장치는 WD와 동일한 영역 내에 있는 UE를 결정하고 UE가 제1 작업을 실행하도록 요청하거나 지시하도록, 요청 메시지 또는 실행 정보를 UE에게 송신한다. 또는 제1 작업을 실행할 UE가 UE 또는 WD에 의해 송신되는 요청 메시지 내에서 특정되면, 네트워크 장치는 특정된 UE에게 요청 메시지 또는 실행 정보를 직업 송신한다.
게다가, 제1 작업은 제1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위해 실행될 필요가 있는 작업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결과도 또한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획득된다. 제1 작업은 제2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일반 통신을 위해 실행되는 작업일 수 있다. 이 경우, 획득된 제1 결과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제2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일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발해, 제1 결과는 특히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되거나 또는 제2 사용자 장비의 일반 통신 동안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되지만, 사용을 위해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대응(correspondence)을 결정한다. 상기 대응은,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1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획득하는,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요구되는 제1 결과를 의미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대응에 따라 제2 사용자 장비와 협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작업을 실행할 때, 제2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의 협력이 필요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는 제2 사용자 장비가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작업을 실행할 수 있음을 알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작업을 실행할 때, 제2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치에게 데이터 또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또는 지시를 되돌려 받을 때, 네트워크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1 작업을 실행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명심해야 할 것은, 단거리 통신이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는 동일한 트래킹 영역 내에 있다.
320.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제1 결과를 송신한다.
제1 결과는 아래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방식 1: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1 결과를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비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획득된 제1 결과를 송신하거나 또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단계 310을 수행하고 이후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획득된 제1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방식 2: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결과가 변경된 것을 발견하면 제1 사용자 장비에게 변경된 제1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실제 작업은, 제1 작업 및 제1 결과를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에서 설명된다.
1. 제2 사용자 장비는 셀 측정을 수행하고, 서빙 셀 측정 결과 및/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를 획득한 후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2. 제2 사용자 장비는 필요할 때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하고, 선택되거나 재선택된 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선택되거나 재선택된 셀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3. 제2 사용자 장비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를 청취하고,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가 변경되면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결정하고, 제1 사용자 장비에게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송신한다.
제2 사용자 장비는 페이징 메시지를 청취하고, 제2 사용자 장비가 청취에 의하여, 페이징 객체가 제1 사용자 장비인 페이징 메시지를 획득하면,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또는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페이징 메시지의 일부 또는 모든 콘텐츠를 송신한다.
5. 제2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얻기 위해, 네트워크 기기에게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일 수 있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장치는 응답 메시지에 해당 파라미터 정보를 추가하고, 응답 메시지를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한다. 제2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파라미터 정보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및/또는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파라미터는, 물리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전송한다.
제2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해 현재 사용되는 파라미터 정보를 결정하고,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한다.
앞서 설명한 작업의 구체적인 실행 프로세스는 통신 프로토콜 내에서 모두 설명되고, 상기 프로세스를 위해, 이해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 참조된다. 세부사항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다.
330.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결과를 수신한 후, 제1 사용자 장비는 제1 결과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한다.
제1 결과를 수신한 이후, 제1 사용자 장비는 먼저 제1 결과를 저장할 수 있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저장된 제1 결과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비는 제1 결과를 요청하기 위해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1 결과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와의 직접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또는 제1 사용자 장비는 제1 결과 및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와 비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다른 경우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그룹이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에 구축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에게 그룹이 알려지거나,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그룹을 구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사용자 장비, 제2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1 작업을 실행하고 더 높은 지향성 요청(directionality requirement)을 갖는 제1 사용자 장비의 일부 작업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더 세부적인 사항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대로,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410. 그룹 구축 요청을 트리거한다.
제2 사용자 장비가 그룹 구축 요청을 트리거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가 그룹 구축 요청을 트리거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에게 그룹 구축 요청을 송신한다.
420. 그룹에 관한 정보를 보고한다.
그룹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결정한 이후, 제2 사용자 장비는 그들 사이에 그룹이 구축될 필요가 있는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에 관한 정보에 따라 그룹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장비는, 그룹의 번호를 생성하고,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각각에 그룹의 번호를 연관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에게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요청 메시지는 그들 사이에 그룹이 구축될 필요가 있는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에 관한 정보를 운반한다. 그룹 구축 요청을 수신한 이후, 네트워크 장치는 요청 내에서 운반되는 정보에 따라 그룹을 구축하고, 제2 사용자 장비에게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리턴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는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에 따라 그룹을 구축할 수 있고, 그룹의 번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각각과 그룹의 번호를 연관시킬 수 있다. 이후 네트워크 장치는 제2 사용자 장비에게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430. 그룹이 구축된 것을 결정한다.
제2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또는 제2 사용자 장비가 그룹을 구축한 이후에 제1 사용자 장비에게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명심해야 할 것은, 그룹은 단지, 제1 사용자 장비, 제2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가 모두, 제1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의 프로세스 내의 일부 작업을,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음을 명확히 하기 위해 의도되었을 뿐이고,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모든 방식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모두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룹 구축 프로세스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그룹을 구축할 필요가 있을 때,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게 그룹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있고,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후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리턴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2 사용자 장비에게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룹이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축되면,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게 그룹에 관한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용자 장비 및 제2 사용자 장비를 하나의 장치로 간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때, 네트워크 장치는 제2 사용자 장비에게 모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장애(data disorder)를 피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치는, 제2 사용자 장비에게, 데이터가 속하는 장치를 지시하기 위해, 데이터에 식별자를 부가할 수 있다. 또는, 제2 사용자 장비만이 오직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한 작업을 실행할 역할 있다는 것이 그룹 프로세스 내에 특정된다. 게다가,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몇몇 작업이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해서 수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룹이 구축된 이후, 상대적으로 명시적인 지향성을 갖는 일부 작업은 또한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가질 때, 네트워크 장치는 그룹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장비에게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는, 페이징 객체가 그룹이라는 것, 또는 페이징 객체가 제2 사용자 장비가 아니라는 것, 또는 페이징 객체가 제1 사용자 장비라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지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페이징 메시지를 직접 전달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페이징 메시지의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페이징 메시지의 콘텐츠를 송신할 때,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필요하지 않은 콘텐츠를 걸러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가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운반하고, 제2 사용자 장비는 상기 식별자를 제거한 후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객체는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되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서비스 알림 메시지 수신 프로세스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프로세스와 유사하며, 서비스 알림 메시지 수신 프로세스에 대해, 페이징 메시지 수신 프로세스가 이해를 위해 참조된다.
네트워크 장치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할 때,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면,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게 데이터를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그룹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그룹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게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게 명령하고, 상기 데이터는 제1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임을 지시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데이터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더 나은 기술적 해결책이 도 3 및 도 4의 해결 방안의 결합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보다 세부적인 것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대로,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501. WD 및 UE 사이에 그룹을 구축한다. 구체적으로, WD는 WD가 UE와 그룹을 구축할 필요가 있을 때 UE에게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또는 UE는 UE가 WD와 그룹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502. UE가 WD로부터 그룹 구축 요청을 수신하거나 또는 UE가 WD와 그룹을 구축할 필요를 트리거하면, UE는 eNB에 액세스하고, UE 및 WD 사이에 그룹이 구축되는 것을 지시하고 그룹의 번호와 같은 구축된 그룹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eNB에게 그룹 구축 메시지를 송신한다.
503. eNB가 UE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메시지를 수신한 후, eNB는, MME에게, WD 및 UE 사이에 구축된 그룹을 지시하기 위해, (그룹 ID(identification) 또는 WD 및 UE의 ID와 같은)UE 및 WD 사이에 구축된 그룹에 관한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504. MME가 eNB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메시지를 수신한 후, MME는 eNB에게 UE 및 WD 간의 그룹에 관한 정보가 성공적으로 저장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eNB에게 그룹 정보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505. eNB는, UE에게 WD 및 UE 간의 그룹에 관한 정보가 네트워크 측 상에 저장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UE에게 그룹 정보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명심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단계 503, 단계 504, 및 단계 505 간의 순서 관계는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506. UE가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그룹 구축 확인 정보를 획득한 이후, UE는 UE 및 WD 간의 그룹이 성공적으로 구축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해, WE에게 그룹 구축 결정 정보를 송신한다.
WD가 WD 및 UE 간의 그룹이 성공적으로 구축되었음을 결정한 후, WE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전력 절약 모드에 진입한다. WD가 전력 절약 모드에 진입하는 것의 의미는 WD는 아래 동작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지 않거나 또는 아래 동작 중 하나 이상의 수행을 중단한다는 것이다.
1. 셀 탐색
2. 셀 측정
3. 셀 선택/재선택
4. 셀 시스템 정보 청취
5.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더 나아가, 이동 프로세스에서, UE는 종래의 셀 측정, 셀 선택 및 재선택, 셀 시스템 정보 수신, 및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수행한다. UE가 셀 재선택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UE가 셀 재선택을 수행한 후, UE는 새롭게 재선택된 셀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셀 식별자 정보, 또는 셀 주파수 정보, 또는 셀 시스템 정보)를 WD에게 알릴 수 있다. 새로운 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이후, WD는 셀과 통신할 계속적인 필요가 있을 때의 사용을 위해 상기 정보를 저장한다.
게다가, UE가 현재 캠프온 하고 있는 셀의 시스템 정보가 변경된 것을 UE가 발견하면, UE는 WD에게 변경된 새로운 시스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WD가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을 때, UE는 UE가 현재 캠프온 중인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및 현재 캠프온 중인 서빙 셀에 관한 정보를 WD에게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WD가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필요를 능동적으로 트리거할 필요가 있을 때, WD는, UE 측으로부터,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및 서빙 셀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는 WD가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필요를 수동적으로 트리거할 때, UE는 WD에게 현재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및 현재 서빙 셀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임의의 단거리 통신 방식이 UE 및 WD 사이의 앞서 설명한 정보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508. 네트워크는 WD가 페이징될 필요가 있다는 결정하면, UE에게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페이징 메시지는 페이징 객체가 WD라는 것을 명시적으로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페이징 객체가 WD라는 것의 지시의 구현은, WD의 ID의 명시적인 지시 또는, 페이징 객체가 UE가 아니라는 것의 지시, 또는 페이징 객체가 WD인지 여부의 지시 등일 수 있다.
509. MME에 의해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eNB는 UE에게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510. eNB에 의해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UE는 WD가 페이징 되는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WD가 페이징될 것이면, UE는 WD에게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또는 WD에게 페이징 메시지의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해 WD에게 전용 메시지를 송신한다.
명심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MME는,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페이징 메시지의 페이징 객체가 WD인지 여부, 또는 eNB가, 페이징 객체가 WD인지 여부를 학습하기 위해 MME로부터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파싱(parse)할 것인지를 eNB에게 알릴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그룹은 구체적인 조건일 때 해제될 필요가 있다. 그룹 해제의 잠재적인 의미는 WD가 제1 작업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 또는 WD가 제1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UE에게 스위칭될 필요가 있다는 것, 또는 WD가 더 이상 제1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룹 해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개념적인 통신도이다. 본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대로,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601. WD 또는 UE가 그룹이 해제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면, UE는 네트워크에게 그룹 해제 지시 정보(group release indication information)를 보고한다.
구체적으로, UE가 현재 연결 모드(connected mode)라면, UE는, 그룹이 해제될 필요가 있음을 지시하기 위해, eNB에게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직접 송신할 수 있다. 또는, UE가 현재 아이들 모드(idle mode)라면, UE는 eNB에게 랜덤 액세스하도록 트리거된다. 그리고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예를 들어, UE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에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부가하여 eNB에게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UE는 랜덤 액세스가 완료된 후에 eNB에게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UE가 현재 아이들 모드라면, UE는,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측에 보고하기 위해, 위치 업데이트(location update)(Track Area Update, TAU)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트리거된다.
여기서, 그룹 해제에 대한 결정 조건(determining condition)은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1. WD가 WD 및 UE 사이의 신호의 품질이 특정 임계치(specific threshold)보다 낮다는 것을 탐지하고, WD 및 UE가 그룹 형성 조건(group forming condition)을 더 이상 만족하지 않는다.
2. UE가 WD 및 UE 사이의 신호의 품질이 특정 임계치보다 낮다는 것을 탐지하고, WD 및 UE가 그룹 형성 조건을 더 이상 만족하지 않는다.
3. WD가 WD 및 UE 사이의 거리가 특정 임계치보다 가깝다는 것을 탐지하고, WD 및 UE가 그룹 형성 조건을 더 이상 만족하지 않는다.
4. UE가 WD 및 UE 사이의 거리가 특정 임계치보다 가깝다는 것을 탐지하고, WD 및 UE가 그룹 형성 조건을 더 이상 만족하지 않는다.
5. WD가 그룹을 해제하는 것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지시를 수신한다.
6. UE가 그룹을 해제하는 것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지시를 수신한다.
7. WD 또는 UE가 eNB 또는 MME와 같은 네트워크 측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602. UE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한 이후, eNB는, MME에게 그룹이 해제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MME에게 그룹 해제 보고 메시지(group release report message)를 송신한다.
603. MME는 eNB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해제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후 그룹 해제 확인 메시지를 피드백한다.
604. eNB는 UE에게 그룹 해제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계 604, 단계 602, 및 단계 603 사이에는 순서 관계가 필요하지 않다.
605. UE가 네트워크 측이 그룹을 해제한 것을 결정한 이후, 단거리 통신이 WD 및 UE 사이에서 여전히 수행될 수 있다면, UE는 그룹이 해제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 WD에게 그룹 해제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는 WD가 그룹이 해제된 후 일반 동작 모드에 진입하도록 선택하면(즉, 모든 통신 작업 내의 동작이 수행될 필요가 있음), eNB와 같은 네트워크 측의 장치가 WD에게 그룹 해제 확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606. WD 및 UE 사이의 그룹이 해제된 것을 결정한 이후, WD는 현재 서빙 셀에 대한 캠프온을 계속할지 또는 캠프온할 다른 셀을 선택하도록 셀 재선택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607. 그룹이 해제된 이후, WD는 일반 동작 모드(즉, 모든 통신 작업 내의 동작이 수행될 필요가 있음)를 선택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본 실시예 내에서, 네트워크 측에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보고할 때, UE는 WD 및 UE가 현재 여전히 동일한 트랙킹 영역(Track Area, TA) 내에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보고하거나 또는 WD 및 UE가 현재 동일한 셀 내에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WD가 그룹 해제를 능동적으로 요청하면, WD는 WD가 UE와 동일한 셀 또는 동일한 트래킹 영역 내에 계속해서 있을지 여부를 UE에게 알린다.
또 다른 케이스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제1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면, 즉,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 내에서,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비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전송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2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데이터를 전달한다.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가 제2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인지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인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응하는 식별자가 상기 데이터를 운반하는 데이터 패킷에 부가될 수 있다. 분명히, 데이터 프라이버시(data privacy) 때문에, 제1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채널 상태 측정, 무선 자원 관리 측정 등과 함께 동반된다.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통신 프로세스 중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을 구축하고,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또는 제2 사용자 장비의 도움으로 제3 작업을 실행한다. 제3 작업은 제1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통신에 요구되는 작업이다. 제3 작업은,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기, 또는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하기, 또는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타겟 셀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 작업을 실행하기 전에, 제2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측정 구성 정보는 제3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에 상응하여,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3 작업을 실행하도록 결정한 이후, 네트워크 장치는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대로,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710. 제1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한다.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데 요구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정보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및/또는 구성 정보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구성 파라미터는 여기서, 양단의 장치는 데이터가 전송 프로세스 내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구성된 경우에만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제1 사용자 장비는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는 상기 데이터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한다.
제1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면, 제1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3 작업을 실행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치에게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3 작업은,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보고하기,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작업은 제1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프로세스 내에서 요구되는 작업일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제3 작업이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결정하고,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제3 작업의 실행을 중지하거나 스킵(skip)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사용자 장비는 제3 작업이 아닌 다른 통신 작업을 실행한다.
또는, 제2 사용자 장비가, 제3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있음을 결정하고, 측정 구성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구성 정보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구성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때, 제2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가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하여 제3 작업을 실행한다는 것을 특정할 수 있다.
명심해야 할 것은, 제3 작업의 실행의 중지 또는 스킵은, 규칙이 정의될 수 있다는 것, 즉, 제1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때 제3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1 사용자 장비는 제3 작업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 하지만, 네트워크 장치는 제3 작업 내에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필요로 하고, 따라서 네트워크 장치 또는 제2 사용자 장비는 제3 작업을 실행하도록 결정한다. 또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비가 제3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제1 사용자 장비는 제3 작업을 독립적으로 실행하지 않고,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3 작업을 실행한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장비, 제2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는 모두 제2 사용자 장비가 제3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토콜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있고, 제3 작업을 실행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는 구체적인 조건, 예를 들면, 제2 사용자 장비 또는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지시 하에 또는 제1 사용자 장비 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령 하에, 제3 작업의 실행을 중지한다. 명심해야 할 것은, 제3 작업의 실행의 중지 또는 스킵의 설명은 단지 쉬운 이해를 위해 의도된 것이고 한정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720.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사용자 장비에게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측정 구성 정보는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정보(channel state indication information, CSI) 측정 구성 정보일 수 있다.
측정 구성 정보는 또한,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8, 제1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에 대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제2 측정 구성 정보는 제2 사용자에 대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730. 제2 사용자 장비가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3 작업을 실행한다.
제2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측정 결과를 수신한다.
제2 사용자 장비는 아래 방식으로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방식 1: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신되는 구성 정보가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 제2 측정 구성 정보로 분류될 때, 제2 사용자 장비는 두 개의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별개로 수행하고 종합적인(comprehensive)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E에 대해 구성된 측정 구성이 10 ms의 간격으로 2 ms 동안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고, 제2 UE에 대해 구성된 측정 구성이 10 ms의 간격으로 3 ms 동안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면, 제2 UE의 측정 행동(measurement behavior)은, 제1 UE에 대해 구성된 측정 간격에 따라 2 ms 동안 측정을 수행하고, 이후 추가 1 ms 동안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제2 UE에 대한 측정 구성에 따라 측정을 완료하는 것과 동등한데, 측정이 총 3 ms 동안 수행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측정 결과가 계산되면, 2 ms 내의 측정에 의하여 획득되는 값은 제1 UE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의 측정 결과로서 사용되어야 하고, 예를 들어, 2 ms-측정에 의하여 획득되는 값의 평균값이 사용된다. 제2 UE에 대한 측정 결과가 계산되면, 3 ms 내의 측정에 의하여 획득되는 모든 값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3 ms 내에 획득되는 값의 평균 값이 최종 결과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CSI 측정이 수행되면, 하나의 값이 하나의 2 ms-측정 또는 3 ms-측정이 완료된 후에 획득될 수 있다. 하지만, RRM 측정에서, 다수의 2 ms-측정 또는 3 ms-측정 이후에 획득되는 값들이 측정될 필요가 있고, 이후 이 값들은 RRM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평균된다.
방식 2: 두 개의 구성 정보가 동일하면,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측정 구성 정보가 제2 사용자 장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가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장비는,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지시에 따라 측정을 수행한다.
방식 3: 제2 사용자 장비는,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파트 720 및 파트 730은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한 제2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주로 설명한다.
RRM 측정 결과를 수신한 이후, 네트워크 장치는 제1 사용자 장비가 셀로 핸드오버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결정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장치는,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1 사용자 장비가 핸드오버될 필요가 있는 타겟 셀에 관한 정보 및/또는 제1 사용자 장비가 핸드오버될 필요가 있는 타겟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정보를 수신한 이후, 제2 사용자 장비는 타겟 셀로 핸드오버된다.
셀 핸드오버의 서로 다른 형태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장치는 핸드오버 동안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및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개별적으로 설명된다.
핸드오버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내(intra-access network device) 핸드오버일 때, 즉, 셀 핸드오버 하나만 수행될 때,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제2 사용자 장비에게, 타겟 셀에 관한 정보 및 핸드오버를 위해 요구되는 다른 정보를 송신한다. 제2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정보에 따라 타겟 셀로 핸드오버 된다.
2. 핸드오버가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간(inter-access network device) 핸드오버일 때, 즉, 셀 핸드오버 및 기지국 핸드오버가 둘다 수행될 필요가 있을 때,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제2 사용자 장비에게,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정보, 타겟 셀에 관한 정보, 및 핸드오버를 위해 요구되는 다른 정보를 송신한다. 제2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정보에 따라 핸드오버된다. 게다가, 타겟 기지국이 제1 사용자 장비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3 작업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기 위해,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본 케이스의 타겟 기지국에게 알리거나, 또는 소스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본 케이스의 타겟 기지국에게 핸드오버 프로세스 중에 또는 핸드오버가 완료된 이후에 알릴 수 있다.
명심해야 할 것은, 셀 핸드오버 프로세스는 관련된 통신 프로토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고, 셀 핸드오버 프로세스에 대해, 통신 프로토콜이 이해를 위해 참조된다는 것이다. 세부사항은 여기서 설명되지 않는다.
제2 사용자 장비의 제3 작업을 수행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제2 사용자 장비의 측정 결과가 정확한지 여부가 정기적으로 검증될 수 있다.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
740. 제2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에게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구성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작업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 또는 제1 사용자 장비가 아래 검증을 위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 등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된다.
750. 구성 정보에 따라 검증을 수행한다.
아래의 검증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방식 1: 제2 사용자 장비가 이벤트 트리거링 방식으로 또는 특정 기간(particular period)의 간격으로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결과를 수신한 이후, 제1 사용자 장비는 상기 측정 결과를, 제2 사용자 장비와 동일한 시간 기간 동안 독립적으로 측정을 수행하여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되는 측정 결과와 비교하고, 상기 2개의 측정 결과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한 제3 작업의 실행을 취소한다.
방식 2: 제1 사용자 장비는 이벤트 트리거링 방식으로 또는 특정 기간의 간격으로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한다.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결과를 수신한 이후, 제2 사용자 장비는 상기 측정 결과를, 제1 사용자 장비와 동일한 시간 기간 동안 측정을 수행하여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되는 측정 결과와 비교하고, 상기 2개의 측정 결과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2 사용자 장비는 제3 작업의 실행을 취소하고, 제1 사용자 장비에게 본 케이스를 알리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자동적으로 측정을 수행할 것을 지시한다.
이벤트 트리거링 방식은 제2 사용자 장비 또는 제1 사용자 장비가 채널 상태, 또는 거리,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비 간의 위치가 조건을 만족하지 않거나, 또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로부터 트리거 지시를 수신하는 등을 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분명한 설명을 위해, RRM 측정 및 CSI 측정은 개별적으로 아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도 8에 도시된 대로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801. WD는, 네트워크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도록 WD를 트리거하거나 또는 WD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대한 연경을 구축할 필요를 능동적으로 트리거할 때, UE에게 지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지시 메시지의 기능은 WD를 위해, 네트워크에 액세스 하기 위해 요구되는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UE에게 지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파라미터 정보는 아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2.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3. 물리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MAC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RLC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PDCP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RRC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
802. UE가, WD가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학습한 이후, 또는 UE가 WD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UE가 현재 eNB에 연결하는 모드에 있다면, UE는, WD에게, 현재 사용되고 있는 TA 값 및 상향링크 전송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예를 들어, 상향링크 PUSCH 채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UE가 현재 아이들 모드에 있다면, UE는 먼저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eNB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고, 이후, WD에게, 획득된 TA 값 및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상향링크 PUSCH 채널의 예를 들어,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전송한다.
803.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및 전송 전력에 더하여, UE는 또한 먼저, eNB로부터, WD에 의해 요구되는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이후 WD에게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804. UE는, WD에게, WD에 의해 요구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드 조정 정보,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및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한다.
805. WD는 eNB에 대해 연결을 구축하고, 획득된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드 조정 정보,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및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사용하여 계층들에 대한 구성을 수행한 이후, WD는 획득된 TA 및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사용하여 eNB에게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시작하고, eNB에 의해 송신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
806.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에서, WD는 서빙 셀의 스케줄링 정보만을 청취하고, eNB에 의해 송신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면,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를 피드백한다.
807. WD 및 eNB 간에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의 프로세스에서, UE는 CSI 측정 및 피드백을 WD 대신에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eNB는, UE에 대해, WD를 대신해서 UE에 의한 CSI 측정의 수행을 위한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eNB는, UE에 대해 단계 3에서, WD를 대신해서 UE에 의한 CSI 측정의 수행을 위한 구성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808. UE는 CSI 측정 결과에 따라 CSI 측정 결과를 피드백 한다.
게다가, 프록시 측정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UE 및 WD는 프록시 측정 프로세스에서 측정 교정 프로세스(measurement calibration process)를 비정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는 특정 기간의 간격으로 WD에게 CSI 측정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게다가, WD는 또한 특정 기간의 간격으로 CSI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이후 UE에 의해 송신되는 CSI 측정 결과를 측정에 의하여 WD에 의해 획득되는 CSI 측정 결과와 비교할 수 있다. 측정 결과들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프록시 측정 프로세스의 취소가 트리거된다. WD가 프록시 측정 프로세스를 취소할 필요가 있을 때, WD는 UE에게 프록시 측정 취소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WD는 특정 기간의 간격으로 CSI 측정을 수행하고, UE에게 CSI 측정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UE는 UE가, 동일한 기간 동안의 측정 결과에 따라, WD 및 UE의 측정 결과들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할 때, 프록시 측정 프로세스의 취소를 트리거한다. 프록시 측정이 취소될 필요가 있을 때, UE는, 독립적인 CSI 측정의 수행을 WD에게 지시하기 위해, WD에게 프록시 측정 취소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개략적 통신도이다.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대로,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901. WD가 eNB와 데이터 전송을 구축한 이후,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고 WD가, 이동 프로세스 중에, 동작을 위해 적시에 적절한 타겟 셀로 핸드오버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WD 또는 eNB는, WD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WD를 위한 프록시 RRM 측정을 수행하도록 UE에게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D가, WD를 위한 프록시 RRM 측정을 수행하도록 UE에게 요청하기 위해, UE에게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WD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UE가 능동적으로 프록시 RRM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eNB가 WD 대신에 RRM 측정을 수행할 것을 UE에게 지시할 수 있다.
902. eNB는 UE에 대해, 프록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한다.
903. UE는 프록시 측정을 위한 구성 정보에 따라 주파수 내(intra-frequency) 또는 주파수 간(inter-frequency) RRM 측정을 수행하고, eNB에게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904. 추가로, 프록시 측정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UE 및 WD는 프록시 측정 프로세스 내에서 측정 교정 프로세스를 비정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는 특정 기간의 간격으로 WD에게 RRM 측정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게다가, WD도 역시 특정 기간의 간격으로 RRM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이후 UE에 의해 송신된 RRM 측정 결과를 측정에 의하여 WD에 의해 획득된 RRM 측정 결과와 비교한다. 측정 결과들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면, 프록시 측정 프로세스의 취소가 트리거된다. WD가 프록시 측정 프로세스를 취소할 필요가 있다면, WD는 UE에게 프록시 측정 취소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또는 WD가 특정 기간의 간격으로 RRM 측정을 수행하고, UE에게 RRM 측정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UE는, 동일한 기간 동안의 측정 결과에 따라, WD 및 UE의 측정 결과들 간의 차이가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프록시 측정 프로세스의 취소를 트리거할 수 있다. 프록시 측정이 취소될 필요가 있을 때, UE는, 독립적인 RRM 측정의 수행을 WD에게 지시하기 위해, WD에게 프록시 측정 취소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905. UE는 프록시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를 리포트하며, eNB는,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핸드오버가 수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UE에게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UE가 핸드오버될 필요가 있는 타겟 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906. UE는 eNB로부터 송신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후 타겟 셀로 핸드오버된다. 구체적으로, UE는, 타겟 셀의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값과 타겟 셀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타겟 셀 내에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UE는 타겟 셀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한 후 타겟 셀에게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추가로, UE가 타겟 셀로 핸드오버되는 프로세스에서, WD는 소스 셀과 계속해서 통신하고 있을 수 있다.
907. UE가 성공적으로 핸드오버된 후, UE는 UE가 핸드오버될 필요가 있는 타겟 셀에 관한 정보,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TA 값, 및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WD에게 알린다. 추가로, UE는 또한, WD에 대해 구성되는, 계층의 파라미터 정보를 WD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버 프로세스에서, 타겟 eNB는 UE와 WD 간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학습할 필요가 있다. 타겟 eNB가 UE와 WD 간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학습하고 WD에 대한 적절한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게 되기 위해, 아래 두 가지 방식이 WD와 UE 간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타겟 eNB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방식 1: 핸드오버 준비 페이즈(phase)에서, 소스 eNB는, 타겟 eNB가 UE가 WD 대신에 실제로 핸드오버됨을 알 수 있도록, 타겟 eNB에게 UE와 WD 사이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방식 2: 타겟 eNB에 액세스하는 프로세스에서, 또는 타겟 eNB에게 성공적으로 핸드오버된 이후에, UE는 메시지를 사용하여 UE와 WD 간의 그룹에 관한 정보를 타겟 eNB에게 알릴 수 있고, 타겟 eNB는 UE가 WD를 대신하여 실제로 핸드오버됨을 알 수 있다.
타겟 eNB가 UE와 WD 사이의 그룹 관계를 학습한 이후, 타겟 eNB는, 핸드오버 명령 내의 WD에 대해, WD가 타겟 eNB에 대한 연결을 구축할 때 요구되는 구성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UE가 성공적으로 핸드오버된 후, 타겟 eNB는,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WD가 타겟 eNB에 대한 연결을 구출할 때 요구되는 구성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908. 추가로, 또는, 소스 eNB가 UE가 타겟 eNB에게 성공적으로 액세스한 것을 학습한 후, 소스 eNB는, WD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타겟 eNB에 액세스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WD에게 빠른 핸드오버 명령을 직접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스 eNB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WD에게 핸드오버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909. UE 또는 소스 eNB에 의해 송신되는, 타겟 셀 또는 타겟 eNB에 대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한 이후, WE는 UE에 의해 제공된 TA 및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사용하여 타겟 셀 내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제1 사용자 장비가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작업을 실행할 때, 보안 메커니즘이 정보 보안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로의 연결을 구축한다. 제1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security mode activation command)를 수신한다. 제1 사용자 장비는, 보안 상황 정보(security context information)에 따라, 제어 평면(control plane)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encryption key) 및 무결성 보호 키(integrity protection key) 및/또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키를 생성하고,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제1 사용자 장비는 제어 평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생성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및/또는 사용 평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생성된 암호화 키를 사용한다.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키 업데이트 메시지는 네트워크 장치가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키 업데이트 메시지에 대한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를 수행한 이후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된다. 제1 사용자 장비는, 키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어 평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또는 사용자 평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업데이트 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장치 간의 보안 키 및 제2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장치 간의 보안 키는, 제1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 간의 직접 데이터 전송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해서, 서로 독립적일 수 있고 서로에 대해 감춰질 수 있다. 추가로, 키 업데이트 프로세스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어서, 제1 사용자 장비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되고, 대기 시간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보안 메커니즘은 아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개략적인 통신도이다.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대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주요 아이디어는 제1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때, 초기 키(initial key)가 제1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 사이에 전송된다는 것, 즉, 오직 제1 사용자 장비 및 네트워크 장치만 초기 키를 알고 있다는 것이다. 키가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을 때, 네트워크 장치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알린다.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계 1001 내지 1004는 도 8의 단계 801 내지 804와 동일하다.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05. eNB는, WD 및 eNB 간의 보안 키(security key)를 활성화하기 위해, WD에게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을 송신하고, WD가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을 수신한 후, WD는 먼저 저장된 보안 상황 정보에 기반하여 KASME를 생성하고, 이후 MME 및 UE는 생성된 KASME에 기반하여 보안 키 KeNB를 생성할 수 있다. KeNB가 생성된 후, WD는, eNB를 위한 보안 알고리즘에 따라 KeNB로부터, 제어 평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및 사용자 평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WD는 보안 상황 정보에 따라 제1 키를 생성한다. WD는 제1 키, 또는 NAS COUNT(Non Access Stratum count) 정보, 또는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자, 또는 UE의 식별자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2 키를 생성한다. WD는 네트워크 장치를 위한 보안 알고리즘에 따라 제2 키로부터, 제어 평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및/또는 사용자 평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키를 계산한다. 그리고 제1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WD는 암호화키를 사용하여 제어 평면 상의 데이터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하고,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제어 평면 상의 데이터에 대해 무결성 보호를 수행하거나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제어 평면 상의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및/또는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사용자 평면 상의 데이터를 복호화 또는 암호화한다.
1006. 더 나아가, WD 및 eNB 간의 데이터 전송의 프로세스에서, 조건이 만족되면, eNB는 키 업데이트 프로세스의 수행을 트리거할 필요가 있다. WD의 키 업데이트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이 설계된다.
WD 및 eNB 간의 키가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을 때, eNB는 UE에게 전용 메시지를 송신한다. 전용 메시지는 WD에 의한 보안 키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암호화 및/또는 무결성 보호가 WD 및 eNB 간의 현재 키를 사용하여 전용 메시지에 대해 수행된다. 또는 eNB는 UE에게 HL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다. HO 명령 메시지는 WE에 의한 키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암호화 및/또는 무결성 보호가 WD 및 eNB 간의 현재 키를 사용하여 키 업데이트를 위한 관련 정보에 대해 수행된다.
1007. UE는, WD에게, eNB에 의해 WD에게 송신되는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달한다.
1008. WD는 키 업데이트 메시지 내에 운반되는 정보에 따라 새로운 암호화 키 및/또는 새로운 무결성 보호 키를 생성하고, WD는 업데이트를 완료한 후 UE에게 키 업데이트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109. UE는, WD가 키 업데이트를 완료하였음을 eNB에게 알리기 위해, eNB에게 키 업데이트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앞에서는 주로 네트워크 요소들 간의 상호 작용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을 설명하였다. 이해될 수 있는 것은, 앞서 설명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제2 사용자 장비,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와 같은 각 네트워크 요소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상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각 예시의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본 발명 내에서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상기 기능들이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는지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기술적 해결책의 설계 제안 요구사항에 따른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것은 구현이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도 11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 내의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가능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송신기(transmitter)/수신기(receiver)(1101), 제어기(controller)/프로세서(1102), 메모리(1103), 및 통신 유닛(1104)를 포함한다. 송신기/수신기(1101)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 내의 UE로부터/UE에게 정보를 수신/송신하는 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지원하고, 다른 UE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데 UE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프로세서(1102)는 UE와 통신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향링크에서, UE로부터의 상향링크 신호는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1101)에 의해 복조되며, 또한 제어기/프로세서(1102)에 의해 처리되어, UE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가 복원될 수 있다. 하향링크에서,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는 제어기/프로세서(1102)에 의해 처리되고, 하향링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송신기(1101)에 의해 복조되며, 하향링크 신호는 안테나에 의해 UE에게 전송된다. 제어기/프로세서(1102)는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와 관련된, 도 3 내지 도 10 내의 프로세스들의 처리를 수행하고 및/또는 본 출원 내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103)는 기지국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유닛(1104)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하는 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1104)은 MME, SGW,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EPC 내의 PGW와 같은 도 2에 도시된 또 다른 통신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하는 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오직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의 간략화된 설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기지국은 임의 수량의 송신기, 수신기, 프로세서, 제어기, 메모리, 통신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로 되어야 한다.
도 12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의 제2 의 가능한 설계 구조의 간략화된 개략도이다. 제2 사용자 장비는 송신기(1201), 수신기(1202), 제어기/프로세서(1203), 메모리(1204), 모뎀 프로세서(1205), WiFi 및/또는 블루투스 모듈(1210), 전원 장치(1211) 등을 포함한다.
송신기(1201)는 출력 샘플을 조정(예를 들어, 아날로그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상향 변환(up-conversion)에 의하여)하고 상향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상향링크 신호는 안테나에 의해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지국에게 전송된다. 하향링크에서, 안테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기(120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downlink-conversion), 및 디지털화에 의하여)하고 입력 샘플을 제공한다. 모뎀 프로세서(1205)에서, 인코더(1206)는 상향링크 내에서 송신되는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예를 들어,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에 의하여)한다.
변조기(1207)는 또한 인코딩된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예를 들어, 심볼 매핑 및 변조에 의하여)하고 출력 샘플을 제공한다. 복조기(1209)는 입력 샘플을 처리(예를 들어 복조에 의하여)하고 심볼 추정을 제공한다. 디코더(1208)는 심볼 추정을 처리(예를 들어,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에 의하여)하고,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디코딩된 시그널링 메시지를 제공한다. 인코더(1206), 변조기(1207), 복조기(1209), 및 디코더(1208)는 복합(composite) 모뎀 프로세서(120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닛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LTE 또는 다른 진화 시스템의 액세스 기술과 같은)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처리를 수행한다.
WiFi 및/또는 Bluetooth 모듈(1210)은 WiFi 및/또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신기 및 상기 송신기를 사용하여, WiFi 및/또는 블루투스 기능을 갖춘 제1 사용자 장비와 같은 다른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 장치(1211)(배터리와 같은)는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장치는, 전력 공급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의 관리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전력 공급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어기/프로세서(1203)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203)는 제2 사용자 장비의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 내의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1203)는 사용자 장비가 제1 작업 및/또는 본 발명에서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1203)는 또한, 제2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도 3 내지 도 10 내의 프로세스의 처리를 수행하고, 및/또는 본 출원 내에서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204)는 제2 사용자 장비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 내의 제1 사용자 장비의 가능한 설계 구조의 간략화된 개략도이다. 제1 사용자 장비는 송신기(1301), 수신기(1302), 제어기/프로세서(1303), 메모리(1304), 모뎀 프로세서(1305), WiFi 및/또는 블루투스 모듈(1310), 전원 장치(131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 (1301)는 출력 샘플을 조정(예를 들어, 아날로그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상향 변환에 의해)하고 상향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상향링크 신호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기지국에 안테나에 의해 송신된다. 하향링크에서, 안테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기(1302)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에 의해)하고 입력 샘플을 제공한다. 모뎀 프로세서(1305)에서, 인코더(1306)는 상향링크에서 송신될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수신하고,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예를 들어,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에 의해)한다. 변조기(1307)는 또한 인코딩된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예를 들어, 심볼 매핑 및 변조에 의해)하고 출력 샘플을 제공한다. 복조기(1309)는 입력 샘플을 처리(예를 들어, 복조에 의해)하고 심볼 추정을 제공한다. 디코더(1308)는 심볼 추정을 처리(예를 들어,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에 의해)하고,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전송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디코딩된 시그널링 메시지를 제공한다. 인코더(1306), 변조기(1307), 복조기(1309) 및 디코더(1308)는 복합 모뎀 프로세서(130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들 유닛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액세스 기술(LTE 또는 다른 진화된 시스템의 액세스 기술과 같은)에 따라 처리를 수행한다.
WiFi 및/또는 블루투스 모듈 1310)은 WiFi 및/또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기 및 송신기를 사용하여, WiFi 및/또는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제2 사용자 장비와 같은 다른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와 직접 상호 작용하는 작업이 모두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면, 제1 사용자 장비는 송신기(1301), 수신기(1302), 모뎀 프로세서(1305), 및 모뎀 처리부(1305)의 내부 구성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전원 장치(1311)(배터리와 같은)는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장치는, 전력 공급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의 관리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전력 공급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어기/프로세서(1303)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303)는 제1 사용자 장비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1303)는 제2 작업 및/또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1303)는 제1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도 3 내지 도 10 내의 프로세스의 처리를 수행하고 및/또는 본 출원에서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304)는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14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설계의 블록도이다. 코어 네트워크는 EPC 네트워크 일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MME, 또는 SGW, 또는 PGW,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고 UE의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기/프로세서(14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1402)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도 3 내지 도 10의, 네트워크 장치 및 코어 네트워크 장치와 관련된, 프로세스의 처리를 수행하는 것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의 다른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401)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유닛(1403)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통신, 예를 들어, 도 11의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내의 통신 유닛(1104)과의 통신, 도 12의 제2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 및/또는 도 13의 제1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시로서, 통신 유닛(1403)은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사용자 장비,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기/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범용 목적 프로세서,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장치, 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개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를 구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세서들의 조합,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DSP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조합일 수 있다.
명심해야 할 것은, "제1", "제2", "제3" 등의 단지 설명은 독자의 나은 구별을 위해 의도된 것이며 명사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예시들의 조합에서,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또한 알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앞에서는 기능에 따라 각 예시의 구성 및 단계들을 일반적으로 설명했다.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기술적 해결책의 설계 제한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진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메모리, 또는 ROM(read-only memory), 또는 전기적 프로그래머블 ROM,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ROM, 또는 레지스터, 또는 하드디스크, 또는 제거 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 된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구체적인 구현에서,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이점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해되어야 할 것은, 앞선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 의도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임의의 수정, 또는 동등한 대체,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로 되어야 한다.

Claims (64)

  1. 사용자 장비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이고,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제1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결과의 획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1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과는, 페이징 정보, 또는 캠프온(camp on)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제1 작업을 실행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은,
    셀 탐색(search), 또는 셀 측정,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또는 셀 시스템 정보 청취(listening),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트래킹(tracking) 영역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중 하나 이상의 작업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2 작업만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2 작업은, 셀 탐색, 셀 측정, 셀 선택, 셀 재선택, 셀 시스템 정보 변경 청취(listening), 셀 시스템 정보 수신,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트래킹(tracking) 영역의 결정, 및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내에서 상기 제1 작업과 다른 작업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작업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결과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group establishment acknowledgement message)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는 그룹이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구축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2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2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을 구축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페이징 객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의 콘텐츠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서비스 알림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그룹을 해제하도록 결정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은,
    신호의 품질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에 도달한 것;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해제 지시 정보(group release indi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사람-기계 인터페이스(man-machine interface)를 사용하여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그룹을 해제한 이후, 상기 제1 작업의 실행을 시작 또는 재시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현재 서빙 셀에 캠프온을 계속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3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3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상기 그룹을 해제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
  13. 사용자 장비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이고,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제1 결과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결과는, 페이징 정보, 또는 캠프온(camp on)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의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셀 측정을 수행하고 서빙 셀 측정 결과 및/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를 획득하거나;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하고, 선택된 또는 재선택된 셀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거나;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를 청취하고, 상기 캠프온 될 셀 또는 상기 서빙 셀의 상기 시스템 정보가 변경될 때 상기 캠프온 될 셀 또는 상기 서빙 셀의 변경된 시스템 정보를 결정하거나;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청취하고, 페이징 객체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인 페이징 메시지가 청취에 의하여 획득되는 것을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제4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4 요청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요구되는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응답 메시지는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또는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파라미터는 물리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구성 파라미터,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결과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을 구축하도록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그룹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구축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그룹 구축 메시지에 따라 상기 그룹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상기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에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지시하는, 사용자 장비.
  19.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한 그룹 내에 있음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그룹이 구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는, 그룹-특정 식별자(group-specific identifier),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청취하고, 페이징 객체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인 페이징 메시지가 청취에 의하여 획득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페이지 메시지는 상기 그룹의 상기 그룹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 및 그룹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3. 제14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페이징 메시지의 콘텐츠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서비스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서비스 알림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수신된 페이징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24.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그룹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것은,
    신호의 품질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에 도달한 것;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해제 지시 정보(group release indi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사람-기계 인터페이스(man-machine interface)를 사용하여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부터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상기 그룹을 해제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또는 위치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또는 상기 위치 업데이트 프로세스 내의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그룹 해제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28.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서,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사이의 대응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대응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제1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대응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1 결과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제1 결과는, 페이징 정보,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측정 결과, 또는 이웃 셀 측정 결과, 또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의 시스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시스템 정보,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이후에 획득되는 캠프온 될 셀 또는 서빙 셀에 관한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에 그룹이 구축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해 송신되는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그룹에 관한 정보를 운반하고,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구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상기 그룹을 구축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프로세서가 페이징 객체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인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대응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그룹에 관한 상기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33. 사용자 장비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이고,
    네트워크 장치로의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협력으로 제3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 간의 통신에서 요구되는 작업이고, 상기 제3 작업은,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 또는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타겟 셀 또는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정보(channel state indication information, CSI)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37.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드오버 정보는, 타겟 셀에 관한 정보,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물리 계층 제어 시그널링, 또는 MAC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타겟 셀 또는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직접 접속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39. 제33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4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작업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직접 송신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직접 송신되는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스케줄링 요청 시그널링을 직접 송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보안 활성화 관련(secure activation-related) 시그널링을 직접 수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보안 활성화 관련 시그널링을 직접 송신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CSI 측정 결과 정보를 직접 피드백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2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4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2 결과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디코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되는 HARQ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HARQ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정확하게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이며,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HARQ 정보를 직접 피드백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2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4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2 결과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처리 또는 상기 보안 활성화 관련 시그널링의 처리가 정확하게 완벽한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처리가 완벽한지 여부를 지시하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직접 피드백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41. 사용자 장비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제2 사용자 장비이고,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제3 작업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에 요구되는,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이고,
    여기서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 또는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할 것을 요청하거나 또는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요청을 획득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44. 제41항 내지 제43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채널 상태 지시 정보(channel state indication information, CSI)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2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또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가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측정 구성 정보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
  47. 제4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제1 측정 결과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48. 제4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49. 제4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타겟 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셀로 핸드오버 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상기 정보 및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 핸드오버 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51. 제49항 또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대응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대응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셀 탐색, 또는 셀 측정,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또는 셀 시스템 정보 변경 청취, 또는 셀 시스템 정보 수신,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사용자 장비.
  52. 제49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상기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기지국에 관한 정보,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핸드오버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정보는,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상기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기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기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및/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타겟 셀 또는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직접 액세스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상기 핸드오버 정보를 운반하는, 사용자 장비.
  54.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로서,
    제1 사용자 장비로의 연결을 구축한 이후,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제3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구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요구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를 대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이고, 상기 제3 작업은,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측정 결과를 송신하는 것, 또는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타겟 네트워크 장치로 핸드오버 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를 운반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작업을 실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RRM 측정 구성 정보 및/또는 CSI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58. 제54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타겟 셀로 핸드오버 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제1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1 핸드오버 명령은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또는 상기 타겟 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지시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상에서 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필요가 있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 또는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상에서 또는 상기 타겟 셀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될 필요가 있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타겟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에게,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그룹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 간의 대응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대응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사용자 장비를 사용하여, 셀 탐색, 또는 셀 측정, 또는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또는 셀 시스템 정보 변경 청취, 또는 셀 시스템 정보 수신,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청취, 또는 셀 페이징 메시지 수신,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전력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서빙 셀 내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 또는 상향링크 어드밴스 조정 정보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의 결정, 또는 트래킹 영역의 업데이트의 결정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61. 사용자 장비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제1 사용자 장비이고,
    네트워크 장치와의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을 직접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보안 상황 정보(security context information)에 따라,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 키 및/또는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생성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및/또는 상기 사용자 평면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생성된 암호화 키를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암호화 키 및 상기 무결성 보호 키 또는 상기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암호화 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업데이트 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암호화 키 및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에 대한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를 수행한 이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보안 상황 정보에 따라 제1 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키, 또는 NAS COUNT 정보,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식별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2 키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위한 보안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2 키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암호화 키 및 상기 무결성 보호 키 및/또는 상기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암호화 키를 계산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면, 상기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평면 상의 데이터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하고,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평면 상의 상기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 보호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 평면 상의 상기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및/또는 상기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평면 상의 데이터를 복호화 또는 암호화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63. 네트워크 장치로서,
    제1 사용자 장비와의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보안 상황 정보에 따라, 제어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및/또는 사용자 평면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암호화 키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security mode activation command)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 간의 키가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전용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암호화 키 및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사용하여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에 대해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를 수행한 이후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네트워크 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장비가 상기 키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게 전달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장비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장치.
KR1020187021940A 2015-12-31 2015-12-31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123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100049 WO2017113264A1 (zh) 2015-12-31 2015-12-31 通信方法及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398A true KR20180098398A (ko) 2018-09-03
KR102123959B1 KR102123959B1 (ko) 2020-06-23

Family

ID=5922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940A KR102123959B1 (ko) 2015-12-31 2015-12-31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681768B2 (ko)
EP (2) EP4161152A1 (ko)
JP (1) JP6897921B2 (ko)
KR (1) KR102123959B1 (ko)
CN (2) CN108476452B (ko)
WO (1) WO20171132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078A (ko) *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3878B2 (en) * 2016-09-16 2019-06-04 Qualcomm Incorporated On-demand network function re-authentication based on key refresh
US11172360B2 (en) 2017-10-13 2021-11-09 Qualcomm Incorporated Transfer of security protected configuration data from HPLMN
CN110650492B (zh) * 2018-06-27 2021-06-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测量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WO2020078731A1 (en) * 2018-10-16 2020-04-23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easuring channel performanc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111372303A (zh) * 2018-12-26 2020-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消息的监听方法和装置
CN111385856B (zh) * 2018-12-28 2022-02-1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通信装置及存储介质
CN111278165B (zh) * 2019-01-11 2022-0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连接建立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EP4023034A1 (en) * 2019-08-29 2022-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lation indication for multi-sim devices
US20220295447A1 (en) * 2019-10-21 2022-09-1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Network access metho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133803A (zh) * 2019-12-20 2020-05-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寻呼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30012097A1 (en) * 2019-12-20 2023-01-1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Signa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271583B (zh) * 2020-02-14 2022-09-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卡终端设备的通信参数测量方法、终端设备和接入网设备
CN111919469B (zh) * 2020-02-27 2023-07-2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号测量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3543113A (zh) * 2020-04-15 2021-10-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寻呼代理的方法和用户设备
CN111642007B (zh) * 2020-05-27 2023-03-2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同步接入网络的方法、系统及终端设备
WO2022208825A1 (ja) * 2021-03-31 2022-10-06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CN113573404A (zh) * 2021-08-25 2021-10-29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同步方法、终端和存储介质
CN113840352A (zh) * 2021-10-14 2021-12-24 深圳市锐尔觅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测量结果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3374A1 (en) * 2006-02-06 2007-08-09 Classon Brian K Neighbor-assisted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4352B1 (fi) * 1997-02-07 1999-12-31 Nokia Networks Oy Matkaviestimen haku solukkoradiojärjestelmässä
GB2373966B (en) * 2001-03-30 2003-07-09 Toshiba Res Europ Ltd Mode monitoring & identification through distributed radio
FI112906B (fi) * 2001-05-10 2004-01-30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kommunikaatioryhmän muodostamiseksi
US7184792B2 (en) * 2004-02-10 2007-02-27 Qualcomm Incorporated Delayed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fter physical layer reconfiguration
US7450953B2 (en) * 2004-02-27 2008-11-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telligent paging in multiple networks
US9226339B2 (en) * 2009-12-03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multifunctional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687540A (zh) * 2010-01-08 2012-09-19 夏普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移动管理装置、数据分布装置、移动通信方法及程序
CN102083211B (zh) * 2010-03-29 2017-04-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控制信道资源的确定方法和设备
MY161528A (en) * 2010-04-02 2017-04-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Group procedure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s
TWI620459B (zh) * 2012-05-31 2018-04-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蜂巢式通訊系統中賦能直鏈通訊排程及控制方法
CN104488335B (zh) 2012-07-26 2019-01-08 富士通互联科技有限公司 基站装置、移动站装置、通信系统和通信方法
US9380622B2 (en) * 2012-12-18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Increased power savings through collaborative search
WO2014101079A1 (zh) * 2012-12-28 2014-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判决方法、基站和用户设备
WO2014104627A1 (ko) * 2012-12-30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US9820177B2 (en) * 2013-02-26 2017-11-14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14201702A1 (zh) * 2013-06-21 2014-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指示辅助接入能力的方法、用户设备以及基站
JP6824037B2 (ja) * 2013-10-24 2021-02-03 コニンクリーケ・ケイピーエヌ・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ユーザ装置間での制御された証明書の供給
KR102109578B1 (ko) * 2013-11-11 202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
US9277437B2 (en) * 2014-01-14 2016-03-01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MBMS MD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05978B1 (en) * 2014-02-10 2019-06-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network assisted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itigation of d2d communications
CN104144049B (zh) * 2014-03-11 2016-02-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加密通信方法、系统和装置
US9609592B2 (en) * 2014-05-23 2017-03-28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Operating user equip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984858A4 (en) * 2014-06-09 2017-02-15 Razer (Asia-Pacific) Pte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s
JP2016531479A (ja) * 2014-06-17 2016-10-06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ワイヤレス接続スイッチング方法、ワイヤレス端末、及びそのシステム
CN104267809B (zh) * 2014-09-19 2017-08-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第一电子设备
KR102591864B1 (ko) * 2015-06-29 2023-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9832630B2 (en) * 2015-11-23 2017-11-28 Intel IP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wireless peer-to-peer discov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3374A1 (en) * 2006-02-06 2007-08-09 Classon Brian K Neighbor-assisted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078A (ko) *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97921B2 (ja) 2021-07-07
EP3386241B1 (en) 2022-09-28
US20180317275A1 (en) 2018-11-01
CN108476452B (zh) 2020-11-06
WO2017113264A1 (zh) 2017-07-06
EP3386241A1 (en) 2018-10-10
US20200275518A1 (en) 2020-08-27
JP2019500810A (ja) 2019-01-10
EP4161152A1 (en) 2023-04-05
CN112165730A (zh) 2021-01-01
CN108476452A (zh) 2018-08-31
US11895724B2 (en) 2024-02-06
KR102123959B1 (ko) 2020-06-23
EP3386241A4 (en) 2019-04-03
US10681768B2 (en)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5724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1908248B1 (ko)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대한 향상된 접속 관리
KR101960177B1 (ko) NB-IoT 단말의 이동성 처리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JP7349964B2 (ja) 非アクティブ使用に対するranにおけるueコンテキストの格納
US11284468B2 (en) Suspending/resuming measurements in RRC inactive state
KR20170125296A (ko) 단말의 연결 상태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CN113647194B (zh) 处理辅小区组配置
US20230388891A1 (en) Managing ue information after preparing a conditional mobility procedure
WO2018172596A1 (en) Supporting mobility during low activity state
KR10142916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21282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with terminal device in inactive state and terminal device
CN111699703B (zh) 在无线电接入网中对数据进行路由的方法、基站、终端
TW202337257A (zh) 無線通信網路中的使用者設備、網路節點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