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750A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750A
KR20180097750A KR1020187022849A KR20187022849A KR20180097750A KR 20180097750 A KR20180097750 A KR 20180097750A KR 1020187022849 A KR1020187022849 A KR 1020187022849A KR 20187022849 A KR20187022849 A KR 20187022849A KR 20180097750 A KR20180097750 A KR 20180097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longitudinal
region
nonwoven fabric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8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7109B1 (en
Inventor
준이치 노구치
아키노 오츠키
쿠미 후지카와
유키 노다
료타 가와모리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9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7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1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2013/4708Panty-l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0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hydrophil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뛰어난 흡수 성능을 구비하면서, 착용자의 동작 시에 있어서도 착용감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2)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평면시로,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과, 길이 방향 제 1 영역(AL1)과, 길이 방향 제 2 영역(AL2)을 갖고, 상기 표면 시트(2)는,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에 있어서의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길이 방향 제 1 영역(AL1)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2 영역(AL2)으로 이루어지는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고, 또한, 상기 표면 시트(2)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21)와, 상기 볼록부(21)와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2)가 교대로 배치된 특정의 요철 구조(20)를 구비하고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having excellent absorbing performance and good wearing comfort even when the wearer operates the absorbent article.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 (2) made of a nonwoven fabric. The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longitudinal center region (A LC ), a longitudinal first region (A L1 ) second region (a L2) having the surface sheet 2, the magnetic brush occurs amount of fibers constituting said nonwoven fabric in said longitudinal central region (a LC), said longitudinal first region (a L1 ) And the longitudinal second region (A L2 ), and the topsheet (2) is continuously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Convex structure 20 in which convex portions 21 and concave portions 22 continuously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convex portions 21 are alternately arranged.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팬티 라이너, 경실금 패드, 생리용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panty liner, a light incontinence pad, and a sanitary pad.

종래부터, 팬티 라이너, 경실금 패드, 생리용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소변이나 생리혈 등의 액상 배설물을 신속하게 흡수하고, 외부로 새지 않도록 홀딩하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근래에는 이와 같은 능력에 더하여 촉감이나 착용감이 뛰어난 것 등이 요구되고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in absorbent articles such as panty liners, light incontinence pads, and physiological pads, there is a demand for the ability to rapidly absorb liquid excrement such as urine and menstrual blood and hold it so as not to leak to the outside. In addition to their ability, they are required to have excellent feel and fit.

그와 같은 흡수 성능과 촉감이 뛰어난 흡수성 물품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코튼 부직포에 의해 구성된 표면 시트와, 열 융착성 섬유 시트와, 흡수체를 적층한 상태에서, 표면측으로부터 다수의 엠보스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유연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표면 시트에 흡수된 수분을 재빠르게 내부로 침투시킬 수 있다고 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absorbent article having excellent absorbing performance and excellent tactile sensatio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plurality of And embossing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absorbent articl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moisture absorbed in the topsheet can be quickly permeated into the interior without impairing flexibility.

그러나,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코튼 부직포는,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소변 등의 액상 배설물을 흡수하여, 홀딩하기 쉬운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로부터 소변 등의 액상 배설물이 배설되면, 당해 액상 배설물이 표면 시트에서 흡수, 홀딩되어, 표면 시트가 습윤한 상태가 되어, 착용자가 끈적이는 느낌 등의 불쾌한 감각을 느껴, 결과적으로 흡수성 물품의 착용감이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tton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sheet has a property of absorbing and holding the liquid excretion such as urine discharged from the wearer, the absorbent articl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that the liquid excretion such as urine When the liquid excretion is excreted, the liquid excrement is absorbed and held by the topsheet, and the topsheet becomes wet, so that the wearer feels an unpleasant sensation such as a feeling of stickiness, and consequently, the feeling of wearing of the absorbent article may deteriorate.

한편에 있어서, 특허문헌 2에는, 패브릭(編地)에 있어서, 흡수성 섬유로서 이형(異型) 단면을 갖는 합성 섬유를 함유하고, 또한 소정의 기모 길이로 섬유를 기모시킴으로써, 땀 등에 의한 끈적이는 느낌을 해소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2 discloses that, in a fabric (knitted fabric), synthetic fibers having a modified cross-section are contained as the absorbent fibers, and the fibers are brushed with a predetermined bristle length, A technique for solving the problem is disclosed.

만일, 이와 같은 기술을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에 적용하고자 한다면, 당해 흡수성 물품을 착용한 착용자가, 서거나, 앉거나, 걷거나 하는 등의 동작을 행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면(구체적으로는, 자극을 느끼기 쉬운 고간부(股間部) 및 그 주변의 피부면)과 표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이 스쳐서, 착용자가 표면 시트의 기모 섬유에 의해 따끔따끔한 느낌 등의 불쾌한 자극을 느껴, 결과적으로 흡수성 물품의 착용감이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If such a technique is applied to the top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when the wearer wearing the absorbent article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standing, sitting, walking, etc., the wearer's skin surface (concretely, The skin surface on the skin facing side of the topsheet and the skin surface of the periphery of the crotch portion where the stimulus is likely to be felt) and the skin surface of the skin sheet face each other, The wearability of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lowered.

이와 같이,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뛰어난 흡수 성능과, 착용자의 동작 시에 있어서의 착용감을 양립시키는 것은 곤란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absorbent article, it is difficult to achieve both excellent absorbing performance and wearing comfort in the wearer's operation.

일본국 등록 특허 제5074913호 공보Japanese Patent No. 5074913 일본국 등록 특허 제5073202호 공보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5073202

그래서 본 발명은, 뛰어난 흡수 성능을 구비하면서, 착용자의 동작 시에 있어서도 착용감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which has excellent absorbing performance and is comfortable even when the wearer operates the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의 일양태(양태 1)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를 포함하고,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One aspect (mod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 made of a nonwoven fabric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width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 단(端)가장자리부 및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를 갖고,Wherein the absorbent article has one side edge portion and the other side ed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추가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평면시(平面視)로, Further,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provided in a plan view (in plan view)

상기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제 1 가상 직선과, 상기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제 2 가상 직선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 중앙 영역과;A first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located between the one side edge portion and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between the other side edge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And a second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폭 방향 제 1 가상 직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 제 1 영역과;A longitudinal first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one side edge portion and the first widthwise imaginary straight line;

상기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폭 방향 제 2 가상 직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 제 2 영역;을 가지며,And a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region located between the other side edge portion and the second widthwise imaginary straight line,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길이 방향 제 1 영역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고,Wherein the surface sheet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mount of fluff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in the longitudinally central reg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nd region comprising the longitudinal first region and the longitudinal second region Lots more than lint,

추가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비(非)피부 대향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또한 상기 볼록부와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된 요철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흡수성 물품이다.The surface sheet may further include a convex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non- And a concave-convex structure in which recesses facing the skin-facing surface side are recessed and in which concave portions continuously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convex por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이 양태 1의 흡수성 물품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의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기(환언하면,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적기) 때문에,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운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에 있어서는, 상술한 보풀 일어남에 의한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하면서도 착용자의 동작(특히, 서거나, 앉거나 하는 등의 길이 방향의 움직임이 큰 동작) 시에 착용자의 피부면과 스치기 쉬운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에 의한 따끔따끔한 느낌 등의 불쾌한 자극이 착용자에게 감지되기 어려워, 양호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fluffing of the fibers in the longitudinal center region of the topsheet made of nonwoven fabric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fluffing of the fibers in the longitudinal end region (in other words, Direction end region is less than the amount of fluffing of the fibers in the longitudinal center region), it is preferable that in the longitudinal center region which is less susceptible to the influence of the wearer's operation, In the end portion of the wearer's skin which is liable to be rubbed with the wearer's ski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earer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tanding, sitting, or the like) Unpleasant irritation, such as tingling sensation caused by linting, is hardly detected by the wearer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arer with a good fit.

또한,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 시트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와, 해당 볼록부와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된 특정의 요철 구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곡률이 큰 부분(고간부의 복측(腹側) 부분이나 둔부 등)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워(또한, 볼록부 및 오목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 표면 시트는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워진다.), 착용자의 신체 형상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이 길이 방향으로의 변형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에 대하여 고정되어 어긋나기 어려워지고, 착용자의 동작 시에 있어서도, 상술의 길이 방향 중앙 영역을 흡수성 물품의 소정 영역, 즉,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착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의 작용 효과(즉,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에 있어서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하면서, 양호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착용자의 동작 시에 있어서도 적확하게 발휘할 수 있다.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sheet has a specific convexo-concave structure in which convex portions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concave portions continuously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convex port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case where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each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having a large curvature of the wearer (the abdomen side portion or the buttock portion of the crotch portion) The surface sheet is liable to b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be easily de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wearer's body shape. By the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is fixed to the wearer and becomes difficult to be shifted. Even in the operation of the wearer, the above-mentioned longitudinal center regio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absorbent article, (That is, an action and effect that a good wearing feeling can be provided to the wearer while exhibiting an excellent absorbing performance in the longitudinal center region) can be achieved even in the operation of the wearer It can be demonstrated clearly.

또, 본 발명의 다른 양태(양태 2)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를 포함하고,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Another aspect (mode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 made of a nonwoven fabric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width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를 갖고,Wherein the absorbent article has one side edge portion and the other side edg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추가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평면시로,Further,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provided at a flat surface,

상기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제 1 가상 직선과, 상기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제 2 가상 직선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폭 방향 중앙 영역과;A first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ositioned between the one side edge portion and the widthwise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other side edge portion and the width A widthwise central region located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line axial line and a longitudinal second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1 가상 직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폭 방향 제 1 영역과;A first width-wise area located between the one side edge and the first longitudinal straight line;

상기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2 가상 직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폭 방향 제 2 영역;을 가지며,And a second width-direction area located between the other end edge and the second longitudinal virtual line,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폭 방향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폭 방향 제 1 영역 및 상기 폭 방향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폭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고,The surface she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fluffing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in the widthwise central region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fluffs of the fibers in the widthwise end region comprising the widthwise first region and the widthwise second region Lots more than lint,

추가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 대향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또한 상기 볼록부와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된 요철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흡수성 물품이다.The topsheet may further include a convex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convex portion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cave portions extending continuously in parallel with the convex port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이 양태 2의 흡수성 물품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의 상기 폭 방향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폭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기(환언하면, 상기 폭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폭 방향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적기) 때문에,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운 상기 폭 방향 중앙 영역에 있어서는, 상술의 보풀 일어남에 의한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하면서도 착용자의 동작(특히, 보행 등의 폭 방향이나 뒤틀림 방향(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뒤틀리는 방향)의 움직임이 큰 동작) 시에 착용자의 피부면과 스치기 쉬운 상기 폭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에 의한 따끔따끔한 느낌 등의 불쾌한 자극이 착용자에게 감지되기 어려워, 양호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absorbent article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fuzz formation of the fibers in the widthwise central region of the topsheet made of nonwoven fabric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fuzz formation of the fibers in the widthwise end region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fluffing of the fibers in the end regions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fluffs of the fibers in the widthwise central region). Therefore, in the central region in the width direction, which is hardly aff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wearer, (In particular, the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warping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arer wigg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arge) while exhibiting excellent absorbing performance by the wearer's wear In the direction end area, unpleasant irritation such as a tingling feeling due to the fluff formation of the fibers It is difficult for the wearer to perceive it, and a good fit can be provided to the wearer.

또한,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 시트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와, 해당 볼록부와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된 특정의 요철 구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곡률이 큰 부분(고간부의 복측 부분이나 둔부 등)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워(또한, 볼록부 및 오목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 표면 시트는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워진다.), 착용자의 신체 형상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이 길이 방향으로의 변형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에 대하여 고정되어 어긋나기 어려워지고, 착용자의 동작 시에 있어서도, 상술의 폭 방향 중앙 영역을 흡수성 물품의 소정 영역, 즉,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착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의 작용 효과(즉, 상기 폭 방향 중앙 영역에 있어서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하면서, 양호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착용자의 동작 시에 있어서도 적확하게 발휘할 수 있다.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sheet has a specific convexo-concave structure in which convex portions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concave portions continuously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convex port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case where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having a large curvature of the wearer (such as the abdomen side portion or the buttock portion of the crotch portion) It is easy to bend in the direction of the wearer's body), and can be easily de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wearer's body shape. By the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is fixed to the wearer and becomes difficult to be shifted, and even in the operation of the wearer, the above-mentioned widthwise central region can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absorbent article, (That is, an action and effect that a good wearing feeling can be provided to the wearer while exhibiting an excellent absorbing performance in the widthwise central region), even in the operation of the wearer It can be demonstrated clear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양태 3)에서는, 상기 양태 1 또는 2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친수성 섬유이다.In another aspect (mode 3)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of aspect 1 or 2,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are hydrophilic fibers.

이 양태 3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에 이용하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친수성 섬유이기 때문에,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소변 등의 액상 배설물을 표면 시트에서 신속하게 흡수·홀딩할 수 있다. 또한,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의 요철 구조에 의해 표면 시트와 착용자의 피부면과의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홀딩된 액상 배설물에 기인하는 끈적임이 착용자에게 감지되기 어려워진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3,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used for the topsheet are hydrophilic fibers, so that liquid excretion such as urine discharged from the wearer can be quickly absorbed and held on the topsheet. Further, 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urface sheet and the skin surface of the wearer is relatively small due to the above-mentioned concavo-convex structure, the stickiness caused by the liquid excrement held on the surface sheet is detected by the wearer It gets harder.

따라서,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의 양호한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보다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Therefore,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can exhibit more excellent absorbing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he above-mentioned good wearing feel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양태 4)에서는, 상기 양태 3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이 면(面)하는 공동부(空洞部)를 갖고 있다.Further, in another aspect (mode 4)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of aspect 3, the convex part has a cavity part in which the surface of the surface sheet on the side of the non- have.

이 양태 4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상기 공동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로부터 배설되는 액상 배설물의 흡수 전에는 상기 공동부에 의해 양호한 쿠션성을 발휘할 수 있는 한편, 액상 배설물의 흡수 후에는, 표면 시트에 이용하는 부직포의 친수성 섬유 사이의 공극이 액상 배설물에 의해 감소함으로써, 상기 공동부도 감소 또는 소실하여, 착용자의 피부면과 표면 시트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기 쉬워지므로, 표면 시트에 홀딩된 액상 배설물이 착용자의 피부면에 접촉하기 어려워져, 당해 액상 배설물에 기인하는 끈적임이 착용자에게 감지되기 어려워진다.Since the convex portion of the concavo-convex structure in the top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aspect 4 has the cavity portion, good cushioning property can be exhibited by the cavity portion before absorbing the liquid excrement excreted from the wearer, After the absorption, the voids between the hydrophilic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used for the topsheet are reduced by the liquid excretion, so that the cavities are also reduced or eliminated, and voids are easily formed between the skin surface of the wearer and the surface sheet. The liquid excrement held on the sheet becomes difficult to contact the skin surface of the wearer, and the stickiness caused by the liquid excrement becomes difficult to be detected by the wearer.

또한, 액상 배설물의 흡수 후는, 상기 공동부가 감소 또는 소실함으로써, 표면 시트와 해당 표면 시트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층(예를 들면, 중간 시트나 흡수체 등)과의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액상 배설물이, 표면 시트로부터 해당 표면 시트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층으로 이행하기 쉬워져, 표면 시트 내에 잔류하는 액상 배설물에 기인하는 끈적임이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Further, after the absorption of the liquid excre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layer disposed on the non-skin-facing side of the topsheet (for example, an intermediate sheet or an absorbent body or the like) It is easy to shift from the topsheet to the laye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non-skin-facing side of the topsheet. As a result, sticking due to the liquids left in the topsheet is less likely to occur.

따라서,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의 뛰어난 흡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액상 배설물의 흡수 전후에 있어서, 더욱 뛰어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can provide a more comfortable feeling to the wearer before and after the absorption of the liquid excrement, while maintaining the above excellent absorption performance.

본 발명에 의하면, 뛰어난 흡수 성능을 구비하면서, 착용자의 동작 시에 있어서도 착용감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having excellent absorbing performance and good wearing feeling even when the wearer operate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의 부분 파단(破斷)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의 도 2에 있어서의 III-III 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0)의 평면도이다.
1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a panty liner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panty li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nty li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III-III i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panty lin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전개한 상태에서 수평면 상에 둔 대상물(예를 들면, 흡수성 물품, 흡수체 등)을, 수직 방향의 위쪽측(대상물이 흡수성 물품인 경우는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대상물의 두께 방향으로 보는 것」을 단지 「평면시」라고 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erm " an object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for example, an absorbent article, an absorbent article, or the like)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bject " is simply referred to as " plan time ".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용되는 각종 방향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이하와 같다.The various direction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as follows unless otherwise no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폭 방향」은, 「평면시에 있어서의 세로로 긴 대상물의 길이가 짧은 방향(짧은쪽 방향)」을 가리키고, 「길이 방향」은, 「평면시에 있어서의 세로로 긴 대상물의 길이가 긴 방향」을 가리키며, 「두께 방향」은, 「전개한 상태에서 수평면 상에 둔 대상물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가리키고, 이들 폭 방향,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 width direction " refers to " the length of a longitudinally long object in plan view is a shorter direction (shorter direction) "Quot;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s long, " the thickness direction " refers to "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bject placed on the horizontal plane in the unfolded state ", and the width direction, .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측」을 「피부 대향면측」이라고 하고,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먼 위치측」을 「비피부 대향면측」이라고 한다.In this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 the side closer to the skin surface of the wearer when wearing the absorbent article " is referred to as "Quot; far away from the wearer ' s skin surface " is referred to as " non-skin-facing surface side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고, 도 2는 팬티 라이너(1)의 평면도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의 도 2에 있어서의 III-III 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Fig. 1 is a partially broken perspective view of a panty liner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of a panty liner 1.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nty li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는, 평면시로, 외형 형상이 길이 방향(L)으로 긴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L)의 대략 중앙 부분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폭 방향(W)으로 약간 잘록한 대략 타원형의 세로로 긴 형태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외형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길이 방향(L)의 길이 치수가 폭 방향(W)의 폭 치수보다도 긴 세로로 긴 형상의 것이면, 각종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형상(예를 들면, 장방형, 타원형, 표주박형 등)을 채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anty li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outer shape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t the time of planarization, L have an approximately oval longitudinally elongated shape with the outer edge of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being slightly constricted in the width direction W.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hape of the absorbent artic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rbitrarily selected depending on various applications and the like, provided that the longitudinal dimension L is long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width direction W (For example, rectangular, elliptical, gourd type, etc.) may be employed.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티 라이너(1)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또한 후술하는 특정의 요철 구조(20)를 구비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2)와, 착용자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액 불투과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이면 시트(3)와, 이들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시트(4)를 구비하고 있으며, 표면 시트(2)의 상기 피부 대향면측의 표면(2a)은, 팬티 라이너(1)의 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즉, 착용자로부터 배설되는 소변 등의 액상 배설물의 공급면)을 형성하고, 이면 시트(3)의 상기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은, 팬티 라이너(1)의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을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panty liner 1 is a panty liner 1 which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specific concavo-convex structure 20, which is located on the skin-facing side of the wear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2), a backsheet (3) composed of a liquid-impermeable sheet positioned on the non-skin-facing side of the wearer, and an intermediate sheet (4) positioned between the backsheet The surface 2a of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is formed by forming the surface of the panty liner 1 facing the skin (that is, the supply surface of liquid excrement such as urine discharged from the wearer) The surface of the panty liner 1 facing the skin forms the surface of the non-skin facing surface sid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2)와 중간 시트(4)의 사이 및 중간 시트(4)와 이면 시트(3)의 사이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후술하는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제 1 접착층(A1) 및 제 2 접착층(A2)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3, between the topsheet 2 and the intermediate sheet 4 and between the intermediate sheet 4 and the backsheet 3 in the present embodiment, (A 1 )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 2 ) by the adhesive layer (A).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 시트(3)의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에는, 폭 방향(W)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점착제층(6)이, 길이 방향(L)을 따라 복수 줄이 늘어서도록(소위, 스트라이프상으로) 배치된 착의(着衣) 고정용 점착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해당 착의 고정용 점착부의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에는, 사용 전의 착의 고정용 점착부를 보호하기 위한 박리 시트(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흡수성 물품을 착용자의 착의(예를 들면, 속옷 등)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티렌계 폴리머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착의 고정용 점착부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배치 패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착제층은, 폭 방향(W)으로 간헐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또,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3,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widthwise direction W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cksheet 3 on the side of the non-skin-facing surface side, (On the side of the non-skin facing surface side of the tacky portion for fixing the garment) is provided with a release sheet (not shown) for protecting the tacky portion for garment fixing before use, (5) are dispos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fix the absorbent article to the wearer's garment (for example, underwear or the like), and for example, an arbitrar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 styrene- Can be used.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rtion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intermittentl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W) or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

또한, 팬티 라이너(1)는, 착용할 때에, 상술의 박리 시트(5)를 떼어서, 팬티 라이너(1)를, 이면 시트(3)의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에 배치된 착의 고정용 점착부에 의해 착용자의 착의(7)(예를 들면, 속옷)의 내측의 표면에 고정하고, 표면 시트(2)가 착용자의 피부면에 대향하도록 하여 착용된다.When the panty liner 1 is worn by releasing the release sheet 5 as described above, the panty liner 1 is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backsheet 3, To the inside surface of the wearer's garment 7 (e.g., undergarment) by the user, and the topsheet 2 faces the wearer's skin surface.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한쪽측 단가장자리부(EL1) 및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EL2)를 갖고, 또한 평면시로, 상기 한쪽측 단가장자리부(EL1) 및 상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CW)의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제 1 가상 직선(LW1)과, 상기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EL2) 및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CW)의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제 2 가상 직선(LW2)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과; 상기 한쪽측 단가장자리부(EL1) 및 상기 폭 방향 제 1 가상 직선(LW1)의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 제 1 영역(AL1)과; 상기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EL2) 및 상기 폭 방향 제 2 가상 직선(LW2)의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 제 2 영역(AL2);을 갖고 있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상기 표면 시트(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에 있어서의,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길이 방향 제 1 영역(AL1)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2 영역(AL2)으로 이루어지는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anty l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one side edge portion E L1 and the other side edge edge portion E L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t has, also in plan view, is located between the one side end edge portion (E L1) and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C W)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also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a widthwise direc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between the first virtual straight line (L W1 )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side edge (E L2 )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center axis (C W ) 2 a longitudinal center region A LC located between the imaginary straight line L W2 ; A longitudinal first region ( A1L ) positioned between the one side edge portion (E L1 ) and the widthwise first virtual straight line (L W1 ); And a longitudinal second region (A L2 ) located between the other side edge portion (E L2 ) and the second widthwise imaginary straight line (L W2 ). The topsheet (2)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region (a LC), the magnetic brush occurs amount of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the lengthwise direction a first area (a L1) and said longitudinal second as shown in Fig. 3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fluffing of the fi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nd region made of the region (A L2 ).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 제 1 가상 직선의 위치와, 길이 방향의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 제 2 가상 직선의 위치는, 상술의 길이 방향 중앙 영역이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응하는 영역을 길이 방향에 있어서 포함하도록(즉, 상술의 길이 방향 중앙 영역의 길이 방향 길이가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도 길어지도록) 흡수성 물품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폭 방향 제 1 가상 직선(LW1)과 폭 방향 제 2 가상 직선(LW2)은, 팬티 라이너(1)를 길이 방향(L)으로 대략 3등분하는 위치에 각각 설정되어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first imaginary straight line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one side ed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line, the position of the other side ed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position of the second virtual straight line in the width direction is set such that the longitudinal center region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xcretion of the wear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e.,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ngth of the longitudinal center reg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xcretion of the wearer).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virtual straight line L W1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virtual straight line L W2 in the width direction are obtained by dividing the panty liner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by approximately three Respectively.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2)의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영역(즉, 상기 길이 방향 제 1 영역(AL1)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2 영역(AL2))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기(환언하면,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적기) 때문에,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운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에 있어서는, 상술의 보풀 일어남에 의한 뛰어난 흡수 성능(구체적으로는, 보풀 일어남 부분은, 부직포 내의 섬유가 일정 정도 풀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액의 투과성이 높아, 흡수 속도가 빨라진다.)을 발휘하면서도 착용자의 동작(특히, 서거나, 앉거나 하는 등의 길이 방향(L)의 움직임이 큰 동작) 시에 착용자의 피부면과 스치기 쉬운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에 의한 따끔따끔한 느낌 등의 불쾌한 자극이 착용자에게 감지되기 어려워, 양호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anty l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fluffing of the fibers in the longitudinal center region A LC of the topsheet 2 made of nonwoven fabric is smaller than the amount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fuzz formation of the fi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nd portion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fuzz formation of the fibers in the first region A L1 and the longitudinal second region A L2 ) directions because the central region (a LC), fluff occurs amount than less) of fibers in the, in influenced by the wearer of the operation difficult said longitudinal central region (a LC), superior absorption performance by the magnetic brush occurs 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ally, the fluff-rising portion has a high permeability of the liquid and a high absorption rate because the fibers in the nonwoven fabric are in a loosened state to some extent) (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such as standing, sitting, or the like is large), it is unpleasant, such as a tingling feeling due to the fluff of the fibers, The stimulus is hardly detected by the wearer, and a good fit can be provided to the wearer.

또,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 등에 대해서는, 후술의 표면 시트의 설명 시에 아울러서 자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amount of linting of the fibe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t the time of explanation of the surface sheet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2)가, 팬티 라이너(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당해 팬티 라이너(1)의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Da)으로 돌출되고 또한 팬티 라이너(1)의 폭 방향(W)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21)와, 상기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팬티 라이너(1)의 비피부 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Db)으로 움푹 패이고 또한 상기 볼록부(21)와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2)가, 상기 길이 방향(L)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특정의 요철 구조(20)를 구비하고 있다.1 and 3, the panty l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sheet 2 made of the above-described nonwoven fabric is provided in the panty liner 1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 convex portion 21 protruding in a direction Da toward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of the panty liner 1 and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panty liner 1; The concave portion 22 which is recessed in the direction Db toward the non-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panty liner 1 and continuously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convex portion 21 is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s shown in Fig.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요철 구조(20)에 있어서의 볼록부(21)는, 표면 시트(2)의 상기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2b)이 면하는 공동부(23)를 추가로 갖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표면 시트의 요철 구조는, 상술과 같은 공동부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vex portion 21 of the convexo-concave structure 20 is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23 to which the surface 2b of the non-skin facing surface side of the topsheet 2 fac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the concavo-convex structure of the topsheet may not have the cavity as described above.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는, 표면 시트(2)가, 팬티 라이너(1)의 폭 방향(W)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21)와, 해당 볼록부(21)와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2)가 교대로 배치된 특정의 요철 구조(2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곡률이 큰 부분(고간부의 복측 부분이나 둔부 등)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L)으로 구부러지기 쉬워, 착용자의 신체 형상을 따라 길이 방향(L)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이 길이 방향(L)으로의 변형에 의해, 팬티 라이너(1)가 착용자에 대하여 고정되어 어긋나기 어려워져, 착용자의 동작 시에 있어서도, 상술의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을 팬티 라이너(1)의 소정 영역(즉,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착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의 작용 효과(즉,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에 있어서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하면서, 양호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착용자의 동작 시에도 적확하게 발휘할 수 있다.The panty l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psheet 2 is provided with a convex portion 21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panty liner 1 and a convex portion 21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convex portion 21 (20) corresponding to a portion having a large curvature of the wearer (a side portion of the crotch portion, a buttock portion or the like) of the wearer, the concave portion (22) L so that it can be easily de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long the wearer's body shape. By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 panty liner 1 is becomes difficult groups displaced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wearer, even when the wearer's motion, the panty liner to the longitudinal central area (A LC) of the above-described (1 (I.e.,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xcretion of the wearer) can be steadily positioned, so that the above-mentioned action and effect (that is, excellent absorption performance in the longitudinal center region A LC ) And an effect of providing a wearer with a comfortable feeling) can be exhibited even when the wearer operates.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각종 부재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members constituting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표면 시트][Surface sheet]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에 있어서, 표면 시트(2)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면에 직접 접촉할 수 있는, 팬티 라이너(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피부 대향면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팬티 라이너(1)의 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표면(2a)과, 해당 표면(2a)과는 반대측의 표면인 상기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2b)를 갖고, 또한 상술의 특정의 요철 구조(20)를 갖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1 and 3, in the panty l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sheet 2 has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panty liner 1, which can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of the wearer The surface 2a forming the surface of the panty liner 1 opposite to the skin and the surface 2a opposite to the surface 2a of the panty liner 1, And has a surface 2b on the side of the opposing face and also has a specific concavo-convex structure 20 described abov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2)는, 평면시로, 팬티 라이너(1)의 길이 방향(L)을 따르는 방향으로 긴 세로로 긴 평면시 형상을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표면 시트는, 임의의 평면시 형상 및 사이즈인 것을 채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sheet 2 has a shape that is long and long in a plan view and is long in th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panty liner 1. However, However, the shape of the topsheet is not limited to such a shape, and the topsheet may have any shape and size in plan view.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2)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친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가 친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소변 등의 액상 배설물을 표면 시트에서 신속하게 흡수하여, 홀딩할 수 있다. 즉, 표면 시트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상술의 요철 구조에 의해 표면 시트와 착용자의 피부면과의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있기 때문에, 상술과 같이 액상 배설물이 표면 시트에 홀딩되어 있었다고 해도, 표면 시트에 홀딩된 액상 배설물에 기인하는 끈적임이 착용자에게 감지되기 어렵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sheet 2 is formed of hydrophilic fibers. If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sheet is formed of hydrophilic fibers, liquid excretion such as urine discharged from the wearer can be quickly absorbed and held by the topsheet. That is, the surface sheet can function as an absorbent layer in the absorbent article. Here, 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skin surface of the wearer is relatively small due to the above-mentioned concavo-convex structure, even if the liquid excrement is held on the topsheet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for the wearer to detect the stickiness caused by the liquid excrement held on the surface sheet.

따라서, 표면 시트로서 친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은 양호한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보다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nonwoven fabric formed of the hydrophilic fibers as the topsheet, the absorbent article can exhibit a better absorbing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a good wearing feeling.

또한, 상술과 같이, 표면 시트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면, 흡수성 물품의 종류 등에 따라서는, 흡수성 물품에 흡수체 등의 흡수층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기(또는 흡수층을 별도 설치해도, 얇은 흡수층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전체적으로 박형화할 수 있어, 보다 더 뛰어난 유연성이나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Further, if the surface sheet can function as the absorbent layer of the absorbent article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n absorbent layer such as an absorbent layer in the absorbent article (or even if an absorbent layer is provided separately, A thin absorbent layer is sufficient. Therefore,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made thin as a whole, and more excellent flexibility and comfortable feeling can be obtained.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술의 친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 외, 흡수성 물품이 흡수체 등의 흡수층을 별도 구비하고 있는 경우 등에서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나, 친수성 섬유와 소수성 섬유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등의 임의의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function as a top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In addition to the nonwoven fabric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hydrophilic fibers, It is possible to use any nonwoven fabric such as a nonwoven fabric made of thermoplastic resin fibers subjected to hydrophilization treatment or a nonwoven fabric made of mixed fibers of hydrophilic fibers and hydrophobic fibers.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펀 레이스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및 이들의 조합(예를 들면, SMS 부직포 등) 등의 임의의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연성 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spun lace nonwoven fabric,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a spunbond nonwoven fabric, a point bond nonwoven fabric, a meltblown nonwoven fabric, For example, SMS nonwoven fabric, etc.) can be used. Above all, it is preferable to use a spun lace nonwoven fabric because of its excellent flexibility.

또,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코튼, 분쇄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나 복합 섬유 등의 친수성 섬유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흡액성이나 액 홀딩성, 유연성, 촉감, 보풀 일어남의 형성의 용이성 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코튼, 레이온 또는 이들을 조합한 혼합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가 코튼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착용자로부터 배설된 소변 등의 액상 배설물을 표면 시트에서 보다 신속하게 흡수하여, 홀딩할 수 있다. 즉, 표면 시트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흡수층으로서 보다 적확하게 기능할 수 있다.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ellulose fibers such as cotton and pulverized pulp; Regenerated cellulose fibers such as rayon, fibril Rayon and the like; Semi-synthetic cellulose fibers such as acetate and triacetate; A hydrophilic fiber such as a thermoplastic resin fiber or a conjugated fiber subjected to a hydrophilic treatment may be suitably used. Of these, cellulose fibers such as cotton and cellulose fibers such as regenerated cellulose fibers and semisynthetic cellulose fibers are preferably used because they are excellent in absorbency, liquid holding ability, softness, feel and ease of formation of fluff , And furthermore,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mixed fibers comprising cotton, rayon or a combination thereof. Particularly, if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sheet is formed of cotton, the liquid excretion such as urine discharged from the wearer can be absorbed and held by the topsheet more quickly. That is, the surface sheet can function more accurately as the absorbent layer in the absorbent article.

또한, 흡수성 물품이, 소변 등의 액상 배설물을 흡수·홀딩할 수 있는 흡수층을 별도 구비하고 있는 경우, 또는 대상으로 하는 액상 배설물의 양이 적다고 상정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상술의 친수성 섬유 외에,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열 융착성 섬유 등의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지만, 일정 이상의 흡수 성능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친수성 섬유를 50 질량% 이상의 질량 비율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상의 질량 비율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provided with an absorbent layer capable of absorbing and holding liquid excretion such as urine, or when it is assumed that the amount of the liquid excreta to be treated is small,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 sheet , Polyolefin-based fibers such as polyethylene (PE) and polypropylene (PP), as well as the above-mentioned hydrophilic fibers; Polyester fib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t is preferable that the hydrophilic fiber contains a hydrophilic fiber in a mass ratio of 50 mass% or more, and a mass ratio of 6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상술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친수성 섬유 외에, 시트 강도를 향상시키는 등을 위해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지만, 특히, 후술하는 중간 시트가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는,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포함하고 있어도 중간 시트의 열 융착성 섬유의 함유량(질량 비율)보다도 적은 함유량(질량 비율)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가,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포함하고 있어도 중간 시트의 열 융착성 섬유의 함유량보다도 적은 함유량으로 포함하고 있으면, 열 융착성 섬유끼리의 융착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부(융착부)가,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 내에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존재하고 있어도 중간 시트 내의 접합부(융착부)의 수보다도 적은 수로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강성이 중간 시트의 강성보다도 낮아져, 표면 시트가 적당한 유연성이나 양호한 촉감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으로서 양호한 착용감을 확보하기 쉬워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hydrophilic fibers,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sheet may include the heat-sealable fibers for improving the sheet strength. In particular, the intermediate shee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 sheet does not contain the thermally fusible fiber, or even if it contains the thermally fusible fiber, the content of the thermally fusible fiber in the intermediate sheet (mass ratio) ). If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 sheet does not contain the thermally fusible fiber or contains the thermosusable fiber in a content lower than the content of the thermally fusible fiber in the intermediate sheet, Since the bonding portion (fused portion) is not present in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surface sheet, or even if it exists, the bonding portion (fused portion) exists in a smaller number than the number of bonding portions (fused portions) in the intermediate sheet. So that the surface sheet is easy to secure adequate flexibility and good touch. As a result, it is easy to ensure a good fit as an absorbent article.

표면 시트의 평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흡액성이나 유연성, 촉감 등을 감안한 임의의 평량을 채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평량으로는, 예를 들면, 10g/㎡∼100g/㎡의 범위 내의 평량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g/㎡∼50g/㎡의 범위 내이다. 또한, 평량은 JIS L 1906의 5.2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The basis weight of the surface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o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basis weight can be employed in consideration of liquid-absorbing property, flexibility, touch, and the like. The basis weight is, for example, a basis weight in the range of 10 g / m 2 to 100 g / m 2,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g / m 2 to 50 g / m 2. The basis weight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5.2 of JIS L 1906.

또, 표면 시트의 두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0.001mm∼5.0mm의 범위 내의 두께를 채용할 수 있지만, 흡액성이나 유연성, 촉감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mm∼3.0mm의 범위 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mm∼1.0mm의 범위 내이다.The thickness of the top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topsheet may be within the range of 0.001 mm to 5.0 mm. ,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01 mm to 3.0 mm, and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1 mm to 1.0 mm.

여기에서, 표면 시트 및 후술하는 중간 시트의 두께는, 다음의 <각종 시트의 두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 및 중간 시트 이외의 각종 시트(예를 들면, 이면 시트 등)의 두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측정할 수 있다.Here, the thicknesses of the topsheet and intermediate sheets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 various sheet thickness measuring method >. The thickness of various sheets other than the topsheet and the intermediate sheet (e.g., backsheet) can b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각종 시트의 두께 측정 방법>≪ Method of measuring thickness of various sheets >

(1) 측정 대상의 시트로부터, 소정 사이즈(예를 들면, 100mm×100mm)의 샘플 시트를 잘라낸다.(1) A sample sheet of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100 mm x 100 mm) is cut out from the sheet to be measured.

(2) 잘라낸 샘플 시트를 가토테크(주)의 자동화 압축 시험기 「KES FB-3A」에 세트하고, 당해 시험기의 측정 단자에 의한 샘플 시트에의 압력이 49Pa인 때의 두께(mm)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두께(mm)를 샘플 시트의 두께로 한다.(2) The cut sample sheet was set in an automatic compression tester " KES FB-3A " of Kato Tech Co., Ltd., and the thickness (mm) when the pressure on the sample sheet was 49 Pa was measured by the measuring terminal of the tester , And the measured thickness (mm) is taken as the thickness of the sample sheet.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에 있어서의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길이 방향 제 1 영역(AL1)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2 영역(AL2)으로 이루어지는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부호 ALW2는, 상기 폭 방향 제 2 가상 직선(LW2)을 포함하는 수직 방향(두께 방향(T))으로 평행한 가상 평면으로서, 상기 길이 방향 제 1 영역(AL1)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2 영역(AL2)의 경계면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이다.3, the surface sheet 2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o that the amount of fluffs formed o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in the longitudinal center region A LC is larger than the amount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fluffing of the fi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nd region comprising the region (A L1 ) and the longitudinal second region (A L2 ). 3, symbol A LW2 is a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thickness direction T) including the second widthwise imaginary straight line L W2 , and the length direction first area A L1 ) and the longitudinal second region (A L2 ).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은, 대상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면적당 보풀이 인 섬유(fn)의 수를 의미한다. 또한, 각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의 다소(多少)를 비교함에 있어서는, 당업계에 있어서 보풀 일어남의 평가 방법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마찰 견뢰도(堅牢度)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각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을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 견뢰도 시험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할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 amount of napping of fibers " means the number of napkins (fn) having a nap per unit area in the target area. Further, in order to compare a somewhat greater amount of "fluff formation amount" in each area, by performing a friction fastness (fastness) test which is used as an evaluation method of fluff formation in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amount of fuzz occurrence of the fibers in the fiber. Such friction fastness test can be carried out as follows.

<마찰 견뢰도 시험><Friction fastness test>

(1)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로부터 측정 대상 영역을 소정 사이즈(예를 들면, 300mm×150mm)로 잘라내어, 측정용 샘플을 얻는다.(1) A measurement sample is obtained by cutting the measurement target region from a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 sheet into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300 mm x 150 mm).

(2) 측정용 샘플을, 염색물 마찰 견뢰도 시험기((주) 다이에이 가가쿠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의 측정용 스테이지 상에 고정한다.(2) The measurement sample is fixed on the measurement stage of a dyeing rub fastness tester (manufactured by Dai-ichi Kogaku Seiki Seisakusho Co., Ltd.).

(3) 염색부 마찰 견뢰도 시험기의 마찰 단자의 상면에 200g의 추를 부착하는 동시에, 하면에 마찰면을 형성하는 천 테이프를 붙인다.(3) Dyeing portion A 200 g weight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iction terminal of the rubbing fastness tester and a cloth tape for forming a friction surface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4) 측정용 스테이지 상에 고정된 측정 샘플의 표면을, 상술의 마찰 단자에 있어서의 마찰면으로 문지른다. 이때, 마찰 단자의 왕복 횟수는 3회, 마찰 단자의 이동 범위(왕복 폭)는 120mm이다.(4)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sample fixed on the measuring stage is rubbed with the frictional surface of the frictional terminal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number of times of reciprocation of the friction terminal is three times, and the range of movement (reciprocating width) of the friction terminal is 120 mm.

(5) 마찰 단자로 문지른 후의, 측정 샘플의 표면의 보풀 일어남 상태를 관찰한다.(5) Observe the fuzziness of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sample after rubbing with a friction terminal.

부직포에 있어서, 상술과 같이 부직포의 구성 섬유가 보풀이 일어나 있으면, 당해 섬유가 보풀이 인 부분은 부직포 내의 섬유가 일정 정도 풀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액의 투과성이 높아, 흡수 속도가 빨라진다.In the nonwoven fabric, as described above, if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are fluffed, the portion of the fibers where the fluffs are presen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bers in the nonwoven fabric are loosened to some degree.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2)의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으면(환언하면,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적으면),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운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에 있어서는, 상술의 보풀 일어남에 의한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편, 착용자의 동작 시에 착용자의 피부면과 스치기 쉬운 상기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에 의한 따끔따끔한 느낌 등의 불쾌한 자극이 착용자에게 감지되기 어려워, 양호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mount of fluffs form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region A LC of the topsheet 2 made of nonwoven fabric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fluffs formed in the longitudinal end region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fuzz formation of the fibers in the longitudinal end region is smaller than the amount of fuzz formation of the fibers in the longitudinal center region A LC ), the influence of the wearer's operation In the difficult longitudinal center region A LC , excellent absorbing performance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fluffs described above can be exerted. On the other hand, in the longitudinal end region where the skin surface of the wearer easily rubs during operation of the wearer, It is difficult for the wearer to perceive unpleasant stimuli such as a tingling sensation caused by the occurrence of wear, thereby providing a wearer with a good fit There.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에 보풀 일어남을 형성하는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침포(針布)나 에머리 등을 이용한 기모 수단, 부직포의 구성 섬유의 파단을 동반하는 조건하에서 행하는 기어 가공을 이용하는 수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섬유의 보풀 일어남과 상술한 특정의 요철 구조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어 가공을 이용하는 수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for forming fuzziness on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bristle means using a cloth (needle cloth), an emery or the like, And means for using gear processing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gear is machined. Among them, a means of using gear processing is preferable in that fluff formation of fibers and the above-mentioned specific concavo-convex structure can be formed at the same time.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2)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티 라이너(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당해 팬티 라이너(1)의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Da)으로 돌출되고 또한 팬티 라이너(1)의 폭 방향(W)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21)와, 상기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팬티 라이너(1)의 비피부 대향면측을 향하는 방향(Db)으로 움푹 패이고 또한 상기 볼록부(21)와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2)가, 상기 길이 방향(L)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특정의 요철 구조(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추가로, 상기 요철 구조(20)에 있어서의 볼록부(21)는, 표면 시트(2)의 상기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2b)이 면하는 공동부(23)를 갖고 있다.1 and 3, the topsheet 2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panty liner 1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kin-facing side of the panty liner 1 Of the panty liner (1), a convex portion (21) protruding from the panty liner (1) and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panty liner (1) The concave portions 22 which are hollowed in the direction Db and extend continuously in parallel with the convex portion 21 are provided with the specific concavo-convex structure 20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 convex portion 21 of the convexo-concave structure 20 has the cavity portion 23 on which the surface 2b of the non-skin facing surface side of the topsheet 2 faces.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2)가 이와 같은 특정의 요철 구조(20)를 구비하고 있으면, 팬티 라이너(1)가 착용자의 곡률이 큰 부분(고간부의 복측 부분이나 둔부 등)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L)으로 구부러지기 쉬워, 착용자의 신체 형상을 따라 길이 방향(L)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이 길이 방향(L)으로의 변형에 의해, 팬티 라이너(1)가 착용자에 대하여 고정되어 어긋나기 어려워져, 착용자의 동작 시에 있어서도, 상술의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을 팬티 라이너(1)의 소정 영역(즉,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착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의 작용 효과(즉,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ALC)에 있어서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하면서, 양호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착용자의 동작 시에도 적확하게 발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psheet 2 is provided with such a specific concavo-convex structure 20, the panty liner 1 is provided with a concavo-convex structure 20 corresponding to a portion having a large curvature of the wearer It is easy to b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can be easily de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long the wearer's body shape. By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 panty liner 1 is becomes difficult groups displaced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wearer, even when the wearer's motion, the panty liner to the longitudinal central area (A LC) of the above-described (1 (I.e.,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xcretion of the wearer) can be steadily positioned, so that the above-mentioned action and effect (that is, excellent absorption performance in the longitudinal center region A LC ) And an effect of providing a wearer with a comfortable feeling) can be exhibited even when the wearer operates.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특정의 요철 구조(20)에 있어서의 볼록부(21)는, 상술과 같은 공동부(23)를 갖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표면 시트의 요철 구조는 상술과 같은 공동부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단,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가 친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요철 구조는 상술과 같은 공동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vex portion 21 of the specific concavo-convex structure 20 has the above-described cavity portion 2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vex portion 21, The concavo-convex structure of the surface sheet may not have the above-mentioned cavity portion. However, when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sheet is formed of hydrophilic fibers, it is preferable that the uneven structure has a cavity as described above.

표면 시트가 친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또한,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상술과 같은 공동부를 갖고 있으면, 이러한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로부터 배설되는 액상 배설물의 흡수 전에는 상기 공동부에 의해 양호한 쿠션성을 발휘할 수 있는 한편, 액상 배설물의 흡수 후에는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친수성 섬유간의 공극이 액상 배설물에 의해 감소함으로써, 상기 공동부도 감소 또는 소실하여, 착용자의 피부면과 표면 시트와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홀딩된 액상 배설물이 착용자의 피부면에 접촉하기 어려워져, 당해 액상 배설물에 기인하는 끈적임이 착용자에게 감지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액상 배설물의 흡수 후는, 상기 공동부가 감소 또는 소실함으로써 표면 시트와 해당 표면 시트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층(예를 들면, 중간 시트나 흡수체 등)과의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액상 배설물이 표면 시트로부터 해당 표면 시트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층으로 이행하기 쉬워져, 표면 시트 내에 잔류하는 액상 배설물에 기인하는 끈적임이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If the topsheet is made of a nonwoven fabric formed of hydrophilic fibers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structure of the topsheet has the above-mentioned cavity portion,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such a topsheet can be used as a liquid- The cushioning property can be exerted by the cavity portion before the absorption, and after the absorption of the liquid excrement, the gap between the hydrophilic fibers of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sheet is reduced by the liquid excretion, so that the cavity portion is also reduced or lost, Since voids are easily formed between the skin surface and the surface sheet, the liquid excreta held on the surface sheet is difficult to contact the skin surface of the wearer, and the stickiness caused by the liquid excrement becomes difficult to be detected by the wearer. Further, after the absorption of the liquid excre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sheet and the layer disposed on the non-skin-facing side of the surface sheet (for example, an intermediate sheet or an absorbent body or the like) This makes it easier for the liquid excreta to migrate from the surface sheet to the layer disposed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side of the surface sheet,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the sticking due to the liquid excreta remaining in the surface sheet to occur.

따라서, 이와 같은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은, 상술의 뛰어난 흡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액상 배설물의 흡수 전후에 있어서 더욱 뛰어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absorbent article having such a topsheet can provide the wearer with a more comfortable feeling before and after the absorption of the liquid excrement while maintaining the above excellent absorption performance.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피치(즉,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볼록부의 꼭대기부(頂部) 중심끼리의 간격(mm))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0.5mm∼5.0mm의 범위 내의 피치를 채용할 수 있지만, 쿠션성이나 촉감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mm∼4.0mm의 범위 내이다. 또한, 이 볼록부의 피치는, 무가압(無加壓) 상태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의 평면 사진 또는 평면 화상에 의거하여,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볼록부의 꼭대기부 중심끼리의 간격(mm)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tch of the convex portions in the concavo-convex structure (that is, the distance (mm) between the centers of the top portions of two neighboring convex portion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 pitch within a range of 0.5 mm to 5.0 mm can be adopted, but it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1.0 mm to 4.0 mm from the viewpoint of cushioning property and touch. The pitch of the projections is measured as the distance (mm) between the centers of the apexes of the two adjacent projections on the basis of the plane photograph or the plane image of the surface sheet in the no-pressure state .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구조(20)의 오목부(22)의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2b)에 있어서 중간 시트(4)와 접합되어 있다. 이 중간 시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필수의 구성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이와 같은 중간 시트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는, 표면 시트는,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에 있어서 흡수층 또는 (흡수층도 갖고 있지 않은 경우는) 이면 시트와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3, the topsheet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intermediate sheet 4 on the surface 2b on the non-skin-facing side of the concave portion 22 of the concavo-convex structure 20, Respectively. Since this intermediate sheet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later, when the absorbent article does not have such an intermediate sheet, the surface sheet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non- And may be bonded to the absorbent layer or the backsheet (if it does not have an absorbent layer).

표면 시트와 이들의 구성 부재(즉, 중간 시트, 흡수층 또는 이면 시트)를 접합하는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핫멜트형 접착제나 히트 시일 등의 열 융착법 등의 임의의 접합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The means for joining the topsheet and the constituent members (i.e., the intermediate sheet, the absorbent layer or the backsheet) to the top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arbitrary joining means such as a hot melt type adhesive, Can be adopted.

표면 시트에 상술의 특정의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섬유 웹에 연속적으로 기체(통상은 에어)를 분무하는 방법이나, 기어 가공을 이용하는 방법, 진공 성형 또는 프레스 성형을 이용하는 방법, 열 신장성 섬유의 열 신장 및/또는 열 수축성 섬유의 열 수축을 이용하는 방법 등의 임의의 부형(賦形)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요철 구조와 상술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어 가공을 이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of forming the above-mentioned specific concave-convex structure on the surface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method of spraying a gas (usually air) continuously to a fiber web, a method using gear processing, A method using press molding, a method using heat stretching of thermally stretchable fibers and / or a method using heat shrinkage of heat shrinkable fibers can be adopted. Among them, a method using gear processing is preferable in that the concavo-convex structure and the fluff formation of the above-described fibers can be formed at the same time.

[중간 시트][Intermediate sheet]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에 있어서, 중간 시트(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티 라이너(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표면 시트의 강도를 보강하거나, 팬티 라이너(1)의 두께 방향(T)으로 쿠션성을 부여하거나 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또한, 이 중간 시트가, 표면 시트에 접합되어 있으면, 표면 시트의 강도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의 강도가 보강되어, 흡수성 물품에 비틀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3, in the panty l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mediate sheet 4 is formed by laminating the topsheet 2 and the backsheet 3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panty liner 1, So a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topsheet or provide the cushioning property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panty liner 1. Further, when the intermediate sheet is bonded to the topsheet, the strength of the topsheet and hence the str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are reinforced, making it difficult for the absorbent article to be twisted, so that the wearing comfort of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further improved.

중간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재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유연성이나 습윤 시의 비틀리기 어려움 등의 점에서, 소수성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 시트로서 소수성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 그 소수성의 정도는, 소수성 부직포의 표면에 물을 적하(滴下)했을 때에, 적하한 물을 흡수하지 않을 정도의 소수성이면 충분하지만, 습윤 시의 비틀리기 어려움 등의 점에서, 소수성 부직포의 표면에 물을 적하했을 때에, 적하한 물이 소수성 부직포의 표면에서 튕겨져서 물방울을 형성할 정도의 소수성(이른바, 발수성)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간 시트가 이와 같은 발수성을 갖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흡수성 물품이 액상 배설물을 흡수하여 습윤했다고 해도, 흡수성 물품이 비틀리기 어려워, 양호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The sheet material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hydrophobic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flexibility and difficulty in twisting at the time of wetting. When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is used as the intermediate sheet, the degree of hydrophobicity of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is sufficient as long as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does not absorb the dropped water when water is dropped on the surface of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However, (So-called water repellency) to such a degree that when the water is dripped onto the surface of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the dropped water is repelled from the surface of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to form water droplets. If the intermediate sheet is constituted by such a nonwoven fabric having water repellency, even if the absorbent article absorbs and wets the liquid excreta, the absorbent article is hard to be twisted, and a good wearing feeling can be maintained.

중간 시트에 이용하는 소수성 부직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술의 표면 시트와 마찬가지의 종류의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습윤 시의 강도를 유지하기 쉽다(즉, 흡수성 물품의 습윤 시에 있어서도 양호한 착용감을 유지하기 쉽다)는 점에서,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kind of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used for the intermediate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of the same kind as the above-mentioned surface sheet can be use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an air-through nonwoven fabric in that the strength at the time of wetting is easy to maintain (that is, it is easy to maintain good wearing feeling even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wetted).

또한, 상술의 중간 시트는, 소수성 부직포를 단독으로 이용한 단층 구조의 소수성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어도, 2장 이상의 소수성 부직포를 이용한 적층 구조의 소수성 적층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중간 시트가 소수성 적층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당해 소수성 적층 부직포의 적층 수를 조절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습윤 시의 강도나 유연성 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intermediate sheet may be composed of a hydrophobic nonwoven fabric having a single-layer structure using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alone, or a hydrophobic laminated nonwoven fabric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using two or more hydrophobic nonwoven fabrics. When the intermediate sheet is composed of the hydrophobic laminated nonwoven fabric, the strength, flexibility and the like at the time of wetting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easily adjust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laminated layers of the hydrophobic laminated nonwoven fabric.

또, 중간 시트에 이용하는 소수성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소수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PE, PP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심초형 복합섬유 등의 각종 복합섬유 등의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중간 시트에 이용하는 소수성 부직포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지만, 특히, 상술의 표면 시트가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는, 표면 시트의 열 융착성 섬유의 함유량(질량 비율)보다도 많은 함유량(질량 비율)으로 열 융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시트에 이용하는 소수성 부직포가 열 융착성 섬유를 표면 시트의 열 융착성 섬유의 함유량보다도 많은 함유량으로 포함하고 있으면, 소수성 부직포 내의 열 융착성 섬유끼리의 융착에 의해 형성되는 접합부(융착부)가,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 내의 접합부(융착부)의 수보다도 많아지기 때문에, 중간 시트의 강성이 표면 시트의 강성보다도 높아져서, 당해 중간 시트에 있어서 비틀리기 어려움(특히 습윤 시에 있어서의 비틀리기 어려움)을 확보하면서, 상술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 적당한 유연성이나 양호한 촉감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으로서 더욱 양호한 착용감을 확보하기 쉬워진다.The fibers constituting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for use in the intermediate shee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hydrophobicit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olefin fibers such as PE and PP; Polyester fibers such as PET; And various conjugated fibers such as core-sheath type conjugated fibers.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used for the intermediate sheet may contain thermally fusible fibers to improve rigid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above-mentioned surface sheet includes thermally fusible fibers, It is preferable that the thermally fusible fiber is contained at a content (mass ratio) larger than the content (mass ratio) of the fiber. If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used for the intermediate sheet contains the heat-sealable fibers in a content larger than the content of the heat-sealable fibers in the surface sheet, the joints (fusion-bonded portions) formed by the fusion of the heat-sealable fibers in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Since the rigidity of the intermediate sheet becomes higher than the rigidity of the surface sheet, the intermediate sheet is difficult to be twisted (particularly, it is difficult to bend in the wet state) It is easy to ensure adequate flexibility and good touch on the above-mentioned surface sheet. As a result, it becomes easy to secure a better fit feeling as the absorbent article.

중간 시트의 평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강도나 유연성 등을 감안한 임의의 평량을 채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평량으로는, 예를 들면, 20g/㎡∼200g/㎡의 범위 내의 평량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g/㎡∼100g/㎡의 범위 내이다. 또한, 중간 시트가 상술의 소수성 적층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당해 소수성 적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각 층의 평량의 합계 평량이 상술의 범위 내에 있으면 된다.The basis weight of the intermediate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basis weight can be adopted in consideration of desired strength and flexibility. The basis weight is, for example, a basis weight in the range of 20 g / m 2 to 200 g / m 2,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g / m 2 to 100 g / m 2. When the intermediate sheet is composed of the above hydrophobic laminated nonwoven fabric, the total basis weight of the basis weight of each layer constituting the hydrophobic laminated nonwoven fabric may be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또한, 중간 시트의 두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0.01mm∼8.0mm의 범위 내의 두께를 채용할 수 있지만, 강도나 유연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mm∼5.0mm의 범위 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mm∼3.0mm의 범위 내이다. 또한, 중간 시트가 상술의 소수성 적층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당해 소수성 적층 부직포를 구성하는 각 층의 두께의 합계 두께가 상술의 범위 내에 있으면 된다.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thickness within the range of 0.01 mm to 8.0 mm can be adopted.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strength and flexibility,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05 mm to 5.0 mm, and more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1 mm to 3.0 mm. When the intermediate sheet is composed of the hydrophobic laminated nonwoven fabric described above,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spective layers constituting the hydrophobic laminated nonwoven fabric may be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2)와 중간 시트(4)는, 핫멜트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착층(A1)을 개재하여 상호 접합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시트와 중간 시트의 접합 형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이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표면 시트와 중간 시트는, 열 융착 등의 임의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와 중간 시트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면, 접합부(융착부)가 소변 등의 액상 배설물에 의한 분해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습윤 시에 있어서도 접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에 비틀림이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은, 습윤 시에 있어서도 양호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sheet 2 and the intermediate sheet 4 are bonded to each other via the first adhesive layer A 1 made of a hot-melt type adhesi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 of the sheet is not limited to this form unles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The top sheet and the intermediate sheet may be joined together by any bonding means such as heat fusion. For example, when the surface sheet and the intermediate sheet are bonded by heat fusion, the joint portion (fused portion) is hardly affected by decomposition or the like caused by liquid excrement such as urine. Therefore, even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wet, Can be satisfactorily maintained, and it becomes more difficult for the absorbent article to twist. As a result, such an absorbent article can maintain a good wearing feeling even when wet.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간 시트(4)는, 팬티 라이너(1)(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표면 시트(2)의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2b)에 접합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 시트는, 표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그 경우, 중간 시트는, 소정의 액 투과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시트가 표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경우도, 표면 시트의 강도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의 강도를 보강한다는 점에서는, 상술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mediate sheet 4 is bonded to the surface 2b of the non-skin facing surface side of the topsheet 2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panty liner 1 (absorbent art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sheet may b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surface sheet facing the skin, and in this case, the intermediate sheet preferably has a predetermined liquid permeability. Even when the intermediate sheet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surface sheet facing the skin, the same effect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obtained in that the strength of the surface sheet and further the strength of the absorbent article are reinforced.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중간 시트는 필수의 구성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유연성 등을 고려하여, 흡수성 물품은 중간 시트를 생략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mediate sheet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structured such that the intermediate sheet is omitted in consideration of the flexibility of the absorbent article.

[이면 시트][Back sheet]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면 시트(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티 라이너(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비피부 대향면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통기성을 구비하면서도,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소변 등의 액상 배설물의 투과를 방지하여, 당해 액상 배설물이 착용자의 착의 등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기능하는 액 불투과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3, the backsheet 3 is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side of the non-skin-facing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panty liner 1, Impermeable sheet which prevents permeation of liquid excrement such as urine discharged from a wearer and prevents the liquid excrement from leaking through wear of the wearer.

이면 시트(3)를 구성하는 액 불투과성 시트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소수성 부직포, 통기성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필름, 해당 수지 필름에 부직포를 맞붙인 적층체, SMS 등의 적층 부직포 등의 임의의 액 불투과성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액 불투과성이나 유연성, 습윤 시의 비틀리기 어려움 등의 점에서, 소수성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quid-impermeable sheet constituting the backsheet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resin film such as a hydrophobic nonwoven fabric and breathable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a laminate in which a nonwoven fabric is bonded to the resin film, Impermeable sheet such as laminated nonwoven fabric such as SMS can be used. Among these, hydrophobic nonwoven fabrics are preferably used in terms of liquid impermeability, flexibility, and difficulty in tearing at the time of wetting.

또한, 이면 시트로서 소수성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 그 소수성의 정도는 상술의 중간 시트와 마찬가지이고, 소수성 부직포의 표면에 물을 적하했을 때에, 적하한 물을 흡수하지 않을 정도의 소수성이면 충분하지만, 액상 배설물의 누설되기 어려움이나 습윤 시의 비틀리기 어려움 등의 점에서, 소수성 부직포의 표면에 물을 적하했을 때에, 적하한 물이 소수성 부직포의 표면에서 튕겨져서 물방울을 형성할 정도의 소수성(이른바, 발수성)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using a hydrophobic nonwoven fabric as the backing sheet, the degree of hydrophobicity is similar to that of the above-mentioned intermediate sheet. It is sufficient that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does not absorb the dropped water when the water is dropped on the surface of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is hydrophobic (so-called water repellent) to such an extent that when the water is dripped onto the surface of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the dropped water is repelled from the surface of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to form water droplets in terms of difficulty in leakage of the excretion, ) Is more preferable.

또, 이면 시트에 이용하는 소수성 부직포의 종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펀 본드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SMS 부직포 등의 임의의 부직포를 채용할 수 있다. 이들 부직포 중에서도, 1dtex 이하의 섬도(纖度)를 갖는 섬유에 의해 구성된 극세 섬유층을 포함하는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극세 섬유층은, 통기성 및 액 불투과성이 뛰어난 동시에, 적당한 유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극세 섬유층을 포함하는 부직포를 이면 시트로서 이용하면, 흡수성 물품의 착용감을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극세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1dtex 정도이다.The kind of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used for the back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y hydrophobic nonwoven fabric such as spunbonded nonwoven fabric, point bond nonwoven fabric, meltblown nonwoven fabric, SMS non- Can be adopted. Among these nonwoven fabrics, it is preferable to use a nonwoven fabric including a microfine fiber layer constituted by fibers having a fineness of 1 dtex or less. Such a superfine fibrous layer has excellent air permeability and liquid impermeability, and has appropriate flexibility. Therefore, when the nonwoven fabric containing such a superfine fibrous layer is used as the backsheet, the feeling of fit of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improved. The lower limit of the finenes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ultrafine fiber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about 0.1 dtex.

또한, 이면 시트는, 상술의 소수성 부직포 중에서도 SMS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SMS 부직포는, 스펀 본드/멜트블로운/스펀 본드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적층 부직포이며, 당해 SMS 부직포는, 통기성과, (특히, 스펀 본드층에 의한) 일정한 강도(비틀리기 어려움)를 겸비하면서, (특히, 극세 섬유층인 멜트블로운층에 의해) 액상 배설물의 투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부직포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부직포를 이면 시트로서 이용하면, 당해 이면 시트에 있어서, 뛰어난 통기성과 비틀리기 어려움(특히, 습윤 시에 있어서의 비틀리기 어려움)을 확보하면서, 액상 배설물의 누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SMS nonwoven fabric among the above hydrophobic nonwoven fabrics. The SMS nonwoven fabric is a laminated nonwoven fabric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of spunbond / meltblown / spunbond. The SMS nonwoven fabric has air permeability and uniform strength (in particular, spunbond layer) ,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suppress the permeation of the liquid excrement (particularly by the meltblown layer as the microfine fiber layer). Therefore, when such a nonwoven fabric is used as the backsheet, excellent breathability and brittleness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suppress leakage of the liquid body excretion while ensuring difficulty (particularly, difficulty in twisting at the time of wetting).

또, 이면 시트에 이용하는 소수성 부직포의 구성 섬유는, 소수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PE, PP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심초형 복합섬유 등의 각종 복합섬유 등의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hydrophobic nonwoven fabric for use in the backshee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have hydrophobicit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olefin fibers such as PE and PP; Polyester fibers such as PET; And various conjugated fibers such as core-sheath type conjugated fibers.

본 발명에 있어서, 이면 시트의 평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연성, 통기성, 액 불투과성, 강도 등을 감안한 임의의 평량을 채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평량으로는, 예를 들면, 8g/㎡∼60g/㎡의 범위 내의 평량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g/㎡∼50g/㎡의 범위 내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s weight of the back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basis weight can be employed taking into consideration flexibility, air permeability, liquid impermeability, strength and the like. Such a basis weight is, for example, a basis weight in the range of 8 g / m 2 to 60 g / m 2,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g / m 2 to 50 g / m 2.

또한, 이면 시트의 두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0.01mm∼5.0mm의 범위 내의 두께를 채용할 수 있지만, 유연성, 통기성, 액 불투과성, 강도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mm∼3.0mm의 범위 내이다.The thickness of the back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For example, the backsheet may have a thickness within the range of 0.01 mm to 5.0 mm. However,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5 mm to 3.0 mm in terms of strength and the like.

[접착층][Adhesive layer]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팬티 라이너(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2), 중간 시트(4) 및 이면 시트(3)가, 각 시트 사이(즉, 표면 시트(2)와 중간 시트(4)의 사이, 및 중간 시트(4)와 이면 시트(3)의 사이)의 각각에 배치된,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제 1 접착층(A1) 및 제 2 접착층(A2)을 개재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표면 시트와 중간 시트의 사이, 및 중간 시트와 이면 시트의 사이가 각각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을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으면, 이들 각 시트 사이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이나 변형이 발생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흡수 성능이나 착용감 등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쉬워진다.3, the topsheet 2, the intermediate sheet 4 and the backsheet 3 are arranged between the sheets (that is, the topsheet 2 A first adhesive layer A 1 and a second adhesive layer A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second adhesive layer A 2 &quot;) formed by a hot-melt type adhesive disposed in each of the intermediate sheet 4 and the backsheet 3 And are joined to each other. When the topsheet and the intermediate sheet and the intermediate sheet and the backsheet are bonded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positional deviation and deformation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intermediate sheet are unlikely to occur So that the absorbing performanc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feeling of wearing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접착층(A1) 및 제 2 접착층(A2)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배치 패턴은, 모두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스파이럴상의 배치 패턴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배치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오메가상, 파선상, 지그재그상, 스트라이프상, 띠상 등의 임의의 배치 패턴을 채용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adhesive layer (A 1) and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adhesive in the second adhesive layer (A 2) has, both longitudinally disposed pattern on the plurality of lines the spiral extending in the (L) bu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arrangement pattern but may employ arbitrary arrangement patterns of a plurality of lin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or the width direction such as omega, wavy, zigzag, stripe, can do.

또한, 표면 시트 및 중간 시트의 사이의 제 1 접착층과, 중간 시트 및 이면 시트의 사이의 제 2 접착층은, 각각의 배치 패턴이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즉, 평면시로 제 1 접착층의 배치 패턴과 제 2 접착층의 배치 패턴이 겹치지 않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접착층과 제 2 접착층이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배치 패턴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면, 구부러짐 기점이 될 수 있는 각 접합점이 일정 이상의 수로 형성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 전체의 강도가 향상되어 흡수성 물품이 더욱 비틀리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보다 적당한 유연성을 겸비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은 더욱 뛰어난 착용감을 확보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between the top sheet and the intermediate sheet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between the intermediate sheet and the back sheet are arranged such that the respective arrangement patterns do not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So that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do not overlap). Wh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an arrangement pattern that does not overlap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since the respective bonding points, which can be the starting point of bending,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the strength of the whole absorbent article is improved, Is more difficult to be distorted, and more flexible flexibility can be obtained. As a result, such an absorbent article can secure a better wearing feeling.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술의 제 1 접착층과 제 2 접착층이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배치 패턴이란, 제 1 접착층의 배치 패턴과 제 2 접착층의 배치 패턴이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겹치지 않는 양태 외, 각 배치 패턴이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겹치는 양태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an arrangement pattern in which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not overlapp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means that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completely In addition to the non-overlapping aspect, it also includes an aspect in which each arrangement pattern is partially overlapp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또,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시트 사이(즉, 표면 시트(2)와 중간 시트(4)의 사이, 및 중간 시트(4)와 이면 시트(3)의 사이)가 각각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 시트 사이를 접합하는 수단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 시트 사이는, 예를 들면, 열 융착 등의 임의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각 시트 사이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면, 접합부(융착부)가 소변 등의 액상 배설물에 의한 분해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습윤 시에 있어서도 접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에 비틀림이 보다 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은, 습윤 시에 있어서도 양호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use a hot-melt type adhesive agent between the respective sheets (that is, between the top- and backsheets 2 and 4 and between the intermediate sheet 4 and the backsheet 3)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joining the sheet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Between the sheets, for example, Or they may be joined together by means. For example, when the respective sheets are bonded by heat fusion, the bonding portion (fused portion) is hardly affected by decomposition or the like caused by liquid excrement such as urine, and therefore, even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wet, So that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absorbent article to further distort. As a result, such an absorbent article can maintain a good wearing feeling even when wet.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술의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 이외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상술의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escription is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0)의 평면도이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한쪽측 단가장자리부(EW1) 및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EW2)를 갖고, 또한, 평면시로, 상기 한쪽측 단가장자리부(EW1) 및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 축선(CL)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제 1 가상 직선(LL1)과, 상기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EW2) 및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 축선(CL)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제 2 가상 직선(LL2)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폭 방향 중앙 영역(AWC)과; 상기 한쪽측 단가장자리부(EW1)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1 가상 직선(LL1)의 사이에 위치하는 폭 방향 제 1 영역(AW1)과; 상기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EW2)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2 가상 직선(LL2)의 사이에 위치하는 폭 방향 제 2 영역(AW2);을 갖고 있으며,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2)는, 상기 폭 방향 중앙 영역(AWC)에 있어서의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폭 방향 제 1 영역(AW1) 및 상기 폭 방향 제 2 영역(AW2)으로 이루어지는 폭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4 is a plan view of the panty lin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panty lin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one side edge portion E W1 and the other side edge portion E W2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is disposed between the one side edge portion (E W1 ) and the widthwise central axis (C L )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positioned between a longitudinal first virtual straight line L L1 and the other side edge portion E W2 and a widthwise central axis C 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 second longitudinal imaginary straight line L L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 A first width direction area (A W1 ) positioned between the one side edge portion (E W1 ) and the first longitudinal virtual line (L L1 ); And a second widthwise area (A W2 ) located between the other side edge (E W2 ) and the second longitudinal straight line ( L2 ), wherein the topsheet (2) , The amount of fuzz formation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in the widthwise central region (A WC ) is larger than the widthwise width direction of the fibers in the widthwise first region (A W1 ) and the widthwise second region (A W2 )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fuzz formation of the fibers in the end region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폭 방향의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폭 방향 중심 축선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 제 1 가상 직선의 위치와, 폭 방향의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 방향 제 2 가상 직선의 위치는, 상술의 폭 방향 중앙 영역이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응하는 영역을 폭 방향에 있어서 포함하도록(즉, 상술의 폭 방향 중앙 영역의 폭 방향 길이가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방향 길이보다도 길어지도록) 흡수성 물품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 제 1 가상 직선(LL1)과 길이 방향 제 2 가상 직선(LL2)은, 팬티 라이너(1)를 폭 방향으로 대략 3등분하는 위치에 각각 설정되어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first virtual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one side edg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central axis line, the position of the other side edg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 The position of the second virtual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et such that the widthwise center region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xcretion of the wearer in the width direction (i.e.,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above-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excretion of the wearer).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the first virtual straight line L L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virtual straight line L L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rranged at positions that divide the panty liner 1 in three directions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0)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The panty lin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anty li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즉, 이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0)에 있어서도, 표면 시트(2)는, 상기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팬티 라이너(10)의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폭 방향(W)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21)와, 상기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팬티 라이너(10)의 비피부 대향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또한 상기 볼록부(21)와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2)가 교대로 배치된, 특정의 요철 구조(20)를 구비하고 있다.That is, in the panty lin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well, the topsheet 2 protrudes toward the skin-facing side of the panty liner 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W of the panty liner 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 extending continuously in parallel with the convex portion 21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oward the non- And concave portions (22) that are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s (20) are alternately arranged.

 이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팬티 라이너(10)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2)의 상기 폭 방향 중앙 영역(AWC)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폭 방향 단부 영역(즉, 상기 폭 방향 제 1 영역(AW1) 및 상기 폭 방향 제 2 영역(AW2))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기(환언하면, 상기 폭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폭 방향 중앙 영역(AWC)에 있어서의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적기) 때문에,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운 상기 폭 방향 중앙 영역(AWC)에 있어서는, 상술의 보풀 일어남에 의한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하면서도, 착용자의 동작(특히, 보행 등의 폭 방향이나 뒤틀림 방향(길이 방향(L)을 축으로 하여 뒤틀리는 방향)의 움직임이 큰 동작) 시에 착용자의 피부면과 스치기 쉬운 상기 폭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에 의한 따끔따끔한 느낌 등의 불쾌한 자극이 착용자에게 감지되기 어려워, 양호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anty line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esigned such that the amount of fluffing of the fibers in the widthwise central region A WC of the topsheet 2 made of a nonwoven fabric is smaller than the amount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fuzz formation of the fibers in the width direction end region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fuzz formation of the fibers in the width direction first region (A W1 ) and the width direction second region (A W2 ) In the widthwise central region A WC which is less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 operation of the wearer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fibers in the widthwise central region A WC (Particularly, a motion in a width direction or a warping direc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wearer wigg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large) An unpleasant stimulus such as a tingling sensation due to the fluff formation on the fibers is hardly detected by the wearer in the end portion in the vapor width direction, and a good wearing feeling can be provided to the wearer.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팬티 라이너(10)에 있어서도, 표면 시트(2)가, 팬티 라이너(10)의 폭 방향(W)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21)와, 해당 볼록부(21)와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22)가 교대로 배치된 특정의 요철 구조(2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곡률이 큰 부분(고간부의 복측 부분이나 둔부 등)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L)으로 구부러지기 쉬워, 착용자의 신체 형상을 따라 길이 방향(L)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이 길이 방향(L)으로의 변형에 의해, 팬티 라이너(10)가 착용자에 대해 고정되어 어긋나기 어려워지고, 착용자의 동작 시에 있어서도, 상술의 폭 방향 중앙 영역(AWC)을 팬티 라이너(10)의 소정 영역, 즉,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응하는 영역에 착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의 작용 효과(즉, 상기 폭 방향 중앙 영역(AWC)에 있어서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하면서, 양호한 착용감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작용 효과)를 착용자의 동작 시에 있어서도 적확하게 발휘할 수 있다.In the panty lin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well, the topsheet 2 includes a convex portion 21 continuously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panty liner 10, The concave portions 22 extending continuously in parallel with the concave portions 22 are arranged alternately in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0 of the crotch portion. , So that it can be easily de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long the wearer's body shape. By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 panty liner 10 is becomes difficult goes against fixed with respect to the wearer, also, a panty liner (10 a widthwise central region (A WC) of the above at the time of the wearer's behavior (That is, excellent absorbing performance in the widthwise central region A WC ), it is possible to obtain a good fit feeling Can be provided to the wearer) can be exerted even in the operation of the wearer.

[흡수층][Absorbent layer]

또,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팬티 라이너는, 표면 시트(2)가 흡수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소변 등의 액상 배설물을 흡수·홀딩하기 위한 흡수체 등의 흡수층이 별도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이와 같은 흡수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예를 들면 표면 시트와 중간 시트의 사이 및/또는 중간 시트와 이면 시트의 사이의 위치에, 액상 배설물을 흡수·홀딩할 수 있는 흡수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와 중간 시트의 사이에 이와 같은 흡수층이 배치되어 있으면, 표면 시트를 투과한 액상 배설물이 흡수층에서 흡수·홀딩되기 때문에, 액상 배설물의 흡수성 물품으로부터의 누출이나 역류 등을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흡수성 물품의 양호한 착용감을 보다 확실하게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anty liner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formed such that the topsheet 2 can function as an absorbent layer. Therefore, an absorbent layer such as an absorbent for absorbing and holding liquid excrement such as urine is installed separately However, 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n absorbent layer may be provided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Specifically,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liquid excrement at a position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intermediate sheet and / or between the intermediate sheet and the backsheet, for example, so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An absorbing layer capable of holding can be disposed. For example, if such an absorbent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intermediate sheet, the liquid excretion permeated through the topsheet is absorbed and held in the absorbent layer, so that leakage or backflow of the liquid excretion from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a good fit of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provided more reliably to the wearer.

또한, 흡수층은, 액상 배설물을 흡수·홀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 분야에 있어서 공지인 임의의 흡수체를 이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흡수체의 예로는, 흡수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흡수 코어를, 친수성을 갖는 티슈 등의 코어 랩 시트로 덮은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흡수 코어를 구성하는 흡수성 재료로는, 예를 들면, 친수성 섬유나 고흡수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아크릴산 나트륨 코폴리머 등의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입상물(粒狀物); 및 이들 2종 이상의 임의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The absorbent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absorb and hold liquid excreta, and any absorbent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Examples of such an absorber include an absorbent core composed of an absorbent material covered with a core wrap sheet such as a tissue having hydrophilic properties,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absorbent material constituting the absorbent core include hydrophilic fibers and superabsorbent polymers, and more specifically, cellulose fibers such as pulverized pulp and cotton; Regenerated cellulose fibers such as rayon, fibril Rayon and the like; Semi-synthetic cellulose fibers such as acetate and triacetate; A particulate material comprising a highly water-absorbing polymer such as a sodium acrylate copolymer; And any combination of two or more species.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팬티 라이너 외에, 예를 들면, 생리용 패드, (경)실금 패드 등의 다양한 흡수성 물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조합이나 변경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명세서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서수는, 당해 서수가 붙여진 사항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며, 각 사항의 순서나 우선도, 중요도 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absorbent articles such as a sanitary pad, a light incontinence pad, etc. in addition to the panty liner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ddition,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suitably combined or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istinguish matters attached with the order, and do not mean order, priority, importance, etc. of each item.

1: 팬티 라이너(흡수성 물품의 일례)
2: 표면 시트 20: 요철 구조
21: 볼록부 22: 오목부
23: 공동부 3: 이면 시트
4: 중간 시트 5: 박리 시트
6: 점착제층 7: 착의
ALC: 길이 방향 중앙 영역
AL1: 길이 방향 제 1 영역
AL2: 길이 방향 제 2 영역
EL1: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EL2: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
CW: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
LW1: 폭 방향 제 1 가상 직선
LW2: 폭 방향 제 2 가상 직선
1: panty liner (an example of an absorbent article)
2: surface sheet 20: concave and convex structure
21: convex portion 22: concave portion
23: Cavity 3:
4: intermediate sheet 5: peeling sheet
6: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
A LC : longitudinal central region
A L1 : a longitudinal direction first region
A L2 : a longitudinal second region
E L1 : one side ed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 L2 : the other end ed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 W : longitudinal center axi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L W1 : first virtual straight line in the width direction
L W2 : second virtual straight line in the width direction

Claims (4)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를 포함하고,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 단(端)가장자리부 및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를 갖고,
추가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평면시(平面視)로,
상기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제 1 가상 직선과, 상기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길이 방향 중심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제 2 가상 직선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 중앙 영역과,
상기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폭 방향 제 1 가상 직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 제 1 영역과,
상기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폭 방향 제 2 가상 직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 제 2 영역을 가지며,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길이 방향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길이 방향 제 1 영역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길이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고,
추가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비(非)피부 대향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또한 상기 볼록부와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된 요철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흡수성 물품.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 made of a nonwoven fabric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width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Wherein the absorbent article has one side edge portion and the other side ed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provided in a plan view (in plan view)
A first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located between the one side edge portion and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between the other side edge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And a second central reg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central reg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 longitudinal first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one side edge portion and the first widthwise imaginary straight line,
And a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region located between the other side edge portion and the second widthwise imaginary straight line,
Wherein the surface sheet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amount of fluff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in the longitudinally central region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fluffs of the fi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nd region comprising the longitudinal first region and the longitudinal second region Lots more than lint,
The surface sheet may further include a convex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non- And concave and convex structures alternately arranged in the concave portion extending continuously in parallel with the convex portion toward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를 포함하고,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를 갖고,
추가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평면시로,
상기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제 1 가상 직선과, 상기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 축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제 2 가상 직선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폭 방향 중앙 영역과,
상기 한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1 가상 직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폭 방향 제 1 영역과,
상기 다른쪽측 단가장자리부 및 상기 길이 방향 제 2 가상 직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폭 방향 제 2 영역을 가지며,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폭 방향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이, 상기 폭 방향 제 1 영역 및 상기 폭 방향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폭 방향 단부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의 보풀 일어남 양보다도 많고,
추가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볼록부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 대향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고 또한 상기 볼록부와 병행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교대로 배치된 요철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흡수성 물품.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 made of a nonwoven fabric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width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Wherein the absorbent article has one side edge portion and the other side edg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Further,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provided at a flat surface,
A first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ositioned between the one side edge portion and the widthwise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other side edge portion and the width A widthwise central region located between the longitudinal centerline axial line and a second longitudinal virtual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width-wise area positioned between the one side edge and the first longitudinal virtual line,
And a second width-direction area located between the other end edge portion and the second longitudinal virtual line,
The surface she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fluffing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in the widthwise central region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fluffs of the fibers in the widthwise end region comprising the widthwise first region and the widthwise second region Lots more than lint,
The topsheet may further include a convex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convex portion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cave and convex structures alternately arranged in the concave portion extending continuously in parallel with the convex por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친수성 섬유인, 흡수성 물품.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are hydrophilic fiber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비피부 대향면측의 표면이 면(面)하는 공동부(空洞部)를 갖는, 흡수성 물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vex portion has a hollow portion in which the surface of the non-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surface sheet faces.
KR1020187022849A 2016-03-23 2016-12-01 Absorbent article KR1019271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9133A JP6351648B2 (en) 2016-03-23 2016-03-23 Absorbent articles
JPJP-P-2016-059133 2016-03-23
PCT/JP2016/085797 WO2017163490A1 (en) 2016-03-23 2016-12-01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750A true KR20180097750A (en) 2018-08-31
KR101927109B1 KR101927109B1 (en) 2018-12-10

Family

ID=5990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849A KR101927109B1 (en) 2016-03-23 2016-12-01 Absorbent articl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51648B2 (en)
KR (1) KR101927109B1 (en)
CN (1) CN108883013A (en)
MY (1) MY185891A (en)
WO (1) WO201716349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7237B2 (en) * 2017-12-27 2022-06-21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WO2019245417A1 (en) * 2018-06-20 2019-12-26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Shaped permeable material composite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JP2021078988A (en) * 2019-11-22 2021-05-2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Method for reinforcing tape-type diaper, and device for reinforcing tape-type diap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3202A (en) 1973-10-15 1975-06-17
JPS5074913A (en) 1973-11-02 1975-06-19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18906T2 (en) * 1995-04-11 2001-03-01 Pantex Srl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of sanitary napkins and absorbent articles made with this material
JP2002330993A (en) * 2001-05-07 2002-11-19 Sanehiro Nakamura Mohair napkin
SG114551A1 (en) * 2001-06-08 2005-09-28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859468B2 (en) * 2001-07-26 2006-12-20 花王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uneven surface sheet
JP3989218B2 (en) 2001-10-12 2007-10-10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2005012485A (en) * 2003-06-19 2005-01-13 Nec Corp Internet vpn configuration system, control server and vpn configuration method for use therein
JP3998626B2 (en) * 2003-10-24 2007-10-31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538977B2 (en) * 2010-03-29 2014-07-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Non-woven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843396B2 (en) * 2011-06-23 2016-01-13 花王株式会社 Nonwoven manufacturing method
JP6004878B2 (en) 2012-10-03 2016-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US9056884B2 (en) * 2012-12-13 2015-06-16 Hodogaya 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a charge control agent
JP6024915B2 (en) * 2013-03-28 2016-11-16 Jnc株式会社 Nonwoven fabric and products obtained using the same
WO2015012399A1 (en) 2013-07-26 2015-01-29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3202A (en) 1973-10-15 1975-06-17
JPS5074913A (en) 1973-11-02 1975-06-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85891A (en) 2021-06-14
JP2017169805A (en) 2017-09-28
WO2017163490A1 (en) 2017-09-28
CN108883013A (en) 2018-11-23
JP6351648B2 (en) 2018-07-04
KR101927109B1 (en)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006B1 (en) Absorbent articles
EP2409673B1 (en) Absorbent article
JP7157560B2 (en) absorbent article
JP6219701B2 (en) Absorbent articles
KR101927109B1 (en) Absorbent article
JP6261838B1 (en) Absorbent articles
KR102346040B1 (en) absorbent article
JP5572481B2 (en) Absorbent articles
JP3244295U (en) sanitary absorbent articles
KR102433718B1 (en) absorbent article
JP7239105B2 (en) absorbent article
JP7379796B2 (en) absorbent articles
JP7122809B2 (en) absorbent article
JP6757607B2 (en) Absorbent article
JP2017047100A (en) Absorbent article
JP2021119887A (en) Absorbent article
JP2020137764A (en) Absorbent article
JP2021104224A (en) Absorbent article
JP2021065412A (en) Absorbent article
JP2020081536A (en) Absorbent article
JP2019187800A (en) Absorbent article
JP2017113512A (en) Absorbent article
JP2017113476A (en) Absorbent article
JP2014097435A (e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