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277A - 두족류 양식함 - Google Patents

두족류 양식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277A
KR20180097277A KR1020170024044A KR20170024044A KR20180097277A KR 20180097277 A KR20180097277 A KR 20180097277A KR 1020170024044 A KR1020170024044 A KR 1020170024044A KR 20170024044 A KR20170024044 A KR 20170024044A KR 20180097277 A KR20180097277 A KR 20180097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acle
wall
preventing wall
pas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746B1 (ko
Inventor
추중휴
Original Assignee
추중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중휴 filed Critical 추중휴
Priority to KR102017002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7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지나 문어와 같은 두족류의 양식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바닥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부에 통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수부는 상기 뚜껑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부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통수공이 형성된 1차 촉수 통과 방지벽, 및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의 외측에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복수이 통수공이 형성된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1차 촉수 통과벽과 2차 촉수 통과벽이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된 통수부를 포함하는 두족류 양식함에 의하여, 양심함의 내부에서 양식되는 두족류의 촉수가 외부로 빠져나가기가 쉽지 않아 외부의 포식자에 의하여 촉수가 뜯겨져 나갈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족류 양식함{Cephalopoda Cultivation Case}
본 발명은 낙지나 문어와 같은 두족류의 양식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두족류 새끼를 본체부에 가두어 먹이를 공급하면서 상품의 크기로 성장시키기 위한 두족류 양식함에 관한 것이다.
문어나 낙지와 같은 두족류를 자연에서 채취하지 않고 인공적으로 양식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된 양식함 내 어린 새끼 두족류를 넣어 먹이를 주어 키우는 것인데, 두족류의 특성상 길이가 긴 촉수가 통수공을 통하여 밖으로 나와 양식함의 주변에서 활동하는 물고기 등에 의하여 촉수가 뜯겨짐으로써 양식에 애로가 있었다.
이러한 촉수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193601호에 통수공에 버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두족류의 촉수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버가 형성된 경우에도 두족류는 실제로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통수공을 통하여 촉수를 외부로 내밀게 되어 현실적인 방안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193601호 (2012.10.2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두족류의 양식 과정에서 촉수가 양식함으로부터 뻗어나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통수부에 1차 촉수 통과 방지벽과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을 이중으로 설치하고, 이 둘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설정한 두족류 양식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함은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바닥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부에 통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수부는 상기 뚜껑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부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통수공이 형성된 1차 촉수 통과 방지벽, 및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의 외측에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복수이 통수공이 형성된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은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의 외주면은 원형으로 구성되고, 내측 중심부에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에 대하여 상기 체결 돌기를 회전축으로 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촉수 통과벽의 내측면에 복수의 침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1차 촉수 통과벽과 2차 촉수 통과벽이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된 통수부를 포함하는 두족류 양식함에 의하여, 양심함의 내부에서 양식되는 두족류의 촉수가 외부로 빠져나가기가 쉽지 않아 외부의 포식자에 의하여 촉수가 뜯겨져 나갈 위험이 최소화되고, 통수부의 통수공을 충분히 넓힐 수 있어 물의 자연스런 통과에 의하여 오염물 양식함에 누적되지 않아 고품질의 두족류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두족류 양식함의 전체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뚜껑부가 닫힌 상태(a)와 뚜껑부가 개방된 상태(b);
도 2는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함에서 통수부의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뚜껑부 측이 보이도록 배향된 상태(a)와 바닥부 측이 보이도록 배향된 상태(b);
도 3은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함에서 통수부의 1차 촉수 통과 방지벽과 2차 촉수 통과 방지벽 사이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함에서 통수부의 1차 촉수 통과 방지벽과 2차 촉수 통과 방지벽 사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a) 및 측단면도(b);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족류 양식함의 통수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a) 및 일부 분해 및 절단사시도(b);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족류 양식함의 통수부의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족류 양식함의 통수부의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의 내측에 복수의 침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족류 양식함의 뚜껑부 및 바닥부에 보조 체결고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두족류 양식함의 전체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뚜껑부가 닫힌 상태(a)와 뚜껑부가 개방된 상태(b)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함에서 통수부의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뚜껑부 측이 보이도록 배향된 상태(a)와 바닥부 측이 보이도록 배향된 상태(b)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함은 우선 본체(100)와 뚜껑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일반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용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단에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하단에 바닥부(130)가 형성된다. 본체부(100)의 내부는 구획판(114, 116)에 의하여 다수의 구획 공간으로 이루어진 양식 공간(112)이 형성되고, 양식 공간(112)에 새끼 두족류를 넣어 양식한다. 본체부(10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양식함을 수중에 일정 공간에 고정하기 위한 로프 체결구(122)가 형성될 수 있고, 로프 체결구(122)에 로프를 고정하여 수중의 고정가능한 지점에 로프를 당겨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개구부(110)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먹이공급의 편의 등을 위하여 힌지부(126)에 의하여 회전 방식으로 쉽게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함은 상기 뚜껑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바닥부(130)에 통수부(3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수부(300)에는 복수의 통수공(302)이 형성되는데, 통수공(302)의 형태는 되도록이면 촉수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좁게 형성하되, 물의 흐름을 너무 차단하여 오염물이 쌓이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통수공(302)의 형태에 있어서도, 특별히 구애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장공이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는데, 이러한 형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형태에 맞게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더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수부(300)는 상기 뚜껑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바닥부(130)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통수공이 형성된 1차 촉수 통과 방지벽(310), 및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310)의 외측에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310)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복수이 통수공이 형성된 2차 촉수 통과 방지벽(320)으로 구성된다.
즉, 1차 통과 방지벽(310)은 원뿔형으로 본체부의 내측으로 함몰될 형태로 구성되고, 그 함몰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이중으로 2차 촉수 통과 방지벽(320)을 형성함으로써, 두족류의 촉수가 1차 통과 방지벽(310)을 통과하여 나오더라도 양식함의 외부 포식자에게 접근될 수 없도록 구성하였다. 1차 통과 방지벽(310)과 2차 통과 방지벽(320) 사이의 간격은 두족류의 종류나 촉수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1차 통과 방지벽(310)과 2차 통과 방지벽(320)에 형성되는 통수공(302)의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장공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더 나아가 1차 통과 방지벽(310)과 2차 통과 방지벽(320)의 통수공(302)이 서로 교차 배치되도록 하여 외부의 포식자가 양식함 내의 두족류를 식별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양식함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함에서 통수부의 1차 촉수 통과 방지벽과 2차 촉수 통과 방지벽 사이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 촉수 통과 방지벽(320)은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3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1차 통과 방지벽(310)과 2차 통과 방지벽(320) 사이에 누적되는 이물질 등의 오염물을 언제든지 쉽게 청소할 수 있다. 구체적인 탈부착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촉수 통과 방지벽(310)에 관통공(318)을 형성하고, 2차 촉수 통과 방지벽(320)의 내측에 체결돌기(328)를 돌출 형성하여, 체결돌기(328)가 관통공(318)에 삽입되어 체결돌기(328)의 끝단에 측방으로 연장된 걸림편에 의하여 걸리도록 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함에서 통수부의 1차 촉수 통과 방지벽과 2차 촉수 통과 방지벽 사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a) 및 측단면도(b)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2차 촉수 통과 방지벽(3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안착부(312)가 형성되어 있고, 안착부(312) 상에 1차 촉수 통과 방지벽(3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형성된 안착돌기(322)가 안착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촉수 통과 방지벽(310)과 2차 촉수 통과 방지벽(320) 사이에 이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족류 양식함의 통수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a) 및 일부 분해 및 절단사시도(b)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2차 촉수 통과 방지벽(320)의 외주면은 원형으로 구성되고, 내측 중심부에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3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 돌기(328)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310)에 대하여 상기 체결 돌기(328)를 회전축으로 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의 파지돌기(325)를 2차 촉수 통과 방지벽(320)의 상면에 형성하여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여 회전함으로써 1차 촉수 통과 방지벽(310)에 대하여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격 공간(S)에 두족류의 촉수가 끼인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2차 촉수 통과 방지벽(310)을 회전하는 경우 사이에 끼어있던 촉수가 양식함으로 회수되도록 하여 주기적으로 촉수의 이탈을 방지하여 촉수를 온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파지돌기(325)는 십자 형태로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도 오랜 사용에 의하여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족류 양식함의 통수부의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의 사시도로서, 파지돌기(325)가 2차 촉수 통과 방지벽(320)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더 견고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족류 양식함의 통수부의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의 내측에 복수의 침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2차 촉수 통과벽(320)의 내측면에 복수의 침(327)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침(327)은 2차 촉수 통과 방지벽(320)의 사출 형성시에 함께 사출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통수부의 이중 구조의 특징을 최대로 살린 구성으로서, 두족류가 양식함의 내부에서 불편함이 없이 생활하다가 촉수가 1차 촉수 통과벽(310)을 통과하는 경우에 2차 촉수 통과벽(320)에 접해서는 침(327)과의 접촉으로 더이상 밖으로 나가는 것을 회피하게 되어 촉수가 외부의 포식자로부터 최대한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버 방식의 구조에서는 버가 양식함의 내측에 형성되어 두족류가 생활하는데 불편을 초래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함으로써 좋은 제품으로 성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서는 두족류의 생활의 불편함도 제거되면서도 촉수의 이탈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두족류 양식함의 뚜껑부 및 바닥부에 보조 체결고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두족류 양식함의 뚜껑부(200)의 힌지 축의 반대편 가장자리에 체결고리(25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바닥부(130)에도 이에 대응하는 체결고리(13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식함을 수중에 설치하는 경우 수류의 압력에 의하여 뚜껑이 열리는 것을 더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양측의 체결고리(250, 135) 사이를 로프, 와이어, 고무줄 등에 의하여 묶어 고정할 수 있다. 뚜껑부(200)의 체결고리(250)에는 보조고리(260)를 더 추가하여 체결 과정을 더욱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두족류의 촉수 100: 본체부
110: 개구부 112: 양식 공간
114, 116: 구획판 122: 로프 체결구
124: 걸림턱 126: 힌지부
130: 바닥부 200: 뚜껑부
224: 걸림돌기 300: 통수부
310: 1차 촉수 통과 방지벽 320: 2차 촉수 통과 방지벽
302: 통수공 312: 안착부
318: 관통공 322: 안착돌기
325: 파지돌기 327: 침
328: 체결돌기

Claims (4)

  1.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바닥부가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뚜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부에 통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수부는 상기 뚜껑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부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통수공이 형성된 1차 촉수 통과 방지벽; 및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의 외측에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복수이 통수공이 형성된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양식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은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양식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촉수 통과 방지벽의 외주면은 원형으로 구성되고, 내측 중심부에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1차 촉수 통과 방지벽에 대하여 상기 체결 돌기를 회전축으로 하여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양식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촉수 통과벽의 내측면에 복수의 침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양식함.
KR1020170024044A 2017-02-23 2017-02-23 두족류 양식함 KR102016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044A KR102016746B1 (ko) 2017-02-23 2017-02-23 두족류 양식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044A KR102016746B1 (ko) 2017-02-23 2017-02-23 두족류 양식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277A true KR20180097277A (ko) 2018-08-31
KR102016746B1 KR102016746B1 (ko) 2019-09-02

Family

ID=6340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044A KR102016746B1 (ko) 2017-02-23 2017-02-23 두족류 양식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693B1 (ko) 2021-12-17 2024-03-27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주꾸미 양식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370Y1 (ko) * 2004-12-16 2005-03-11 박운식 다품종 해산물 양식기
KR101193601B1 (ko) 2012-06-22 2012-10-24 정병재 버타입 두족류 양식장치
KR20140001883A (ko) * 2010-12-06 2014-01-07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접합체 제조 장치 및 적층 접합체의 제조 방법
KR20150001883A (ko) * 2013-06-26 2015-01-07 정장용담 물의 순환이 양호한 두족류 양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370Y1 (ko) * 2004-12-16 2005-03-11 박운식 다품종 해산물 양식기
KR20140001883A (ko) * 2010-12-06 2014-01-07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접합체 제조 장치 및 적층 접합체의 제조 방법
KR101193601B1 (ko) 2012-06-22 2012-10-24 정병재 버타입 두족류 양식장치
KR20150001883A (ko) * 2013-06-26 2015-01-07 정장용담 물의 순환이 양호한 두족류 양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746B1 (ko)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074B1 (ko) 지퍼를 형성한 어패류 육성망
US11369097B2 (en) Bait container
KR20180097277A (ko) 두족류 양식함
KR200488701Y1 (ko) 벌꿀의 채집이 용이한 계상형 벌통
US4208825A (en) Non-fouling container for lures with fish hooks
JP6634143B1 (ja) 貝類の養殖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観音開き式の養殖かご
KR20110009705U (ko) 여왕벌 격리통
KR20120000771U (ko) 곤충 사육통
KR101538500B1 (ko) 패류 양식용 상자
FR2331281A1 (fr) Casier pour la peche aux gros crustaces tels que langoustes ou homards
KR101725294B1 (ko) 활게 연갑게 탈피촉진 축양통
KR20190052512A (ko) 여왕벌용 소초광
KR200479405Y1 (ko) 휴대용 칫솔
KR200204358Y1 (ko) 진주조개 양식틀
US20060201439A1 (en) Animal tote with compartmented divider system
US10736306B1 (en) Hummingbird feeder with unique insect repellent umbrella and removable flower-shaped feeding port made of silicone
KR101045547B1 (ko) 초파리 사육용기
KR101991743B1 (ko) 낚시바늘 보관 케이스
JP3240851U (ja) 釣用容器
KR102440357B1 (ko) 마스크 보관용 수납장
JP2023071483A (ja) 水槽用蓋
KR20120005565U (ko) 낚시용 살림망
JP2004229622A (ja) 鳥かご類用の小鳥などの生き物の飛出防止カバー
KR200334480Y1 (ko) 휴대용 낚시바늘 보관함
KR20180070794A (ko) 관상어 뇌진탕 방지 어항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