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257A -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257A
KR20180097257A KR1020170024004A KR20170024004A KR20180097257A KR 20180097257 A KR20180097257 A KR 20180097257A KR 1020170024004 A KR1020170024004 A KR 1020170024004A KR 20170024004 A KR20170024004 A KR 20170024004A KR 20180097257 A KR20180097257 A KR 20180097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hoto
photograph
requested
sh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휘
임성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서티퍼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서티퍼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서티퍼스트
Priority to KR102017002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257A/ko
Publication of KR2018009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상기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입수된 사진을 수신하는 사진 입력부,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는 위치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을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사진 호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가운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할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을 그룹화하여 게시하고,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을 게시하는 게시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는지에 기초하여 상이한 태그를 표시하는 태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진 호출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고, 상기 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은 상기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며,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는 상기 위치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다.

Description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TAG IN A PICTURE}
본 발명은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여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공유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 확산되면서, 이를 이용한 SNS 서비스가 활성화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자신의 사진을 업로드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다수의 SNS 서비스들, 예컨대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서비스들을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서비스들에는 한가지 문제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타인의 경험과 자신의 경험의 괴리를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사진을 통해 타인이 경험한 바를 인지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넘어서서, 정서적으로 공감하고 소통하는데 이르는 것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아울러 SNS 서비스 상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진을 공유하게 됨에 따라, 저작권 침해의 문제도 제기가 되고 있다. 즉 자신이 촬영한 사진이 아님에도, 이를 무단으로 도용하여 자신의 SNS 홈페이지 상에 업로드하는 등의 위법적 활용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은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사진이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도용한 것인지 일일이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이를 제지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사진의 저작권자로부터 피해접수가 들어온 경우에만 해당 사진의 무단 도용에 대해 확인하여 조치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출원 제10-2006-0049242호 "태그기반 사진파일 관리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사진촬영이 이루어지면, 카메라폰이 현재시간에 따른 사진파일의 이름과 그 촬영된 GPS 및 시간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 이와 관련하여 서버로부터 추천 Tag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추천받은 Tag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발명은 사진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기술과는 무관할 뿐더러,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에 대해서 대책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출원 제10-2014-0079533호 "위치 정보에 기반한 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들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정보들(예, "자물쇠 팝니다", "추천: 당신과 20번 만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발명은 사진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기술과는 무관할 뿐더러,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는 더더욱 무관하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진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되, 태그를 활용하여 다양한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보다 활발히 자신의 사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카메라로부터 입수된 사진을 수신하는 사진 입력부,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는 위치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을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사진 호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가운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할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을 그룹화하여 게시하고,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을 게시하는 게시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는지에 기초하여 상이한 태그를 표시하는 태그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진 호출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고, 상기 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은 상기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며,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는 상기 위치 입력부를 통해 수신한다.
상기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태그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진 입력부에 사진을 제공하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의 전면부의 카메라인지 아니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후면부의 카메라인지에 따라 상이한 태그를 표시한다.
상기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원 확인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SNS에 로그인하는데 사용된 개인 정보가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의 정보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며, 만일 상기 SNS에 로그인하는데 사용된 개인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태그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고, 만일 상기 SNS에 로그인하는데 사용된 개인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태그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지 않는다.
상기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태그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표시된 태그를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기초하여 다른 태그로 변경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된 상태로 변경된 것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자신이 촬영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카메라로부터 입수된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을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단계 ― 상기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은 상기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며,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는 상기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에 따라 입력된 위치에 기초함 ―,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가운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할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을 그룹화하여 게시하고,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을 게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는지에 기초하여 상이한 태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은, 카메라로부터 입수된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을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단계 ― 상기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은 상기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며,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는 상기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에 따라 입력된 위치에 기초함 ―,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가운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할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을 그룹화하여 게시하고,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을 게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는지에 기초하여 상이한 태그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진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서비스를 활용함에 있어서, 태그를 활용하여 다양한 개선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들이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유리한 특징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사진과 함께 다른 사람의 사진을 합법적으로 자유롭게 그룹화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저작권에 저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다른 사람의 사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양면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에게 자신의 사진이 무단으로 도용되는 것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없애도록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자유롭게 자신의 사진을 공유하도록 장려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SNS 서비스가 활성화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기 위한 사진 처리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을 다른 사진과 그룹화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기기의 전면부 카메라를 이용한 경우와 후면부 카메라를 이용한 경우의 사진에 태그를 형성한 예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기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들을 표현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한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개념들이 이러한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몇몇 예들에서, 주지의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이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이제, 본 발명의 몇몇 측면들이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이 장치 및 방법들은, 다양한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총괄적으로 "엘리먼트들"로 지칭됨)에 의해,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첨부한 도면들에 도시될 것이다. 이 엘리먼트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일부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FPGA들),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팅된(gated)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다른 것들 중 어느 것으로 지칭되든,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한 것들, 실행 스레드들, 절차들, 기능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의로 해석될 것이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싱 시스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록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또는 반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데이터를 보통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다.
사용자 기기(110)는 인터넷(130)을 통해 SNS 서버(12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110)는 사용자가 SNS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임의의 기기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기기(110)는 데스크톱, 랩톱 등과 같은 컴퓨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기기(110)는 스마트폰, 휴대형 단말, PDA, 태블릿 PC, 전자책 등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아울러, 도 1에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1개의 사용자 기기(11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다수의 사용자 기기들이 SNS 서버(120)에 접속될 수 있다.
SNS 서버(120)는 사용자 기기(110)와 원격으로 연결된다. SNS 서버(120)는 사용자에게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SNS 서버(120)는 인터넷(130)을 통해 사용자 기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넷(130)은 사용자 기기(110)와 SNS 서버(120)를 연결하여 서로간에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매체로 사용된다. 인터넷(130)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예시로서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1개의 사용자 기기(11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다수의 사용자 기기들이 인터넷(130)을 통해 SNS 서버(120)에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110)는 카메라(111), CPU(112), 사진 처리부(113),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모듈(11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외에도 얼마든지 다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1)는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카메라(111)는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에 존재하거나 후면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존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의 카메라(111a)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기기(110)의 후면부의 카메라(111b)를 통해 자신이 바라보는 시점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CPU(112)는 사용자 기기(110)의 각 구성의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시로서 CPU(1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CPU(112)는 카메라(111), 사진 처리부(113), GPS(114) 등을 포함하는 구성의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진처리부(113)는 카메라(111)로부터 입수된 사진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사진을 공유하는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진처리부(113)는 인터넷(130)을 통해 SNS서버(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사진을 공유하는 SNS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사진처리부(113)의 주요 특징 및 기능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GNSS 모듈(114)은 사용자 기기(11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로서, GNSS 모듈(114)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ALILEO 등과 같은 위치 결정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GNSS 모듈(114)은 사용자 기기(110)가 정지 상태에 있든지, 이동 상태에 있든지에 관계없이 사용자 기기(11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GNSS 모듈(114)은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10)의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순간의 사용자 기기(110)의 위치를 측정하여 촬영된 사진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촬영된 사진마다 대응하는 촬영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기 위한 사진처리부(2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의 사진처리부(200)는 도 1의 사진처리부(113)에 대응한다.
사진처리부(200)는 크게 사진 입력부(211), 사진 호출부(212), 위치 입력부(213), 게시부(214), 태그 처리부(215), 사용자 입력 처리부(216), 신원 확인부(217), 보상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진처리부(200)는 사용자 기기(110)에 포함될 수 있다. 사진처리부(200)는 사용자 기기(110)의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카메라(111), CPU(112), GNSS 모듈(114)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요소들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SN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사진처리부(200)는 별도의 모듈 형태로 사용자 기기(110)에 탑재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사진처리부(200)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사용자 기기(110)에 탑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진처리부(200)는 사용자가 인터넷(130)을 통해 앱 마켓(예컨대, 앱스토어, 구글플레이, 네이버자료실 등)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기기(110)에 탑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110)에 자유롭게 사진처리부(113)를 설치하고 삭제할 수도 있다. 사진처리부(113)는 사용자 기기(110)에서 백그라운드로 실행될 수 있고, 주기적으로 PUSH 기능으로 사용자에게 본 발명과 관련된 SNS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명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PUSH 기능은 인터넷 환경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자동적, 주기적으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기술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매번 요청하지 않아도 특정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진 입력부(211)는 카메라(111)로부터 입수된 사진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111)는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카메라(111)는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에 존재하거나 후면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존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의 카메라(111a)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기기(110)의 후면부의 카메라(111b)를 통해 자신이 바라보는 시점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사진 입력부(211)는 전면부의 카메라(111a) 또는 후면부의 카메라(111b)에서 촬영된 사진을 수신하여 사진처리부(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위치 입력부(213)는 사진 입력부(211)를 통해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위치 입력부(213)는 GNSS 모듈(114)을 통해 결정된 사진 촬영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GNSS 모듈(114)은 사용자 기기(11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GNSS 모듈(114)은 사용자 기기(110)가 정지 상태에 있든지, 이동 상태에 있든지에 관계없이 사용자 기기(11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GNSS 모듈(114)은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10)의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순간의 사용자 기기(110)의 위치를 측정하여 촬영된 사진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촬영된 사진마다 대응하는 촬영 위치를 가질 수 있다. 특별히 위치 입력부(213)는 카메라(111)로부터 사진 입력부(211)를 통해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위치 입력부(213)는 사진 입력부(212)를 통해 수신된 사진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메타데이터는 관련된 사진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처리부(216)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처리부(216)는 사진 입력부(211)를 통해 수신된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유 요청을 "눈만들기"라고 호칭한다. 일 예로서, 사용자 입력 처리부(216)는 사진 입력부(211)를 통해 수신된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할 수 있도록 사진 호출부(212)에 전달할 수 있다.
사진 호출부(212)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하고, SNS 서버(12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한다. 일 실시예로서 사진 호출부(212)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하고, SNS 서버(12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여 사용자 기기(110) 상에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 실시예로서, 도 3과 같이 사용자의 공유 요청된 사진(310)이 있는 경우, 사진 호출부(212)는 공유 요청된 사진(310)과 관련된 호출된 사진(320)을 사용자 기기(110)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처리부(216)는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예, 도 3의 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예, 도 3의 320) 가운데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과 함께 그룹화할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자신의 카메라(111)로 촬영한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사진(320)을 함께 그룹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그룹화를 "눈덩이 만들기"라고 호칭한다. 사용자는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자신이 촬영한 사진(310)을 연관성이 있는 다른 사진과 함께 그룹화하여 SNS 상에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눈덩이 만들기가 된 사진이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도 공유 요청된 사진(310)을 클릭하면, 공유 요청된 사진(310)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그룹화된 다른 사진들을 함께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게시부(214)는 만일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 중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320a)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320a)을 그룹화하여 게시하고, 만일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단지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만을 게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시로서, 게시부(214)는 만일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 중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320a)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320a)을 그룹화하여 사용자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도시하도록 CPU(112)에 명령할 수 있고, 만일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단지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만을 사용자 기기(110)의 디스플레이에 도시하도록 CPU(112)에 명령할 수 있다.
태그 처리부(215)는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그 처리부(215)는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a)과 함께 그룹화되는지에 기초하여 상이한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태그는 일 예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의 적어도 일부분에 410, 420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그 처리부(215)는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a)과 함께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그룹화되는 경우 눈덩이 모양의 태그(미도시)를 사진에 표시할 수 있고,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a)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모양의 태그(예컨대, 410, 420)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진 호출부(212)는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SNS 서버(120)로부터 요청한 사진(3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을 호출하고, 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은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는 위치 입력부(213)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와 근접한 곳에서 촬영된 다른 사진들을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그룹화하여 함께 공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예, 10m, 30m, 50m) 내에서 촬영된 다른 사진들을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그룹화하여 함께 공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진 호출부(212)는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할 때,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과 함께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를 송신할 수 있고,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되어 SNS 서비스 상에 공유된 사진을 사용자 기기(11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하여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 근방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320a)을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그룹화하여 함께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본인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도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310)은 물론이고 이와 함께 해당 위치 근방에서 다른 사람이 촬영했던 다양한 사진들을 함께 볼 수 있게 되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진은 같은 피사체에 대해 촬영하더라도 촬영하는 각도와 구도, 촬영하는 시점(예, 낮, 밤, 새벽 등), 계절(예, 봄, 여름, 가을, 겨울), 촬영하는 기기의 카메라 성능(예, 화소수, 렌즈의 성능), 촬영자의 촬영 숙련도, 날씨 등 매우 다양한 요소들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결과물이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한 사진(310)뿐만 아니라 사진(310)과 근거리에서 이전에 본인이나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촬영된 사진(320)을 함께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지역이나 피사체에 대해 매우 풍부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이나 피사체에 대한 다양한 시선들을 공유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진 호출부(212)는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할 때,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과 함께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를 송신할 수 있고,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을 사용자 기기(11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사진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들 중 가장 최근에 촬영된 사진들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들 중 다른 사용자들이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가장 많이 그룹화를 했던 사진들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들을 제공할 때 미리 결정된 갯수(예, 3개, 10개, 20개)의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들을 갯수의 제한없이 모두 제공할 수 있다. SNS 서버(120)는 호출 요청에 따라 사진을 사용자 기기(110)에 제공할 때 통신 부하를 최적화하기 위해 해상도가 조정된 사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컨대 섬네일 크기의 저해상도의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태그 처리부(215)는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는 경우, 사진 입력부(211)에 사진을 제공하는 카메라(111)가 사진 처리부(200)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의 카메라(111a)인지 아니면 사용자 기기(110)의 후면부의 카메라(111b)인지에 따라 상이한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태그 처리부(215)는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는 경우, 사진 입력부(211)에 사진을 제공하는 카메라(111)가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의 카메라(111a)일 때 420과 같은 태그를 사진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진 입력부(211)에 사진을 제공하는 카메라(111)가 사용자 기기(110)의 후면부의 카메라(111b)일 때 410과 같은 태그를 사진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후면부의 카메라(111b)에 대응하는 태그(410)는 눈동자 모양일 수 있고, 전면부의 카메라(111a)에 대응하는 태그(420)는 "S(Self)" 모양일 수 있다.
사진처리부(200)는 신원 확인부(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원 확인부(217)는 사용자가 SNS 서비스에 로그인하는데 사용된 개인 정보가 사용자 기기(110)의 정보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SNS 서버(120)가 제공하는 SNS 서비스는 최초에 사용자 가입을 받을 때, SNS 서버(120)는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패스워드와 연관하여 사용자 기기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에 사용자가 특정 기기 상에서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로그인을 한 경우, 현재 로그인을 위해 사용된 상기 특정 기기의 식별정보가 이전에 저장된 사용자 기기 식별정보에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갖는다. 이를 위해, 신원 확인부(217)는 사용자가 SNS 서비스에 로그인하는 경우 해당 로그인을 위해 사용된 사용자 아이디와 현재 사용 기기의 식별정보를 SNS 서버(120)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아이디와 현재 사용 기기의 식별정보가 SNS 서버(120) 상에 저장된 내용과 일치하는지 질의하는 절차를 가질 수 있다. SNS 서버(120)는 이러한 질의에 응답하여 신원 확인부(217)에 일치 여부에 대해 통지할 수 있다.
만일 SNS 서비스에 로그인하는데 사용된 개인 정보(예, 사용자 아이디)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정보(예, 사용자 기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태그 처리부(215)는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고, 만일 SNS에 로그인하는데 사용된 개인 정보가 사용자 기기의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태그 처리부(215)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로그인 아이디가 사용자의 기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공유 요청한 사진(310)에 대해 태그(예, 410, 420)를 표시함으로써,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SNS 서비스 상에 공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누군가가 자신의 기기가 아닌 다른 사람의 기기(예, 스마트폰)에 로그인하여 다른 사람이 미리 찍은 사진에 대해 SNS 상에 공유하는 경우, 로그인 아이디가 사용자 기기 식별정보에 대응하지 않기에, 공유된 사진에는 태그가 표시되지 않으며, 그 결과 누구든지 해당 사진이 무단으로 도용된 사진임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1차적으로는 사용자들이 이러한 무단 도용을 자발적으로 시도하지 않는 효과를 얻게 할 수 있고, 2차적으로는 SNS 관리자나 해당 저작물의 저작권자가 관련된 조치(예, 저작권 침해 경고, 게시물 삭제 등)를 쉽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진의 무단 도용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만일 다른 사용자의 사진을 자신의 SNS 홈페이지에 공유하기 원하는 경우, 합법적으로 눈덩이 굴리기 기능을 통해 자신의 사진(310)과 그룹화하여 공유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얼마든지 합법적으로 자유롭게 다른 사람의 사진을 자신의 사진과 함께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눈덩이 굴리기 기능을 통해 그룹화된 사진들에는 역시 태그를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타인의 사진인 것을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게시부(214)는 사용자가 사진을 공유하기로 하는 요청이 있는 경우, 공유 요청된 사진의 촬영 시간(예, 2017년 1월 1일 15:03)이 공유 요청된 시간(2017년 1월 1일 15:04)의 미리 결정된 범위 내(예, 1분, 3분, 5분, 10분)에 있는 경우에만 사진을 게시하도록 허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누군가가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다운로드하여 이를 자신의 SNS 상에 공유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신원 확인부(217)를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 아이디와 로그인한 기기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이나, 또는 게시부(214)를 통해 사진 공유 요청 시간과 해당 사진 촬영 시간의 비교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통해, 누군가가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도용하여 SNS 상의 자신의 사진인 것처럼 공유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SNS 서비스는 사용자들에게 자신의 사진이 무단으로 도용되는 것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없애도록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자유롭게 자신의 사진을 공유하도록 장려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SNS 서비스가 활성화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태그 처리부(215)는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에 표시된 태그를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기초하여 다른 태그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a)과 함께 그룹화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태그는 그룹화됨을 의미하는 눈덩이로 변경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로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a)과 함께 그룹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태그는 410 또는 420과 같은 태그로 변경될 수 있다.
사진처리부(200)는 보상부(2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218)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자신이 촬영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상부(218)는 자신의 사진이 다른 사용자에 의해 그룹화를 통해 공유되는 경우, 환가가능한 포인트 또는 환가불가한 포인트의 형태로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통해 1차적으로는 사용자들이 보다 활발히 자신의 사진을 SNS 서비스에 공유하도록 하고, 2차적으로 공유된 사진들 중에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그룹화를 통해 공유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SNS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하여 SNS 서비스 상에 업로드하는 사진들 중에 다른 사용자가 눈덩이 굴리기를 통해 그룹화하여 공유하도록 사용을 허락하는 사진을 지정할 수 있고, 이처럼 공유가 허락된 사진들에 한해 SNS 서비스는 사용자들에게 눈덩이 굴리기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진의 무단 도용을 추가적으로 금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방법(500)에 대한 흐름도이다.
방법(500)은 카메라(111)로부터 입수된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510)를 포함한다. 단계(510)를 위해 사진 입력부(211)는 카메라(111)로부터 입수된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111)는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카메라(111)는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에 존재하거나 후면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존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의 카메라(111a)를 통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기기(110)의 후면부의 카메라(111b)를 통해 자신이 바라보는 시점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사진 입력부(211)는 전면부의 카메라(111a) 또는 후면부의 카메라(111b)에서 촬영된 사진을 수신하여 사진처리부(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방법(500)은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5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20)를 위해 위치 입력부(213)는 사진 입력부(211)를 통해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위치 입력부(213)는 GNSS 모듈(114)을 통해 결정된 사진 촬영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GNSS 모듈(114)은 사용자 기기(11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GNSS 모듈(114)은 사용자 기기(110)가 정지 상태에 있든지, 이동 상태에 있든지에 관계없이 사용자 기기(11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GNSS 모듈(114)은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110)의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한 순간의 사용자 기기(110)의 위치를 측정하여 촬영된 사진에 대한 메타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촬영된 사진마다 대응하는 촬영 위치를 가질 수 있다. 특별히 위치 입력부(213)는 카메라(111)로부터 사진 입력부(211)를 통해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위치 입력부(213)는 사진 입력부(212)를 통해 수신된 사진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메타데이터는 관련된 사진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500)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을 입력을 받는 단계(5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30)를 위해 사용자 입력 처리부(216)는 사진 입력부(211)를 통해 수신된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서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 입력 처리부(216)는 사진 입력부(211)를 통해 수신된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할 수 있도록 사진 호출부(212)에 전달할 수 있다.
방법(500)은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5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500)은 SNS 서버(120)로부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을 호출하는 단계(5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40)를 위해 사진 호출부(212)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550)를 위해 사진 호출부(212)는 SNS 서버(12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진 호출부(212)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하고, SNS 서버(12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여 사용자 기기(110) 상에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 실시예로서, 도 3과 같이 사용자의 공유 요청된 사진(310)이 있는 경우, 사진 호출부(212)는 공유 요청된 사진(310)과 관련된 호출된 사진(320)을 사용자 기기(110)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550)는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SNS 서버(120)로부터 상기 요청한 사진(3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은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며,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는 상기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520)에 따라 입력된 위치에 기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진 호출부(212)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하고, SNS 서버(12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한다. 일 실시예로서 사진 호출부(212)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하고, SNS 서버(12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여 사용자 기기(110) 상에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 실시예로서, 도 3과 같이 사용자의 공유 요청된 사진(310)이 있는 경우, 사진 호출부(212)는 공유 요청된 사진(310)과 관련된 호출된 사진(320)을 사용자 기기(110)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진 호출부(212)는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SNS 서버(120)로부터 요청한 사진(3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을 호출하고, 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은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는 위치 입력부(213)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와 근접한 곳에서 촬영된 다른 사진들을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그룹화하여 함께 공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예, 10m, 30m, 50m) 내에서 촬영된 다른 사진들을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그룹화하여 함께 공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진 호출부(212)는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할 때,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과 함께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를 송신할 수 있고,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을 사용자 기기(11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하여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근거리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320a)을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그룹화하여 함께 공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본인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도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310)은 물론이고 이와 함께 해당 위치 근방에서 다른 사람이 촬영했던 다양한 사진들을 함께 볼 수 있게 되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진은 같은 피사체에 대해 촬영하더라도 촬영하는 각도와 구도, 촬영하는 시점(예, 낮, 밤, 새벽 등), 계절(예, 봄, 여름, 가을, 겨울), 촬영하는 기기의 카메라 성능(예, 화소수, 렌즈의 성능), 촬영자의 촬영 숙련도, 날씨 등 매우 다양한 요소들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결과물이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한 사진(310)뿐만 아니라 사진(310)과 근거리에서 이전에 본인이나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촬영된 사진(320)을 함께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지역이나 피사체에 대해 매우 풍부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이나 피사체에 대한 다양한 시선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진 호출부(212)는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할 때,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과 함께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를 송신할 수 있고,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을 사용자 기기(11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사진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들 중 가장 최근에 촬영된 사진들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들 중 다른 사용자들 가장 많이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그룹화를 했던 사진들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들을 제공할 때 미리 결정된 갯수(예, 3개, 10개, 20개)의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SNS 서버(120)는 공유 요청이 있는 사진(310)이 촬영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서 이전에 촬영된 사진들을 갯수의 제한없이 모두 제공할 수 있다. SNS 서버(120)는 호출 요청에 따라 사진을 사용자 기기(110)에 제공할 때 해상도가 조정된 사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컨대 섬네일 크기의 저해상도의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방법(500)은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 가운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과 함께 그룹화할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a)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5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 처리부(216)는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예, 도 3의 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예, 도 3의 320) 가운데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과 함께 그룹화할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자신이 자신의 카메라(111)로 촬영한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사진(320)을 함께 그룹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자신이 촬영한 사진(310)을 연관성이 있는 다른 사진과 함께 그룹화하여 SNS 상에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눈덩이 만들기가 된 사진이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도 공유 요청된 사진(310)을 클릭하면, 공유 요청된 사진(310)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그룹화된 다른 사진들을 함께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방법(500)은 만일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320a)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320a)을 그룹화하여 게시하고,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만(310)을 게시하는 단계(5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시부(214)는 만일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 중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320a)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320a)을 그룹화하여 게시하고, 만일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단지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만을 게시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게시부(214)는 만일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 중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320a)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320a)을 그룹화하여 사용자 기기(11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 도시하도록 CPU(112)에 명령할 수 있고, 만일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단지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만을 사용자 기기(110)의 디스플레이에 도시하도록 CPU(112)에 명령할 수 있다.
방법(500)은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는지에 기초하여 상이한 태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태그 처리부(215)는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그 처리부(215)는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a)과 함께 그룹화되는지에 기초하여 상이한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태그는 일 예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의 적어도 일부분에 410, 420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그 처리부(215)는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a)과 함께 눈덩이 만들기를 통해 그룹화되는 경우 눈덩이 모양의 태그(미도시)를 사진에 표시할 수 있고,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a)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모양의 태그(예컨대, 410, 420)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계(580)는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는 경우, 사진을 제공하는 카메라(111)가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의 카메라(111a)인지 아니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후면부(111b)의 카메라인지에 따라 상이한 태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태그 처리부(215)는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는 경우, 사진 입력부(211)에 사진을 제공하는 카메라(111)가 사진 처리부(200)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의 카메라(111a)인지 아니면 사용자 기기(110)의 후면부의 카메라(111b)인지에 따라 상이한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태그 처리부(215)는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는 경우, 사진 입력부(211)에 사진을 제공하는 카메라(111)가 사용자 기기(110)의 전면부의 카메라(111a)일 때 420과 같은 태그를 사진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진 입력부(211)에 사진을 제공하는 카메라(111)가 사용자 기기(110)의 후면부의 카메라(111b)일 때 410과 같은 태그를 사진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후면부의 카메라(111b)에 대응하는 태그(410)는 눈동자 모양일 수 있고, 전면부의 카메라(111a)에 대응하는 태그(420)는 "S(Self)" 모양일 수 있다.
단계(580)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원 확인부(217)는 사용자가 SNS 서비스에 로그인하는데 사용된 개인 정보가 사용자 기기(110)의 정보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SNS 서버(120)가 제공하는 SNS 서비스는 최초에 사용자 가입을 받을 때, SNS 서버(120)는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패스워드와 연관하여 사용자 기기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후에 사용자가 특정 기기 상에서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로그인을 한 경우, 현재 로그인을 위해 사용된 상기 특정 기기의 식별정보가 이전에 저장된 사용자 기기 식별정보에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갖는다. 이를 위해, 신원 확인부(217)는 사용자가 SNS 서비스의 로그인하는 경우 해당 로그인을 위해 사용된 사용자 아이디와 현재 사용 기기의 식별정보를 SNS 서버(120)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아이디와 현재 사용 기기의 식별정보가 SNS 서버(120) 상에 저장된 내용과 일치하는지 질의하는 절차를 가질 수 있다. SNS 서버(120)는 이러한 질의에 응답하여 신원 확인부(217)에 일치 여부에 대해 통지할 수 있다. 만일 SNS 서비스에 로그인하는데 사용된 개인 정보(예, 사용자 아이디)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정보(예, 사용자 기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태그 처리부(215)는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고, 만일 SNS에 로그인하는데 사용된 개인 정보가 사용자 기기의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태그 처리부(215)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로그인 아이디가 사용자의 기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공유 요청한 사진(310)에 대해 태그(예, 410, 420)를 표시함으로써,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SNS 서비스 상에 공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누군가가 자신의 기기가 아닌 다른 사람의 기기(예, 스마트폰)에 로그인하여 다른 사람이 찍은 사진에 대해 SNS 상에 공유하는 경우, 로그인 아이디가 사용자 기기 식별정보에 대응하지 않기에, 공유된 사진에는 태그가 표시되지 않으며, 그 결과 누구든지 해당 사진이 무단으로 도용된 사진임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1차적으로는 사용자들이 이러한 무단 도용을 자발적으로 시도하지 않는 효과를 얻게 할 수 있고, 2차적으로는 SNS 관리자나 해당 저작물의 저작권자가 관련된 조치(예, 저작권 침해 경고, 게시물 삭제 등)를 쉽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진의 무단 도용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계(570)는 공유 요청된 사진(310)의 촬영 시간과 공유 요청된 시간이 서로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만 게시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시부(214)는 사용자가 사진을 공유하기로 하는 요청이 있는 경우, 공유 요청된 사진의 촬영 시간(예, 2017년 1월 1일 15:03)이 공유 요청된 시간(2017년 1월 1일 15:04)의 미리 결정된 범위 내(예, 1분, 3분, 5분, 10분)에 있는 경우에만 사진을 게시하도록 허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누군가가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다운로드하여 이를 자신의 SNS 상에 공유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신원 확인부(217)를 통해 사용자의 로그인 아이디와 로그인한 기기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이나, 또는 게시부(214)를 통해 사진 공유 요청 시간과 해당 사진 촬영 시간의 비교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통해, 누군가가 타인의 사진을 무단으로 도용하여 SNS 상의 자신의 사진인 것처럼 공유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SNS 서비스는 사용자들에게 자신의 사진이 무단으로 도용되는 것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없애도록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자유롭게 자신의 사진을 공유하도록 장려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SNS 서비스가 활성화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방법(500)은 추가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자신이 촬영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5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상부(218)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자신이 촬영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상부(218)는 자신의 사진이 다른 사용자에 의해 그룹화를 통해 공유되는 경우, 환가가능한 포인트 또는 환가불가한 포인트의 형태로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통해 1차적으로는 사용자들이 보다 활발히 자신의 사진을 SNS 서비스에 공유하도록 하고, 2차적으로 공유된 사진들 중에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그룹화를 통해 공유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SNS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하여 SNS 서비스 상에 업로드하는 사진들 중에 다른 사용자가 눈덩이 굴리기를 통해 그룹화하여 공유하도록 사용을 허락하는 사진을 지정할 수 있고, 이처럼 공유가 허락된 사진들에 한해 SNS 서비스는 사용자들에게 눈덩이 굴리기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진의 무단 도용을 추가적으로 금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도 2의 사진처리부(200)의 구성들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의 방법(500)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카메라(111)로부터 입수된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을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SNS 서버(120)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12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단계 ― 상기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은 상기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며,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는 상기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에 따라 입력된 위치에 기초함 ―,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 가운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할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320)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320a)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320a)을 그룹화하여 게시하고,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310)을 게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310)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는지에 기초하여 상이한 태그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은 예시적인 접근방식들의 예시임을 이해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초하여, 방법의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은 재배열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추가로, 몇몇 단계들은 결합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예시적인 순서로 제시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은 이 분야의 임의의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쉽게 명백하게 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여기에 도시된 양상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문언 청구범위에 일치하는 최광의의 범위가 부여되어야 할 것이며, 여기서 단수형 엘리먼트의 참조는 특별히 그렇게 기술되지 않는 한, "하나 및 단지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특정하여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용어 "일부"는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지칭한다.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거나 후에 알려질 수 있는 본 개시사항 전체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들이 인용에 의해 명시적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며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아울러, 본 명세서의 어떠한 개시내용도 이러한 개시가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인용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공중(public)에 부여된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위한 수단" 문구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엘리먼트가 인용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범위의 엘리먼트도 수단 플러스 기능(means plus function)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7)

  1.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입수된 사진을 수신하는 사진 입력부;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는 위치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사진을 SNS(Social Network Service)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을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사진 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가운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할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장치는,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을 그룹화하여 게시하고,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을 게시하는 게시부;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는지에 기초하여 상이한 태그를 표시하는 태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진 호출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고, 상기 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은 상기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며,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는 상기 위치 입력부를 통해 수신하는,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진 입력부에 사진을 제공하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의 전면부의 카메라인지 아니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후면부의 카메라인지에 따라 상이한 태그를 표시하는,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원 확인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SNS에 로그인하는데 사용된 개인 정보가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의 정보에 대응하는지 확인하며,
    만일 상기 SNS에 로그인하는데 사용된 개인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태그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고,
    만일 상기 SNS에 로그인하는데 사용된 개인 정보가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정보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태그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지 않는,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표시된 태그를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기초하여 다른 태그로 변경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건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된 상태로 변경된 것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는 상태로 변경된 것을 포함하는,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자신이 촬영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부를 포함하는,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6.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카메라로부터 입수된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을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단계 ― 상기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은 상기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며,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는 상기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에 따라 입력된 위치에 기초함 ―;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가운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할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을 그룹화하여 게시하고,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을 게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는지에 기초하여 상이한 태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방법.
  7.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카메라로부터 입수된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신된 사진을 SNS 상에 공유하겠다는 요청을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을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단계 ― 상기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사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진은 상기 사용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사진이며,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촬영된 위치는 상기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에 따라 입력된 위치에 기초함 ―;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가운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과 함께 그룹화할 적어도 하나의 사진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있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 및 상기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을 그룹화하여 게시하고, 만일 상기 사용자의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과 관련하여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사진 중 상기 사용자가 그룹화하기로 선택한 사진이 없는 경우, 상기 공유 요청이 있었던 사진을 게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에 대해 태그를 표시하되, 상기 공유하기로 요청한 사진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과 함께 그룹화되는지에 기초하여 상이한 태그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170024004A 2017-02-23 2017-02-23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97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004A KR20180097257A (ko) 2017-02-23 2017-02-23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004A KR20180097257A (ko) 2017-02-23 2017-02-23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257A true KR20180097257A (ko) 2018-08-31

Family

ID=6340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004A KR20180097257A (ko) 2017-02-23 2017-02-23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2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1002B2 (en) Method of modifying image including photographing restricted element, and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0007798B2 (en) Method for managing privacy of digital images
US100958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photographic image data
US9058501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media item privacy settings
US8510855B2 (en) Image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are excellent in user location information security, and storage medium
US20110292231A1 (en) System for managing privacy of digital images
US9917892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D-HOC resource selection
TWI673682B (zh) 含有攝影限制元件的影像修正方法、用於執行該方法的裝置及系統
WO2012112449A1 (en) Automatic event recognition and cross-user photo clustering
TW201727582A (zh) 在行動裝置中到影像相關應用程式的進入點
TWI649664B (zh)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and program for recording an operation by an image
Valli et al. Geotagging Where Cyberspace Comes to Your Place.
JP6296270B2 (ja) 現場管理システム
CN105069718B (zh) 基于移动物联网的智慧国土不动产自助监测方法和系统
US11720224B2 (en) Data storage using image objects shown in a real-time view
US10639224B2 (en) Message display apparatus, a message display method, and a message display program
KR20180097257A (ko) 사진에 태그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JP5921233B2 (ja) 画像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A3086381A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ossible taking of screenshots
JP2009294767A (ja) 評価装置、評価方法、評価プログラムおよび評価システム
JP5743017B2 (ja) 画像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583617B1 (ko) 포토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US202001599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secure access to a photograph over a social networking platform
US9930505B2 (en) Retrieval of digital content related to unavailable digital content
JP735907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