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090A - Knob assembly having display device using wirelee power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Knob assembly having display device using wirelee power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090A
KR20180097090A KR1020170023775A KR20170023775A KR20180097090A KR 20180097090 A KR20180097090 A KR 20180097090A KR 1020170023775 A KR1020170023775 A KR 1020170023775A KR 20170023775 A KR20170023775 A KR 20170023775A KR 20180097090 A KR20180097090 A KR 20180097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ring
wireless power
displa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7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5703B1 (en
Inventor
하연식
김환용
이성훈
임재남
정병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703B1/en
Publication of KR2018009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0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7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7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75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using inductive coupling
    • H04B5/24
    • H04B5/79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b assembly of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knob assembly which has a display machine t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heating power or timer time, wherein the display machine is provided with power and a signal through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b assembly comprises: a knob handle coupled to a control shaft to control heating power; a knob ring covering surroundings of the knob handle, arranged to penetrate through a front panel, independently rotating with the knob handle, and provided with the display machin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fixated to the front panel;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fixated to the knob ring to receive the power and the signal to drive the display machine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Description

무선 전력 통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KNOB ASSEMBLY HAVING DISPLAY DEVICE USING WIRELEE POWER TRANSMISS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b assembly having a display unit using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력 또는 타이머 시간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기를 노브 조립체에 구비하되, 상기 디스플레이기가 무선 전력 통신으로 전력과 신호를 전달받는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b assembly of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ob assembly having a knob assembly with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fire power or timer time,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A cooking device is one of household appliances for cooking food, and is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to cook foo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Such cooking device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heat source or type used and the type of fuel.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cooktop), 홉 등이 있다.Cooking equipment can be classified into open type and closed type cooking equip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pace where food is placed. There are ovens and microwave ovens in the closed type cooking devices, and cooktops and hops in the open type cooking devices.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그리고 개방형 조리기기는, 개방된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기 용기가 위치하고, 음식물 또는 음식물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A closed type cooking device is a cooking device that shields a space where food is placed and cooks food by heating a shielded space. The open type cooking device is a cooking device in which a food or food container is placed in an open space and a food or food container is heated to cook food.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The closed type cook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which is a space that is shielded when the food is placed and food is to be cooked. Such a cooking chamber becomes a space where food is substantially cooked. A heat source is provided in the inside or outside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to heat the cooking chamber.

근래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와 개방형 조리기기가 동시에 설치되어 다수의 열원이 조합되면서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복합조리기기가 제안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a closed type cooking device and an open type cooking device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and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re combined to provide various cooking utensils and a plurality of foods simultaneously.

복합조리기기에서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상측에 개방형 조리기기가 위치된다. 또한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히터 또는 버너가 설치되어 동시에 다수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In the combined cooking device, an open cooking device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osed cooking device. Also, the open cook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ers or burners, and is installed so that a large number of dishes can be cooked at the same time.

사용자가 바비큐 요리나 제빵 등과 같은 오븐요리, 육류나 어류의 구이요리를 할 때에는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게 되고, 음식물을 용기에 담아서 가열하는 일반요리를 할 때는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개방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하게 된다.When a user makes an oven such as a barbecue or a baking, or grills a meat or a fish, the user uses a closed cooking device to cook the food. When the user puts food into a container and heats the food, I cook with the device.

개방형 조리기기 중 대표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은, 가스레인지 형태의 개방형 조리기기로서, 가스가 연소할 때 발생되는 화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Among open type cooking devices, an open type cooking device in the form of a gas range is widely used, and is a device for cooking food using a flame generated when the gas is burned.

사용자가 이러한 조리기기의 화염의 세기를 조절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노브를 사용하여 노브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화력을 조절하는 방식이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노브는 가스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밸브와 연결되어 기계식으로 밸브의 개폐량을 제어하기도 하였으며, 최근에는 노브의 회전량을 전자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밸브의 개폐량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방식도 적용되고 있다.There are various ways in which the user controls the intensity of the flame of the cooking applianc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firepower by adjust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knob using a knob rotating around a predetermined rotation axis is widely used. This knob is connected to a valv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flow of gas to mechanical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valve. In recent year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knob is electronically measured, and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is electronically controlled Is also applied.

오븐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또는 복합 조리기기의 경우 타이머 시간,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기도 한다. 장시간 조리가 필요한 오븐의 경우 타이머 기능을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며, 다이얼 방식의 타이머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으나, 별도의 디스플레이기를 통하여 조리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In the case of a cooking appliance or an integrate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n oven,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timer time, an operation state,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A timer function is indispensable for an oven requiring long time cooking, and a state in which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displayed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is provided even though the dial type timer is provided.

동일한 쿡탑을 구비하는 경우라고 하더라고, 가스 레인지 만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기가 필수적이 아니나, 가스 오븐 레인지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기가 필수적이 되고, 또한 복합 조리기기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기가 필수적으로 여겨지고 있다.A display device is not essential in the case of having only the gas cooker but a display device is necessary in the case of the gas oven range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the complex cooking device have.

그런데, 개별 제품별로 표시하는 정보가 달라지게 되므로,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의 디자인, UI 등을 별도로 개발하고 있었다.However, since the information displayed for each individual product is different, the design of the display screen and the UI have been separately developed.

본 발명은 노브 조립체에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여, 필요한 정보가 노브 조립체에 표시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디스플레이기가 필요치 않으며, 다양한 조리기기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ob assembly having a display unit on a knob assembly so that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knob assembly, so that a separate display unit is not required, and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various cooking apparatuses.

또한, 노브 조립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가 무선 전력 통신으로 전력과 신호를 공급받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에도 단선의 우려가 없고 외관상 배선이나 배선을 위한 관통공이 시인되지 않도록 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lso, since the display provided in the knob assembly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power and signals are supplied through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there is no fear of disconnection even in repeated use, and a knob assembly for preventing visible through holes for wiring and wiring is provided .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기기의 화력을 조절하는 노브 손잡이의 주변에 독립적으로 조작 가능한 노브 링을 구비하여 상기 노브 링을 이용하여 화력 이외에 타이머 시간 조절과 같은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노브 링에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nob ring that can be independently operated around a knob handle for controlling a thermal power of a cooking appliance so that operation such as timer time adjustment other than a thermal power can be performed using the knob ring, And a knob assembly including the knob 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노브 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기가 무선 전력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과 신호를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상기 노브 링의 반복적인 조작에도 배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전면 패널에 배선이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knob ring to receive power and a signal using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so that wiring is not damaged even in repetitive operation of the knob ring, The knob assembly compris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븐을 포함하는 복합 조리 기기 등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nob assembly that can be applied to a general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n ove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축에 결합되는 노브 손잡이; 상기 노브 손잡이의 주변을 감싸며, 전면 패널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브 손잡이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는 노브 링; 상기 전면 패널에 고정되는 무선 전력 송신부; 및 상기 노브 링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과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ob handle, comprising: a knob handle coupled to a control shaft for controlling a thermal power; A knob ring surrounding the knob handle and disposed to penetrate the front panel, the knob ring being independently rotatable with the knob handle and having a display;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fixed to the front panel;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fixed to the knob ring and receiving power and a signal for driving the display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로 전력과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 코일과, 상기 송신 코일에 교류 전원을 제공하는 인버터와, 상기 디스플레이기에 표시될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변조하는 변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transmission coil for transmitting power and a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unit, an inverter for providing an AC power to the transmission coil, and an inverter for receiving the signal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modulation control unit for 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코일로부터 전력과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의 전류를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기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정류기와, 상기 수신 코일에 인가된 교류 전원에서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감지부와, 상기 신호 감지부에서 추출된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기로 전달하는 복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includes a receiving coil for receiving power and a signal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 rectifier for converting a current of the receiving coil to provide driving power for the display device, And a demodulation control unit for demodulating the signal extra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정류기에서 제공되는 구동전원을 안정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기로 제공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gulator that stabilizes the driving power provided by the rectifier and provides the stabilized driving power to the display device.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는 수신 코일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가 실장되는 수신 회로기판과,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수신 회로기판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coil, a receiving circuit board on which the display driving circuit is mounted, and a magne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receiving coil and the receiving circuit board.

그리고, 상기 노브 링의 조작을 감지하는 노브 링 엔코더와, 상기 노브 손잡이의 조작을 감지하는 노브 엔코더를 더 포함하여, 상기 노브 엔코더에서 감지된 화구의 출력과, 상기 노브 링 엔코더의 조작으로 설정된 타이머 시간이 상기 디스플레이기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knob ring encoder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knob ring and a knob encoder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knob handle so that an output of the crane detected by the knob encoder, So that the tim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상기 노브 링은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 링 본체와, 상기 노브 링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며 관통되는 조절 축을 지지하는 지지홀을 구비하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에 결합되며 상기 조절 축을 지지하는 지지관과, 상기 배면판에 결합되는 서포트 링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knob ring includes a knob ring body forming an outer tube, a back plate having a support hole coupled to a back surface of the knob ring body and supporting an adjustment shaft penetrating therethrough,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back plate, And a support ring coupled to the back plate.

이 때,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는 상기 배면판 또는 상기 서포트 링에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may be fixed to the back plate or the support ring.

또한, 상기 전면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링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A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front panel and suppor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ing; And a fixing fram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upport ring,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may be fixed to the support frame or the fixed frame.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는 노브 손잡이의 둘레에 독립적으로 조작이 가능한 노브 링을 구비하되, 상기 노브 링에 디스플레이기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노브 링의 조작을 통하여 해당 버너 또는 오븐 등의 조리기의 타이머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화력과 타이머 시간을 상기 디스플레이기에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ob ring that can be independently operated around a knob handle. By disposing a display device on the knob ring, the timer time of the cooker of the burner or the oven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knob ring And the set firepower and the timer ti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또한, 상기 노브 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기가 무선 전력 통신을 이용하여 전력과 신호를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배선이 전면 패널을 관통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한다. Further, the display device disposed in the knob ring receives power and signals using wireless power communication, there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the wiring does not pass through the front panel.

따라서, 배선을 노브 링에 연결할 필요 없이 노브링을 장착하는 것으로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반보적으로 조작되는 노브 링에 배선이 연결되지 않음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배선이 손상될 우려가 없어 내구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가져온다.Therefore, since the assembly is completed by mounting the knob ring without connecting the wiring to the knob ring, the assembling property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wiring is not connected to the knob ring operated in a repetitive manner, the wiring is not damaged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durability is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는 가스 레인지 뿐만 아니라 오븐 레인지, 인덕션 레인지, 전기 레인지 등을 포함하는 복합 조리기기에 범용 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다양한 조리기기들에 부품 공용화가 가능한 효과를 가져온다.In addition, 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not only to a gas range but also to an integrated cooking device including an oven range, an induction range, an electric range, and the like, thereby enabling components to be used in various cooking devices.

도 1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무선 전력 송수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무선 전력 수신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무선 전력 송수신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무선 전력 송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무선 전력 송수신부의 신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노브 링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노브 엔코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separate display unit.
2 is a front view of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knob assembly is separ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ceiver of a knob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of the knob assembly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of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f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n exemplary signal of a wireless power transceiver of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illustrating a knob ring of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nob encoder of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prelimi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shall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separate display unit.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을 구비하는 조리기기(10)는 전면에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11)과 타이머 시각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12)와, 조리기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기(15)와, 별도의 조작을 위한 스위치(16)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oking apparatus 10 having the oven includes a knob 11 for adjusting the thermal power, a knob 12 for adjusting the time of the timer, and a display device 15, and a switch 16 for separate operation.

오븐의 경우 장기간 조리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서, 오븐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가 필수적으로 생각되고 있다.In the case of an oven, it is often necessary to prepar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refore, a timer for sett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oven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또한, 디자인의 통일성과 조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11)와 타이머 시각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12)는 회전식 스위치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For uniformity of design and convenience of operation, a rotary switch is widely applied to the knob 11 for adjusting the thermal power and the knob 12 for adjusting the time of the timer.

디스플레이기(15)에는 조리기기의 조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기(15)에 표시되는 정보로는 버너의 출력(온도)와 타이머 시각, 자동조리 기능의 조리 모드 등이 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5 serves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oking device and the lik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5 may be the output (temperature) of the burner, the timer time, the cooking mode of the automatic cooking function, and the like.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의 화구의 구성이 달라지거나, 제품의 사양이 변경되면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기(15)에 표시되는 정보나 UI등이 변경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기를 개별적으로 설계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cooking appliance is changed, or when the specification of the product is changed, the information or the UI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5 is changed accordingly, .

또한,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11)와 타이머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놉(12)가 동일한 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디자인의 측면에서는 우수하나 사용자의 편의성을 측면에서 어떤 노브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 지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Also, since the knob 11 for adjusting the firepower and the knob 12 for setting the timer time have the same shape, it is excellent in terms of design, bu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knob performs which function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intuitively.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조리기기의 화력을 조절하는 노브 손잡이와, 조리기기의 타이머 시각 등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 링을 포함하되, 노브 링에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디자인이 우수하며, 부품 공용화의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는 노브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knob handle for adjusting a thermal power of the cooking apparatus, and a knob ring for adjusting the timer time of the cooking apparatus, wherein the knob ring includes a display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ob assembly that is excellent in design and has advantages in terms of component sharin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노브 손잡이(110)][Knob Handle (110)]

노브 손잡이(110)는 화력을 조절하기 화력 조절부(190)의 조절 축(194)에 연결된다.The knob handle 110 is connected to the adjustment shaft 194 of the thermal power control unit 190 for controlling the thermal power.

노브 손잡이(110)는 비복귀식 로터리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The knob handle 110 may be configured as a non-return type rotary switch.

비복귀식 로터리 스위치는 노브 손잡이(110)가 사용자가 회전시킨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는 형태이며, 노브 손잡이(110)의 회전된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해당 화구의 출력을 인식할 수 있다.The non-return type rotary switch is a mode in which the knob handle 110 maintains the position rotated by the user, and the user can recognize the output of the crane from the rotated position of the knob handle 110. [

예를 들어, 가스 버너의 경우에는 화력 조절부(190)가 밸브 조립체가 되며, 전기 레인지 또는 인덕션 레인지의 경우에는 화력 조절부(190)가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 조절수단(예를 들면 가변 저항기)이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gas burner, the thermal power control unit 190 may be a valve assembly. In the case of an electric range or an induction range, the thermal power control unit 190 may include an output control means (for example, a variable resistor) .

노브 손잡이(110)는 기본적으로 원형의 모양을 가지며 돌출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형태를 가진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손잡이부가 막대형으로 돌출된 형태이나 손잡이부의 모양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The knob handle 110 is basically a circular shape and has a protruding hand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andle portion is protruded by a bar-like shape, but the shape of the handle por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노브 손잡이(110)는 합성수지 사출 재질로 제조되거나, 금속 재질을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노브 손잡이(110)의 재질과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knob handle 110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injection material or may be manufactured by processing a metal material.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knob handle 110 can be variously modified.

[노브 링(120)][Knob ring (120)]

노브 링(120)은 노브 손잡이(11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노브 손잡이(110) 주변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부품이다.The knob ring 120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knob handle 110 to improve the appearance around the knob handle 110.

기본적으로 노브 링(120)은 노브 손잡이(110)를 지지하는 역할과, 노브 손잡이(110) 주변의 외관을 마감하여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Basically, the knob ring 120 serves to support the knob handle 110 and finish the appearance around the knob handle 110 to improve the appearance quality.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에 있어서 노브 링(120)은 타이머 조작 스위치로서의 역할과, 타이머 시간과 화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b ring 120 serves as a timer operation switch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timer time and the size of the thermal power.

본 발명에 따르면 노브 링(120)이 노브 손잡이(11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노브 링(120)의 조작을 통해서 타이머 시각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브 링(120)에 디스플레이기(123)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기(123)를 통해서 타이머 시각과, 화력의 크기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b ring 120 is rotatable independently of the knob handle 110, so that the timer time can be se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knob ring 120.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display 123 on the knob ring 120 to enable display of the timer time and the size of the thermal power through the display 123.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는 노브 링(120)의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한 노브 링 엔코더(E2)가 구비된다. 노브 링 엔코더(E2)는 후술하는 서포트 링(127)에 구비되는 기어부(G2)의 회전을 감지한다.To this end, a knob ring encoder E2 for detect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knob ring 120 is provided. The knob ring encoder E2 senses the rotation of the gear portion G2 provided in the support ring 12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비 복귀식 노브 손잡이(110)는 노브 손잡이(110)의 위치로부터 해당 화구의 출력을 식별할 수 있으나, 상기 디스플레이기(123)에 해당 화구의 출력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레인지 또는 인덕션 레인지의 경우 제어부로부터 해당 화구의 출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기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스 레인지의 경우 가스 조절축의 조작량을 별도로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조절축(194)의 조작량을 감지하는 노브 엔코더(E1)를 포함하며, 조절축(194)의 변위를 감지하고, 이로부터 해당 화구의 출력을 도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기(123)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non-return knob handle 110 may identify the output of the corresponding crane from the position of the knob handle 110, but the output of the cran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3.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electric range or an induction range, the control unit can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output of the corresponding crater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device. In the case of the gas range, a configuration for separately detecting the operation amount of the gas control shaft is required. For example, a knob encoder E1 that senses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control shaft 194, detects the displacement of the control shaft 194 and derives the output of the corresponding crane, Can be displayed.

디스플레이기(123)에는 화력과 타이머 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3 may display a fire power and a timer time.

디스플레이기(123)에 표시되는 화력은 노브 손잡이(110)의 회전량으로부터 감지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기(123)에 표시되는 타이머 시간은 노브 링(120)의 조작으로부터 감지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thermal power displayed on the display 123 can be sensed and displayed from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knob handle 110 so that the timer time displayed on the display 123 is detected and displayed from the operation of the knob ring 120 can do.

한편, 디스플레이기(123)는 화력을 표시하는 부분과, 타이머 시간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기(123)에서 화력과 타이머 시간이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23 may include a portion for displaying the thermal power and a portion for displaying the timer time. However, as shown in the figure, one display 123 may selectively display the thermal power and the timer time have.

예를 들면, 타이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화력만을 표시하고, 타이머가 설정된 경우에는 화력을 일정시간 표시한 후 타이머 시간을 일정시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imer is not set, only the thermal power is displayed. If the timer is set, the timer can be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thermal power is display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이 때, 화력이 표시될 때의 조명 색상과, 타이머 시간이 표시될 때의 조명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되는 숫자가 화력을 나타낸 것인지, 아니면 타이머 시간을 나타내는 것인지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whether the number of the lighting color when the fire power is displayed and the color of the lighting when the timer time is displayed indicates the fire power or the timer time .

예를 들어, 붉은 색으로는 화력을 표시하고, 백색(또는 청색)으로는 타이머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화력과 타이머가 모두 표시되는 경우에 화력을 2초가 표시한 후, 다음 2초간은 타이머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you can display firepower in red and timer time in white (or blue). If both firepower and timer are displayed, the timer can be displayed for 2 seconds after the firepower is displayed for 2 seconds.

이렇게, 노브 조립체를 통하여 화력과, 타이머 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노브 조립체를 통하여 화력과 타이머 시간을 모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면, 전면 패널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부가 필요치 않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e power and the timer tim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knob assembly, and if the fire power and the timer time can be both displayed through the knob assembly, a separate display unit may not be required on the front panel.

또한, 이러한 노브 조립체의 구조는 오븐을 구비하는 오븐 레인지나 버너만을 포함하는 쿡탑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간에 공용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Further, the structure of such a knob assembly can be applied to both the oven range including the oven and the cooktop including only the burner, and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as a common part among them.

한편, 노브 링(120)에는 서포트 링(127)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knob ring 120 is provided with a support ring 127.

서포트 링(127)은 노브 링(120)의 배면을 구성하는 부품으로, 조리 기기의 내부에 배치된다. 서포트 링(127)에는 기어부(G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부(G2)는 노브 링 엔코더(E1)와 치합된다. 이로부터 노브 링 엔코더(E2)가 노브 링(120)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The support ring 127 is a part constituting the back surface of the knob ring 120 and is disposed inside the cooking apparatus. The support ring 127 may be provided with a gear portion G2 and the gear portion G2 is engaged with the knob ring encoder E1. From this, the knob ring encoder E2 can sense the operation of the knob ring 120. [

[서포트 프레임(140)][Support frame 140]

서포트 프레임(140)은 전면 패널(C)에 결합되어, 노브 링(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노브 손잡이(110)와 노브 링(120)은 전면 패널(C)의 정렬된 위치에 결합되는 것인데, 전면 패널(C)은 금속 박판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면 패널(C)에 홀을 형성하고 그 홀에 대하여 직접 노브 링(120)이 마찰하며 회전하게 되면 노브 링(120)이 절삭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면 패널(C)에 형성된 홀에 정렬되도록 서포트 프레임(140)을 결합한다.The support frame 140 is coupled to the front panel C to support the knob ring 120. The knob handle 110 and the knob ring 120 are coupled to an aligned position of the front panel C, wherein the front panel C is made of a thin metal plate. Therefore, when the front panel C is formed with a hole and the knob ring 120 is directly rubbed against the hole, the knob ring 120 is cut. Therefore, the support frame 140 is engaged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holes formed in the front panel (C).

서포트 프레임(140)은 노브 링(120)에 구비되는 서포트 링(127)의 외경에 대응하는 안내홈이 구비된다. 다시 말해, 서포트 링(127)은 외주면이 서포트 프레임(140)에 의하여 지지되며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140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ring 127 provided on the knob ring 120. In other wor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ring 127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40 and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다시 말해, 노브 링(120)의 위치는 서포트 프레임(140)에 의하여 결정되며, 서포트 프레임(140)은 전면 패널(C)에 체결되는 것이므로, 노브 링(120)의 위치는 전면 패널(C)을 기준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knob ring 120 is determined by the support frame 140, and the support frame 140 is fastened to the front panel C, As shown in FIG.

서포트 프레임(140)은 서포트 링(127)의 외주면을 감싸며, 서포트 링(127)이 일정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upport frame 140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ing 127 and supports the support ring 127 so as to rotate about a certain axis.

[고정 프레임(160)][Fixed frame 160]

고정 프레임(160)은 서포트 프레임(140)에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서포트 링(127)이 고정 프레임(160)에서 후방으로(조리기구의 내부 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xing frame 16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support frame 140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and serves to prevent the support ring 127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tationary frame 160 rear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aratus) .

또한, 고정 프레임(160)은 서포트 링(127)의 회전 범위를 구속하여, 노브 링(120)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xed frame 160 restrains the rotation range of the support ring 127 and restricts rotation of the knob ring 1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ly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60)은 흡사 나비 넥타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비의 날개에 해당하는 부분의 사잇각이 서포트 링(127)을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양쪽의 날개를 연결하는 부분이 서포트링(127)의 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xed frame 160 has a shape similar to a bow-like tie. The angl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ng of the butterfly restricts rotation of the support ring 127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And the portion connecting the wings prevents the support ring 127 from falling backward.

[베어링 쉘(130)][Bearing shell (130)]

베어링 쉘(130)은 노브 링(120)의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의 역할을 수행한다.The bearing shell 130 serves as a bearing for smooth operation of the knob ring 120.

베어링 쉘(130)은 원통모양의 원통부(134)과, 원통부(134)에서 절곡되어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원판부(132)을 구비힌다.The bearing shell 13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cylindrical portion 134 and a circular plate portion 132 which is bent at the cylindrical portion 134 and protruded in the radial direction.

원통부(134)는 노브 링(120)에 구비되는 서포트 링(127)의 외주면과 고정 프레임(16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서포트 링(127)과 고정 프레임(16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ylindrical portion 134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ring 127 provided on the knob ring 12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ed frame 160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support ring 127 and the fixed frame 160 .

원판부(132)는 전면 패널(C)과 노브 링(120) 사이에 삽입되어, 노브 링(120)과 전면 패널(C)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원판부(132)는 노브 링(120)이 전면 패널(C)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노브 링(120)의 조작에 의하여 전면 패널(C)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하는 역할도 수행한다.The disc portion 132 is inserted between the front panel C and the knob ring 120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knob ring 120 and the front panel C. [ The disc portion 132 also serves to reduce the occurrence of scratches on the front panel C by operating the knob ring 120 by making the knob ring 120 spaced from the front panel C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무선 전력 송수신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무선 전력 수신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무선 전력 송수신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f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separation of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of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of 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무선 전력 송수신 구조에 관해서 살펴본다.Hereinafte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reception structure of 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무선 전력 송수신부(TX_M, RX_M)][Wireless power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X_M, RX_M)]

본 발명은 노브 링(120)에 디스플레이기(123)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기(123)가 무선으로 전력과 신호를 전달받는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a display 123 is provided on a knob ring 120 and the display 123 receives power and signals wirelessly.

노브 링(120)은 노브 손잡이(11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노브 링(1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기(123)가 유선으로 전원과 신호를 전달받게 되면, 전편 패널(C)에 배선을 위한 관통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 때, 관통홀은 노브 링(120)의 회동 범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통홀은 노브 링(120)의 조작시에 외부로 시인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반복적으로 조작되는 노브 링(120)에 배선이 유선으로 연결되면 반복 사용에 의하여 배선이 손상되거나 단선될 우려가 있다.Since the knob ring 120 has a structure capable of independently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knob handle 110, when the display device 123 provided on the knob ring 120 receives power and signals through the wire, ) Should be provided for the wiring.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should be formed so as to cover the rotation range of the knob ring 120. Such a through hole may be visible to the outside when the knob ring 120 is operated. Further, if the wiring is connected to the knob ring 120 repeatedly operated by wi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iring is damaged or broken by repeated use.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는 무선 전력 송신부(TX_M)와 무선 전력 수신부(RX_M)을 포함한다. 무선 전력 송신부(TX_M)는 조리기기의 전면패널(C)에 고정되고, 무선 전력 수신부(RX_M)는 노브 링(120)에 고정된다.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X_M)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RX_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X_M is fixed to the front panel C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unit RX_M is fixed to the knob ring 120. [

무선 전력 수신부(RX_M)는 무선 전력 송신부(TX_M)로부터 전원과 신호를 제공받는다. 무선 전력 수신부(RX_M)는 전달 받은 전원으로 디스플레이기(123)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기(123)에 전달된 타이머 시간 또는 화구 출력을 표시한다.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RX_M receives power and signals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TX_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RX_M drives the display unit 123 using the received power source to display the timer time or the crane output transmitted to the display 123.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부(RX_M)는 수신 코일(COIL)과, 자성체(F)와, 수신 회로기판(PCB)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회로기판(PCB)은 디스플레이기(123)에 연결된다.5,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RX_M includes a receiving coil COIL, a magnetic body F and a receiving circuit board PCB, and the receiving circuit board PCB is connected to a display 123 .

수신 코일(COIL)은 무선 전력 송신부(TX_M)의 송신 코일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송신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수신 코일에 유도 전류가 흐른다.The reception coil COIL is disposed adjacent to the transmission coil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X_M so that when an electric current flows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an induced current flows in the reception coil due to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자성체(F)는 페라이트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신 코일(COIL)에 전자기 유도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magnetic body F may be made of a ferrite material or the like and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 on the reception coil COIL.

상기 수신 회로기판(PCB)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가 실장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display driving circuit is mounted on the receiving circuit board (PCB). Here, the display driving circu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무선 전력 송신부(TX_M)도 무선 전력 수신부(TX_M)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무선 전력 송신부(TX_M)는 무선 전력 수신부로 전력과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 코일과, 상기 송신 코일의 전자기 유도 효과를 향상하기 위한 자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신 코일에 연결되는 송신 회로 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송신 회로기판은 송신 코일과 대면하게 배치될 수도 있으나, 주 제어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송신 코일과 배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X_M also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unit TX_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X_M includes a transmission coil for transmitting power and signals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unit and a magnetic body for improv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 of the transmission coil. In addition, a transmission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oil may be provided. Of course, the transmission circuit boar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transmission coil, bu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main control unit,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oil with wiring.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부(TX_M)는 고정 프레임(160)에 고정될 수 있고, 무선 전력 수신부(RX_M)는 서포트 링(127)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60)과 서포트 링(127)는 서로 대면하는 구성으로, 이들에 각각 무선 전력 송신부(TX_M)와 무선 전력 수신부(RX_M)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은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우넛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X_M may be fixed to the fixed frame 16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unit RX_M may be fixed to the support ring 127. The fixed frame 160 and the support ring 127 ar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X_M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unit RX_M can be disposed on the fixed frame 160 and the support ring 127,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transmitting coil and the receiving coil may be formed in a donut shape as shown in Figs. 5 and 6.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무선 전력 송신부(TX_M)를 고정 프레임(140)에 구비하고, 무선 전력 수신부(RX_M)를 서포트 링의 원주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는 고정 프레임(140)이 서포트 링(127)의 원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속하는 구조이므로, 이 경우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X_M may be provided in the fixed frame 140, and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unit RX_M may be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ing. This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tationary frame 140 is constrain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ing 127.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coil and the reception coil may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무선 전력 송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무선 전력 송수신부의 신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f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llustrates exemplary signals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f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부(TX_M)는 조리기기의 주 제어부와 연결되어, 주 제어부로부터 전원과 신호를 전달받는다. 주 제어부는 앞서 설명한 노브 엔코더(E1)에서 감지된 신호와, 노브 링 엔코더(E2)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무선 전력 송신부(TX_M)로 전달한다.As show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X_M i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receives power and signals from the main control unit. The main control unit receives the signal sensed by the knob encoder E1 and the signal sensed by the knob ring encoder E2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X_M.

무선 전력 송신부(TX_M)는 송신 코일과, 송신 코일에 교류 전원을 제공하는 인버터와, 디스플레이기에 표시될 신호를 전달받아 인버터를 제어하여 교류 전원을 변조하는 변조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X_M includes a transmission coil, an inverter that supplies AC power to the transmission coil, and a modulation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signal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controls the inverter to modulate the AC power.

변조 제어부는 주 제어부로부터 화구 출력에 관한 신호 또는 타이머 시각에 관한 신호를 전달받아, 이 신호를 인버터에서 발생되는 교류 전원을 변조하여 전송한다.The modulation control section receives a signal relating to the crane output or a signal relating to the timer time from the main control section, and modulates the AC power generated in the inverter to transmit the signal.

교류 전원에 신호를 실어 변조하는 방법으로는 진폭 변조 방법과 주파수 변조 방법이 있다. 진폭 변조 방법은 교류의 진폭에 변화를 주어 교류 전원과 함께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고, 주파수 변조 방법은 교류 주파수에 변화를 주어 교류 전원과 함께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다.There are amplitude modulation method and frequency modulation method as a method of applying a signal to an AC power source. The amplitude modulation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 signal together with an alternating current power by changing the amplitude of the alternating current. The frequency modulation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 signal together with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by changing the alternating frequency.

무선 전력 수신부(RX_M)는 수신 코일과, 수신 코일에 유도된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기와, 상기 수신 코일에 유도된 교류 전원에서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감지부와, 상기 신호 감지부에서 추출된 신호를 복조하여 복원신호를 디스플레이기(123)로 전달하는 복조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radio power receiving unit RX_M includes a receiving coil, a rectifier for converting an AC power derived from the receiving coil into a DC power, a signal sensing unit for extracting a signal from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receiving coil, And a demodulation control unit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and delivering the reconstructed signal to the display 123.

정류기에서 변환된 전원은 디스플레이기(123)의 구동전원을 사용되며, 상기 복조 제어부에서 복원된 신호가 디스플레이기(123)에 표시된다.The power source converted from the rectifier is used as the driving power source of the display device 123, and the signal restored by the demodulation control par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23.

상기 정류기의 전류를 안정화하기 위한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귤레이터로는 LDO 레귤레이터(Low Drop Off Regulator)가 적용될 수 있다.The regulator may further include a regulator for stabilizing the current of the rectifier, and an LDO regulator (Low Drop Off Regulator) may be applied to the regulator.

주파수 변조 방법으로 신호를 전력에 실어 전송하는 경우라면 상기 신호 지부는 주파수 감지센서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진폭 변조 방법으로 신호를 전력에 실어 전송하는 경우라면 상기 신호 감지부는 진폭 감지센서부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a signal is transmitted on a power by a frequency modulation method, the signal section may be constituted by a frequency detection sensor section. If the signal is transmitted on the basis of an amplitude modulation method, the signal detection section may be constituted by an amplitude detection sensor section have.

도 9는 주파수 변환 방법을 통한 신호와 전력의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원신호는 디스플레이기로 전송되어야 하는 신호를 뜻한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ignal and power transmission through a frequency conversion method. The original signal is the signal that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원신호를 인버터의 교류 전류에 주파수 변환방법으로 변조하면, 신호값에 따라 교류 전류의 주파수가 변환된다.When the original signal is modulated by the frequency conversion method to the alternating current of the inverter, the frequency of the alternating current is converted according to the signal value.

송신 코일에서 주파수가 변환된 전류가 인가되며, 그에 따라 수신 코일에는 주파수가 변환된 유도 전류가 인가된다.A frequency-converted current is applied in the transmission coil, and thus the induction current in which the frequency is converted is applied to the reception coil.

주파수 감지센서부로 구성된 신호 감지부는 수신 코일에 유도되는 전류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이를 복조 제어부로 전달하게 되고, 복조 제어부는 이로부터 신호를 복원하여 복원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기로 전달한다.The signal sensing unit constituted by the frequency sensing sensor unit senses the frequency of the current induced in the reception coil and transmits it to the demodulation control unit. The demodulation control unit restores the signal from the signal and generates a restored signal, and transmits the restored signal to the display unit.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링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illustrating a knob 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노브 링(120)은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 링 본체(124)와, 노브 링 본체(124)의 배면에 결합되는 배면판(125)과, 상기 배면판(125)에 결합되며 조절 축을 지지하는 지지관(126)과, 상기 배면판(125)에 결합되는 서포트 링(127)을 포함한다.As shown, the knob ring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ob ring body 124 forming an outer tube, a back plate 125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knob ring body 124, A support tube 126 coupled to the plate 125 and supporting an adjustment shaft and a support ring 127 coupled to the back plate 125. [

배면판(125)은 전면 패널의 내부로 진입하여 조리기기의 내부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판(125b)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판(125b)에는 조절 축을 지지하는 지지홀(125c)이 구비된다.The back plate 125 has a support plate 125b that enters the inside of the front panel and projects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aratus. The support plate 125b is provided with a support hole 125c for supporting the adjustment shaft.

또한 상기 배면판(125)에는 지지관(126)이 결합된다. 지지관(126)은 배면판(125)에 결합되는 플랜지(126a)와 상기 플랜지(126a)에서 연장되는 테이퍼관(126b)과, 상기 테이퍼관(126b)보다 길게 연장되는 지지립(126d)을 구비한다.The support plate 126 is coupled to the back plate 125. The support tube 126 includes a flange 126a coupled to the back plate 125 and a tapered tube 126b extending from the flange 126a and a support lip 126d extending longer than the tapered tube 126b. Respectively.

상기 테이퍼관(126b)은 플랜지(126a)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며, 조절 축을 지지하는 지지부(126c)가 구비된다.The tapered pipe 126b has a tapered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as the flange 126a moves away from the flange 126a, and a support portion 126c for supporting the adjustment shaft is provided.

다시말해 조절 축은 지지홀(125c)과 지지부(126c)의 2지점에서 지지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조절 축(194)이 유동 가능하더라도 조절 축(19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other words, the adjustment shaft is supported at two points of the support hole 125c and the support portion 126c. This structure provides an effect of stably supporting the adjusting shaft 194 even if the adjusting shaft 194 is movable.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기기(123)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22)을 통하여 노브 링 본체(124)에 결합되며, 그 외부에는 마감캡(121)이 결합된다. 마감캡(121)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기기(123)에서 표시되는 정보(숫자)가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 display device 123 is coupled to the knob ring body 124 via the display housing 122, and a finishing cap 121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123. The finishing cap 121 may be made of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23 can be viewed from the outsid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전면 패널의 도시는 생략하였다.In the drawing, the front panel is not shown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전면 패널의 전면측에는 노브 손잡이(110)와 노브 링(120)이 결합되고, 전면 패널의 배면측에는 서포트 프레임(140)과, 서포트 링(127)과, 고정 프레임(160)이 결합된다.The knob ring 110 and the knob ring 120 are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anel and the support frame 140, the support ring 127 and the fixing frame 160 are coupled to the back side of the front panel.

고정 프레임(160)은 전면 패널(C)의 배면에 체결되어, 서포트 링(127)의 둘레를 지지한다. 서포트 링(127)의 회전 중심은 노브 손잡이의 조절 축의 축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The fixed frame 160 is fasten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panel C to support the periphery of the support ring 127. [ The rotation center of the support ring 127 is arranged to coincide with the axial center of the adjustment shaft of the knob handle.

서포트 링(127)은 서포트 프레임(140)의 삽입되며, 전면 패널을 관통하여 전면 패널 전면으로 일부 돌출된다. 서포트 링(127)의 전단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통 부분이 전면 패널(C)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것이다.The support ring 127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frame 140 and partially protrudes from the front panel front surface through the front panel.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ring 127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ylindrical portion protrude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C. [

전면 패널(C)의 전면으로 돌출된 서포트 링(127)에 노브 링(120)의 배면판(125)이 결합된다.The back plate 125 of the knob ring 120 is coupled to the support ring 127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C. [

노브 링(120)의 조작은 서포트 링(127)의 회전으로부터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노브 링(120)은 전면 패널(C)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므로 전면 패널 외측에서 노브 링(120)의 조작을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를 노브 링(120) 주위에 구비하는 경우 외관상 좋지 못하다. 엔코더(E2)를 서포트 링 주위에 구비하여 서포트 링(127)의 회전을 감지하는 것으로 노브 링(12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knob ring 120 can be recognized from the rotation of the support ring 127. [ Since the knob ring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panel C, when the knob ring 120 is provided around the knob ring 120 to detect an operation of the knob ring 120 on the outside of the front panel, the appearance is not good. The rotation of the knob ring 120 can be sensed by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support ring 127 by providing the encoder E2 around the support ring.

서포트 링(127)에는 회전각을 전달하기 위한 노브 링 기어부(G2)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어부(G2)와 치합되어 서포트 링(127)의 회전각을 읽어 들이는 노브 링 엔코더(E2)를 구비한다. 노브 링 엔코더(E2)는 노브 링 기어부(G2)와 치합하여 노브 링(120)의 회전 조작 신호를 읽어 들인다.The support ring 127 is provided with a knob ring gear portion G2 for transmitting a rotation angl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knob ring encoder E2 which is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G2 and reads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ring 127. [ The knob ring encoder E2 meshes with the knob ring gear G2 to read the rotational manipulation signal of the knob ring 120. [

한편 서포트 링(127)은 일정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한 쌍의 복귀 스프링(S1,S2)에 연결된다. 상기 복귀 스프링(S1,S2)은 서포트 링(127)을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140)과 서포트 링(127)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트 프레임(140)에는 상하에 고정단(141,142)을 구비하고, 서포트 링의 일측 날개부(127b)에 고정단(127a)을 구비하고, 날개부(127b)의 고정단(127a)을 서포트 프레임(140)의 상하의 고정단(141,142)에 한 쌍의 복귀 스프링(S1,S2)으로 연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ring 127 is connected to a pair of return springs S1 and S2 for returning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turn springs S1 and S2 connect the support frame 140 supporting the support ring 127 and the support ring 127. [ The support frame 140 is provided with fixed ends 141 and 142 at its upper and lower ends and has a fixed end 127a at one wing portion 127b of the support ring and a fixed end 127a of the wing portion 127b, The pair of return springs S1 and S2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fixed ends 141 and 142 of the housing 140, respectively.

하나의 복귀 스프링(S1)은 서포트 링(127)이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된 경우,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복귀 스프링(S2)은 서포트 링(127)이 시계방향으로 조작된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One return spring S1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clockwise direction when the support ring 127 is oper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and the other return spring S2 contacts the support ring 127 are oper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y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provide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home position.

한편, 서포트 링(127)이 배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서포트 링(127)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프레임(160)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ring 127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frame 160 for preventing the support ring 127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ack surface and allowing the support ring 127 to operate stably.

고정 프레임(160)은 서포트 링(127)의 배면을 가로질러 서포트 링(127)이 배면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xed frame 160 serves to prevent the support ring 127 from falling to the back surface across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ring 127.

고정 프레임(160)은 서포트 프레임(140)에 체결된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160)은 서포트 링(127)의 회전 범위를 구속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xed frame 160 is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 140. The fixed frame 160 can restrict the rotation range of the support ring 127. [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링(127)은 일측으로 연장된 날개부(127b)를 구비하여, 날개부(127b)에 한쌍의 복귀 스프링(S1,S2)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upport ring 127 has a wing portion 127b extending to one sid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return springs S1 and S2 are fixed to the wing portion 127b.

이 때, 날개부(127b)의 회동범위가 고정 프레임(160)에 의하여 제한되도록 하면, 서포트 링(127)의 양방향 회전각도롤 일정하게 제한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rotation range of the wing portion 127b is limited by the fixed frame 160, the bidirectional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ring 127 can be restricted to a constant degree.

서포트 링(127)의 회전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속하기 위하여, 날개부(127b)를 양측에 구비하고, 고정 프레임(160)이 양측의 날개부의 회동 범위를 동일하게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wing portions 127b on both sides so that the rotation of the support ring 127 is more stably restrained and the rotation range of the w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160 can be limited equally.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브 조립체의 노브 엔코더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nob encoder of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노브 조립체는 노브 손잡의 조작을 통하여 화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노브 링의 조작을 통하여 타이머 시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djusting the thermal pow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knob handle and displaying the time of the tim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knob ring.

이를 위하여 노브 링에 디스플레이기를 포함하며, 노브 손잡이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는 노브 엔코더(E1)와, 노브 링의 조작을 감지하는 노브 링 엔코더(E1)를 포함한다.To this end, a knob ring includes a display device, and includes a knob encoder E1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knob handle, and a knob ring encoder E1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knob ring.

노브 링 엔코더(E2)는 서포트 링(127)의 기어부(G2)와 치합되어, 서포트 링의 회전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 링(120)은 복귀식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일정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외력이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귀한다.The knob ring encoder E2 is engaged with the gear portion G2 of the support ring 127 to sense rotation of the support ring. The knob ring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tated within a certain rang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knob ring 120.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knob ring 120 returns to the home position.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 타이머 시각이 증가하고, 반 시계 반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 타이머 시각이 감소하도록 조작된다.For example, when the timer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time of the timer increases, and when the counterclockwise eccentricity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timer time is manipulated to decrease.

노브 손잡이(110)는 화력 조절부(190)의 조절축(194)에 연결된다. 화력 조절부(190)의 조절축은 조작된 위치를 유지하는 비복귀식으로, 노브 엔코더(E1)는 기준 위치로부터 조작된 회전량(조작각도)를 감지한다.The knob handle 110 is connected to the adjustment shaft 194 of the thermal power control unit 190. The control shaft of the thermal power control unit 190 is a non-return type that maintains the operated position, and the knob encoder E1 senses the amount of rotation (operation angl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노브 엔코더(E1)는 조절 축(194)에 결합된 기어(G1)와 치합하여, 조절 축(194)의 회전을 감지한다. 물론, 전기 레인지 또는 인덕션 레인지 등 전기적으로 화력이 조절되는 조리기에 있어서는 화력 조절부(190)가 가변 저항 등으로 구성되므로, 별도로 노브 엔코더(E1)를 구비하지 않고, 화력 조절부(190)의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knob encoder E1 is engaged with the gear G1 coupled to the adjusting shaft 194 to sense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shaft 194. Of course, in a cooker in which an electric power is controlled by an electric power such as an electric range or an induction range, the thermal power control unit 190 is formed of a variable resis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state of the thermal power control unit 190 .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s well as any equivalents thereof,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X_M : 무선 전력 송신부 RX_M : 무선 전력 수신부
E1: 노브 엔코더 E2: 노브 링 엔코더
S1,S2: 복귀 스프링 110: 노브 손잡이
120: 노브 링 122: 디스플레이 하우징
123: 디스플레이기 124: 노브 링 본체
125: 배면판 125b: 지지판
125c: 지지홀 126: 지지관
126d: 지지립 126c: 지지부
126b: 테이퍼관 126a: 플랜지
127 : 서포트 링 130: 베어링 쉘
132: 원판부 134: 원통부
140: 서포트 프레임 160: 고정 프레임
170: 조인트 190: 화력 조절부
194 : 조절 축
TX_M: radio power transmission unit RX_M: radio power reception unit
E1: Knob encoder E2: Knob ring encoder
S1, S2: return spring 110: knob handle
120: knob ring 122: display housing
123: display device 124: knob ring body
125: back plate 125b:
125c: Support hole 126: Support tube
126d: support lip 126c:
126b: tapered pipe 126a: flange
127: Support ring 130: Bearing shell
132: disc portion 134: cylindrical portion
140: support frame 160: fixed frame
170: joint 190: thermal power control unit
194: Adjusting axis

Claims (12)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축에 결합되는 노브 손잡이;
상기 노브 손잡이의 주변을 감싸며, 전면 패널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브 손잡이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는 노브 링;
상기 전면 패널에 고정되는 무선 전력 송신부; 및
상기 노브 링에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과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는 노브 조립체.
A knob handle coupled to an adjustment shaft for controlling the thermal power;
A knob ring surrounding the knob handle and disposed to penetrate the front panel, the knob ring being independently rotatable with the knob handle and having a display;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fixed to the front panel; And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coupled to the knob ring for receiving power and a signal for driving the display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로 전력과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 코일과,
상기 송신 코일에 교류 전원을 제공하는 인버터와,
상기 디스플레이기에 표시될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변조하는 변조 제어부를 포함하는 노브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A transmitting coil for transmitting power and signals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 inverter for providing AC power to the transmission coil,
And a modulation control unit receiving the signal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inverter to modulate the AC pow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는
상기 송신 코일로부터 전력과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의 전류를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기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정류기와,
상기 수신 코일에 인가된 교류 전원에서 신호를 추출하는 신호 감지부와,
상기 신호 감지부에서 추출된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기로 전달하는 복조 제어부를 포함하는 노브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 receiving coil for receiving power and signals from the transmitting coil;
A rectifier for converting a current of the receiving coil to provide driving power for the display device;
A signal sensing unit for extracting a signal from an AC power source applied to the reception coil,
And a demodulation control unit for demodulating the signal extra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display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에서 제공되는 구동전원을 안정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기로 제공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노브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regulator for stabilizing the driving power provided by the rectifier and providing it to the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는
수신 코일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가 실장되는 수신 회로기판과,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수신 회로기판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노브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 receiving coil,
A receiving circuit board on which the display driving circuit is mounted,
And a magne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receiving coil and the receiving circuit 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의 조작을 감지하는 노브 링 엔코더를 더 포함하는 노브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knob ring encoder for sensing an operation of the knob r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손잡이의 조작을 감지하는 노브 엔코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브 엔코더에서 감지된 화구의 출력과, 상기 노브 링 엔코더의 조작으로 설정된 타이머 시간이 상기 디스플레이기에 표시되는 노브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knob encoder for sensing an operation of the knob handle,
Wherein an output of the crane detected by the knob encoder and a timer time set by operation of the knob ring encoder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링은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 링 본체와,
상기 노브 링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며 관통되는 조절 축을 지지하는 지지홀을 구비하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에 결합되며 상기 조절 축을 지지하는 지지관과,
상기 배면판에 결합되는 서포트 링을 포함하는 노브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nob ring
A knob ring body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back plate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knob ring body and having a support hole for supporting an adjusting shaft passing therethrough;
A support tube coupled to the back plate and supporting the adjustment shaft,
And a support ring coupled to the back pla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는
상기 배면판 또는 상기 서포트 링에 고정되는 노브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nd is fixed to the back plate or the support r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링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노브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A support frame coupled to the front panel and suppor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ing; And
And a stationary fram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to prevent disengagement of the support ring.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 또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노브 조립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or the fixed frame.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12. 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knob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KR1020170023775A 2017-02-22 2017-02-22 Knob assembly having display device using wirelee power transmission KR1019157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75A KR101915703B1 (en) 2017-02-22 2017-02-22 Knob assembly having display device using wirelee power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75A KR101915703B1 (en) 2017-02-22 2017-02-22 Knob assembly having display device using wirelee power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90A true KR20180097090A (en) 2018-08-30
KR101915703B1 KR101915703B1 (en) 2018-11-06

Family

ID=6345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775A KR101915703B1 (en) 2017-02-22 2017-02-22 Knob assembly having display device using wirelee power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70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8403A (en) * 2020-08-17 2020-11-27 海信(广东)厨卫系统有限公司 Knob with timing function
WO2022149727A1 (en) * 2021-01-06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rol knob and cook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20460A1 (en) * 2012-05-25 2013-11-26 Eltek Spa CONTROL DEVICE FOR GAS TAPS
JP6588735B2 (en) * 2015-05-19 2019-10-09 株式会社ハーマン Heating cooker with rotary operation unit with information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8403A (en) * 2020-08-17 2020-11-27 海信(广东)厨卫系统有限公司 Knob with timing function
WO2022149727A1 (en) * 2021-01-06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rol knob and coo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703B1 (en)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932B1 (en) Knob assembly having display device for cook top
KR102101415B1 (en) Knob assembly and appliance therewith
KR101913927B1 (en) Knob assembly for cook top
US11211821B2 (en) Wireless pow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915703B1 (en) Knob assembly having display device using wirelee power transmission
US20130093575A1 (en) Remote control device that uses color to indicate change in status
KR20190011993A (en) Universal joint and knob assembly and appliance therewith
EP3783264B1 (en) Cooking apparatus having knob assembly
KR102106845B1 (en) Knob assembly and appliance therewith
KR20180118587A (en) Knob assembly for cook top
CN209436876U (en) A kind of cooking apparatus
KR102474980B1 (en) Knob assembly having display device for cook top
KR102018055B1 (en) Knob assembly having display device for cook top
JP6223481B2 (en) Cooking device and temperature detector
KR102133284B1 (en) Cooking device
JP6109133B2 (en) Temperature sensor probe, cooking device
KR102299433B1 (en) Cooking apparatus
CN112212370B (en) Stove timing device
EP2519775A2 (en) A cooking device comprising a knob
KR20230166858A (en) Electric stove and knob of the same
KR20190011991A (en) Rotation sensing device and rotation sensing method thereof and appliance therewith
KR20190012134A (en) Universal joint and knob assembly and appliance therewith
KR20190012133A (en) Universal joint and knob assembly and appliance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