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971A -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 - Google Patents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971A
KR20180096971A KR1020170023431A KR20170023431A KR20180096971A KR 20180096971 A KR20180096971 A KR 20180096971A KR 1020170023431 A KR1020170023431 A KR 1020170023431A KR 20170023431 A KR20170023431 A KR 20170023431A KR 20180096971 A KR20180096971 A KR 20180096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ed
surgery
light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찬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3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971A/ko
Publication of KR20180096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9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수술 환부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소자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LED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를 수술 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LED소자가 배치된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수술 환부를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를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없고 비용이 적게 드는 LED 광을 이용한 LED치료기기를 휴대 가능하게 하고, 상기 LED치료기기를 환부 주변에 어깨나 목에 끈으로 고정 가능하게 하여, 수술 후 환자가 안전하면서 적은 비용으로 흉터 예방 치료를 간편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LED treatment device for surgical scar reduction}
본 발명은 갑상선, 제왕절개, 흉곽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에 의해 발생한 수술환부 상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해당 파장의 광을 주기적으로 수술환부에 조사하여, 광학적 작용에 따른 세포의 활성화로 수술환부의 조속한 재생으로 흉터가 완화되도록 하는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는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정공)을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시키는 것으로, 조명을 목적으로 한 등기구를 비롯하여 최근에는 광자흡수(Photon Absorption)에 의한 광조절(Photomodulation)로 세포구조를 자극함으로써 특정의 피부 질환에 대한 치료목적을 갖는 치료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즉, 생체에 대하여도 광을 조사하면 그 광학적 작용에 의해 세포가 활성화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생체 세포의 손상이 없는 정도의 낮은 에너지로 조사하여 생체의 생리작용 활성화를 유도함에 따라 통증 완화, 환부의 조속한 재생, 원인 질병의 제거 등과 같은 치료효과를 부여하는 방법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이때 그 사용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치료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일례로, 633nm 파장의 엘이디는 피부의 자연치유력을 향상시켜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으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만들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415nm 청색광의 엘이디는 염증성 질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830nm 파장의 엘이디는 피부세포의 재생과 일광화상 후 상처치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엘이디 광 치료기기는 다수의 엘이디가 배열 구비된 헤드와, 이 헤드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암 그리고 상기 헤드에 구비되어 있는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마련된 본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9022호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엘이디 광 치료기기는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차지하는데, 이는 광 조사 장치, 광 제어 장치, 동작모니터링 장치, 거치장치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이에 종래의 엘이디 광 치료기기는 병원과 같은 특정 장소에만 설치되어, 환자가 해당 장소에 방문하는 경우에만 엘이디 광 치료기기를 이용한 치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엘이디 광 치료기기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엘이디 광 치료기기의 큰 부피로 인해 이동을 위한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없고 비용이 적게 드는 LED 광을 이용한 LED치료기기를 휴대 가능하게 하고, 상기 LED치료기기를 환부 주변에 어깨나 목에 끈으로 고정 가능하게 하여, 수술 후 환자가 안전하면서 적은 비용으로 흉터 예방 치료를 간편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수술 환부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소자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LED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를 수술 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LED소자가 배치된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수술 환부를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모듈과, 상기 LED소자의 조도(발광 정도) 및 광파장을 제어하는 조광모듈과, 상기 LED소자의 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격돌기의 말단에는 피부 표면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을 가진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접촉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LED광을 이용한 LED치료기기를 환부에 어깨나 목에 끈으로 고정 가능하여, LED치료기기를 휴대성이 향상되고, 수술 후 환자가 안전하면서 적은 비용으로 흉터 예방 치료를 간편하게 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의 사용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왕절개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왕절개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의 사용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곽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곽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의 사용 예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광 치료(light therapy)는 다양한 질병 치료를 위해 오래전부터 이용된 의료기술이다. 피부병 치료를 위해 태양빛을 이용하는 방법은 수천 년 전부터 이집트, 인도 그리고 중국에서 이용되었다. 태양광을 이용한 치료법은 1903년 노벨 의학상 수상자인 Niels Ryberg Finsen에 의해 재조명되었으며, 이후 인공 광을 이용한 광선요법(phototherapy)의 태동을 낳게 된다.
최근 피부질환 치료를 위한 광원 중 LED 광원을 이용한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LED 광원은 고출력 레이저(laser)가 국소적인 면적에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것과 달리 적절한 광출력으로 넓은 면적의 질환 부위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LED 광원은 파장선 폭(wavelength bandwidth)이 좁아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방출하므로 유해한 자외선(UV)이나 불필요한 적외선(IR) 등이 방출되지 않아 부작용이 적고, 에너지가 낮아 조직이나 눈을 손상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어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역의 LED 광원을 이용한 치료를 인간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미국 FDA에서 허가하고 있다.
다음은 LED 광원을 이용한 의학적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 LED 광원을 이용한 피부질환 치료는 상처 치료를 목적으로 하였다. 가시광 및 근적외선 영역의 다양한 파장을 갖는 LED 광원은 뮤린 섬유아세포, 쥐 골아세포(osteoblast), 쥐 골근세포(skeletal muscle cell) 및 휴먼 상피(epithelial cell) 등의 다양한 세포선(cell line)에 존재하는 세포의 성장을 증가시켰다. 상처의 크기감소 및 상처의 봉합 속도 증가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으며, 특히 인간 피부 세포의 빠른 상처 치유와 봉합에 대한 긍정적인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외과적 수술 이후 LED 광원을 조사하였을 때, 부기(swelling), 삼출성(oozing), 각질화(crusting), 고통(pain), 홍반(erythema)의 부작용이 현저히 줄어듦을 보고하였다. 괴저성(necrotic) 상처를 갖는 피부의 치유를 위해서는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이 metalloproteinases 생산의 증가가 상처치유에 도움을 주었음을 보고하였다.
그리고 자유 라디칼(radical)은 무증상의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발되는데, 태양빛이나 화학물질에 대한 우리 몸의 면역 반응에 의해 생산된 효소의 산성화에 의해 발생된다.
LED 광원을 이용한 치료는 염증 유발자의 역반응에 의한 병변을 제거하는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 635nm 파장의 광을 인간 잇몸의 섬유아세포에 조사하는 경우 PGE2 합성을 억제하여 염증 발생을 저하 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LED광원의 조사는 홍반의 명확한 구분을 도왔으며 펄스 다이 레이저 치료로 상처를 입은 환자의 치유에서 불편함을 최소화 하였다.
LED 광원은 MMP를 억제하는데 MMP의 억제는 염증이 있는 세포조직의 낭창을 줄일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태양빛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 있어서, 콜라겐 합성은 MMP의 증가와 함께 줄어든다. 따라서, 피부 노화의 의학적 징후를 방지하거나 치료하는 전략은 MMP의 감소와 새로운 콜라겐의 합성을 통해 콜라겐 부족을 해소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가시광과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에 해당하는 빛을 방출하는 다양한 LED 광원의 사용은 피부 콜라겐 합성을 강화하고 동시에 MMP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LED 광원의 조사 후 현저한 콜라겐 합성의 증가가 다양한 실험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은 수술에 의해 발생한 수술환부 상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해당 파장의 광을 주기적으로 수술환부에 조사하여, 광학적 작용에 따른 세포의 활성화로 수술환부의 조속한 재생으로 흉터가 완화되도록 하는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LED 치료기기는 갑상선 수술 흉터를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체(100), LED소자(110), 제어부(120), 고정수단(130)을 포함하는데, 먼저 본체(100)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로, 갑상선 수술 환부에 대응하도록, 인체의 목 전방에 근접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본체는(100) 인체의 목 둘레를 따라 근접하게 굴곡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갑상선 수술 환부와 대면하는 내향측면에는 복수 개의 LED소자(110)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LED소자(110)가 선택적으로 갑상선 수술 환부에 해당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갑상선 수술 환부의 세포를 활성화시켜 갑상선 수술 환부의 조속한 재생은 물론, 흉터가 완화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LED소자(110)들은 제어부(120)와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LED소자(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소자(110)의 발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LED소자(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LED소자(110)의 조도(발광 정도) 및 광파장을 제어하는 조광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LED소자(110)의 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에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0)와 별도의 개체인 리모컨을 통해 원격으로 상기 전원모듈, 조광모듈 및 타이머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제어부(120)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갑상선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LED 치료기기는 광 파장이 550nm ~ 720nm으로 조절된 광을 해당 시간에 따른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갑상선 수술 환부 및 그 주변에 조사하여, 광학적 작용에 따른 세포의 활성으로 생체의 생리작용을 활성화 시켜, 환부의 조속한 재생은 물론, 수술 흉터가 완화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LED소자(110)가 배치된 상기 본체(100)의 내향측면에는 상기 LED소자(110)가 일정한 거리로 갑상선 수술 환부와 이격될 수 있도록 이격시키는 이격돌기(10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격돌기(101) 역시, 복수 개로 상기 LED소자(110)에 배열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이격돌기(101)의 말단에는 피부 표면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을 가진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접촉부재(102)를 결합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접촉부재(102)는 피부와 접촉하는 그 말단에 점성을 갖는 흡착판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0)가 설치된 해당 위치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단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LED 치료기기는 상기 본체(100)를 갑상선 수술 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130)을 구비하는데, 상기 고정수단(130)은 일측편에 체결수단인 벨크로 또는 후크를 갖는 벨트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목보호대와 같이 목 전체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100)를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LED 치료기기는 제왕절개 수술 흉터를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체(200), LED소자(210), 제어부(220), 고정수단(230)을 포함하는데, 먼저 본체(200)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20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로, 제왕절개 수술 환부에 대응하도록, 인체의 복부 둘레를 따라 근접하게 굴곡지게 형성하여 복부 둘레를 따라 근접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본체(200)는 제왕절개 수술 환부와 대면하는 내향측면에는 복수 개의 LED소자(210)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LED소자(210)가 선택적으로 제왕절개 수술 환부에 해당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제왕절개 수술 환부의 세포를 활성화시켜 제왕절개 수술 환부의 조속한 재생은 물론, 흉터가 완화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LED소자(210)들은 제어부(220)와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본체(2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LED소자(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소자(210)의 발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LED소자(2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LED소자(210)의 조도(발광 정도) 및 광파장을 제어하는 조광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LED소자(210)의 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20)에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200)와 별도의 개체인 리모컨을 통해 원격으로 상기 전원모듈, 조광모듈 및 타이머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제어부(220)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왕절개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LED 치료기기는 광 파장이 550nm ~ 720nm으로 조절된 광을 해당 시간에 따른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제왕절개 수술 환부 및 그 주변에 조사하여, 광학적 작용에 따른 세포의 활성으로 생체의 생리작용을 활성화 시켜, 환부의 조속한 재생은 물론, 수술 흉터가 완화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LED소자(210)가 배치된 상기 본체(200)의 내향측면에는 상기 LED소자(210)가 일정한 거리로 제왕절개 수술 환부와 이격될 수 있도록 이격시키는 이격돌기(20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격돌기(201) 역시, 복수 개로 상기 LED소자(210)에 배열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이격돌기(201)의 말단에는 피부 표면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을 가진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접촉부재(202)를 결합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접촉부재(202)는 피부와 접촉하는 그 말단에 점성을 갖는 흡착판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200)가 설치된 해당 위치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단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왕절개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LED 치료기기는 상기 본체(200)를 제왕절개 수술 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230)을 구비하는데, 상기 고정수단(230)은 일측편에 체결수단인 벨크로 또는 후크를 갖는 벨트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부 전체를 커버링하는 복대와 같이 복부 전체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200)를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LED 치료기기는 흉곽 수술 흉터를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체(300), LED소자(310), 제어부(320), 고정수단(330)을 포함하는데, 먼저 본체(300)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30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로, 흉곽 수술 환부에 대응하도록, 인체의 가슴 전방에 근접하여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본체(300)는 흉곽 수술 환부와 대면하는 내향측면에는 복수 개의 LED소자(310)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LED소자(310)가 선택적으로 흉곽 수술 환부에 해당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흉곽 수술 환부의 세포를 활성화시켜 흉곽 수술 환부의 조속한 재생은 물론, 흉터가 완화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LED소자(310)들은 제어부(320)와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LED소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소자(310)의 발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LED소자(3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LED소자(310)의 조도(발광 정도) 및 광파장을 제어하는 조광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LED소자(310)의 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320)에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300)와 별도의 개체인 리모컨을 통해 원격으로 상기 전원모듈, 조광모듈 및 타이머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제어부(320)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흉곽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LED 치료기기는 광 파장이 550nm ~ 720nm으로 조절된 광을 해당 시간에 따른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흉곽 수술 환부 및 그 주변에 조사하여, 광학적 작용에 따른 세포의 활성으로 생체의 생리작용을 활성화 시켜, 환부의 조속한 재생은 물론, 수술 흉터가 완화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LED소자(310)가 배치된 상기 본체(300)의 내향측면에는 상기 LED소자(310)가 일정한 거리로 흉곽 수술 환부와 이격될 수 있도록 이격시키는 이격돌기(30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격돌기(301) 역시, 복수 개로 상기 LED소자(310)에 배열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이격돌기(301)의 말단에는 피부 표면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을 가진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접촉부재(302)를 결합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접촉부재(302)는 피부와 접촉하는 그 말단에 점성을 갖는 흡착판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300)가 설치된 해당 위치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단속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흉곽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LED 치료기기는 상기 본체(300)를 흉곽 수술 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330)을 구비하는데, 상기 고정수단(330)은 일측편에 체결수단인 벨크로 또는 후크를 갖는 벨트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흉곽보호대와 같이 가슴 전체를 감싸면서 상기 본체(300)를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본체
110, 210, 310: LED소자
120, 220, 320: 제어부
130, 230, 330: 고정수단
101, 201, 301: 이격돌기
102, 202, 302: 접촉부재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갑상선 수술 환부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소자;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LED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를 갑상선 수술 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LED소자가 배치된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갑상선 수술 환부를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를 포함하는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
  2.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갑상선 수술 환부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소자;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LED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를 제왕절개 수술 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LED소자가 배치된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제왕절개 수술 환부를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를 포함하는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
  3.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갑상선 수술 환부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LED소자;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LED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를 흉곽 수술 환부에 위치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LED소자가 배치된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흉곽 수술 환부를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키는 이격돌기를 포함하는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모듈과;
    상기 LED소자의 조도(발광 정도) 및 광파장을 제어하는 조광모듈과;
    상기 LED소자의 조사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돌기의 말단에는
    피부 표면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인체에 무해하고 탄성을 가진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접촉부재를 구비하는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
KR1020170023431A 2017-02-22 2017-02-22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 KR20180096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31A KR20180096971A (ko) 2017-02-22 2017-02-22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31A KR20180096971A (ko) 2017-02-22 2017-02-22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971A true KR20180096971A (ko) 2018-08-30

Family

ID=6345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431A KR20180096971A (ko) 2017-02-22 2017-02-22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9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756A (ko) * 2020-05-27 2021-12-06 (주)비스토스 의료용 플렉서블 패드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46758A (ko) * 2020-05-27 2021-12-06 (주)비스토스 광확산 구조가 구비된 의료용 플렉서블 패드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46757A (ko) * 2020-05-27 2021-12-06 (주)비스토스 열차단 및 열방출 구조가 구비된 의료용 플렉서블 패드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6756A (ko) * 2020-05-27 2021-12-06 (주)비스토스 의료용 플렉서블 패드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46758A (ko) * 2020-05-27 2021-12-06 (주)비스토스 광확산 구조가 구비된 의료용 플렉서블 패드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46757A (ko) * 2020-05-27 2021-12-06 (주)비스토스 열차단 및 열방출 구조가 구비된 의료용 플렉서블 패드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eh et al. Light-emitting diodes—their potential in biomedical applications
CA2924152C (en) Laser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US10099065B2 (en) Laser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US7101384B2 (en) Light processing of selected body components
US201900836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rapeutic use of ultra-violet light
US20120123507A1 (en) Phototherapeutic Apparatus and Method
KR20140025152A (ko) 피부치료용 광 조사기
WO2012082739A2 (en) Led phototherapy apparatus
US10105548B2 (en) Device for facial treatment based on light emission and induced magnetic field, and a system including same
RU201211019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лучения актиничным излучением с разными длинами волн
KR20160095878A (ko) 미용 마스크
CN103405853A (zh) 一种柔性光疗仪
KR20180096971A (ko) 수술 흉터 완화를 위한 엘이디 치료기기
WO2018090840A1 (zh) 一种应用于代谢性疾病的光治疗装置及方法
CN203525150U (zh) 光子治疗仪
KR101725149B1 (ko) 광 자극 브래지어
KR20210075492A (ko) 턱관절 통증 치료용 광원치료기
EP1841377A2 (en) Light processing of selected body components
KR200432206Y1 (ko) 휴대용 피부 미용기
CN108926779A (zh) 一种智能光谱治疗床
KR100893761B1 (ko) 캡슐형 광 치료장치
KR20180107074A (ko) 피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컴팩트 uvb 광치료장치
KR20100013650A (ko) 로프형 광 치료 장치
KR200405265Y1 (ko) Led를 이용한 의료용 광 조사 장치
TWM481745U (zh) 光療環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