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858A - 지식 공유 장치 및 지식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지식 공유 장치 및 지식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858A
KR20180096858A KR1020170022498A KR20170022498A KR20180096858A KR 20180096858 A KR20180096858 A KR 20180096858A KR 1020170022498 A KR1020170022498 A KR 1020170022498A KR 20170022498 A KR20170022498 A KR 20170022498A KR 20180096858 A KR20180096858 A KR 20180096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processor
bulletin board
captured images
knowl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046B1 (ko
Inventor
이상용
박우영
이준호
한현영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2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0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786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title and artist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time, location and usage information, user ratings
    • G06F17/308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가 제공된다.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의 캡쳐 이미지들에 해당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제1 유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2 유저 단말기로부터 자료 요청 신호를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캡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는 지식 공유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캡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자료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읽어들인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2 유저 단말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식 공유 장치 및 지식 공유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KNOWLEDGE}
본 발명은 지식 공유 장치 및 지식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은 궁금한 점이 생기면 관련 서적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얻기도 하지만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보는 것이 생활화 되었다.
그러나 인터넷에서 필요한 디자인 관련 지식만을 검색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왜냐하면 기존에 제공되는 지식 공유 시스템들은 다루는 분야는 광범위하지만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동영상 등을 통한 자유로운 질의 응답 기능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
현재 서비스 중인 기존의 지식 검색 시스템에 대하여 분야, 접근성, 질문, 질문 및 답변 유형, 강의 기능, 강의 내용, 파일거래 기능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해 보면, NAVER 지식 iN의 경우, 답변 제공자는 답변을 동영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동영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녹화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공개특허 10-2003-0014948 (공개일자 : 2003.02.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 및 지식 공유 방법은 동영상 기반의 지식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의 캡쳐 이미지들에 해당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제1 유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2 유저 단말기로부터 자료 요청 신호를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캡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는 지식 공유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캡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자료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읽어들인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2 유저 단말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지식 공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상기 제1 유저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입력된 로그인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웹 브라우저와 연동되는 이미지 캡쳐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성된 상기 캡쳐 이미지들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파일은 상기 제1 유저 단말기에서 실행된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유저가 조작하는 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질의/응답 게시판, 상기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강의 게시판 및 상기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지식 거래 게시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동영상과 연관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질의/응답 게시판, 상기 강의 게시판 및 상기 지식 거래 게시판의 카테고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저 단말기는 상기 캡쳐 이미지들을 인코딩하여 텍스트 기반의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코딩된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캡쳐 이미지로 디코딩하여 상기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태그 정보와 상기 동영상 파일을 연관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태그 정보는 유저 ID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의 캡쳐 이미지들에 해당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제1 유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상기 캡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제2 유저 단말기로부터 자료 요청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자료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2 유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식 공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 및 지식 공유 방법은 제1 유저 단말기의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을 캡쳐하여 동영상 파일로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기반의 지식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와 제1 유저 단말기 및 제2 유저 단말기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은 지식 공유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모델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질의/응답 게시판 및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강의 게시판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식 거래 게시판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버스(102) 또는 다른 통신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스(102) 또는 다른 통신 메커니즘은, 프로세서(104),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인 메모리부(RM), 근거리 통신 모듈(예를 들어, 블루투스나 NF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나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112), 디스플레이부(114)(예를 들면, 비디오 어댑터, CRT 또는 LCD 등), 입력부(118)(예를 들면, 키보드, 키패드, 가상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스타일러스, 터치 감지 수단 등), 및/또는 하위시스템들을 상호 접속한다.
메모리부(RM)는 휘발성 메모리 (106)(예를 들면, RAM), 비휘발성 메모리(108)(예를 들면, ROM), 디스크 드라이브 (110)(예를 들면, HDD, SSD, 광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디스크 드라이브는 non-transitory 기록매체일 수 있다. 광 디스크는 CD, DVD, Blu-ray disc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 드라이브(1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드라이브(110)는 프로세서(104)와 함께 하우징(120)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원격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04)와 원격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디스크 드라이브(110)들은 지식 공유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RM)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운영 체제,드라이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의 동작 및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CPU, AP(Application Processor), 마이크로 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4)는 메모리부(RM)에 접속하여 메모리부(RM)에 저장된 명령들이나 로직의 하나 이상의 시퀀스들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이후에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명령들은, 정적 저장부 (108)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 (110)와 같은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 (106) 안으로 판독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명령들 을 대신하거나 소프트웨어 명령들과 조합된 하드웨어에 내장된 회로부(hard-wired circuitry)가 사용될 수도 있다.
로직은, 프로세서(104)로 명령들을 제공하는 데 참여하는 임의의 매체를 지칭할 수도 있으며, 메모리부(RM)에 인코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4)는 디스플레이부(114)용 하드웨어 제어기와 통신하여 디스플레이부(114) 상에 지식 공유 장치(100)의 동작 및 유저 인터페이싱 동작을 표시할 수 있다.
버스(102)의 배선들(wires)을 포함하는 송신 매체들은 동축 케이블들, 동선(copper wire), 및 광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송신 매체들은, 라디오 파 통신이나 적외선 데이터 통신 동안 생성된 음파 또는 광파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RM)들의 몇몇 공통의 형태들은, 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임의의 다른 자기 매체, CD-ROM, 임의의 다른 광학 매체, 펀치 카드들, 종이 테이프, 구멍들의 패턴을 갖는 임의의 다른 물리적 매체, RAM, PROM, EPROM, FLASH-EPROM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명령 시퀀스들의 실행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통신 링크에 의해 (예를 들면, LAN, WLAN, PTSN, 및/또는 원격 통신들, 모바일, 및 셀룰러 폰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들과 같은) 네트워크에 결합된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은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명령 시퀀스들을 서로 협력시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는, 통신 링크 및 통신부(112)를 통해 메시지들, 데이터, 정보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즉, 애플리케이션 코드)을 포함하는 명령들을 송신하고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12)는, 통신 링크를 통한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별개의 또는 통합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12)는 근거리 통신 모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이동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모듈은 세대별 이동통신망(예를 들어, 2G 내지 4G 이동통신망)에 접속가능하다.
수신된 프로그램 코드는 수신될 때 프로세스(104)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있거나 실행을 위해 디스크 드라이브(110) 또는 몇몇 다른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2)는 프레임 데이터를 제1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는다. 이 때 프레임 데이터는 제1 유저 단말기(200)의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의 캡쳐 이미지들(captured images)에 해당된다. 제1 유저 단말기(200)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유저 단말기(200)는 초당 30 프레임 내지 초당 60 프레임으로 스크린의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메모리부(RM)는 캡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는 지식 공유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식 공유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며 각 테이블 별로 중복을 최소화를 하기 위한 정규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은 회원정보 테이블인 PersonInfo, 회원 별 포인트정보를 가지는 MyPoint 테이블, 포인트 사용과 추가 내역 정보를 가지고 있는 PointHistory 테이브, 질의 정보를 담고 있는 KBoard 테이블, 추가 질문을 가지고 있는 AddQuestion테이블, 답변 정보를 가지고 있는 KBoardAnswer테이블, 댓글정보를 가지고 있는 KComment테이블, 강의 정보를 가지고있는 LBoard 테이블, 강의에 대한 댓글을 가지고 있는 LComment테이블, 댓글 정보를 가지는 LChildComment테이블, 파일 목록을 가지는 FileHouse 테이블, 게시글들의 카테고리를 가지는 Category 테이블, 회원 개인 프로필 사진정보를 가지는 UserImage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식 공유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은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04)는 캡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메모리부(RM)에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04)가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유저 단말기(200)는 유저의 조작에 의하여 캡쳐할 화면의 영역 및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영역 및 해상도에 따라 화면을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화면의 캡쳐는 초당 30 프레임 내지 60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제1 유저 단말기(200)의 화면에 대한 녹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설정 영역이 넓어지면 하나의 프레임에 해당되는 프레임 데이터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유저 단말기(200)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 사이의 통신 속도가 늦춰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유저 단말기(200)는 설정 영역이 넓어질수도록 초당 프레임 수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 데이터에 따라 동영상 파일이 생성될 수 있는데, 동영상 파일의 생성이 제1 유저 단말기(200)를 통하여 이루어질 경우, 제1 유저 단말기(200)의 시스템적 부담이나 이에 따른 동영상 파일 생성 시간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동영상 파일의 생성은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는 동시 접속된 다수의 제1 유저 단말기(200)들로부터 전송된 프레임 데이터 통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는 전송된 프레임 데이터를 다수의 유저들 각각과 매칭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유저 단말기(200)는 캡쳐 이미지들을 인코딩하여 텍스트 기반의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저 단말기(200)는 Base64Encoder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텍스트 기반의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태그 정보를 태깅하기 쉽기 때문이다. 만약 인코딩 없이 다수의 제1 유저 단말기(200)에서 캡쳐 이미지가 전송될 경우, 캡쳐 이미지에 태그 정보를 태깅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가 캡쳐 이미지를 유저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태그 정보는 하나의 프레임에 해당되는 프레임 데이터마다 태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태그 정보가 프레임 데이터마다 태깅되는 것은 다수의 제1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프레임 데이터를 유저에 따라 분류해야 하기 때문이다. 태그 정보는 유저의 아이디, 녹화시작시간, 유저의 소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유저 단말기(200)는 태그 정보 및 프레임 데이터와 더불어 밸류(Value)를 전송할 수 있다. 밸류는 녹화의 스타트 메시지(start message) 또는 엔드 메시지(end messag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가 밸류로서 스타트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프로세서(104)는 OpenCV와 같은 동영상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동영상 객체를 만들 수 있으며, 동영상 라이브러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104)는 다수의 동영상 객체 각각을 해쉬맵(HashMap)에 할당시킬 수 있으며, 각 해쉬맵에 동영상 객체를 할당하는 것은 유저의 아이디를 키(key) 값으로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동영상 객체가 생성된 후 인코딩된 프레임 데이터를 엔드 메시지가 전송될 때까지 캡쳐 이미지로 디코딩하고 다수의 캡쳐 이미지들을 합침으로써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메모리부(RM)에 저장된 Base64 디코더(decoder)를 읽어들여 실행함으로써 프레임 데이터를 캡쳐 이미지로 디코딩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04)는 동일한 태그 정보에 해당되는 캡쳐 이미지들을 합침으로써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이와 같이 생성된 동영상 파일을 지식 공유 데이터베이스의 경로에 따라 메모리부(RM)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04)는,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태그 정보와 동영상 파일을 연관시켜 메모리부(RM)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태그 정보는 유저 ID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세서(104)는 동영상 파일을 유저 ID 정보나 카테고리 정보에 따라 분류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2)는 제2 유저 단말기(300)로부터 자료 요청 신호를 전송받고, 프로세서(104)는 자료 요청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RM)로부터 읽어들인 동영상 파일을 제2 유저 단말기(300)로 통신부(112)를 통하여 전송한다. 제2 유저 단말기(300) 역시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는 제1 유저 단말기(200) 및 제2 유저 단말기(300)와 서버(sever)-클라이언트(clien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메모리부(RM)와 프로세서(104)는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르게 공간적으로 분리된 서로 다른 하우징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로세서(104)는 통신부(112)를 통하여 메모리부(RM)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04)는 복수의 제1 유저 단말기(200)의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하여 입력된 로그인 정보에 따라 복수의 제1 유저 단말기(200)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04)는 웹 브라우저와 연동되는 이미지 캡쳐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성된 캡쳐 이미지들로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모리부(RM)는 각 유저의 로그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캡쳐 프로그램은 제1 유저 단말기(200)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크롬 플러그 인(Chrome plug-in) 또는 캡쳐용 액티브 X(active X)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웹 브라우저와 연동되는 이미지 캡쳐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이유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제1 유저 단말기(20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에 로그인한 후 프레임 데이터를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다수의 제1 유저 단말기(20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에 프레임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웹 브라우저는 대다수의 유저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가 다수의 유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프레임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동영상 파일은 제1 유저 단말기(200)에서 실행된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유저가 조작하는 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포토 샵(photo-shop), 파워포인트(power point), Auto CA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는 제1 유저 단말기(200)의 스크린에 표시된 장면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를 통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가 제1 유저 단말기(200)에에서 실행된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마우스, 스타일러스 펜 또는 키보드 등으로 조작하면, 해당 장면이 제1 유저 단말기(200)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장면이 동영상 파일로 만들어지므로 유저는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대한 질문, 질문에 대한 답변 또는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대한 강의를 동영상으로 현장감있게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는 도 4의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질의/응답 게시판, 도 5의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강의 게시판 및 도 6a와 도 6b의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 관련 지식 거래 게시판을 제1 유저 단말기(200) 및 제2 유저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다.
강의 게시판은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강의를 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저 단말기(200)의 화면 상단에는 유저가 가 녹화한 동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그 아래에는 강의에 대한 정보가 있으며 ‘추천’과 ‘반대’ 기능, 다른 사용자들이 강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댓글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화면 우측에는 강사의 정보, 강사가 게시한 다른 강의가 표시될 수 있다.
지식 거래 게시판은 앞서 설명된 동영상 파일의 거래뿐만 아니라 텍스트 기반의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과 같은 여러 형식의 파일들을 거래하기 위한 것이다. 지식 거래 게시판의 파일 목록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의 카테고리 별로 유저들이 업로드한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거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를 통하여 유저가 충전한 포인트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판매자가 다양한 형식의 파일의 가치(예를 들어, 포인트)를 정하여 거래하고자 하는 파일을 등록할 수 있다.
유저가 제1 유저 단말기(200)를 조작하여 도 6a의 오른쪽 상단의 ‘판매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도 6b의 판매하기 화면이 제1 유저 단말기(200)를 통하여 표시되며, 유저는 제1 유저 단말기(200)를 조작하여 판매하고 하는 파일의 제목, 카테고리, 파일, 내용과 판매 포인트를 입력하고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04)는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질의/응답 게시판,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강의 게시판 및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 관련 지식 거래 게시판 중 적어도 하나를 동영상과 연관시켜 메모리부(RM)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유저는 질의/응답 게시판, 강의 게시판 및 지식 거래 게시판 동영상 파일이 업로드될 게시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게시판에 동영상 파일이 등록되도록 프로세서(104)는 지식 공유 데이터베이스의 경로에 따라 메모리부(RM)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질의/응답 게시판, 강의 게시판 및 지식 거래 게시판의 카테고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질의/응답, 강의 및 지식 거래를 효율적으로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다르게 각 게시판마다 카테고리가 다르다면 유저는 자신의 질의에 대한 강의를 찾거나 지식 거래를 하는데 불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테고리는 포토샵,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편집디자인(Editorial Design), 웹디자인(Web Design), 플래시(Flash), 기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장치(100)를 통하여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공유 방법은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의 캡쳐 이미지들에 해당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제1 유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캡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제2 유저 단말기(300)로부터 자료 요청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자료 요청 신호에 따라 동영상 파일을 제2 유저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캡쳐 이미지, 프레임 데이터, 동영상 파일의 생성, 자료 요청 신호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지식 공유 장치(100)
프로세서(104)
메모리부(RM)
통신부(112)
제1 유저 단말기(200)
제2 유저 단말기(300)

Claims (9)

  1.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의 캡쳐 이미지들에 해당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제1 유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2 유저 단말기로부터 자료 요청 신호를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캡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는 지식 공유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캡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자료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읽어들인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2 유저 단말기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지식 공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상기 제1 유저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입력된 로그인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유저 단말기의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웹 브라우저와 연동되는 이미지 캡쳐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성된 상기 캡쳐 이미지들로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 공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파일은 상기 제1 유저 단말기에서 실행된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유저가 조작하는 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 공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질의/응답 게시판, 상기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강의 게시판 및 상기 디자인 관련 어플리케이션지식 거래 게시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동영상과 연관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 공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응답 게시판, 상기 강의 게시판 및 상기 지식 거래 게시판의 카테고리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 공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저 단말기는 상기 캡쳐 이미지들을 인코딩하여 텍스트 기반의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코딩된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캡쳐 이미지로 디코딩하여 상기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 공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태그 정보와 상기 동영상 파일을 연관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 공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정보는 유저 ID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 공유 장치.
  9. 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의 캡쳐 이미지들에 해당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제1 유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상기 캡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제2 유저 단말기로부터 자료 요청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자료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동영상 파일을 상기 제2 유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식 공유 방법.
KR1020170022498A 2017-02-20 2017-02-20 지식 공유 장치 및 지식 공유 방법 KR101908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98A KR101908046B1 (ko) 2017-02-20 2017-02-20 지식 공유 장치 및 지식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98A KR101908046B1 (ko) 2017-02-20 2017-02-20 지식 공유 장치 및 지식 공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858A true KR20180096858A (ko) 2018-08-30
KR101908046B1 KR101908046B1 (ko) 2018-10-16

Family

ID=6345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498A KR101908046B1 (ko) 2017-02-20 2017-02-20 지식 공유 장치 및 지식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0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407A (ko) * 2000-04-14 2001-11-07 김욱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지간의 양방향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4948A (ko) 2001-08-13 2003-02-20 구현사 인터넷을 통한 지식공유와 지식정보제공자에 대한보상시스템
JP2010147905A (ja) * 2008-12-19 2010-07-01 Canon Inc 表示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
JP2012133210A (ja) * 2010-12-22 2012-07-12 Ntt Docomo Inc 表示装置、画面画像転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88274A (ko) * 2012-12-31 2014-07-10 (주)원더피플 게임 플레이 영상 공유 방법 및 서버
KR20150116604A (ko) * 2014-04-08 2015-10-16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지식기반 공유 스마트 러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407A (ko) * 2000-04-14 2001-11-07 김욱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지간의 양방향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4948A (ko) 2001-08-13 2003-02-20 구현사 인터넷을 통한 지식공유와 지식정보제공자에 대한보상시스템
JP2010147905A (ja) * 2008-12-19 2010-07-01 Canon Inc 表示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
JP2012133210A (ja) * 2010-12-22 2012-07-12 Ntt Docomo Inc 表示装置、画面画像転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88274A (ko) * 2012-12-31 2014-07-10 (주)원더피플 게임 플레이 영상 공유 방법 및 서버
KR20150116604A (ko) * 2014-04-08 2015-10-16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지식기반 공유 스마트 러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046B1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03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submission
CN109635155B (zh) 为用户推送视频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5764988B2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372864B2 (en) Online binders
TWI610180B (zh) 使用共享及個人裝置合作提供個人化使用者功能
US8787985B2 (en) Screen captur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8027935A (zh) 与内容项目相关的归因转换
KR101772361B1 (ko) 메신저를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JP6125680B2 (ja) メッセンジャを利用したコンテンツ提供方法、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US1017146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ess method, and terminal device
EP3414650A1 (en) Social keyboard
CA3009868A1 (en) Permission management of cloud-based documents
US20220391457A1 (en) Page operation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60050255A1 (en) Controlling content on a display device
US20160277476A1 (en) Distributing content using a smartphone
JP2006259893A (ja) 物体認識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KR101908046B1 (ko) 지식 공유 장치 및 지식 공유 방법
WO2023274124A1 (zh) 信息回复方法、装置、电子设备、计算机存储介质和产品
JP6213524B2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19436A (ko) 영상 출력 장치들을 활용한 전자문서 정보 처리 장치 및 그의 정보 처리 방법
KR101978297B1 (ko)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021588A (ko)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
KR101170322B1 (ko) 웹을 기반으로 하는 개인 컴퓨터를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4130571A (ja) ネットワークデータ記憶システム、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04243455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