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468A - 지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468A
KR20180096468A KR1020170100880A KR20170100880A KR20180096468A KR 20180096468 A KR20180096468 A KR 20180096468A KR 1020170100880 A KR1020170100880 A KR 1020170100880A KR 20170100880 A KR20170100880 A KR 20170100880A KR 20180096468 A KR20180096468 A KR 20180096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portable terminal
server
code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충광 판
앤메이 텅
Original Assignee
상하이 파안쓰 투자 관리 유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파안쓰 투자 관리 유한공사 filed Critical 상하이 파안쓰 투자 관리 유한공사
Publication of KR2018009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5Map projections or methods associated specifically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지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공개하였는 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에서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 또는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코드스캔 또는 처리시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물품 위치로 할 수 있거나, 코드스캔 또는 처리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 위치를 물품 위치로 함으로써, 각 물품 위치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지도를 바로 얻을 수 있는 바, 본 출원의 실시예는 지도 자동 생성을 구현하여, 지도 제작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지도 생성 시스템 및 방법{A MAP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본 출원은 계산기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지도 생성 시스템 및 지도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발전과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상가, 슈퍼마켓, 창고 등과 같이 물품 저장이 가능한 대형 실내 장소가 점차적으로 붐을 일으키고 있다.
상가, 슈퍼마켓, 창고 등과 같은 실내 장소에서, 물품 유형이 복잡하고, 배치 종류와 수량 또한 천차만별이여서, 배열 위치 또한 확정되지 않아, 사용자가 이러한 실내 장소에서, 수요되는 물품을 찾자면 흔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에, 내비게이션 지도가 이에 따라 생기게 되어, 사용자가 우선 내비게이션 지도에서 물품의 대략적인 위치를 확정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수요되는 목표 물품을 찾도록 보조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존의 내비게이션 지도는 통상적으로 실내장소 중의 물품이 위치하는 위치에 의하여 인공적으로 드로잉된 것이나, 실내장소 내의 물품이 아주 많고, 물품 종류 및 물품 배열 위치가 수시로 변하기에, 인공적인 드로잉 방식을 사용하면 조작이 복잡하고, 정확성이 떨어진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은 지도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선행기술에서의 지도 드로잉 조작이 복잡하고, 효율이 낮으며, 그다지 정확하지 않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지도 생성 시스템이 제공되는 바,
여기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고, 코드스캔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지도 생성 시스템이 제공되는 바,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여기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고;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지도 생성 시스템이 제공되는 바,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여기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고;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지도 생성 시스템이 제공되는 바,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감시단이 포함되고; 상기 감시단은 실내 장소에 배치되고, 위치는 이미 알려져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며;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감시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무선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버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제 5 측면에 따르면, 지도 생성 시스템이 제공되는 바,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감시단이 포함되고; 상기 감시단은 실내 장소에 배치되고, 위치는 이미 알려져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여;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감시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거리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거리 및 상기 거리를 발송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제 6 측면에 따르면, 지도 생성 방법이 제공되는 바, 지도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지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은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여기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발송된 코드스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스캔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여 얻어진 것이고;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 7 측면에 따르면, 지도 생성 방법이 제공되는 바, 지도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지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은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여기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상기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고;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의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제 8 측면에 따르면, 지도 생성 방법이 제공되는 바, 지도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지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은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여기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업로드된 물품의 물품 위치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코드스캔된 물품의 물품 위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어 얻어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이고;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 9 측면에 따르면, 지도 생성 방법이 제공되는 바, 지도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지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은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여기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 10 측면에 따르면, 지도 생성 방법이 제공되는 바, 상기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물품 처리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이고;
감시단이 발송한 무선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무선신호는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것이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며;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 11 측면에 따르면, 지도 생성 방법이 제공되는 바, 상기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물품 처리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이고;
감시단이 발송한 거리를 수신하되; 상기 거리는 상기 감시단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거리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계산하여 얻어지는 것이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거리 및 상기 거리를 발송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행기술과 비교해보면, 본 출원은 하기의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 또는 처리를 진행함으로써, 코드스캔 또는 처리시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물품 위치로 할 수 있거나, 코드스캔 또는 처리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 위치를 물품 위치로 함으로써, 각 물품 위치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지도를 바로 생성할 수 있어, 지도의 자동생성을 구현하여, 인공적인 드로잉이 필요없이, 지도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여기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출원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일부분을 구성하였고,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 및 이의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지,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출원 실시예의 무선기기의 배치 모식도이다.
도 2b는 본 출원 실시예의 무선기기의 배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 실시예의 제 1 제어기기의 배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a는 본 출원 실시예의 제 2 종 기기의 배치 모식도이다.
도 8b는 본 출원 실시예의 제 2 종 기기의 배치 모식도이다.
도 8c는 본 출원 실시예의 제 2 종 기기의 배치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a는 본 출원 실시예의 내비게이션 지도의 모식도이다.
도 10b는 본 출원 실시예의 내비게이션 지도의 모식도이다.
도 10c는 본 출원 실시예의 내비게이션 지도의 모식도이다.
도 10d는 본 출원 실시예의 내비게이션 지도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 실시예의 지도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출원 실시예의 서버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출원 실시예의 서버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출원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6은 본 출원 실시예의 서버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7은 본 출원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8은 본 출원 실시예의 서버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9는 본 출원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방식을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본 출원이 어떻게 기술적 해결수단을 이용하여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는 실현과정은 충분히 이해가능하고 이에 의해 실시된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주로 슈퍼마켓, 상가, 창고 등과 같이 대량의 물품을 저장하는 실내장소에 적용된다. 이러한 실내장소에서, 대량의 물품 진열대가 배치되는데,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는 또한 다층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었고, 물품은 구체적으로 프레임에 배치된다. 선행기술에서 인공측량을 수요로 하고, 물품 진열대 중에서 매층의 프레임에 위치하는 물품을 인공적으로 드로잉해야 하므로, 조작이 매우 복잡하고, 선행기술에서 지도 드로잉 조작이 복잡하고, 효율이 낮으며 그다지 정확하지 않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자는 일련의 연구를 거쳐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제출하여, 내비게이션 지도 자동생성을 구현하기에, 인공적인 드로잉이 필요없이, 지도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고, 상기 시스템은 서버(101), 휴대용 단말기(102) 및 무선기기(103)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103)가 배치되고, 매 하나의 무선기기(103)는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며;
설명해야 할 것은, 도 1에는 하나의 무선기기만 예시적으로 나타났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가, 슈퍼마켓, 창고 등과 같은 실내장소에서, 물품이 매우 많고, 매 하나의 물품은 모두 하나의 무선기기와 대응되어야 하기에, 다수의 무선기기가 포함되어야 함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응용에서, 물품 진열대는 통상적으로 다층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물품 진열대는 함께 배열될 수 있다. 매층의 프레임은 물품을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무선기기가 물품 진열대에서의 일종의 배치 모식도로서, 도 2a에서, 다섯개의 물품 진열대가 포함되고,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는 5층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무선기기는 구체적으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21)의 매층의 프레임(22)에 배치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2)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고, 코드스캔 정보를 상기 서버(101)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버(101)는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해, 매 하나의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103)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물품 상의 물품 정보 코드를 식별하는 것이므로, 코드스캔 정보에는 적어도 물품 정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물품 정보 코드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일 수 있고, 물품의 표지부호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물품 겉포장지 상의 1차원 바코드일 수 있다.
실제응용에서, 사용자가 물품 검색 및 명칭, 가격 등등과 같은 물품 관련 정보를 찾아보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물품 진열대에는 통상적으로 매 하나의 물품에 하나의 라벨이 붙어있는데, 상기 라벨은 이에 대응되는 물품의 물품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슈퍼마켓, 상가 등 쇼핑장소에서, 라벨은 곧바로 가격라벨이고, 매 하나의 물품은 곧바로 하나의 상품이며, 가격라벨은, 물품의 명칭, 가격 등 물품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하나의 물품 및 하나의 라벨과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라벨은 종이라벨일 수 있고 전자라벨일 수도 있다. 전자라벨은 물품 진열대에 배치되어, 기존의 종이라벨을 대체하는 전자 표시장치로서, 물품의 가격, 정보 코드, 상표, 재고 등 물품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물품 관련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쇼핑장소에서, 전자라벨은 곧바로 전자 진열대 라벨(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ESL)이다.
라벨이 전자라벨일 때, 상기 전자라벨과 대응되는 무선기기는 상기 전자라벨에 집적되어, 일체형 기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b는 무선기기가 물품 진열대에서의 또 다른 배치 모식도로서, 도 2b와 도 2a의 구별점은, 도 2b에 따르면 하나의 무선기기가 하나의 라벨과 대응되는데에 있다. 라벨이 전자라벨일 때, 전자라벨 및 무선기기는 물품 진열대의 고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물품은 대응되는 전자라벨 및 무선기기에 배치된다.
라벨이 전자라벨일 때, 물품을 전자라벨과 바인딩할 수도 있다. 매 하나의 라벨에도 라벨 정보 코드가 설치되는 바, 예를 들어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과 같은 것으로, 상기 라벨을 표기하기 위한 것이다.
물품과 라벨이 바인딩되지 않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과 대응되는 라벨을 코드스캔할 수도 있음으로써, 매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는 코드스캔 정보는 물품 정보 코드 및 라벨 정보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는 코드스캔 정보 중의 물품 정보 코드에 의하여 물품 명칭 및/또는 물품 가격 등 물품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고, 라벨 정보 코드와 대응되는 라벨에 발송함으로써, 라벨이 대응되는 물품의 물품 관련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고, 서버는 물품 정보 코드와 라벨 정보 코드의 대응관계를 보존하여, 물품과 전자라벨을 바인딩시킨다.
물품과 라벨이 바인딩될 경우, 즉 서버에 물품 정보 코드와 라벨 정보 코드의 대응관계가 보존될 때,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는 라벨에 대하여 코드스캔할 수도 있고, 코드스캔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한다. 이로써 서버는 코드스캔 정보 중의 라벨 정보 코드에 의하여, 우선 대응되는 물품을 결정하고, 나아가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는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의 물품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서버는 생성된 내비게이션 지도에서 매 하나의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 물품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적어도 물품 명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기기(103)는 무선신호를 발송 및/또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기일 수 있고, Wi-Fi, 블루투스, 적외선, 초광대역, RFID, ZigBee 또는 초음파 등 기술을 사용하는 기기일 수 있으며, 실제응용에서, 무선기기는 구체적으로 저 전력소모 블루투스 기기일 수 있고, 무선신호가 바로 Beacon(비콘)신호이다.
무선기기(103)는 메인 서브가 일체로 이루어진 기기일 수 있고,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무선신호를 발송할 수도 있으며, 물론 메인 기기 및 서브 기기를 포함할 수도 있는 바, 메인 기기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서브 기기는 무선신호를 발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2)는 무선기기(103)에 무선신호를 발송 및/또는 상기 무선기기(103)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제응용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핸드폰 등 휴대용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서버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무선기기는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여 물품을 코드스캔하고, 서버는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를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할 수 있다.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지도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의 자동생성을 구현하여, 인공적인 드로잉이 필요없이, 내비게이션 지도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여기서, 서버는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를 결정하는 것은 다양한 구현가능 방식이 있다.
구현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물품 진열대에서,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하나의 물품 및 하나의 라벨과 대응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과 대응되는 라벨을 코드스캔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코드스캔 정보에는 물품 정보 코드 및 라벨 정보 코드가 포함된다.
상기 서버가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은,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상이한 라벨과 상이한 무선기기의 대응관계를 찾고; 코드스캔된 물품의 라벨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이한 라벨과 상이한 무선기기의 대응관계는 서버에 기설정될 수 있다.
라벨이 전자라벨일 때, 전자라벨과 대응되는 무선기기는 상기 전자라벨에 집적될 수 있는 것으로, 일체형 기기이다. 이때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이와 전자라벨의 대응관계를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업로드되는 것은 무선기기의 기기 표지 및 전자라벨의 라벨 정보 코드이다. 이로써 서버는 매 하나의 무선기기와 전자라벨의 대응관계를 보존할 수 있다. 여기서, 매 하나의 무선기기와 전자라벨의 대응관계에는 매 하나의 무선기기의 기기 표지 및 이와 대응되는 라벨 정보 코드가 포함된다.
이로써 상이한 라벨과 상이한 무선기기의 대응관계를 검색하여, 물품, 라벨 및 무선기기의 대응관계를 구축할 수 있음으로써, 코드스캔 정보 중의 라벨 정보 코드에 의하여, 대응되는 기기 표지를 검색가능하고, 상기 기기 표지와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가 바로 물품 정보 코드와 대응되는 물품의 물품 위치이다.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매 하나의 무선기기에는 기기 정보 코드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기기 정보 코드는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또는 3차원 바코드 등일 수 있는 것으로, 무선기기의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에 대해서도 코드스캔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는 상기 기기 정보 코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코드스캔 정보 중의 기기 정보 코드에 의하여, 상기 기기 정보 코드와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코드스캔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코드스캔된 물품은 코드스캔 정보 중의 물품 정보 코드 또는 라벨 정보 코드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물품 진열대는 통상적으로 다층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물품 진열대는 함께 배열가능하여, 물품 진열대 영역 및 물품 진열대 통로 영역을 형성한다.
무선기기는 물품 진열대의 매층의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고, 서버는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위치 및 물품 진열대 중의 프레임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무선기기는 물품 진열대 중의 매층의 프레임에서 배치 규칙에 따라 배치가능함으로써, 서버는 배치 규칙 및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프레임 위치 및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치 규칙은 매층의 프레임에 다수의 무선기기를 배치하고,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며, 이때 서버는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매층의 프레임 중의 무선기기의 배치 수량 및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프레임 위치를 결정할 수 있어, 나아가 프레임 위치에 의하면 물품 진열대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구체적으로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드로잉할 수 있는 바, 우선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한 뒤,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드로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내장소에서 물품을 배열할 때, 통상적으로 통로 위치를 남기게 되는데, 통로 위치는 구체적으로 물품 진열대 사이의 진열대 통로 위치일 수 있다.
진열대 통로 위치는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을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구현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는 코드스캔하지 않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또한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버는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가능한 것은, 서버는 구체적으로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두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의 신호강도 및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계산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여 수신된 무선기기의 신호강도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 및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질량 중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 및 무선기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코드스캔 위치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의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어, 위치 좌표 공간의 공간 차원수(M)에 의하여, 신호강도가 큰데로부터 작은데로의 순서에 따라, M+1보다 크거나 같은 N개의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어 계산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N는 M+1과 같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와 N개의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 및 N개의 무선기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질량 중심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 지도는 구체적으로 3차원 입체 지도일 수 있는 바, 3차원 좌표 공간에서 생성된다.
구현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의 신호강도에 의하여 하기와 같은 공식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바,
Figure pat00001
이고;
여기서, R는 신호강도를 나타내고; d는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며; A는 거리가 1 미터일 때 수신 기기가 수신한, 발송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나타내고; n는 환경 감쇠 인자를 나타낸다.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의 신호강도에 의하여 하기와 같은 공식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바,
Figure pat00002
이고; 여기서, R는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나타내고, d는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와의 거리를 나타내고; C는 환산 비례인수이고; R0는 국제 표준치를 사용한 것으로, 위치가 알려진 발송 기기가 상이한 모델의 수신 기기와 무한하게 접근할 때, 수신 기기가 수신한 신호강도 평균치일 수도 있다.
여기서, C는 초기 기설정값을 선택할 수 있고, 계산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수신된 무선신호와 대응되는 무선기기에서, Q개의 유효기기를 선택할 수도 있는 바, 여기서 Q는 M+1보다 크거나 같고, 구체적으로, Q는 M+1와 같을 수 있다. Q개의 유효기기를 이용하여 환산 비례인수의 수치를 조절하여, 상기 환산 비례인수의 교정치를 찾는 바, 상기 교정치는 매 하나의 유효기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고, 매 하나의 유효기기와 상기 목표기기 사이의 교정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형성된 Q개의 원형 또는 구형은 유일한 접점을 구비한다. 그후 얻어진 상기 환산인수의 교정치를 재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다.
물론, 본 출원 실시예는 상기 두가지 구현가능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실제 응용상황에 의하여, 상이한 구현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신호강도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다.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와의 거리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여 얻을 수 있다.
실제응용에서, 실내장소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계단, 엘리베이터, 소방통로 등과 같은 몇몇 실내 통로를 포함하게 되고, 이러한 실내통로는 건축 설계도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건축 설계도로부터 장소의 사이즈와 경계를 결정할 수도 있음으로써,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를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서버는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를 결정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 내에서,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각 진열대 통로 위치 및 실내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기기의 위치는 사전에 설정가능하고, 계산을 통해 얻을 수도 있는 바, 이하 상세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구별점은,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기기는 제 1 종 기기(1031) 및 제 2 종 기기(10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종 기기(1031)의 위치는 이미 알려진 것에 있고;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제 1 종 기기(1031)의 수량 및 제 2 종 기기(1032)의 수량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버(101)는 또한 상기 제 1 종 기기(1031)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1032)를 기지기기로 하여,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임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1032)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103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종 기기(1031)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1032)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 1 종 기기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고; 제 2 종 기기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종 기기는 실내 위치가 변하지 않은 곳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종 기기는 물품 진열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물품 진열대가 이동될 수 있기에, 위치가 변하지 않는 제 1 종 기기에 의하여,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 위치가 모두 결정된 후, 서버는 제 1 종 기기의 위치 및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보낼 수 있는 바, 물론 휴대용 단말기의 제 1 위치 획득 요청을 받았을 때, 획득 요청된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발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고,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여,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종 기기가 다수개 포함될 때, 다수의 제 1 종 기기는 실내 기설정 영역 내에 설치되고,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내 4개의 모서리 중의 어느 하나의 모퉁이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 좌표 공간 차원수가 M일 경우, 제 1 종 기기의 개수가 M+1보다 크거나 같도록 확보해야 하는 바, 구체적으로 M +1개 제 1 종 기기일 수 있어, 적어도 하나의 제 2 종 기기가 동시에 M +1개의 제 1 종 기기가 발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확보하여, 더욱 정확하게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위치 좌표가 3차원 좌표일 때, 상기 제 1 종 기기는 4개 포함될 수 있고, 실내 동일한 기설정 위치에 설치되며, 모두 동일한 평면 및 동일한 직선에 위치하지 않아, X축, Y축 및 Z축의 좌표를 간편하게 결정하도록 한다.
위치 좌표가 2차원 좌표일 때, 상기 제 1 종 기기는 3개 포함될 수 있다.
위치 좌표가 1차원 좌표일 때, 상기 제 1 종 기기는 2개 포함될 수 있다.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의 매층의 프레임에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것은 상기 제 2 종 기기이고, 도 2에서 물품 진열대에 배치된 무선기기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종 기기이다.
라벨이 전자라벨일 때, 제 2 종 기기에는 예를 들어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크로 제어유닛)와 같이, 이와 대응되는 전자라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더 설치될 수 있고, 제어모듈은 서버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이와 대응되는 전자라벨을 관리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전자라벨의 물품 관련 정보 등을 수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서버가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간편하게 얻도록 하기 위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구별점은, 상기 장치는 제 1 제어기기(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제 1 제어기기(104)의 수량은 도 4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종 기기(1031) 및 상기 제 2 종 기기(1032)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상기 제 1 제어기기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제어기기(104)는 상기 제 1 종 기기(1031) 및 상기 제 2 종 기기(1032)가 수신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101)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101)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제 1 종 기기(1031) 및 상기 제 2 종 기기(1032)가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기지기기(제 1 종 기기(1031) 및/또는 제 2 종 기기(1032))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1032)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 1 제어기기(104)는 기설정된 배열에 따라 실내 천정에 배치될 수 있다.
실제응용에서, 상기 제 1 제어기기는 AP(Wireless Access Point, 무선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제 1 제어기기는 기설정된 배열에 따라 실내 천정에 배치되고; 상기 기설정된 배열은 실내 경계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 1 제어기기가 실내 천정에서의 배치 모식도로서, 실내 천정의 하나의 모퉁이로부터 트리거되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기설정 거리를 간격으로 두고, 예를 들어 8 미터를 두고, 하나의 제어기기가 배치되고, 도 5에 도시된 그리드상을 이루어, 인공적으로 각 메인 기기의 위치 좌표를 사전에 설정한다. 물론, 제 1 제어기기는 불규칙적으로 실내 천정에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위치 좌표만 알면 된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전송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서버(101)는 근단 서버(1011) 및 원단 서버(1012)를 포함할 수 있고, 근단 서버(1011)는 가게 안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 1 제어기기, 무선기기 등과 동일한 LAN 내에 위치하고, 원단 서버는 네트워크단에 설치될 수 있어, 인터넷에 의해 근단 서버와 연결되고;
휴대용 단말기(102)는 LAN내에서, 근단 서버(101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제어기기(104)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종 기기(1031) 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1032)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를 상기 근단 서버(1011)에 의하여 상기 원단 서버(1012)에 업로드하고;
휴대용 단말기(102)는 구체적으로 상기 코드스캔 정보를 상기 근단 서버(1011)에 의하여 상기 원단 서버(1012)에 업로드하고;
원단 서버(1012)는 상기 제 1 종 기기(1031)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1032)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제 1 종 기기(1031) 및 상기 제 2 종 기기(1032)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임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1032)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1032)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매 하나의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제 2 종 기기(1032)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각 제 2 종 기기(1032)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진열대 통로 위치에 대한 결정은, 구현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제 1 종 기기 및/또는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근단 서버에 의하여 원단 서버에 업로드하고, 원단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상기 근단 서버에 의하여 상기 원단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제 1 제어기기는 기지기기가 발송한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근단 서버에 업로드한 후, 근단 서버는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원단 서버에 업로드한 뒤; 원단 서버가 각 제 2 종 기기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밖에, 휴대용 단말기는 원단 서버와 연결됨으로써, 코드스캔 정보를 원단 서버에 직접 업로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구별점은, 상기 장치가 제 2 제어기기(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있고;
제 2 제어기기(105)는 기설정된 배열에 따라 실내 천장에 배치되고, 구체적인 배치방식은 도 5 중의 제 1 제어기기의 배치방식을 참조할 수 있고, 이와 제 1 제어기기의 배치방식과 동일하며, 제 2 제어기기(105)의 위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
상기 제 2 제어기기(105)는 상기 제 2 제어기기(105)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103)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무선기기는 방송하는 형식으로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제 2 제어기기는 감청하는 형식으로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서버(103)는 또한 상기 제 2 제어기기(105)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103)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105)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103)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버(103)는 또한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구체적으로 각 물품 진열대 위치 및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구현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102)는 또한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상기 서버로부터 얻은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여,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고,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서버(101)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101)는 구체적으로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서버(101)는 구체적으로 근단 서버 및 원단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코드스캔 정보 및 진열대 통로 위치를 원단 서버에 업로드하고;
제 2 제어기기는 구체적으로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근단 서버에 의하여 원단 서버에 업로드하고, 원단 서버는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물론, 제 2 제어기기는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근단 서버에 업로드한 후, 근단 서버는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무선기기의 위치를 원단 서버에 업로드하며, 원단 서버는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의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102)는 또한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101)에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10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며;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 서버(101)는 구체적으로 근단 서버 및 원단 서버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코드스캔된 정보 및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원단 서버에 업로드한다.
제 2 제어기기는 구체적으로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근단 서버에 업로드하고, 근단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무선기기의 위치를 원단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제 2 제어기기는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근단 서버에 업로드한 후, 근단 서버를 통하여 원단 서버에 업로드하고, 원단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원단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고;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의 위치를 결정하며;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출원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다. 상기 시스템은 서버(701), 휴대용 단말기(702) 및 무선기기(703)가 포함될 수 있다.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703)가 배치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무선기기가 통상적으로 다수개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701)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702)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고;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서버(701)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701)는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을 코드스캔하여 얻어진 코드스캔 정보를 서버에 업로드하여, 서버가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각 물품을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물품 진열대 상의 물품 겉포장에 있는 물품 정보 코드를 스캔하는 것이다. 물품 정보 코드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일 수 있고, 물품의 표지부호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물품 겉포장에 있는 1차원 바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를 업로드할 수도 있음으로써, 서버가 물품 표지 정보에 의하여, 상이한 물품의 물품 위치를 간편하게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 표지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을 코드스캔하여 얻어진 물품 정보 코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물품 진열대에 라벨이 배치되고, 매 하나의 라벨은 하나의 물품과 대응된다.
여기서, 라벨은 종이라벨일 수도 있고 전자라벨일 수도 있다.
물품과 라벨이 바인딩될 경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과 대응되는 전자라벨에 대하여 코드스캔할 수도 있음으로써, 매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는 코드스캔 정보는 물품 정보 코드 및 라벨 정보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를 통하여 물품과 전자라벨을 바인딩하는 바, 구체적인 바인딩 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물품과 라벨이 바인딩될 경우, 서버에 물품 정보 코드와 라벨 정보 코드의 대응관계가 보존될 때, 휴대용 단말기가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는 것은 매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는 라벨을 코드스캔하여 라벨 정보 코드를 얻는 것일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가 라벨 정보 코드를 서버에 업로드함으로써, 서버는 라벨 정보 코드에 의하여, 대응되는 물품 정보 코드을 결정하여, 상이한 물품의 물품 위치를 구별할 수도 있다.
서버는 물품 표지 정보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의 물품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음으로써, 서버가 생성한 내비게이션 지도에는 예를 들어 물품 가격, 물품 명칭 등과 같은 매 하나의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 물품 관련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기기는 무선신호를 발송 및/또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무선기기에 대한 소개는 상기 실시예에서 상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어, 이에 대해 더 이상 진술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을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매 하나의 물품의 물품 위치를 결정한 후,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도 생성 시스템을 통하여, 내비게이션 지도의 자동생성을 구현하기에, 인공적인 드로잉이 필요없이, 내비게이션 지도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다양한 구현가능한 방식이 있다.
구현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의 매층의 프레임에 하나의 무선기기가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기기의 발송신호를 간편하게 얻는다. 상이한 프레임에서의 무선기기의 배치 위치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의 신호강도 및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무선기기의 신호강도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 및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코드스캔 위치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질량 중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 및 무선기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코드스캔 위치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의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 위치 좌표 공간의 공간 차원수(M)에 의하여, 신호강도가 큰데로부터 작은데로의 순서에 따라, M+1보다 크거나 같은 N개의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선택할 수 있어 계산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N는 M+1과 같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와 N개의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 및 N개의 무선기기의 위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의 신호강도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술한 두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을 참조할 수 있어, 이에 대해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무선기기가 물품 진열대에 배치될 때,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이 모두 하나의 무선기기와 대응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무선기기를 결정하고, 상기 가장 근접한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무선기기의 위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코드스캔의 물품의 물품 위치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무선기기는 수신한 신호강도가 가장 강한 무선신호와 대응되는 무선기기일 수 있다.
이밖에,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기기는 물품 진열대의 매층의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고, 서버는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 및 물품 진열대 중의 매층의 프레임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무선기기는 물품 진열대 중의 매층의 프레임에서 배치규칙에 따라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서버는 배치규칙 및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프레임 위치 및 물품 진열대의 위치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배치규칙은 예를 들어 매층의 프레임에 하나의 무선기기를 배치할 수 있되, 무선기기는 서로 다른 프레임에서의 배치 위치가 같고; 무선기기는 구체적으로 프레임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고; 하나의 무선기기의 위치는 하나의 프레임의 위치로서, 프레임 위치에 의하면 물품 진열대 위치를 얻을 수 있다. 내비게이션 지도 생성 과정에서, 인접하는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프레임의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할 수 있다.
또 다음과 같이, 배치 규칙은 매층의 프레임에 다수의 무선기기를 배치하는 것일 수 있고,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는 것이며, 이때 서버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매층의 프레임에서의 무선기기의 배치수량 및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프레임 위치를 결정할 수 있어, 나아가 프레임 위치에 의하면 물품 진열대 위치를 얻을 수 있다.
이밖에, 실내장소에서 물품을 배열할 때, 통상적으로 통로 위치를 남기게 되는데, 통로 위치는 구체적으로 물품 진열대 사이의 진열대 통로 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는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고,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 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서버는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선택가능한 것은, 서버는 구체적으로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무선기기의 위치는 사전에 인공적으로 설정가능하고, 계산을 통해 얻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의 구별점은,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기기에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 1 종 기기의 위치는 이미 알려진 것에 있다.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여기서, 제 1 종 기기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고; 제 2 종 기기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종 기기는 실내 위치가 변하지 않은 곳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종 기기는 물품 진열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물품 진열대가 이동될 수 있기에, 위치가 변하지 않는 제 1 종 기기에 의하여,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 위치가 모두 결정된 후, 서버는 제 1 종 기기의 위치 및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보낼 수 있고, 물론 휴대용 단말기의 제 1 위치 획득 요청을 받을 때, 획득 요청된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발송할 수도 있다.
선택가능한 것은, 휴대용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물품 진열대에서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제 2 종 기기일 때, 휴대용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제 2 종 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한다.
선택가능한 것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여,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고,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종 기기가 다수개 포함될 때, 다수의 제 1 종 기기는 실내 기설정 영역 내에 설치되고, 모두 동일한 평면 및 동일한 직선에 위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내 4개의 모서리 중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 좌표 공간 차원수가 M일 경우, 제 1 종 기기의 개수가 M+1보다 크거나 같도록 확보해야 하는 바, 구체적으로 M +1개 제 1 종 기기일 수 있어, 적어도 하나의 제 2 종 기기가 동시에 M +1개의 제 1 종 기기가 발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확보하여, 더욱 정확하게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위치 좌표가 3차원 좌표일 때, 상기 제 1 종 기기는 4개 포함될 수 있고, 실내 동일한 기설정 위치에 설치되며, 모두 동일한 평면 및 동일한 직선에 위치하지 않아, X축, Y축 및 Z축의 좌표를 간편하게 결정하도록 한다.
위치 좌표가 2차원 좌표일 때, 상기 제 1 종 기기는 3개 포함될 수 있다.
위치 좌표가 1차원 좌표일 때, 상기 제 1 종 기기는 2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종 기기가 물품 진열대에서의 배치 모식도는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함께 조합된 5개의 물품 진열대(81)가 나타나고,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의 매층의 프레임(82)에서는 상이한 배치규칙에 의하여 제 2 종 기기를 배치한다.
도 8a 및 도 8b에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의 매층의 프레임에는 하나의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실제응용에서, 바람직하게, 도 8b에 도시된 배치규칙에 따라 배치될 수 있는 바, 즉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의 매층의 프레임 중의 동일한 일단에는 하나의 제 2 종 기기가 배치된다. 하나의 제 2 종 기기의 위치가 곧바로 하나의 프레임의 위치로서, 프레임 위치에 의하면 물품 진열대 위치를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서버는 각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도 8c에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의 매층의 프레임 중 대응되는 매 하나의 물품의 물품 위치에는 하나의 제 2 종 기기가 배치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무선신호중, 신호강도가 가장 강한 제 2 종 기기의 위치는 코드스캔된 물품의 물품 위치로 될 수 있다.
물론, 본 출원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세가지 배치방식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내비게이션 지도 생성 과정에서, 다른 방향으로 인접한 두개의 제 2 종 기기에 의하여, 프레임의 길이, 너비 및/또는 높이의 프레임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나아가 프레임 사이즈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의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고, 물품 진열대 위치 및 물품 진열대 사이즈에 의하면,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할 수 있다.
이밖에,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진열대에는 라벨이 배치될 수도 있되, 매 하나의 라벨은 하나의 물품과 대응된다. 라벨이 전자라벨일 때, 제 2 종 기기에는 예를 들어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크로 제어유닛)와 같은 제어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는 바, 다수의 전자라벨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전자라벨은 상기 제 2 종 기기와 함께 동일한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서버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응한 전자라벨을 관리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전자라벨 중의 물품 관련 정보 등을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제 2 종 기기는 한 셋트의 전자라벨과 하나의 기기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하나의 제 2 종 기기는 한층의 프레임 중의 전자라벨과 하나의 기기로 구성될 수 있어, 한층의 프레임 중의 다수의 전자라벨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도 8a 내지 도 8c에서, 프레임(82) 중의 제 2 종 기기와 전자라벨은 일체형 기기일 수 있어,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가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간편하게 얻도록 하기 위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 1 제어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는 구체적으로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를 제 1 제어기기에 업로드하고;
상기 제 1 제어기기는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어느 하나의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로부터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에서, 상기 기지기기(제 1 종 기기 및/또는 제 2 종 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 1 제어기기는 다수개가 포함될 수 있고, 기설정된 배열에 따라 실내 천장에 배치될 수 있다.
실제응용에서, 상기 제 1 제어기기는 AP(Wireless Access Point, 무선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제 1 제어기기는 기설정된 배열에 따라 실내 천장에 배치되고; 상기 기설정된 배열은 실내 경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바, 도 5에 도시된 것을 참조할 수 있고, 물론, 제 1 제어기기는 실내 천장에 불규칙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되, 위치 좌표만 알면 된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전송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서버는 근단 서버 및 원단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근단 서버는 가게 안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 1 제어기기,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등과 동일한 LAN 내에 위치하고, 원단 서버는 네트워크단에 설치될 수 있어, 인터넷에 의해 근단 서버와 연결되고;
휴대용 단말기는 LAN내에서, 근단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제어기기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를 상기 근단 서버에 의하여 상기 원단 서버에 업로드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상기 근단 서버에 의하여 상기 원단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원단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수신한 무선신호 중에서,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임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제 1 제어기기는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를 근단 서버에 업로드한 후, 근단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중에서,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임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원단 서버에 업로드하고; 원단 서버는 다시 각 제 2 종 기기,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한다.
이밖에, 휴대용 단말기는 원단 서버와 연결될 수도 있음으로써,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원단 서버에 직접 업로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별되는 것은, 상기 장치는 제 2 제어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2 제어기기는 기설정된 배열에 따라 실내 천장에 배치되고, 구체적인 배치방식은 도 5 중의 제 1 제어기기의 배치방식을 참조할 수 있는 바, 이와 제 1 제어기기의 배치방식은 동일하고, 제 2 제어기기의 위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
무선기기는 구체적으로 물품 진열대의 매층의 프레임에 설치되고, 이가 물품 진열대에서의 배치방식은 제 2 종 기기의 배치방식과 같을 수 있는 바, 도 8a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제 2 제어기기는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무선기기는 방송하는 형식으로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제 2 제어기기는 감청하는 형식으로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된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한다.
이밖에,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을 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하며;
상기 서버는 구체적으로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구체적으로 근단 서버 및 원단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물품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를 근단 서버에 의하여 원단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고;
제 2 제어기기는 구체적으로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근단 서버에 의하여 상기 원단 서버에 업로드하고, 원단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제 2 제어기기는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근단 서버에 업로드한 후, 근단 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를 결정한 뒤, 무선기기의 위치를 원단 서버에 업로드할 수도 있다. 원단 서버를 통하여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도 9는 본 출원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고, 상기 시스템은 서버(901), 휴대용 단말기(902) 및 무선기기(90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903)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902)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고;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901)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버(90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902)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무선기기(903)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903)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902)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902)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와 도 8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별점은, 휴대용 단말기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서버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면, 휴대용 단말기와 서버 사이는 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의 자동생성을 구현하기에, 인공적인 드로잉이 필요없이, 내비게이션 지도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은 하나의 무선기기와 대응되고;
따라서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무선기기를 결정하고, 상기 가장 근접한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는 또한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일 수도 있고;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
상기 서버는 구체적으로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이밖에, 서버는 또한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음으로써, 구체적으로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할 수 있어, 나아가 다시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드로잉한다. 진열대 통로 위치를 결합하여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하면, 물품 진열대 드로잉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무선기기의 위치는 사전에 설정될 수도 있고, 계산하여 얻을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실내장소에 저장된 물품이 많기에, 실제응용에서, 물품속성에 따라 상이하게 분류하게 되는데, 물품 역시 상이한 분류에 따라 배열된다. 상이한 장소 중의 분류에 대한 요구도 다른 바, 이를테면, 슈퍼마켓 쇼핑장소에서는, 생선류, 식량 식용류 및 조미료류, 술과 음료류, 일상용품류 및 가구류, 문방구류 및 가전제품류 등등에 따라 분류될 수 있고; 또한 샴푸, 타올, 텔레비젼, 세탁기 등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버가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한다.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물품의 물품 유형에 의하여,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는 것이고; 여기서, 상기 물품 유형은 실제 수요에 의하여 물품속성에 따라 구분된 것일 수 있다. 장소에서 물품을 배열할 때도 통상적으로 물품 유형에 따라 배치되므로, 우선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한다.
상기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있어서,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및 상기 물품 분포 서브 지도의 관련관계를 구축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여기서, 물품 분포 서브 지도에는 각 물품의 물품정보, 예를 들어 물품명칭, 물품가격, 물품사진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즉 구체적으로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물품정보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생성하고;
여기서,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에는, 물품 진열대가 속하는 물품유형을 표기할 수도 있다.
물품유형은 더한층 구분될 수 있기에, 매 하나의 물품유형은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될 뿐만 아니라,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 역시 다수의 물품유형과 대응될 수 있다.
물품유형이 서로 다른 물품종류로 더한층 구분된다고 가정할 경우, 이를테면, 일상용품류 물품은 샴푸, 타올 등으로 더한층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 중의 매 하나의 물품종류에 있어서, 상기 물품종류와 대응되는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때, 우선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를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는 실내 건축 설계도에 표기된 건축 사이즈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따라서, 구체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 내에서,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물품의 물품 유형에 의하여,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한다.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할 때, 예를 들어 계단, 엘리베이터 및 소방통로 등과 같은 실내통로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실내통로는 건축 설계도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 진열대 통로 위치 및 실내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진열대 통로 및 실내통로를 드로잉하여,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하는 것은 물품 진열대의 위치 및 물품 진열대의 사이즈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물품 진열대의 사이즈 및 진열대 통로 사이즈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무선기기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b에서, 물품 진열대에 구체적으로 배치된 것은 제 2 종 기기이다. 제 2 종 기기가 도 8b 중의 배치규칙에 따라 배치되면, 상기 배치규칙에 따라, 하나의 제 2 종 기기의 위치가 바로 하나의 프레임의 위치가 되고, 다른 방향으로 인접한 두개의 제 2 종 기기에 의하여, 프레임의 길이, 너비 및/또는 높이의 프레임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 사이즈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의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드로잉하는 것은, 물품이 물품 진열대에서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물품이 물품 진열대에서의 매층의 프레임 중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드로잉되어 얻을 수 있다.
슈퍼마켓, 상가 또는 창고 등 실내장소에 다수의 방이 포함될 수 있고, 상이한 방은 동일한 층에 있을 수도 있고 상이한 층에 있을 수도 있으며, 매 하나의 룸의 물품 진열대에는 상기 무선기기가 모두 배치, 및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는 라벨이 모두 배치될 수 있으며, 매 하나의 라벨은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며; 매 하나의 룸에 배열된 물품유형은 다를 수 있는 바, 이를테면 1층 룸에 배열된 것은 일상용품류 물품이고, 2층 룸에 배열된 것은 리빙류 물품일 수 있다.
서버는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매 하나의 룸안의 물품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가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물품의 물품 유형에 의하여,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각 물품이 매 하나의 룸안에서의 물품 위치 및 각 물품의 물품유형에 의하여, 매 하나의 룸의 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매 하나의 룸의 유형 분포 서브지도에 있어서,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및 물품 분포 서브 지도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매 하나의 룸의 유형 분포 서브지도,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또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에서, 전환 제시 정보를 드로잉할 수도 있고, 상기 전환 제시 정보는 사용자가 대응되는 쇼핑룸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또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테면, 어느 하나의 쇼핑룸의 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출력할 때, 사용자는 상기 전환 제시 정보에 의하여, 또 다른 쇼핑룸의 유형 분포 서브지도로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요청하고; 어느 하나의 쇼핑룸의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출력할 때, 사용자는 상기 전환 제시 정보에 의하여, 또 다른 쇼핑룸의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쇼핑룸의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출력할 때, 사용자는 상기 전환 제시 정보에 의하여, 또 다른 쇼핑룸의 물품 분포 서브 지도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내장소가 슈퍼마켓인 것을 예로 들자면,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의 모식도로서, 도 10a는 1층 룸과 대응되는 유형 분포 서브지도이고, 도 10b는 2층 방과 대응되는 유형 분포 서브지도이며, 유형 분포 서브지도에는, 상이한 물품유형이 소재한 위치 영역이 포함되고, 유형 분포 서브지도에는 전환 제시 정보(200)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환 제시 정보(200)는 가상 컨트롤러일 수 있고, 상기 가상 컨트롤러를 통하여, 전환 제시 정보(200)와 대응되는 쇼핑룸의 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출력할 수 있으며;
도 10c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의 모식도로서, 여기서,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에는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가 속하는 물품유형이 표기될 수도 있고, 도 10c에는, 물품 진열대(201)가 속하는 물품유형이 술류라고 표기되고, 물품 진열대(202)가 속하는 물품유형이 조미료류라고 표기되었다.
도 10d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의 모식도로서, 구체적으로 물품 진열대(201)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에는, 상기 물품 진열대에서의 각 물품의 분포 위치 및 물품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매 하나의 서브지도가 출력된 후, 모두 확대 및 축소됨으로써, 상이한 정밀도의 지도를 검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출원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고, 상기 시스템에는 서버(1101), 휴대용 단말기(1102) 및 감시단(1103)이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감시단(1103)은 실내장소의 기설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선택가능한 것은, 감시단(1103)은 구체적으로 실내장소의 천장에 배치될 수 있고, 위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102)는 무선신호를 발송할 수 있고, 감시단(1103)은 휴대용 단말기(1102)가 발송한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감시단(1103)은 다수개가 포함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102)가 실내장소의 임의의 위치에서 발송하는 무선신호가 수신 가능한 감시단에 모두 존재하도록 확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2)는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며;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감시단(1103)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1101)에 상기 무선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버(1101)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2)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2)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가 상기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는 상기 대응되는 감시단이 서버에 발신되는 것이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높은 빈도로 무선신호를 발송할 수 있고, 감시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부단히 수신하고 서버에 보도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발송한 무선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감시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발송한 무선신호의 감시단일 수 있다. 상기 대응되는 감시단을 통하여, 수신된 무선신호를 서버에 발신한다.
따라서, 서버는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여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 및 휴대용 단말기가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여 얻는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대상 처리 정보에는 처리시간이 포함될 수도 있고, 감시단이 발송한 무선신호는 수신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선택가능한 것은, 휴대용 단말기가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무선신호는 처리시간 및 무선신호의 수신시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처리시간과 일치하거나 또는 오차가 기설정 범위내에 있는 수신시간과 대응되는 무선신호를 검색하면, 이가 바로 휴대용 단말기가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대응되게 발송되는 무선신호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가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감시단은 수신시간과 처리시간이 일치하거나 또는 오차가 기설정 범위내에 있는 감시단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가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감시단은 다수개 포함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와 가까워 지는 감시단일 수록,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신호강도가 점점 커진다. 따라서, 계산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택 가능한 것은,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감시단은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강도에 따라 강약의 순서로 결정되는 상응한 감시단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신호는 구체적으로 고주파수 신호일 수 있는 바, 선택가능한 것은, 고주파수, 초광대역 및 저소모율의 신호일 수 있다.
실내에서 간편하게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무선신호는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일 수 있고, 감시단은 실내장소에 배치되며, 휴대용 단말기가 실내장소에 있을 때 감시단과의 무선신호 전송을 확보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는 무선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발송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방식에서, 상기 발송모듈은 UWB(Ultra Wideband, 초광대역)칩일 수 있고, 감시단은 UWB 기지국일 수 있으며, 무선신호는 바로 UWB 신호이다.
UWB는 무선 반송파 통신기술로서, UWB 신호는 펄스방식으로 발송되고, 이가 초광대역이기에, 부단히 발송가능하고, 전송속도가 빠르며, 계산 속도 역시 빨라, 위치결정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위치결정 효율을 향상시켜, 나아가 지도의 드로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드로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발송모듈은 레이더, 소나, 레이저 또는 Beacon(비콘)신호 등의 발송모듈일 수도 있는 바, 본 출원 실시예는 발송모듈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서버는 통상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되고, 휴대용 단말기 및 감시단은 각각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이한 물품을 구분할 수 있되, 구체적으로,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물품 표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는 각 물품의 물품 위치와 물품 표지 정보를 대응되게 보존할 수 있어, 생성된 내비게이션 지도에서 물품 표지 정보를 통하여 상이한 물품을 구분할 수 있다. 물품 표지 정보는 구체적으로 물품의 물품명칭 등일 수 있다.
선택가능한 것은,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는 것은,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코드스캔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는 것일 수 있는 바,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즉 코드스캔하여 얻어진 코드스캔 정보이다.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는 물품 표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으로써, 서버는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이한 물품을 식별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코드스캔하는 가능한 구현방식은 물품 겉포장의 물품 정보 코드를 스캔하는 것일 수 있다. 물품 정보 코드의 유형은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일 수 있고, 이는 물품의 한가지 표지 부호를 나타낸다. 물품 정보 코드에는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 생산지 및/또는 가격 등 물품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물품 표지 정보는 즉 물품 정보 코드이다.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물품 진열대에서 매 하나의 물품에 대응되게 하나의 라벨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라벨은 구체적으로 전자라벨일 수 있다.
매 하나의 라벨에는 라벨 정보 코드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라벨 정보 코드의 유형은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등일 수 있다.
라벨과 물품이 바인딩되지 않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은 코드스캔한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의 물품 정보 코드 및 상기 물품과 대응되는 라벨의 라벨 정보 코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물품 처리 정보는 라벨 정보 코드 및 물품 정보 코드를 포함함으로써, 서버는 물품과 라벨을 바인딩시키고;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할 때 대응되는 무선신호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물품과 라벨을 바인딩하는 동시에, 물품의 물품 위치를 결정하여 얻을 수 있어,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별도의 복잡한 단계가 필요없이, 드로잉 효율을 더한층 향상시킨다.
물론,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라벨과 물품이 바인딩될 경우, 서버는 물품 정보 코드와 라벨 정보 코드의 대응관계를 보존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은 코드스캔한 물품과 대응되는 라벨 상의 라벨 정보 코드가 포함될 수 있고, 코드스캔 정보는 상기 라벨 정보 코드를 포함한다. 서버가 상기 라벨 정보 코드를 수신한 후, 라벨 정보 코드와 대응되는 물품 정보 코드를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스캔된 것이 어느 물품인지 알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채집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되,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상기 물품의 이미지이고;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물품의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상이한 물품을 구분할 수 있다.
서버는 상이한 물품의 이미지를 보존할 수 있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채집한 이미지에 의하면, 상기 물품을 바로 식별가능하여,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를 결정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물품의 이미지는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의 표지영역에 따라 채집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고, 물품의 겉포장에 통상적으로 물품의 물품명칭, 물품 정보 코드 등이 표기되기에, 상기 표지 영역은 예들 들어 물품 겉포장의 물품 정보 코드가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음으로써, 서버는 이미지 식별 기술을 통하면, 물품 표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채집하여 상기 물품의 이미지를 얻도록 하고;
상기 물품의 이미지를 식별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되,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상기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여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어,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물품과 라벨이 바인딩되었을 경우, 서버에는 물품 정보 코드와 라벨 정보 코드의 대응관계가 보존된다.
상기 라벨은 특정신호를 발송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가 라벨과 근접해야만 할 때, 상기 특정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특정신호는 라벨 정보 코드를 지닐 수 있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과 대응되는 라벨이 발송하는 특정신호를 수신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가 바로 라벨 정보 코드이다.
서버는 라벨 정보 코드에 의하여 대응되는 물품 정보 코드를 검색할 수 있음으로써,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신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것으로,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고; 감시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 상기 서버에 상기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이로써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할 수 있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는 지도의 자동생성을 구현하여, 인공적인 드로잉이 필요없이, 지도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실제응용에서, 작업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여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코드스캔하면, 내비게이션 지도를 자동생성할 수 있다.
실내장소에서, 물품이 물품 진열대에 배치되고, 물품 진열대 사이에는 통상적으로 진열대 통로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움직이기 편리하도록 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미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미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미처리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진열대 대응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감시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진열대 대상을 미처리할 때 발송되는 무선신호의 감시단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진열대 대상을 미처리할 때 발송되는 무선신호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진열대 대상을 미처리할 때 발송되는 무선신호의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미처리 위치를 결정한다.
선택가능한 것은,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신호강도에 의하여 강약의 순서에 따라, 상응한 감시단을 선택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미처리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서버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밖에, 서버는 또한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우선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음으로써, 우선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할 수 있어, 나아가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드로잉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위치결정 알고지름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는 TOA(Time of Arrival, 도착시간) 알고리즘 또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도착시간차)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신호가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처리할 때 발송되는 것이면, 계산하여 얻어진 휴대용 단말기 위치가 바로 처리위치가 되고, 무선신호가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 미처리할 때 발송되는 것이면, 계산하여 얻어진 휴대용 단말기 위치가 바로 미처리 위치가 된다.
2차원 좌표를 예로 들면,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좌표가 (x, y)이고, 감시단의 위치좌표가 (xi, yi)이라고 가정할 경우,
TOA알고리즘을 사용한 계산공식은,
ri=(ti-t0)c;
ri 2=(xi-x)2+(yi-y)2일 수 있고;
여기서, c는 광속이고, ri는 휴대용 단말기와 제 i 개 감시단과의 거리이며, ti는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무선신호가 제 i 개 감시단에 도착하는 도착시간이다. t0는 무선신호가 휴대용 단말기에 도착하는 도착시간으로서, 통상적으로 0이다.
상기 TOA 공식을 이용하여, 2차원 좌표에 대하여, 적어도 2 개 의 감시단을 수요로 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좌표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TDOA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계산공식은,
rij=(ti-tj)c
rij 2=ri 2-rj 2
=(xi-x)2+(yi-y)2-(xj-x)2-(yj-y)2일 수 있고
여기서, c는 광속이고, ri는 휴대용 단말기와 제 i 개 감시단과의 거리이며, rj는 휴대용 단말기와 제 j 개 감시단과의 거리이다. ti는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무선신호가 제 i 개 감시단에 도착하는 도착시간이다. tj는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무선신호가 제 j 개 감시단에 도착하는 도착시간이다. (ti-tj)가 바로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무선신호가 제 i 개 감시단에 도착 및 제 j 개 감시단에 도착하는 도착시간차이고, 여기서, i는 j와 같지 않되, j=1,2,3……
상기 TDOA 공식을 이용하여, 2차원 좌표에 대하여, 적어도 3 개의 감시단을 수요로 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좌표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TDOA를 사용하면 시간오차를 피할 수 있어, 나아가 계산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는 UWB 신호, 레이더 신호, 소나 신호 및 레이저 신호 등일 수 있다.
이밖에, 실내장소가 매우 크기에,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감시단은 다수개 포함될 수 있고, 매번 위치결정할 때, 신호강도의 강약의 순서에 따라, 상응한 수량의 감시단을 선택하여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제응용에서, 내비게이션 지도는 구체적으로 3차원 전자지도이기에, 위치결정하여 얻어진 휴대용 단말기 위치는 3차원 좌표일 수 있다.
이밖에, TO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결정할 때, 매 하나의 감시단을 통하여 도착시간에 의하여 각자와 휴대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계산한 뒤, 거리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서버를 통하여 거리 및 거리 공식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 실시예에는 지도 생성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감시단이 포함될 수 있고, 각 부재의 연결관계는 도 1에 도시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단은 실내장소의 기설정 위치에 배치되고, 선택가능한 것은, 감시단은 구체적으로 실내장소의 천장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감시단은 다수개 포함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신호를 발송할 수 있고, 감시단은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며;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감시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거리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거리 및 상기 거리를 발송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감시단을 통하여 우선 휴대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계산한 뒤, 서버를 통하여 상기 거리 및 거리 공식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감시단이 휴대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은 도착시간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고, 물론 신호강도 등 기타 계산방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도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물품 처리 정보는 처리시간을 가질 수도 있는 바, 감시단이 발송한 거리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선택가능한 것은,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처리할 때 대응되는 거리는 처리시간 및 무선신호의 수신시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어, 처리시간과 일치하거나 오차가 기설정 범위내에 있는 수신시간과 대응되는 거리를 찾아내면,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처리시와 대응되는 거리로 결정할 수 있다. 수신시간과 처리시간이 일치하거나 오차가 기설정 범위내에 있는 감시단의 위치를 결합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여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신호를 발송할 수 있고,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감시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무선신호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고;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거리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는 지도의 자동생성을 구현할수 있어, 인공적인 드로잉이 필요없이, 지도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이밖에, 서버는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미처리할 때 대응되는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미처리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고; 상기 미처리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써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이밖에,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은 지도 생성 시스템을 더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감시단이 포함되고; 상기 감시단은 실내 장소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실내 천장에 배치되며, 위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
상기 감시단은 무선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무선신호를 발송하며;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며;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수신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감시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발송하는 감시단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다수의 감시단이 발송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신호강도의 강약의 순서에 따라, 상응한 무선신호 및 상기 상응한 무선신호를 발송하는 감시단의 위치를 선택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감시단을 통하여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감시단이 발송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서버에 발송하며, 물품 처리 정보를 획득하면, 물품 처리 정보를 서버에 발송한다. 서버는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이한 물품을 구분할 수 있음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수신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지도의 자동생성을 구현하여, 인공적인 드로잉이 필요없이, 지도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이밖에, 서버는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미처리할 때 대응되는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미처리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고; 상기 미처리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며; 이로써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밖에,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은 지도 생성 시스템을 더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감시단이 포함되고; 상기 감시단은 실내 장소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실내 천장에 배치되며, 위치는 이미 알려져 있고, 다수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시단은 무선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고;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수신하는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감시단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수신하는 무선신호의 감시단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진열대 대상을 처리할 때 다수의 감시단이 발송한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신호강도의 강약의 순서에 따라, 상응한 무선신호 및 상기 상응한 무선신호를 발송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감시단을 통하여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휴대용 단말기가 감시단이 발송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수신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서버에 발송하고; 서버는 물품의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이한 물품을 구분할 수 있음으로써,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지도의 자동생성을 구현하여, 인공적인 드로잉이 필요없이, 지도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이밖에, 휴대용 단말기는 또한 상기 물품을 미처리할 때 수신하는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미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미처리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서버에 발송하고; 이로써 서버는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를 결정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 내에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는 실내 건축 설계도에 표기된 건축 사이즈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제응용에서, 실내장소에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계단, 엘리베이터, 소방통로 등과 같은 일부 실내통로가 포함될 수도 있고, 이러한 실내통로는 건축 설계도로부터 얻을 수 있고, 건축 설계도로부터 장소의 사이즈와 경계를 결정할 수도 있음으로써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를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 내에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 및 상기 실내통로 위치,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품이 속하는 물품유형 및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구체적으로 동일한 물품유형 중의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물품유형의 위치를 결정하여, 나아가 각 물품유형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유형 중의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물품유형의 위치,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고, 매 하나의 물품 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생성하고;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서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드로잉하고,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유형별 서브지도,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및 상기 물품 분포 서브 지도의 관련관계를 구축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여기서, 물품 분포 서브 지도에는 예를 들어 물품명칭, 가격, 사진 등과 같은 각 물품의 물품 관련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선택가능한 것은,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물품 관련 정보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생성할 수 있고; 유형 분포 서브지도는 각 물품유형의 유형명칭을 생성할 수도 있으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에서, 매 하나의 물품이 속하는 물품유형의 유형명칭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유형이 더한층 세분화될 수 있기에, 매 하나의 물품유형은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는 진열대일 수도 있고,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는 다수의 물품유형과 대응될 수도 있다.
물품유형이 다수의 물품 종류로 더한층 구분될 수 있다고 가정할 경우, 이를테면 일상용품류 물품은 샴푸, 타올 등으로 더한층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매 하나의 물품유형과 대응되는 물품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 중의 매 하나의 물품 종류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물품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드로잉하기 위한 물품 위치가 바로 상기 물품유형의 물품의 물품 위치이고, 진열대 통로 위치가 상기 물품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통로 위치이다.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때, 우선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를 결정할 수 있기에,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 내에서, 각 물품 위치 및 각 물품이 속하는 물품유형,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할 때, 예를 들어 계단, 엘리베이터 및 소방통로 등과 같은 실내통로를 드로잉할 수도 있고, 실내통로는 건축 설계도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할 수 있고,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 및 실내통로 위치에 의하여 실내통로를 드로잉하여, 매 하나의 물품 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도록 하고;
여기서,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할 때 물품 진열대 사이즈를 결합하여 드로잉할 수 있고, 물품 진열대 사이즈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이밖에, 슈퍼마켓, 상가 또는 창고 등 실내장소에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룸이 포함되기에, 상이한 룸은 동일한 층에 있을 수도 있고 다른 층에 있을 수도 있으며; 매 하나의 룸에 배열되는 물품의 물품유형이 다를 수 있되, 이를테면 1층 룸에 배열되는 것은 일상용품류 물품이고, 2층 룸에 배열된 것은 리빙류 물품일 수 있다.
감시단은 매 하나의 룸에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서버는 매 하나의 룸의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 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물품이 속하는 물품유형에 의하여,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매 하나의 룸 중의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물품의 물품유형에 의하여, 매 하나의 룸의 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매 하나의 룸의 유형 분포 서브지도에 대하여,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및 물품 분포 서브 지도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매 하나의 룸의 유형 분포 서브지도,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또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에 각자 대응되는 전환 제시 정보를 드로잉할 수도 있고, 상기 전환 제시 정보는 사용자가 이에 대응되는 룸의 유형 분포 서브지도,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또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로 전환하도록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테면, 어느 하나의 룸의 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출력할 때, 사용자는 상응한 전환 제시 정보에 의하여, 또 다른 룸의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룸의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출력할 때, 사용자는 상응한 전환 제시 정보에 의하여, 또 다른 룸의 물품 분포 서브 지도로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의 전송과 제어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서버는 적어도 근단 서버 및 원단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근단 서버와 감시단은 동일한 LAN 내에 배치되고, 원단 서버는 네트워크단에 배치되어, 근단 서버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감시단은 구체적으로 무선신호 또는 무선신호에 의하여 계산하여 얻어진, 휴대용 단말기와의 거리에 의하여, 근단 서버를 통하여 원단 서버에 발송될 수 있고; 이어서 원단 서버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여,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 등을 생성한다.
상기 각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시스템에 기반하여,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다수의 응용이 있을 수 있어, 이하 실시예에서 몇가지 가능한 구현방식을 예로 들 수 있고, 물론 본 출원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수신한 후, 상기 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유형 분포 서브지도 중의 어느 하나의 물품유형의 진열대 출력요청을 받을 때,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어느 하나의 물품 진열대의 물품 출력요청을 받을 때,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출력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매 하나의 출력 요청은 사용자가 트리거한 것일 수 있고, 사용자가 서브지도에서 어느 하나의 물품유형 또는 어느 하나의 물품 진열대를 클릭 또는 기타 특정조작을 진행하면, 출력 요청을 트리거할 수 있다.
물품 분포 서브 지도에서, 상기 물품 분포 서브 지도 중의 어느 하나의 물품의 내용 출력요청을 받았을 때, 물품명칭, 가격, 생산지 등 상세정보를 포함한 상기 어느 하나의 물품의 물품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어, 사용자가 실내장소에 진입할 필요없이, 물품을 이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내비게이션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내비게이션 요청에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물품의 물품표지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물품의 물품표지정보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물품의 물품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제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제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트리거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제시 정보는 내비게이션 경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는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경로를 기획하여,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경로에 따라 목표 물품을 찾도록 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위치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위치와 매칭되는 물품의 관련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관련 추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위치 변화에 따라, 상이한 관련 추천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휴대하고 실내장소에서 움직일 때, 단말기 위치에 의하여 단말기 위치와 가장 근접한 물품을 찾을 수 있고, 상기 물품의 관련 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보낼 수 있되, 상기 관련 추천 정보는 예들 들어 물품의 세일정보 또는 상기 물품의 할인수표 또는 상기 물품과 비슷한 기타 물품의 물품 관련 정보 등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물품 검색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물품 검색 요청에는 찾기 대기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찾기 대기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에 의하여, 상기 찾기 대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중의 상기 찾기 대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서 검색 제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가 내비게이션 지도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물품을 검색 가능하여, 물품 검색 요청을 트리거하도록 함으로써,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가 내비게이션 지도에서 물품 찾기 대기중인 물품 위치에서, 검색 제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어, 상기 찾기 대기 물품을 표기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찾기 편리하다.
사용자는 상기 찾기 제시 정보에 의하여, 내용 출력 요청을 트리거할 수 있음으로써, 서버는 상기 물품의 물품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할 수 있어, 사용자 단말기가 출력하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는 상기 찾기 제시 정보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요청을 트리거할 수 있음으로써, 서버는 현재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위치 및 상기 찾기 대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제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가 출력하도록 트리거한다. 내비게이션 제시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물품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상기 서술에 의하면,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하여 생성된 내비게이션 지도는, 물품을 간편하게 찾을 수 있고, 실제응용에서, 내비게이션 지도가 쇼핑장소의 지도일 경우, 예를 들어 슈퍼마켓의 실내지도일 경우, 내비게이션 지도를 통하여 고객이 구매하려는 상품이 있는 위치를 간편하게 찾을 수 있어, 사용자에게 할인권 등 관련 정보를 보낼 수 있고, 직원 또는 공급업체들이 재고 보충 또는 교환해야 할 상품이 있는 위치 등을 편리하게 찾을 수도 있다. 물론 본 출원 실시예의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의 적용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시스템과 대응되게, 도 12는 본 출원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은 하기의 몇가지 단계를 포함한다.
1201: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하여 코드스캔하고, 코드스캔 정보를 서버에 발송한다.
코드스캔 정보에는 적어도 물품 정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1202: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코드스캔 정보를 수신한다.
1203: 서버는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매 하나의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한다.
1204: 서버는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무선기기는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고,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여 물품을 코드스캔하고, 서버는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의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를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코드스캔의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할 수 있다.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의 지도 생성 시스템을 통하여, 내비게이션 지도의 자동생성을 구현하여, 인공적인 드로잉이 필요없이, 내비게이션 지도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구현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하나의 물품과 대응 및 하나의 라벨과 대응되고,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하여 코드스캔하는 동시에,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품과 대응되는 라벨 정보 코드를 스캔한다. 이때, 코드스캔 정보에는 라벨 정보 코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상이한 라벨과 상이한 무선기기의 대응관계를 찾고; 코드스캔된 물품의 라벨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한다.
여기서, 상이한 라벨과 상이한 무선기기의 대응관계는 서버에 기설정될 수 있다.
라벨이 전자라벨일 때, 전자라벨과 대응되는 무선기기는 상기 전자라벨에 집적될 수 있되, 일체형 기기이다.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지도 생성 시스템 중의 매 하나의 무선기기에는 기기 정보 코드가 설정되고; 상기 기기 정보 코드는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또는 3차원 바코드 등일 수 있고, 무선기기의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는 동시에,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에 대하여 코드스캔하고;
여기서,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는 상기 기기 정보 코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코드스캔 정보 중의 기기 정보 코드에 의하여, 상기 기기 정보 코드와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코드스캔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는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이전에,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된다.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드로잉하되, 우선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하여, 나아가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드로잉할 수 있다.
실내장소에서 물품을 배열할 때, 통상적으로 통로 위치를 남기게 되는데, 통로 위치는 구체적으로 물품 진열대 사이의 진열대 통로 위치일 수 있다.
진열대 통로 위치는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구현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진열대 통로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이고;
상기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무선기기의 위치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고, 계산을 통하여 얻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지도 생성 시스템에 기반하여, 상기 시스템 중의 무선기기는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종 기기의 위치는 이미 알려진 것이다.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여,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서버가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매 하나의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매 하나의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제 1 종 기기 또는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한다.
상기 서버가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종 기기가 다수개 포함될 때, 다수의 제 1 종 기기는 실내 기설정 영역에 설치되고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 않으며;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의 매층의 프레임에 구체적으로 배치되는 것은 상기 제 2 종 기기이고;
상기 서버가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매 하나의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매 하나의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한다.
여기서, 서버가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간편하게 획득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지도 생성 시스템에 기반하여,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에 제 1 제어기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1 제어기기는 기지기기가 발송한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기기에 업로드된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지도 생성 시스템에 기반해보면, 상기 시스템에는 제 2 제어기기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 2 제어기기는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기 이전에,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 사이에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가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물품의 물품 유형에 의하여,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매 하나의 물품 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있어서,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물품유형 서브지도를 구축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및 상기 물품 분포 서브 지도의 관련관계를 구축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기 물품유형 서브지도,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및 상기 물품 분포 서브 지도의 관련관계를 구축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 후,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수신한 후, 상기 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유형 분포 서브지도 중의 어느 하나의 물품유형의 진열대 출력요청을 받을 때, 요청된 물품 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어느 하나의 진열대의 물품 출력 요청을 받을 때, 요청된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출력한다.
도 13은 본 출원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고, 상기 장치는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지도 생성 시스템 중의 서버에 배치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수신모듈(1301)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코드스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물품 위치 결정모듈(1302)은,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기 위한 것이고;
지도 생성 모듈(1303)은,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구현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물품 위치 결정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상이한 라벨과 상이한 무선기기의 대응관계를 찾고; 매 하나의 코드스캔의 물품의 라벨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구현가능 방식에 있어서, 매 하나의 무선기기에는 기기 정보 코드가 설치되고; 상기 기기 정보 코드는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또는 3차원 바코드 등일 수 있고, 무선기기의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에 대해서도 코드스캔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는 상기 기기 정보 코드가 포함될 수 있고, 물품 정보 코드 및/또는 라벨 정보 코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물품 위치 결정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코드스캔 정보 중의 기기 정보 코드에 의하여, 상기 기기 정보 코드와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코드스캔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있다.
진열대 위치 결정모듈은,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도 생성 모듈은 구체적으로,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드로잉하고, 우선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하고 나서,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드로잉할 수 있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위치 획득 모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진열대 통로 위치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이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있다.
통로위치 결정모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모듈은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를 결정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 내에서,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각 진열대 통로 위치 및 실내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무선기기의 위치는 사전에 설정가능하고, 계산을 통하여 얻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도 생성 시스템 중의 무선기기는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 1 종 기기의 위치는 이미 알려진 것이다.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1 기기 위치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는 제 1 제어기기가 업로드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기 위치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제어기기가 업로드한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은 제 1 제어기기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는 각각 수신된 무선신호를 상기 제 1 제어기기에 업로드하며; 상기 제 1 제어기기는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제 1 위치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임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도 생성 시스템에 제 2 제어기기가 더 포함될 수 있을 때, 상기 제 2 제어기기는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2 기기 위치결정 모듈은,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모듈은 구체적으로,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물품의 물품 유형에 의하여,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여기서, 상기 물품유형은 실제 수요에 의하여 물품 속성에 따라 구분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장소에 물품을 배열할 때, 통상적으로 물품유형에 따라 배치하기에, 우선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있어서,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및 상기 물품 분포 서브 지도의 관련관계를 구축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지도 출력 모듈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수신한 후, 상기 물품 유형별 서브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물품 유형별 서브 지도 중의 어느 하나의 물품 유형에 대한 진열대 출력 요청을 받을 때, 요청된 물품 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어느 하나의 진열대의 물품 출력 요청을 받을 때, 요청된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실제응용에서, 지도 생성 시스템 중의 서버는 근단 서버 및 원단 서버가 포함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지도 생성 장치는 구체적으로 상기 원단 서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신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근단 서버를 통하여 발송한 코드스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 실시예는 지도 생성 장치를 더 제공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지도 생성 시스템 중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코드 스캔 모듈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기 위한 것이고;
정보 발송 모듈은, 상기 코드스캔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고;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위치 결정 모듈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며,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고; 서버를 통하여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위치 발송 모듈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며;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시스템과 대응되게, 도 14는 본 출원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몇가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401: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한다.
1402: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한다.
1403: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코드스캔된 물품의 물품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한다.
1404: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업로드된 물품의 물품 위치를 수신한다.
1405: 상기 서버는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을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이용하여, 코드스캔의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할 수 있어, 매 하나의 물품의 물품 위치를 결정한 후,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도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의 자동생성을 구현하여, 인공적인 드로잉이 필요없이, 내비게이션 지도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은 하나의 무선기기와 대응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무선기기를 결정하고;
상기 가장 근접한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로 결정한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가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진열대 통로 위치를 결합하여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하여,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기는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 1 종 기기의 위치는 이미 알려진 것이다.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업로드된 물품의 물품 위치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 1 위치 획득 요청을 받았을 때, 획득 요청된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발송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 요청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구체적으로 배치된 것은 상기 제 2 종 기기이고;
상기 서버는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에 제 1 제어기기가 더 포함될 수 있을 때,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는 각각 수신된 무선신호를 상기 제 1 제어기기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 1 제어기기는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제어기기로부터 업로드된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임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상기 어느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를 결정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 내에서,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각 진열대 통로 위치 및 실내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물품의 물품 유형에 의하여,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여기서, 상기 물품유형은 실제수요에 의하여 물품 속성에 따라 구획하여 얻어진 것이다. 장소에 물품을 배열할 때 통상적으로 물품유형에 따라 배치된 것이기에, 우선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매 하나의 물품 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있어서,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및 상기 물품 분포 서브 지도의 관련관계를 구축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물품유형이 더한층 구분될 수도 있기에, 매 하나의 물품유형은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될 뿐만 아니라,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 역시 다수의 물품유형과 대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 중의 매 하나의 물품종류에 의하여, 상기 물품종류와 대응되는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때, 우선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를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는 실내 건축 설계도에 표기된 건축 사이즈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따라서, 구체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 내에서,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물품의 물품 유형에 의하여,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한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에 제 2 제어기기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 2 제어기기는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업로드된 물품의 물품 위치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기기에 업로드된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서버가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지도 생성 시스템과 대응되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몇가지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1501: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한다.
1502: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서버에 업로드한다.
1503: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1504: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1505: 상기 서버는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된 무선신호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서버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면, 휴대용 단말기와 서버 사이는 장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의 자동생성을 구현하기에, 인공적인 드로잉이 필요없이, 내비게이션 지도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본 출원 실시예는 지도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더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장치는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지도 생성 시스템 중의 휴대용 단말기에 배치되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코드 스캔 모듈(1601)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기 위한 것이고;
제 1 물품 위치 결정 모듈(1602)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기 위한 것이고;
발송모듈(1603)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의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서, 매 하나의 물품은 하나의 무선기기와 대응되고;
상기 제 1 물품 위치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무선기기를 결정하고; 상기 가장 근접한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로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품 위치 결정 모듈은 코드스캔이 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을 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발송모듈은 또한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는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는 상기 서버가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한 것이다.
본 출원은 지도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더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장치는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지도 생성 시스템 중의 서버에 배치되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제 1 신호 수신 모듈(1701)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업로드한 코드스캔의 물품의 물품 위치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코드스캔된 물품의 물품 위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어 얻어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이고;
제 1 지도 생성 모듈(1702)은,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업로드한 진열대 통로 위치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고;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1 진열대 위치 결정 모듈은,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지도 생성 모듈은 구체적으로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입안내 생성 시스템 중의 무선기기는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 1 종 기기의 위치는 이미 알려진 것이며;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1 기기 위치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한다.
상기 제 1 진열대 위치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입안내 생성 시스템이 제 1 제어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을 때,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는 각각 수신된 무선신호를 상기 제 1 제어기기에 업로드하고; 상기 제 1 제어기기는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기기 위치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임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도 생성 모듈은 구체적으로,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물품의 물품 유형에 의하여,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물품유형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매 하나의 물품 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있어서,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물품유형 서브지도를 구축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및 상기 물품 분포 서브 지도의 관련관계를 구축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실제응용에서, 도 17에 도시된 지도 생성 장치는 구체적으로 구입안내 생성 시스템 중의 서버 중의 원단 서버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신호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근단 서버를 통하여 업로드된 코드스캔된 물품의 물품 위치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은 지도 생성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더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장치는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지도 생성 시스템 중의 서버에 배치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2 신호 수신 모듈(1801)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물품 위치 결정 모듈(1802)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지도 생성 모듈(1803)은,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수신 모듈은 또한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것이기도 하고;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2 진열대 위치 결정 모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지도 생성 모듈은 구체적으로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기기에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장치는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2 기기 위치 결정 모듈은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진열대 위치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한다.
제 1 종 기기는 실내 위치가 변하지 않은 곳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종 기기는 물품 진열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물품 진열대가 이동될 수 있기에, 위치가 변하지 않는 제 1 종 기기에 의하여,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가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간편하게 얻게 하기 위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은 제 3 제어기기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 3 제어기기는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2 기기 위치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임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실제응용에서, 도 18에 도시된 지도 생성 장치는 구체적으로 구입안내 생성 시스템 중의 서버 중의 원단 서버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신호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근단 서버가 발송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시스템과 대응되게, 도 19는 본 출원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몇가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901: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신호를 발송한다.
1902: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는다.
물품 처리 정보에는 물품 표지 정보가 포함된다.
1903: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서버에 발송한다.
1904: 감시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1905: 감시단은 상기 서버에 상기 무선신호를 발송한다.
1906: 서버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1907: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한다.
1908: 서버는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코드스캔된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는 것은,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코드스캔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물품 처리 정보의 코드스캔에 의해 얻어진 코드스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채집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상기 물품의 이미지일 수도 있고;
이때,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물품의 이미지를 식별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채집하여 상기 물품의 이미지를 얻도록 하고;
상기 물품의 이미지를 식별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상기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과 대응되는 라벨이 발송하는 특정 신호를 수신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가 바로 라벨 정보 코드이다.
서버는 라벨 정보 코드에 의하여 대응되는 물품 정보 코드를 찾을 수 있음으로써,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가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특정 신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통신)신호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및 라벨에는 모두 NFC칩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미처리할 때 발송되는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미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미처리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며;
따라서, 서버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하기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를 결정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 내에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물품의 물품유형에 의하여,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를 드로잉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매 하나의 물품 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진열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유형별 서브지도,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및 상기 물품 분포 서브 지도의 관련관계를 구축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수신하도록 한 후, 상기 유형 서브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유형 서브지도 중의 어느 하나의 물품유형의 진열대 출력요청을 받았을 때,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어느 하나의 물품 진열대의 물품 출력요청을 받았을 때,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출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내비게이션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내비게이션 요청에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물품의 물품표지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물품의 물품표지정보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물품의 물품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제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제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트리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위치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위치와 매칭되는 물품의 관련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관련 추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출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물품 검색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물품 검색 요청에는 찾기 대기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찾기 대기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에 의하여, 상기 찾기 대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에서 상기 찾기 대기중인 물품의 물품 위치에서 찾기 제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트리거한다.
도 20은 본 출원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몇가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001: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2002: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는다.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는 물품 표지 정보가 포함된다.
2003: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한다.
2004: 감시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2005: 감시단은 상기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계산한다.
2006: 감시단은 상기 서버에 상기 거리를 발송하고;
2007: 서버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2008: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거리 및 상기 거리를 발송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한다.
2009: 서버는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별점은, 감시단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를 서버에 업로드하며, 서버는 상기 거리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 등을 결정하는 것에 있다. 기타 단계는 상기 실시예에 기술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어, 더이상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도 21은 본 출원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몇가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101: 감시단은 무선신호를 발송한다.
2102: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서버에 발송한다.
2103: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는다.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물품 표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104: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한다.
2105: 서버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2106: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 처리시 수신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한다.
2107: 서버는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별점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감시단이 발송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무선신호를 서버에 발송하는 것에 있고, 기타 단계는 상기 실시예에 기술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어, 더이상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도 22는 본 출원 실시예에 제공된 지도 생성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201: 감시단은 무선신호를 발송한다.
2202: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서버에 발송한다.
2203: 휴대용 단말기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는다.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는 물품 표지 정보가 포함된다.
2204: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처리시 수신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한다.
2205: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한다.
2206: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한다.
2207: 서버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2208: 서버는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도 22에 도시된 본 실시예와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별점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물품의 물품 위치를 계산하고, 물품의 물품 위치만 서버에 업로드하며, 서버는 상이한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어, 지도 자동생성을 구현하는 바, 구체적인 계산방식 및 생성방식은 상기 실시예에 기술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어, 더이상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하나의 가능한 설계에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 실시예는 서버의 일 실시예를 더 제공하는 것으로, 제 1 처리 어셈블리(2301) 및 상기 제 1 처리 어셈블리(2301)와 연결되는 제 1 메모리(230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모리(2302)는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제 1 처리 어셈블리(2301)는 상기 제 1 메모리(2302)의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와 같이 조작한다.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물품 처리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이고;
감시단이 발송한 무선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무선신호는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것이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서버는 반드시 예를 들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통신모듈 등과 같은 기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 실시예는 서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더 제공하는 것으로, 제 2 처리 어셈블리(2401) 및 상기 제 2 처리 어셈블리(2401)와 연결되는 제 2 메모리(2402)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처리 어셈블리(2401)는 상기 제 2 메모리(2402)의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와 같이 조작한다.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물품 처리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코드스캔하여 얻어지고;
감시단이 발송한 거리를 수신하되; 상기 거리는 상기 감시단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거리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계산하여 얻어지는 것이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거리 및 상기 거리를 발송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서버는 반드시 예를 들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통신모듈 등과 같은 기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기를 더 제공하는 것으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 3 처리 어셈블리(2501), 및 각각 상기 제 3 처리 어셈블리(2501)와 연결되는 발송 어셈블리(2502) 및 제 3 메모리(250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3 메모리(2503)는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3 처리 어셈블리(2501)는 상기 제 3 메모리(2503)의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와 같이 조작한다.
상기 발송 어셈블리(2502)는 무선신호를 발송하도록 트리거하고;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며;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무선신호는 감시단을 통하여 서버에 발송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는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서버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등의 기타 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발송모듈은 구체적으로 UWB 칩일 수 있다. UWB 칩을 사용하여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UWB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위치결정 정확도를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고, 오차를 줄이며, 계산속도가 빠르고, 실시간성이 높음으로써, 지도 생성 효율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응용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용의 PDA일 수 있되, 예를 들어 핸드폰, 스캐너 등의 휴대용 단말기이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 실시예는 서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더 제공하는 것으로, 제 4 처리 어셈블리(2601) 및 상기 제 4 처리 어셈블리(2601)와 연결되는 제 4 메모리(2602)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메모리(2602)는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제 4 처리 어셈블리(2601)는 상기 제 4 메모리(2602)의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와 같이 조작한다.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물품 처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얻어지며; 상기 무선신호는 감시단이 발송한 것이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처리시 수신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물론, 상기 서버는 반드시 예를 들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통신모듈 등과 같은 기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휴대용 단말기를 더 제공하는 것으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 5 처리 어셈블리(2701), 및 각각 상기 제 5 처리 어셈블리(2701)와 연결되는 제 1 수신 어셈블리(2702) 및 제 5 메모리(270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5 메모리(2703)는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제 5 처리 어셈블리(2701)는 상기 제 5 메모리(2703)의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와 같이 조작한다.
상기 제 1 수신 어셈블리(2702)는 감시단이 발송한 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트리거하고;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한다.
이로써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처리시 수신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 실시예는 서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더 제공하는 것으로, 제 6 처리 어셈블리(2801) 및 상기 제 6 처리 어셈블리(2801)와 연결되는 제 6 메모리(2802)를 포함하고;
상기 제 6 메모리(2802)는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제 6 처리 어셈블리(2801)는 상기 제 6 메모리(2802)의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와 같이 조작한다.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이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는 상기 물품 처리시 수신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이다.
물론, 상기 서버는 필연적으로 예를 들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통신모듈 등과 같은 기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휴대용 단말기를 더 제공하는 것으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 7 처리 어셈블리(2901), 및 각각 상기 제 7 처리 어셈블리(2901)와 연결되는 제 2 수신 어셈블리(2902) 및 제 7 메모리(290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7 메모리(2903)는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제 7 처리 어셈블리(2901)는 상기 제 7 메모리(2903)의 하나의 셋트 또는 다수의 셋트의 프로그램 명령을 호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와 같이 조작한다.
상기 제 2 수신 어셈블리(2902)는 감시단이 발송한 무선신호를 수신하도록 트리거하고;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고; 상기 물품 처리시 수신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고; 이로써, 상기 서버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하나의 전형적인 구성에서, 상기 각 처리 어셈블리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처리 어셈블리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소자로 구현될 수 있어,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메모리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바, 이를테면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기억 장치(EE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기억 장치(EPROM),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기억 장치(PROM), 읽기 전용 기억 장치(ROM), 자기 기억 장치, 플래시메모리,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이다.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일부 단어를 사용하여 특정 소자를 지칭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하드웨어 제조업체에서 다른 명사로 동일한 소자를 지칭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는 명칭의 차이점으로 소자를 구분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능상에서의 소자의 차이점으로 구분하는 규범을 위주로 한다. 명세서 전문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제기된 “포함”은 개방식 용어로서,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로 해석되어야 한다. “대략”은 접수가능한 오차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일정한 오차범위내에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어, 기본상 상기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밖에, “커플링”은 어떠한 직접적 및 간접적인 전기성 커플링 수단이든지 다 포함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 1 장치가 제 2 장치에 커플링되면, 상기 제 1 장치가 상기 제 2 장치에 직접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기타 장치 또는 커플링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 2 장치에 간접적으로 전기적 커플링되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것은 본 출원을 실시하는 바람직한 실시방식으로서, 상기 서술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은 원칙을 목적으로 하지,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확정되어야 한다.
더 설명해야 할 것은, 용어 “포괄”, “포함” 또는 이의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배타성의 포함을 의미함으로써, 일련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상품 또는 시스템이 일부 구성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히 열거 안된 기타 구성요소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상품 또는 시스템 고유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많은 한정의 의미가 없을 경우, “하나의 ......를 포함하는” 구절로 한정되는 구성요소는, 상기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상품 또는 시스템에 또 다른 동일한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설명에서는 본 출원의 약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고 기술하였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형식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아니 되며, 각종 기타 조합, 수정과 환경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명세어의 출원 구상 범위내에서, 상기 시사 또는 관련 분야의 기술 또는 지식을 통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진행하는 변경과 변화는 본 출원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출원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내에 속해야 한다.

Claims (34)

  1.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고, 코드스캔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하나의 물품 및 하나의 라벨과 대응되고; 상기 라벨은 이와 대응되는 물품의 물품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과 대응되는 라벨에 대해서도 코드스캔을 진행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상이한 라벨과 상이한 무선기기의 대응관계를 찾고; 코드스캔된 물품의 라벨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매 하나의 무선기기에는 기기 정보 코드가 설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에 대해서도 코드스캔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는 상기 기기 정보 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코드스캔 정보 중의 기기 정보 코드에 의하여, 상기 기기 정보 코드와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코드스캔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전자라벨로서,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이와 대응되는 전자라벨에 집적되고;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상기 서버를 연결시킨 후, 이와 전자라벨의 대응관계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버는 매 하나의 무선기기와 전자라벨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또는 코드스캔이 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을 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구체적으로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또한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았을 때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여 결정하며;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기에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종 기기의 위치는 이미 알려진 것이며;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기기는 다수개가 포함되고, 다수의 제 1 종 기기는 실내 기설정 영역에 설치되고 동일한 직선 및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지 않으며;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구체적으로 배치된 것은 상기 제 2 종 기기이고;
    상기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매 하나의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제어기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상기 제 1 제어기기에 각각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 1 제어기기는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제 1 제어기기가 업로드한,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임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상기 어느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제어기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2 제어기기는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하고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물품의 물품 유형에 의하여,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진열대 위치 및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물품 진열대 및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매 하나의 물품 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있어서,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및 상기 물품 분포 서브 지도의 관련관계를 구축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수신한 후, 상기 물품 유형별 서브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물품 유형별 서브 지도 중의 어느 하나의 물품 유형에 대한 진열대 출력 요청을 받을 때, 요청된 물품 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출력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어느 하나의 진열대의 물품 출력 요청을 받을 때, 요청된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출력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여기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고;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은 하나의 무선기기와 대응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무선기기를 결정하고, 상기 가장 근접한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코드스캔이 되지 않았을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하지 않을 때의 휴대용 단말기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구체적으로 각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각 물품 진열대의 물품 진열대 위치를 결정하고; 각 물품 진열대 위치, 각 물품의 물품 위치 및 각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기에 제 1 종 기기 및 제 2 종 기기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종 기기의 위치는 이미 알려진 것이며;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상기 제 2 종 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 제어기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상기 제 1 제어기기에 각각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 1 제어기기는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종 기기 및/또는 위치가 결정된 제 2 종 기기를 기지기기로 하고; 상기 제 1 제어기기가 업로드한, 상기 제 1 종 기기 및 상기 제 2 종 기기가 각각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임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기지기기의 위치 및 상기 기지기기가 수신한 상기 어느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위치가 미결정된 제 2 종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배열에 따라 실내 천정에 배치되는 제 2 제어기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2 제어기기는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한 무선신호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제 2 제어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기기가 발송하는 무선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된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상기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여기서,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고;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서버에 업로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시스템.
  20.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감시단이 포함되고; 상기 감시단은 실내 장소에 배치되고, 위치는 이미 알려져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며;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감시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무선신호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버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물품 진열대 중의 물품을 코드스캔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코드스캔에 의해 얻어진 코드스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미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미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미처리 위치를 진열대 통로 위치로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서버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를 결정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경계 내에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물품의 물품유형에 의하여,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유형별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유형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진열대를 드로잉 및 상기 진열대 통로 위치에 의하여 진열대 통로를 드로잉하여, 매 하나의 물품 유형과 대응되는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중의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와 대응되는 물품 분포 서브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유형별 서브지도, 상기 진열대 분포 서브지도 및 상기 물품 분포 서브 지도의 관련관계를 구축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내비게이션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내비게이션 요청에는 적어도 하나의 목표 물품의 물품표지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물품의 물품표지정보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물품의 물품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표 물품의 물품 위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제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지도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제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6.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위치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위치와 매칭되는 물품의 관련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관련 추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7.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물품 검색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물품 검색 요청에는 찾기 대기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찾기 대기 물품의 물품 표지 정보에 의하여, 상기 찾기 대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내비게이션 지도 중의 상기 찾기 대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서 검색 제시 정보를 출력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8.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감시단이 포함되고; 상기 감시단은 실내 장소에 배치되고, 위치는 이미 알려져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신호를 발송하고;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물품 처리 정보를 얻도록 하여; 상기 물품 처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감시단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거리를 발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거리 및 상기 거리를 발송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시스템.
  29. 지도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지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은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매 하나의 무선기기는 하나의 물품과 대응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발송된 코드스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스캔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여 얻어진 것이고;
    상기 코드스캔 정보에 의하여, 코드스캔된 물품과 대응되는 무선기기의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방법.
  30. 지도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지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은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상기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을 코드스캔하고;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상기 서버의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방법.
  31. 지도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지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은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업로드된 물품의 물품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스캔된 물품의 물품 위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어 얻어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이고;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방법.
  32. 지도 생성 시스템에 적용되는 지도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도 생성 시스템은 서버,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기기가 포함되고; 매 하나의 물품 진열대에 상기 무선기기가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물품 진열대 중의 매 하나의 물품에 대해 코드스캔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 수신된 무선기기의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기기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매번 코드스캔할 때의 코드스캔 위치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코드스캔한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고;
    각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도 생성 방법.
  33.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물품 처리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이고;
    감시단이 발송한 무선신호를 수신하되; 상기 무선신호는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것이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발송된 무선신호 및 대응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며;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방법.
  34.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물품 처리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물품 처리 정보는 진열대 중의 물품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이고;
    감시단이 발송한 거리를 수신하되; 상기 거리는 상기 감시단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거리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발송한 무선신호에 의하여 계산하여 얻어지는 것이고;
    상기 물품 처리 정보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처리한 상기 물품을 결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물품을 처리할 때 대응되는 거리 및 상기 거리를 발송하는 감시단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처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위치를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로 하며;
    상기 물품의 물품 위치에 의하여, 내비게이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 생성 방법.

KR1020170100880A 2017-02-20 2017-08-09 지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6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903967 2017-02-20
CN201710090396 2017-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468A true KR20180096468A (ko) 2018-08-29

Family

ID=6002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880A KR20180096468A (ko) 2017-02-20 2017-08-09 지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96468A (ko)
CN (1) CN1072573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9218A (zh) * 2018-09-18 2019-03-01 北京无线体育俱乐部有限公司 提示方法、装置及系统
CN109640246B (zh) * 2018-10-22 2022-03-01 北京无线体育俱乐部有限公司 信息获取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09640245A (zh) * 2018-10-22 2019-04-16 北京无线体育俱乐部有限公司 对象监控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09299407A (zh) * 2018-10-22 2019-02-01 田大可 一种自主构建的多地址多网点信息推送的方法
CN110363064A (zh) * 2019-05-20 2019-10-22 菜鸟智能物流控股有限公司 物流对象定位系统、方法以及电子设备
CN113535873B (zh) * 2021-07-13 2023-08-1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用于处理数据的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2832A (zh) * 2014-08-19 2014-12-03 北京尚品百姿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货品定位方法及装置
CN105160537B (zh) * 2015-09-07 2018-07-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室内环境下的定位方法及用户终端
CN106355427B (zh) * 2016-08-12 2018-11-20 灯影科技有限公司 导购地图生成方法及装置
CN106408365B (zh) * 2016-08-24 2019-10-11 北京无线体育俱乐部有限公司 内容推荐方法及装置
CN106323290B (zh) * 2016-08-24 2019-03-12 北京无线体育俱乐部有限公司 地图生成系统及方法
CN106372683A (zh) * 2016-08-24 2017-02-01 潘重光 地图生成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57368B (zh) 2019-02-01
CN107257368A (zh)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1895B2 (en) Map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KR20180096468A (ko) 지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6511216B2 (ja) 提示方法及び装置
CN106323290B (zh) 地图生成系统及方法
Al Hammadi et al. Indoor localization and guidance using portable smartphones
US20040099736A1 (en) Inventory control and identification method
US1150813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3D home model for visualizing proposed changes to home
CN108933991B (zh) 一种基于蓝牙iBeacon的超市导购方法及系统
CN106372683A (zh) 地图生成系统及方法
CN109166008A (zh) 一种快速寻找商品的商场用导览系统
CN112837412B (zh) 三维地图交互方法、装置、机器人及存储介质
CN117255330A (zh) 物品派送方法及相关设备
KR20140085014A (ko) 이동 통신과 무선 인터넷 사각지대에서 usn을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