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140A -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140A
KR20180096140A KR1020170022429A KR20170022429A KR20180096140A KR 20180096140 A KR20180096140 A KR 20180096140A KR 1020170022429 A KR1020170022429 A KR 1020170022429A KR 20170022429 A KR20170022429 A KR 20170022429A KR 20180096140 A KR20180096140 A KR 20180096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vestock
temperature
estrous
est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홍
Original Assignee
김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홍 filed Critical 김진홍
Priority to KR102017002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140A/ko
Publication of KR2018009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은, 가축에 장착되어, 가축의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디바이스; 수집된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를 수신하여, 가축의 발정상태를 분석하는 서버; 및 분석된 발정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가축의 발정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발정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발정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발정시기를 알려주기 때문에 수태적기에 수정을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자동적으로 발정시기를 판단하여 알려주기 때문에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strus for Domestic Animals}
본 발명은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축산업은 지난 10년 동안 가축 사육 가구는 줄어들고 있지만 사육규모와 개체 수가 증가하여 양적인 측면에서 크게 성장하였다. 하지만 구제역, 조류 인플레인자(AI) 등 가축 전염병이 발생하여 축산업 기반은 큰 타격을 입었으며 FTA 체결로 인해 축산 선진국과의 정면승부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세계적으로 가축의 수태율, 분만간격 등 번식능력이 저하되는 것이 추세이며 이러한 이유는 가축의 미약발정, 무발정, 조기배사멸 등 증가와 가축 발정 발견률 저하, 적정시기의 황체퇴행 지연, 혈중 성호르몬 농도의 저하 등이며 주변 환경요인으로는 다두사육으로 인한 개체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감소와 복잡한 우사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축의 발정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72494호(발명의 명칭: 한우 발정감지 시스템 및 방법, 공개일자: 2015. 06. 30)가 있다.
본 발명은 가축의 발정상태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은, 가축에 장착되어, 가축의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디바이스; 수집된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를 수신하여, 가축의 발정상태를 분석하는 서버; 및 분석된 발정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정상태는, 가축의 발정시기 또는 수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축의 발정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가축의 발정상태가 발정시기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는, 가축에 장착되는 장착부; 가축의 활동량을 감지하여, 활동량 정보를 수집하는 움직임 정보 센서부; 가축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정보 센서부; 및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센서 디바이스 통신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가축의 발정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 정보를 수신하고, 발정상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는, 서버로부터 발정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통신부; 및 발정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가축의 발정 관리 방법은, 가축의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가축의 발정상태를 분석하고; 및 분석된 발정상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가축의 발정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발정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발정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발정시기를 알려주기 때문에 수태적기에 수정을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자동적으로 발정시기를 판단하여 알려주기 때문에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발정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1)은 센서 디바이스(100), 서버(200), 및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디바이스(100)는 가축에 장착되어, 가축의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를 수집한다.
센서 디바이스(100)는 가축에 장착되는 장착부(110), 가축의 활동량 및 가축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부(120), 및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 정보를 서버(200)에 송신하는 센서 디바이스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가축의 활동량을 감지하여, 활동량 정보를 수집하는 움직임 정보 센서부 및 가축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온·습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정보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수집된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 정보를 수신하여, 가축의 발정상태를 분석한다. 여기서, 발정상태는 가축의 발정시기 또는 수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가축의 발정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210), 및 센서 디바이스(100)로부터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 정보를 수신하고, 발정상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분석된 발정상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서버(200)로부터 발정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통신부(310), 및 발정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 통신부(31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축의 발정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3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축의 발정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사용자에 의해 가축의 선택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출력부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출력부(320)와 일체화되어 마련되거나 상호 레이어 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출력부(320)는 가축의 발정상태가 발정시기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으로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1)의 구성 및 각 구성의 역할을 실시예들을 바탕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주어진 흐름도를 참조하여 가축의 발정 관리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발정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센서 디바이스(100)를 통해 가축의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할 수 있다(510). 그 다음, 서버(200)를 통해 수집된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가축의 발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520). 그리고, 사용자 디바이스(300)를 통해 분석된 발정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가축의 발정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발정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정확한 발정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확한 발정시기를 알려주기 때문에 수태적기에 수정을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자동적으로 발정시기를 판단하여 알려주기 때문에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으로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100 : 센서 디바이스
110 : 장착부
120 : 센서부
130 : 센서 디바이스 통신부
200 : 서버
210 : 분석부
220 : 서버 통신부
300 : 사용자 디바이스
310 : 사용자 디바이스 통신부
320 : 출력부

Claims (8)

  1. 가축에 장착되어, 상기 가축의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디바이스;
    상기 수집된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축의 발정상태를 분석하는 서버; 및
    상기 분석된 발정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정상태는,
    상기 가축의 발정시기 또는 수태시기를 포함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가축의 발정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가축의 발정상태가 상기 발정시기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 알람을 출력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디바이스는,
    상기 가축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가축의 활동량을 감지하여, 상기 활동량 정보를 수집하는 움직임 정보 센서부;
    상기 가축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온·습도 정보 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정보 센서부; 및
    상기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센서 디바이스 통신부;
    를 포함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축의 발정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발정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
    를 포함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는,
    상기 서버로부터 발정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통신부; 및
    상기 발정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8. 가축의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활동량 정보 및 온·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축의 발정상태를 분석하고; 및
    상기 분석된 발정상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축의 발정 관리 방법.
KR1020170022429A 2017-02-20 2017-02-20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6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29A KR20180096140A (ko) 2017-02-20 2017-02-20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429A KR20180096140A (ko) 2017-02-20 2017-02-20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140A true KR20180096140A (ko) 2018-08-29

Family

ID=6343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429A KR20180096140A (ko) 2017-02-20 2017-02-20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1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610A (ko) * 2019-04-05 2020-10-14 권은희 전자식 모돈 관리 장치
KR20220134151A (ko) * 2021-03-26 2022-10-0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의 활동 감지 시스템
CN116098082A (zh) * 2023-02-14 2023-05-12 斯贝福(北京)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判断啮齿类动物的发情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610A (ko) * 2019-04-05 2020-10-14 권은희 전자식 모돈 관리 장치
KR20220134151A (ko) * 2021-03-26 2022-10-0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의 활동 감지 시스템
CN116098082A (zh) * 2023-02-14 2023-05-12 斯贝福(北京)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判断啮齿类动物的发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ómez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validated precision livestock farming technologies for pig production and its potential to assess animal welfare
Unold et al. IoT-based cow health monitoring system
KR102035672B1 (ko) 가축의 행동과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Maselyne et al. Validation of a 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HF RFID) system for registering feeding patterns of growing-finishing pigs
AU2017276810B2 (en) System for monitoring pasture intake
Brehme et al. ALT pedometer—New sensor-aided measurement system for improvement in oestrus detection
Nielsen Automatic registration of grazing behaviour in dairy cows using 3D activity loggers
Greenwood et al. New ways of measuring intake, efficiency and behaviour of grazing livestock
JP6366924B2 (ja) 牛の発情を検知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180089957A (ko)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축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6140A (ko)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40276B1 (ko) 축산 지식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가축의 사양관리 시스템
JPWO2016140332A1 (ja) 監視装置及び動作検出方法
KR20200117610A (ko) 전자식 모돈 관리 장치
DelGiudice et al. Monitoring movement behavior enhances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capture-induced abandonment of moose neonates
Ciccolini et al. Disease transmission on fragmented contact networks: Livestock-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the Danish pig-industry
Poppe et al. Development of resilience indicator traits based on daily step count data for dairy cattle breeding
JP2004337093A (ja) 乳牛の発情発見方法及び装置
Whiting et al. Reintroduced bighorn sheep: do females adjust maternal care to compensate for late-born young?
KR102106265B1 (ko) 에너지 하베스팅 센서를 이용한 가축의 발정 감지 장치 및 방법
Naas Applications of mechatronics to animal production
KR20130035819A (ko) 열화상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한 가축 발정 진단 시스템
KR20160068032A (ko) 열화상 카메라 이용한 가축 발정 감지 시스템
KR20130082589A (ko) 동물의 생장 및 번식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0990A (ko) 가축 꼬리 움직임을 활용한 발정 감지 장치 및 그 시스템 운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