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232A -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232A
KR20180095232A KR1020170021459A KR20170021459A KR20180095232A KR 20180095232 A KR20180095232 A KR 20180095232A KR 1020170021459 A KR1020170021459 A KR 1020170021459A KR 20170021459 A KR20170021459 A KR 20170021459A KR 20180095232 A KR20180095232 A KR 2018009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aeration
aeration devices
integrat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코
Priority to KR1020170021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5232A/ko
Publication of KR2018009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수질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복수의 폭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수단에 의해 수면 상으로 부유되는 모터의 하부 축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의 이중관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 및 표층수를 수중에 확산 배출시켜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고 수중 상태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중 상태 정보를 통신망에 송출한 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동작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복수의 폭기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중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정보를 각각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폭기 장치 각각에 전송하는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AERATOR USED WATER PURIFICATION}
본 발명은 복수의 폭기 장치를 관제할 수 있는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수나 하천 또는 연안해역 등의 정체된 수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수심에 따른 온도차이 때문에 물의 밀도가 변화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물이 순환하게 되면서 자정작용이 발생되게 된다.
그러나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는 표수층과 심수층 사이의 많은 온도차이로 인해 성층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물의 수직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자정작용을 상실하게 되어 부영양화에 따른 적조현상과 같은 심각한 수질악화를 유발한다. 특히, 여름철에는 수심이 깊을수록 수온이 낮고 밀도가 증가하므로 성층현상이 더 잘 나타나게 되므로 적조현상이 더 잘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적조가 발생되면 식물 프랑크톤이 분비하는 점액물질로 인해 해수의 점도가 높아져 어류가 유영하기 힘들어지고, 이 식물 플랑크톤이 어류의 아가미를 막아 어류를 질식시키기도 하며, 신경을 마비시켜 다량의 어류가 폐사하기도 한다.
또한, 식물 플랑크톤이 죽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해수 속에 녹아 있는 산소가 소모됨으로 인해 용존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어류가 호흡장애로 집단 폐사하게 된다.
이처럼, 적조는 해양생물 및 담수생물에 치명적인 결과를 유발하게 됨으로써 세계적으로 적조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일예로 폭기(曝氣, aeration)가 개발되어 필요 영역에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폭기 장치는 호수나 하천 또는 연안해역 등의 정체된 수역, 오페수 처리장, 양식 등과 같이 수질 개선이 필요한 곳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05036호(2006.07.19. 등록)
본 발명은 복수개의 폭기 장치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연결된 센서부를 이용하여 수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수중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동작 경로 계획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폭기 장치를 효율적으로 동작시켜 수질 개선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환경 정보, 지형 조건 정보, 수중 상태 정보 등을 기반으로 복수의 폭기 장치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배치 계획을 제공함으로써, 폭기 장치에 의한 수질 개선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통합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수단에 의해 수면 상으로 부유되는 모터의 하부 축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의 이중관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 및 표층수를 수중에 확산 배출시켜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고 수중 상태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중 상태 정보를 통신망에 송출한 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동작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복수의 폭기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중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정보를 각각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폭기 장치 각각에 전송하는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터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동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위치 정보와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합 관제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화면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표시자를 화면 데이터에 반영한 관제 화면을 생성한 후 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관제 화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상기 관제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표시자에 매칭시켜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관제 화면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관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표시자 중 어느 하나의 표시자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의 고유 식별자에 매칭된 동작 상태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관제 화면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관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관제 화면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말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관제 화면 상에서 어느 하나의 표시자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통해 상기 통합 관제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에 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동작 제어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통합 관제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선택된 폭기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수중 상태 정보,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정보 및 상기 장소의 지형 조건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수중 상태 정보, 환경 정보 및 지형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동작 제어를 포함한 동작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경로 계획 생성부와, 상기 동작 경로 계획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수중 상태 정보, 환경 정보 및 지형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에 대한 상기 장소 내 배치 계획을 생성하는 배치 계획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수단에 의해 수면 상으로 부유되는 모터의 하부 축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의 이중관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 및 표층수를 수중에 확산 배출시켜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복수의 폭기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합 관제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이 설치된 위치의 수중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정보 및 지형 조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중 상태 정보, 환경 정보 및 지형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의 구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구동 시간 각각이 포함된 동작 제어 정보를 각각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내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제 방법은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이 획득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모터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생성된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화면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표시자를 화면 데이터에 반영한 관제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제 방법은 상기 생성된 관제 화면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관제 화면 상에 어느 하나의 표시자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에 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제 방법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동작 제어 정보를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에 전송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연결된 센서부를 이용하여 수중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수중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동작 경로 계획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폭기 장치를 효율적으로 동작시켜 수질 개선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환경 정보, 지형 조건 정보, 수중 상태 정보 등을 기반으로 복수의 폭기 장치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배치 계획을 제공함으로써, 폭기 장치를 장소의 지형 조건이나 수중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폭기 장치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관제 시스템은 하천, 강, 호수, 오폐수 처리장, 양식장 등과 같은 장소 내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폭기 장치(100), 통신망(110)으로 연결된 통합 관제 서버(120) 및 통합 관제 서버(120)와 이동 통신망(150)으로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망(110)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예컨대 와이파이, 블루투스 LE,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기반의 망을 의미하며, 이동 통신망(150)은 스마트폰, PDA, 테블릿 PC 등의 기기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과 연동되는 망일 수 있다.
복수의 폭기 장치(100)는 하천, 강, 오페수 처리장, 양식장 등과 같이 수질 개선이 필요한 장소의 서로 다른 영역에 설치되어 수질 정화를 위해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기의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수단(20)에 의해 지지되는 모터(10)의 하부 축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의 이중관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 및 표층수를 수중에 확산 배출시켜 수중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수질 정화부(102), 수중 상태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104)를 구비하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수중 상태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통신망(110)을 통해 통합 관제 서버(120)에 전송하며, 통신망(110)을 통해 통합 관제 서버(120)로부터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기반으로 모터(1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기(10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부(104)에 의해 센싱되는 수중 상태 정보는 수중의 용존 산소량, 수중 온도, 물의 밀도, 유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부(104)는 이중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 측정 센서 모듈,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모듈, 용존 산소량을 측정하는 산소 측정 센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서부(104)의 각 센서 모듈은 IoT(Internet Of Things) 센서로 구성되어 통신망(110),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합 관제 서버(120)에 센싱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제어기기(106)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센싱한 정보를 제어기기(106)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부(102)는 제어기기(106)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수질 정화부(102)를 제어하는 제어기기(106)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부(10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기(106)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기기(10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 센서부(104)와의 연동을 통해 수중 상태 정보 및 수질 정화부(102)의 모터(10) 동작에 대한 동작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2), 데이터 수집부(2)에 의해 수집된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를 통신망(110)을 통해 통합 관제 서버(120)에 전송하거나 통합 관제 서버(120)로부터 모터(10)의 제어를 통해 동작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3), 데이터 송수신부(3)에 의해 수신된 동작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전원부(1)의 제어를 통해 모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기(106)는 폭기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정보 획득부(5), 예컨대 GPS 장치, 통신망 기반의 위치 정보 도출 수단(어플리케이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기(106)는 위치 정보 획득부(5)로부터 획득한 폭기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수중 상태 정보와 더불어 통합 관제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기(106)가 통합 관제 서버(120)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제어 정보는 수질 정화부(102) 내 모터(10)의 구동 온/오프 및 동작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수신한 제어기기(106)의 제어부(4)는 동작 제어 정보를 토대로 전원부(1)를 제어하여 동작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기반으로 전원부(1)를 제어하여 모터(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기기(106)가 수질 정화부(102)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수질 정화부(102)의 소정 부분에 장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수질 정화부(102)의 모터(10)는 수질 정화부(102)의 소정 부분에 장착된 제어기기(106)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되거나 수질 정화부(102)와 별도로 장착된 제어기기(106)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질 정화부(102)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부(102)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부(102)는 부력수단(20)에 의해 수면 상으로 부유되는 모터(10), 모터(10)와 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유도관(30) 및 제2유도관(40)으로 구성된 이중관, 각 제1,2유도관(30, 40)의 단부에 설치되어 각각 에어와 표층수를 수중, 예컨대 수중의 심층 영역에 배출하는 제1임펠러(32) 및 제2임펠러(42)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수단(20)을 통해 수면에 부유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축 방향으로 연결된 이중관을 회전시켜 제 1, 2 임펠러(32, 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10)는 1.5~3.0Kw 정도의 전력을 통해 이중관을 회전시킬 수 있는 단상 또는 삼상 유도형 AC 모터를 그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모터(10)의 하부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의 제1유도관(30) 및 제2유도관(40)으로 구성된 이중관이 축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유도관(30) 및 제2유도관(40)의 일측부에는 모터(10)가 연결되고 타측부에는 제1임펠러(32) 및 제2임펠러(42)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0)에 의해 제1유도관(30) 및 제2유도관(40)이 회전됨에 따라 제 1 및 제 2 임펠러(32, 42)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이중관 중 제1유도관(30)에는 에어가 유입될 수 있는 에어유입홀(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유도관(40)에는 표층수가 유입될 수 있는 표층수유입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도관(30)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는 모터(10)에 의해 회전되는 제1임펠러(32)를 통해 수중의 심층 영역에 배출되며, 제2유도관(40)을 통해 유입되는 표층수는 모터(10)에 의해 회전되는 제2임펠러(42)를 통해 수중의 심층 영역에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층수와 심층수간의 대류 정체 현상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층 영역에 에어 공급을 통해 산소를 마이크로 버블 형상을 공급하여 수질을 개선할 수 있다.
제1임펠러(32)는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격판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원심력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할 수 있다.
제2임펠러(42)는 제1임펠러(32)와 동일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1임펠러(32)와 같이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격판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원심력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표층수를 수중의 심층 영역에 배출할 수 있다.
부력수단(20)은 수면상에 부유될 수 있는 소재로서, 공기가 포함된 플라스틱 부력부재, 스티로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부력수단(20)은 3개가 모터(10)를 중심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3개 이상이 배치되어 모터(10)를 수면상에 부유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 정화부(102)는 모터(10)와 부력수단(20)의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재(미도시됨)가 장착될 수 있다. 커버부재는 모터(10)가 외부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합 관제 서버(120)는 통신망(110)을 통해 연결된 복수의 폭기 장치(100), 즉 폭기 장치(100)의 제어기기(106)로부터 수신되는 수중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수질 정화부(102) 각각에 대한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정보를 각각 생성한 후 이를 통신망(110)에 연결된 복수의 폭기 장치(100) 각각의 제어기기(106)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제 서버(120)는 복수의 폭기 장치(100)에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복수의 폭기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관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관제 서버(12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서버(12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관제 서버(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21), 제어 정보 생성부(122), 데이터 저장부(124), 관제 화면 생성부(126), 관제 화면 제어부(128), 표시부(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 인터페이스(121)는 통신망(110)과 연동되어 복수의 폭기 장치(100)의 제어기기(106)와 통합 관제 서버(120)간의 통신 연결을 지원하며, 이동 통신망(150)과 연동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기(160)와 통합 관제 서버(120)간의 통신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121)는 통신망(110) 및 이동 통신망(150)에 통합 관제 서버(120)를 연결시켜 제어기기(106) 및 관리자 단말기(160)와 통합 관제 서버(120)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생성부(122)는 복수의 폭기 장치(100)에 대한 고유 식별자를 관리하며, 복수의 폭기 장치(100)의 제어기기(106)로부터 수신한 수중 상태 정보, 즉 통신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수신한 수중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폭기 장치(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 생성부(122)는 수중 상태 정보인 폭기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의 온도, 유속, 물 밀도, 용존 산소량을 기반으로 폭기 장치(100)의 구동 필요 여부 및 구동 시간을 결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동작 제어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동작 제어 정보와 폭기 장치(100)의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통신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해당 폭기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24)는 복수의 폭기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의 수중 상태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등을 복수의 폭기 장치(100)의 고유 식별자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저장부(124)는 폭기 장치(100)의 구동 온/오프 상태를 포함한 동작 상태 정보, 위치의 수온, 유속, 용존 산소량 등을 폭기 장치(100)의 고유 식별자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관제 화면 생성부(126)는 복수의 폭기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화면 데이터를 관리하며, 화면 데이터와 복수의 폭기 장치(100)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장소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에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이 표시된 관제 화면을 생성한 후 이를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제 화면 생성부(126)는 복수의 폭기 장치(100)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표시자를 생성하며, 생성한 표시자를 복수의 폭기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 상의 부분에 추가하여 관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관제 화면 제어부(128)는 통신망(110)을 통해 수신한 복수의 폭기 장치(100) 각각에 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이 설치된 위치에 대한 수중 상태 정보를 관제 화면 상에 표시된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표시자에 매칭시켜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관제 화면 제어부(128)는 관제 화면 상에서 특정 표시자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표시자에 대한 수중 상태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한 후 검색한 정보를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서버(120)는 관리자 단말기(160)와 연동될 수 있는 단말 연동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연동부(132)는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가 매칭되어 표시된 관제 화면 또는 관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관제 화면을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160)에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기(16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연동부(132)는 관제 화면만을 제공받은 관리자 단말기(160)로부터 관제 화면 상에서 특정 표시자가 선택됨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160)로부터 정보 요청을 수신하며, 정보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특정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수중 상태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6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연동부(132)는 관리자 단말기(160)로부터 복수의 폭기 장치(1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기 장치(100)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이를 통신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해당 폭기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서버(120)는 복수의 폭기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정보(예컨대 기온, 습도, 바람 방향) 및 장소의 지형 조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 수집부(134) 및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경로 계획 생성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134)는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됨)와 연동을 통해 환경 정보 및 장소의 지형 조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경로 계획 생성부(136)는 정보 수집부(134)에 의해 수집된 환경 정보, 지형 조건 정보 및 복수의 폭기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수중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폭기 장치(100) 각각에 대한 동작 제어를 포함한 동작 경로 계획을 생성하며, 생성한 동작 경로 계획을 제어 정보 생성부(122)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로 계획 생성부(136)는 수중 상태, 환경 정보, 지형 조건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폭기 장치(100) 각각에 대한 구동 온 순서, 구동 온 시 구동 시간 등을 계산한 후 이를 기반으로 동작 경로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정보 생성부(122)는 동작 경로 계획에 의거하여 복수의 폭기 장치(100) 각각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복수의 폭기 장치(100)에 전송하여 복수의 폭기 장치(100) 각각에 장착된 모터(10)의 구동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서버(120)는 복수의 폭기 장치(100)를 특정 장소에 배치하기 위한 배치 계획을 생성할 수 있는 배치 계획 생성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치 계획 생성부(134)는 정보 수집부(134)에 의해 수집된 수중 상태 정보, 환경 정보 및 지형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폭기 장치(100)를 장소에 재배치할 때의 이용될 배치 계획을 생성한 후 이를 관리자 단말기(160)에 전송하거나 표시부(1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리자 단말기(16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16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160)는 프로세서(162), 저장장치(164), 통신 회로(166) 및 디스플레이(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관리자 단말기(160)는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172)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2)는 관리자 단말기(100)의 동작 및 수행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임의의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2)는 운영 체제 어플리케이션들, 펌웨어 어플리케이션들, 매체 재생 어플리케이션들, 매체 편집 어플리케이션들, 복수의 폭기 장치(100)의 관제를 위한 관제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임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2)는 디스플레이(170)를 구동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입력들을 처리할 수 있다.
저장장치(164)는 예컨대 하드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ROM과 같은 영구적인 메모리, 임의의 다른 적합한 종류의 저장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장치(164)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예컨대 통합 관제 서버(120)와의 연동을 통해 복수의 폭기 장치(100)의 제어 및 관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매체 데이터(예컨대 음악 및 비디오 파일들), 펌웨어, 사용자 기호(preference) 정보 데이터(예컨대 매체 재생 기호들), 인증 정보(예컨대 인가된 사용자들과 연관된 데이터의 라이브러리들), 무선 접속 정보 데이터(예컨대 관리자 단말기(160)가 무선 접속을 수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정보), 일정표 정보 데이터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데이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 회로(166)는 관리자 단말기(160)가 임의의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60)는 상이한 통신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몇몇 통신 동작들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통신 회로(166)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도면을 지나치게 복잡하게 하지 않도록 도 7에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통신 회로(166)는 Wi-Fi(예컨대 802.11 프로토콜),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시스템들, 셀룰러 네트워크들(예컨대 GSM, AMPS, GPRS, CDMA, EV-DO, EDGE, 3GSM, DECT, IS-136/TDMA, iDen, LTE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프로토콜), 적외선, TCP/IP(예컨대 TCP/IP 레이어들 각각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것), HTTP, 비트토런트(BitTorrent), FTP, RTP, RTSP, SSH, VOIP(Voice over IP), 임의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지원할 수 있다.
입력/출력 회로(168)는 아날로그 신호들 및 다른 신호들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및 필요한 경우 인코딩/디코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출력 회로는 또한 디지털 데이터를 임의의 다른 종류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예컨대, 입력/출력 회로(168)는 물리적인 접촉 입력들(예컨대 멀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물리적인 움직임들(예컨대 마우스 또는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예컨대 마이크로부터),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을 수신 및 변환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서(162), 저장장치(164), 또는 관리자 단말기(160)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에 제공되고 그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입력/출력 회로(168)는 관리자 단말기(160)의 단일 컴포넌트로서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나, 입력/출력회로의 몇몇 인스턴스들이 관리자 단말기(160)에 포함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160)는 사용자가 입력/출력 회로(168)에 입력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메커니즘 또는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 단말기(160) 예컨대 버튼, 키패드(keypad), 다이얼(dial), 클릭 휠(click wheel),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입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관리자 단말기(160)는 정전식(capacitive) 센싱 메커니즘, 또는 멀티 터치 정전식 센싱 메커니즘을 포함할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관리자 단말기(160)에 포함되는 스크린(예컨대 LCD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170)는 관리자 단말기(160)로부터 떨어진 표면 상에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팅 시스템(예컨대 비디오 프로젝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170)는 디지털 매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코더/디코더(코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또는 관리자 단말기(160) 내의 다른 적합한 회로)는 비디오 코덱들, 오디오 코덱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종류의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또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들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프로세서(162)의 지시 하에 콘텐츠(예컨대 매체 재생 정보, 전자장치 상에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진행 중인 통신 동작들에 관한 정보, 들어오는 통신 요청들에 관한 정보, 또는 장치 동작 스크린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관리자 단말기(160)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폭기 장치(100)의 통합 관제 방법은 프로세서(162)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74)은 저장장치(164)에 저장된 후 프로세서(16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74)은 통합 관제 서버(120)의 단말 연동부(132)와 연동되어 단말 연동부(132)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프로세서(162)에 의해 자동 실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174)은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가 매칭되어 표시된 관제 화면 또는 관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관제 화면이 이동 통신망(150)을 통해 통합 관제 서버(120)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자동 실행되어 관리자 단말기(160)의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174)은 관제 화면 상에서 어느 하나의 폭기 장치에 대응하는 표시자가 선택되면, 통신 회로(166)의 활성화를 통해 통합 관제 서버(120)와 연결되어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 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그램(174)은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동작 제어 정보를 통신 회로(166)를 통해 통합 관제 서버(120)에 전송하여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100)의 제어기기(106)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통합 관제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통합 관제 서버(120)는 복수의 폭기 장치(100)와 연동, 즉 통신망(110)을 통한 연결을 통해 복수의 폭기 장치(100) 각각에 설치된 센서부(104)로부터 수중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S300).
그런 다음, 통합 관제 서버(120)는 복수의 폭기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정보 및 지형 조건 정보를 수집한다(S302). 구체적으로, 통합 관제 서버(120)는 외부의 서버, 예컨대 지리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됨), 기상청 서버(미도시됨)에 정보 요청을 통해 장소의 기온, 습도, 바람 방향, 지형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후, 통합 관제 서버(120)는 수중 상태 정보, 환경 정보 및 지형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폭기 장치(100) 각각에 대해 구동 온/오프 여부를 판단하고, 구동이 필요한 폭기 장치(100)에 대한 구동 시간을 산출한다(S304).
그리고 나서, 통합 관제 서버(120)는 구동 시간 및 구동 온/오프 여부를 포함한 동작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복수의 폭기 장치(100)의 제어기기(106)에 전송한다(S306). 이에 따라, 복수의 폭기 장치(100)는 동작 제어 정보에 따라 수질 정화부(102)의 모터(10)에 전원 공급 여부를 판단하고, 모터(10)의 구동 시간을 설정한다.
이러한 구동 시간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10)에 의해 수질 정화부(102)는 제1유도관(30) 및 제2유도관(40)에 공급되는 에어와 표층수를 심층 영역에 공급하여 물을 순환시킴과 더불어 에어의 공급을 통해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제 방법에서는 생략되었지만, 통합 관제 서버(120)는 복수의 폭기 장치(100)의 배치 계획 및 동작 경로 계획 등을 수립하여 제공하거나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폭기 장치(100)에 의해 수집된 수중 상태 정보 및 동작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한 관제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폭기 장치
102 : 수질 정화부
104 : 센서부
106 : 제어기기
110 : 통신망
120 : 통합 관제 서버
150 : 이동 통신망
16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1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수단에 의해 수면 상으로 부유되는 모터의 하부 축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의 이중관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 및 표층수를 수중에 확산 배출시켜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고 수중 상태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중 상태 정보를 통신망에 송출한 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동작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복수의 폭기 장치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중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제어 정보를 각각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폭기 장치 각각에 전송하는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모터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동작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위치 정보와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합 관제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화면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표시자를 화면 데이터에 반영한 관제 화면을 생성한 후 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관제 화면 생성부를 포함하는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상기 관제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표시자에 매칭시켜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관제 화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관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복수의 표시자 중 어느 하나의 표시자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의 고유 식별자에 매칭된 동작 상태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관제 화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관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관제 화면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말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관제 화면 상에서 어느 하나의 표시자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통해 상기 통합 관제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에 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동작 제어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통합 관제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선택된 폭기 장치에 전송하는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수중 상태 정보,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정보 및 상기 장소의 지형 조건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수중 상태 정보, 환경 정보 및 지형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동작 제어를 포함한 동작 경로 계획을 생성하는 경로 계획 생성부와,
    상기 동작 경로 계획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수중 상태 정보, 환경 정보 및 지형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에 대한 상기 장소 내 배치 계획을 생성하는 배치 계획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수단에 의해 수면 상으로 부유되는 모터의 하부 축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의 이중관을 통해 유입되는 에어 및 표층수를 수중에 확산 배출시켜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복수의 폭기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합 관제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이 설치된 위치의 수중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환경 정보 및 지형 조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중 상태 정보, 환경 정보 및 지형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의 구동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구동 시간 각각이 포함된 동작 제어 정보를 각각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내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 방법은,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이 획득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모터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여 생성된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화면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폭기 장치 각각에 대한 표시자를 화면 데이터에 반영한 관제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 방법은,
    상기 생성된 관제 화면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서 상기 관제 화면 상에 어느 하나의 표시자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에 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동작 상태 정보 및 수중 상태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제 방법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에 대한 동작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동작 제어 정보를 상기 선택된 표시자에 대응하는 폭기 장치에 전송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방법.
KR1020170021459A 2017-02-17 2017-02-17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5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459A KR20180095232A (ko) 2017-02-17 2017-02-17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459A KR20180095232A (ko) 2017-02-17 2017-02-17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232A true KR20180095232A (ko) 2018-08-27

Family

ID=6345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459A KR20180095232A (ko) 2017-02-17 2017-02-17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52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738A (ko) * 2018-12-28 2020-07-08 장현실 다중 필터를 이용한 막힘 방지 유체 공급 시스템
KR102309330B1 (ko) * 2021-03-31 2021-10-07 주식회사 디스텍 IoT 기반의 수질 정화 시스템 및 방법
CN116375233A (zh) * 2023-03-24 2023-07-04 寿县国祯水处理有限公司 一种分区联动提升的曝气系统及需氧量联动计算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036B1 (ko) 2006-03-02 2006-07-31 주식회사 에이원그린텍 수질정화 폭기장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036B1 (ko) 2006-03-02 2006-07-31 주식회사 에이원그린텍 수질정화 폭기장치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738A (ko) * 2018-12-28 2020-07-08 장현실 다중 필터를 이용한 막힘 방지 유체 공급 시스템
KR102309330B1 (ko) * 2021-03-31 2021-10-07 주식회사 디스텍 IoT 기반의 수질 정화 시스템 및 방법
CN116375233A (zh) * 2023-03-24 2023-07-04 寿县国祯水处理有限公司 一种分区联动提升的曝气系统及需氧量联动计算方法
CN116375233B (zh) * 2023-03-24 2024-04-12 寿县国祯水处理有限公司 一种分区联动提升的曝气系统及需氧量联动计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5232A (ko) 수질 정화용 폭기 장치의 통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Saravanan et al. Smart water grid management using LPWAN IoT technology
Xu et al. Internet of things in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A review
CN104170412B (zh) 使用地理围栏追踪单个群组成员的方法和设备
US20080045156A1 (en) Mobile Handset with Air Pollution Meter and System
TW201125384A (en) Co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broadcast channels
US10932180B2 (en) Route planning using crowd-sourced network data
CN107409338A (zh) 基于移动性信息的wlan/蜂窝互通
KR20150122753A (ko) 실내 포지셔닝에서의 티어드 서비스 및 효율성을 위한 적응적 지원 데이터
CN104122558B (zh) 一种采用移动终端显示的测深探鱼系统及其测深探鱼的方法
US20190257660A1 (en) Configurable routes
CN1759588A (zh) 携带信息终端和通信系统
JP2002186957A (ja)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CN103688572A (zh) 用于移动装置的音频漫游、在移动装置之间的组信息服务器和定义具有移动装置的用户组的系统和方法
JP2018506108A (ja) 水質の検知
CN104272775A (zh) 使用移动装置的相对位置的情境感知
EP3225765A1 (en) Intelligent pool apparatus
CN112526092A (zh) 一种基于无人船的河涌水质在线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CN112533219A (zh) 无线接入终端的调试方法、装置、接入终端及检测设备
Zhen et al. Optimization of electrocoagulation process to eliminate CODMn in micro-polluted surface wat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
CN204439172U (zh) 一种基于gprs网络的航道水深远程监测系统
JP4836556B2 (ja) 曝気制御システム
CN1823259A (zh) 导航设备
Jabbar et al. Development of LoRaWAN-based IoT system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in rural areas
JP2021079305A (ja) 水処理装置、水処理システム、水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