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511A - 운동 후 수행력 저하를 줄이기 위한 박테리아 조성물 - Google Patents

운동 후 수행력 저하를 줄이기 위한 박테리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511A
KR20180094511A KR1020187016306A KR20187016306A KR20180094511A KR 20180094511 A KR20180094511 A KR 20180094511A KR 1020187016306 A KR1020187016306 A KR 1020187016306A KR 20187016306 A KR20187016306 A KR 20187016306A KR 20180094511 A KR20180094511 A KR 20180094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fidobacterium breve
bacterial strain
streptococcus thermophilus
dsm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오반니 모그나
Original Assignee
프로바이오티컬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바이오티컬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프로바이오티컬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9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21Streptococcus, lactococcus
    • A23V2400/249Thermophi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19Breve
    • A23Y2240/75
    • A23Y2300/2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A61K2035/115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육-손상성 운동 후 개체의 스포츠 수행력의 저하를 줄일 수 있어, 스포츠 영양학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박테리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 후 수행력 저하를 줄이기 위한 박테리아 조성물
본 발명은, 운동 후 개체의 스포츠 수행력 저하를 줄일 수 있어, 스포츠 영양학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박테리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집중적인 장기간의 스포츠 활동에는 고난의 훈련이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고난의 훈련은 심지어 그 강도에 따라 훈련을 받은 근육의 섬유에 다소 뚜렷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집중적인 장기간의 스포츠 활동은 유발되는 근육 손상에 반응하는 면역계에 의해 전체적인 염증성 반응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스포츠 수행력은 필연적인 효율 저하로 감소된다.
격렬하지만 드물게 하는 운동, 특히 뚜렷한 편심성 컴포넌트 (eccentric component)를 이용한 운동은 운동-유발성 근육 손상 (EIMD)을 야기할 수 있다. 연구를 통해, 편심성 운동 (eccentric exercise)이, 근육에 과도한 강제적인 신장 및 수축을 가하고, 이는 기계적인 과부하를 가중시킴으로써 미세손상 (microtrauma)과 같은 근육 상해를 야기하여, EIMD를 유발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EIMD 증상에는, 지연성 근육 통증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 저항성 저하 (reduced resistance), 종창 (swelling), 세포막 파괴로 인한 크레아틴 키나제 농도 증가, 혈관 기능 약화 및 글루코스 공급 감소가 있다. 이들 증상은 운동 후 24시간에서 최대 7일까지 어느 시기에 나타나며, 염증 및 순환성 백혈구 둘다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손상된 근육은 그 부위에서 백혈구를 유인하게 되고, 이로써 호중구와 대식세포는 손상된 부위를 복구하기 위해 ROS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TNF-α는 근육의 단백질분해를 관할하며, IL-6에 의해 상향 조절된다. NF-κβ와 같은 다른 사이토카인 역시 ROS에 의해 자극된다. 따라서, 손상된 조직이 복구 및 적응함으로써, 이후 가해지는 편심성 부하에 대한 저항성은 더 커지게 된다.
즉, "근육 손상"은, 일시적일 수 있는, 즉, 근육 조직을 복구하기 위한 정상적인 생리학적 과정을 통해 다소 장기간에 걸쳐 완전히 복구될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일부 기능성이 저하된 영구적인 결과를 가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근육의 기능성 상실을 의미한다.
"운동"은 근육의 움직임을 수반하고, 적어도 잠재적으로는 운동을 수행하는 개체에서, 특히 비-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그러한 근육의 움직임에 대해 특별한 훈련을 받지 않은 개체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근육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스포츠, 레크레이션, 놀이, 작업, 보행 (locomotor) 또는 여러 가지 행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낮은 빈도로 격렬한 스포츠 또는 운동을 수행하는 모든 개체들을 위한, 건강에 부작용이 없는 자연적이고, 효과적이며, 용이하게 취할 수 잇는 해결 방안을 가지는 것이 매우 유용할 것이다.
본 출원인은, 집중적인 장기간의 연구 및 개발 활동을 통해, 전술한 요구를 적합하게 충족시키게 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첨부된 청구항에 기술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스포츠 수행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운동 후 수행력 저하를 약화, 완화 또는 제거하기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예로 이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비-치료학적인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용도는 운동을 수행한 개체에 상기한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근육통 (muscular pain), 근통증 (muscle soreness), 근육 염증, 근육 피로 및/또는 근육 퇴행의 근치적 치료 및/또는 예방적 치료, 근육 에너지량 증가 및 기능 결핍 개체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향상에 사용하기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예로 이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 16604)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 18616)을, 바람직하게는 1:1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각 균주 5 x 109 CFU/g의 함량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예로 이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이하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의료 디바이스용 조성물, 보충제용 조성물 뿐만 아니라 식품, 영양 조성물 및 기능성 조성물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인은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예로 이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이 조성물은 근육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운동 후 스포츠 수행력 저하를 약화 또는 완화 또는 제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인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는, 작용하여 적절한 Th1/Th2 비율 (밸런스)을 재-확립하기 위해 항-염증 효과 pro-Th2를 발휘하는, 인터루킨 10 (IL-10)의 합성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인인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는, 작용하여 적절한 Th1/Th2 비율 (밸런스)을 재-확립하기 위해 전-염증 효과 pro-Th1를 발휘하는, 인터루킨 6 (IL-6)의 감소/저하를 유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와 함께,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리 (Lactobacilli) 및 비피도박테리아 (Bifidobacteria) 속에 속하는 일부 박테리아 종들에 대한 정확한 선별을 수행하였으며, 몇 번의 시도 후,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과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을 검출하는데 성공하였다.
유익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많은 박테리아 균주들 중에서, Anidral Srl (현재 Probiotical SpA)에 의해 2004년 7월 20일에 기탁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 16604) 박테리아 균주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의 증가를 유도하는데 매우 흥미로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박테리아 균주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대상인 박테리아 선택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가 T 헬퍼 림프구의 현저한 증가 및 Th2 사이토카인 (IL-10 및 IL-4)의 분비를 유도하며, 또한 Th1/Th2 밸런스를 Th2 반응 쪽으로 이동시키므로 상당한 항-염증 특성을 가진다.
유익하게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다수의 박테리아 균주들 중에서, Mofin Srl에 의해 2006년 9월 13일에 기탁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 18616) 박테리아 균주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의 감소를 유도하는데 매우 흥미로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 18616) 박테리아 균주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대상인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박테리아 선택 균주는 사이토카인 Th1 (IL-6) 분비의 현저한 감소를 유발하여, Th1/Th2 밸런스를 Th1 반응 쪽으로 이동시킨다.
유익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 16604)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 18616)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예로 이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첨가는, 염증성 반응을 낮추고 운동 후 수행력 저하를 약화시킴으로써 염증을 줄일 수 있다. 2종의 박테리아 균주는 상기한 혼합물에 1:1, 또는 2:1, 또는 3:1, 또는 4:1, 또는 1:2, 또는 1:3, 또는 1:4의 중량 비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 등급 또는 식품 등급의 첨가제, 향료, pH 안정화제 및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박테리아 균주는, 예를 들어, 장 수준에서 섭취 및 흡수 둘다에 유익하기 위해, 지질 층, 예를 들어, 식물 지질 층 (plant lipid layer)으로 코팅, 캡슐화 또는 피복 (filmed)될 수 있다.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1x106 내지 1x1011, 바람직하게는 1x107 내지 1x10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x108 내지 1x109 CFU/g을 포함하는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 16604)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 18616)를 1:1 중량비로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예로 이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익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근육 섬유를 손상시키는 장기적인 운동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유익하게는, 본 조성물은 근육 손상을 겪었거나 또는 위험성이 있는 개체에서 치료학적인 용도, 또는 다른 예로 구체적인 병리학적 증상이 없으며 특별한 수축 위험성이 없는 개체에서 비-치료학적인 용도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근육 손상을 심지어 유발할 수 있는 운동 후 수행력 저하를 약화, 완화 또는 제거하기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예로 이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비-치료학적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용도는 근육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운동을 수행한 개체에게 본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익하게는, 상기한 용도는 비-치료학적인 목적을 가지며, 즉, 질환 또는 장애를 앓고 있는 개체 및/또는 수축 위험성이 있는 개체에서, 특히 근조직에 발생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학적 또는 예방학적 처치에 관한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서, 조성물은 DSMZ에 DSM 16604로 기탁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박테리아 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 및/또는 DSMZ에 DSM 18616으로 기탁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박테리아 균주인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서, 조성물은 DSMZ에 DSM 16604로 기탁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박테리아 균주와 같은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 및 DSMZ에 DSM 18616으로 기탁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박테리아 균주와 같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며, 이는 1x106 내지 1x1011, 바람직하게는 1x107 내지 1x10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x108 내지 1x109 CFU/g의 농도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서, 조성물은 DSMZ에 DSM 16604로 기탁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박테리아 균주와 같은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 및 DSMZ에 DSM 18616으로 기탁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박테리아 균주와 같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며, 이는 중량비 1:1, 또는 2:1, 또는 3:1, 또는 4:1, 또는 1:2, 또는 1:3, 또는 1:4; 바람직하게는 1:1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한 박테리아 균주는 캡슐화된 형태, 즉 적어도 지질 층으로 코팅된 형태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지질 층은 식물성이거나 및/또는 40 내지 60℃를 포함하는 용융점을 가진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서, 조성물은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 16604)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 18616)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이들 균주는 1:1 중량비로 존재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지질 층으로 코팅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서, 조성물은 훈련 및 스포츠 수행시 운동을 유익하게 강화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서, 운동은 일반적으로 근육 섬유 및/또는 근조직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발생시키는, 집중적인 장기간의 스포츠 활동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치료학적인 용도, 즉, 잠재적으로 근육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는 시도를 수행한 개체에서 근육 손상을 완화 또는 예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예로 이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이 조성물은 근육통, 근통증, 근육 염증, 근육 피로 및/또는 근육 퇴행의 근치적 치료 및/또는 예방적 치료, 근육 에너지량의 증가 또는 결핍 개체에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향상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는 DSMZ에 DSM 16604로 기탁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박테리아 균주이며, 및/또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는 DSMZ에 DSM 18616으로 기탁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박테리아 균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는 1x106 내지 1x1011, 바람직하게는 1x107 내지 1x10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x108 내지 1x109 CFU/g을 포함하는 농도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박테리아 균주는 중량비 1:1, 또는 2:1, 또는 3:1, 또는 4:1, 또는 1:2, 또는 1:3, 또는 1:4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한 박테리아 균주는 캡슐화된 형태, 즉 적어도 지질 층으로 코팅된 형태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지질 층은 식물성이거나 및/또는 40 내지 60℃를 포함하는 용융점을 가진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 16604)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 18616) 박테리아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1:1 중량비로 존재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지질 층으로 코팅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를 위한 상기한 조성물은 면역계에 의한 전체적인 면역 반응을 강화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를 위한 상기한 조성물은 면역계에 의한 전체적인 염증성 반응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를 위한 상기한 조성물은 Th1/Th2 밸런스를 Th2 반응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하기 바람직한 구현예들 (PE 1-10)에 관한 것이다:
PE 1.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예로 이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근육-손상성 운동 후 운동 수행력 저하를 약화, 완화 또는 제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PE 2. PE 1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는 DSMZ에 DSM 16604로 기탁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박테리아 균주이다.
PE 3. PE 1 또는 2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는 DSMZ에 DSM 18616으로 기탁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박테리아 균주이다.
PE 4. PE 1-3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운동은 일반적으로 근육 섬유 및/또는 근조직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발생시키는 집중적인 장기간의 스포츠 활동이다.
PE 5. PE 1-4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는 1x106 내지 1x1011, 바람직하게는 1x107 내지 1x10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x108 내지 1x109 CFU/g을 포함하는 농도로 존재한다.
PE 6. PE 1-5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 16604)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 18616) 박테리아 균주는 중량비 1:1, 또는 2:1, 또는 3:1, 또는 4:1, 또는 1:2, 또는 1:3, 또는 1:4로 존재한다.
PE 7. PE 1-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조성물은 면역계에 의한 전체 면역 반응을 강화한다.
PE 8. PE 1-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조성물은 면역계에 의한 전체 염증성 반응을 감소시킨다.
PE 9. PE 1-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조성물은 훈련 및 스포츠 수행 중 운동을 향상시킨다.
PE 10. PE 1-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조성물은 Th1/Th2 밸런스를 Th2 반응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제적인 구현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파트
1. 개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 16604)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 18616) 박테리아 균주에 기반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집중적인 근육-손상성 운동 코스 후 염증 반응과 후속적인 운동 수행 능력에 대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반복적이고, 무작위적인, 이중-맹검의, 위약-대조군의 투-웨이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염증을 완화하고, 훈련 적응성을 향상시키고, 스포츠 수행력을 후속적으로 증가시킨다. 집중적인 근육-손상성 운동 코스 이후에 염증 및 근육 성능에 대한 조성물의 섭취 효과를 조사하였다.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크로스오버 방법을 16명의 건강한 저항성을 가진 훈련을 받은 남성 (25 ± 4세; 177.9 ± 8.5 cm; 81.1 ± 10.3 kg)에게 적용하였으며, 팔꿈치 굴근 (elbow flexor)을 손상시키는 운동 수행 전 (21일간) 박테리아 균주를 캡슐 형태로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위약 (PLA)을 매일 복용하였으며, 이 조성물은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Z 16604) 5x109 CFU/g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Z 18616) (PRO) 5x109 CFU/g을 포함하였다.
팔꿈치 굴근의 성능과 염증성 마커 (인터루킨-6)를 근육-손상성 운동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조건들 간에 21일의 워시-아웃 기간을 두었다. 성과를 정의하기 위한 표준화된 강도에 기반한 추론 (magnitude-based inference)을 이용하였다.
SPSS V.22 (IBM Corporation; Armonk, NY)를 이용한 혼합 모델 ANOVA에 의해 대상 종속 변수에 대한 치료 및 시간 효과를 분석하였다. 강도에 기반한 추론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 방식은 고려한 성과에 있어 최소한의 유의한 변화를 기준으로 정확도 (신뢰 구간의 폭)를 참조하여, 대량 샘플의 효과 정도를 예측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결과들은, 유익하게는, 본 발명의 대상인 조성물을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Z 16604) 5x109 CFU/g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Z 18616) (PRO) 5x109 CFU/g을 포함하는 캡슐화된 형태 (균주는 40℃ 내지 60℃ 범위의 용융점을 가진 식물성 단독 지질 코팅제로 코팅됨)의 박테리아 균주로 섭취하면, 평균 피크 토크 (torque)에 의한 측정에서 운동 후 24 (효과 크기 [ES] = 0.3), 48시간 (ES = 0.5) 및 72시간 (ES = 0.3)에 성능 저하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조성물은 전체적으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ES = 0.5).
유익하게는, 상기한 처리되는 조성물의 섭취는 집중적인 근육-손상성 운동 코스 후 수행력 저하와 후속적인 염증을 줄여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집중적인 근육-손상성 운동 코스 후 관찰되는, 운동 후 수행력 저하를 약화,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인터루킨-6 (IL-6)에 의한 측정에 따르면 관련 염증 반응을 낮출 수 있다.
2. 개체
실험의 포함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테스트 전 1년간 체계적인 저항-훈련에 참여; (2) 테스트 전 6주간 영양 보충제 또는 보조제 (ergogenic aid) 금지; 및 (3) 이전 달 중에 항-염증성 약물 금지.
실험은 헬싱키 선언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ClinicalTrials.gov: NCT02520583에 등록하였다.
인간 개체를 수반한 모든 절차들은 텍사스 기독교대학의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인간 개체의 연구 목적으로의 이용에 대해 승인받았다 (프로토콜 번호 1501-009-1502). 모든 개체들에서 서면 동의를 구하였다.
3. 실험 프로토콜
근육 손상을 동반하는 훈련 코스 이후에 후속적인 운동 수행력과 급성 염증 반응에 대한, 프로바이오틱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의 1차 투여가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군 크로스오버 연구 설계를 적용하였다. 실험 테스트를 수행하기 전에, 기저 혈액 샘플을 금식 개체에서 채혈한 후, 이전의 용량 용법 실험을 기초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Z 18616) 생세포 (AFU) 50억개 및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Z 16604) 생세포 (AFU) 50억개로 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Probiotical S.p.A., Novara, Italy; Probiotic) 또는 위약을 보충제로서 21일간 경구 섭취하는 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실험 물질들은 이탈리아 노바라에 위치한 Biolab Research S.r.l.에서 유세포 측정 (Biolab research method 612-04, 표준화 절차 ISO 19344: 2015 IDF 232: 2015, 이탈리아 로마 Accredia에 의해 보증됨, 생세포 > 10억개)으로 분석하고, 타겟 세포의 카운트를 플레이트 카운트 방법 (Biolab Research method 031-08, > 10억개 CFU)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테스트하기 적어도 72시간 동안, 개체들을 실험 평가 절차에 익숙해지게 하였다 (등척성 근력 (isometric strength)).
1차 실험 테스트는 프로바이오틱 또는 위약 투여 개시 후 적어도 21일에 시작하였다. 개체들에게 테스트하기 전 72시간 동안 어떠한 비-일상적인 생활 활동은 하지 않도록 지시하였다.
또한, 개체들에게 실험 절차를 방해할 수 있는 어떤 식품도 섭취하지 말 것을 주문하였다. 실험 테스트 당일, 적어도 8시간 금식한 개체를 여러번 채혈을 위한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해 반듯이 누운 자세로 있게 하였다. 기저 혈액을 채혈한 후, 상완 둘레, 움직임 범위 및 개체의 통증을 일어나기 전에 측정한 다음 등척성 근력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개체들은 근육 손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진 팔꿈치 굴근의 편심성 운동을 수행하였다. 일차 사지 (initial limb)를 랜덤 선택하였다. 편심성 운동 직후, 2차 혈액 샘플을 취하고, 다시 등척성 근력을 측정하였다. 개체를 60분간 바르게 누워있게 하였다. 편심성 운동 코스 후 30분 및 60분째에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운동 후 1시간 경과시, 상완 둘레, 움직임 범위 및 통증을 다시 평가하였다.
개체는, 편심성 운동 코스 이후 24, 48 및 72시간째에, 채혈 및 상완 둘레, 움직임 범위 및 통증 평가를 위해, 재검사하였으며, 그런 후 등척성 근력을 측정하였다. 21일간의 워시 아웃 기간을 둔 후, 기존 복용물과 다른 보충제를 투여하는 (즉, 기존에 위약을 복용한 개체는 2차 시기에는 프로바이오틱을 복용하며, 그 역도 실시함) 실험 프로토콜을 반대쪽 팔을 사용해 반복 실시하였다.
3.1 등척성 피크 (isometric peak)
팔꿈치 굴근의 최대 자발적인 등척성 피크 토크 (maximal voluntary isometric peak torque)를 등속성 동력계 (isokinetic dynamometer) (Biodex System 3, Shirley, NY, USA)에서 관절 각도 90°에서 측정하였다. 최대 등척성 토크를 측정하기 전에, 개체들은 2가지 속도 (각각 90°s-1 및 60°s- 1)로 60°에서 180°까지 3번 반복하는 2세트를 세트 당 30초의 휴지기를 두고 웜-업으로 수행하게 하였다. 그런 후, 개체들은 팔꿈치 굴근의 최대 등척성 토크 테스트 2회를 수행하였으며, 테스트 사이에 30초의 휴지기를 두고 각각 4초 수행하였다. 최대 효과 달성을 응원하기 위해, 구두 격려 (verbal encouragement) 뿐만 아니라 실시간 파워 디스플레이를 운동하는 내내 제공하였다.
3.2 편심성 운동 프로토콜
웜-업 및 등척성 근력 측정 후, 개체들이 30°x s-1의 속도로 편심성 수축 (강제된 신장) 10회로 구성된 세트 5개를 수행하게 하였다. 60°에서 180°까지 각 강제된 편심성 수축 수행 후, 연구 요원이 팔을 10° s-1 (12초) 속도로 시작 위치로 다시 복귀시켜, 개체에 의한 동심성 수축 (concentric contraction)은 수행하지 않았다. 세트들은 1분 간격을 두었으며, 운동하는 내내 개체들을 격려하였다. 동일 개체가 참여하는 모든 실험에 동일한 연구 기술자들을 배정하였다.
3.3 혈액 검사
편심성 운동 코스 당일에,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해 개체를 반듯이 눕게 하였다. 표준 회수 시술에 따라 부위를 살균하고, 전주와 정맥에 카테터 (BD Biosciences, San Jose, CA, USA)를 삽입하고, 여러번의 채혈을 위해 마개로 밀폐하였다. 카테터는 채취 부위에 주사되는 0.9% 염화나트륨 (G-Biosciences, St. Louis, MO, USA) 2-3 ml을 플럭싱 (fluxing)함으로써 페이턴트 (patent)로 유지시켰다.
카테터를 통해 각각 채혈하기 전에, 3 mL Vacutainer (BD Biosciences, San Jose, CA, USA)를 사용해 폐기할 샘플을 채취하였다. 혈액 샘플은 테스트 조성물 투여 개시 전과 편심성 운동 코스 수행 전 21일 후에 채취한다. 그런 후, 운동 직후와 그 후 30분 및 60분 경과시 혈액을 채혈하였다. 혈액 샘플은 또한 운동 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째에 채혈하였다. 혈액 샘플은 10 mL EDTA 관 (BD Biosciences, San Jose, CA, USA)에 수집하였다.
혈액 샘플을 수집 후 30분까지 냉동 원심분리기 (4℃)에서 20분간 2000x 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그런 후, 혈장 분액을 즉시 이동시켜, 향후 분석할 때까지 -8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혈장 샘플은 인간 IL-6 고 민감성 ELISA 키트 (R & 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사용해 IL-6 농도를 분석하였다. 본 검사의 검출 범위는 0.156 pg. mL1 내지 10 pg. pg. mL1이었다. 각 검사의 분석내 또는 분석간 변동 계수는 10% 미만이었다.
3.4 데이타 제시 및 변환
원 데이타는 평균 및 표준편차로 제시된다. 시각적인 아날로그 스케일 데이타를 제외한 모든 데이타는 오차의 불균일성을 대처하기 위해 분석 전에 로그-변환하였다. 치료 효과 및 치료 x 성과 시간을 혼합 모델 분산 분석 (mixed-model analysis of variance)으로 평가하였으며 (Proc Mixed, SAS 9.4, Cary, NC, USA), 개체는 임의 요인 (random effect)으로 하였다. 로그-변환 분석의 추정값은 역 로그-변환된 최소-제곱 평균 (back log-transformed least-squares mean) 또는 불확실성 (uncertainty)을 가진 조정된 기하 평균 (adjusted geometric mean)으로서 제시하였다 (90% 신뢰 구간, CI).
3.5 통계학적 추론
추론과 관련하여, 크기에 기반한 방식 (magnitude-based approach)을 사용하였다. 실험 모델에서의 성능을 실제 성능 파워로 수치로 나타내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원리 증명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 설계로서 등척성 토크가 이용된다. 이에, 표준화된 최소 차이 (smallest standardized difference)는 일차 및 관련 기계적 결과에 대한 최소한의 주요 변화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사례에서, 최소 변화에 대한 크기 역치는 Glass' d 표준화된 차이 (Glass' d standardized difference)였다 (0.2 x 대조군 조건에서의 베이스라인 SD).
대비 (contrast)가 상대 역치 보다 적어도 높을 가능성은, 낮을 경우 25%-75%, 중간 수준일 경우 75%-95% 및 높을 경우 95%-99.5%이었으며, 거의 확실한 경우는 >99.5%였다. 신뢰 구간 (IC)의 대부분 (>50%)이 파지티브 및 네거티브 실질성 (positive and negative substantiality)의 임계치 사이에 있을 경우, 효과는 사소한 것 (무시가능한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용어 유익, 사소 및 유해는 최소 효과 역치에 대한 가장 가능성 높은 지향성 결과 (most likely directional result)이다. 용어 불명확은 가능성이 유익 및 손상 둘다에서 5% 보다 큰 결과를 의미한다.
3.6 등척성 피크 토크
21일 섭취 후, 평균 피크 토크는 위약과 비교해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한 후 유의하게 낮았다 (13.8%; 90% CI 25.4, 3.3%) (도 5A). 운동 수행력 저하는 양쪽 경우 모두에서 운동 후 관찰되어, 손상-유발 프로토콜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는, 운동 전과 비교해, 유해한 신체적 활동 후 24시간 및 72시간째에 최대 평균 등척성 토크 발휘를 유의하게 강화하였다 (도 5B. 프로바이오틱-위약 효과 및 90% CI, 가능성 % 유익/사소/유해:
24 h, 11% 90% CI 17.4%, 92.5 / 7.4 / 048;
48 h, 12% 90% CI 19.55%, 96.5 / 3.5 / 0;
72 h, 8% 90% CI 15.0%, 77.3 / 22.4 / 0.3).
도 5a는 편심성 운동 부하 전 및 부하 후 72시간 동안 평균 등척성 피크에 대한 프로바이오틱스 및 위약의 21일 투여 효과를 보여준다. 도 5b는 기저 수치 (편심성 운동 전)에 대한 조정된 스코어와의 프로바이오틱-위약 차이를 도시한다. 도 5a의 데이타는 원 평균 및 SD이다. 도 5b의 데이타는 위약 퍼센트로서 프로바이오틱-위약 효과와 혼합 모델 분산 분석으로부터 수득된 90% 신뢰 구간이다.
가로 점선은 표준화된 차이의 최소 역치 (+ 4.5%)이고, 실질적인 변화 가능성은 ** = 가능성 있음; *** = 가능성 높음으로 표시되는 콘트라스트 위에 나타내며; * 표시가 없는 결과는 결론에 이르지 못함 또는 불명확을 의미한다.
4. 고찰
본 실험의 주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를 21일간 투여하면 근육 손상을 야기하거나 또는 야기할 수 있는 운동 코스를 수행한 이후의 운동 수행력 저하를 줄여준다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의 투여는 위약과 비교해 휴지기 팔의 각도를 더 크게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의 투여가 실질적으로 위약과 비교해 24시간 및 48시간에 휴지기 팔의 각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IL-6 농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를 21일간 투여한 후 감소되는 반면, 위약 투여시에는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실험의 데이타는, 편심성 수축 신장 후 수일간의 회복 시기 동안에 위약과 비교해 보다 우수한 등척성 피크 토크가 관찰되었으므로, 프로바이오틱 투여가, 동시적인 단백질 투여없이도, 근육 성능 저하를 줄인다는 것을, 입증해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프로바이틱스의 단독 투여가 근육 성능의 저하를 감소시킴을 최초로 입증하였다.
도 1, 2, 3 및 4를 특히 참조한다.
팔꿈치의 등척성 구부리기를 수행하는 동안에 피크 토크의 변화 % (도 1), 평균 피크 토크 (도 2) 및 체중 대비 평균 피크 토크 (도 3)를 아래에 도시한다. 실질적인 최소 변화에 대한 역치를 0.2 x 베이스라인 SDbetween로서 계산하였다. 가능성은 위약 (PLA)을 기준으로 기호 (+)로 발생 증가로 표시한다: + 잠재적임, ++ 가능성 있음, +++ 가능성 높음, ++++ 가능성 매우 높음. 모든 데이타는 평균이다.
파워 발생력 측면에서 약 30%의 감소는 필요한 반응을 자극하는 근육-손상 프로토콜의 효과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테스트 조성물을 보충하면, 집중적인 운동 코스 후 24시간에 근육-손상성 운동 후 관찰되는 운동 수행력 저하가 감소되었다 (p=0.199) (도 1). 평균 피크 토크에서, 24시간 (p=0.111), 48시간 (p=0.046) 및 72시간 (p=0.194)에 유익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마찬가지로, 체중 대비 평균 피크 토크 역시 테스트 조성물 보충시 24시간 (p=0.117), 48시간 (p=0.050) 및 72시간 (p=0.198)에 유익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집중적인 근육-손상성 운동 코스 이후에 IL-6 변화를 통해 염증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인 염증성 반응을 낮추는 테스트 조성물의 효과로 인해, 보충 기간 이전에 베이스라인에서 IL-6를 조사하였다. 실제, 위약 투여 후 증가 (24%)되는 경우와 비교해,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 균주를 투여받은 개체에서 베이스라인으로부터의 변화%의 감소 (-10%)가 관찰된 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Z 16604)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Z 18616) 박테리아 균주의 섭취시 IL-6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위약과 프로바이오틱스 투여군 간에 IL-6의 변화% 차이 (콘트라스트) 가능성은 근육-손상성 운동 후 30분 (p = 0.054), 60분 (p = 0.056) 및 48시간 (p = 0.124) 시점에 존재하지만, 24시간 이후에는 가능성이 없었다 (p = 0.015)
5. 결론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를 21일간 건강한 저항성-훈련한 개체에게 투여하면, 근육-손상성 운동 코스 후 성능 저하 및 움직임 범위 감소가 약화된다. 이러한 데이타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바이오틱스의 경구 투여가 심지어 훈련받지 않은 또는 충분히 훈련받지 않은 개체에서 집중적인 신체적 노동 후 성능을 복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전술한 바로부터, 적어도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 및 적어도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예로 이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근육-손상성 운동 후 관찰된 성능 저하를 약화시킨다는 결과가 도출된다. 이러한 효과는 섭취 후 IL-6 저하에 의해 검증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염증 저하로 인한 것이다.
운동 수행력 관점에서 살펴보면, 고강도의 훈련 코스에 참여하는 운동 선수들은 면역 시스템의 감염 퇴치 능력이 약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는, 유익하게는, 1) 전체적인 면역 반응의 개선, 따라서 2) 훈련 중에 운동 수행력 강화, 그로 인한 3) 우수한 경쟁력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인 박테리아 선택 균주의 섭취시 본 파일롯 실험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염증 반응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수득된 결과들은 부가적인 건강하고 긍정적인 효과들을 수반한다. 높은 IL-6는 비만-관련 질환들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만성 염증성 병태들에서 관찰된다.
DSMZ-German Collection of Microorganisms and Cell Cultures DSM16604 20040720 DSMZ-German Collection of Microorganisms and Cell Cultures DSM18616 20060913

Claims (16)

  1. 운동 후 운동 수행력 (performance) 저하를 약화, 완화 또는 제거하기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비-치료학적인 용도 (non-therapeutic use)로서,
    상기 용도가 상기 운동을 수행한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치료학적인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가 DSMZ에 DSM 16604로 기탁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박테리아 균주이고, 및/또는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가 DSMZ에 DSM 18616으로 기탁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박테리아 균주인, 비-치료학적인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가 1x106 내지 1x1011, 바람직하게는 1x107 내지 1x10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x108 내지 1x109 CFU/g를 포함하는 농도로 존재하는, 비-치료학적인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가 1:1, 또는 2:1, 또는 3:1, 또는 4:1, 또는 1:2, 또는 1:3, 또는 1:4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비-치료학적인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 16604)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 18616) 박테리아 균주가, 바람직하게는, 1:1 중량비로,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균주가 5 x 109 CFU/g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비-치료학적인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훈련 및 스포츠 수행시 상기 운동을 향상시키는, 비-치료학적인 용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이, 일반적으로 근육 섬유를 손상시키거나 및/또는 근육 손상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는 효과를 발생시키는, 심지어 집중적인 장기간의 활동, 바람직하게는 스포츠 활동인, 비-치료학적인 용도.
  8. 근육통 (muscular pain), 근통증 (muscle soreness), 근육 염증, 근육 피로 및/또는 근육 퇴행의 근치적 치료 및/또는 예방적 치료, 근육 에너지량 증가 및 기능 결핍 개체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향상에 사용하기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박테리아 균주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가 DSMZ에 DSM 16604로 기탁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박테리아 균주이고, 및/또는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가 DSMZ에 DSM 18616으로 기탁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박테리아 균주인,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종에 속하는 박테리아 균주가 1x106 내지 1x1011, 바람직하게는 1x107 내지 1x10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x108 내지 1x109 CFU/g를 포함하는 농도로 존재하는, 조성물.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ifidobacterium breve)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박테리아 균주가 1:1, 또는 2:1, 또는 3:1, 또는 4:1, 또는 1:2, 또는 1:3, 또는 1:4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조성물.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 16604)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 18616) 박테리아 균주가, 바람직하게는, 1:1 중량비로,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균주가 5 x 109 CFU/g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면역계에 의한 전체적인 면역 반응을 강화하는, 조성물.
  14.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면역계에 의한 전체적인 염증 반응을 낮추는, 조성물.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Th1/Th2 밸런스를 Th2 반응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조성물.
  16.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 BR03 (DSM 16604) 및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FP4 (DSM 18616) 박테리아 균주를, 1:1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균주를 5 x 109 CFU/g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87016306A 2015-11-19 2016-11-17 운동 후 수행력 저하를 줄이기 위한 박테리아 조성물 KR201800945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B2015A005752A ITUB20155752A1 (it) 2015-11-19 2015-11-19 Composizione di batteri per uso per attenuare le diminuzioni di prestazione dopo un esercizio fisico che danneggia i muscoli.
IT102015000074653 2015-11-19
PCT/IB2016/056919 WO2017085656A1 (en) 2015-11-19 2016-11-17 Bacterial composition for use in attenuating the decline in performance after exerci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511A true KR20180094511A (ko) 2018-08-23

Family

ID=5544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306A KR20180094511A (ko) 2015-11-19 2016-11-17 운동 후 수행력 저하를 줄이기 위한 박테리아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191792B2 (ko)
EP (1) EP3377081A1 (ko)
JP (1) JP6965259B2 (ko)
KR (1) KR20180094511A (ko)
CN (1) CN108430484A (ko)
AU (1) AU2016356324B2 (ko)
BR (1) BR112018009396B1 (ko)
CA (1) CA3004486A1 (ko)
HK (1) HK1254884A1 (ko)
IT (1) ITUB20155752A1 (ko)
RU (1) RU2722270C2 (ko)
WO (1) WO20170856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737A (ko) 2019-08-09 2021-02-17 조유진 낯선사람을 감지해 녹화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3469B2 (ja) * 2017-10-31 2022-12-20 森永乳業株式会社 筋肉増量用組成物
CA3196165A1 (en) * 2020-09-23 2022-03-31 Megmilk Snow Brand Co., Ltd. Muscle atrophy prevention agent
CN117503804A (zh) 2022-07-29 2024-02-06 生展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嗜热链球菌st7发酵物组合物用于提升运动表现及减缓肌少症的用途
CN117551587A (zh) * 2023-12-22 2024-02-13 北京科拓恒通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促进运动后恢复或增强运动能力的两歧双歧杆菌bf-01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09427B1 (it) 1999-05-28 2002-01-23 Mendes S U R L Composizione dietetica o farmaceutica utile per la prevenzione o iltrattamento dell'iperossaluria e suo uso
IT1398553B1 (it) * 2010-03-08 2013-03-01 Probiotical Spa Composizione comprendente batteri probiotici per il trattamento di patologie associate con le alterazioni del sistema immunitario.
AU2015100928A4 (en) * 2014-05-21 2015-10-15 Medlab Ip Pty Ltd Probiotic combinations and uses thereof
CN104996992A (zh) * 2015-04-10 2015-10-28 劲膳美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肌肉衰减综合征医学配方食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737A (ko) 2019-08-09 2021-02-17 조유진 낯선사람을 감지해 녹화기능을 수행하는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54884A1 (zh) 2019-07-26
US11191792B2 (en) 2021-12-07
RU2722270C2 (ru) 2020-05-28
CN108430484A (zh) 2018-08-21
AU2016356324B2 (en) 2023-08-10
BR112018009396A8 (pt) 2019-02-26
BR112018009396A2 (pt) 2018-11-13
EP3377081A1 (en) 2018-09-26
ITUB20155752A1 (it) 2017-05-19
AU2016356324A1 (en) 2018-05-17
JP2018538369A (ja) 2018-12-27
RU2018121974A3 (ko) 2019-12-19
CA3004486A1 (en) 2017-05-26
JP6965259B2 (ja) 2021-11-10
RU2018121974A (ru) 2019-12-19
WO2017085656A1 (en) 2017-05-26
BR112018009396B1 (pt) 2021-12-07
US20180318363A1 (en)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4511A (ko) 운동 후 수행력 저하를 줄이기 위한 박테리아 조성물
Li et al. Effect of cinnamon essential oil on gut microbiota in the mouse model of dextran sodium sulfate‐induced colitis
Clifford et al. The effects of beetroot juice supplementation on indices of muscle damage following eccentric exercise
Jackman et al. Branched-chain amino acid ingestion can ameliorate soreness from eccentric exercise
van Hemert et al. Migraine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disorder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clinical implications
Shimomura et al. Branched-chain amino acid supplementation before squat exercise and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MacIntosh et al. Effect of small intestinal nutrient infusion on appetite, gastrointestinal hormone release, and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in young and older men
McKendry et al. Muscle mass loss in the older critically ill population: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ies
Wang et al. Electroacupuncture preserves intestinal barrier integrity through modulating the gut microbiota in DSS-induced chronic colitis
Ghiasi et al. Swim training improves HOMA-IR in type 2 diabetes induced by high fat diet and low dose of streptozotocin in male rats
Lopetuso et al. Gelatin tannate and tyndallized probiotics: a novel approach for treatment of diarrhea.
CN110636760B (zh) 肠道健康促进组合物
ES2694567T3 (es) Producción y uso de histamina bacteriana
Perez et al. Dyspepsia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insights and treatment considerations
Park et al. Lactobacillus rhamnosus GG reverses insulin resistance but does not block its onset in diet-induced obese mice
Lim Effects of branched-chain amino acid supplement on knee peak torque and indicators of muscle damage following isokinetic exercise-induced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El‐Serag et al. Obesity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razi et al. Resistance exercise on two consecutive days induces cortisol, CK, IgA responses in active young males
Difranco et al. A combination of cherry juice and cold water immersion does not enhance marathon recovery compared to either treatment in isolation: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Shaabani et al. The effect of four weeks continuous aerobic training on liver transaminases and glycemic markers in women with type ii diabetes
WO2012060783A1 (en) THE USE OF β-D-GLUCAN TO REDUCE THE ADVERSE EFFECT OF THE IMMUNE RESPONSE DEPRESSION INDUCED BY EXCESSIVE PHYSICAL EXERCISE
Lembo et a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nd CBT in gastroenterology
Kim et al. The Effect of Open and Close 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Muscle Activity of Pectoralis Major and Triceps
Barenie The Effects of Pasture-Raised Versus Conventional Whey Protein Supplementation on Vascular Function and Markers of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in Resistance-Trained Individuals
You et al. Effects of fermented Ssanghwatang on swimming capacity in m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