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749A -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749A
KR20180093749A KR1020170023155A KR20170023155A KR20180093749A KR 20180093749 A KR20180093749 A KR 20180093749A KR 1020170023155 A KR1020170023155 A KR 1020170023155A KR 20170023155 A KR20170023155 A KR 20170023155A KR 20180093749 A KR20180093749 A KR 20180093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raw material
waste gas
waste plastic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7192B1 (ko
Inventor
곽재경
유영미
김동수
방창진
Original Assignee
곽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재경 filed Critical 곽재경
Publication of KR2018009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2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plastics, e.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폐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원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원료로부터 생성되는 기체를 응축하여 1차오일을 생성하는 응축부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 및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되지 않은 폐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부에서의 상기 폐가스의 연소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생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Energy production system using waste gas generated from waste plastic emulsification proces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을 가열, 열분해 하여 오일을 생산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에서, 폐플라스틱의 유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하여 오일 외에 온수, 온풍, 및/또는 전기 등과 같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사용하거나,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재생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화학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종래의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은, 고체상태인 폐플라스틱을 분쇄기를 통해 파쇄하고 열을 가하는 가열로와 가스분류조 등으로 구성되어, 분쇄된 폐플라스틱을 용융한 후 열분해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는 경우, 원료(즉, 폐플라스틱)를 가열하여 이를 각종 유기가스(기체)로 기화시킨 후, 상기 기체를 종류별로 응축하며 액화시킴으로써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오일을 생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체가 응축되는 과정에서 미처 응축되지 못한 기체(이하, 폐가스라 함)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응축 전 상기 폐플라스틱이 가열되어 감융 및/또는 용융되는 과정에서도 기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충분한 온도에서 상기 원료가 용융되기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응축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상기 기체를 응축한 후, 최종적으로 오일을 생산/배출하기 전 단계인 1차 오일을 정제하는 과정에서도 상기 폐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처음 기화된 기체를 응축하여 생성된 1차 오일을 소정의 오일 탱크에 저장하였다가, 저장된 상기 1차 오일을 가열, 응축하는 과정을 거쳐 정제된 오일을 생산할 수 있는데, 이때 정제과정 중에서도 미처 응축되지 않은 폐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처럼 응축되기 전, 또는 미처 응축되지 못한 폐가스를 단순히 그냥 배출하거나, 또는 스크러버 등과 같은 소정의 정제 시스템을 통해 오염물질을 걸러내고 배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폐가스는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기가스로, 이를 그냥 배출하게 되면 환경오염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 또한 이러한 폐가스를 연소시키면서 열 에너지를 획득할 수 있어 이를 활용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폐플라스틱의 유화 공정 중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 생산된 에너지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026202, "폐플라스틱용 열분해 유화장치")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폐플라스틱의 유화 공정 중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폐가스를 별도의 연소부를 통해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 건조, 및/또는 발전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폐플라스틱(원료)이 가열되어 용융되는 공정, 원료가 기화된 기체를 응축하여 1차 오일을 생산하는 공정, 및/또는 1차 오일을 정제하여 최종적으로 오일을 생산하는 공정 등 각각의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폐가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폐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원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원료로부터 생성되는 기체를 응축하여 1차오일을 생성하는 응축부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 및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되지 않은 폐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부에서의 상기 폐가스의 연소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생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상기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상기 폐가스를 이용하여 온풍을 생성하는 온풍장치, 또는 상기 연소부에서 폐가스의 연소를 이용하여 발전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은, 연료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상기 연료로부터 철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마그네틱 드럼, 및 상기 마그네틱 드럼으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원료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온풍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온풍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원료를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상기 발전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의 구동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원료를 감융시켜 연화하는 감융장치, 및 감융된 원료로부터 기체를 분리하여 상기 응축부로 공급하는 용융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상기 감융장치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더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은, 상기 1차오일을 정제하여 오일을 생산하는 정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상기 정제부에 의한 정제과정 중 발생하는 2차 폐가스를 더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또한,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상기 연소부로부터 가열된 공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블로워, 및 상기 가열된 공기를 정제하기 위한 스크러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방법은,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에서 원료가 가열되는 제1공정, 가열된 원료로부터 생성되는 기체를 응축하여 1차 오일이 생성되는 제2공정, 및 상기 제2공정에서 응축되지 않은 폐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제3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공정은, 상기 폐가스의 연소를 이용하여 온풍을 생산하는 제4공정, 또는 상기 폐가스의 연소를 이용하여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제5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폐플라스틱의 유화 공정 중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되, 상기 폐가스를 별도의 연소부를 통해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 건조, 및/또는 발전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플라스틱(원료)이 가열되어 용융되는 공정, 원료가 기화된 기체를 응축하여 1차 오일을 생산하는 공정, 및/또는 1차 오일을 정제하여 최종적으로 오일을 생산하는 공정 등 각각의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폐가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으로부터 에너지 생산 시스템으로 폐가스가 공급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생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으로부터 에너지 생산 시스템으로 폐가스가 공급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전처리부(110), 가열부(120), 응축부(130), 및/또는 정제부(140)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 및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으로부터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생산 시스템(2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200)은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에 의해 발생하는 폐가스를 공급받아 연소시키면서 열 에너지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온수, 온풍, 전기 등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200)의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에서 폐플라스틱이 유화되는 과정과, 상기 폐플라스틱이 유화되는 과정에서 폐가스가 발생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원료(폐플라스틱이 포함된 원료)는 상기 전처리부(110)를 통해 분쇄되고, 철 성분의 이물질을 제거한 뒤,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부(120)로 투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전처리부(110)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처리부(110)는 고체상태의 상기 원료(폐플라스틱이 포함된 원료)를 분쇄하여, 분쇄된 원료가 마그네틱 드럼(112)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마그네틱 드럼(112)에서 플라스틱 성분이 아닌, 철 성분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마그네틱 드럼(112)에서 철 성분의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원료는 건조장치(113)로 이송되어 습기가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건조장치(113)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200)에 의해 생산되는 온풍을 이용하여 상기 원료를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연속 공정 중 상기 원료에 공기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원료의 이송로에 질소를 채워 산소를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원료의 이송과정 중 공기가 접촉되거나 산소의 비율이 높은 경우, 후술할 상기 가열부(120)를 통해 상기 원료가 가열되면 폭발의 위험이 있어, 상기 이송로에서의 공기층(산소)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처럼 상기 전처리부(110)에 의해 분쇄되고 이물질이 제거되며 건조된 상태의 상기 원료가 가열부(120)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가열부(120)는 서로 다른 온도구간을 가지는 두 번의 공정을 통해 상기 원료를 가열함으로써, 원료의 감융/용융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120)는 감융장치(121) 및 용융장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융장치(121) 및 상기 용융장치(122)는 각각 서로 다른 온도구간을 가지며 상기 원료를 가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감융장치(121)의 온도구간-제1온도구간-에 비해 상기 용융장치(122)의 온도구간-제2온도구간-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2온도구간이 상기 제1온도구간에 비해 높은 온도를 가진다고 함은, 상기 제1온도구간 전체의 평균 온도에 비해 상기 제2온도구간 전체의 평균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온도구간의 전체 구간이 상기 제1온도구간 중 최고온도구간에 비해 반드시 항상 높은 온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온도구간 전체의 평균 온도는 상기 제1온도구간 전체의 평균 온도에 비해 높을 수 있으나, 상기 제2온도구간 중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제1온도구간 중 일부 구간의 온도와 동일 또는 유사한 온도를 가질 수도 있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2온도구간 중 일부 구간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구간의 일부 구간에 비해 낮은 온도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온도구간은 약 50℃ 내지 약 300℃ 사이의 온도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온도구간은 약 250℃ 내지 약 700℃ 사이의 온도범위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온도구간 및 상기 제2온도구간은 전체적인 평균온도에서 상기 제2온도구간이 상기 제1온도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일 수 있으나, 각 온도구간의 일부분은 서로 중첩되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구간은 적어도 250℃ 이상의 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최고온도 구간에서 약 700℃까지 가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온도구간에서의 최저온도 구간은 약 260℃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온도구간으로 가열되는 상기 용융장치(122)의 초입부는, 상기 감융장치(121)의 말단부에서 감융되던 원료가 투입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용융장치(122)의 초입부는 상기 감융장치(121)의 말단부(즉, 제1온도구간의 최고온도 구간)와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낮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감융이라 함은, 고체상태인 원료가 가열되어 연화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용융이라 함은 상기 감융된(연화된) 원료를 다시 가열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융장치(121)에서 감융된 원료가 상기 용융장치(122)로 이송되어 용융되는 경우, 상기 용융장치(122)는 상기 감융장치(121)에 비해 서로 다른 온도구간(예컨대,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용융된 원료는 상기 감융장치(121) 내의 원료보다 상대적으로 보다 연화가 진행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융장치(122)에서 발생하는 기체는 상기 응축부(130)로 이송될 수 있으나, 상기 원료가 상기 용융장치(122)로 이송되기 전 상기 감융장치(121)에서도 감융되는 원료로부터 기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이처럼 비교적 낮은 온도구간에서 원료가 감융되면서 상기 감융장치(121)로부터 발생하는 기체 역시, 상기 폐가스로 분류하여 도 2에 도시된 이송라인 b를 통해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200)으로 이송시켜, 상기 폐가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감융장치(121)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는 상기 원료가 충분한 온도에서 용융되기 전, 비교적 낮은 온도구간에서 감융되면서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용융장치(122)에서 발생하는 기체에 비해 불순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섞여 있거나, 응축 효율이 많이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감융장치(121)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응축하기보다는 폐가스로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응축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120) 가열되어 상기 원료가 기화된 기체를 응축하여 액화시켜 1차 오일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부(1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1차 오일은 상기 정제부(140)에 의해 정제되어, 최종적으로 오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응축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체를 응축하여 액화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응축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에 의해 상기 기체가 응축되는 과정에서, 미처 응축되지 않은 기체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응축되지 않은 기체의 경우, 이미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을 지나온 상태이기 때문에 재차 응축할 기회가 없을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상기 응축되지 않은 기체를 재차 응축하기 위한 응축기들을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비용대비 효율이 크게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을 지난 상기 응축되지 않은 기체 즉, 폐가스를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 각각에 연결된 이송라인 a를 통해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200)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제부(140)는, 상기 응축부(130)로부터 응축된 상기 1차 오일을 정제하여 최종적으로 오일을 생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정제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탱크, 및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이송되는 기체를 응축하여 오일을 생산하는 정제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탱크는 저장된 상기 1차 오일을 가열하기 위한 소정의 가열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제 응축기에서도 미처 응축되지 않고 남은 기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제부(140)에서 상기 정제 응축기에 의해 미처 응축되지 않은 폐가스가 이송라인 c를 통해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200)으로 이송되어 에너지 생산에 이용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에서 폐플라스틱(원료)를 가열, 감융시키는 가열공정과, 상기 원료가 가열되어 기화된 기체를 응축, 1차 오일을 생산하는 응축공정, 그리고 상기 1차 오일을 정제하는 정제 공정에서 각각 발생하는 폐가스가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200)으로 이송되어 에너지 생산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되는 각 공정으로부터 이송되는 폐가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20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생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에 포함되는 에너지 생산 시스템(200)은, 연소부(210), 온풍장치(221), 및/또는 발전장치(2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소부(210)는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으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폐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산부(220)는 상기 연소부(210)에서 상기 폐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생산부(220)는 상기 연소부(210)를 통해 상기 폐가스를 연소하면서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온수를 이용하여 각종 에너지들을 생산할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온수를 반드시 생성하지 않고 상기 폐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각종 에너지들을 생산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에너지는 상기 온풍장치(221)에 의해 생성되는 온풍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온풍은 상기 연소부(210)에서 상기 폐가스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가열된 공기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폐가스를 연소시키면서 생성되는 온수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를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처럼 가열된 공기가 상기 온풍장치(221)에 의해 온풍이 필요한 장소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온풍장치(221)는 공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블로워(미도시)를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생산된 상기 온수는 상기 온풍의 생성을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온수를 이용하여 발전되는 발전장치(222)에 이용될 수도 있지만, 상기 온수 자체가 온수가 필요한 소정의 장치 및/또는 시스템(예컨대, 보일러 등)으로 공급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온풍장치(221)에 의해 생성된 온풍은 전술한 상기 전처리부(110) 특히, 상기 건조장치(113)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장치(113)는 상기 온풍장치(221)에 의해 생성되는 온풍을 이용하여 상기 원료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원료의 건조를 위해 별도의 건조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폐플라스틱의 유화 공정 과정을 통해 상기 원료를 온풍 건조시킬 수 있어 비용의 절감은 물론 공정의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온풍장치(221)에 의해 생성된 상기 온풍은 소정의 공간의 난방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온풍장치(221)에 의해 생성된 온풍 중 일부는 상기 원료의 건조를 위해 상기 건조장치(113)으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난방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에너지는 상기 발전장치(222)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발전장치(222)는 상기 생산부(220)에 의해 생산된 온수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온수발전기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온수발전에 사용되는 중온수는 대략 90℃ 내지 120℃의 온도를 가지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생산부(220)에 의해 생성되는 온수는 약 85℃ 내지 95℃의 온도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상기 발전장치(222)에 의해 생산된 전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발전장치(222)에 의해 생산된 전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의 적어도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이 폐플라스틱을 유화시켜 오일을 생산하면서,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200)이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해 에너지(전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이 구동될 수 있는 일종의 순환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소정의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전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나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열부(120)는 서로 다른 온도구간을 가지는 상기 감융장치(121) 및 상기 용융장치(122)를 이용하여 상기 원료를 단계별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원료의 급격한 탄화를 방지하고 보다 효율적인 감융/용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열부(120)에 포함되는 상기 감융장치(121)는 전술한 상기 전처리부(110)로부터 이송되어 일 단부에 투입되는 상기 원료가, 상기 감융장치(121)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타 단부로 이송되면서 감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융장치(121)는 제1온도구간에 따라 내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원료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구간은 고체상태의 상기 원료가 감융(즉, 연화)될 수 있을 정도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온도구간은 상기 원료가 감융될 수 있을 정도의 온도를 가지지만, 감융된 원료가 기화되지는 않을 정도의 온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온도구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융장치(121)로 상기 원료가 투입되는 초입구간으로부터 이송방향을 따라 감융된 원료가 배출되는 말단구간으로 갈수록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구간은, 예컨대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감융장치(121)를 적어도 두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각의 구간 별로 온도에 차이를 두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융장치(121)를 상기 초입구간과 상기 말단구간의 두 구간으로 구분하는 경우, 상기 초입구간에서의 온도는 상기 말단구간에서의 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융장치(121)를 구분하는 상기 구간이 3구간 이상의 복수의 구간들로 구분되는 경우에도, 상기 초입구간측 일단에서 상기 말단구간의 타단으로 갈수록 높은 온도로 상기 원료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감융장치(121)가 이송방향을 따라 구간별로 온도차이를 가지는 것은 보다 효율적인 감융을 위해 필요한 구성일 수 있다. 고체상태의 원료를 급격히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경우, 상기 원료가 감융되기 전에 탄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상기 감융장치(121)에서 상기 초입구간으로부터 상기 말단구간으로 갈수록 높은 온도로 상기 원료를 가열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온도구간은 최저온도 구간이 약 50℃에서, 최고온도 구간이 약 300℃가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초입구간에서는 약 50℃의 온도로 상기 원료를 가열하고, 상기 말단구간에서는 약 300℃의 온도로 상기 원료를 가열하여 상기 원료가 상기 감융장치(121) 내에서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되면서 점차적으로 감융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융장치(121)로부터 감융된 원료가 이송되어 상기 용융장치(122)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용융장치(122)는 상기 감융장치(121)의 상기 제1온도구간에 비해 높은 온도를 가지는, 제2온도구간으로 상기 감융된 원료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구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약 250℃ 이상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온도구간에서의 최저온도 구간은 약 300℃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융장치(122)는 이처럼 상기 제1온도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인 상기 제2온도구간으로 상기 감융된 원료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원료를 기화시켜 기체를 생성할 수 있다.
기화된 원료는 기체상태로 상기 응축부(130)로 배출되며, 상기 응축부(130)에서 응축되면서 액화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오일이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융장치(122)는 상기 감융장치(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제2온도구간을 가짐으로써, 상기 원료가 상기 감융장치(121) 내부에 비해 보다 용융되어 더 연화된 상태일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원료가 기체로 기화되어 유기가스가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용융장치(122) 내부에서 용융된 원료는 상기 용융장치(122)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가열, 기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료의 양이나 이송속도에 따라 상기 용융장치(122)의 초입구간으로부터 상기 용융장치(122)의 말단구간까지 상기 원료가 이송되면서 미처 기화되지 못하거나 용융되지 못한 원료가 남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용융장치(122) 내부에서 용융되는 원료가 일정 구간에서 왕복하면서 재차 가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료가 미처 기화되지 못하거나 용융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융장치(122)에서 상기 원료가 기화되고 남은 찌꺼기는 슬러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용융장치(122) 역시 전술한 상기 감융장치(12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구간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융장치(122)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료를 이송시키는 상기 스크류(20)의 일 단부 예컨대, 상기 용융장치(122)의 말단구간에는, 상기 스크류(20)의 방향이 나머지 구간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20)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송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융장치(122)가 3개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초입구간 및 중간구간에서의 이송방향과 말단구간에서의 이송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일 수 있다.
즉, 상기 용융장치(122) 내부에서 이송되는 원료가 상기 말단구간에 도달하면, 상기 말단구간에서 이송방향이 반대로 구현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중간구간으로 상기 원료가 되돌아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온도구간은 전술한 상기 감융장치(121)에서의 상기 제1온도구간과 같이 말단부의 온도가 가장 높도록 구현되지 않고, 중간구간에서의 온도가 가장 높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융장치(122)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구간으로 구분되는 경우, 중간구간의 온도가 초입구간 및 말단구간의 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초입구간 및 말단구간의 온도가 약 300℃이고, 상기 중간구간의 온도는 약 300℃ ~ 600℃의 온도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복수의 구간들이 3개의 구간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간들로 구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떠한 경우든 이처럼 구간별로 점차적으로 온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원료에 급격한 고온이 가해지면서 그을음이나 탄화 등의 부작용을 가급적 줄이고 원활하게 용융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융장치(122)의 경우, 말단구간에서 중간구간으로 상기 원료가 되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말단구간이 상기 중간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지도록 상기 제2온도구간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상기 말단구간에서 이송방향이 반대가 되면서, 상기 용융장치(122) 내부에서 연화된(용융된) 상기 원료들이 섞이고 요동침으로 인해 연화된 연료들의 용융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상기 오일탱크에 의해 상기 1차 오일이 가열되면서 기화된 기체를 응축하여 오일을 생산할 수도 있지만, 기화되기 전 가열된 1차 오일을 이용하여 상기 응축부(130) 즉,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에 발생할 수 있는 코킹(coking)현상을 해소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 중 제1응축기의 내부에는 상기 기체가 유입되는 다수의 기체유로들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 내부에서 기체유로들 주변에 냉수를 흘리는 방식으로 상기 기체유로들에 유입된 기체를 식혀 액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체가 액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기체유로 내에 유기물이 쌓여 상기 기체유로가 막히거나 상기 기체의 이송통로가 좁아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처럼 상기 기체유로 등 소정의 이송관 또는 파이프에 유기물 등이 응고되거나 적층되어 내부 통로가 막히거나 통로 면적이 좁아지는 현상을 분야에 따라 초킹(choking)현상, 또는 코킹(coking)현상 등으로 지칭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통틀어서 코킹현상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이러한 코킹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기체의 원활한 유입에 방해가 되는 것은 물론,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폭발할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코킹현상이 발생한 경우 해당 기체유로의 코킹현상을 해소 및/또는 완화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러한 코킹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의 탱크나 기체유로(파이프) 등을 분해하여 세정하거나, 시스템의 구동을 멈추고 별도의 세정액(예컨대, 알칼리, 산, 염소 제제 및/또는 계면활성제 등)을 유입시키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어떠한 경우든 시스템의 구동을 중단해야하기 때문에 폐플라스틱의 유화 공정에 연속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른 효율성 저하와 부대비용의 증가와 같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의 유화 공정을 중단하지 않고, 공정 중에 상기 응축부(1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1차 오일을 이용하여 상기 코킹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부(130)는 상기 전처리부(110) 및 상기 가열부(120)를 지나 이송되면서 상기 원료가 기화된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 각각은 상기 기체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로들이 각각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이 모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 중 제1응축기에만 상기 기체가 유입되어 응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응축기로 상기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응축기와 연결된 유로는 개방되고, 제2응축기로 상기 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응축기와 연결되는 유로는 단절된 상태로 폐플라스틱의 유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그러다가 상기 제1응축기 내부의 기체유로에 상기 코킹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은 상기 기체의 제1응축기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기체가 상기 제2응축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응축기를 통해서 상기 기체의 응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1응축기의 코킹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응축기에서 상기 코킹현상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상기 제1응축기의 세정을 위해 시스템의 가동을 중단할 필요가 없어 연속성 있는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가열부(120)로부터 더 이상 상기 기체가 유입되지 않는 상기 제1응축기를 분해하거나 별도의 세정액을 투입하는 등의 종래의 방식이 아닌, 폐플라스틱의 유화 공정 과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응축기의 코킹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상기 오일탱크에 저장된 상기 1차 오일이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로 공급될 수 있는 공급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코킹현상이 발생한 상기 제1응축기에 상기 1차 오일이 유입되면서 상기 1차 오일에 의해 상기 코킹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1차 오일은 상기 오일탱크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코킹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응축기로 공급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탱크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1차 오일이 가열되고, 가열된 1차 오일이 상기 제1응축기로 공급되는 것이 코킹현상 해소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 내의 기체유로에 코킹현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은 상기 기체유로의 풍압을 감지할 수 있는 유속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유속감지부(미도시)는 기체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는 소정의 센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체의 흐름은 상기 기체가 흐르는 속도 및/또는 일정 구간에 흐르는 상기 기체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유속감지부(미도시)는 상기 기체유로에 코킹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기체유로(10)의 통로 면적이 좁아지는 경우 변화하는 상기 기체유로 내부의 흐름(유속)변화에 기초하여 코킹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은 상기 유속감지부(미도시)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 각각으로 상기 기체의 유입/차단(유로의 개폐)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 내부에 위치하는 기체유로들뿐 아니라, 상기 기체가 이송되는 모든 기체유로에는 상기 코킹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 개의 응축기들뿐 아니라 모든 기체유로에서의 코킹현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체유로는 이중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체유로는 내부에 기체가 이송되는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를 둘러싸는 공간이 구비되는 이중 파이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체유로 중, 상기 이송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체가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체의 온도가 떨어지는 경우 상기 기체가 응축되면서 전술한 코킹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체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온도의 하강을 방지하고 일정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것이 코킹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용이한 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체유로가 이중 구조를 가지도록 하고, 내부의 이송로에서는 기체가 이송되도록 하며, 상기 내부의 이송로를 둘러싼 공간 즉, 상기 이중 구조 중 외측에는 일정 온도 이상을 가지는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내부의 이송로의 온도를 유지시켜, 상기 내부의 이송로를 통해 이송되는 기체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예컨대, 물(온수)이나 오일 등의 액체나 공기(온풍), 증기 등과 같이 소정의 통로를 흐를 수 있는 열매(熱媒)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매는 열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매체가 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중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100)에서 원료가 가열되는 제1공정, 가열된 원료로부터 생성되는 기체를 응축하여 1차 오일이 생성되는 제2공정, 및 상기 제2공정에서 응축되지 않은 폐가스를 연소시켜 에너지를 생산하는 제3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공정은 상기 폐가스의 연소를 이용하여 온풍을 생산하는 제4공정 또는 상기 폐가스의 연소를 이용하여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제5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폐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원료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원료로부터 생성되는 기체를 응축하여 1차오일을 생성하는 응축부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 및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되지 않은 폐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부에서의 상기 폐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생산 시스템을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상기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상기 폐가스를 이용하여 온풍을 생성하는 온풍장치; 또는
    상기 연소부에서 폐가스의 연소를 이용하여 발전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은,
    연료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상기 연료로부터 철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마그네틱 드럼; 및
    상기 마그네틱 드럼으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원료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전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온풍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온풍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원료를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상기 발전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의 구동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원료를 감융시켜 연화하는 감융장치; 및
    감융된 원료로부터 기체를 분리하여 상기 응축부로 공급하는 용융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상기 감융장치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더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은,
    상기 1차오일을 정제하여 오일을 생산하는 정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상기 정제부에 의한 정제과정 중 발생하는 2차 폐가스를 더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생산 시스템은,
    상기 연소부로부터 가열된 공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블로워; 및
    상기 가열된 공기를 정제하기 위한 스크러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8.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방법에 있어서,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에서 원료가 가열되는 제1공정;
    가열된 원료로부터 생성되는 기체를 응축하여 1차 오일이 생성되는 제2공정; 및
    상기 제2공정에서 응축되지 않은 폐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제3공정을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은,
    상기 폐가스의 연소를 이용하여 온풍을 생산하는 제4공정; 또는
    상기 폐가스의 연소를 이용하여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제5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방법.


KR1020170023155A 2017-02-13 2017-02-21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37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11 2017-02-13
KR20170019111 2017-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749A true KR20180093749A (ko) 2018-08-22
KR101937192B1 KR101937192B1 (ko) 2019-04-09

Family

ID=6345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155A KR101937192B1 (ko) 2017-02-13 2017-02-21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903B1 (ko) * 2021-03-10 2022-04-19 주식회사 케이스카이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3751A (ko) * 1999-12-01 2001-07-02 이창희 폐기물 소각열의 재활용 시스템
KR100467238B1 (ko) * 2002-04-30 2005-01-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플라스틱류에 포함된 이물질 분리 방법
KR100750647B1 (ko) * 2006-05-02 2007-08-21 주식회사 두림코리아 폐플라스틱 처리용 용융로 및 이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유화장치
KR100896112B1 (ko) * 2001-01-18 2009-05-07 독립행정법인 과학기술진흥기구 고형연료가스화 장치
KR101026202B1 (ko) 2010-10-01 2011-03-31 윤석영 폐플라스틱용 열분해 유화장치
KR20160090094A (ko) * 2015-01-21 2016-07-29 태산엔지니어링(주) 폐자원을 이용한 에너지 선순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3751A (ko) * 1999-12-01 2001-07-02 이창희 폐기물 소각열의 재활용 시스템
KR100896112B1 (ko) * 2001-01-18 2009-05-07 독립행정법인 과학기술진흥기구 고형연료가스화 장치
KR100467238B1 (ko) * 2002-04-30 2005-01-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플라스틱류에 포함된 이물질 분리 방법
KR100750647B1 (ko) * 2006-05-02 2007-08-21 주식회사 두림코리아 폐플라스틱 처리용 용융로 및 이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유화장치
KR101026202B1 (ko) 2010-10-01 2011-03-31 윤석영 폐플라스틱용 열분해 유화장치
KR20160090094A (ko) * 2015-01-21 2016-07-29 태산엔지니어링(주) 폐자원을 이용한 에너지 선순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903B1 (ko) * 2021-03-10 2022-04-19 주식회사 케이스카이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192B1 (ko)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71529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rmal exhaust gas cleaning
CN105841160B (zh) 一种有机物自供能干燥与热解、全组分资源化系统及工艺方法
CN105314812A (zh) 污泥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102165046A (zh) 从生物质生成清洁的合成气
KR100885805B1 (ko) 고효율 공냉식 유기성 폐기물 탄화로
KR20130020518A (ko) 슬러지 탄화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부생연료추출방법
EP2675755B1 (en) Ammonia stripper
KR20140028407A (ko) 슬러지 탄화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부생연료추출방법
KR101937192B1 (ko) 폐플라스틱 유화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54872B1 (ko)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KR102049894B1 (ko) 급속 고온 살균 건조 장치
CN106001050A (zh) 过热蒸汽碳化有机废弃物能源循环利用的装置和方法
US20220362686A1 (en) Ammonia Stripper Apparatus and Method
KR101780671B1 (ko) 코킹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212574A (ja) 廃棄プラスチックの油化・燃焼処理装置、及び、その油化・燃焼方法
KR101810068B1 (ko) 연속적인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200646A (zh) 焦炉煤气返露点工艺废水零排放方法
KR101857012B1 (ko) 가스의 순환을 이용한 연속적인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
CN105987386A (zh) 一种垃圾处理成套设备中的循环水冷换热系统
KR20110056896A (ko) 쓰레기 소각열을 이용한 폐품의 열분해 에너지 회수장치
CN205443018U (zh) 污泥发电系统
KR102656341B1 (ko) 폐기물의 열분해장치
US20120315094A1 (en) Method to process contaminated soil or waste in high temperature
JP6196125B2 (ja) ボイラ装置、及び炭化システム
KR100537102B1 (ko) 폐합성수지 유화장치용 가속분해 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