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609A -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609A
KR20180093609A KR1020170019938A KR20170019938A KR20180093609A KR 20180093609 A KR20180093609 A KR 20180093609A KR 1020170019938 A KR1020170019938 A KR 1020170019938A KR 20170019938 A KR20170019938 A KR 20170019938A KR 20180093609 A KR20180093609 A KR 20180093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l
store
shopping
sold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워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워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워그룹
Priority to KR1020170019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3609A/ko
Publication of KR20180093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 등으로 확장하여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시에 상품을 판매 및 소비하고 그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 정보, 상품 정보, 업체 정보, 주문 정보, 및 정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정 상품을 각 상호 간에 서로 교환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상기 마이몰, 상기 공동체몰, 상기 쇼핑공간 및 상기 점주 매장으로 확장하여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일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 상기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에 의해 온라인의 디지털 마켓에서 판매된 상품 및 오프라인의 매장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결제 처리부; 상기 스마트 결제 처리부와 연동하여 회원 관리, 몰 관리, 상품 관리, 업체 관리, 주문 관리, 및 정산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관리부; 및 상기 스마트 결제 처리부와 연동하여 오프라인의 매장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지원하고, 상기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와 연동하여 디지털 마켓팅 및 결제를 지원하기 위한 매장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DIGITAL MARKET AND PAYING SYSTEM USING SHOP FUS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품들을 판매 및 소비하고 그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팅 및 결제 공간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을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에서 동시에 판매 및 소비하고 그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생활은 매우 편리하고 윤택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세계 어느 곳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도 통신할 수 있게 되었고, 필요한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Internet)은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유무선 통신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람들은 상호 연결된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전자 메일이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Social Network Service), 문자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유무선 메신저 서비스(Wire or Wireless Messenger Service) 및 블로그(Blog)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이버 유통 서비스(전자 상거래, 경매), 사이버 금융 서비스(증권, 뱅킹) 및 사이버 교육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는데, 인터넷을 이용한 종래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서는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 상품판매업자가 상품의 판매가(소비자가)를 결정하고, 전자 상거래 시스템에 상품을 등록하여 상품이 판매되면 해당 전자 상거래 시스템이 정한 각각의 상품에 대한 수수료를 공제한 나머지를 상품판매대금으로 정산하여 지급받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상품판매업자가 결정한 상품의 소비자가를 기준으로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통해 경매, 역경매, 고정가 판매, 또는 공동 구매 등의 여러 판매 방식으로 상품의 판매가 진행되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은 다수의 판매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통하여 상품을 판매할 수는 있으나, 상품 판매 영역을 확장하여 여러 몰에서 동시에 상품을 판매 및 소비할 수 있는 방식이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상품 판매 영역을 확장하여 여러 몰에서 동시에 상품을 판매 및 소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 등으로 확장하여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함께 동일 상품을 판매 및 소비하고 그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 정보, 상품 정보, 업체 정보, 주문 정보, 및 정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정 상품을 각 상호 간에 서로 교환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상기 마이몰, 상기 공동체몰, 상기 쇼핑공간 및 상기 점주 매장으로 확장하여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일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 상기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에 의해 온라인의 디지털 마켓에서 판매된 상품 및 오프라인의 매장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결제 처리부; 상기 스마트 결제 처리부와 연동하여 회원 관리, 몰 관리, 상품 관리, 업체 관리, 주문 관리, 및 정산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관리부; 및 상기 스마트 결제 처리부와 연동하여 오프라인의 매장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지원하고, 상기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와 연동하여 디지털 마켓팅 및 결제를 지원하기 위한 매장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마켓팅 및 결제 방법에 있어서,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정 상품을 각 상호 간에 서로 교환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상기 마이몰, 상기 공동체몰, 상기 쇼핑공간 및 상기 점주 매장으로 확장하는 단계;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 및 온라인 판매 상품 및 오프라인 판매 상품에 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에,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정 상품을 각 상호 간에 서로 교환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상기 마이몰, 상기 공동체몰, 상기 쇼핑공간 및 상기 점주 매장으로 확장하는 단계;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 및 온라인 판매 상품 및 오프라인 판매 상품에 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 등으로 확장하여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함께 동일 상품을 판매 및 소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 판매자의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스마트 결제 서비스(Smart VAN Service)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장을 운영하는 상품 판매자의 수익 창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팅 및 결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의 기재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들을 단수형으로 기재하였다고 해서, 본 발명이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구성요소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를 정리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이몰이란 상품 판매자(즉, 점주)가 자신의 상품(즉, 판매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으로서, 매출 및 수익 증대를 위하여 사업자(즉, 본사) 측의 쇼핑공간, 공동체몰 및 점주 매장 측에서 지원하는 일정 상품도 마이몰에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공동체몰이란 마이몰을 운영하는 상품 판매자들이 자신의 마이몰에서 판매하고 있는 자신의 일정 상품들을 사업자 측에 올려 상품 판매자 전체가 상품을 공동으로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는 공동 온라인 공간으로서, 다른 몰에 노출시켜 판매할 수 있다. 이때, 공동체몰에서는 사업자(즉, 본사) 측의 쇼핑공간, 마이몰 및 점주 매장 측에서 지원하는 일정 상품도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쇼핑공간이란 브랜드관, 직거래 장터, 여행/레저관, 휴대폰관, 및 기타 카테고리의 상품(본사 제공 상품)들을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으로서, 마이몰 및 공동체몰과는 다른 온라인 쇼핑 공간이다. 이때, 쇼핑공간에서는 마이몰, 공동체몰 및 점주 매장 측에서 지원하는 일정 상품도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점주 매장이란 매장 단말기를 통하여 디지털 마켓과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어 매장 방문 고객에게 각종 몰 내의 온라인 상품 및 매장 내의 오프라인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공간이다. 즉, 점주 매장에서는 사업자(즉, 본사) 측의 쇼핑공간, 마이몰 및 공동체몰 측의 상품도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상점 융합이란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 등이 자신이 판매하고 있는 일정 상품을 각 상호 간에 서로 교환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 판매 영역을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 등으로 확장하여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시에 상품을 판매 및 소비할 수 있는 기법을 말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각 판매 영역들을 유기적으로 연관시켜 유통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소비자가 생산자가 되고, 생산자가 소비자가 될 수 있는 온라인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은, 회원 정보, 상품 정보, 업체 정보, 주문 정보, 및 정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10), 데이터베이스(110)와 연동하여,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정 상품을 각 상호 간에 서로 교환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으로 확장하여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함께 동일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120),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120)에 의해 온라인의 디지털 마켓에서 판매된 상품 및 오프라인의 매장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결제 처리부(130), 스마트 결제 처리부(130)와 연동하여 회원 관리, 몰 관리, 상품 관리, 업체 관리, 주문 관리, 및 정산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관리부(140), 및 스마트 결제 처리부(130)와 연동하여 오프라인의 매장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지원하고,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120)와 연동하여 디지털 마켓팅 및 결제를 지원하기 위한 매장 단말기(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10)는 상품 판매자(즉, 점주) 및 몰 이용자(즉, 회원)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마이몰, 공동체몰 및 일반 판매 몰에 등록되어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생산자 및 유통 업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품에 대한 주문 및 배송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결제 및 수수료 등의 정산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110)는 제 1 및 제 2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중화 기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120)는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마켓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스마트 결제 처리부(130)로 전달하여 결체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120)는 상품 판매자가 자신의 상품(즉, 판매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인 마이몰, 마이몰을 운영하는 상품 판매자들이 자신의 마이몰에서 판매하고 있는 자신의 일정 상품들을 사업자 측에 올려 상품 판매자 전체가 상품을 공동으로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는 공동 온라인 공간인 공동체몰, 브랜드관, 직거래 장터, 여행/레저관, 휴대폰관, 및 기타 카테고리의 상품(본사 제공 상품)들을 등록하여 판매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인 쇼핑공간, 및 일반적인 상품을 판매하는 일반 판매 몰 등을 운영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판매 몰로는 각 브랜드별 상품(삼성, LG, 테팔 등)을 판매하는 브랜드관, 각 지역의 농/축/수산물(사과, 고구마, 쌀 등)을 판매하는 직거래장터, 여행 및 레저와 관련된 서비스 상품(해외 여행, 레포츠, 호텔 예약, 티켓 예매 등)을 판매하는 여행/레저관, 및 각 통신사의 휴대폰 개통 서비스(SKT, KT, U+)를 판매하는 휴대폰관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120)는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정 상품을 각 상호 간에 서로 교환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 등으로 확장하여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시에 동일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120)는 마이몰에 등록되어 판매되는 일정 상품을 공동체몰 및 쇼핑공간에 등록하여 판매하고 점주 매장에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공동체몰에 등록되어 판매되는 일정 상품을 마이몰 및 쇼핑공간에 등록하여 판매하고 점주 매장에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쇼핑공간에 등록되어 판매되는 일정 상품을 마이몰 및 공동체몰에 등록하여 판매하고 점주 매장에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점주 매장에서 판매되는 일정 상품을 마이몰, 공동체몰 및 쇼핑공간에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 등으로 확장하여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시에 동일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120)는 제 1 및 제 2 시스템 서버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중화 기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마트 결제 처리부(130)는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120)와 연동하여 온라인의 디지털 마켓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온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매장 단말기(150)와 연동하여 오프라인의 매장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 결제 처리부(130)는 매장 단말기(150)와 연동하여 오프라인의 매장 내의 각종 결제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매장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결제 처리부(130)는 이지 페이 서비스(Easy Pay, 사이버 머니 및 간편 결제 등)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결제 처리부(130)는 스마트 밴 서버(Smart VAN Server)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운영 관리부(140)는 상품 판매자 및 몰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를 수행하고, 마이몰, 공동체몰 및 일반 판매 몰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며, 마이몰, 공동체몰 및 일반 판매 몰에 등록되어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고, 생산자 및 유통 업체를 관리하는 업체 관리를 수행하며, 상품에 대한 주문 및 배송을 관리하는 주문 관리를 수행하고, 결제 및 수수료를 관리하는 정산 관리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각종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매장 단말기(150)는 스마트 결제 처리부(130)와 연동하여 오프라인의 매장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하여 다양한 결제 처리를 지원하고,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120)와 연동하여 매장을 방문한 고객이 디지털 마켓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 자신을 통해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그 외에도 매장 운영에 필요한 각종 업무 처리(예를 들어, 결산 등)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매장 단말기(150)는 스마트 밴(Smart VAN) 단말기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카드 단말기 기능뿐만 아니라 디지털 마켓 결제 지원 기능과 이지 페이(Easy Pay) 서비스 기능 등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팅 및 결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그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팅 및 결제 방법의 처리 절차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정 상품을 각 상호 간에 서로 교환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으로 확장한다(210).
그에 따라,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시에 동일 상품을 판매한다(220).
이후, 온라인 판매 상품 및 오프라인 판매 상품에 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23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팅 및 결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데이터베이스 120 :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
130 : 스마트 결제 처리부 140 : 운영 관리부
150 : 매장 단말기

Claims (5)

  1.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 정보, 상품 정보, 업체 정보, 주문 정보, 및 정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정 상품을 각 상호 간에 서로 교환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상기 마이몰, 상기 공동체몰, 상기 쇼핑공간 및 상기 점주 매장으로 확장하여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일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
    상기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에 의해 온라인의 디지털 마켓에서 판매된 상품 및 오프라인의 매장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결제 처리부;
    상기 스마트 결제 처리부와 연동하여 회원 관리, 몰 관리, 상품 관리, 업체 관리, 주문 관리, 및 정산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 관리부; 및
    상기 스마트 결제 처리부와 연동하여 오프라인의 매장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를 지원하고, 상기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와 연동하여 디지털 마켓팅 및 결제를 지원하기 위한 매장 단말기
    를 포함하는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마켓팅 수행부는,
    상기 마이몰에 등록되어 판매되는 일정 상품을 상기 공동체몰 및 상기 쇼핑공간에 등록하여 판매하고 상기 점주 매장에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동체몰에 등록되어 판매되는 일정 상품을 상기 마이몰 및 상기 쇼핑공간에 등록하여 판매하고 상기 점주 매장에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쇼핑공간에 등록되어 판매되는 일정 상품을 상기 마이몰 및 상기 공동체몰에 등록하여 판매하고 상기 점주 매장에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점주 매장에서 판매되는 일정 상품을 상기 마이몰, 상기 공동체몰 및 상기 쇼핑공간에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상기 마이몰, 상기 공동체몰, 상기 쇼핑공간 및 상기 점주 매장으로 확장하여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
  3.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마켓팅 및 결제 방법에 있어서,
    (a)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정 상품을 각 상호 간에 서로 교환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상기 마이몰, 상기 공동체몰, 상기 쇼핑공간 및 상기 점주 매장으로 확장하는 단계;
    (b)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 및
    (c) 온라인 판매 상품 및 오프라인 판매 상품에 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마켓팅 및 결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마이몰에 등록되어 판매되는 일정 상품을 상기 공동체몰 및 상기 쇼핑공간에 등록하여 판매하고 상기 점주 매장에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동체몰에 등록되어 판매되는 일정 상품을 상기 마이몰 및 상기 쇼핑공간에 등록하여 판매하고 상기 점주 매장에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쇼핑공간에 등록되어 판매되는 일정 상품을 상기 마이몰 및 상기 공동체몰에 등록하여 판매하고 상기 점주 매장에서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점주 매장에서 판매되는 일정 상품을 상기 마이몰, 상기 공동체몰 및 상기 쇼핑공간에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상기 마이몰, 상기 공동체몰, 상기 쇼핑공간 및 상기 점주 매장으로 확장하는, 디지털 마켓팅 및 결제 방법.
  5. 프로세서를 구비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에,
    마이몰, 공동체몰, 쇼핑공간 및 점주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정 상품을 각 상호 간에 서로 교환 등록하여 판매하는 상점 융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판매 영역을 상기 마이몰, 상기 공동체몰, 상기 쇼핑공간 및 상기 점주 매장으로 확장하는 단계;
    복수의 판매 영역에서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단계; 및
    온라인 판매 상품 및 오프라인 판매 상품에 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70019938A 2017-02-14 2017-02-14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80093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938A KR20180093609A (ko) 2017-02-14 2017-02-14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938A KR20180093609A (ko) 2017-02-14 2017-02-14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09A true KR20180093609A (ko) 2018-08-22

Family

ID=6345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938A KR20180093609A (ko) 2017-02-14 2017-02-14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36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50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orders for returned items
US9704163B2 (en) Secondary market for gift cards where secondary market transactions do not physically transfer the same gift card between a seller and a purchaser
KR10102062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묶음할인 상품 판매방법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101807965B1 (ko) 오픈 마켓에서의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결제 후 랜덤 추가 할인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5017881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ducting online transactions
CN105122282A (zh) 使用qr码执行交易
JP5232074B2 (ja) 電子商取引方法及び前記電子商取引方法をオンラインマーケットサーバーに行わ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オンラインマーケットサーバー
KR101978496B1 (ko) 오프라인 거래정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JP2009238220A (ja) ターゲット顧客にオンラインで発給した認証キーに基づいてメンバーシップオフライン売場を介して商品サンプルを配布するためのインターネット広告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10313831A1 (en)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coupon service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CN108600323B (zh) 一种多中心数据共享系统及其使用方法
KR20200025212A (ko) 오픈 마켓의 상생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7431B1 (ko) 배달 주문 매출 정산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US201901391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ty-based virtual stores
KR101937328B1 (ko)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물류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30062390A (ko) 통합 할인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50027782A (ko) 공유형 오픈마켓 플랫폼
KR102252937B1 (ko)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할인 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38789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쇼핑이머니 관리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505032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20180117434A (ko) Sns를 이용한 쇼핑 활성화와 안전 거래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WO20212316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payment and order processing for drop shipment systems
KR102012806B1 (ko) 컨텐츠 그룹화가 가능한 컨텐츠 유통 및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101082069B1 (ko) 공동구매 할인상품 구매시 결제 서비스 서버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소셜커머스 활성화를 위한 영업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93609A (ko) 상점 융합을 이용한 디지털 마켓 및 결제 시스템과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