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590A - Steel bracket for back beam - Google Patents

Steel bracket for back b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590A
KR20180093590A KR1020170019882A KR20170019882A KR20180093590A KR 20180093590 A KR20180093590 A KR 20180093590A KR 1020170019882 A KR1020170019882 A KR 1020170019882A KR 20170019882 A KR20170019882 A KR 20170019882A KR 20180093590 A KR20180093590 A KR 20180093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beam
nut
steel bracket
key
fl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4846B1 (en
Inventor
문찬주
이승진
이승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846B1/en
Publication of KR20180093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5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8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6Combinations of yieldable mounting means of different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60R2019/1813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bracket for a back beam, which comprises: a flat portion having a nut hole for a cylindrical nut to be inserted thereinto, and mounted on a first surface inside a back beam; and a key portion protruding in a side direction from one side surface of the fla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ability of the back beam is improved, and a structure of a bracket for the same can be simplified.

Description

백빔용 스틸 브라켓{STEEL BRACKET FOR BACK BEAM}Steel Bracket for Back Beam {STEEL BRACKET FOR BACK BEAM}

본 발명은 백빔을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스틸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bracket for coupling a back beam to a vehicle body.

차량의 전후방에는 차량의 충돌에 대해서 내부부품 및 차체를 보호하고, 또한 차량 및 인명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충돌에 대한 안전장치들이 구성되고, 충돌시 가장 먼저 접하여 충돌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 범퍼(bumper)이다.I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safeguards against collision are constructed in order to protect the internal parts and the vehicle body against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o minimize the loss of the vehicle and human life. It is a bumper.

가장 외측에 범퍼 커버가 구비되고, 그 내측의 차량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범퍼와 범퍼 후방에 마련되는 에너지 업소버 및 백빔(back beam)이 차량의 전면 충돌시 충격완화를 위해서 구비되어 차량 및 인명을 보호한다.A bumper cover is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 a bumper provided on a vehicle frame inside the bumper, an energy absorber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bumper, and a back beam are provided to mitigate shocks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do.

도 1은 차량의 후방 출돌 시 차체를 보호하기 위한 리어 범퍼 백빔(1)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일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Fig. 1 shows a rear bumper back beam 1 for protecting a vehicle body when the vehicle comes out of the vehicle,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도시를 참조하면, 백빔(1)은 스틸 브라켓(2)을 매개로 차체에 조립하게 되고, 스틸 브라켓(2)은 스크류(3)를 이용하여 백빔(1)에 고정시킨다.The back beam 1 is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via the steel bracket 2 and the steel bracket 2 is fixed to the back beam 1 by using the screw 3. [

그리고, 스틸 브라켓(2)에 붙은 용접 너트(4)와 가이드 핀(5)을 이용하여 백빔(1)을 차체에 조립하게 된다.Then, the back beam 1 is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by using the welding nuts 4 and the guide pins 5 attached to the steel bracket 2.

여기서, 용접 너트(4)에는 인라인 볼트(미도시)가 결합되는데, 용접 너트의 구조와 프레스 성형의 두께로 인해서 인라인 볼트 삽입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erein, an in-line bolt (not shown) is coupled to the welding nut 4, which ha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of insertion of the in-line bolt is deteriorat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welding nut and the thickness of the press molding.

그래서, 스틸 C/BOX 대비 약 10mm 이상 긴 볼트를 사용하여야만 하였다.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use a bolt longer than about 10 mm in comparison with the steel C / BOX.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are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which are not known to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2942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2942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백빔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위한 브라켓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l bracket for a back beam which can improve the assemblability of a back beam and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bracket.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백빔용 스틸 브라켓은, 원통형 너트가 삽입되기 위한 너트 홀이 형성되고, 백빔의 내측 제1 면에 안착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의 일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키 부를 포함한다.The steel bracket for a white bea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portion formed with a nut hole for inserting a cylindrical nut and seated on an inner first surface of the back beam and a key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do.

상기 너트 홀에 삽입되는 원통형 너트가 상기 백빔의 내측 제1 면에 형성된 너트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내측 제1 면과 인접한 상기 백빔의 내측 제2 면에 형성된 키 홈에 상기 키 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ylindrical nut inserted into the nut hole is inserted into a nut insertion hole formed on an inner first surface of the back beam and the key portion is inserted into a key groove formed on an inner second surface of the back beam adjacent to the inner first surface, .

그리고, 상기 너트 홀은 상기 평탄부의 일 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키 부는 상기 너트 홀에서 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ut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and the key port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remote from the nut hole.

또한, 상기 평탄부의 키 부가 형성된 측부의 폭이 상기 너트 홀이 형성된 측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formed with the key portion of the flat portion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where the nut hole is formed.

여기서, 상기 키 부는 상기 평탄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key portion is protrude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백빔용 스틸 브라켓은, 원판 형상으로 원통형 너트가 삽입되기 위한 너트 홀이 형성되고, 백빔의 내측 제1 면에 안착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의 일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키 부를 포함한다.Next, a steel bracket for a wh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portion formed with a nut hole for inserting a cylindrical nut into a disc shape and seated on an inner first surface of a back beam; And a key portion protruding sideways.

그리고, 상기 너트 홀에 삽입되는 원통형 너트가 상기 백빔의 내측 제1 면에 형성된 너트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내측 제1 면과 인접한 상기 백빔의 내측 제2 면에 형성된 키 홀에 상기 키 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ylindrical nut inserted into the nut hole is inserted into a nut insertion hole formed in an inner first surface of the back beam and a key hole formed in an inner second surface of the back beam adjacent to the inner first surface, So that they are combined.

여기서, 상기 키 부는 상기 평탄부의 일 측면에서 상기 평탄부의 접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key portion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의한 백빔용 스틸 브라켓은, 원통형 너트가 삽입되기 위한 너트 홀이 형성되고, 백빔의 내측 제1 면에 안착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의 일 측에 키 홀이 형성된 키 홀 형성부를 포함한다.Next, a steel bracket for a wh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t portion formed with a nut hole for inserting a cylindrical nut and seated on an inner first surface of a back beam; And a keyhole forming portion in which the keyhole forming portion is formed.

그리고, 상기 너트 홀에 삽입되는 원통형 너트가 상기 백빔의 내측면에 형성된 너트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 키가 상기 키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ylindrical nut inserted into the nut hole is inserted into a nut insertion hol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ack beam, and a protruding ke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key hole.

여기서, 상기 키 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키 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간섭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keyhole is formed with an interferenc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keyhole.

이러한 상기 간섭부는 상기 백빔의 내측면에 대해서 경사진 각도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fering portion is protruded at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beam.

본 발명의 백빔용 스틸 브라켓에 의하면, 백빔을 조립하기 위한 브라켓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재료비가 절감되고, 작업성을 향상시킨다.According to the steel bracket for a back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bracket for assembling the back beam is simplified, and the material cost is reduced and the workability is improved.

이를 단순화하면서도 백빔을 차체에 안전하게 결합되게 하고, 결합 후 외력에 의해 브라켓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킨다.While simplifying this, the back beam is secure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bracket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by an external force after coupling.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백빔과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백빔용 스틸 브라켓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백빔용 스틸 브라켓의 작용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백빔용 스틸 브라켓을 도시한 것이다.
1 and 2 show a structure of a general back beam and a bracket.
3 shows a steel bracket for a back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cross section of Fig. 3. Fig.
5 shows the operation of a steel bracket for a wh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illustrate a steel bracket for a wh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f known or repeated descrip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omitt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백빔용 스틸 브라켓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백빔용 스틸 브라켓의 작용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a steel bracket for a wh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cross section of FIG. 3, and FIG. 5 shows the operation of a steel bracket for a wh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빔용 스틸 브라켓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teel bracket for a whi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백빔용 스틸 브라켓(210)은 원통형 너트(300)가 결합되어, 원통형 너트(300)의 삽입부(320)가 백빔(110)에 형성된 너트 삽입홀(111)에 삽입되게 하고, 키 홈(112)에 끼워져서 백빔(1)에 조립 고정된다.The steel bracket 210 for a whi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nut 300 coupled to the nut 320 and the insertion portion 320 of the cylindrical nut 300 is inserted into the nut insertion hole 111 formed in the back beam 110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12 and assembled and fixed to the back beam 1. As shown in FIG.

원통형 너트(300)는 용접이나, 접착 또는 팝너트와 같이 압착하는 것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다.The cylindrical nut 300 can be joined by welding or by pressing such as gluing or pop nuts.

백빔(110)은 평면상 대략 사각 형상으로서, 백빔(110)의 너트 삽입홀(111)과 키 홈(112)은 백빔(110)의 어느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스틸 브라켓(210)에 의해 차체에 조립되게 된다.The back beam 1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nd the nut insertion hole 111 and the key groove 112 of the back beam 110 are formed at any corner of the back beam 110 and are fixed to the vehicle body by the steel bracket 210 Assembled.

그래서, 백빔(110)의 모서리 부분의 내측 제1 면에 너트 삽입홀(111)이 형성되고, 너트 삽입홀(111)이 형성된 내측 제1 면에 인접한 내측 제2 면에 키 홈(112)이 형성된다.A nut insertion hole 111 is formed on an inner first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back beam 110 and a key groove 112 is formed on an inner second surface adjacent to the inner first surface formed with the nut insertion hole 111 .

키 홈(112)은 후술할 스틸 브라켓(210)의 키 부(213)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홈으로서 도 3의 예시에서는 백빔(110)의 상측에 형성된 홈이다.The key groove 112 is a groove formed for inserting a key portion 213 of a steel bracket 21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ck beam 110 in the example of FIG.

스틸 브라켓(210)은 백빔(110)의 너트 삽입홀(111)이 형성된 내측 제1 면에 안착되고 원통형 너트(300)가 삽입되기 위한 너트 홀이 일 측부에 형성된 평탄부(211)와, 평탄부(211)의 너트 홀을 중심으로 돌출되어 원통형 너트(300)의 헤드(310)가 안착되는 너트 안착부(212)와, 평탄부(211)의 너트 홀에서 먼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 연장된 키 부(213)를 포함한다.The steel bracket 210 is mounted on an inner first surface formed with the nut insertion hole 111 of the back beam 110 and has a nut 211 for insertion of the cylindrical nut 300, A nut mounting part 212 protruding from the nut hole of the part 211 to receive the head 310 of the cylindrical nut 300 and a nut mounting part 212 protruding and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nut hole of the flat part 211 And a key portion 213.

그리고, 평탄부(211)의 키 부(213) 측의 폭은 너트 홀 측의 폭보다 좁은 것이 동작상 바람직하다.The width of the flat portion 211 on the side of the key portion 213 is preferably narrower than the width on the nut hole side.

또한, 키 부(213)의 돌출 연장된 방향은 평탄부(21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90도에 가깝게 경사진 방향이 바람직하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key portion 213 is extended is preferably a direction inclined a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211.

한편, 원통형 너트(300)의 헤드(310)는 도시와 같이 삽입부(320)로부터 방사상으로 이중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할 경우 돌출된 이중 헤드 간의 홈에 너트 안착부(212)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원통형 너트(3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head 310 of the cylindrical nut 300 may have a shape radially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insertion portion 320 as shown in the figure. In this case, the nut mounting portion 212 may be formed in the groove between the protruding double heads. The cylindrical nut 300 can be more firmly fixed.

스틸 브라켓(210)은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도 3과 같이 백빔(110)의 내측 제1 면에 원통형 너트(300)의 삽입부(320)가 삽입되어 백빔(110)에 안착시키고, 도 4와 같이 내측 제1 면과 이웃한 내측 제2 면 측(도시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측 제2 면에 형성된 키 홈(112)에 키 부(213)가 삽입되게 동작시키게 된다.3, the steel bracket 2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ner surface of the back beam 110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320 of the cylindrical nut 300 is seated on the back beam 110, The key portion 213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12 formed on the inner second surface by rotating the inner second surface side (counter clockwise direction) adjacent to the inner first surface.

이와 같이 스틸 브라켓(210)이 백빔(110)에 조립되면, 백빔(110)의 너트 삽입홀(111)을 통해서 인라인 볼트(미도시)가 삽입되어 원통형 너트(300)와 결합되어 고정된다.When the steel bracket 210 is assembled to the back beam 110, an inline bolt (not shown) is inserted through the nut insertion hole 111 of the back beam 110 to be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cylindrical nut 300.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스틸 브라켓(210)은 백빔(110)과의 결합 구조를 간단히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소형화가 가능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기타 도구의 필요도 없으며, 조립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Thus, the steel bracke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ownsiz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by simply combining the structure with the back beam 110, thereby reducing the material cost, eliminating the need for other tools, I will.

그럼에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하는데, 즉,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도 5와 같이 스틸 브라켓(210)은 키 홈(112)에 삽입된 키 부(213)를 기준으로 회전이 되게 되고, 키 부(213)를 기준으로 회전 시 원통형 너트(300)의 삽입부(320)가 백빔(110)의 너트 삽입홀(111) 내측면과 저촉이 발생하게 되어 스틸 브라켓(210)의 이탈을 방지할 수가 있다.4, the steel bracket 210 is rotated about the key portion 213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12 as shown in FIG. 5, And the insertion portion 320 of the cylindrical nut 3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nut insertion hole 111 of the back beam 110 when the key bar 213 is rotated. Can be prevented.

외력이 크면 클수록 백빔과의 저촉에 의한 마찰력은 보다 크게 발생하게 된다.The greater the external force, the greater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contact with the back beam.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백빔용 스틸 브라켓을 도시한 것이다.6 to 8 illustrate a steel bracket for a wh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백빔용 스틸 브라켓을 설명하기로 하되,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teel bracket for a wh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and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technology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백빔용 스틸 브라켓(220)은 백빔(120)의 너트 삽입홀이 형성된 내측 제1 면에 안착되는 평탄부(221)가 제1 실시예와 달리 원형으로 구성되고, 너트 안착부(222)는 평탄부(22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키 부(223)는 원형의 평탄부(221)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된다.The steel bracket 220 for a white beam shown in Fig. 6 has a flat portion 221 which is seated on an inner first surface formed with a nut insertion hole of the back beam 120 in a circular shape unlike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key portion 223 is formed so as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ircular flat portion 221. The key portion 223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flat portion 221,

이러한 실시예의 스틸 브라켓(220)의 키 부(223)가 삽입되기 위한 백빔(120)의 키 홀은 도시와 같이 두 가지 형태가 가능해진다.The key hole of the back beam 120 for inserting the key portion 223 of the steel bracket 220 of this embodiment can be of two types as shown in the figure.

즉, 원통형 너트가 삽입되는 내측 제1 면과 이웃하는 내측면은 도 6(a)와 도 6(b)와 같이 두 내측면이 가능하고, 내측 제2 면에 형성되는 키 홀(121 또는 122)에 키 부(223)가 회전하여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inner first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cylindrical nut can have two inner surfaces as shown in FIGS. 6 (a) and 6 (b), and the key holes 121 and 122 The key portion 223 is rotated and inserted and fixed.

대신, 스틸 브라켓(220)의 평탄부(221)가 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키 부(223)가 너트 홀을 기준으로 앞선 실시예보다 가까운 위치가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백빔(110)에는 키 홈 대신 키 홀(121 또는 122)이 형성된다.The flat portion 221 of the steel bracket 220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key portion 223 is closer to the nut hole than the previous embodiment so that the back beam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keyhole 121 or 122 is formed instead of the keyhole.

또한, 키 홈의 길이보다 키 홀의 길이가 큰 것이 키 부(223)의 삽입이 용이하다.Further, if the length of the key hole i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key groove, insertion of the key portion 223 is easy.

다음으로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백빔(130)에 너트 삽입홀이 형성되지 않고, 대신 돌출 키(131)가 형성된다.Next, in the embodiment of FIG. 7, a nut insertion hole is not formed in the back beam 130, but a protruding key 131 is formed instead.

이에 대응되게 스틸 브라켓(230)에는 키 부가 형성되지 않고, 백빔(130)의 돌출 키(131)에 대응되는 키 홀(233)이 형성된다.Corresponding to this, a key portion is formed in the steel bracket 230, and a key hole 233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key 131 of the back beam 130 is formed.

평탄부(231)는 원형 형상이고, 평탄부(231)에서 돌출된 너트 안착부(232)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다.The flat portion 231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structure of the nut seating portion 232 protruding from the flat portion 231 is similar to that of the previous embodiment.

그리고, 평탄부(231)의 일 측에 키 홀 형성부가 형성되어, 키 홀 형성부에 키 홀(233)이 형성된다.A keyhole form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231, and a keyhole 233 is formed in the keyhole forming portion.

즉, 본 실시예의 스틸 브라켓(230)은 백빔(130)의 내측 제1 면에 안착되고, 이 때 백빔(130)의 돌출 키(131)가 스틸 브라켓(230)의 키 홀(23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That is, the steel bracket 230 of this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of the back beam 130, and the protrusion key 131 of the back beam 130 is inserted into the key hole 233 of the steel bracket 230 .

대신, 키 홀(233)의 내측면에는 키 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간섭부(234)가 형성된다.Instead, the inner surface of the keyhole 233 is formed with an interference portion 234 protruding and formed toward the center of the keyhole.

그리고, 도 7(b)에서 참조되듯이, 간섭부(234)는 백빔(130)의 내측 제1 면에 대해서 일정 각도(x)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7 (b), the interference portion 234 is protruded at an angle (x)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of the back beam 130. As shown in FIG.

간섭부(234)가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서, 돌출 키(131)가 키 홀(233)에 삽입되는 것은 용이하게 하되,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간섭을 발생시키게 된다.The interference portion 234 is thus configured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protruding key 131 into the key hole 233, but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disengagement causes interference.

또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간섭부(234)를 기준으로 스틸 브라켓(230)이 회전력이 발생되나, 앞선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원통형 너트(300)가 백빔(130)의 너트 삽입홀 내측면과 저촉되어 회전을 억제시키게 된다.As shown in the previous embodiment,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ylindrical bracket 230 rotates about the interfering portion 234, So that the rotation is suppressed.

도 8의 도시는 개념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앞선 실시예의 스틸 브라켓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앞선 실시예들과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면 구체적인 형태는 다소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8 is conceptually shown, and the steel brackets of the preceding embodiments can be commonly applied. If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exhibited, the concrete form can be somewhat modified.

즉, 도 8에 도시된 스틸 브라켓(200)과 같이 스크류(3) 등이 고정을 위해서 적용이 되더라도, 그럼에도 소형화가 가능하고 구성이 간단함을 알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screw 3 and the like are applied for fixing, as in the case of the steel bracket 200 shown in FIG. 8, it can be seen that miniaturization is possible and the construction is simpl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10, 120, 130 : 백빔
111 : 너트 삽입홀 112 : 키 홈
121, 122 : 키 홀
130 : 돌출 키
210, 220, 230. 200 : 스틸 브라켓
211, 221, 231 : 평탄부 212, 222, 232 : 너트 안착부
213, 223 : 키 부
233 : 키 홀 234 : 간섭부
300 : 원통형 너트
310 : 헤드 320 : 삽입부
110, 120, and 130:
111: nut insertion hole 112: key groove
121, 122: keyhole
130: Extrude key
210, 220, 230. 200: Steel bracket
211, 221, 231: flat portions 212, 222, 232:
213, 223: key portion
233: Keyhole 234: Interference part
300: Cylindrical nut
310: head 320:

Claims (12)

원통형 너트가 삽입되기 위한 너트 홀이 형성되고, 백빔의 내측 제1 면에 안착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의 일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키 부를 포함하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
A flat portion formed with a nut hole for inserting a cylindrical nut and seated on an inner first surface of the back beam; And
And a key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Steel bracket for back be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 홀에 삽입되는 원통형 너트가 상기 백빔의 내측 제1 면에 형성된 너트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내측 제1 면과 인접한 상기 백빔의 내측 제2 면에 형성된 키 홈에 상기 키 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ylindrical nut inserted into the nut hole is inserted into a nut insertion hole formed on an inner first surface of the back beam and the key portion is inserted into a key groove formed on an inner second surface of the back beam adjacent to the inner first surface, ≪ / RTI >
Steel bracket for back bea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너트 홀은 상기 평탄부의 일 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키 부는 상기 너트 홀에서 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nut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and the key portion is formed at a side surface remote from the nut hole.
Steel bracket for back bea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의 키 부가 형성된 측부의 폭이 상기 너트 홀이 형성된 측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3,
And a width of a side portion formed with a key portion of the flat portion is narrower than a width of a side portion where the nut hole is formed.
Steel bracket for back beam.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키 부는 상기 평탄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key portion is protrude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Steel bracket for back beam.
원판 형상으로 원통형 너트가 삽입되기 위한 너트 홀이 형성되고, 백빔의 내측 제1 면에 안착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의 일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키 부를 포함하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
A flat portion formed with a nut hole for inserting a cylindrical nut into a disc shape and seated on an inner first surface of the back beam; And
And a key portion protruding laterally from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Steel bracket for back bea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너트 홀에 삽입되는 원통형 너트가 상기 백빔의 내측 제1 면에 형성된 너트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내측 제1 면과 인접한 상기 백빔의 내측 제2 면에 형성된 키 홀에 상기 키 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key nut is inserted into a nut insertion hole formed in an inner first surface of the back beam and a key hole formed in an inner second surface of the back beam adjacent to the inner first surface, ≪ / RTI >
Steel bracket for back beam.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키 부는 상기 평탄부의 일 측면에서 상기 평탄부의 접선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key portion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a tangential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Steel bracket for back beam.
원통형 너트가 삽입되기 위한 너트 홀이 형성되고, 백빔의 내측 제1 면에 안착되는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의 일 측에 키 홀이 형성된 키 홀 형성부를 포함하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
A flat portion formed with a nut hole for inserting a cylindrical nut and seated on an inner first surface of the back beam; And
And a keyhole forming portion having a key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Steel bracket for back beam.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너트 홀에 삽입되는 원통형 너트가 상기 백빔의 내측면에 형성된 너트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 키가 상기 키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cylindrical nut inserted into the nut hole is inserted into a nut insertion hole form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back beam and a protruding ke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key hole.
Steel bracket for back beam.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키 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키 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간섭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0,
And an interferenc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keyhol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keyhole.
Steel bracket for back beam.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백빔의 내측면에 대해서 경사진 각도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빔용 스틸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terference portion is protruded at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beam.
Steel bracket for back beam.
KR1020170019882A 2017-02-14 2017-02-14 Steel bracket for back beam KR102394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82A KR102394846B1 (en) 2017-02-14 2017-02-14 Steel bracket for back b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82A KR102394846B1 (en) 2017-02-14 2017-02-14 Steel bracket for back b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590A true KR20180093590A (en) 2018-08-22
KR102394846B1 KR102394846B1 (en) 2022-05-06

Family

ID=6345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882A KR102394846B1 (en) 2017-02-14 2017-02-14 Steel bracket for back be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84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819A (en) * 2004-06-17 2005-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mproved mounting structure of rear bumper side inclination part
KR100629422B1 (en) 2005-08-09 2006-09-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umper shock absorbing assembly for vehicle
KR100633416B1 (en) * 2005-09-12 2006-10-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to mount the rear bumper and the under cover
KR20120061072A (en) * 2010-11-05 2012-06-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umper back-beam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819A (en) * 2004-06-17 2005-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mproved mounting structure of rear bumper side inclination part
KR100629422B1 (en) 2005-08-09 2006-09-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umper shock absorbing assembly for vehicle
KR100633416B1 (en) * 2005-09-12 2006-10-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to mount the rear bumper and the under cover
KR20120061072A (en) * 2010-11-05 2012-06-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umper back-beam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846B1 (en)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37508A (en) Bumper structure for vehicle
JP2019104463A (en) Impact absorption structure for vehicle
JP2004203238A (en) Mounting structure of side member and bumper beam
US20050073854A1 (en) Headlamp fixing structure for vehicle
JP2010047183A (en) Vehicle front part structure
KR20180093590A (en) Steel bracket for back beam
JP2009255668A (en) Mounting structure of sensor for vehicle
US20120317751A1 (en) Hinge mechanism, and monit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7066479B2 (en) Axle housing suspension seat assembly
JP5838621B2 (en) Front bumper structure
JP2008128410A (en) Vibration absorbing device
RU2509929C2 (en) Disc brake with calliper for automobiles of industrial application, as well as calliper and actuating mechanism of such brake
JP2007137080A (en) Bumper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KR100741510B1 (en) Ball joint integrated knuckle
KR102149942B1 (en)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JP2006282088A (en) Retractable outer mirror
JP2010243166A (en) Timepiece
JP2006008048A (en) Bonnet hood structure
JP2007099219A (en) Vehicular side structure
JP2007137114A (en) Bumper structure for vehicle
JP2005278698A (en) Wall fixing structure of furniture
JPH11165272A (en) Low noise type socket wrench
JP5232069B2 (en) Fence panel mounting bracket
KR200304333Y1 (en) Speaker
CN111663875A (en) Vehicle front cover assembly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