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336A - Impact test specimen transferring guide apparatus - Google Patents

Impact test specimen transferring guid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336A
KR20180091336A KR1020170016343A KR20170016343A KR20180091336A KR 20180091336 A KR20180091336 A KR 20180091336A KR 1020170016343 A KR1020170016343 A KR 1020170016343A KR 20170016343 A KR20170016343 A KR 20170016343A KR 20180091336 A KR20180091336 A KR 20180091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impact test
impact
guide
lat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길수
주용선
김희문
백승제
유병옥
백상열
진영관
허기수
안상복
김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16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1336A/en
Publication of KR2018009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3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fuel or fuel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core, e.g. for burn-up, for cont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98Tests specified by its name, e.g. Charpy, Brinnel, Mull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impact test specimen guide traverse direction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accurately loading a specimen used in an impact test by remote control in a hot cell at a desired position.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traverse direction transfer apparatus comprises a fixing part and a moving part.

Description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 {Impact test specimen transferring guide apparatus}[0001] Impact test specimen guide transverse direction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핫셀 내부에서 원격 조종에 의하여 충격시험에 사용되는 시편을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에 로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act test specimen guide for lateral direction transf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act test specimen guide which can be used to accurately load a specimen used in an impact test by remote control in a hot cell. .

원자력 발전소에서 평가대상시편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수명 연장 평가에서는, 충격시험, 인장시첨, 성분분석시험 등의 여러 감시시험들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도 특히 충격시험은 다른 시험들에 선행되어 이루어지는 가장 필수적인 시험이다.In the life extension evaluation for the specimens to be evaluated in nuclear power plants, various monitoring tests such as impact tests, tensile tests and component analysis tests are essential. The impact test, in particular, is the most essential test that precedes other tests.

일반적으로 이러한 원자력 발전소에서 이루어지는 충격시험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핫셀(hot cell) 내부에서 원격조종기를 사용하여 충격시험용 시편을 냉각/가열로에 장전하고, 이 상태에서 냉각/가열로를 작동시켜 시편을 원하는 설정온도가 될 때까지 냉각 또는 가열한다. 시편이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시편 로딩장치를 이용하여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이 엔빌의 시편받침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시편이 시편받침대 상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를 작동시켜 시편을 타격함으로써 충격시험이 수행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되는 충격시험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샤르피 충격시험기이며, 시편도 샤르피 충격시험용 표준시편 형태(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태이되 중앙에 V형 또는 U형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Generally, the impact test performed at the nuclear power plant is as follows. First, the specimen for impact test is loaded into the cooling / heating furnace using a remote controller inside the hot cell, and the specimen is cooled or heated to the desired set temperature by operating the cooling / heating furnace in this state. When the specimen reaches the set temperature, it is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pecimen can be placed on the specimen support of the envelope as shown in Fig. 1 (A) using the specimen loading apparatus. When the specimen is placed at a desired position on the specimen pedestal, an impact test is performed by hitting the specimen by operating the hammer as shown in Fig. 1 (B). Impact tester used in this process is generally used Charpy impact tester, and specimen is standard specimen type for Charpy impact test (shap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extending in one direction, with V-shaped or U-shaped notch formed at the center).

한편 일반적인 시편에 대한 충격시험의 경우, 충격시험을 진행하는 중 시편 위치가 약간 어긋나거나 하는 경우 시편집게 등을 이용하여 시험자가 직접 로딩을 수행할 수 있다. 시편 타격이 올바르게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충격시험기의 엔빌에 시편을 밀착시켜야 하는데, 일반적인 시편의 경우 시험자가 직접 로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편 위치를 쉽게 조정하여 정위치에 배치시키는 것 역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원자력 발전소에서 시험하고자 하는 대상은 방사성 물질로서, 시험자가 직접 시편에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 즉 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사성 물질로 된 시편에 대하여 충격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모든 과정이 원격 조종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시편이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을 경우 위치를 조정하기에 어려움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mpact test for a general specimen, when the specimen position is slightly shifted during the impact test, the tester can directly load the specimen with the forceps. In order for the specimen to be hit correctly, it is necessary to adhere the specimen to the envelope of the impact tester. In general, the specimen can be directly load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pecimen can be adjusted easily . However, the object to be tested in a nuclear power plant is a radioactive material and the tester should not be exposed directly to the specimen. In other words, when the impact test is performed on a specimen made of a radioactive material in a nuclear power plant, all processes must be performed by remote control,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position if the specimen is not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성 물질로 된 시편의 경우 핫셀 안에서 원격 조종에 의해서 시편의 배치가 이루어진다. 이 때 냉각/가열로 안에서 설정온도에 도달한 시편이 시편 로딩장치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도 2의 예시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이 (횡방향 기준) 양쪽으로 엔빌에 완전히 밀착하지 못하고 비뚤어진 채로 배치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처럼 시편 양쪽이 엔빌에 완전히 밀착하지 못한 상태에서 해머 충격이 가해질 경우 2차 충격이 발생하여, 충격흡수에너지값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Mor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specimen made of the radioactive material, the specimen is arranged by remote control in the hot cell.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specimen reaching the set temperature in the cooling / heating furn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specimen loading apparatus, the specimen is completely adhered to the envelope on both sides (as shown in the examples of Fig. 2 And may be arranged in a distorted state. When the hammer impact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specimen in a state where the both sides of the specimen are no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secondary shock is generat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shock absorption energy value is deteriorated.

이처럼 일반적으로는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작업이라 하여도, 핫셀 내부에서 원격으로 작업해야만 한다는 조건 하에서는 용이 실현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실현하고자 하는 작업에 맞는 별도의 장치를 제작하여야 하는데, 그러한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475237호("핵연료 시편 펀칭장치", 이하 선행문헌) 등과 같은 기술이 있다. 어떤 물질 덩어리를 펀칭하여 시편을 채취하는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인 펀칭 장치를 써서 쉽게 구현할 수 있으나, 시편 채취 대상이 방사성 물질인 경우 사람이 이 물질에 직접 접촉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펀칭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선행문헌은 원격 조종에 의해 핫셀 내부에 있는 방사성 물질 덩어리로부터 용이하게 시편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로서, 상술한 한계점(방사성 물질에 사람이 직접 접촉해서는 안된다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결국 선행문헌에서처럼 새로운 장치를 설계 제작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is way, even if it is an operation that can be easily realized in general, it is often impossible to realize an easy opera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hot cell must be operated remotely. 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a separate apparatus for the work to be realized.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475237 ("Pneumatic Fuel Specimen Punching Apparatus" If you want to punch out a mass of material, you can easily make it by using a general punching device. However, if the object to be sampled is a radioactive material, you should not contact the material directly. none. The preceding document is a description of a device for easily taking samples from a mass of radioactive material inside a hot cell by remote control.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limitations (a limitation that a person should not be in direct contact with radioactive material) It can be seen that a new device has to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as in the prior art.

이처럼 핫셀 내부에서 원격으로 작업한다는 조건 하에 방사성 물질로 된 시편에 대한 충격시험을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편을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accurately perform the impact test on the specimen made of the radioactive material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hot cell is operated remote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eparate device for easily and accurately positioning the specimen at a desired position.

1. 한국등록특허 제1475237호("핵연료 시편 펀칭장치")1. Korean Patent No. 1475237 ("Nuclear Fuel Specimen Punching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핫셀 내부에서 원격 조종에 의하여 충격시험에 사용되는 시편을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에 로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accurately loading a specimen, And a test sample guide transverse feed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는, 종방향으로 이송되어 오는 시편(500)을 충격시험기(200) 엔빌(550)에 밀착되도록 횡방향으로 밀어 이송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에 있어서, 횡방향 일측 끝단이 상기 엔빌(550)에 밀착 배치되어 고정되는 고정블럭(11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횡방향 일측 끝단에 상기 시편(500)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110);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각의 횡방향 일측 끝단이 상기 시편(500)의 종방향 양단에 접촉되는 한 쌍의 이동바(121), 상기 이동바(121)의 횡방향 타측 끝단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이동바(121)를 병렬 연결하는 이동블럭(122), 상기 이동블럭(122)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블럭(122)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시편(500)을 횡방향으로 밀어 이송하여 상기 엔빌(550)에 밀착시키는 이동부(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transverse convey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pecimen 500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veyed to the impact test machine 200 envelope 550, (100), comprising a fixed block (111) having one transverse end fixedly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envelope (550), the transverse one end A fixing part 110 formed to dispose the specimen 500 on the base 110; A pair of moving bars 121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each having one lateral end thereof abutting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pecimen 500, and a pair of movable bars 121 provided at the other lateral end of the moving bar 121 And a driving unit 123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122 to move the moving block 122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moving block 122 is connected to the moving bar 122, 500) in the lateral direction to closely contact the envelope (550); . ≪ / RTI >

이 때 상기 이동바(121)는, 횡방향 일측 끝단 내부에 탄성부(121b)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121b)의 횡방향 일측 끝단에 누름부(121a)가 연결되어, 상기 누름부(121a)가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시편(500)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able bar 121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121b at one 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pressing portion 121a is connected to one lateral end of the elastic portion 121b, 121a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pecimen 500 with an elastic force.

또한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고정블럭(111) 상부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블럭(111) 중심부에 통로부(112a)가 형성되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 구비되는 한 쌍의 배치부(1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배치부(112)의 상면 횡방향 일측 끝단에 상기 시편(500)이 배치되며, 상기 충격시험기(200)의 해머가 상기 통로부(112a)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시편(500)을 타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110 may include a pair of spaced apart longitudinally extending portions 112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ove the fixed block 111 and having a passage portion 112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xed block 111 The hammer of the impact tester 200 is moved through the passage portion 112a so that the hammer of the impact tester 200 moves through the passage portion 112a, So as to strike the specimen 500.

또한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고정블럭(111) 종방향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벽(11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이동바(121)가 횡방향 이송 시 상기 안내벽(113)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part 110 further includes a pair of guide walls 113 protruding upward from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xed block 111 and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and guided by the guide wall 113 in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고정블럭(111) 횡방향 타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바(121)가 관통되는 한 쌍의 안내판(1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이동바(121)가 횡방향 이송 시 상기 안내판(114)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unit 110 further includes a pair of guide plates 114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xed block 11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rough which the moving bar 121 passes, Can be supported and guided by the guide plate (114) during lateral movement.

또한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고정블럭(111) 횡방향 일측 끝단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로딩부(113a)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시편(500)이 종방향으로 이송 시 상기 로딩부(113a)를 따라 이송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part 110 may further include a loading part 113a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lateral end of the fixed block 111 so that when the specimen 500 is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conveyed along the portion 113a.

또한 상기 구동부(123)는, 공압 또는 유압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iving unit 123 may be a pneumatic or hydraulic actuator.

또한 상기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는, 상기 시편(500)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냉각가열로(300)로부터 상기 시편(500)을 종방향으로 이송받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가열로(300), 상기 충격시험기(200), 상기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는 모두 핫셀 내부에 배치되어 원격 조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 device 100 is configured to longitudinally transfer the specimen 500 from a cooling furnace 300 for cooling or heating the specimen 500 to a preset temperature The cooling heating furnace 300, the impact tester 200, and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 device 100 may all be disposed in the hot cell to be remotely controlled.

또한 상기 충격시험기(200)는, 샤르피 충격시험기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mpact tester 20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Charpy impact tester.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성 물질로 이루어진 시편에 대한 충격시험을 함에 있어서, 충격시험기의 정위치에 용이하게 시편을 배치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충격시험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erforming the impact test on the specimen made of the radioactive material, it is possible to easily place the specimen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impact tester, and furthermor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impact test result hav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방사성 물질로 이루어진 시편에 대한 충격시험을 수행함에 있어서, 시험자가 시편에 노출되어서는 안 되며 모든 작업은 핫셀 내부에서 원격 조종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에는 이 과정에서 시편이 정위치에 놓여 있지 않은 상태, 즉 충격시험기의 엔빌에 시편이 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충격시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 2차 충격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며, 이는 시험결과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Mor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In performing impact tests on specimens made of radioactive materials, the tester shall not be exposed to the specimen and all work must be done by remote control inside the hot cell. The impact test has been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pecimen is not placed in a proper position in this process, that is, the specimen is not closely attached to the envelope of the impact tester. In this case, energy loss due to the secondary impact occurs, which causes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 to deteriorate.

그러나 원격 조종에 의하여 시편이 충격시험기 상에 배치되는 과정에서 정위치에 제대로 놓이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의하면 언제든지 충격시험기의 엔빌에 시편을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격시험에서 2차 충격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 발생 원인이 근본적으로 제거되며, 궁극적으로 시험결과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men can be stably stuck to the envelope of the impact tester at any time, even if the specimen is not properly positioned in the process of being placed on the impact tester by remote control. Therefore, the cause of the energy loss due to the secondary impact in the impact test is fundamentally eliminated, and ultimately, the reliability of the test result is greatly improved.

도 1은 핫셀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충격시험 과정에서 충격시험기에 시편이 배치되는 과정.
도 2는 시편이 올바르게 배치되지 못한 예시들.
도 3은 핫셀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충격시험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핫셀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충격시험 과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의 동작 상태도.
1 is a process in which a specimen is placed on an impact tester in an impact test process in a hot cell.
Figure 2 shows examples where the specimen failed to be placed correctly.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pact test system in a hot cell.
4 is a top view of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n impact test process performed inside the hot cell.
Fig. 7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of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mov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mov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핫셀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충격시험 시스템의 구성도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사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시편(500)이 시험자에게 직접 노출되어서는 절대 안 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를 비롯하여 충격시험기(200)나 냉각가열로(300) 등도 모두 핫셀 내부에 배치되어 원격 조종되도록 이루어진다.3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pact test system in a hot cell. As described above, the specimen 500 made of a radioactive material must never be directly exposed to the tester. Therefore, as shown in FIG. 3,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transverse convey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the cooling heating furnace (300), and the like are all disposed inside the hot cell to be remotely controlled.

앞서 도 1을 통해 핫셀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충격시험 과정에서 충격시험기에 시편이 배치되는 과정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시편(500)은 상기 냉각가열로(300)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된 후, 도 3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가열로(300)로부터 종방향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역시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충격시험기(200)의 엔빌(550)에 상기 시편(500)의 종방향 양단이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도 2(A)처럼 비뚤어져서 한쪽만 상기 엔빌(550)에 접촉하거나, 도 2(B)처럼 횡방향으로 똑바로 배치되었기는 하지만 상기 엔빌(550)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등이 모두 정위치를 이탈한 경우에 해당한다.1, the specimen 500 is cooled or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e cooling furnace 300, and then the specimen 500 is cooled by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is dischar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ooling heating furnace 300 as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In this proces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longitudinal both ends of the specimen 500 may not be completely attached to the envelope 550 of the impact tester 200. 2 (A), when only one of them is in contact with the above-described envelope 550, or when it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in contact with the above-mentioned envelope 550 though it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2 (B) . ≪ / RTI >

상기 충격시험기(200)는 역시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샤르피 충격시험기 형태로서, 상기 시편(500)이 파단될 때까지의 흡수에너지를 가지고 재료의 인성을 평가한다. 이 때 흡수에너지는 해머의 들어올린 각과 해머가 상기 시편(500)을 타격한 후 반발되어 올라간 반발각의 차를 통해 구할 수 있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편(500)이 상기 엔빌(550)에 밀착 접촉되지 못한 상태, 즉 정위치에서 이탈한 상태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해머가 상기 시편(500)을 타격함과 동시에 상기 시편(500)이 물러나 상기 엔빌(550)에 부딪침으로써 2차 충격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측정되는 충격흡수에너지 값의 신뢰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The impact tester 200 is a Charpy impact tester type as described above, and evaluates toughness of the material with absorption energy until the specimen 500 is broken. At this time, the absorbed energy can be obtained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fting angle of the hammer and the rebound angle of the hammer repelled after hitting the specimen 500. 2,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specimen 500 in a state in which the specimen 500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vane 550, that is, when the specimen 500 is detached from the fixed position, the hammer hits the specimen 500 At the same time, the specimen 500 is retracted and collides with the envelope 550 to generate a secondary shock, which cause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shock absorption energy value.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는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이송되어 오는 시편(500)을 충격시험기(200) 엔빌(550)에 밀착되도록 횡방향으로 밀어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여러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mpact test apparatus guide lateral movement conve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st specimen 500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impact test apparatus 200 envelope 550 It pushes and transports. Hereinafter, the concrete configuration of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r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의 상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고정부(110) 및 이동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g. 4 is a top view of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r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fixing part 110 and a moving part 120.

상기 고정부(110)는 횡방향 일측 끝단에 상기 시편(500)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부품이다. 상기 고정부(110)는 가장 단순하게는 횡방향 일측 끝단이 상기 엔빌(550)에 밀착 배치되어 고정되는 고정블럭(111)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fixing part 110 is a part formed such that the specimen 50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xing part 110 may be composed of only a fixed block 111 which is fixedly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nvelope 550 at one 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ut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nstructions as shown in the figur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고정부(110)에 놓인 상기 시편(500)을 횡방향으로 밀어 이송하여 상기 엔빌(550)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상기 이동부(1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동바(121), 이동블럭(122), 구동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ving part 120 pushes the specimen 500 placed on the fixing part 110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ransports the specimen 500 to closely contact the specimen 500 to the envelope 550. The moving unit 120 may include a pair of moving bars 121, a moving block 122, and a driving unit 123 as shown in FIGS.

상기 이동바(121)는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횡방향 일측 끝단이 상기 시편(500)의 종방향 양단에 접촉된다. 즉 상기 이동바(121)가 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시편(500)을 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한 쌍의 상기 이동바(121)가 상기 시편(500)의 종방향 양단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이동바(121) 각각이 상기 시편(500)의 종방향 양단 각각을 밀어줌에 따라 상기 시편(500)의 종방향 양단이 상기 엔빌(550)에 잘 밀착 접촉되게 해 줄 수 있다.The moving bar 121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each transverse one end of the moving bar 121 is in contact with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pecimen 500 as shown in the figure. That is, the moving bar 121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specimen 500 can be transpor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is time, a pair of the moving bars 12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pecimen 500, so that each of the moving bars 121 pushes each of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specimen 500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specimen 500 can be brought into intimate contact with the envelope 550.

이 때 상기 이동바(121)는, 횡방향 일측 끝단 내부에 탄성부(121b)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121b)의 횡방향 일측 끝단에 누름부(121a)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121)가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시편(500)을 밀어 상기 엔빌(550)에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모든 부품이 다 강체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접촉된 부분에 불필요하게 과도한 응력이 작용하여 파손이나 손상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바(121) 끝단에 상기 누름부(121a) 및 상기 탄성부(121b) 구성이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121a)가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시편(500)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지게 하면, 설령 과도한 응력이 발생되는 상황이 되더라도 상기 탄성부(121b)에서 적절히 이를 흡수해 줌으로써(즉 버퍼 역할을 해 줌으로써)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해 줄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ement bar 12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lastic portion 121b is provided at one 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121a is connected to one lateral end of the elastic portion 121b hav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oving bar 121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pushing the specimen 500 in close contact with the envelope 550, when all the parts are made of a rigid body, There is a risk that the stress acts to cause breakage or damage. However, if the movable bar 121 is provided with the pressing part 121a and the elastic part 121b at the end thereof so that the pressing part 121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pecimen 500 with an elastic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r damage by appropriately absorbing it by the elastic portion 121b (that is, by acting as a buffer) even in a situation where excessive stress is generated.

상기 이동블럭(122)은 상기 이동바(121)의 횡방향 타측 끝단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이동바(121)를 병렬 연결하며, 상기 구동부(123)는 상기 이동블럭(122)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블럭(122)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부(123)는 구체적인 예시로서 공압 또는 유압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ving block 12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moving bar 12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connects a pair of the moving bars 121 in parallel and the driving unit 123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122 And moves the moving block 122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driving unit 123 may be a pneumatic or hydraulic actuator as a specific example.

이하에서 상기 고정부(110)의 부가적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dditional structure of the fixing portion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시편(500)이 놓이는 베이스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 역할만을 위해서라면 가장 단순하게는 상기 고정블럭(111)만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는 상기 이동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시편(500)을 횡방향으로 이송시켜서 최종적으로는 상기 시편(500) 종방향 양단이 상기 엔빌(550)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이렇게 정위치에 상기 시편(500)을 배치한 후 (샤르피 충격시험기 형태로 된) 상기 충격시험기(200)를 사용하여 상기 시편(500)을 타격함으로써 원활한 충격시험을 수행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part 110 serves as a base on which the specimen 500 is placed. For the sake of this role, the fixing part 110 may be the simplest one. As described above,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specimen 500 in the lateral direction using the moving unit 120 and finally transfers the specimen 500, So th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velope (550). Ultimately, it is desired to perform a smooth impact test by striking the specimen 500 using the impact tester 200 (in the form of a Charpy impact tester) after placing the specimen 500 in the correct position .

이 때 상기 충격시험기(200)의 해머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는 당연히 아무것도 없어야 하는데, 단순한 직육면체 형태의 상기 고정블럭(111)에 상기 시편(500)이 놓이게 될 경우 해머가 상기 시편(500)을 타격하기 전에 상기 고정블럭(111)과 접촉하여 타격 또는 마찰이 일어나게 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고정블럭(111) 상부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블럭(111) 중심부에 통로부(112a)가 형성되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 구비되는 한 쌍의 배치부(1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nothing should be naturally present on the path of the hammer movement of the impact tester 200. When the hammer moves on the fixed block 111 in the form of a simple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hammer strikes the specimen 500 There is a risk that the striking block 111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triking or rubbing.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fixing part 110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above the fixed block 111 an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form the passage part 112a in the central part of the fixed block 111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air of arrangement parts 112 provided.

이 경우, 상기 배치부(112)의 상면 횡방향 일측 끝단에 상기 시편(500)이 배치되며, 상기 충격시험기(200)의 해머가 상기 통로부(112a)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시편(500)을 타격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해머의 이동 경로가 텅 빈 공간인 상기 통로부(112a)와 겹치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해머가 상기 시편(500)을 타격하기 전에 상기 고정블럭(111) 등을 타격하거나 마찰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The hammer of the impact tester 200 moves through the passage portion 112a to move the specimen 5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lacement portion 112. In this case, It is done to strike. That is, since the moving path of the hammer overlaps with the passage part 112a which is an empty spac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ammer strikes the fixing block 111 or the friction occurs before the hammer strikes the specimen 500 The problem can be completely prevented.

한편,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는 상기 이동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시편(500)을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는데, 이 때 예를 들어 상기 이동바(121)가 비뚤어진 방향으로 진행한다면 상기 시편(500)을 정위치에 배치시킬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이동바(121)가 안정적으로 똑바른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적인 구조물이 더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로 이를 위해서, 상기 고정부는 안내벽(113) 또는 안내판(1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specimen 500 in the lateral direction by using the moving part 120. At this time, for example, The specimen 500 can not be placed in the correct posi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bar 121 further has an additional structure for allowing the bar 121 to travel in a stable and straight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 fixing part may further comprise a guide wall 113 or a guide plate 114. [

즉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고정블럭(111) 종방향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벽(11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바(121)가 횡방향 이송 시 상기 안내벽(113)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됨으로써, 중량에 의한 휘어짐 등을 방지하여 상기 이동바(121)가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xing part 110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guide walls 113 protruding upward from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xed block 111 and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is case, the movement bar 121 is supported and guided by the guide wall 113 during the lateral movement, thereby preventing the movement bar 121 from moving in the correct direction by preventing warpage or the like due to its weight.

또한 상기 고정부(110)는, 상기 고정블럭(111) 횡방향 타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바(121)가 관통되는 한 쌍의 안내판(1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상기 이동바(121)가 횡방향 이송 시 상기 안내판(114)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됨으로써, 초기 정위치 이탈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역시 상기 이동바(121)가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The fix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guide plates 114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block 11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rough which the moving bar 121 passes. In this case as well, the movement bar 121 is supported and guided by the guide plate 114 during lateral movement, thereby preventing the initial movement of the movable bar 121 from the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movement bar 121 can be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do.

한편, 상기 고정부(110)로 상기 시편(500)이 이송되어 올 때, 상기 냉각가열로(300) 및 상기 고정부(110) 간 거리가 멀 경우 상기 시편(500)이 그 사이로 떨어져 버리거나 안정적으로 이송되어 오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블럭(111) 횡방향 일측 끝단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로딩부(113a)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시편(500)이 종방향으로 이송 시 상기 로딩부(113a)를 따라 이송되게 함으로써, 상기 냉각가열로(300)에서 상기 고정부(110)로 상기 시편(500)이 이송되는 과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oling heating furnace 300 and the fixing unit 110 is long when the specimen 500 is transferred to the fixing unit 110, the specimen 500 may be separated therefrom, It can not be transport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fixing part 11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loading part 113a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lateral end of the fixed block 111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specimen 500 from the cooling heating furnace 300 to the fixing unit 110 is performed by allowing the specimen 500 to be transferred along the loading unit 113a when the specimen 500 is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made stable.

도 6은 핫셀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충격시험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은 이러한 과정 중의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의 동작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6을 통해 충격시험의 전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6 is a flow chart of the impact test process performed in the hot cell, and FIG. 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process. The overall process of the impact tes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온도 설정 단계에서는, 상기 냉각가열로(300)에 상기 시편(500)을 넣고 냉각 또는 가열하여 상기 시편(500)의 온도가 원하는 설정 온도에 도달하게 한다.First, in the temperature setting step, the specimen 500 is placed in the cooling furnace 300 and cooled or heat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pecimen 500 reaches a desired set temperature.

다음으로 이송 준비 단계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에 구비된 스위치(S1)를 사용하여 상기 이송바(121)를 횡방향 타측으로 후진시켜, 상기 시편(500)이 놓일 자리를 만든다.Next, as shown in FIG. 3, the transfer bar 121 is moved backward to the other side by using the switch S1 provided in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 device 100 , Thereby making the place where the specimen 500 is to be placed.

다음으로 시편 로딩 단계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가열로(300)에 구비된 스위치(S0)을 사용하여 상기 시편(500)을 상기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로 로딩한다. 도 7(A)는 이렇게 상기 시편(500)이 로딩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7(B)는 상기 시편(500)이 1차적으로 배치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의 상태에서 상기 시편(500)의 종방향 양단이 상기 엔빌(550)에 완전히 밀착된다면 가장 이상적이겠으나, 실제로는 이 과정에서 도 2의 여러 예시에 보이는 바와 같은 식으로 상기 시편(500)이 상기 엔빌(550)에 밀착되지 못한 상태인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는 바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Next, in the specimen loading step, as shown in FIG. 3, the specimen 500 is mounted on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 device 100 using the switch S0 provided in the cooling heating furnace 300, Lt; / RTI > FIG. 7 (A) shows a process of loading the test piece 500, and FIG. 7 (B) shows a state where the test piece 500 is primarily placed. It is most ideal if both ends of the specimen 500 are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envelope 550 in the state of FIG. 7 (B), but actually, in this process, the specimen 500 500 are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envelope 550 in many cases.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movement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다음으로 시편 횡방향 이송 단계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100)에 구비된 스위치(S1)를 사용하여 상기 이송바(121)를 횡방향 일측으로 전진시켜, 상기 시편(500)을 횡방향으로 밀어서 이송시킨다. 도 7(C)가 바로 이러한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종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이동바(121) 각각이 상기 시편(500)의 종방향 양단을 횡방향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시편(500)을 횡방향으로 밀어 줌으로써, 상기 시편(500)의 종방향 양단이 상기 엔빌(550)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Next, in the sample transverse direction feeding step, as shown in FIG. 3, using the switch S1 provided in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feeding apparatus 100, the feed bar 121 is mo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ide So that the specimen 500 is transported in the lateral direction. 7C shows this process. It can be confirmed that each of the pair of the moving bars 121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ushes the longitudinal both ends of the specimen 500 in the lateral direction have. By pushing the specimen 500 in the later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longitudinal ends of the specimen 500 can be sur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velope 550.

마지막으로 충격시험 수행 단계에서는, 이처럼 상기 시편(500)이 상기 엔빌(550)에 확실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바(121)를 횡방향 타측으로 후진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시험기(200)에 구비된 스위치(S2)를 사용하여 해머를 낙하시켜 충격시험을 수행한다. 도 7(D)는 이렇게 충격시험이 수행될 때 해머가 상기 시편(500)을 타격하는 방향을 큰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Finally, in the impact test step, the transfer bar 121 is moved back to the other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specimen 500 is firmly attached to the vane 550, The impact test is performed by dropping the hammer using the switch S2 provided in the impact tester 200. [ 7D shows a direction in which the hammer strikes the specimen 500 when the impact test is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본 발명의)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
110: 고정부 111: 고정블럭
112: 배치부 112a: 통로부
113: 안내벽 113a: 로딩부
114: 안내판
120: 이동부 121: 이동바
121a: 누름부 121b: 탄성부
122: 이동블럭 123: 구동부
200: 충격시험기 300: 냉각가열로
100: impact test specimen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fixing part 111: fixed block
112: arrangement part 112a:
113: guide wall 113a: loading part
114: guide plate
120: moving part 121: moving bar
121a: Pushing portion 121b:
122: moving block 123:
200: Impact tester 300: Cooling heating furnace

Claims (9)

종방향으로 이송되어 오는 시편을 충격시험기 엔빌에 밀착되도록 횡방향으로 밀어 이송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에 있어서,
횡방향 일측 끝단이 상기 엔빌에 밀착 배치되어 고정되는 고정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횡방향 일측 끝단에 상기 시편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각의 횡방향 일측 끝단이 상기 시편의 종방향 양단에 접촉되는 한 쌍의 이동바, 상기 이동바의 횡방향 타측 끝단에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이동바를 병렬 연결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블럭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시편을 횡방향으로 밀어 이송하여 상기 엔빌에 밀착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
In which a specimen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veyed in a lateral direction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impact test machine envelope,
A fixing block including a fixing block fixed to the envelope at one 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fixed to the envelope so that the specimen is disposed at one 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pair of moving bars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each having one transverse end thereof abutted on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pecimen; a movable block provided at the other transverse end of the moving bar,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to move the moving block in a lateral direction, and pushing the test piece horizontally to closely contact the test piece with the envelope.
And an impact force of the impact test specim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는,
횡방향 일측 끝단 내부에 탄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의 횡방향 일측 끝단에 누름부가 연결되어,
상기 누름부가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시편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silient portion is provided in a transversely one end and a pushing portion is connected to one lateral end of the resilient portion,
And the pushing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pecimen with an elastic for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블럭 상부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블럭 중심부에 통로부가 형성되도록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 구비되는 한 쌍의 배치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배치부의 상면 횡방향 일측 끝단에 상기 시편이 배치되며,
상기 충격시험기의 해머가 상기 통로부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시편을 타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positioning portions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bove the fixed block and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form a passage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fixed block,
The specimen is disposed at one lateral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rrangement portion,
Wherein the hammer of the impact tester moves through the passage portion to strike the specim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블럭 종방향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안내벽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이동바가 횡방향 이송 시 상기 안내벽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ir of guide walls protruding upward from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xed block and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aid guide bar being adapted to be supported and guided by said guiding wall during lateral movement. ≪ RTI ID = 0.0 > 8.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블럭 횡방향 타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바가 관통되는 한 쌍의 안내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이동바가 횡방향 이송 시 상기 안내판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guide plate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xed block transverse direction and through which the movement bar passes,
Wherein said guide bar is supported and guided by said guide plate during lateral movement. ≪ RTI ID = 0.0 > 8.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블럭 횡방향 일측 끝단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로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시편이 종방향으로 이송 시 상기 로딩부를 따라 이송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ading unit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fixed block transverse direction,
Wherein the specimen is transported along the loading portion when the specimen is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공압 또는 유압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
Th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neumatic or hydraulic actua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는,
상기 시편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냉각가열로로부터 상기 시편을 종방향으로 이송받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가열로, 상기 충격시험기, 상기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는 모두 핫셀 내부에 배치되어 원격 조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
The impact tes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The test piece is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 cooling furnace for cooling or heating the test piec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herein the cooling heating furnace, the impact tester, and the impact test specimen guide lateral direction transfer device are all disposed inside the hot cell to be remotely control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시험기는,
샤르피 충격시험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시험 시편 가이드 횡방향 이송용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mpact tester compris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the form of a Charpy impact tester.
KR1020170016343A 2017-02-06 2017-02-06 Impact test specimen transferring guide apparatus KR201800913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343A KR20180091336A (en) 2017-02-06 2017-02-06 Impact test specimen transferring guid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343A KR20180091336A (en) 2017-02-06 2017-02-06 Impact test specimen transferring guid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336A true KR20180091336A (en) 2018-08-16

Family

ID=6344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343A KR20180091336A (en) 2017-02-06 2017-02-06 Impact test specimen transferring guid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133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3912A (en) * 2018-12-14 2019-03-08 深圳万测试验设备有限公司 Automatic sample conveying device for metal pendulum impact test
KR20200117498A (en) * 2019-04-04 2020-10-14 경성시험기주식회사 Test-plate loading apparatus for charpy impact tester
CN114705387A (en) * 2022-06-01 2022-07-05 中国飞机强度研究所 Push-back type vibration excitat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in airplane vibration fatigue tes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237B1 (en) 2013-08-29 2014-12-22 한국원자력연구원 Punching apparatus of nuclear fuel specim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237B1 (en) 2013-08-29 2014-12-22 한국원자력연구원 Punching apparatus of nuclear fuel specim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3912A (en) * 2018-12-14 2019-03-08 深圳万测试验设备有限公司 Automatic sample conveying device for metal pendulum impact test
KR20200117498A (en) * 2019-04-04 2020-10-14 경성시험기주식회사 Test-plate loading apparatus for charpy impact tester
CN114705387A (en) * 2022-06-01 2022-07-05 中国飞机强度研究所 Push-back type vibration excitat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in airplane vibration fatigue tes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1336A (en) Impact test specimen transferring guide apparatus
US6523391B1 (en) Vertical height impact testing apparatus
KR950001245Y1 (en) Apparatus for autotransmitting device of handler
KR200452509Y1 (en) glass impact tester
CN104913990A (en) Rocker arm type small mass impact testing machine
JP2008264990A (en) Press-fitting method and press-fitting device
KR20180037886A (en) Safety test apparatus of battery cell
KR102504936B1 (en)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tester that can share measured values in real time
CN104458435A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elasticity modulus under high temperature and ultrahigh temperature environments
KR101875535B1 (en) Size checking apparatus for battery case
KR101764681B1 (en) Flexible film test method
KR100886637B1 (en) A buffer cylinder
KR102179240B1 (en) Test-plate loading apparatus for charpy impact tester
KR101292005B1 (en) Rebound braker and impact tester including the brake
KR101792416B1 (en) Centering jig of dropping impact test piece
CN205097186U (en) Take manipulator of guiding orientation device
CN101399090A (en) Holding jaw mechanism, test socket mechanism and storage module positioning device
KR102289526B1 (en) Apparatus for drop weight tes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10690295U (en) Multifunctional drop hammer type impact test loading device
JP2687009B2 (en) Alignment and removal device for parts
US52517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gregating rods of undesirable alloy composition
JP4114796B2 (en) Work gripping device
KR20140008585A (en) Tray transporter
Wang et al. Reversal bending fatigue testing
RU2416076C1 (en) Bench for impact tests of material sam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