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917A -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917A
KR20180090917A KR1020170015555A KR20170015555A KR20180090917A KR 20180090917 A KR20180090917 A KR 20180090917A KR 1020170015555 A KR1020170015555 A KR 1020170015555A KR 20170015555 A KR20170015555 A KR 20170015555A KR 20180090917 A KR20180090917 A KR 20180090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losing
wireless
re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748B1 (ko
Inventor
김준석
Original Assignee
김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석 filed Critical 김준석
Priority to KR1020170015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7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tim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은,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개폐 어셈블리,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컨트롤러 및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입력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무선중계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Automatic Door Control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본 발명은 자동문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문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무선중계모듈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자동문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문은 통행인들의 편의를 위하여, 통행인의 특정한 행위를 매개로 하여, 도어에 구비된 기계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종래 자동문은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은 도어의 상부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통행인이 근접한 것을 인지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통행인은 도어에 근접하는 행위 외에 다른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식은 통행인이 도어를 통과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을 경우에도 단순히 근접하기만 하면 도어가 개방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도어의 개방 동작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도어 일측에 구비된 특정한 입력 버튼을 누르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도어에 인접할 경우에도 입력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도어가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편의성은 다소 줄어들었으나 통행인의 의지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외에도, 최근에는 서술되지 않은 다양한 방식의 자동문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자동문의 제어 방식은 각각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도어가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채택하여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다른 방식의 도어 제어 방법이 요구될 경우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어 자체를 재설치하는 방법 외에 딱히 다른 방법이 없으므로 불편함이 따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다양한 입력장치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편리하게 자동문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편의성을 더욱 높이고, 새로운 입력장치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은,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개폐 어셈블리,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컨트롤러 및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입력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무선중계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장치는, 사용자 단말기, 개폐스위치 및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중계모듈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전송된 도어의 개폐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도어 컨트롤러에 상기 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도어 컨트롤러는 상기 개폐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중계모듈은, 기 설정된 시간대 별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도어 컨트롤러에 상기 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무선중계모듈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도어의 제어를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모터부의 종류에 따른 잠금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잠금모드 입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어의 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개폐제어 입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무선중계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중계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여부에 따라 대응되는 개폐제어신호를 상기 도어 컨트롤러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어의 개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장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도어의 개폐 방식 자체도 다양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무선통신을 이용하므로 배선이 최소화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기존 무선통신 외에 새로운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입력장치가 적용될 경우에도 종래 시설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제어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의 활용 양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개폐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은 도어(1)와, 개폐 어셈블리(100)와, 도어 컨트롤러(30)와, 무선중계모듈(10)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1)는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구성요소로서,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1)로는 2단 미닫이 방식, 3단 미닫이 방식 등 제한 없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어셈블리(100)는 기계적으로 상기 도어(1)를 개폐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도어(1)와 연결되어 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모듈과, 상기 이송모듈을 구동시키거나 구동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모터부(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개폐 어셈블리(100)는 상기 도어(1)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용의 도어(1)에 결합하여 자동문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후장착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개폐 어셈블리(100)는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처음부터 자동문의 목적으로 상기 도어(1)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개폐 어셈블리(100)로는 본 실시예 외의 공지의 제품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부(40)에 적용되는 모터 역시 다양한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디스크 브레이크(42)를 통해 모터(41)를 스토핑하는 방식의 락(Lock)모터가 적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기타 일반적인 상용의 모터 종류는 모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도어 컨트롤러(30)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어셈블리(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도어 컨트롤러(30)는 상기 모터부(4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개폐 어셈블리(100)를 구동시키며, 상기 무선중계모듈(10)로부터 상기 개폐 어셈블리(100)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은 상기 도어(1)의 개폐를 위한 입력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며, 이때 상기 무선중계모듈(10) 및 상기 도어 컨트롤러(30) 간의 통신 방식은 유/무선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무선 통신의 경우, 공지된 모든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나 추후 개발될 미래의 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유/무선 통신 방식에 관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은 각종 입력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도어 컨트롤러(30)에 전송하는 서버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입력장치들은 주변기기로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도어(1)의 개폐를 위한 개폐제어신호를 상기 무선중계모듈(1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전송된 도어(1)의 개폐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도어 컨트롤러(30)에 상기 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 컨트롤러(30)는 상기 개폐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1)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력장치로는 사용자 단말기(50), 개폐스위치(20) 및 감지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입력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송신되는 개폐제어신호는, 상기 도어(1)의 개방/폐쇄, 개방 유지/폐쇄 유지 등 다양한 명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개폐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은 해당 개폐제어신호를 식별하여 상기 도어 컨트롤러(30)에 전송하고, 상기 도어 컨트롤러(30)는 상기 도어(1)를 적합한 방식으로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50)는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 등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상기 개폐스위치(20)는 상기 도어(1)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버튼이 입력될 경우 상기 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통행인을 감지할 수 있으며, 예컨대 레이더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도어 컨트롤러(3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입력장치의 특성에 맞는 제어만을 수행할 수 있었으나, 본원발명의 경우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이 서버의 기능을 하여 다양한 입력장치를 통한 개폐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50)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중계모듈(10)과 다양한 방식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의 제어를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이와 같은 제어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가 예시로서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어(1)의 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개폐제어 입력버튼(51, 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제어 입력버튼(51, 52)은 상기 도어(1)의 개방/폐쇄, 개방 유지/폐쇄 유지 등 다양한 명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열림 버튼 및 열림유지 버튼이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또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모터부(40, 도 1 참조)의 종류에 따른 잠금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잠금모드 입력버튼(53, 5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모터부(40)의 종류에 따라 잠금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잠금모드 입력버튼(53, 54)은 상황에 적합한 잠금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잠금모드 입력버튼(53, 54)은 두 개가 구비되어 락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일반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 잠금 방식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어(1)의 관리/개방/폐쇄 등을 위한 식별버튼(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버튼(55)은 보안 등을 위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들만이 도어(1)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식별버튼(55)은 숫자키로 형성되어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는 방식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외에도 지문 입력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를 통해 자동문 제어시스템의 다양한 활용 양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는, 개폐스위치(20)를 통해 도어(1)를 제어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행인이 개폐스위치(20)를 누를 경우, 도어(1)의 개방 명령을 포함하는 개폐제어신호가 상기 무선중계모듈(10)에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은 도어 컨트롤러(30)에 개폐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도어 컨트롤러(30)는 모터부(40)를 제어하여 도어(1)를 개방시키게 된다.
도 4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도어(1)를 제어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행인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50)의 제어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고, 상기 개폐제어 입력버튼(51, 52)을 눌러 개폐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개폐제어 입력버튼(51, 52) 중 열림 버튼(51)을 누른 것으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도어(1)의 개방 명령을 포함하는 개폐제어신호가 상기 무선중계모듈(10)에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은 도어 컨트롤러(30)에 개폐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도어 컨트롤러(30)는 모터부(40)를 제어하여 도어(1)를 개방시키게 된다.
도 5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도어(1)를 제어하는 또 다른 과정이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행인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50)의 제어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고, 상기 식별버튼(55)을 눌러 사용자의 식별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식별신호가 상기 무선중계모듈(10)에 송신되며,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은 상기 식별신호를 인식하여 정확한 식별신호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정확한 식별신호인 경우,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은 도어(1)의 개방 명령을 포함하는 개폐제어신호를 상기 도어 컨트롤러(30)에 전송하며, 상기 도어 컨트롤러(30)는 모터부(40)를 제어하여 도어(1)를 개방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이 상기 식별신호가 정확한 경우 자체적으로 도어(1)의 개방 명령을 포함하는 개폐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식별신호 인식 후 사용자가 제어 소프트웨어에서 상기 개폐제어 입력버튼(51, 52)을 다시 입력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도어(1)를 제어하는 또 다른 과정이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50)는 상기 무선중계모듈(50)과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블루투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5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여부에 따라 대응되는 개폐제어신호를 상기 도어 컨트롤러(30)에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5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연결된 경우, 상기 도어(1)를 개방시키는 개폐제어신호를 상기 도어 컨트롤러(3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5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연결 해제되는 순간, 상기 도어(1)를 폐쇄시키는 개폐제어신호를 상기 도어 컨트롤러(3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50)를 소유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1)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도어(1)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어(1)로부터 멀어질 경우 도어(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방식은 인증된 통행인이 수시로 도어(1)를 통과할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 및 도 8에는, 모터부(40, 40')의 종류에 따른 잠금 방식 전환 과정이 도시된다. 도 7의 경우, 모터부(40)에 락모터가 적용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도 8은 모터부(40')에 일반모터가 적용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부(40)가 락모터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제1잠금모드 입력버튼(53)을 입력하여 디스크 브레이크(42)를 통한 모터(41)의 잠금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부(40')가 일반모터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제2잠금모드 입력버튼(54)을 입력할 수 있다.
제1잠금모드 입력버튼(53)이 입력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1)를 운용할 수 없는 반면, 제2잠금모드 입력버튼(54)이 입력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1)를 운용할 수 있어 본 실시예의 경우 상황에 따른 잠금 방식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기 설정된 시간대 별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도어 컨트롤러에 상기 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임의로 설정된 제1시간 범위 내에서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한 방식을 적용하고, 상기 제1시간 범위와 달리 설정된 제2시간 범위 내에서는 도 4 또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운용 방식을 적용하는 등과 같이 설정이 가능하다.
즉 이와 같은 시스템이 특정 사업장에 적용된 경우, 업무시간 내에서는 원활한 통행을 위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고, 업무시간 외에는 버튼의 입력 또는 식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을 적용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어(1)의 개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장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도어(1)의 개폐 방식 자체도 다양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무선중계모듈(10)을 서버로 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하므로 배선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기존 무선통신 외에 새로운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입력장치가 적용될 경우에도 종래 시설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개폐 어셈블리(100)는 상기 도어(1)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용의 도어(1)에 결합하여 자동문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후장착형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개폐 어셈블리(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개폐 어셈블리(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1)는 3단 미닫이 방식인 것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도어파트(1a, 1b, 1c)는 상기 도어(1)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개폐 어셈블리(100)의 이송유닛(120)과 연결되고, 상기 이송유닛(120)은 레일유닛(110)을 따라 횡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개폐 어셈블리(100)는 상기 이송유닛(120) 및 상기 레일유닛(110)을 포함하며, 각 도어파트(1a, 1b, 1c)를 상기 이송유닛(120)과 연결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도어(1)를 자동문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는, 상기 레일유닛(110) 및 상기 이송유닛(120)의 구조가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유닛(110)은 이송모터(130)와, 상기 이송모터(1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벨트(132)를 회전시키는 원동풀리(131a) 및 종동풀리(131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이송모터(130)의 구동력을 통해 상기 벨트(132)가 무한궤도로 순환하게 되며, 이때 상기 이송유닛(120)은 상기 벨트(132) 상에 고정되어 상기 벨트(132)의 순환에 따라 횡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120)은 상하 방향으로 기립된 베이스부(124)와, 상기 베이스부(124)의 하부에 구비되어 도어파트(1a)를 고정시키는 도어파트 고정부(121)와, 상기 벨트(132)에 상기 베이스부(124)를 고정시키는 베이스부 고정부(122a, 122b)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베이스부 고정부(122a, 122b)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제1베이스부 고정부(122a) 및 제2베이스부 고정부(12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부 고정부(122a) 및 상기 제2베이스부 고정부(122b) 사이에는 벨트(132)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120)은 상기 벨트(13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벨트(13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돌기(133)가 형성되며, 제1베이스부 고정부(122a)에는 상기 걸림돌기(133)가 관통하는 관통홀(123)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 고정부(122a, 122b)는 상기 벨트(132)에 안정적으로 고정도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개폐 어셈블리(100)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도어 10: 무선중계모듈
20: 개폐스위치 30: 도어 컨트롤러
40: 모터부 50: 사용자 단말기
100: 개폐 어셈블리 110: 레일유닛
120: 이송유닛

Claims (8)

  1.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개폐 어셈블리;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 컨트롤러; 및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입력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무선중계모듈;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사용자 단말기, 개폐스위치 및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모듈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전송된 도어의 개폐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도어 컨트롤러에 상기 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도어 컨트롤러는 상기 개폐제어신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모듈은,
    기 설정된 시간대 별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도어 컨트롤러에 상기 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무선중계모듈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도어의 제어를 위한 제어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 형태로 형성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모터부의 종류에 따른 잠금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잠금모드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어의 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개폐제어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무선중계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중계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 여부에 따라 대응되는 개폐제어신호를 상기 도어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KR1020170015555A 2017-02-03 2017-02-03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KR101905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55A KR101905748B1 (ko) 2017-02-03 2017-02-03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55A KR101905748B1 (ko) 2017-02-03 2017-02-03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917A true KR20180090917A (ko) 2018-08-14
KR101905748B1 KR101905748B1 (ko) 2018-10-10

Family

ID=6323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555A KR101905748B1 (ko) 2017-02-03 2017-02-03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822B1 (ko) * 2019-06-11 2020-02-12 서종용 자동 창문 개폐장치
KR20230000439U (ko) * 2020-12-04 2023-02-28 (주)한성 창문 자동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851B1 (ko) 2019-05-01 2019-06-13 윤준호 멀티미디어와 생활환경 IoT 기반의 자동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7844A (ja) * 1998-10-30 2000-05-16 Toshiba Corp 出入管理システムおよび複合型ゲート装置
JP6018791B2 (ja) * 2012-04-27 2016-11-02 ヒースト株式会社 ゲート制御装置
JP6419464B2 (ja) * 2014-06-19 2018-11-07 株式会社シブタニ 電気錠システム
JP2016188477A (ja) * 2015-03-30 2016-11-04 美和ロック株式会社 入室管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822B1 (ko) * 2019-06-11 2020-02-12 서종용 자동 창문 개폐장치
KR20230000439U (ko) * 2020-12-04 2023-02-28 (주)한성 창문 자동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748B1 (ko)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748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자동문 제어시스템
US11965375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and method
US88335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responsive to movement of building door
CN104321266A (zh) 用于控制电梯系统访问的系统和方法
US11503147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s activated door access panel
US20120218092A1 (en) Wireless lift gate control system including authorization of operator
US10636236B2 (en) Universal radio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US20070096872A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661787B2 (en) Arrangement and a process for controlling a park area access system
US20070126552A1 (en) Secure spread spectrum-facilitated remote control signaling method and apparatus
US11975942B2 (en) Hybrid floor terminal for an elevator system
JP3797250B2 (ja) 車両用開閉体の制御装置及び車両用開閉体の制御方法
CN114867676A (zh) 用于检查的操作电梯的方法
US7327249B1 (en) Barrier operator system having multiple frequency receivers
KR20070063208A (ko) 지그비를 이용한 자동 도어 잠금 및 도난 차량 제어 시스템
CN217386408U (zh) 一种无感门禁系统
US20230014636A1 (en) Movable Barrier Operator System
KR101249940B1 (ko) 출입문 관리장치 및 방법
KR101983665B1 (ko) 스마트키 연동 터치 패널의 자동 인증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10472878B2 (en) System of actuating a door
US20080137715A1 (en) Secure spread spectrum-facilitated remote control signaling method and apparatus
EP3401180A1 (en) Onboard automatic parking system for a vehicle
CN220730866U (zh) 一种门禁控制系统
CN111847144A (zh) 一种电梯控制装置
EP3401179A1 (en) A device for controlling a maneuver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