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626A -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626A
KR20180090626A KR1020170015720A KR20170015720A KR20180090626A KR 20180090626 A KR20180090626 A KR 20180090626A KR 1020170015720 A KR1020170015720 A KR 1020170015720A KR 20170015720 A KR20170015720 A KR 20170015720A KR 20180090626 A KR20180090626 A KR 20180090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user terminal
service
registr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614B1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015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6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04L67/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에 따라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METHOD FOR PROVIDING PUSH SERVICE, SERVICE SERVER, AND USER TERMINAL}
본 발명은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서비스 앱에 푸시 메시지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기술의 급속한 발전 및 메모리의 대용량화에 따라 점점 더 많은 기능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로 연동하여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 범위가 증가되고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거나 운영체제를 통해 세부 설정을 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자체를 삭제하거나 재설치 하는 것도 가능해져 효율성의 증가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 범위가 증가됨에 따라 정보통신 기술 또한 이와 병행하여 급속한 발전 및 확장을 겪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무선 인터넷뿐만 아니라, 보다 지능화 된 통신 서비스의 제공으로서 푸시 서비스(Push Service)가 이용되고 있다.
푸시 서비스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서버(Server)에 의해 능동적으로 사용자인 클라이언트(Client)에게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로서, 예컨대 사용자가 지정하거나 선택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인 사용자 단말에 서버가 제공하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업그레이드가 있는 경우 업그레이드를 위한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푸시 서비스가 제공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때, 공용 푸시 서비스 서버(public push service server)가 사용됨이 일반적인데, 대표적으로 GCM(Google Cloud Messaging) 또는 APNS(Apple Private Notification Server)가 있다. 공용 푸시 서비스 서버는 해당 운영 체제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들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며, 서버의 요청에 따라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대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서버는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 뒤 푸시 메시지를 실제로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고, 사용자 단말 입장에서도 실제 푸시 메시지가 수신되기 전에는 서버가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가 푸시 메시지의 전송 상태를 직접 관리하여 사용자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에 따라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푸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한 푸시 메시지 응답의 수신 여부에 대한 정보인 푸시 수신 실패 보고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시 발송 요청에 대한 푸시 요청 응답을 푸시 서버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즉시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푸시 메시지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필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등록 제어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필드 및 푸시 등록 주기를 결정하는 등록 주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태 필드가 성공이고, 상기 모드 필드가 maintenance이고, 상기 등록 주기 필드가 0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의 푸시 등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태 필드가 실패이고, 상기 모드 필드가 Periodic 또는 Doubling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등록 주기 필드에 의해 결정되는 주기로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시 발송 요청을 푸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시 발송 요청은 상기 푸시 메시지가 수신될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등록 식별자 및 상기 푸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푸시 발송 요청은,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이 백그라운드로 서비스 앱을 실행시켜 서비스 접속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푸시 발송 요청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 타이머를 관리하고, 상기 푸시 발송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응답 타이머 내에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응답 타이머 내에 수신되지 못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시 발송 요청을 푸시 서버로 다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에 따라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생성된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에 따라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하면, 푸시 메시지의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동으로 푸시 등록 절차를 즉시 그리고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푸시 메시지의 착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푸시 메시지의 수신시 서비스 접속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코드 및 개별적인 수신 응답 타이머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푸시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관리하고, 미수신시 재발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푸시 메시지의 착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푸시 등록 제어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푸시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능동적으로 클라이언트인 사용자 단말(300)에게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푸시 서비스 시스템(10)은 서비스 서버(100), 푸시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되고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인 서비스 앱을 관리하는 서버로서, 사용자에 의해 또는 임의로 설정된 푸시 메시지를 푸시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푸시 서버(200)는 공용 푸시 서비스(public push 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해당 운영 체제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들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며, 서비스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를 대신하여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서버(200)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또는 APNS(Apple Private Notification Server)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푸시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사용자 단말(300)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뿐, 실시간으로 서비스 서버(100)에 사용자 단말(300)의 푸시 메시지 수신 여부에 대한 결과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300)는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한 뒤 푸시 메시지를 실제로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고, 사용자 단말 입장에서도 실제 푸시 메시지가 수신되기 전에는 서버가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이용하는 서비스 앱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2G(second generation), 3G(third generation),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노트북, 스마트폰, IoT(Internet of Things) 단말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특정 운영체제를 이용하는데 특정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푸시 서버(20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앱을 설치 및 구동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요청된 푸시 메시지의 수신이 사용자 단말(300)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푸시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300)이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기초로 능동적으로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거나, 서비스 서버(100)가 푸시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공용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앱에 대한 푸시 메시지 착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푸시 등록 제어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는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푸시 재등록이 불필요한 경우의 푸시 서비스 시스템(10)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단말(300)이 푸시 서버(200)를 통해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푸시 등록(push registration) 절차가 선행되어야 하며, 푸시 등록 절차 수행 여부는 사용자의 선택, 서비스 앱의 기본 설정 또는 임의로 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사용자 앱에는 사용자 단말(300)에 해당되는 푸시 서버(200)의 주소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푸시 서버(200)로 등록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등록 요청에는 단말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및 설치된 사용자 앱의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푸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한 뒤 상기 등록 요청에 따라 등록 식별자를 포함하는 등록 응답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300)과 1:1 대응 또는 1:n(n은 2이상의 정수) 대응을 이룰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300)은 등록 응답을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100)로 등록 식별자 및 푸시 서버(200)의 주소를 포함하는 등록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등록 확인 메시지를 수신 및 저장함으로써 푸시 등록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S10).
이와 같이 푸시 등록 절차는 푸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100)로 푸시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는지 여부, 사용자 단말(100)로 푸시 메시지의 전송시 이용해야 할 푸시 서버(200)의 주소,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될 푸시 메시지의 종류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이벤트(예를 들어,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광고 메시지, 뉴스 속보 등)가 발생할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푸시 발송 요청을 푸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1). 상기 푸시 발송 요청은 푸시 메시지가 수신될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등록 식별자 및 푸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서버(200)가 푸시 발송 요청을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하면(S12), 푸시 서버(200)는 푸시 발송 요청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는 의미로 푸시 요청 응답을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13).
푸시 서버(200)는 푸시 발송 요청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300)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S14).
사용자 단말(300)이 푸시 메시지를 푸시 서버(200)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하면(S15), 사용자 단말(300)은 푸시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는 의미로 푸시 메시지 응답을 푸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6).
푸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푸시 메시지 응답을 수신한 경우, 푸시 수신 실패 보고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푸시 수신 실패 보고는 사용자 단말(300)에 푸시 메시지를 전송한 뒤 해당 푸시 메시지에 대한 푸시 메시지 응답이 수신되지 못하였을 때 생성되는 것으로서, 푸시 서버(200)는 푸시 메시지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였을 때 실시간으로 즉시 푸시 수신 실패 보고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으로(예컨대, 매일 새벽 3시)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서비스 서버(100)가 푸시 수신 실패 보고를 미수신한 경우를 예시하며, 이후 사용자 단말(300)의 서비스 앱이 서비스 서버(100)로 서비스 접속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8). 서비스 접속 요청은 사용자의 요청(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비스 앱을 실행) 또는 사용자의 개입없이 푸시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서비스 앱의 실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서비스 접속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접속 응답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고(S19), 서비스 접속 응답은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푸시 등록 제어 정보는 3가지 필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태 필드, 모드 필드 및 등록 주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필드는 사용자 단말(300)의 푸시 메시지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푸시 수신 실패 보고의 수신 여부에 따라 결정되며, 푸시 수신 실패 보고의 미수신시 성공(success) 또는 푸시 수신 실패 보고의 수신시 실패(failure) 값을 가질 수 있다.
모드 필드는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푸시 등록 제어 모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현재의 푸시 등록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Maintenance, 주기적으로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Periodic, 또는 doubling 주기로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Doubling 값을 가질 수 있다.
등록 주기 필드는 푸시 등록 주기를 결정하는 필드로서, 모드 필드가 Maintenance일 때는 0, 모드 필드가 Periodic일 때 1~24, 또는 모드 필드가 Doubling일 때는 2, 4, 8, 12, 24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처럼, 상태 필드가 Success 이고 모드 필드가 Maintenance이고, 등록 주기가 0인 경우, 푸시 수신 실패 보고가 미수신되었고 푸시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300)이 정상적으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다시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푸시 등록 제어 정보에 해당한다.
상태 필드가 Failure이고 모드 필드가 Periodic이고, 등록 주기가 1(최소)~24(최대) 시간 중 어느 하나의 시간(예를 들어, 6시간)인 경우, 푸시 수신 실패 보고가 수신되어 푸시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300)이 정상적으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다시 푸시 등록 절차를 상기 등록 주기마다(예를 들어, 6시간마다)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푸시 등록 제어 정보에 해당한다.
상태 필드가 Failure이고 모드 필드가 Doubling이고, 등록 주기가 4, 8, 12, 24 시간 중 어느 하나의 시간(예를 들어, 4시간)인 경우, 푸시 수신 실패 보고가 수신되어 푸시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300)이 정상적으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다시 푸시 등록 절차를 상기 등록 주기의 doubling 주기(예를 들어, 4시간뒤 → 8시간뒤 → 16시간뒤 → 24시간뒤 → 이후로는 24시간뒤마다)마다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푸시 등록 제어 정보에 해당한다.
서비스 서버(100)가 상태 필드가 Failure인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생성할 때, 모드 필드 및 등록 주기 필드를 결정하는 기준은 푸시 서버(200) 측의 요청, 서비스 앱의 종류,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접속 요청의 일정 기간(예를 들어, 1일) 별 누적 횟수 등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푸시 서버(200) 측에서 푸시 등록 절차에 따른 트래픽 내지 서버의 과부하로 인한 요청이 있을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등록 주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앱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실행이 거의 없고 하루 중 일정 시간(새벽 4시)에 1회 실행되는 서비스 앱일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등록 주기를 최대(24시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접속 요청 횟수가 빈번한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모드 필드를 Doubling으로 설정하고 등록 주기를 낮은 등록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S19 단계에서 푸시 수신 실패 보고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Success, Maintenance, 0)의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응답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Success, Maintenance, 0)의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응답을 수신하여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추출한 뒤, 푸시 등록 제어 정보에 따라 다시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현재의 등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20).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푸시 재등록이 필요한 경우의 푸시 서비스 시스템(10)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S30, S31, S32, S33, S34 단계는 각각 S10, S11, S12, S13, S14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를 나타낸다.
S35 단계에서 도 2와는 달리 사용자 단말(300)은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다고 가정한다. 사용자 단말(300)이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푸시 서버(200)의 일시적인 장애, 사용자 단말(300)이 음영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앱의 변경 등이 있을 수 있다.
푸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 푸시 메시지에 대한 푸시 메시지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푸시 수신 실패 보고를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36).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는 푸시 수신 실패 보고의 수신시 외에도 하기의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응답은 S33 단계의 푸시 요청 응답의 미수신시에도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이경우에도 사용자 단말(300)로 푸시 메시지가 전달되지 못하므로 즉시, 그리고 주기적으로 푸시 등록 절차가 수행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서비스 서버(100)가 푸시 수신 실패 보고를 수신한 경우를 예시하며, 사용자 단말(300)의 서비스 앱이 서비스 서버(100)로 서비스 접속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37).
서비스 서버(100)는 서비스 접속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접속 응답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고(S38), 서비스 접속 응답은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푸시 등록 제어 정보는 상태 필드, 모드 필드 및 등록 주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태 필드는 실패(failure) 값을 가지며, 모드 필드 및 등록 주기 필드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Failure, Periodic/Doubling, x(x는 임의의 시간))의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응답을 수신하여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즉시 S30 단계와 동일한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39). 이는 현재 사용자 단말(300)이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푸시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푸시 등록 절차를 즉시 수행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푸시 등록 제어 정보의 모드 필드 및 등록 주기 필드에 따라 주기적으로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40).
이후, 다시 푸시 등록 절차가 수행되고, 적어도 1회 이상의 푸시 발송 요청 이후, 사용자 단말(300)의 서비스 접속 요청을 수신할 때까지 푸시 수신 실패 보고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도 2의 (Success, Maintenance, 0)의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응답을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함에 의해, 사용자 단말(300)의 주기적인 푸시 등록 절차 수행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시스템(10)에 의하면, 푸시 메시지의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서비스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300) 간의 연동으로 푸시 등록 절차를 즉시 그리고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푸시 메시지의 착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는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수신 확인 및 관리를 실시간으로 할 수 있는 경우의 푸시 서비스 시스템(10)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는 제1 계정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300-1)과 제2 계정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300-2)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계정 및 제2 계정은 등록 식별자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300-1, 300-2)은 서로 다른 등록 식별자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300-1, 300-2)에 대한 푸시 등록 절차는 완료된 상태임을 가정하기로 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푸시 발송 요청을 푸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51). 상기 푸시 발송 요청은 푸시 메시지가 수신될 사용자 단말(300-1)에 대응하는 등록 식별자인 제1 계정 및 푸시 메시지인 제1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푸시 발송 요청을 푸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52). 상기 푸시 발송 요청은 푸시 메시지가 수신될 사용자 단말(300-2)에 대응하는 등록 식별자인 제2 계정 및 푸시 메시지인 제2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서버(200)는 제1 계정 및 제1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 발송 요청을 수신하여, 제1 계정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300-1)로 제1 메시지를 발송하고, 제1 메시지의 수신에 따른 푸시 메시지 응답을 사용자 단말(30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53).
푸시 서버(200)는 제2 계정 및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 발송 요청을 수신하여, 제2 계정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300-2)로 제2 메시지를 발송하고, 제2 메시지의 수신에 따른 푸시 메시지 응답을 사용자 단말(30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54).
여기서, S51 단계와 S52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100)가 생성하는 제1 메시지와 제2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300-1, 300-2)로 하여금 사용자의 개입없이 푸시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서비스 앱을 실행시켜 서비스 접속 요청을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1)의 서비스 앱은 제1 계정 및 제1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요청을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55).
또한, 제2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0-2)의 서비스 앱은 제2 계정 및 제2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요청을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56).
이 때, 제1 계정 및 제1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요청은 서비스 서버(100)로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제2 계정 및 제2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요청은 특정 요인(예컨대, 푸시 서버(200)의 장애로 인한 S54 단계의 미실행, 사용자 단말(300-2)이 음영 지역에 위치함 등)으로 인해 생성되지 못하거나 서비스 서버(100)로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S51 단계 및 S52 단계의 각 푸시 발송 요청에 대응하여 수신 응답 타이머를 관리할 수 있다. 수신 응답 타이머는 통상적으로 푸시 발송 요청 전송 후 그에 대한 서비스 접속 요청이 수신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일정 오프셋 이상을 가지는 시간(예를 들어, 10초; 실험적으로 결정된 시간)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S51 단계 및 S52 단계의 각 푸시 발송 요청에 대해 각각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 타이머 내에 서비스 접속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수신 응답 타이머가 초과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제2 계정 및 제2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요청이 수신되지 못하므로, 서비스 서버(100)는 제2 계정 및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 발송 요청에 대한 수신 응답 타이머가 초과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S57).
따라서, 서비스 서버(100는 제2 계정 및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 발송 요청에 따른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00-2)이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하며, 서비스 서버(100)는 제2 계정 및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 재발송 요청을 푸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58). 여기서, 푸시 재발송 요청은 S52 단계의 푸시 발송 요청과 동일한 메시지이나 S52 단계에 이어 다시 발송을 요청한다는 의미에서 푸시 재발송 요청으로 정의된다.
푸시 서버(200)는 제2 계정 및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 발송 요청을 수신하여, 제2 계정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300-2)로 제2 메시지를 발송하고, 제2 메시지의 수신에 따른 푸시 메시지 응답을 사용자 단말(30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59).
만일, 사용자 단말(300-1)이 정상적으로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계정 및 제2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요청을 서비스 서버(100)로 정상적으로 전송한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서비스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6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 시스템(10)에 의하면, 푸시 메시지의 수신시 서비스 접속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코드 및 개별적인 수신 응답 타이머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푸시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관리하고, 미수신시 재발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푸시 메시지의 착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에 따라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푸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한 푸시 메시지 응답의 수신 여부에 대한 정보인 푸시 수신 실패 보고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시 발송 요청에 대한 푸시 요청 응답을 푸시 서버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수신하면, 즉시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푸시 메시지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필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등록 제어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필드 및 푸시 등록 주기를 결정하는 등록 주기 필드를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필드가 성공이고, 상기 모드 필드가 maintenance이고, 상기 등록 주기 필드가 0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의 푸시 등록 상태를 유지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필드가 실패이고, 상기 모드 필드가 Periodic 또는 Doubling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등록 주기 필드에 의해 결정되는 주기로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시 발송 요청을 푸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시 발송 요청은 상기 푸시 메시지가 수신될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등록 식별자 및 상기 푸시 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발송 요청은,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이 백그라운드로 서비스 앱을 실행시켜 서비스 접속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코드를 더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푸시 발송 요청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 타이머를 관리하고, 상기 푸시 발송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응답 타이머 내에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응답 타이머 내에 수신되지 못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시 발송 요청을 푸시 서버로 다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에 따라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접속 응답을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푸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한 푸시 메시지 응답의 수신 여부에 대한 정보인 푸시 수신 실패 보고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서비스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시 발송 요청에 대한 푸시 요청 응답을 푸시 서버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서비스 서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푸시 메시지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필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등록 제어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필드 및 푸시 등록 주기를 결정하는 등록 주기 필드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시 발송 요청을 푸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푸시 발송 요청은 상기 푸시 메시지가 수신될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등록 식별자 및 상기 푸시 메시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발송 요청은, 상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이 백그라운드로 서비스 앱을 실행시켜 서비스 접속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코드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푸시 발송 요청에 대응하는 수신 응답 타이머를 관리하고, 상기 푸시 발송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응답 타이머 내에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응답 타이머 내에 수신되지 못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푸시 발송 요청을 푸시 서버로 다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18.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생성된 푸시 등록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에 따라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등록 제어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푸시 메시지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필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푸시 등록 제어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필드 및 푸시 등록 주기를 결정하는 등록 주기 필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필드가 성공이고, 상기 모드 필드가 maintenance이고, 상기 등록 주기 필드가 0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의 푸시 등록 상태를 유지하는, 사용자 단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필드가 실패이고, 상기 모드 필드가 Periodic 또는 Doubling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등록 주기 필드에 의해 결정되는 주기로 푸시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70015720A 2017-02-03 2017-02-03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101993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720A KR101993614B1 (ko) 2017-02-03 2017-02-03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720A KR101993614B1 (ko) 2017-02-03 2017-02-03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626A true KR20180090626A (ko) 2018-08-13
KR101993614B1 KR101993614B1 (ko) 2019-06-27

Family

ID=6325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720A KR101993614B1 (ko) 2017-02-03 2017-02-03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6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9602A (ko) * 2022-06-09 2023-12-18 네이버 주식회사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36533B1 (ko) * 2023-07-04 2024-02-14 (주)래셔널아울 실시간 푸시수신확인을 위한 푸시 알림 솔루션 장치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5522A (ko) * 2010-03-19 2011-09-27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호를 이용한 실시간 이메일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937A (ko) * 2011-12-23 2013-07-22 유영민 개발자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푸시 서비스 방법
KR20150031170A (ko) * 2013-09-13 2015-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푸시 알림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푸시 알림 서버
KR20150067008A (ko) * 2013-12-09 2015-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푸시 알림 기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20553A (ko) * 2014-04-17 2015-10-28 전자부품연구원 푸시 메시지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5522A (ko) * 2010-03-19 2011-09-27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호를 이용한 실시간 이메일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937A (ko) * 2011-12-23 2013-07-22 유영민 개발자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푸시 서비스 방법
KR20150031170A (ko) * 2013-09-13 2015-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푸시 알림 전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푸시 알림 서버
KR20150067008A (ko) * 2013-12-09 2015-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푸시 알림 기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20553A (ko) * 2014-04-17 2015-10-28 전자부품연구원 푸시 메시지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9602A (ko) * 2022-06-09 2023-12-18 네이버 주식회사 알림 최적화를 위한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36533B1 (ko) * 2023-07-04 2024-02-14 (주)래셔널아울 실시간 푸시수신확인을 위한 푸시 알림 솔루션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614B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244B2 (en) Method for guaranteeing operation of control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JP5074424B2 (ja) 依存関係の通知
US20220210755A1 (en) Time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readabl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20140115125A1 (en) Method for Receiving Data, Method for Sending Data, Mobile Terminal, and Server
EP3588862A1 (en) Communication system core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heart-beat messages
EP3709664B1 (en) Stream pushing method, system and server
US10560961B2 (en)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through poll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2016541200A (ja) 埋込みユニバーサル集積回路カードのための管理方法、関係する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KR20200135455A (ko) 이벤트 구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6514238B2 (ja) プロフィール管理方法及びサーバ
US20190116469A1 (en) Report-Based Control Of Repeated Multicast Data Transmission
US10321290B2 (en)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102319B2 (en) Method, system and server for stream-pushing
CN112969209B (zh) 业务服务器的切换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WO2015176365A1 (zh) 通知消息的发送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993614B1 (ko)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
EP363780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message
CN113412478B (zh) 消息收发方法、通信装置以及程序
WO2018095336A1 (zh) 订购服务的方法及装置
KR20110007378A (ko)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15016A1 (en) Mechanism to provide updates to nb-iot devices
US116170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non-IP data delivery in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22929A (ko) Ps 페이징 기반 푸시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171306B1 (ko)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에서 수행되는 상태정보 기반의 컨텍스트 관리 방법
KR102465844B1 (ko) M2m 시스템에서 통지 실패시 통지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