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653A -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653A
KR20180089653A KR1020170014266A KR20170014266A KR20180089653A KR 20180089653 A KR20180089653 A KR 20180089653A KR 1020170014266 A KR1020170014266 A KR 1020170014266A KR 20170014266 A KR20170014266 A KR 20170014266A KR 20180089653 A KR20180089653 A KR 20180089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
information
recommended
big data
data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807B1 (ko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김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영 filed Critical 김선영
Priority to KR102017001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8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미술 전시회 및 미술 작품을 추천해주는 미술 큐레이션 서버에 등록된 회원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로부터 추천받는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표시하고, 회원이 구매 결정한 미술 작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회원 단말기;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갱신하여 저장하는 서버로서, 각 회원에게 추천할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생성하며, 생성한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상기 회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미술 큐레이션 서버; 및 상기 회원 단말기와 미술 큐레이션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System for curation art display and art contents based big data}
본 발명은 미술 작품/미술 전시회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미술 전시회나 미술 작품의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성능 발전과 통신 네트워크 보급의 확산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중에는 인터넷을 통해 유수의 박물관이나 미술전시회를 안내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박물관이나 전시회 등의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검색엔진을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전시품들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시품 이미지 제공 기술의 경우, 특정 박물관이나 전시회를 홍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홈페이지에 게시된 작품정보와 작품 이미지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일방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사용자의 취향이나 의도와는 무관하게 전시품 이미지나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정보도 제공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731249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미술 작품이나 미술 전시회에 대한 미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미술 전시회 및 미술 작품을 추천해주는 미술 큐레이션 서버에 등록된 회원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로부터 추천받는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표시하고, 회원이 구매 결정한 미술 작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회원 단말기;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갱신하여 저장하는 서버로서, 각 회원에게 추천할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생성하며, 생성한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상기 회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미술 큐레이션 서버; 및 상기 회원 단말기와 미술 큐레이션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는, 회원 단말기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각각 지원하는 서버 통신부; 회원의 회원 주소, 연락처, 이름, 결제수단,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를 포함한 회원 정보가 저장된 회원 정보 저장부;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정보 저장부;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에 기반하여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하거나,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에 기반하여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거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 회원별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각 회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추천 미술 정보 제공부; 및 회원이 구매 결정한 미술 작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은,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회원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사용자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은, 이미지,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한 미술 멀티미디어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미술 멀티미디어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은, 원격 여가활용을 모니터링하여 파악한 M2M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M2M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되는 SNS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SNS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회원 단말기는,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기 통신부;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입력받는 단말기 입력부; 상기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가 표시되는 단말기 표시부; 및 상기 단말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회원 정보를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로부터 추천받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상기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회원이 구매 결정한 미술 작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은,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중에서, 회원의 거주지역에서 열리는 미술 전시회 정보, 또는 검색 키워드 입력을 통하여 검색 키워드 지역에서 열리는 미술 전시회 정보만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은, 각 회원이 설정한 표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사용자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미술 멀티미디어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M2M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SNS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며, 우선 순위가 높은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일수록 더 크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미술 전시회나 미술 작품에 대한 미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미술 큐레이션 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술 큐레이션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의 예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M2M 정보, SNS 정보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원 선호장르를 입력받는 회원 단말기의 예시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회원 단말기(300)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미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하,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라 함)에 접속하여 등록/인증된 회원들에게 회원 취향에 맞는 설정 장르, 설정 가격 대의 미술작품을 추천하여 직접관람하고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구매 가능하도록 한다.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 유저분석(사용자정보, 관계정보, 소비자 형태), 미술 멀티미디어 분석(이미지, 동영상 의미분석, 컨텐츠 소비형태, 선호도), M2M 정보 분석(원격 여가활용 추천 모니터링), SNS 비정형 데이터분석 등과 같은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통하여 매칭되는 미술 작품을 추천한다
또한, 전국 1,000여개 지역별 미술관 갤러리 정보를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미술작품 이미지에 대한 유저의 추천 정보(예를 들면, “좋아요”등)를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또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통하여 고객의 선호 화가 정보, 유사 아티스트 정보, 선호 장르 등의 정보를 기준으로 추천 근거를 제공한다. 또한 해시태그, 키워드 입력으로 사용자(유저)의 지역과 원하는 전시회를 검색 가능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100), 회원 단말기(300), 및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회원 단말기(300)와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원 단말기(300)는, 미술 전시회 및 미술 작품을 추천해주는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에 등록된 회원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뿐만 아니라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회원 단말기(300)는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로 전송하며,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로부터 추천받는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표시하고, 회원이 구매 결정한 미술 작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된다. 따라서 등록/인증된 회원들에게 회원 취향에 맞는 설정 장르, 설정 가격대의 미술작품을 추천하여 직접관람하고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구매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원 단말기(3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5 내지 도 6에서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는,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갱신하여 저장하는 서버이다.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는, 미술 작품의 정보인 미술 작품 정보 및 미술 전시회의 정보인 미술 전시회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갱신하여 저장하는 서버이다. 상기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는, 각 회원에게 추천할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생성하며, 생성한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는,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에 기반하여 그에 부합하는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로서 회원별로 생성하거나, 또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하여, 회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5와 함께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술 큐레이션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의 예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M2M 정보, SNS 정보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410), 회원 정보 저장부(420),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정보 저장부(430),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440), 추천 미술 정보 제공부(450), 및 결제 처리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410)는, 회원 단말기(3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각각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4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원 정보 저장부(420)는, 회원의 회원 주소, 연락처, 이름, 결제수단,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를 포함한 회원 정보가 저장된 저장체이다. 이러한 저장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정보 저장부(430)는,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한 저장체이다. 이러한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정보 저장부(430)는, 미술 작품/전시회 정보 저장부는, 장르별로 추천할 미술 작품 정보 및 미술 전시회 정보를 할당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한 장르별 미술 전시회/작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가격대별로 추천할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할당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한 가격대별 미술 전시회/작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440)는,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에 기반하여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440)는, 회원의 선호장르에 할당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 선호장르 기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로서 추출하며, 회원 선호가격대에 할당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 선호 가격대 기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로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44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할 수 있다.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4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앱 유저 분석, 미술 멀티미디어 분석, M2M 정보분석, SNS 비정형 데이터 분석의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하여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할 수 있다.
추천 미술 정보 제공부(450)는, 회원별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각 회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결제 처리부(460)는, 회원이 구매 결정한 미술 작품의 결제를 수행한다. 결제 수단은 계좌이체, 카드결제, 포인트 결제 등의 다양한 결제 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44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440)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회원 정보를 유저 분석 빅데이터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사용자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분석 빅데이터 분석 엔진은, 사용자 정보, 관계정보, 소비자 형태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회원에게 가장 맞는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추출해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440)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한 미술 멀티미디어 정보를 멀티미디어 빅데이터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미술 멀티미디어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빅데이터 분석 엔진은, 이미지, 동영상 의미분석, 컨텐츠 소비형태, 멀티미디어 선호도 등의 멀티미디어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회원에게 가장 맞는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추출해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440)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여가활용을 모니터링하여 파악한 M2M 정보를 M2M 빅데이터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M2M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M2M 빅데이터 분석 엔진은, 원격 여가활용 추천 모니터링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회원에게 가장 맞는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추출해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M2M(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은 기계, 센서, 컴퓨터 등 다양한 장치들이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기술이다.
또한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440)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되는 SNS 정보를 SNS 빅데이터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SNS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할수 있다. 여기서 SNS 빅데이터 분석 엔진은, 페이스북, 트위터 메시지 등과 같이 SNS 비정형 데이터 내용 중에서 미술계 이슈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회원에게 가장 맞는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추출해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원 선호장르를 입력받는 회원 단말기의 예시 그림이다.
회원 단말기(3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310), 단말기 입력부(320), 단말기 표시부(330), 및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34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310)는,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단말기 입력부(320)는,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 수단을 표시하여 선호장르, 가격대 등을 선택받을 수 있다.
단말기 표시부(330)는,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창이다. 입력부와 표시부는 터치스크린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340)은, 단말기 입력부(320)로부터 입력되는 회원 정보를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340)은, 미술 큐레이션 서버(200)로부터 추천받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단말기 표시부(330)에 표시한다. 또한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340)은, 회원이 구매 결정한 미술 작품의 결제를 수행한다. 참고로, 스마트폰(smart phone) 등으로 구현되는 회원 단말기(300)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서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340)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340)은,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중에서, 회원의 거주지역에서 열리는 미술 전시회 정보, 또는 검색 키워드 입력을 통하여 검색 키워드 지역에서 열리는 미술 전시회 정보만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33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회원은 자신이 방문하고자 하는 지역의 미술 전시회 정보만을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340)은, 각 회원이 설정한 표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사용자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미술 멀티미디어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M2M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SNS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한다. 나아가 우선 순위가 높은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일수록 더 크게 표시하도록 구현한다. 따라서 회원은 자신이 원하는 미술 전시회 정보를 먼저 순서대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유무선 통신망
200:미술 큐레이션 서버
300:회원 단말기

Claims (9)

  1. 미술 전시회 및 미술 작품을 추천해주는 미술 큐레이션 서버에 등록된 회원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로부터 추천받는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표시하고, 회원이 구매 결정한 미술 작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회원 단말기;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갱신하여 저장하는 서버로서, 각 회원에게 추천할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생성하며, 생성한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상기 회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미술 큐레이션 서버; 및
    상기 회원 단말기와 미술 큐레이션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
    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는,
    회원 단말기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각각 지원하는 서버 통신부;
    회원의 회원 주소, 연락처, 이름, 결제수단,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를 포함한 회원 정보가 저장된 회원 정보 저장부;
    미술 전시회 정보 및 미술 작품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정보 저장부;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에 기반하여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하거나,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에 기반하여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거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
    회원별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각 회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추천 미술 정보 제공부; 및
    회원이 구매 결정한 미술 작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은,
    상기 회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회원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사용자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은,
    이미지,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한 미술 멀티미디어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미술 멀티미디어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은,
    원격 여가활용을 모니터링하여 파악한 M2M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M2M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천 미술 정보 생성부에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되는 SNS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 엔진에 적용하여 SNS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원 단말기는,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기 통신부;
    회원 선호장르 및 회원 선호 가격대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입력받는 단말기 입력부;
    상기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가 표시되는 단말기 표시부; 및
    상기 단말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회원 정보를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미술 큐레이션 서버로부터 추천받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및 추천 미술 작품 정보를 상기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회원이 구매 결정한 미술 작품의 결제를 수행하는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은,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중에서, 회원의 거주지역에서 열리는 미술 전시회 정보, 또는 검색 키워드 입력을 통하여 검색 키워드 지역에서 열리는 미술 전시회 정보만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 표시부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미술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은,
    각 회원이 설정한 표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사용자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미술 멀티미디어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M2M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 SNS 정보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며, 우선 순위가 높은 추천 미술 전시회 정보일수록 더 크게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014266A 2017-02-01 2017-02-01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KR101931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66A KR101931807B1 (ko) 2017-02-01 2017-02-01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66A KR101931807B1 (ko) 2017-02-01 2017-02-01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653A true KR20180089653A (ko) 2018-08-09
KR101931807B1 KR101931807B1 (ko) 2018-12-21

Family

ID=6325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266A KR101931807B1 (ko) 2017-02-01 2017-02-01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8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474A (ko) *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아티스티 인공 지능 기반의 큐레이팅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12308468A (zh) * 2020-11-26 2021-02-02 上海济邦投资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政府支付能力分析系统
KR20210099330A (ko) * 2020-02-04 2021-08-1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KR20220018398A (ko) * 2020-08-06 2022-02-15 박현정 가상현실(vr) 기술 기반의 갤러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KR20220142692A (ko) * 2021-04-15 2022-10-24 나윤수 미술 작품 및 전시회 큐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249B1 (ko) 2005-08-29 2007-06-20 (주)미디어포스 이미지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249B1 (ko) 2005-08-29 2007-06-20 (주)미디어포스 이미지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474A (ko) *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아티스티 인공 지능 기반의 큐레이팅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20242089A3 (ko) * 2019-05-30 2021-01-14 주식회사 아티스티 인공 지능 기반의 큐레이팅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US11966962B2 (en) 2019-05-30 2024-04-23 Artisty Inc.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urating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KR20210099330A (ko) * 2020-02-04 2021-08-1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KR20220018398A (ko) * 2020-08-06 2022-02-15 박현정 가상현실(vr) 기술 기반의 갤러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CN112308468A (zh) * 2020-11-26 2021-02-02 上海济邦投资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政府支付能力分析系统
KR20220142692A (ko) * 2021-04-15 2022-10-24 나윤수 미술 작품 및 전시회 큐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807B1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807B1 (ko) 빅데이터 분석기반 미술 전시회/미술 작품 추천 앱 서비스 시스템
US1189337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s for enabling delivery and access of applications and services
CN107203894B (zh) 信息推送方法和装置
US20200201490A1 (en) Providing content via multiple display devices
CN107390994B (zh) 界面呈现方法和装置
US10275798B1 (en) Tracking analytic information for deep links between mobile applications executing on a client device
US20180020252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channel management platform, and terminal
US11360640B2 (en) Method, device and browser for presenting recommended news,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237457A1 (en) Sim based data op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method
US201500822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images
US20150142512A1 (en) Us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dvertisement distribution system
US20160261921A1 (en) Context based shopping capabilities when viewing digital media
CN113568699B (zh) 一种内容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40102381A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컨텐츠 추천 방법
US10003620B2 (en) Collaborative analytics with edge devices
US201301734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stem thereof
USRE49889E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or modifying electronic shopping lists from digital advertisements
US201901222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through lock screen on basis of message associated application
US20210241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enabled gift cards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oduct database
KR20140044234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2498730B1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웹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66270A (ko) 사업자 메시지 통합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JP201424102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742455B1 (ko) 비콘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1940280B1 (ko) 회원 위치 기반 미술 작품/미술 전시회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