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646A - 다기능 스마트 거울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마트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646A
KR20180089646A KR1020170014252A KR20170014252A KR20180089646A KR 20180089646 A KR20180089646 A KR 20180089646A KR 1020170014252 A KR1020170014252 A KR 1020170014252A KR 20170014252 A KR20170014252 A KR 20170014252A KR 20180089646 A KR20180089646 A KR 20180089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irror
face
voic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제
이정문
강현구
함영인
김동건
진현준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646A/ko
Publication of KR2018008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4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with signall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incorrect posture, for deep-breathing exerci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 거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 시,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압력 센서 모듈이 구비된 스마트 방석을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어떤 영역에 치중되어 있는지 분산 정도를 산출하여 이미지 형태로 나타내고, 바르지 않은 자세로 일정 시간 근무를 지속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도록 현재 자세를 토대로 자세 교정에 대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스마트 방석에 착석 시에는 앉아서 업무를 본 시간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일어서서 활동한 시간으로 판단하여 스마트기기에 저장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근무 시간을 그래프로 산출하여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근무 기록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장시간 앉은 자세로 근무하는 형태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누적시간 마다 알림 메시지나 알람신호를 발생시키고 사용자가 자리에서 일어서서 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한 활동 지침서를 제공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근무 중에도 건강 증진에 유념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스마트 거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스마트 거울{Multifunction smart mirror}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 거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거울에 카메라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미지 정보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고, 특정 사용자를 인식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대응되는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카메라 모듈로 거울에 비춰지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보를 앞서 저장된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응화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거울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카메라 모듈로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기 전 조사 모듈로 기준선 또는 기준 범위를 제공함으로 촬영 전 사용자의 위치를 고정하여 오차범위를 최소화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모습의 차이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스마트 거울에 관한 것이다.
거울은 인류가 오래전부터 사용해 온 매우 친근한 물건으로서, 자기 모습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즉, 사람들은 하루에도 몇 번씩 거울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비춰보게 되는 데 이는 실시간 확인만 가능할 뿐 그 모습을 저장해둘 수 없다. 최근에는 카메라 기능의 발달로 인해 셀프 사진 촬영을 하여 자신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뿐 아니라 기록해두어 차후에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모습의 변천사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자신의 모습을 기록해두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매번 휴대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셀프 사진을 촬영하기란 번거로운 일이다. 이에 따라 거울에 카메라 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거울에 자신의 모습을 비춰볼 때 사진을 촬영하는 방식에 대한 제안도 있었으나, 카메라가 설치된 거울을 활용하는 방식은 아직 미흡한 수준이며, 카메라가 설치된 거울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단말기들은 사용자의 심박수, 운동량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개인용 단말기가 제공하는 정보들은 크기가 작은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별도의 동작(예를 들어 화면을 터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의해서 실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운동에 따른 체형 변화를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공개특허공보 2017-0005975호(2017.1.1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스마트 거울을 통해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도록 인지시키고, 시간에 따른 체형의 변화를 정확하게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 관리에 유념할 수 있도록 하며, 거울 앞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자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거울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생활에 도움을 주는 다기능 스마트 거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거울은 소정 부분에 빛이 투과될 수 있는 거울; 거울의 후방에 장착되어 거울의 전방으로 화면을 투사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거울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 사용자의 얼굴, 몸 또는 음성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얼굴, 몸 또는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각 모듈들을 제어하여 화상정보가 거울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 디스플레이 모듈로 투사된 자료, 입력부에 입력된 자료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거울의 전방에 장착되어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조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입력부로 입력된 사용자의 얼굴, 또는 음성을 인식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 또는 음성이 미리 저장된 얼굴 또는 음성 정보와 동일하면, 거울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 변화를 기록하여 열람하기 위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몸의 체형을 입력받고, 조사 모듈을 통해 거울 전방으로 지시선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지시선에 맞춰 위치하면 카메라 모듈을 통해 특정 자세에서 촬영하고, 저장부를 통해 저장하게 되며, 이로 촬영된 사진이 적어도 2개 이상 저장되면 전(before)과 후(after)에 따른 변화를 제어부에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변화된 차이를 거울에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울에 카메라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미지 정보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고, 특정 사용자를 인식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대응되는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카메라 모듈로 거울에 비춰지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보를 앞서 저장된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응화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거울의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사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카메라 모듈로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기 전 조사 모듈로 기준선 또는 기준 범위를 제공함으로 촬영 전 사용자의 위치를 고정하여 오차범위를 최소화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모습의 차이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거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거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거울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거울의 거울에 각종 정보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거울의 체형 변화를 인지하기 위해 조사 모듈의 사용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 거울(100)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거울(10)에 카메라 모듈(3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미지 정보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고, 특정 사용자를 인식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대응되는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카메라 모듈(30)로 거울(10)에 비춰지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보를 앞서 저장된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응화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거울(10)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카메라 모듈(30)로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기 전 조사 모듈(60)로 기준선 또는 기준 범위를 제공함으로 촬영 전 사용자의 위치를 고정하여 오차범위를 최소화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모습의 차이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스마트 거울(1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거울(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거울(100)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거울(100)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거울(100)의 거울(10)에 각종 정보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거울(100)의 체형 변화를 인지하기 위해 조사 모듈(60)의 사용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거울(100)은 거울(10), 디스플레이 모듈(20), 카메라 모듈(30), 입력부(40), 제어부(50), 조사 모듈(60), 저장부(70), 및 조명 모듈(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거울(1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거울(10)은 소정 부분에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20) 상부에 설치되고, 일정한 투과 기능을 가지는 반투명 거울(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거울(10)은 실내보다 밝은 빛은 투과하고 실내보다 어두운 빛은 거울(10)이 유지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외부 광은 반사하고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화면 정보는 투과하는 원웨이 미러(One way mirro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울(10)은 피사체의 모습을 반사하여 비춰줌과 동시에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화면 정보를 전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거울(10)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필요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화면 정보(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20)에서 방출되는 빛과 화면 정보를 투영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0)은 거울(10)의 후방에 장착되어 거울(10)의 전방으로 화면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외부의 전원 및 신호를 인가받아 전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후술할 제어부(50)에 연결되어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 모듈(30)은 거울(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 카메라 1개로 단정하는 것은 아니며, 각도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여러 대가 설치되어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30)의 카메라의 각도가 변경될 경우 변경된 각을 제어부(50)에서 저장부(7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 모듈(30)로 촬영한 파일을 저장부(70)에 저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입력부(40)는 사용자의 얼굴, 몸 또는 음성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50)는 입력부(40)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얼굴, 몸 또는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각 모듈들을 제어하여 화상정보가 거울(10)에 표시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50)는 입력부(40)로 입력된 사용자의 얼굴, 또는 음성을 인식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 또는 음성이 미리 저장된 얼굴 또는 음성 정보와 동일하면, 거울(10)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50)를 통해 현재 날씨를 거울(10)에 출력하도록 하여 특히, 외출 전 용모를 확인하고, 날씨를 편리하게 인지하여 외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저장하고 제어부(50)는 카메라 모듈(30)에서 촬영된 현재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고, 얼굴 이미지의 비교 분석 시 패턴 알고리즘 또는 특징점 추출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에서 신분 확인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모듈(20)을 동작시켜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화면 정보가 거울(1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초기에 자신의 얼굴이 인식되면 뉴스 정보가 거울(10)에 출력되도록 설정한 경우, 제어부(50)는 저장부(70)에 저장된 얼굴과 동일하면 디스플레이 모듈(20)을 자동으로 온(ON) 시킨 후, 디스플레이 모듈(20)의 뉴스 정보가 거울(10)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0)의 화면 정보는 저장부(70)에 기 저장된 정보일 수 있고, 웹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정보일 수도 있다.
저장부(70)는 디스플레이 모듈(20)로 투사된 자료, 입력부(40)에 입력된 자료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사 모듈(60)은 거울(10)의 전방에 장착되어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체형 변화를 기록하여 열람하기 위해, 입력부(4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몸의 체형을 입력받고, 조사 모듈(60)을 통해 거울(10) 전방으로 지시선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지시선에 맞춰 위치하면 카메라 모듈(30)을 통해 특정 자세에서 촬영하고, 저장부(70)를 통해 저장하게 되며, 이로 촬영된 사진이 적어도 2개 이상 저장되면 전(before)과 후(after)에 따른 변화를 제어부(50)에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을 통해 변화된 차이를 거울(10)에 도시하도록 할 수 있어 촬영 전 사용자의 위치를 고정하여 오차범위를 최소화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모습의 차이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조명 모듈(80)은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의 색상을 센싱하여 조명의 색상 또는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 및 밝기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는 조명 모듈(80)을 이용하여 화면에 보다 원하는 모습으로 비치는 것을 확인하고 카메라 모듈(30)로 촬영할 수 있어 보다 만족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거울
20 - 디스플레이 모듈
30 - 카메라 모듈
40 - 입력부
50 - 제어부
60 - 조사 모듈
70 - 저장부
80 - 조명 모듈
100 - 다기능 스마트 거울

Claims (5)

  1. 소정 부분에 빛이 투과될 수 있는 거울;
    거울의 후방에 장착되어 거울의 전방으로 화면을 투사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거울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 및
    사용자의 얼굴, 몸 또는 음성을 입력받는 입력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스마트 거울.
  2. 소정 부분에 빛이 투과될 수 있는 거울;
    거울의 후방에 장착되어 거울의 전방으로 화면을 투사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거울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
    사용자의 얼굴, 몸 또는 음성을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얼굴, 몸 또는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각 모듈들을 제어하여 화상정보가 거울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 모듈로 투사된 자료, 입력부에 입력된 자료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스마트 거울.
  3. 제2항에 있어서
    거울의 전방에 장착되어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조사 모듈
    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스마트 거울.
  4. 제3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입력부로 입력된 사용자의 얼굴, 또는 음성을 인식하여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 또는 음성이 미리 저장된 얼굴 또는 음성 정보와 동일하면, 거울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거울.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형 변화를 기록하여 열람하기 위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몸의 체형을 입력받고, 조사 모듈을 통해 거울 전방으로 지시선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지시선에 맞춰 위치하면 카메라 모듈을 통해 특정 자세에서 촬영하고, 저장부를 통해 저장하게 되며, 이로 촬영된 사진이 적어도 2개 이상 저장되면 전(before)과 후(after)에 따른 변화를 제어부에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변화된 차이를 거울에 도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거울.
KR1020170014252A 2017-02-01 2017-02-01 다기능 스마트 거울 KR20180089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52A KR20180089646A (ko) 2017-02-01 2017-02-01 다기능 스마트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52A KR20180089646A (ko) 2017-02-01 2017-02-01 다기능 스마트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646A true KR20180089646A (ko) 2018-08-09

Family

ID=6325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252A KR20180089646A (ko) 2017-02-01 2017-02-01 다기능 스마트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64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3090A (zh) * 2019-05-31 2019-08-16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多用途语音播报镜
KR102046650B1 (ko) * 2018-12-12 2019-11-20 주식회사 디자인방위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WO2020153662A1 (ko) * 2019-01-25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체형 관리 장치
CN111685553A (zh) * 2019-03-12 2020-09-22 丽宝大数据股份有限公司 智能镜的闹钟控制方法
KR20210147537A (ko) * 2020-05-29 2021-12-07 울산과학기술원 영화관 퇴장 유도 시스템
KR20220138064A (ko) * 2021-04-02 2022-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842027B2 (en) 2021-03-17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650B1 (ko) * 2018-12-12 2019-11-20 주식회사 디자인방위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WO2020153662A1 (ko) * 2019-01-25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체형 관리 장치
CN111685553A (zh) * 2019-03-12 2020-09-22 丽宝大数据股份有限公司 智能镜的闹钟控制方法
CN110123090A (zh) * 2019-05-31 2019-08-16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多用途语音播报镜
KR20210147537A (ko) * 2020-05-29 2021-12-07 울산과학기술원 영화관 퇴장 유도 시스템
US11842027B2 (en) 2021-03-17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20220138064A (ko) * 2021-04-02 2022-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9646A (ko) 다기능 스마트 거울
US7340159B2 (en) Image taking device and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
US8190239B2 (en) Individual identification device
JP3562970B2 (ja) 生体識別装置
JP2008118276A (ja) カメラ付き移動機器およびその撮影支援方法
KR20130123859A (ko) 홍채 인식 및 근접 센싱 가능한 단말 장치 및 방법
CN108965733A (zh) 补光控制方法、智能穿戴设备、智能补光系统以及装置
KR101979355B1 (ko) 뷰티 큐레이션을 위한 큐레이터 미러 및 그의 제어방법
CN108200340A (zh) 能够检测眼睛视线的拍照装置及拍照方法
CN110320998A (zh) 对用于三维(3d)注视预测的神经网络的训练
US11675429B2 (en) Calibration, customization, and improved user experience for bionic lenses
KR101679417B1 (ko) 스마트거울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628320B2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mage transmission function
ES2899737T3 (es) Método implementado en ordenador y sistema para la prevención del deterioro de la visión causado por el uso prolongado de pantallas electrónicas en condiciones de baja iluminación
US20150178589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944903B2 (en) Method for acquiring image using different focus at different depth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8124457A (ja) 顔画像処理装置
CN108156387A (zh) 通过检测眼睛视线自动结束摄像的装置及方法
KR100741426B1 (ko) 이동 단말기에서 폰트 자동 조절 방법
JP2015226754A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画像認識プログラム
KR20170005975A (ko) 디지털 거울
KR20050059759A (ko) 카메라폰의 촬영 안내 방법 및 장치
JP2009193197A (ja) 虹彩認証方法及び虹彩認証装置
KR100651206B1 (ko) 안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휴대폰의 영상 촬영 시스템 및그 방법
KR20130119759A (ko) 3차원 물체 인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