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367A - 표면외관이 개선된 섬유강화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표면외관이 개선된 섬유강화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367A
KR20180089367A KR1020180089536A KR20180089536A KR20180089367A KR 20180089367 A KR20180089367 A KR 20180089367A KR 1020180089536 A KR1020180089536 A KR 1020180089536A KR 20180089536 A KR20180089536 A KR 20180089536A KR 20180089367 A KR20180089367 A KR 20180089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ketone
bis
composition
polymeriza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호
김중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8008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367A/ko
Publication of KR2018008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59/00 - C08L71/00;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3/02Polyan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th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와 적어도 1종의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선상 교대 폴리케톤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 및 보강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외관이 개선된 폴리케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면외관이 개선된 폴리케톤 조성물은 일정 수준의 용융지수를 가지면서도 표면이 개선됨으로써 각종 산업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표면외관이 개선된 섬유강화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 조성물 {Glass Fiber reinforced Polyketone Alloy resin formulation having improved surface appearance}
본 발명은 표면 외관이 개선된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폴리케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 및 보강 섬유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면외관이 개선된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폴리케톤 또는 폴리케톤 폴리머로 알려져 있는, 일산화탄소와 적어도 1종의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로 되는 한 무리의 선상 교대 폴리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4,880,903호는 일산화탄소와 에틸렌과 타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 예를 들면 프로필렌(propylene)으로 이루어진 선상 교대 폴리케톤 터폴리머(polyketone terpolymer)를 개시하고 있다.
폴리케톤 폴리머의 제조 방법은 통상 팔라듐(palladium), 코발트(cobalt) 또는 니켈(nikel)중으로부터 선택된 제VIII족 금속의 화합물과, 비하이드로 할로겐(hydro halogen) 강산(strongon-hydrohalogentic acid)의 음이온과, 인, 비소 또는 안티몬(Antimon)의 2좌 배위자로부터 생성되는 촉매 조성물을 사용한다.
미국 특허 제4,843,144는 팔라튬 화합물과, pKa가 6 미만의 비하이드로할로겐산의 음이온과, 인의 2좌 배위자로 되는 촉매를 사용하여 일산화탄소와 적어도 1개의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와의 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폴리케톤의 기계적 강도 개선 등의 물성 개선을 위해 유리섬유 등을 첨가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유리 섬유의 경우 물성의 개선을 위해서는 다량을 첨가해야 하고 이로 인해 사출시 표면 돌출 및 flow 궤적 자국에 의한 flow mark가 발생하여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어 표면특성이 개선된 폴리케톤 조성물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664232호 한국등록특허 제 1664256호 일본공개특허 제 1995-266503호 미국등록특허 제 6180197호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케톤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 및 보강 섬유를 첨가하는 조성물을 사출함으로써 일정 수준의 용융지수를 가지면서도 표면외관이 개선된 폴리케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와 적어도 1종의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선상 교대 폴리케톤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의 혼합물 및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것으로 240℃에서 용융지수가 5 내지 10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보강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폴리케톤 조성물 전체중량 대비 보강섬유의 함유량이 20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폴리케톤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의 혼합물에 있어 폴리케톤은 전체 혼합물의 70 내지 95%,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는 전체 혼합물의 5 내지 30%의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폴리케톤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되어 제조된 폴리케톤 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면외관이 개선된 폴리케톤 조성물은 기계적 강도 등의 물성을 개선하면서도 우수한 흐름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 표면을 개선할 수 있고, 폴리케톤과 다른 수지와의 합성에 있어 물성을 조절하는 데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1의 조성물의 사출시 flow 궤적 및 flow mark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2은 실시예2의 조성물의 사출시 flow 궤적 및 flow mark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3의 조성물의 사출시 flow 궤적 및 flow mark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4은 실시예4의 조성물의 사출시 flow 궤적 및 flow mark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5은 비교예1의 조성물의 사출시 flow 궤적 및 flow mark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6은 비교예2의 조성물의 사출시 flow 궤적 및 flow mark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7은 비교예3의 조성물의 사출시 flow 궤적 및 flow mark를 관찰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케톤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의 혼합물 및 보강섬유를 첨가함으로써 표면 외관이 우수하게 개선된 폴리케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케톤(poly ketone)수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며 근래 개발된 새로운 수지로서, 충격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 및 성형특성이 탁월하여 각종 성형품이나 부품의 소재로 유용하게 적용되고 있는 열가소성합성수지이다. 폴리케톤 수지의 기계적 물성은 고성능 플라스틱의 범주에 속하며, 일산화탄소를 원료로 합성하는 고분자 물질인 바, 친환경 소재로서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
폴리케톤 수지는 폴리아미드 재질에 비하여 수분흡습도가 낮아 수분 흡습에 따른 치수 및 물성변화가 적고 다양한 제품 설계가 가능한 소재이다. 특히 폴리케톤 수지는 알루미늄 재질에 비하여 밀도가 낮아 제품 경량화에도 매우 적합하다.
이하, 상기 폴리케톤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폴리케톤의 제조공정은 (a) 제 9족, 제 10족 또는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b) 제 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로 이루어지는 유기금속 착체 촉매의 존재 하에, 액상 매체 중에서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및 프로필렌성 불포화 화합물을 삼원공중합시켜 폴리케톤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액상 매체로서 70~90용량%의 초산과 10~30용량%의 물로 이루어지는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중합시 벤조페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액상 매체로서 종래 폴리케톤의 제조에 주로 사용되어 오던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또는 니트로메탄 등을 사용하지 않고, 초산과 물로 이루어지는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폴리케톤의 제조에 액상 매체로서 초산과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케톤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면서 촉매활성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액상매체로서 초산과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 시, 물의 농도가 10용량% 미만으로 적을 때는 촉매활성에 영향을 덜미치지만, 10용량% 이상의 농도가 되면 촉매활성이 급격히 증가한다. 반면, 물의 농도가 30용량%를 초과하면 촉매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액상매체로서 70~90용량%의 초산과 10~30용량%의 물로 이루어지는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촉매는, 주기율표(IUPAC 무기화학 명명법 개정판, 1989)의 (a) 제 9족, 제 10족 또는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 (b) 제 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9족, 제 10족 또는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a) 중 제 9족 전이금속 화합물의 예로서는, 코발트 또는 루테늄의 착체, 카본산염, 인산염, 카바민산염, 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초산 코발트, 코발트 아세틸아세테이트, 초산 루테늄, 트리플루오로 초산 루테늄, 루테늄 아세틸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폰산루테늄 등을 들 수 있다.
제 10족 전이금속 화합물의 예로서는, 니켈 또는 팔라듐의 착체, 카본산염, 인산염, 카바민산염, 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초산 니켈, 니켈 아세틸아세테이트, 초산 팔라듐, 트리플루오로 초산 팔라듐, 팔라듐 아세틸아세테이트, 염화 팔라듐, 비스(N,N-디에틸카바메이트)비스(디에틸아민)팔라듐, 황산 팔라듐 등을 들 수 있다.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의 예로서는, 구리 또는 은의 착체, 카본산염, 인산염, 카바민산염, 술폰산염 등을 들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초산 구리, 트리플루오로 초산 구리, 구리 아세틸아세테이트, 초산 은, 트리플루오로초산 은, 은 아세틸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폰산 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값싸고 경제적으로 바람직한 전이금속 화합물(a)은 니켈 및 구리 화합물이고, 폴리케톤의 수득량 및 분자량의 면에서 바람직한 전이금속 화합물(a)은 팔라듐 화합물이며, 촉매활성 및 고유점도 향상의 면에서 초산 팔라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 15족의 원자를 가지는 리간드(b)의 예로서는, 2,2'-비피리딜, 4,4'-디메틸-2,2'-비피리딜, 2,2'-비-4-피콜린, 2,2'-비키놀린 등의 질소 리간드,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1,4-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 1,3-비스[디(2-메틸)포스피노]프로판, 1,3-비스[디(2-이소프로필)포스피노]프로판, 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1,3-비스[디(2-메톡시-4-술폰산나트륨-페닐)포스피노]프로판,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시클로헥산,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벤젠,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틸]벤젠, 1,2-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메틸]벤젠, 1,2-비스[[디(2-메톡시-4-술폰산나트륨-페닐)포스피노]메틸]벤젠,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2-히드록시-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2,2-디메틸-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등의 인 리간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제 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b)는, 제 15족의 원자를 가지는 인 리간드이고, 특히 폴리케톤의 수득량의 면에서 바람직한 인 리간드는 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1,2-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메틸]벤젠이고, 폴리케톤의 분자량의 측면에서는 2-히드록시-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2,2-디메틸-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이고, 유기용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안전하다는 면에서는 수용성의 1,3-비스[디(2-메톡시-4-술폰산나트륨-페닐)포스피노]프로판, 1,2-비스[[디(2-메톡시-4-술폰산나트륨-페닐)포스피노]메틸]벤젠이고, 합성이 용이하고 대량으로 입수가 가능하고 경제면에 있어서 바람직한 것은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1,4-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이다. 바람직한 제 15족의 원자를 가지는 리간드(b)는 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또는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3-비스[디(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또는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의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은 현재까지 소개된 폴리케톤 중합촉매 중 최고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3,3-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파닐메틸]-1,5-디옥사-스파이로[5,5]운데칸과 동등한 활성 발현을 보이되 그 구조는 더욱 단순하고 분자량 또한 더욱 낮은 물질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당분야의 폴리케톤 중합촉매로서 최고활성을 확보하면서도 그 제조비용 및 원가는 더욱 절감된 신규한 폴리케톤 중합촉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폴리케톤 중합촉매용 리간드의 제조방법은은 다음과 같다. 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5,5-비스(브로모메틸)-2,2-디메틸-1,3-디옥산 및 수소화나트륨(NaH)을 사용하여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중합촉매용 리간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폴리케톤 중합촉매용 리간드 제조방법은 종래 3,3-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파닐메틸]-1,5-디옥사-스파이로[5,5]운데칸의 합성법과는 달리 리튬이 사용되지 않는 안전한 환경하에서 용이한 프로세스를 통해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을 상업적으로 대량합성할 수 있다.
한편 중합촉매에 사용되는 리간드로 (사이클로헥세인-1,1-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을 사용하는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리간드를 합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케톤 중합촉매용 리간드 제조방법은 (a) 질소 대기하에서 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및 디메틸설폭시드(DMSO)를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수소화나트륨을 가한 뒤 교반하는 단계; (b) 얻어진 혼합액에 5,5-비스(브로모메틸)-2,2-디메틸-1,3-디옥산 및 디메틸설폭시드를 가한 뒤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c) 반응 완료 후 메탄올을 투입하고 교반하는 단계;(d) 톨루엔 및 물을 투입하고 층분리 후 유층을 물로 세척한 다음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후 감압 여과를 하고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e) 잔류물을 메탄올 하에서 재결정하여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를 얻는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제 9족, 제 10족 또는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a)의 사용량은, 선택되는 에틸렌성 및 프로필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종류나 다른 중합조건에 따라 그 적합한 값이 달라지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그 범위를 한정할 수는 없으나, 통상 반응대역의 용량 1리터당 0.01~100밀리몰, 바람직하게는 0.01~10밀리몰이다. 반응대역의 용량이라는 것은, 반응기의 액상의 용량을 말한다. 리간드(b)의 사용량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전이금속 화합물 (a) 1몰당, 통상 0.1~3몰, 바람직하게는 1~3몰이다.
또한, 폴리케톤의 중합시 벤조페논을 첨가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케톤의 중합시 벤조페논을 첨가함으로써 폴리케톤의 고유점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a) 제 9족, 제 10족 또는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과 벤조페논의 몰비는 1 : 5~100, 바람직하게는 1 : 40~60 이다. 전이금속과 벤조페논의 몰비가 1 : 5 미만이면 제조되는 폴리케톤의 고유점도 향상의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전이금속과 벤조페논의 몰비가 1 : 100을 초과하면 제조되는 폴리케톤 촉매활성이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일산화탄소와 공중합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예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비닐시클로헥산 등의 α-올레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알케닐 방향족 화합물; 시클로펜텐, 노르보르넨, 5-메틸노르보르넨, 5-페닐노르보르넨, 테트라시클로도데센, 트리시클로도데센, 트리시클로운데센, 펜타시클로펜타데센, 펜타시클로헥사데센, 8-에틸테트라시클로도데센 등의 환상 올레핀; 염화비닐 등의 할로겐화 비닐;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은 α-올레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4인 α-올레핀,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이며 삼원 공중합 폴리케톤 제조에 있어서는 120mol% 프로필렌을 투입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투입비를 1 : 1~2(몰비)로 조절하고 프로필렌을 전체 혼합가스 대비 1~20mol%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케톤의 제조시,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투입비를 1 : 1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액상 매체로서 초산과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중합시 벤조페논을 첨가하는 본 발명에서는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투입비를 1 : 1~2로 하고 프로필렌을 전체 혼합가스 대비 1~20mol%로 조절하는 경우 가공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촉매활성 및 고유점도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프로필렌의 투입량이 1mol% 미만일 경우 용융온도를 낮추고자 하는 삼원공중합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0mol%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유점도 및 촉매 활성 향상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므로 투입비를 1~20mol%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정에서는 액상 매체로서 초산과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중합시 벤조페논을 첨가하며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올레핀성 불포화 화합물을 투입함으로써 폴리케톤의 촉매활성 및 고유점도가 향상되는 것뿐 아니라, 종래 기술에서는 고유점도 향상을 위해 중합시간을 최소한 10시간 이상으로 해야 했던 것과는 달리, 중합시간을 12시간 정도로만 해도 높은 고유점도를 가진 삼원 공중합 폴리케톤의 제조가 가능하다.
일산화탄소와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및 프로필렌성 불포화 화합물 삼원 공중합은 상기 제 9족, 제 10족 또는 제 11족 전이금속 화합물(a), 제 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b) 로 이루어지는 유기금속 착체 촉매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상기 촉매는 상기 2성분을 접촉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접촉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적당한 용매 중에서 2성분을 미리 혼합한 용액으로 만들어 사용해도 좋고, 중합계에 2성분을 각각 따로따로 공급하여 중합계 내에서 접촉시켜도 좋다.
중합법으로서는 액상 매체를 사용하는 용액중합법, 현탁중합법, 소량의 중합체에 고농도의 촉매 용액을 함침시키는 기상중합법 등이 사용된다. 중합은 배치식 또는 연속식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중합에 사용하는 반응기는, 공지의 것을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온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으로 40~180℃, 바람직하게는 50~120℃가 채용된다. 중합시의 압력에 대해서도 제한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상압~20MPa, 바람직하게는 4~15MPa이다.
이상,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따라 폴리케톤이 중합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케톤 폴리머는 선상 교대 구조체이고, 또 불포화 탄화수소 1분자 마다 실질적으로 일산화탄소를 포함하고 있다. 폴리케톤 폴리머의 전구체로서 사용하는데 적당한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는 20개 이하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0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지닌 에텐, α-올레핀(예컨대, 프로펜(propene), 1-부텐(butene), 아이소부텐(isobutene), 1-헥센(hexene) 및 1-옥텐(octene))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또는 지방족 분자 상에 아릴(aryl) 치환기가 형성된 아릴지방족 탄화수소, 특히 에틸렌계 불포화 탄소원자 상에 아릴 치환기가 형성된 아릴지방족 탄화수소이다.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 중 아릴지방족 탄화수소로는 스티렌(styrene), p-메틸스티렌(methyl styrene), p-에틸스티렌(ethyl styrene) 및 m-이소프로필 스티렌(isopropyl styrene)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머는 일산화탄소와 에텐과 적어도 3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제2의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특별히, 프로펜(propene))와 같은 a-올레핀과의 선상 터폴리머(terpolymer)이다.
상기 폴리케톤 터폴리머를 본 발명의 블랜드의 주요 폴리머 성분으로서 사용할 때에, 터폴리머내의 제2의 탄화수소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각단위에 대하여, 에틸렌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단위가 적어도 2개 있다. 제2의 탄화수소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단위가 10~100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체예로, 상기 폴리케톤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낸 단위를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CO-(-CH2-CH2-)-]x-[CO-(G)]y-
상기 화학식 2 중, G는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로서, 특히 적어도 3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에틸렌계 불포화탄화수소로부터 얻어지는 부분이고, x:y는 적어도 1:0.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구체예로, 상기 폴리케톤 폴리머는 일반식 (1)과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로서, y/x가 0.03~0.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y/x값의 수치가 0.03 미만인 경우, 용융성 및 가공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고, 0.3을 초과하는 경우는 기계적 물성이 떨어진다. 또한 y/x는 더욱 바람직하게 0.03 내지 0.1이다.
-[-CH2CH2-CO]x- (1)
-[-CH2-CH(CH3)-CO]y- (2)
한편, 상기 폴리케톤 수지의 바람직한 고유점도(LVN)는 0.5~10 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4 dl/g,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 dl/g이다. 폴리케톤 수지의 고유점도가 0.5 dl/g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 dl/g을 초과하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에 의하여 측정한 수평균 분자량이 100~200,000 특별히 20,000~90,000의 폴리케톤 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머의 물리적 특성은 분자량에 따라서, 폴리머가 코폴리머인, 또는 터폴리머인 것에 따라서, 또 터폴리머의 경우에는 존재하는 제2의 탄화 수소부분의 성질에 따라서 정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머의 통산의 융점은 175℃~300℃이고, 또한 일반적으로는 210℃~270℃ 이다. 표준 세관점도 측정장치를 사용하고 HFIP(Hexafluoroisopropylalcohol)로 60℃에 측정한 폴리머의 극한 점도 수(LVN)는0.5dl/g~10dl/g, 또한 바람직하게는 0.8dl/g~4dl/g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dl/g~2.0dl/g 이다. 이 때 극한 점도 수가 1.0dl/g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2.0dl/g 을 초과하면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폴리케톤의 분자량 분포는 1.5 내지 2.5인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2.2이 좋다. 1.5 미만은 중합수율이 떨어지며, 2.5를 초과하면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분자량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팔라듐 촉매의 양과 중합온도에 따라 비례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즉, 팔라듐 촉매의 양이 많아지거나, 중합온도가 100℃이상이면 분자량 분포가 커지는 양상을 보인다.
폴리케톤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의 혼합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40 내지 80 중량%로, 그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가공성이 저하되고, 8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강도가 떨어지게 되어 물성이 저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표면외관이 개선된 폴리케톤 조성물은 일산화탄소와 적어도 1종의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선상 교대 폴리케톤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의 혼합물 및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 중 보강섬유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0 내지 60%인 것이다.
이 때, 상기 보강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폴리케톤 조성물 전체중량 대비 보강섬유의 함유량이 20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보강섬유의 함유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강도 개선 등의 물성 개선 효과가 미비하며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이 떨어져 제조가 곤란하다.
한편, 상기 폴리케톤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의 혼합물은 폴리케톤을 70 내지 95 중량%, PBT 또는 PA6을 5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폴리케톤과 PBT 또는 PA6의 혼합물에 있어 폴리케톤의 비율이 7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케톤과 PBT 또는 PA6의 분산 문제로 인한 물성 및 외관 불량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9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개선 효과가 미비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폴리케톤 조성물 제조방법은 팔라듐 화합물, pKa값이 6 이하인 산, 및 인의 2배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알코올(예컨대, 메탄올)과 물을 포함하는 혼합용매(중합용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촉매 조성물 및 혼합용매의 존재 하에서 중합을 진행하여 일산화탄소,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선상 터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선상 터폴리머에서 남은 촉매 조성물을 용매(예컨대, 알코올 및 아세톤)로 제거하여 폴리케톤 수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케톤 수지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 및 보강섬유와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촉매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팔라듐 화합물로는 초산 팔라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10-3~10-1 몰이 적절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촉매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pKa값이 6 이하인 산으로는 트리플루오르 초산, p-톨루엔술폰산, 황산 및 술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르 초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팔라듐 화합물 대비 6~20 (몰)당량이 적절하다.
촉매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인의 2배위자 화합물로는 1,3-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프로판(예컨대, 1,3-비스[다이(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1,3-비스[비스[아니실]포스피노메틸]-1,5-디옥사스피로[5,5]운데칸, ((2,2-디메틸-1,3-디옥산-5,5-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 및 (사이클로헥세인-1,1-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팔라듐 화합물 대비 1~1.2 (몰)당량이 적절하다.
상기 일산화탄소, 에틸렌 및 프로필렌은 알코올(예컨대,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에서 액상 중합되어 선상 터폴리머를 생성하는데, 상기 혼합용매로는 메탄올 100 중량부 및 물 2~10 중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혼합용매에서 물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케탈이 형성되어 공정시 내열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시 반응온도는 50~100℃, 반응압력은 40~60bar의 범위가 적절하다. 생성된 폴리머는 중합 후 여과, 정제 공정을 통해 회수하며, 남은 촉매 조성물은 알코올 또는 아세톤 등의 용매로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얻어진 폴리케톤 수지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 및 보강섬유와 혼합한 다음 압출기로 압출하여 최종적으로 폴리케톤 조성물을 수득한다. 상기 블렌드는 2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혼련 및 압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압출온도는 230~260℃, 스크류 회전속도는 100~300rp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압출온도가 230℃ 미만이면 혼련이 적절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260℃를 초과하면 수지의 내열성 관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회전속도가 100rpm 미만이면 원활한 혼련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폴리케톤 조성물은 MI 값이 5 내지 100g/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50g/min 미만인 경우 가공성이 떨어지며 100g/min을 초과할 경우 물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케톤 조성물을 사출하여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일산화탄소와 에틸렌과 프로펜으로 이루어진 선상 교대 폴리케톤은 초산 팔라듐, 트리 플루오르 초산 및 (사이클로헥세인-1,1-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으로부터 생성한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제조했다. 상기에서 팔라듐 대비 트리 플루오르 초산의 함량은 10배의 몰비이고, 중합온도 78℃의 1단계와 84℃의 2단계를 거친다.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케톤에서 일산화탄소는 50mol%이고, 에틸렌은 46mol%이며, 프로필렌은 4mol%이었다. 또한, 상기 폴리케톤의 융점은 220℃이고, 240℃, 2.16kg 하중 하에서 측정한 용융지수(melt index)는 230-280 g/10min이었다
상기 제조된 폴리케톤 터폴리머(POK) 58.5중량%,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6.5중량%(POK:PBT=9:1) 및 유리섬유 35중량%를 투입하여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조성물을 250rpm으로 작동하는 직경 40cm이며, L/D=32인 2축 스크류를 이용하여 압출기 상에 펠렛(pellet) 상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케톤 터폴리머(POK) 45.5중량%,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19.5 중량%(POK:PBT=7:3)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3
상기 실시예 1 폴리케톤 터폴리머(POK) 58.5중량%, 나일론6(PA6) 6.5 중량% (POK:PA6=9:1)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4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케톤 터폴리머(930POK) 45.5중량%, 나일론6(PA6) 19.5 중량% (POK:PA6=7:3)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melt index가 50-60 g/10min인 폴리케톤 터폴리머 65중량%, 유리섬유 35중량%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melt index가 230-280 g/10min인 폴리케톤 터폴리머 65중량%, 유리섬유 35중량%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나일론6(PA6) 65중량%, 유리섬유 35중량%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2,3,4 및 비교예 1,2,3에서 각각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용융지수(Melt Index): ASTM D1238에 따라 240°C에서 2.16kg 하중으로 측정하며, 10분 동안 용융되어 나온 중합체의 무게(g)로 나타내었다.
MI (g/10min)
실시예1 80
실시예2 12
실시예3 80
실시예4 30
비교예1 27
비교예2 80
비교예3 13
상기 표1에서 보듯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와 비슷한 수준의 용융지수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한편, 표면외관은 실시예1,3이 비교예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어, 폴리케톤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또는 나일론6(PA6)의 혼합물을 투입하는 경우, 폴리케톤만 포함하는 비교예 대비 표면 외관이 개선되면서도 일정 수준의 용융지수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일산화탄소와 적어도 1종의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로 이루어지고, 분자량 분포가 1.5~2.5인 선상 교대 폴리케톤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또는 나일론6(PA6)의 혼합물; 및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조성물로서,
    상기 선상 교대 폴리케톤의 중합 시 사용되는 촉매조성물의 리간드는 (사이클로헥세인-1,1-디일비스(메틸렌))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핀)이며,
    상기 선상 교대 폴리케톤은 240℃에서 용융지수(MI)가 230~280g/10min이며,
    상기 혼합물은 상기 폴리케톤과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나일론6를 9:1~7:3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폴리케톤 조성물 전체중량 대비 보강섬유의 함유량이 20 내지 60 중량%이며,
    240℃에서 용융지수(MI)가 5 내지 10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케톤 조성물.
  3. 제1항의 폴리케톤 조성물로 사출되어 제조된 부품.
KR1020180089536A 2018-07-31 2018-07-31 표면외관이 개선된 섬유강화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20180089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536A KR20180089367A (ko) 2018-07-31 2018-07-31 표면외관이 개선된 섬유강화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536A KR20180089367A (ko) 2018-07-31 2018-07-31 표면외관이 개선된 섬유강화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838 Division 2017-0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367A true KR20180089367A (ko) 2018-08-08

Family

ID=6323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536A KR20180089367A (ko) 2018-07-31 2018-07-31 표면외관이 개선된 섬유강화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3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052B1 (ko) 폴리카보네이트가 포함된 폴리케톤 조성물
KR101867940B1 (ko) 말레산무수물 그라프트 고무를 적용한 폴리케톤 조성물
KR101664919B1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포함된 폴리케톤 조성물
KR101664926B1 (ko)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된 폴리케톤 조성물
KR101675828B1 (ko)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KR101888071B1 (ko) 가공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KR101956626B1 (ko) 표면외관이 개선된 섬유강화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KR101898521B1 (ko) 충격강도 저하를 개선한 폴리케톤/폴리에틸렌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101878795B1 (ko) 내열성이 개선된 폴리케톤 조성물
KR20180085847A (ko) 폴리에스터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조성물
KR101928869B1 (ko) 저온 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플렉시블 튜브
KR101664260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성형제품
KR101705620B1 (ko) 차량용 폴리케톤 연료 펌프
KR101655337B1 (ko) 폴리케톤 변속기 브라켓
KR101706050B1 (ko) 유리섬유가 포함된 폴리케톤 조성물
KR20180089367A (ko) 표면외관이 개선된 섬유강화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101857641B1 (ko) 중분자량 고분자량 폴리케톤 혼합물과 저함량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내열안정성이 개선된 조성물
KR101878794B1 (ko) 장기 내열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케톤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101867937B1 (ko) 내수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폴리케톤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도용 볼 밸브
KR101928864B1 (ko) 장기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KR101849200B1 (ko) 충격강도가 개선된 폴리케톤 조성물
KR101867936B1 (ko) 치수안정성이 높은 폴리케톤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도 파이프 캡
KR101849198B1 (ko) 장기내열안정성이 개선된 표면이 가교(크로스링크)된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폴리케톤 조성물
KR101734888B1 (ko) 파라 아라미드가 포함된 폴리케톤 조성물
KR101716166B1 (ko) 폴리케톤 에어컨용 스템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