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284A - Terminal unit, terminal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erminal unit, terminal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284A
KR20180088284A KR1020180006322A KR20180006322A KR20180088284A KR 20180088284 A KR20180088284 A KR 20180088284A KR 1020180006322 A KR1020180006322 A KR 1020180006322A KR 20180006322 A KR20180006322 A KR 20180006322A KR 20180088284 A KR20180088284 A KR 20180088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xtending direction
unit
tension
co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3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8691B1 (en
Inventor
마사토 도키
유키히로 마츠노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2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6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4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rollers or sliding shoe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08Structure of the sliding shoes or their carry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1/00Non-rotary current collectors 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moving and stationary parts of an electric circ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0Trolleys

Abstract

Provided are a terminal unit, a terminal device, and a power supply system having the same, which can shorten the length of electric wire for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and a power feeding path. The terminal unit (20) is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part (21), a second terminal part, and a unit body (23). The first terminal part (21) mechanically maintains a second end of a core wire (11)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 (11). The second terminal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art (21) and connects an electric wire (7). The unit body (23) maintains the first terminal part (21) and the second terminal part. The unit body (23) has a guide recess (231) and a tension support unit (232). The guide recess (231) is formed across a gap between both sides in an extended direction on a front surface (233) of the unit body (23). The tension support unit (232) receives tension applied to the unit body (23) from the power feeding path (1).

Description

단말 유닛, 단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TERMINAL UNIT, TERMINAL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unit, a terminal apparatus, and a power supply system having the terminal uni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단말 유닛, 단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장력이 작용하는 급전로의 일단부를 유지하는 단말 유닛, 단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terminal unit, a terminal apparatus, and a power supply system having the terminal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unit, a terminal apparatus, and a power supply system .

문헌 1(JP 2008-301577 A)에는, 급전로로부터 크레인 등의 이동 기기에 전력을 전달하는 집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집전 장치는, 집전 암과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집전 암은, 집전자와 암을 구비하고 있다. 암은, 그 일단부가 집전자를 유지하고, 집전자와는 반대쪽의 단부가 고정 부재에 유지되어 있다. 이 집전 장치는, 고정 부재가 이동 기기에 고정됨으로써, 이동 기기에 설치되어 있다.Document 1 (JP 2008-301577 A) discloses a power collecting device for transmitting electric power from a power feeder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crane. The current collector includes a current collector and a fixing member. The collecting arm has the collector and the arm. One end of the arm holds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end of the arm opposite to the current collector is held in the holding member. This current collector is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by fixing the fixing member to the mobile device.

이동 기기와 함께 집전 장치가 이동했을 때, 집전자는 급전로에 접하면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급전로로부터 집전자에 집전되어, 급전로의 전력이 집전자를 거쳐서 이동 기기에 공급된다.When the current collector is moved together with the mobile device, the collector moves while touching the power feeding path. As a result, the current is collected by the current collector from the power feeder, and power of the power feeder is suppli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current collector.

그런데,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급전로(절연 트롤리 선)로서, 그 연장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장력식의 급전로가 알려져 있다. 장력식의 급전로로부터, 예컨대 트래버서 또는 턴테이블 등의 다른 설비의 급전로로, 집전 장치의 갈아타기가 발생하는 경우, 장력식의 급전로는, 그 연장 방향의 일단부가 조임 장치에 유지되고, 타단부가 단말 유닛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조임 장치가 급전로를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급전로에 장력이 작용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급전로는 조임 장치로 외부 회로(외부 전원 등)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조임 장치가 외부 회로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외부 회로와 급전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선 길이가 비교적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0004] As a power supply line (insulated trolley wire) as described in Document 1, there is known a power supply line used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from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In the case where a power take-off unit of a power feeding apparatus occurs in a power feeding path of another facility such as a traverser or a turntable from a power feeding path of a tension formula, one end of the power feeding path of the tension formula is held by the tightening device, And the other end is held in the terminal unit. In this state, tension is applied to the power feeding path by the pulling device pulling the power feeding path.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ower feeding pat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external power supply, etc.) by a tightening device, if the tightening device is disposed at a relatively far position from the external circu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ire length becomes comparatively long.

본 발명은 상기 사유를 감안하여 이루어져 있고, 외부 회로와 급전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선 길이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단말 유닛, 단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급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unit, a terminal device, and a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unit, which can reduce the length of a wi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xternal circuit and a power feeding path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유닛은, 연장 방향의 양 단부를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로 하는 적어도 1개의 심선을 갖고, 상기 제 1 단부 쪽으로부터, 상기 연장 방향을 따른 장력이 상기 심선에 작용하는 급전로를 유지한다. 상기 단말 유닛은, 제 1 단자부와, 제 2 단자부와, 유닛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단자부는, 상기 제 2 단부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상기 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제 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이다. 상기 유닛 본체는, 상기 제 1 단자부 및 상기 제 2 단자부를 유지한다. 상기 유닛 본체는, 가이드 홈과, 장력 받이부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유닛 본체의 전면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방향의 양단 사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심선을 수납한다. 상기 장력 받이부는, 상기 제 1 단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유닛 본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급전로로부터 상기 제 1 단자부를 거쳐서 상기 유닛 본체에 작용하는 장력을 받는다.The terminal uni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core wire having both end portions in the extending direction as a first end portion and a second end portion and a tensile for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from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power supply path that acts on the power supply. The terminal unit includes a first terminal portion, a second terminal portion, and a unit body. The first terminal portion mechanically holds the second end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is a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The unit body holds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he unit main body has a guide groove and a tension receiving portion. The guide groove is formed between both 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nit body, and houses the core wire.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receives a tension acting on the unit body from the power feed path via the first terminal portion by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unit main body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end portion.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유닛과, 상기 유닛 본체를 설치 대상물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장력 받이부에 대하여, 상기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단부 쪽으로부터 접하는 접촉면을 갖는다. 상기 장력 받이부는, 상기 접촉면에 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단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상기 유닛 본체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erminal unit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unit main body to an installation object. The fixing member has a contac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from the first end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is configured to regulate the movement of the unit main body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end portion by contacting the contact surface.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은,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급전로를 구비한다.A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terminal device and the power feed pat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술한 급전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술한 급전 시스템의 단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전술한 단말 장치의 좌측 전방 위쪽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전술한 단말 장치의 우측 후방 아래쪽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전술한 단말 장치의 단말 유닛의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7(a)는 전술한 단말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전술한 단말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8은 전술한 단말 장치의 하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단말 장치의 하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bove-described power supply system.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power supply system.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bove-described terminal device viewed from the left front upper sid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bove-described terminal device as seen from the lower right rear side.
6 is a rear view of the terminal unit of the above-described terminal unit with its cover removed.
7 (a) is a front view of the above-described terminal device, and Fig. 7 (b) is a rear view of the aforementioned terminal device.
8 is a bottom view of the above-described terminal device.
9 is a bottom view of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형태 1)(Embodiment 1)

(1) 개요(1) Overview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로(1)와, 단말 장치(2)와, 조임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예에서는, 급전 시스템(10)은, 설치 대상물로서의 덕트 레일(4)을 더 구비하고 있다. 단, 급전 시스템(10)은, 설치 대상물(덕트 레일(4))을 구성 요소로 포함하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급전 시스템(10)은, 적어도 급전로(1) 및 단말 장치(2)를 구성 요소에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조임 장치(3)를 구성 요소로 포함하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급전 시스템(10)은, 급전로(1)와 단말 장치(2)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1 and 2, the power supply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wer supply path 1, a terminal device 2, and a tightening device 3. As shown in Fig. 1 and 2, the power supply system 10 further includes a duct rail 4 as an installation object. However, the power supply system 10 may not include the installation object (duct rail 4) as a component. The power supply system 10 may include at least the feeder path 1 and the terminal device 2 as constituent elements and may not include the tightening device 3 as a constituent element. In other words, the power feeding system 10 may be constituted by the power feeding path 1 and the terminal device 2.

급전 시스템(10)은, 예컨대, 자동 창고 또는 공장 등의 시설에 있어서, 시설 내를 이동하는 이동 기기로의 급전에 이용되는, 이른바 절연 트롤리(trolley)이다. 이동 기기의 일례로서, 시설 내에 있어서 물품을 반송하고, 선반 등으로의 물품의 출납을 행하는 전동 대차 등이 있다. 이동 기기는, 급전 시스템(10)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전로(1)는, 외부 전원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1개의 심선(11a, 11b)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 기기는, 집전자를 갖는 집전 장치(5)(도 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집전 장치(5)는, 심선(11a, 11b)에 대하여 집전자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심선(11a, 11b)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 기기는, 집전 장치(5)로 급전로(1)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으면서, 심선(11a, 11b)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주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집전 장치(5)의 개략 형상을 상상선(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The power supply system 10 is a so-called insulation trolley used in, for example, an automatic warehouse or a factory or the like, for fee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moving in the facility. As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there is an electric bogie that transports an article in a facility and carries out an article to and from a shelf. The mobile device operates by being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the power supply system (10). Specifically, the power feeding path 1 has at least one core wire 11a, 11b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mobile device is provided with a current collector 5 (see Fig. 1) having current collectors. The current collector 5 mov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re wires 11a and 11b in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collectors are in contact with the core wires 11a and 11b. Thereby, the mobile device can move (travel)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re wires 11a and 11b while being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the power feeding path 1 to the current collector 5. In Fig. 1, the schematic shape of the current collector 5 is indicated by an imaginary line (chain double-dashed lin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류 모터를 갖고 직류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동작하는 이동 기기로의 급전을 행하는, 직류용의 급전 시스템(10)을 예로서 설명한다. 이 급전 시스템(10)은, 집전 장치(5)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급전로(1)의 심선으로서, 양극 및 음극의 한 쌍(2개)의 심선(11a, 11b)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이동 기기로서, 비교적 소비 전력이 작은, 이른바 경부하의 기기를 상정하고 있고, 급전로(1)의 허용 전류는 비교적 작은 것으로 가정한다. 한 쌍의 심선(11a, 11b)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 심선(11a, 11b)의 각각을 간단히 "심선(11)"이라고도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direct current power supply system 10 having a direct-current motor and supplying power to a mobile apparatus that operates by receiving direct-current pow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power supply system 10 employs a pair of (two) core wires 11a and 11b of positive and negative poles as core wires of the power feed path 1 to supply DC power to the power collector 5 have. It is assumed here that a so-called light load device is used as a mobile device with a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and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power feed path 1 is assumed to be relatively small. When the pair of core wires 11a and 11b are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each of the core wires 11a and 11b is simply referred to as " core wire 11 ".

급전로(1)는, 설치 대상물(여기서는, 덕트 레일(4))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기기로의 급전을 행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고,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된 덕트 레일(4)에 급전로(1)가 설치된다. 이하, 급전로(1)가 덕트 레일(4)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인(직교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아래쪽(연직 방향)을 "아래쪽"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급전로(1)와 집전 장치(5)가 대향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급전로(1)로부터 보아 집전 장치(5) 쪽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덕트 레일(4)의 긴 방향, 다시 말해 이동 기기의 이동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급전로(1)를 정면으로부터 보아 우측을 "우측", 좌측을 "좌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의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는 설명을 위해 표기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고, 실체를 수반하지 않는다. 단, 이러한 방향은 급전로(1)의 사용 방향(설치 방향)을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예컨대, 여기서 규정한 "전방"이, 실제의 급전로(1)의 설치 상태에서는 아래쪽(연직 방향)이더라도 좋다.The power feeding furnace 1 is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object (here, the duct rail 4).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it is assumed that power is supplied to a mobile device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feed path 1 is provided in a duct rail 4 provided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Hereinafter,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plane in the state where the power feed path 1 is installed on the duct rail 4 is referred to as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lower" .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wer feeding path 1 and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5 are opposed to each other is referred to as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p-and-down direction and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5 side is referred to as "forward"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rail 4, that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device is referred to as " lateral direction ", and the power feed path 1 is described as being "right" . The arrows indicating " vertical direction ", "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 and " horizontal direction " in the drawing are merely for the sake of explanation, However, this direction does not limit the use direction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ower feed furnace 1. For example, " front " defined here may be downward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actual feeder path 1 is installed.

그런데, 급전로(1)에는, 장력식과, 연결식(비 장력식)의 2종류가 있다. 장력식의 급전로(1)는, 심선(11)의 연장 방향(좌우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심선(11)에 대하여 장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장력식의 급전로(1)에 있어서는, 심선(11)의 연장 방향(좌우 방향)의 양 단부가, 예컨대, 단말 장치(2) 및 조임 장치(3)를 통해서 덕트 레일(4)에 설치된다. 이 경우, 심선(11)의 일단부(제 1 단부(111))는 조임 장치(3)를 통해서 덕트 레일(4)에 설치되고, 심선(11)의 타단부(제 2 단부(112))는 단말 장치(2)를 통해서 덕트 레일(4)에 설치된다. 심선(11)에 대한 장력은, 조임 장치(3)에 의해 발생한다. 단, 심선(11)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구성으로서, 조임 장치(3)는 필수의 구성이 아니다. 예컨대, 급전로(1)가 비교적 짧은(예컨대, 수십 ㎝ 정도) 경우에는, 급전로(1)의 연장 방향의 양측에 한 쌍의 단말 장치(2)가 마련되고, 장력이 작용한 상태의 급전로(1)를, 한 쌍의 단말 장치(2) 사이에 가설하는 것도 가능하다.Incidentally, in the power feeding furnace 1, there are two types: a tension type and a connection type (non-tension type). The tension feeder 1 is used in a state in which tensile force acts on the core wire 11 from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re wire 11 (left and right direction). Concretely, in the tension feeding rail 1, both ends of the core wire 11 in the extending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duct rail 4 through the terminal device 2 and the tightening device 3 ). In this case, one end (first end 111) of the core wire 11 is installed on the duct rail 4 through the tightening device 3 and the other end (second end 112) Is installed in the duct rail (4) through the terminal device (2). The tension on the core wire (11) is generated by the tightening device (3). However, the tensioning device 3 is not essential as a structure for applying a tension to the core wire 11. [ For example, when the power feeding path 1 is relatively short (for example, several tens of centimeters), a pair of terminal devices 2 ar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ower feeding path 1, It is also possible to lay the road 1 between the pair of terminal devices 2.

장력식의 급전로(1)이면, 충분히 긴 급전로(1)로부터, 시공자가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급전로(1)를 사용한다. 그 때문에, 장력식의 급전로(1)에 있어서는, 충분한 길이(예컨대, 50m)의 급전로(1)가, 반경 수십 ㎝ 정도의 고리 형상으로 감겨진 상태(이하, "겹쳐 감긴 상태"라고도 한다)에서 시공 현장(시설)에 반입된다. 한편, 연결식의 급전로(1)는, 심선(11)에 대하여 장력은 작용하지 않고, 복수의 급전로(1)를 심선(11)의 연장 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연결식의 급전로(1)이면, 시설로의 급전로(1)의 설치 시에, 소정 길이(예컨대, 3m)의 급전로(1)가, 필요한 수만큼 연결되어 사용된다. 그 때문에, 연결식의 급전로(1)에 있어서는, 복수 개의 급전로(1)가 겹쳐진 상태(이하, "적층 상태"라고도 한다)에서 시공 현장(시설)에 반입된다. 또한, 장력식과 연결식의 어느 급전로(1)이더라도, 연장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적당한 간격으로 덕트 레일(4)에 고정되는 유지 부재에 의해, 급전로(1)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집전 장치(5)로 급전로(1)가 후방으로 밀린 경우에도, 급전로(1)의 휘어짐이 억제된다.If the feed rail 1 is of the tension type, the feeder 1 is cut from the sufficiently long feed rail 1 by a required length to use the feed rail 1. Therefore, in the tension feeding path 1, the feeding path 1 of a sufficient length (for example, 50 m) is wound in a loop shape with a radius of several tens of centimeter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 ) To the construction site (facility).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type power feeding path 1 is used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not applied to the core wire 11 but a plurality of feeding paths 1 are connect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re wire 11.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type power supply path 1, the required number of the power supply paths 1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 example, 3 m) are connected and used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power supply path 1 to the facility. Therefore, in the connection-type power feeding path 1, a plurality of the power feeding paths 1 are brought into a construction site (facility) in a state of overlapping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lamination state"). The power feeding path 1 is held by a holding member fixed to the duct rail 4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extending direction (right and left direction), regardless of the tensioning type and the coupling type. Thus, even when the power feeding path 1 is pushed back by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5, warping of the power feeding path 1 is suppressed.

장력식과 연결식을 비교하면, 장력식의 급전로(1)는, 비교적 긴 급전로를 이음매 없이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시공시에 복수의 급전로(1)를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급전로(1)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의 설치 간격에 대해서도, 장력식의 급전로(1)가, 연결식의 급전로(1)보다 넓게 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장력식의 급전로(1)는, 장력에 의해 급전로(1)의 휘어짐이 억제된 상태에서 설치되므로, 유지 부재의 설치 간격이 넓더라도, 연결식의 급전로(1)와 마찬가지의 휘어짐의 어려움을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식에서의 유지 부재의 설치 간격이 50㎝인 경우에, 장력식에서의 유지 부재의 설치 간격은 2m 정도로까지 넓힐 수 있다. 그 때문에, 장력식의 급전로(1)는, 유지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한편, 연결식의 급전로(1)이면, 심선(11)에 대하여 장력을 작용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임 장치(3)는 불필요하게 된다.When the tension formula and the connection formula are compared, it can be seen that the tension feeder 1 can realize a relatively long feeder without any seam, and it is not necessary to connect a plurality of feeder paths 1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omitted.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holding member holding the power feeding path 1, the tension feeding path 1 can be made wider than the connecting type feeding path 1. [ In other words, since the power feeding furnace 1 of the tension type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warp of the power feeding path 1 is suppressed by the tension, even if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holding member is wide,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difficulty of warping. For example, in a case where the spacing of the holding members in the coupling type is 50 cm, the spacing of the holding members in the tension formula can be extended to about 2 m. Therefore, the power feeding furnace 1 of the tension type can reduce the labor of construction for providing the holding member. On the other hand, in the connection-type power feeding path 1, there is no need to exert tension on the core wire 11, so that the tightening device 3 becomes unnecessary.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로(1)가 장력식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력식의 급전로(1)로부터, 예컨대, 트래버서 또는 턴테이블 등의 다른 설비의 급전로(장력식이더라도 연결식이더라도 좋다)로, 집전 장치(5)의 갈아타기가 생기는 경우를 상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트래버서"는, 예컨대, 이동 기기를 상하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설비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갈아타기"는, 예컨대 설비 X에서 가동 중인 이동 기기가, 설비 X에 인접하는 설비 Y로 이동할 때에, 이동 기기의 집전 장치(5)가, 설비 X의 급전로를 떠나서 설비 Y의 급전로로 갈아타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갈아타기가 가능한 한 쌍의 급전로끼리는, 1㎜~수 ㎝ 정도의 간격을 두고, 동일 직선상에 나란히 마련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ase where the power feeding path 1 is a tensioning typ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urther, in this embodiment, a power feeding path (1) in which the power collecting device (5) is changed from a power feeding path (1) of a tension type to a power feeding path of another facility such as a traverser or a turntable The case is assumed. Here, the " traverser " is, for example, a facility for moving the mobile device in the up-down direction or the back-and-forth direction in parallel. Here, " transferring " refers to, for example, when the mobile device moving in the facility X moves to the facility Y adjacent to the facility X, the power collector 5 of the mobile device leaves the feed line of the facility X, To the railroad. In general, a pair of feed paths that can be exchanged are provided side by side on the same straight line at intervals of about 1 mm to several cm.

이 경우에 있어서, 장력식의 급전로(1)는, 심선(11)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의 일단부(제 1 단부(111))가 조임 장치(3)에 유지되고, 타단부(제 2 단부(112))가 단말 장치(2)의 단말 유닛(20)으로 유지된다. 단말 유닛(20)은, 조임 장치(3)로부터 장력이 작용한 상태의 급전로(1)를 유지하는 유지 기능과, 이 급전로(1)와 다른 설비의 급전로의 사이에서의 집전 장치(5)의 갈아타기를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기능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급전로(1)에서는, 심선(11)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의 양 단부 중, 단말 유닛(20) 쪽의 단부인 제 2 단부(112)에서, 인접하는 다른 설비의 급전로와의 사이에서 집전 장치(5)의 갈아타기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심선(11)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의 양 단부 중, 조임 장치(3) 쪽의 단부인 제 1 단부(111)에서는, 집전 장치(5)의 갈아타기는 행해지지 않는다.In this case, in the tension feeding circuit 1, one end portion (first end portion 111) of the core wire 11 in the extending direction is held by the tightening device 3, and the other end portion End 112) is held in the terminal unit 20 of the terminal device 2. [ The terminal unit 20 has a holding function of holding the power feeding path 1 in a state in which a tensile force is applied from the tightening device 3 and a holding function of holding the power feeding path 1 between the power feeding path of the power feeding path 1 and the power feeding path 5) of the vehicle. Thereby, in the power feeding path 1, at the second end portion 112, which is the end of the terminal unit 20, of the both end portion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re wire 11, It is possible to exchange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5 between them. On the other hand, among the both end portion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re wire 11, the first end 111, which is the end of the tightening device 3, does not carry out the transfer of the current collector 5.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10)에서는, 단말 유닛(20)은, 급전로(1)를 외부 회로(여기서는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기능을 더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10)에 있어서는, 급전로(1)는 단말 유닛(20)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2)로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급전로(1)로의 급전이, 단말 장치(2)로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조임 장치(3)가 분전반으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단말 장치(2)로 급전로(1)를 분전반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전원(분전반)과 급전로(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선 길이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단말 유닛(20)의 유지 기능, 가이드 기능, 및 접속 기능에 대하여 자세하게는, "(2. 4) 단말 장치"의 난에서 설명한다.In the power feed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unit 20 further has a connecting func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feeding path 1 to an external circuit (here, an external power source). Therefore, in the power feed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feeding path 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by the terminal device 2 including the terminal unit 20, Feeding to the power feeding furnace 1 becomes possible with the terminal device 2. [ Therefore, even if the fastening device 3 is disposed at a relatively far position from the distribution board, the power supply path 1 can b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board with the terminal device 2, so that the external power supply (distribution boar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electric wire for electrical connection. The maintenance function, guide function, and connection function of the terminal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section of "(2.4) terminal device".

(2) 상세(2) Details

이하,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10)의 각 부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s of each section of the power supply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2. 1) 설치 대상물(2.1) Installation object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대상물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형상의 덕트 레일(4)로 이루어진다. 덕트 레일(4)은, 예컨대, 금속제이다. 덕트 레일(4)은, 예컨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지주 사이에 가설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stallation object is formed of a long duct rail 4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duct rail 4 is made of metal, for example. The duct rails 4 are installed, for example, between a pair of pillar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덕트 레일(4)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배치되는 후벽(41)과, 후벽(41)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상벽(42)과, 후벽(41)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하벽(43)과, 상벽(42)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전벽(44)을 갖고 있다. 여기서는, 후벽(41)과 상벽(42)과 하벽(43)과 전벽(44)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후벽(41)과 상벽(42)과 하벽(43)과 전벽(44)은, 1매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덕트 레일(4)은, 전벽(44)의 하단 가장자리와 하벽(43)의 전단 가장자리의 사이에, 개구부(45)를 갖고 있다. 개구부(45)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덕트 레일(4)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덕트 레일(4)의 후벽(41)에는, 단말 장치(2) 및 조임 장치(3)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The duct rail 4 includes a rear wall 41 disposed along a plane orthogona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 upper wall 42 protruding for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rear wall 41, And a front wall 44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dge of the upper wall 42. The upper wall 42 is formed with a lower wall 43, Here, the rear wall 41, the upper wall 42, the lower wall 43, and the front wall 44 are integrally formed. In other words, the rear wall 41, the upper wall 42, the lower wall 43 and the front wall 44 are made of a single sheet of metal. The duct rail 4 has an opening 45 between the lower end edge of the front wall 44 and the front end edge of the lower wall 43. The opening 45 is formed to exten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duct rail 4 in the left-right direction. Holes for fixing the terminal device 2 and the tightening device 3 are formed in the rear wall 41 of the duct rail 4.

이와 같은 덕트 레일(4)에 대하여, 급전로(1)는, 적어도 단말 장치(2) 및 조임 장치(3)에 의해 후벽(41)의 전면에 설치된다. 급전로(1)가 덕트 레일(4)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벽(41), 상벽(42), 하벽(43), 및 전벽(44)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급전로(1)가 수납되고, 개구부(45)를 통해서 급전로(1)가 전방으로 노출된다. 또한, 덕트 레일(4)의 후벽(41)에는, 단말 장치(2)와 조임 장치(3)의 사이에 있어서, 연장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적당한 간격으로, 급전로(1)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가 고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덕트 레일(4)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벽 또는 천정 등의 구조물이 없더라도, 유지 부재를 소망하는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고, 급전로(1)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덕트 레일(4)은, 급전로(1)를 둘러싸는 것에 의해 급전로(1)를 보호하는 기능도 갖는다.With respect to such a duct rail 4, the power feeding path 1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rear wall 41 by at least the terminal device 2 and the tightening device 3. 1, a space surrounded by the rear wall 41, the upper wall 42, the lower wall 43, and the front wall 44 is provided in the feeding rail 1 in the state that the feeding rail 1 is installed in the duct rail 4. [ 1, and the power feeding path 1 is exposed forwar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45. As shown in Fig. The power feeding path 1 is held in the rear wall 41 of the duct rail 4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extending direction (right and left direction) between the terminal device 2 and the tightening device 3 The holding member may be fixed. By using the duct rails 4, even if there is no structure such as a wall or a ceiling, the holding members can be provided at desired intervals, and the power feed path 1 can be installed. The duct rail 4 also has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power feeding path 1 by surrounding the power feeding path 1. [

(2. 2) 급전로(2.2) Feeding line

급전로(1)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의 심선(11a, 11b)과, 피복 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1 to 3, at least one core wire 11a, 11b and a covering member 12 are provided in the power feeding furnace 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급전로(1)가 직류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급전로(1)는, 양극 및 음극의 한 쌍(2개)의 심선(11a, 11b)을 구비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ower feeding path 1 supplies DC power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feeding path 1 has a pair of (two) core wires 11a and 11b of an anode and a cathode .

심선(11)은, 도전성을 갖고 있고, 또한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 긴 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심선(11)의 "연장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심선(11)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금속제이고,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이 되는 플랫 와이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중, 심선(11)의 단면의 짧은 방향이 "전후 방향"이고, 심선(11)의 단면의 긴 방향이 "상하 방향"이다. 바꾸어 말하면, 전후 방향은 심선(11)의 두께 방향이고, 상하 방향은 심선(11)의 폭 방향이다.The core wire (11) is an elongated member having conductivity and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 extending direction " of the core wire 11 is referred to as " left and right direction ". Here, as an example, the core wire 11 is a flat wire made of a metal such as copper or a copper alloy and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of the directions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the short direction of the end face of the core wire 11 is " front and back direction ", and the long direction of the end face of the core wire 11 is " In other words, the front-rear direction i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re wire 11, and the up-down direction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re wire 11.

피복 부재(12)는, 전기 절연성을 갖고 있고, 심선(11)을 피복하는 긴 형상의 부재이다. 다시 말해, 피복 부재(12)는, 심선(11)과 마찬가지로 연장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긴 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피복 부재(12)는, 경질 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제이다. 피복 부재(12)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홈이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심선(11)은 홈 내에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는, 홈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피복 부재(12)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심선(11)은, 홈의 개구를 통해서 전방으로 노출된다. 바꾸어 말하면, 피복 부재(12)는, 홈의 개구를 통해서 심선(11)이 노출되도록 심선(11)을 피복하고 있다.The cover member 12 is an elongated member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and covering the core wire 11. In other words, the cover member 12 is a long member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like the core wire 11.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cover member 12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hard vinyl chlorid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ing member 12, grooves opened frontward are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core wires 11 are housed in the grooves. Here, the grooves are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covering member 12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a result, the core wire 11 is exposed forward through the opening of the groove. In other words, the cover member 12 covers the core wire 11 so that the core wire 11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groove.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로(1)가 한 쌍의 심선(11a, 11b)을 구비하기 때문에, 피복 부재(12)에 대해서도, 한 쌍의 심선(11a, 11b)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홈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홈에 수납되는 한 쌍의 심선(11a, 11b)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급전로(1)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집전 장치(5)를 맞대는 것에 의해, 집전 장치(5)의 집전자를 홈 내의 심선(11)에 접촉시킬 수 있고, 급전로(1)(심선(11))로부터 집전 장치(5)로의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power feed path 1 includes the pair of core wires 11a and 11b, the pair of grooves 11a and 11b are formed in the cover member 12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core wires 11a and 11b Respectively. The pair of grooves are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 pair of core wires 11a and 11b housed in a pair of groov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bring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current collector 5 into contact with the core wire 11 in the groove by bringing the current collector 5 into contact with the power feeder 1 from the front, (Core wire 11) to the current collector 5 becomes possible.

심선(11)은, 연장 방향의 양단에, 제 1 단부(111)(도 2 참조) 및 제 2 단부(112)(도 2 참조)를 갖고 있다. 제 1 단부(111)는 피복 부재(12)로부터 연장 방향의 한쪽(여기서는 좌측)으로 돌출하고, 제 2 단부(112)는 피복 부재(12)로부터 연장 방향의 다른 쪽(여기서는 우측)으로 돌출한다. 즉, 한 쌍의 심선(11a, 11b)의 각각의 연장 방향의 양 단부 중, 피복 부재(12)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한 일단부가 제 1 단부(111)가 되고, 피복 부재(12)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한 타단부가 제 2 단부(112)가 된다.The core wire 11 has a first end 111 (see FIG. 2) and a second end 112 (see FIG. 2) at both 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first end portion 111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covering member 12 in the extending direction (left side in this case) and the second end portion 112 protrudes from the covering member 12 to the other side . That is, one end of each end portion of the pair of core wires 11a and 11b protruding from the cover member 12 to the left becomes the first end portion 111, and the cover member 12 extends from the cover member 12 to the right And the other end portion protruding becomes the second end portion 112.

(2. 3) 조임 장치(2.3) Fastening device

조임 장치(3)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31)와, 장력 발생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조임 장치(3)는, 급전로(1)의 심선(11)에 대하여, 연장 방향의 장력을 작용시키는 장치이다. 다시 말해, 조임 장치(3)는, 심선(11)에 대하여, 심선(11)의 연장 방향(좌우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끌어당기는 방향의 힘(장력)을 작용시킨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astening device 3 includes a main body 31 and a tension generating portion 32. [ The tightening device 3 is a device that applies tens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to the core wire 11 of the power feed path 1. [ In other words, the tightening device 3 applies a force (tension) in a pulling direction to both sides of the core wire 11 in the extending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of the core wire 11.

본체(31)의 외곽을 구성하는 하우징은, 예컨대 합성 수지제이고, 전기 절연성을 갖고 있다. 본체(31)는, 본체(31)의 후면을 덕트 레일(4)의 후벽(41)의 전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덕트 레일(4) 내에 수납된다. 본체(31)의 하우징은, 급전로(1)의 심선(11)과, 덕트 레일(4) 및 장력 발생부(32)의 사이의 전기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애자로서 기능한다.The housing constitu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31 is made of, for example, synthetic resin and has electrical insulation. The main body 31 is housed in the duct rail 4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31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wall 41 of the duct rail 4. The housing of the main body 31 functions as an insulator for securing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core wire 11 of the power feeding path 1 and the duct rail 4 and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32.

본체(31)는, 후술하는 단말 장치(2)의 단말 유닛(20)과 마찬가지로, 급전로(1)를 유지하는 유지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31)는, 단말 유닛(20)과 마찬가지로, 급전로(1)를 외부 회로(여기서는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기능을 더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31)는, 유지 단자부(제 1 단자부(21)에 상당), 및 전선 단자부(제 2 단자부(22)에 상당)를, 하우징 내에 수납하고 있다. 유지 단자부는, 심선(11)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의 일단부인 제 1 단부(111)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심선(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선 단자부는, 전선(7)(도 4 참조)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고, 유지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급전로(1)의 심선(11)은, 본체(31)에 있어서, 전선(7)을 통해서 외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임 장치(3)의 본체(31)가 아닌 단말 장치(2)의 단말 유닛(20)으로, 심선(11)과 외부 회로의 전기적인 접속이 행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때문에, 심선(11)을 외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선(7)은, 조임 장치(3)의 본체(31)에는 접속되지 않고, 단말 유닛(20)에 접속된다.The main body 31 has a holding function of holding the power feeding path 1 like the terminal unit 20 of the terminal device 2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31 further has a connecting func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feeding path 1 to an external circuit (external power source in this case), like the terminal unit 20. Specifically, the main body 31 houses a holding termin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and a wire termin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n the housing. The holding terminal portion mechanically holds the first end portion 111 which is one end por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re wire 11 and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 11. [ The wire terminal portion is a terminal for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7 (see Fig. 4),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lding terminal portion. The core wire 11 of the power feeding path 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it through the electric wire 7 in the main body 31. [ It is to be noted that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s a case wher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re wire 11 and an external circuit is performed by the terminal unit 20 of the terminal device 2 instead of the main body 31 of the tightening device 3 do. The electric wire 7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re wire 11 to the external circuit is not connected to the main body 31 of the tightening device 3 bu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20. [

장력 발생부(32)는, 머리 없는 나사(스터드 볼트)로 이루어지는 주축(321)과, 너트(322)와, 압축 코일 용수철(323)을 갖고 있다.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32 has a main shaft 321 made of a headless screw (stud bolt), a nut 322,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323.

주축(321)의 긴 방향(좌우 방향)의 일단부(우단부)는, 본체(31)에 고정되어 있다. 주축(321)은, L 앵글 등의 범용 지그로 이루어지는 받침 지그(6)(도 1 및 도 2 참조)에 의해 지지된다. 받침 지그(6)는, 덕트 레일(4)의 후벽(41)에 고정되어 있고, 주축(321)은, 받침 지그(6)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받침 지그(6)에 지지된다.One end (right end) of the main shaft 3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is fixed to the main body 31. The main shaft 321 is supported by a receiving jig 6 (see Figs. 1 and 2) made of a general-purpose jig such as an L angle. The support jig 6 is fixed to the rear wall 41 of the duct rail 4 and the main shaft 32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jig 6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jig 6 passes throug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너트(322)는, 주축(321)의 긴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31)와는 반대쪽의 단부(좌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압축 코일 용수철(323)은, 압축 코일 용수철(323)의 안쪽을 주축(321)이 관통하도록 주축(321)과 조합되어 있다. 압축 코일 용수철(323)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받침 지그(6)와, 너트(3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The nut 322 is attached to an end portion (left end portion) opposite to the main body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shaft 321.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23 is combined with the main shaft 321 so that the main shaft 321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23. [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23 is disposed between the receiving jig 6 and the nut 322 in the left-right direction.

이 구성에 의하면, 너트(322)를 조작하여 좌우 방향에 있어서 너트(322)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장력 발생부(32)로부터 본체(31)를 거쳐서 심선(11)에 작용하는 장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예컨대, 너트(322)가 받침 지그(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너트(322)와 받침 지그(6)의 사이에서 압축 코일 용수철(323)이 압축되고, 압축 코일 용수철(323)의 탄성력에 의해, 너트(322)가 받침 지그(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힘을 받는다. 이때, 너트(322)는, 압축 코일 용수철(323)로부터 좌측 방향의 힘을 받게 되고, 주축(321)은, 너트(322)와 함께 좌측 방향으로 끌어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장력 발생부(32)로부터 급전로(1)의 심선(11)에 작용하는 장력(심선(11)을 좌측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은 커진다. 반대로, 너트(322)가 받침 지그(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축 코일 용수철(323)의 탄성력이 작아지고, 압축 코일 용수철(323)로부터 너트(322)에 작용하는 좌측 방향의 힘이 작아진다. 따라서, 장력 발생부(32)로부터 급전로(1)의 심선(11)에 작용하는 장력(심선(11)을 좌측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은 작아진다.With this configuration, by moving the nut 322 in the left-right direction by operating the nut 322, the size of the tension acting on the core wire 11 from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32 through the main body 31 is set to Can be adjusted.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nut 322 moves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receiving jig 6, the compressed coil spring 323 is compressed between the nut 322 and the receiving jig 6, and the compressed coil spring 323 The nut 322 is subjected to a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eceiving jig 6. At this time, the nut 322 receives a force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23, and the main shaft 321 is pulled in the lef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nut 322. Therefore, the tension acting on the core wire 11 of the power feeding path 1 (the force pulling the core wire 11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32 becomes large. On the contrary, when the nut 322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receiving jig 6,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23 becomes small and the force in the left direction acting on the nut 322 from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23 becomes Lt; / RTI > Therefore, the tension acting on the core wire 11 of the power feeding path 1 from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32 (the force pulling the core wire 11 in the left direction) is reduced.

(2. 4) 단말 장치(2.4) Terminal device

다음으로, 단말 장치(2)의 상세에 대하여, 도 3~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details of the terminal device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Fig.

단말 장치(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유닛(20)과, 고정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 장치(2)는, 급전로(1)에 대하여,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조임 장치(3)(도 2 참조)와는 반대쪽에 마련되고, 급전로(1)를 유지하는 장치이다. 다시 말해, 단말 장치(2)는, 조임 장치(3)와 함께, 심선(11)에 대하여, 심선(11)의 연장 방향(좌우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끌어당기는 방향의 힘(장력)을 작용시킨다.As shown in Fig. 3, the terminal device 2 includes a terminal unit 20 and a fixing member 8. As shown in Fig. The terminal device 2 is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tightening device 3 (see Fig. 2) in the exten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ower feeding path 1 and is a device for holding the power feeding path 1. [ In other words, the terminal device 2, together with the tightening device 3, acts on the core wire 11 with a force (tension) in a pulling direction from both sid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of the core wire 11 .

단말 유닛(20)은, 급전로(1)를 유지한다. 급전로(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단부(111)(도 2 참조) 쪽으로부터 연장 방향을 따른 장력이 심선(11)에 작용하는, 장력식의 급전로이다. 단말 유닛(20)은, 심선(11)의 연장 방향의 양 단부 중, 조임 장치(3)가 유지하는 제 1 단부(111)와는 반대쪽의 제 2 단부(112)(도 2 참조)를 유지한다.The terminal unit 20 holds the power feeding path 1. [ The power feeding furnace 1 is a tensioning type power feeding furnace in which a tensile for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from the first end portion 111 (see Fig. 2) acts on the core wire 11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unit 20 holds the second end portion 112 (see Fig. 2) opposite to the first end portion 111 held by the tightening device 3, at both 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re wire 11 .

단말 유닛(20)(도 3 참조)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의 제 1 단자부(21a, 21b)와, 적어도 1개의 제 2 단자부(22a, 22b)와, 유닛 본체(23)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 유닛(20)은, 커버(24)를 더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terminal unit 20 (see Fig. 3) includes at least one first terminal portion 21a, 21b,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portion 22a, 22b, (23). The terminal unit (20) further includes a cover (24).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로(1)는 한 쌍의 심선(11a, 11b)을 가지므로, 이것에 대응하도록, 단말 유닛(20)은, 한 쌍의 제 1 단자부(21a, 21b), 및 한 쌍의 제 2 단자부(22a, 22b)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제 1 단자부(21a, 21b)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 제 1 단자부(21a, 21b)의 각각을 간단히 "제 1 단자부(21)"라고도 한다. 한 쌍의 제 2 단자부(22a, 22b)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 제 2 단자부(22a, 22b)의 각각을 간단히 "제 2 단자부(22)"라고도 한다.The terminal unit 20 includes a pair of first terminal portions 21a and 21b and a pair of first terminal portions 21a and 21b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core wires 11a and 11b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pair of second terminal portions 22a and 22b. Each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s 21a and 21b is simply referred to as a " first terminal portion 21 " in a case where the pair of first terminal portions 21a and 21b are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Each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s 22a and 22b is simply referred to as a " second terminal portion 22 " in a case where the pair of second terminal portions 22a and 22b are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제 1 단자부(21)는, 심선(11)의 제 2 단부(112)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심선(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단자부(21)는, 나사식 단자이고,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판에 심선(11)의 제 2 단부(1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조임 나사(211)가 조여지는 것에 의해, 심선(11)과 접속된다. 여기서는, 1개의 제 1 단자부(21)에 대하여, 조임 나사(211)가 2개씩 이용되고 있고, 한 쌍의 제 1 단자부(21a, 21b)는, 각각 한 쌍의 심선(11a, 11b)을 강고하게 유지한다. 그 때문에, 조임 장치(3)로부터 장력이 작용한 상태의 급전로(1)를 유지하는 유지 기능이 구현화된다. 또한, 각 조임 나사(211)는, 과부하 보호 기능(토크 리미터)을 갖는 나사이고, 규정 토크 이상의 토크로 조여지면 머리 부분이 접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mechanically holds the second end portion 112 of the core wire 11 and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is a screw type terminal, and the second screw portion 112 of the core wire 11 is inserted into the prismatic metal plate, And is connected to the core wire 11. Here, two fastening screws 211 are used for one first terminal portion 21, and the pair of first terminal portions 21a and 21b are formed by tightening the pair of core wires 11a and 11b, respectively, . Therefore, a holding function of holding the power feeding path 1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from the tightening device 3 is implemented. Each of the tightening screws 211 is a screw having an overload protection function (torque limiter),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ead portion is folded when tightened with a torque of a prescribed torque or more.

제 2 단자부(22)는, 전선(7)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고, 제 1 단자부(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전선(7)은, 한 쌍의 제 2 단자부(22a, 22b)에 대응하는 2선식(2심식)의 전선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단자부(22)는, 나사식 단자이고, 단자 나사(221)가 조여지는 것에 의해, 전선(7)과 기계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 쌍의 제 2 단자부(22)에 접속되는 전선(7)은, 외부 회로(여기서는 외부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급전로(1)에 있어서의 한 쌍의 심선(11a, 11b)은, 한 쌍의 제 1 단자부(21a, 21b), 한 쌍의 제 2 단자부(22a, 22b), 및 전선(7)을 거쳐서 외부 회로(외부 전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급전로(1)를 외부 회로(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기능이 구현화된다.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s a terminal for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7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 Here, the electric wire 7 is a two-wire (two-wire) electric wire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second terminal portions 22a and 22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s a screw-type terminal, and is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7 by tightening the terminal screw 221. The electric wire 7 connected to the pair of second terminal portions 22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external power source in this case). The pair of core wires 11a and 11b in the power feeding path 1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terminal portions 21a and 21b, the pair of second terminal portions 22a and 22b, 7) to an external circuit (external power source). Therefore, a connection func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feeding path 1 to an external circuit (external power source) is implemented.

제 2 단자부(22)에 접속된 전선(7)이 연장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부(111) 쪽(좌측)으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 2 단자부(22)는 유닛 본체(23)에 유지되어 있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부(22)에 접속된 전선(7)은, 유닛 본체(23)로부터, 급전로(1)와 동일한 쪽(좌측)으로 인출된다. 여기서는, 한쪽의 제 1 단자부(21a)와 한쪽의 제 2 단자부(22a)는, 1매의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쪽의 제 1 단자부(21b)와 다른 쪽의 제 2 단자부(22b)는, 1매의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s held in the unit main body 23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wire 7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s drawn out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111 (left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 6, the electric wire 7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s drawn out from the unit main body 23 to the same side (left side) as the power feeding path 1. [ Here, one first terminal portion 21a and one second terminal portion 22a are integrally formed of a single metal plate. Similarly,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b on the other side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b on the other side are integrally formed of a single metal plate.

유닛 본체(23) 및 커버(24)는, 모두 전기 절연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는, 유닛 본체(23) 및 커버(24)는, 모두 합성 수지제이다. 커버(24)는 유닛 본체(23)의 배면(후면) 쪽에 설치된다. 유닛 본체(23)는, 제 1 단자부(21) 및 제 2 단자부(22)를 유지한다. 단말 유닛(20)은, 유닛 본체(23)의 배면을 덕트 레일(4)의 후벽(41)의 전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덕트 레일(4) 내에 수납된다. 유닛 본체(23)는, 심선(11) 및 전선(7)과, 덕트 레일(4) 및 고정 부재(8)의 사이의 전기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애자로서 기능한다.The unit main body 23 and the cover 24 all have electrical insulation properties. Here, the unit main body 23 and the cover 24 are all made of synthetic resin. The cover 24 is provided on the back (rear) side of the unit body 23. The unit main body 23 holds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The terminal unit 20 is housed in the duct rail 4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unit body 23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wall 41 of the duct rail 4. [ The unit main body 23 functions as an insulator for securing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core wire 11 and the electric wire 7 and between the duct rail 4 and the fixing member 8. [

유닛 본체(23)의 배면에는, 제 1 단자부(21) 및 제 2 단자부(22)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237)(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4)는, 수납 오목부(237)를 덮도록 유닛 본체(23)에 대하여 설치된다. 즉,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유닛 본체(23)의 배면 쪽(후방)에 있어서는, 유닛 본체(23)와 커버(24)의 사이에, 수납 오목부(237)에 의해, 제 1 단자부(21) 및 제 2 단자부(22)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A housing recess 237 (see Fig. 5) for housing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nit body 23. The cover 24 is provided to the unit main body 23 so as to cover the housing recess 237. That is, between the unit body 23 and the cover 24, the first concave portion 237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237 at the back side (rear side) of the unit body 23 in the front-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are formed.

또한, 유닛 본체(2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오목부(237)의 내부 공간을 상하 방향에 있어서 2분할하는 칸막이 벽(238)을 더 갖고 있다. 수납 오목부(237)의 내부 공간 중, 칸막이 벽(238)의 위쪽의 공간에는, 제 1 단자부(21a) 및 제 2 단자부(22a)가 수납된다. 수납 오목부(237)의 내부 공간 중, 칸막이 벽(238)의 아래쪽의 공간에는, 제 1 단자부(21b) 및 제 2 단자부(22b)가 수납된다.6, the unit main body 23 further includes a partition wall 238 for divid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237 into two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a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a are accommodated in the space above the partition wall 238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recess 237. [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b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b are accommodated in the space below the partition wall 238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concave portion 237. [

또한, 유닛 본체(23)에 있어서의 수납 오목부(237)의 좌측면에는, 제 2 단자부(22)에 접속된 전선(7)을 통과시키기 위한 선 통과 구멍(239)이 형성되어 있다. 선 통과 구멍(239)은, 수납 오목부(237)에 이어져 있고, 수납 오목부(237)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단자부(22)에 접속된 전선(7)은, 유닛 본체(23)로부터, 선 통과 구멍(239)을 통해서 급전로(1)와 동일한 쪽(좌측)으로 인출된다.A through hole 239 for passing the electric wire 7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s formed 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237 in the unit body 23. The line through hole 239 extends to the housing recess 237 and extends from the housing recess 237 to the left. As a result, the electric wire 7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s drawn out from the unit main body 23 to the same side (left side) as the power feeding path 1 through the through-hole 239.

커버(24)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단부가 한 쌍의 조립 나사(251) 및 한 쌍의 조립 너트(252)를 이용하여, 유닛 본체(23)에 대하여 나사 고정된다. 한 쌍의 조립 너트(252)는, 인서트 너트이고, 유닛 본체(23)의 배면에 형성된 한 쌍의 조립 구멍(253)에 매립된다. 커버(24)의 좌단부에는, 한 쌍의 조립 나사(251)를 통과시키기 위한 한 쌍의 투과 구멍(241)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한 쌍의 조립 나사(251)는, 커버(24)를 통과해서, 유닛 본체(23)에 매립된 한 쌍의 조립 너트(252)에 조여진다. 이것에 의해, 커버(24)가 유닛 본체(23)에 대하여 설치된다.4 and 5, the left end of the cover 24 is screwed to the unit body 23 using a pair of assembly screws 251 and a pair of assembly nuts 252. [ The pair of assembly nuts 252 is an insert nut and is embedded in a pair of assembly holes 253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unit body 23. At the left end of the cover 24, a pair of through holes 241 for passing a pair of assembly screws 251 are formed. In other words, the pair of assembly screws 251 pass through the cover 24 and are tightened to a pair of assembly nuts 252 embedded in the unit body 23. Thus, the cover 24 is attached to the unit body 23.

또한, 커버(24)의 유닛 본체(23)와의 대향면(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벽(242)(도 4 참조)과, 리브(243)(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벽(242)은, 커버(24)가 유닛 본체(23)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조임 나사(211)의 머리 부분과 간섭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과부하 보호 기능(토크 리미터)을 갖는 조임 나사(211)의 머리 부분이 접혀 있지 않은 상태, 다시 말해 규정 토크 이상의 토크로 조임 나사(211)가 조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버(24)의 유닛 본체(23)로의 설치가 규제된다. 요컨대, 조임 나사(211)의 머리 부분이 남아 있으면, 커버(24)의 우단부가 유닛 본체(23)의 배면으로부터 뜬 상태가 되고, 후술하는 규제부(235)를 막아, 고정 부재(8)로의 단말 유닛(20)의 설치가 금지된다.A pair of protruding walls 242 (see FIG. 4) and a pair of ribs 243 (see FIG. 4), which are vertically opposed to each other,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24 facing the unit body 23 Respectively. The pair of projecting walls 242 are disposed at positions where the cover 24 interferes with the head portion of the tightening screw 211 when the cover 24 is installed on the unit main body 23. As a result,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of the tightening screw 211 having the overload protection function (torque limiter) is not folded, in other words, the tightening screw 211 is not tightened with a torqu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specified torque, Is restricted in the unit main body 23. That is, when the head portion of the tightening screw 211 remains, the right end of the cover 24 floats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unit main body 23, and the restricting portion 23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nstallation of the terminal unit 20 is prohibited.

또한, 리브(243)는, 한 쌍의 투과 구멍(241)의 사이에 위치한다. 커버(24)가 유닛 본체(23)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리브(243)는, 제 2 단자부(22)에 접속된 전선(7)의 장력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기능한다. 다시 말해, 리브(243)는, 제 2 단자부(22)와 선 통과 구멍(239)의 사이에 있어서, 전선(7)을 유닛 본체(23)의 배면과의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 연장 방향(좌우 방향)으로의 전선(7)의 이동을 규제한다. 커버(24)는, 리브(243)의 상하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투과 구멍(241)을 통해서, 한 쌍의 조립 나사(251)로 유닛 본체(23)에 나사 고정된다. 그 때문에, 조립 나사(251)를 조이는 것에 의해, 리브(243)를 전선(7)에 파고들게 할 수 있고, 보다 강고하게 전선(7)의 장력 억제를 행할 수 있다.Further, the ribs 243 are located between the pair of through holes 241. The rib 243 functions as suppressing the tension of the electric wire 7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n a state where the cover 24 is provided on the unit main body 23. [ In other words, the ribs 243 sandwich the electric wire 7 betwee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and the line passage hole 239 betwee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and the line passage hole 239, (Left-right direction). The cover 24 is screwed to the unit body 23 with a pair of assembly screws 251 through a pair of through holes 241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rib 243. Therefore, by tightening the assembly screw 251, the rib 243 can be inserted into the electric wire 7, and the tension of the electric wire 7 can be more firmly suppressed.

그런데,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 유닛(20)에서는, 유닛 본체(2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의 가이드 홈(231a, 231b)과, 장력 받이부(232)를 갖고 있다.3, the unit body 23 of the terminal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t least one guide groove 231a and 231b and a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

가이드 홈(231a, 231b)은, 급전로(1)의 심선(11)을 수납하기 위한 홈이고, 유닛 본체(23)의 전면(233)에 있어서 연장 방향의 양단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 홈(231a, 231b)은, 심선(11)의 연장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유닛 본체(23)의 전면(233)의 양단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홈(231a, 231b)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유닛 본체(23)를 연장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전로(1)가 한 쌍의 심선(11a, 11b)을 구비하기 때문에, 유닛 본체(23)에 있어서도, 한 쌍의 심선(11a, 11b)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 홈(231a, 231b)을 갖고 있다.The guide grooves 231a and 231b are grooves for receiving the core wire 11 of the power feeding path 1 and are formed across both ends of the front face 233 of the unit body 23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guide grooves 231a and 231b are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233 of the unit body 23 in the direction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re wire 11. In other words, That is, the guide grooves 231a and 231b are opened forward and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unit main body 23 over the entire length in the extending direction. Since the power feed path 1 includes the pair of core wires 11a and 11b in the unit body 23 as well as the pair of core wires 11a and 11b, (231a, 231b).

한 쌍의 가이드 홈(231a, 231b)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 홈(231a, 231b)의 저면 및 내측면의 일부에는, 수납 오목부(237)에 수납된 한 쌍의 제 1 단자부(21a, 21b)를 배치하기 위한 개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수납 오목부(237) 내의 공간은, 개구(230)를 통해서 가이드 홈(231) 내의 공간에 연속하고 있다. 수납 오목부(237)에 수납된 제 1 단자부(21)는, 개구(230)를 통해서 가이드 홈(231)의 저면 및 내측면의 일부로부터 노출된다.The pair of guide grooves 231a and 231b are formed side by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opening 230 for disposing a pair of first terminal portions 21a and 21b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237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guide grooves 231a and 231b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space in the housing recess 237 is continuous with the space in the guide groove 231 through the opening 230.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accommodated in the housing recess 237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30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groove 231.

심선(11a)은, 유닛 본체(23)의 좌측으로부터 가이드 홈(231a)에 도입되고, 가이드 홈(231a) 내에 있어서 제 1 단자부(21a)에 접속된다. 심선(11b)은, 유닛 본체(23)의 좌측으로부터 가이드 홈(231b)에 도입되고, 가이드 홈(231b) 내에 있어서 제 1 단자부(21b)에 접속된다. 즉, 한 쌍의 가이드 홈(231a, 231b)에 수납되는 한 쌍의 심선(11a, 11b)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 홈(231a, 231b)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 가이드 홈(231a, 231b)의 각각을 간단히 "가이드 홈(231)"이라고도 한다.The core wire 11a is introduced into the guide groove 231a from the left side of the unit body 23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a in the guide groove 231a. The core wire 11b is introduced into the guide groove 231b from the left side of the unit body 23 and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b in the guide groove 231b. That is, a pair of core wires 11a and 11b housed in the pair of guide grooves 231a and 231b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ase where the pair of guide grooves 231a and 231b are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each of the guide grooves 231a and 231b is also simply referred to as " guide groove 231 ".

이것에 의해, 심선(11)의 제 2 단부(112)를 유지한 상태의 유닛 본체(23)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집전 장치(5)를 맞대는 것에 의해, 집전 장치(5)의 집전자를 가이드 홈(231) 내의 심선(11)에 접촉시킬 수 있고, 급전로(1)로부터 집전 장치(5)로의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가이드 홈(231)은, 유닛 본체(23)의 연장 방향의 양단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집전 장치(5)의 집전자는, 가이드 홈(231) 내를 통해서 유닛 본체(23)를 연장 방향으로 통과 가능하다. 즉, 급전로(1)로부터 집전 장치(5)로의 급전을 계속한 채의 상태에서, 집전 장치(5)는, 연장 방향을 따라 단말 유닛(20)을 통과하도록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말 유닛(20)을 통과할 때에는, 집전 장치(5)는, 가이드 홈(23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연장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되게 된다. 그 때문에, 급전로(1)와 다른 설비의 급전로의 사이에서의 집전 장치(5)의 갈아타기를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기능이 구현화된다.Thus, the current collector 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nit body 23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nd 112 of the core wire 11 is held, I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re wire 11 in the groove 231 and power supply from the power feeding path 1 to the power collecting device 5 becomes possible.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current collector 5 is connected to the unit main body 23 through the guide groove 231 so that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guide groove 231. [ It is possible to pass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at is, in a state in which power supply from the power feeding path 1 to the power collecting apparatus 5 is continued, the power collecting apparatus 5 can mov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so as to pass through the terminal unit 20. When passing through the terminal unit 20, the current collecting device 5 is guided by the guide groove 231 so as to be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mov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fore, a guide function that enables the transfer of the current collector 5 between the power feed path 1 and the power feed path of other equipment is realized.

여기서, 가이드 홈(231)의 폭 치수(상하 방향의 치수)는, 가이드 홈(231) 중 개구(230)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제 1 단자부(21)의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개구(230) 내에 배치된 제 1 단자부(21)는, 가이드 홈(231) 내를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제 1 단자부(21)는 개구(230)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닛 본체(23)에 유지되고, 제 1 단자부(21)에 대하여 좌측 방향의 힘이 심선(11)으로부터 작용하더라도, 제 1 단자부(21)는 개구(230) 내에 멈추게 된다.Here, the width dimension (vertical dimension) of the guide groove 231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230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231 have. Therefore,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disposed in the opening 230 can not move in the guide groove 231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is held in the unit body 23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is disposed in the opening 230 and even if a leftward force acts on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from the core wire 11, The terminal portion 21 is stopped in the opening 230.

또한, 가이드 홈(231)은,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부(111)와는 반대쪽(우측)의 단부(우단부)에, 폭 확대부(236)를 갖고 있다. 폭 확대부(236)는, 가이드 홈(231)의 폭 치수(상하 방향의 치수)를 유닛 본체(23)의 바깥쪽(우측)일수록 넓게 한다. 이것에 의해, 집전 장치(5)의 갈아타기 시에 있어서, 갈아타기 전의 급전로와 갈아타기 후의 급전로의 사이에,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있더라도, 폭 확대부(236)가 가이드가 되어 갈아타기가 가능하게 된다.7A, the guide groove 231 has a width enlarged portion 236 at the end (right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111 (right 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I have. The width enlarging section 236 widens the width dimension (th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231 as the outer side (right side) of the unit main body 23 becomes larger. Thereby, even when there is a positional devi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power feed path before the changeover and the power feed path after the change in the power collecting device 5, the width enlargement part 236 becomes a guide And it becomes possible to ride.

장력 받이부(232)는, 제 1 단부(11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유닛 본체(23)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급전로(1)로부터 제 1 단자부(21)를 거쳐서 유닛 본체(23)에 작용하는 장력을 받는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력 받이부(232)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부(111) 쪽(좌측)을 향하고 있고, 또한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면이다. 다시 말해, 유닛 본체(23)의 좌측면이, 장력 받이부(232)를 구성한다. 여기서 말하는 "직교"는, 엄밀하게 90도로 교차하는 상태에 한하지 않고, 대략 90도로 직교하는 상태를 포함한다. 장력 받이부(232)는, 후술하는 고정 부재(8)의 접촉면(81)에 접하는 것에 의해, 제 1 단부(111)에 가까워지는 방향(좌측 방향)의 유닛 본체(23)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유닛 본체(23)는, 장력 받이부(232)가 되는 유닛 본체(23)의 좌측면을, 고정 부재(8)의 일부(접촉면(81))에 닿게 하는 것에 의해, 급전로(1)로부터 제 1 단자부(21)를 거쳐서 유닛 본체(23)에 작용하는 좌측 방향의 장력을 받는다.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unit main body 23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111 so that the force receiving portion 232 can be moved from the power feed path 1 to the unit main body 23). ≪ / RTI > In this embodimen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is a vertical surface that faces the first end 111 side (left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is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unit main body 23 constitutes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The term " orthogonal " as used herein includes not only a state of strictly intersecting 90 degrees but a state of being orthogonal to each other at approximately 90 degrees.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contacts the contact surface 81 of the fixing member 8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regulate the movement of the unit main body 23 in the direction (left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end portion 111 Consists of. That is, the unit main body 2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unit body 23 serving as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art (contact surface 81) of the fixing member 8, To the unit body 23 via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as shown in Fig.

또한, 유닛 본체(23)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력 받이부(232)인 수직면(유닛 본체(23)의 좌측면)으로부터, 제 1 단부(111) 쪽(좌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234)를 더 갖고 있다.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234)는, 유닛 본체(23)의 좌측면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유닛 본체(23)는, 후술하는 고정 부재(8)의 위치 결정 오목부(832)에, 위치 결정 돌기(234)를 거는 것에 의해, 고정 부재(8)에 대한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단, 위치 결정 돌기(234)는, 한 쌍에 한하지 않고, 1개만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7 (a) and 7 (b), the unit main body 23 has a first end 111 (the left end of the unit body 23) which is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And a pair of positioning protrusions 234 projecting toward the left side (left side). The pair of positioning projections 23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unit main body 2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nit main body 23 is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8 by placing the positioning projection 234 on the positioning concave portion 832 of the fixing member 8 to be described later. However, the positioning projections 234 may be provided only in one pair.

또한, 유닛 본체(23)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23)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235)를 더 갖고 있다. 규제부(235)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닛 본체(23)에 있어서의 수납 오목부(237)의 우측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이다. 규제부(235)에는, 후술하는 고정 부재(8)의 규제편(84)이, 수납 오목부(237) 쪽(좌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즉, 규제편(84)이, 규제부(235)에 걸리는 것에 의해, 유닛 본체(23)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덕트 레일(4)의 후벽(41)으로부터의 유닛 본체(23)의 부상이 규제된다.8, the unit main body 23 further has a regulating portion 235 for regulat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unit main body 23. As shown in Fig. The regulating portion 235 i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237 in the unit body 23 in this embodiment. The restricting piece 84 of the fixing member 8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restricting portion 235 from the side of the accommodating concave portion 237 (left side). In other words, the restricting piece 84 is restrained from moving forward of the unit body 23 by being caught by the restricting portion 235, and the unit body 23 from the rear wall 41 of the duct rail 4, Injuries are regulated.

고정 부재(8)는, 단말 유닛(20)의 유닛 본체(23)를 덕트 레일(4)(설치 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부재(8)는, 예컨대 철 등의 금속제의 고정구(고정 지그)이다.The fixing member 8 is a member for fixing the unit main body 23 of the terminal unit 20 to the duct rail 4 (mounting object).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member 8 is a fixture (fixing jig) made of metal such as iron.

고정 부재(8)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력 받이부(232)에 대하여,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부(111) 쪽(좌측)으로부터 접하는 접촉면(81)을 갖는다. 장력 받이부(232)는, 접촉면(81)에 접하는 것에 의해, 제 1 단부(111)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유닛 본체(23)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부재(8)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면(81)과, 고정편(82)과, 한 쌍의 측벽부(83)와, 규제편(84)을 갖고 있다. 고정편(82), 한 쌍의 측벽부(83), 및 규제편(84)은, 1매의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fixing member 8 has a contact surface 8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from the first end 111 side (left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is configured to restrict movement of the unit main body 23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111 by contacting the contact surface 81.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fixing member 8 includes a contact surface 81, a fixing piece 82,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and a restriction piece 84 I have. The fixing piece 82,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and the restricting piece 84 are integrally formed of a single sheet of metal plate.

고정편(82)은, 연장 방향(좌우 방향)으로 긴 띠판 형상이다. 고정편(82)에는, 연장 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설치 구멍(821)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82)은, 이들 한 쌍의 설치 구멍(821)을 관통하는 한 쌍의 설치 볼트(91)에 의해, 덕트 레일(4)의 후벽(41)에 설치된다. 후벽(41)을 관통한 설치 볼트(91)의 선단부에는, 설치 기구(92)가 장착된다. 설치 기구(92)는, 설치 너트(92a), 용수철 와셔(92b), 및 평와셔(92c)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 부재(8)는, 설치 기구(92)와의 사이에, 덕트 레일(4)의 후벽(41)의 일부를 끼우도록 덕트 레일(4)에 설치되고, 덕트 레일(4)에 대하여, 덜컹거림 없이 고정된다.The fixing piece 82 is in the shape of a long strip in the extending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The fixing piece 82 is provided with a pair of mounting holes 821 arrang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fixing pieces 82 are provided on the rear wall 41 of the duct rail 4 by a pair of mounting bolts 91 passing through the pair of mounting holes 821. [ A mounting mechanism 92 is mounted on the distal end of the mounting bolt 91 passing through the rear wall 41. The installation mechanism 92 has an installation nut 92a, a spring washer 92b, and a flat washer 92c. The fixing member 8 is installed on the duct rail 4 so as to sandwich a part of the rear wall 41 of the duct rail 4 between the fixing member 8 and the mounting mechanism 92, With no jolt.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볼트(91)는, 용접 볼트이고, 고정편(82)에 대하여 용접에 의해 일정화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육각 볼트 등의 일반적인 볼트에 비하여, 설치 볼트(91)의 머리 부분의 높이(고정편(82)의 전면으로부터의 돌출량)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설치 볼트(91)와, 제 2 단자부(22)에 접속된 전선(7)의 간섭이 회피된다.Here,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bolt 91 is a welding bolt, and is fixed to the fixing piece 82 by welding. Therefore, the height of the head portion of the mounting bolt 91 (the amount of protrusio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iece 82) can be suppressed lower than a general bolt such as a hexagonal bolt. Thus, interference between the mounting bolt 91 and the electric wire 7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s avoided.

한 쌍의 측벽부(83)는, 고정편(82)의 상하 방향의 양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여기서, 한 쌍의 측벽부(83)는, 고정편(82)의 긴 방향(연장 방향)의 중심보다 제 1 단부(111) 쪽(좌측)에만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면(81)은, 한 쌍의 측벽부(83)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의 제 1 단부(111)와는 반대쪽(우측)의 단면(우측면)이다. 이 접촉면(81)은, 단말 유닛(20)의 장력 받이부(232)에 대하여,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부(111) 쪽(좌측)으로부터 접한다. 이것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로(1)로부터 제 1 단자부(21)를 거쳐서 좌측 방향의 장력 X1이 유닛 본체(23)에 작용하더라도, 유닛 본체(23)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고정 부재(8)로 규제되고, 장력 받이부(232)로 장력 X1을 받을 수 있다.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protrude forward from both ends of the fixing piece 82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Here,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are provided only at the first end portion 111 (left side) of the center of the fixing piece 8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direction). Here, the contact surface 81 is a cross section (right side) opposite to the first end 111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right side). The contact surface 81 contacts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of the terminal unit 20 from the first end 111 side (left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8, even if the leftward tensile force X1 acts on the unit body 23 from the power feed path 1 via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the movement of the unit body 23 toward the left side Is restricted by the fixing member (8), and the tension X1 can be received by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또한, 한 쌍의 측벽부(83)에 있어서의 접촉면(81)의 후단부에는, 위치 결정 오목부(8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오목부(832)에, 유닛 본체(23)의 위치 결정 돌기(234)가 걸리는 것에 의해, 고정 부재(8)에 대한 단말 유닛(20)의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At the rear end of the contact surface 81 i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a positioning concave portion 832 is formed. The positioning projection 234 of the unit body 23 is engaged with the positioning recessed portion 832 so that the positioning of the terminal unit 20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8 is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장력 받이부(232)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심선(11)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이 되는 범위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부(83)의 전면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심선(11)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거리 D1만큼 후방에 위치하도록, 고정 부재(8)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벽부(83)의 높이(고정편(82)의 전면으로부터의 돌출량)가 설정되어 있다. 즉, 유닛 본체(23)의 좌측면(수직면)의 전체가 장력 받이부(232)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유닛 본체(23)의 좌측면(수직면) 중, 접촉면(81)에 접하는 부분이 장력 받이부(232)를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접촉면(81)을 갖는 한 쌍의 측벽부(83)의 높이가 낮게 억제되는 것에 의해, 유닛 본체(23)의 좌측면(수직면) 중, 장력 받이부(232)로서 기능하는 범위를 좁힐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력 받이부(232)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심선(11)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이 되는 범위에 마련된다.Here,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is provided in a rearward direction of the front end edge of the core wire 11 in the front-rear direction.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the front surface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is positioned on the fixing member 8 so as to be positioned rearward by a distance D1 from the front edge of the core wire 11 in the front- (The amount of protrusio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iece 82)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is set. That is, the entire left surface (vertical surface) of the unit main body 23 does not constitute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but a portion of the left surface (vertical surface) of the unit main body 2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81, Thereby constituting a receiving portion 232. Fig. The height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having the contact surface 81 is suppressed to be low so that the range of the left side surface (vertical surface) of the unit main body 23 that functions as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is Can be narrowed down. As a resul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is provided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front end edge of the core wire 11 in the front-rear direction.

또한, 한 쌍의 측벽부(83)의 높이(고정편(82)의 전면으로부터의 돌출량)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부(111) 쪽(좌측)일수록 낮아진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측벽부(83)의 전단면은, 좌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831)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측벽부(83)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 접촉면(81)(한 쌍의 측벽부(83)의 우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진다.The height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the amount of protrusio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iece 82) is lower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111 (left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refore, the front end faces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constitute inclined faces 831 inclined to the left.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becomes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ontact surface 81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increases.

규제편(84)은, 고정편(82)의 연장 방향의 제 1 단부(111)와는 반대쪽(우측)의 단부(우단부)로부터 돌출한다. 규제편(84)은, 제 1 단부(111)와는 반대쪽(우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규제편(84)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23)의 규제부(235)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유닛 본체(23)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다시 말해, 규제편(84)이 규제부(235)에 걸리는 것에 의해, 고정편(82)으로부터의 유닛 본체(23)의 부상이 규제된다.The restricting piece 84 protrudes from the end (right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111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xing piece 82 (right side). The restricting piece 84 protrudes toward the opposite side (right side) from the first end 111. The restricting piece 84 regulates the forward movement of the unit body 23 by being inserted into the restricting portion 235 of the unit body 23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as the restricting piece 84 is caught by the restricting portion 235, the lifting of the unit main body 23 from the securing piece 82 is regulated.

여기서, 장력 받이부(232) 및 규제부(235)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 장력 받이부(232)가 제 1 단부(111) 쪽(좌측)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규제부(235)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 장력 받이부(232)에 대하여 제 1 단부(111)와는 반대쪽(우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위치 관계에 의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로(1)로부터 제 1 단자부(21)를 거쳐서 좌측 방향의 장력 X1이 유닛 본체(23)에 작용한 경우에, 유닛 본체(23)에 작용하는 모멘트 X2에 저항하여, 유닛 본체(23)의 회전이 규제부(235)로 효율적으로 규제된다.Here,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and the restricting portion 235 are arranged such tha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is located on the first end 111 side (left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restricting portion 235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right side) to the first end 111 with respect to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in the extending direction. 8, when the tension X1 in the left direction from the power feed path 1 through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acts on the unit main body 23, the unit main body 23, The rotation of the unit body 23 is effectively restricted to the restricting portion 235 against the moment X2 acting on the restricting portion 235. [

(3) 변형예(3) Modifications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하나에 지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설계 등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 형태 1의 변형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변형예는, 적당히 조합하여 적용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system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system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esign or the like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Modific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listed below. Modifications described below are applicable in appropriate combination.

급전 시스템(10)으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아서 동작하는 이동 기기는, 전동 대차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크레인, 및 사람을 태우기 위한 차량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급전 시스템이 적용되는 시설은, 자동 창고 또는 공장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유희 시설 및 점포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급전 시스템(10)은, 옥내용에 한하지 않고, 건물의 외부에서 사용되는 옥외용이더라도 좋다.The mobile device that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system 10 is not limited to the electric bogie, but may be, for example, a crane and a vehicle for picking up people. The facility to which the power supply system is applied is not limited to an automatic warehouse or a factory, but may be, for example, a play facility or a store. Further, the power supply system 10 is not limited to the indoor unit, but may be an outdoor unit used outside the building.

또한, 급전 시스템(10)은, 직류 전력의 공급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단상 2선식, 또는 3상 3선식 등의 교류 전력의 공급에 이용되더라도 좋다. 또한, 급전 시스템(10)은, 예컨대, 부하(여기서는 이동 기기)와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 등의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에 이용되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급전로(1)는, 한 쌍(2개)의 심선(11)을 갖는 2선식에 한하지 않고, 1개의 심선, 또는 3개 이상의 심선(11)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Further, the power supply system 10 may be used not only for supplying the DC power but also for supplying AC power such as a single-phase two-wire type or a three-phase three-wire type. Further, the power supply system 10 may be used, for example, in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a signal such as a control signal to a load (a mobile device in this case). In other words, the power feeding furnace 1 is not limited to a two-wire type having a pair of (two) core wires 11, but may have one core wire or three or more core wires 11.

또한, 고정 부재(8)는, 금속제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합성 수지제이더라도 좋다.The fixing member 8 is not limited to a metal, but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for example.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급전로(1)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급전로(1)는 곡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더라도 좋다. 예컨대, 급전 시스템(10)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는 이동 기기의 이동 경로가 만곡한 경로인 경우에는, 급전로(1)는, 이 이동 경로를 따라 만곡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급전로(1)의 연장 방향으로 급전로(1)를 세분화함으로써, 급전로(1)의 연장 방향은 직선 형상의 연장 방향으로서 규정된다. 다시 말해, 만곡한 급전로(1)에 있어서는, 세분화된 급전로(1)의 각 부위에 있어서의 접선 방향이 연장 방향이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power feeding path 1 extends in a straight line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ower feeding path 1 may extend along a curve. For example, when the moving path of the mobile device receiving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feeding system 10 is a curved path, the power feeding path 1 is curved along this moving path. Even in such a case, by extending the feed path 1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eed path 1,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eed path 1 is defined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traight line. In other words, in the curved feeding rail 1, the tangential direction at each portion of the subdivided feeding rail 1 becomes the extending direction.

또한, 심선(11)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심선(11)의 전면에, 단면 V자 형상 또는 단면 U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re wire 11 is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a groove having a V-shaped cross section or a U-shaped cross section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ore wire 11.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유닛 본체(23)의 규제부(235)에 고정 부재(8)의 규제편(84)이 삽입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규제부(235)와 규제편(84)의 요철의 관계는 반대이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고정 부재(8)의 규제편(84)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삽입되는 돌기가 유닛 본체(23)의 규제부(235)에 형성되더라도 좋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stricting piece 84 of the fixing member 8 is inserted into the restricting part 235 of the unit main body 2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rregularities may be reversed. In other words, a recess may be formed in the restricting piece 84 of the fixing member 8 and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recess may be formed in the restricting portion 235 of the unit main body 23.

또한, 단말 유닛(20)의 유닛 본체(23)는, 고정 부재(8)와 일체화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 실시 형태 1과 같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장력 받이부(232) 대신에, 고정 부재(8)의 고정편(82)에 상당하는 부위가, 유닛 본체(23)에 있어서, 유닛 본체(23)에 작용하는 장력을 받는 장력 받이부를 구성한다.The unit main body 23 of the terminal unit 20 may be integrated with the fixing member 8 as well. In this cas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iece 82 of the fixing member 8 is formed in the unit main body 23 in place of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having the vertical surface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reby forming a tension receiving portion that receives a tension acting on the tension member.

또한, 덕트 레일(4)의 일부가 고정 부재(8)로서 기능하도록, 고정 부재(8)가 덕트 레일(4)과 일체화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 단말 유닛(20)은, 고정 부재(8)를 이용하지 않고서, 직접적으로 설치 대상물(덕트 레일(4))에 설치되게 된다. 이 경우, 단말 장치(2)는, 단말 유닛(20)만으로 구성되고, 고정 부재(8)를 구성 요소에 포함하지 않는다.The fixing member 8 may be integrated with the duct rail 4 so that a part of the duct rail 4 functions as the fixing member 8. In this case, the terminal unit 20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object (duct rail 4) without using the fixing member 8. [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2 is constituted only by the terminal unit 20, and does not include the fixing member 8 in its constituent elements.

또한, 제 2 단자부(22)는, 제 1 단자부(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되고, 예컨대, 제 2 단자부(22)와 제 1 단자부(21)는 각각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편조 선(braided wire) 등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더라도 좋다.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may be formed of respective metal plates, braided wire or the like.

또한, 장력 받이부(232) 및 규제부(235)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 장력 받이부(232)가 제 1 단부(111)와는 반대쪽(우측)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더라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규제부(235)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 장력 받이부(232)에 대하여 제 1 단부(111) 쪽(좌측)에 위치하더라도 좋다.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and the restricting portion 235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is opposite to the first end 111 (right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regulating portion 235 may be located on the first end 111 sid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in the extending direction.

또한, 커버(24)는 유닛 본체(23)에 대하여 나사 고정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커버(24)는 유닛 본체(23)에 대하여 스냅 피트(snap-fit) 구조에 의해 설치되더라도 좋다.The cover 24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ver 24 is screwed to the unit body 23. For example, the cover 24 may be provided in the unit body 23 by a snap-fit structure .

또한, 조임 장치(3)에 대해서도,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장력 발생부(32)는, 압축 코일 용수철(323)의 탄성력에 의해 심선(11)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심선(11)에 장력을 작용시키더라도 좋다. 예컨대, 조임 장치(3)는, 장력 발생부(32)를 복수 갖고 있더라도 좋다.Further, the tightening device 3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For example, the tension generating portion 32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core wire 1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323, but tension may be applied to the core wire 11 by other methods. For example, the tightening device 3 may have a plurality of tension generating portions 32. [

또한, 설치 대상물은 덕트 레일(4)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벽 또는 천정 등의 구조물이더라도 좋다. 다시 말해, 급전로(1)는, 덕트 레일(4)을 거치지 않고서, 벽 또는 천정 등의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더라도 좋다.The object to be installed is not limited to the duct rail 4, but may be a structure such as a wall or a ceiling. In other words, the power feeding furnace 1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a structure such as a wall or a ceiling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uct rail 4.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 장치(2A)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유닛(20)의 장력 받이부(232A), 및 고정 부재(8A)의 접촉면(81A)의 구성이,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단말 장치(2)와 상위하다. 이하,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적당히 설명을 생략한다.The terminal device 2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A of the terminal unit 20 and the contact surface 81A of the fixing member 8A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mbodiment 1 is different from the terminal apparatus 2 related to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력 받이부(232A)는, 연장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부(111) 쪽(좌측)을 향하고 있고, 또한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이다. 즉, 유닛 본체(23A)의 일부이고, 좌측 전방을 향한 경사면이 장력 받이부(232A)를 구성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A i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directed to the first end portion (left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s inclined forward with respect to a plan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 In other words, a portion of the unit main body 23A, which is inclined toward the left front side, constitutes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A.

이 구성에 의하면, 유닛 본체(23A)는, 장력 받이부(232A)가 고정 부재(8A)의 측벽부(83)의 우단부의 후방에 들어가는 형태로, 고정 부재(8A)에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편(82)으로부터의 유닛 본체(23A)의 부상이, 보다 생기기 어려워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nit main body 23A is provided on the fixing member 8A in such a form tha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A enters behind the right end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83 of the fixing member 8A. Therefore, the lifting of the unit main body 23A from the fixing piece 82 becomes less likely to occur.

실시 형태 2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변형예를 포함한다)과 적당히 조합하여 적용 가능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appropriately combined with various configurations (including modification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정리)(theorem)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유닛(20, 20A)은, 연장 방향의 양 단부를 제 1 단부(111) 및 제 2 단부(112)로 하는 적어도 1개의 심선(11)을 갖는 급전로(1)를 유지한다. 급전로(1)는, 제 1 단부(111) 쪽으로부터, 연장 방향을 따른 장력이 심선(11)에 작용한다. 단말 유닛(20, 20A)은, 제 1 단자부(21)와, 제 2 단자부(22)와, 유닛 본체(23, 23A)를 구비한다. 제 1 단자부(21)는, 제 2 단부(112)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심선(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단자부(22)는, 제 1 단자부(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선(7)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이다. 유닛 본체(23, 23A)는, 제 1 단자부(21) 및 제 2 단자부(22)를 유지한다. 유닛 본체(23, 23A)는, 가이드 홈(231)과, 장력 받이부(232, 232A)를 갖는다. 가이드 홈(231)은, 유닛 본체(23, 23A)의 전면(233)에 있어서 연장 방향의 양단 사이에 걸쳐 형성되고, 심선(11)을 수납한다. 장력 받이부(232, 232A)는, 제 1 단부(11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유닛 본체(23, 23A)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급전로(1)로부터 제 1 단자부(21)를 거쳐서 유닛 본체(23, 23A)에 작용하는 장력을 받는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units 20 and 20A related to the first aspect have at least one core wire 11 having both end portions in the extending direction as the first end portion 111 and the second end portion 112 And maintains the power feeding path (1). In the power feeding furnace 1, a tensile forc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acts on the core wire 11 from the first end portion 111 side. The terminal units 20 and 20A each have a first terminal portion 21, a second terminal portion 22 and unit bodies 23 and 23A.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mechanically holds the second end portion 112 and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 11.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and is a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7. The unit bodies 23 and 23A hold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respectively. The unit bodies 23 and 23A have guide grooves 231 and tension receiving portions 232 and 232A. The guide groove 231 is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front surface 233 of the unit main body 23 and 23A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houses the core wire 11 therein.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s 232 and 232A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unit bodies 23 and 23A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first end portion 111 so that the first terminal portion 21 And receives a tensile force acting on the unit main body 23 (23A).

이 구성에 의하면, 심선(11)의 제 2 단부(112)를 유지한 상태의 유닛 본체(23, 23A)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집전 장치(5)를 맞대는 것에 의해, 급전로(1)(심선(11))로부터 집전 장치(5)로의 급전이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 홈(231)은, 유닛 본체(23, 23A)의 연장 방향의 양단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전로(1)로부터 집전 장치(5)로의 급전을 계속한 채로의 상태에서, 집전 장치(5)는, 연장 방향을 따라 단말 유닛(20, 20A)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유닛(20, 20A)은, 제 2 단자부(22)를 가지므로, 급전로(1)를 외부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기능이 구현화된다. 따라서, 조임 장치(3)가 외부 회로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단말 유닛(20, 20A)으로 급전로(1)를 외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 회로와 급전로(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선(7) 길이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ower collecting device 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nit body 23, 23A holding the second end portion 112 of the core wire 11 from the front, (Power supply device 11) to the power collector device 5. The guide groove 231 is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unit body 23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nit main body 23 and 23A so that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feeding path 1 to the power collecting device 5 is continued, 5 can pass through the terminal units 20, 20A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Since the terminal units 20 and 20A have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a connection function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eeder path 1 to an external circuit is realized. Therefore, when the tightening device 3 is disposed at a relatively far position from the external circuit, the power feeding path 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it by the terminal units 20 and 20A.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electric wire 7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xternal circuit to the power feeding path 1 can be shortened.

제 2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유닛(20)은, 제 1 태양에 있어서, 장력 받이부(232)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부(111) 쪽을 향하고 있고, 또한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급전로(1)로부터 유닛 본체(23)에 작용하는 장력을, 장력 받이부(232)로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다.In the terminal unit 20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in the first aspec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is a vertical surface oriented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111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tension acting on the unit main body 23 from the power feeding path 1 can be efficiently received by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제 3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유닛(20)은, 제 2 태양에 있어서, 유닛 본체(23)는, 장력 받이부(232)인 수직면으로부터, 제 1 단부(111) 쪽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돌기(234)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정 부재(8)에 대한 단말 유닛(20)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The terminal unit 20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is such that the unit main body 23 has the positioning projections 234 projecting from the vertical surface serving as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111 ). With this configuration, positioning of the terminal unit 20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8 becomes possible.

제 4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유닛(20A)은, 제 1 태양에 있어서, 장력 받이부(232A)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부(111) 쪽을 향하고 있고, 또한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닛 본체(23A)의 부상이, 보다 생기기 어려워진다.In the terminal unit 20A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in the first aspec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232A is directed to the first end 111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is extended in a plan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forwar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lifting of the unit main body 23A becomes less likely to occur.

제 5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유닛(20, 20A)은, 제 1~4의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유닛 본체(23, 23A)는, 유닛 본체(23, 23A)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235)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닛 본체(23, 23A)의 부상이 생기기 어려워진다.The terminal unit 20 or 20A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is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wherein the unit bodies 23 and 23A are arranged to restrict the forward movement of the unit bodies 23 and 23A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estricting portion 235 for restricting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difficult for the unit bodies 23 and 23A to rise.

제 6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유닛(20, 20A)은, 제 5 태양에 있어서, 장력 받이부(232, 232A)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심선(11)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이 되는 범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력 받이부(232, 232A)가 접하는 접촉면(81, 81A)과, 심선(11) 및 집전 장치(5)의 사이의 절연 거리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The terminal units 20 and 20A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such tha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s 232 and 232A are located rearward beyond the front end edge of the core wire 1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81, 81A contacting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s 232, 232A and the core wire 11 and the current collector 5 can be made relatively large.

제 7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유닛(20, 20A)은, 제 5 태양에 있어서, 장력 받이부(232, 232A) 및 규제부(235)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 장력 받이부(232, 232A)가 제 1 단부(111) 쪽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급전로(1)로부터의 장력이 유닛 본체(23, 23A)에 작용한 경우에, 유닛 본체(23, 23A)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저항하여, 유닛 본체(23, 23A)의 회전을 규제부(235)로 효율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The terminal units 20 and 20A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s 232 and 232A and the restricting portion 235 are provided with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s 232 and 232A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the first end 111 is disposed on the first end 111 sid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tension from the power feeding path 1 acts on the unit bodies 23 and 23A, the force exerted on the unit bodies 23 and 23A against the moment acting on the unit bodies 23 and 23A The rotation can be efficiently regulated by the regulating portion 235. [

제 8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유닛(20, 20A)은, 제 6 태양에 있어서, 장력 받이부(232, 232A) 및 규제부(235)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 장력 받이부(232, 232A)가 제 1 단부(111) 쪽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급전로(1)로부터의 장력이 유닛 본체(23, 23A)에 작용한 경우에, 유닛 본체(23, 23A)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저항하여, 유닛 본체(23, 23A)의 회전을 규제부(235)로 효율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The terminal units 20 and 20A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s 232 and 232A and the restricting portion 235 in the sixth aspect are provided with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s 232 and 232A, And the first end 111 is disposed on the first end 111 sid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tension from the power feeding path 1 acts on the unit bodies 23 and 23A, the force exerted on the unit bodies 23 and 23A against the moment acting on the unit bodies 23 and 23A The rotation can be efficiently regulated by the regulating portion 235. [

제 9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유닛(20, 20A)은, 제 1~8의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방향으로, 제 2 단자부(22)가 유닛 본체(23, 23A)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은, 제 2 단자부(22)에 접속된 전선(7)이 연장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부(111) 쪽으로 인출되는 방향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갈아타기 전의 급전로와 갈아타기 후의 급전로의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작더라도, 유닛 본체(23, 23A)로부터의 전선(7)의 인출이 용이해진다.The terminal units 20 and 20A according to the ninth aspect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terminal portions 22 are held by the unit bodies 23 and 23A in the following manner in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aspects . This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wire 7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is drawn out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111 in the extending direc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clearance between the power feeding path before the replacement and the power feeding path after the replacement is small, the drawing of the electric wire 7 from the unit main body 23, 23A is facilitated.

제 10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장치(2, 2A)는, 제 1~9의 어느 하나의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유닛(20, 20A)과, 유닛 본체(23, 23A)를 설치 대상물(덕트 레일(4))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8, 8A)를 구비한다. 고정 부재(8, 8A)는, 장력 받이부(232, 232A)에 대하여,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부(111) 쪽으로부터 접하는 접촉면(81, 81A)을 갖는다. 장력 받이부(232, 232A)는, 접촉면(81, 81A)에 접하는 것에 의해, 제 1 단부(111)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유닛 본체(23, 23A)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임 장치(3)가 외부 회로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단말 장치(2, 2A)로 급전로(1)를 외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 회로와 급전로(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선(7) 길이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2 or 2A according to the tenth asp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units 20 and 20A related to any one of the first to ninth aspects and the unit bodies 23 and 23A are mounted on the mounting object 4) of the fixing member 8, 8A. The fixing members 8 and 8A have contact surfaces 81 and 81A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s 232 and 232A from the first end 111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s 232 and 232A are configured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unit bodies 23 and 23A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first end portion 111 by contacting the contact surfaces 81 and 81A.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tightening device 3 is disposed at a relatively far position from the external circuit, the power feeding path 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it to the terminal devices 2 and 2A.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electric wire 7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xternal circuit to the power feeding path 1 can be shortened.

제 11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장치(2, 2A)는, 제 10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장치(2, 2A)에 있어서, 고정 부재(8, 8A)는, 한 쌍의 측벽부(8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측벽부(83)는, 제 2 단자부(22)에 접속된 전선(7)에 대하여, 연장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한다. 접촉면(81, 81A)은, 한 쌍의 측벽부(83)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의 제 1 단부(111)와는 반대쪽의 단면이다. 한 쌍의 측벽부(83)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연장 방향에 있어서 접촉면(81, 81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선(7)과 한 쌍의 측벽부(83)의 간섭이 생기기 어려워, 전선(7)의 라우팅이 용이해진다.The terminal devices 2 and 2A according to the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terminal devices 2 and 2A according to the tenth aspect in which the fixing members 8 and 8A have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are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extending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wire 7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2. The contact surfaces 81 and 81A are sections opposite to the first end 111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 The dimens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becomes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ontact surfaces 81, 81A in the extending dir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interference between the electric wire 7 and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3 is unlikely to occur, and the electric wire 7 can be easily routed.

제 12 태양과 관련되는 급전 시스템(10)은, 제 10 또는 11의 태양과 관련되는 단말 장치(2, 2A)와, 급전로(1)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임 장치(3)가 외부 회로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단말 장치(2, 2A)로 급전로(1)를 외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 회로와 급전로(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선(7) 길이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The feed system 10 according to the twelfth aspect includes the terminal devices 2 and 2A and the feed path 1 according to the tenth or eleventh aspec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tightening device 3 is disposed at a relatively far position from the external circuit, the power feeding path 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it to the terminal devices 2 and 2A. As a result, the length of the electric wire 7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xternal circuit to the power feeding path 1 can be shortened.

제 2~제 9 태양과 관련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단말 유닛(20, 20A)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적당히 생략 가능하다. 제 11 태양과 관련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단말 장치(2, 2A)에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적당히 생략 가능하다.The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second to ninth aspects are not essential to the terminal units 20 and 20A and can be appropriately omitted.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eleventh aspect is not essential to the terminal devices 2 and 2A, and can be appropriately omitted.

Claims (13)

연장 방향의 양 단부를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로 하는 적어도 1개의 심선을 갖고, 상기 제 1 단부 쪽으로부터, 상기 연장 방향을 따른 장력이 상기 심선에 작용하는 급전로를 유지하는 단말 유닛으로서,
상기 제 2 단부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상기 심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제 2 단자부와,
상기 제 1 단자부 및 상기 제 2 단자부를 유지하는 유닛 본체
를 구비하고,
상기 유닛 본체는,
상기 유닛 본체의 전면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방향의 양단 사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심선을 수납하는 가이드 홈과,
상기 제 1 단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유닛 본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급전로로부터 상기 제 1 단자부를 거쳐서 상기 유닛 본체에 작용하는 장력을 받는 장력 받이부
를 갖는
단말 유닛.
A terminal unit having at least one core wire having both end portions in the extending direction as a first end portion and a second end portion and holding a feed path in which tension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acts on the core wire from the first end portion,
A first terminal portion mechanically holding the second end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wire,
A second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And a unit body for holding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nd,
The unit body includes:
A guide groove formed in a front surface of the unit body and extending between both 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a second tensioned portion that receives a tensile force acting on the unit body from the power feed path via the first terminal portion by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unit main body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end portion,
Having
Termina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받이부는, 상기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쪽을 향하고 있고, 또한 상기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수직면인 단말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is a vertical surface that faces the first 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is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는, 상기 장력 받이부인 수직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단부 쪽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돌기를 더 갖는 단말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nit body further has a positioning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vertical surface, which is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받이부는, 상기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쪽을 향하고 있고, 또한 상기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단말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i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forward with respect to a plane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facing the first 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는, 상기 유닛 본체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갖는 단말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it body further includes a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unit bod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받이부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심선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방이 되는 범위에 마련되어 있는 단말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in a rear portion of the front end edge of the core wire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받이부 및 상기 규제부는, 상기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받이부가 상기 제 1 단부 쪽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단말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and the restricting portion are arranged such tha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is on the first end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받이부 및 상기 규제부는, 상기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장력 받이부가 상기 제 1 단부 쪽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단말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and the restricting portion are arranged such that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is on the first end side in the extending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부에 접속된 상기 전선이 상기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쪽으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단자부가 상기 유닛 본체에 유지되어 있는 단말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held in the unit bod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drawn out toward the first end por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말 유닛과,
상기 유닛 본체를 설치 대상물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장력 받이부에 대하여, 상기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단부 쪽으로부터 접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장력 받이부는, 상기 접촉면에 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단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상기 유닛 본체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단말 장치.
A terminal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unit body to an installation object,
And,
The fixing member has a contac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from the first 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the tension receiving portion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unit main body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end portion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Terminal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 2 단자부에 접속된 상기 전선에 대하여, 상기 연장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부를 갖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 방향의 상기 제 1 단부와는 반대쪽의 단면이고,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상기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단말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xing member has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extending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Wherein the contact surface is a cross section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opposite to the first 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dimens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becomes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ontact surface in the extending direction
Terminal device.
청구항 10에 기재된 단말 장치와,
상기 급전로
를 구비하는 급전 시스템.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0035]
.
청구항 11에 기재된 단말 장치와,
상기 급전로
를 구비하는 급전 시스템.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0035]
.
KR1020180006322A 2017-01-26 2018-01-18 Terminal unit, terminal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having the same KR1020486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12571 2017-01-26
JP2017012571A JP6994658B2 (en) 2017-01-26 2017-01-26 Terminal unit, terminal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equipped with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284A true KR20180088284A (en) 2018-08-03
KR102048691B1 KR102048691B1 (en) 2019-11-26

Family

ID=63007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322A KR102048691B1 (en) 2017-01-26 2018-01-18 Terminal unit, terminal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94658B2 (en)
KR (1) KR102048691B1 (en)
CN (1) CN108365491B (en)
TW (1) TWI679164B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709B1 (en) * 2014-08-18 2016-12-07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Insulated trolle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8702B2 (en) * 1994-12-26 2003-01-20 日立電線株式会社 Insulation trolley wire tightening device
JP3427027B2 (en) * 1995-02-10 2003-07-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Rotating connector
JP5559615B2 (en) 2010-06-16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onnector
JP5580665B2 (en) * 2010-06-16 2014-08-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onnector
JP6416510B2 (en) * 2014-06-12 2018-10-31 日鉄住金テックスエンジ株式会社 Connecting device
JP6380894B2 (en) 2014-08-18 2018-08-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Insulated trolley
JP6471930B2 (en) * 2014-08-18 2019-02-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Insulating trolley wire tightening device and insulating trolley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709B1 (en) * 2014-08-18 2016-12-07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Insulated troll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18678A (en) 2018-08-02
TWI679164B (en) 2019-12-11
KR102048691B1 (en) 2019-11-26
CN108365491A (en) 2018-08-03
CN108365491B (en) 2020-07-21
JP6994658B2 (en) 2022-01-14
TW201827324A (en)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1846B (en) Tensioning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with same
JP6464528B2 (en) Storage panel,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torage system
KR20180088284A (en) Terminal unit, terminal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having the same
KR102246825B1 (en) Connecting Clip and MCC with the same
JP2006238562A (en) Plug-in distribution board
KR20130032600A (en) Tray for battery and battery system having the same
KR101044288B1 (en) Switchgear using a bus bar connector
KR102134870B1 (en) Distribution box for wire tray installation
KR102295147B1 (en) Distribution panelboard having insulation module and nut carrier
KR102024519B1 (en) Power supply path and power supply system having the same
CN103532025A (en) Bottom plate bracket for electric control cabinet
CN209844225U (en) Mobile substation and wire inlet device thereof
JP2003284211A (en) Distribution panel
CN218005543U (en) Power cabinet convenient to inlet wire
KR101147058B1 (en) Fabricated cabinet panel
CN219937290U (en) Line nose stopper and battery box
CN214069500U (en) Bus end supporting device and bus duct
CN219917931U (en) Movable cable support and switch cabinet
CN213717835U (en) Converter cabinet body
CN218887874U (en) Mutual inductor mounting structure and switch cabinet
CN220291364U (en) Modular assembled distribution box
CN218070956U (en) Bus bridge device
CN219041342U (en) A pin-connected panel inlet wire case for bus duct
CN109787134B (en) Mobile transformer substation and wire inlet device thereof
CN209201430U (en) A kind of control cabinet mount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