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193A -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및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및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193A
KR20180087193A KR1020180008579A KR20180008579A KR20180087193A KR 20180087193 A KR20180087193 A KR 20180087193A KR 1020180008579 A KR1020180008579 A KR 1020180008579A KR 20180008579 A KR20180008579 A KR 20180008579A KR 20180087193 A KR20180087193 A KR 20180087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s
blade
central support
vertebral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린 황
짼-위 린
Original Assignee
러브 유 컴퍼니 리미티드
바우이 바이오텍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러브 유 컴퍼니 리미티드, 바우이 바이오텍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러브 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87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3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with parts attached to bones or to each other by flexible wires, straps, sutur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94Solid vertebral fillers; devices for inserting such 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0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apophyseal or facet joints, i.e. between adjacent spinous or transverse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61B17/7065Devices with changeable shape, e.g. collapsible or having retractable arms to aid implantation;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003Material related properties of the prosthesis or of a coating on the prosthesis
    • A61F2002/3006Properties of materials and coat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002/449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having a fabric structure, e.g. made from wires or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하나의 척추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포함된다. 하나의 척추돌기 사이의 충전재가 포함되고, 이 척추돌기 사이의 충전재에는 하나의 중앙 지지체가 있으며, 서로 상반되는 제1방향과 제2방항이 있고, 제1방향과 제2방향에서 수직으로 되는 상측과 하측이 있다. 또, 하나의 상측 날개가 포함되되, 이 상측 날개는 제1방향에 위치하고, 중앙 지지체의 상측으로 돌출한다. 또, 하나의 하측 날개가 포함되되, 이 하측 날개는 제1방향에 위치하고, 중앙 지지체의 하측으로 돌출한다. 또, 하나의 상측 돌기가 포함되되, 상측 돌기는 제2방향에 위치하고, 중앙 지지체의 상측으로 돌출하며, 상측 돌기가 상측으로 돌출한 길이는 상측 날개가 상측으로 돌출한 길이보다 짧아야 한다. 또, 하나의 하측 돌기가 포함되되, 이 하측 돌기는 제2방향에 위치하고, 중앙 지지체의 하측으로 돌출하며, 하측 돌기로부터 돌출한 길이는 하측 날개로부터 돌출한 길이보다 짧아야 한다. 또, 적어도 하나의 천공이 포함되되, 이 천공은 중앙 지지체의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향한다. 또, 하나의 고정끈이 포함되되, 이 고정끈은 천공을 관통할 수 있으며, 고정끈은 중앙 지지체의 제1방향과 고리형 구조를 이룬다. 또, 적어도 하나의 금속 고리가 포함되되, 이 금속 고리는 적어도 고정끈의 일단부가 있어야 하고, 금속 고리가 고리형 구조를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Description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및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An interspinous stabilizer, comprising an interspinous device}
본 발명은 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척추 퇴행성 질병 혹은 척수 강협소(脊髓腔狹窄) 등 척추 병변으로 인해 신경압박을 받을 때의 치료방식인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및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척추는 여러 개의 척추 뼈와 추간판(椎間板)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다. 그 중의 어느 하나의 추간판에 병변이 오거나 노화가 발생되면 척수 강협소를 일으키게 되고, 그에 따라 부근의 척추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일으겨 환자의 행동이 어려워지게 된다.
상술한 척수 강협소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의 보편적인 수술 치료방식은, 척추 등쪽의 2개의 척추 돌기 사이에 충전재 혹은 안정장치를 삽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혹은 안정장치는 대부분 경질재료로 만들어져, 척추 돌기 구조와 완전히 밀착될 수 없고, 척추 돌기 주위의 조직을 파괴하기 쉽다.
애벗 스파인(Abbott Spine)사의 Wallis®와 패러다임 스파인(Paradigm Spine)사의 Coflex® 그리고 메드트로닉(Medtronic)사의 X-Stop® 등과 같은 제품은 모두 금속재질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이다. 미국특허 제7955392호에서도 하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를 제시하고 있고, 미국특허 제8968365호에서도 탄성이 있는 경질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들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혹은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는 스테인레스나 티타늄 합금 혹은 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PEEK) 등의 경질재료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히 척추 돌기에 밀착될 수 없으며, 응력 집중현상을 초래하여 척추 돌기의 단열(斷裂)을 일으키기 쉽거나, 또는 환자가 허리를 앞뒤 좌우로 굽히고 회전할 때 충전재가 빠져나올 수도 있다.
미국특허 제8118839호에서는 연질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를 제시하고 있고, 메드트로닉사의 DIAM®와 카즌 바이오텍(Cousin Biotech)사의 Intraspine® 등의 제품도 모두 주요성분이 실리콘(silicone)인 연질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이다. 이들은 압축이 가능하고 탄력이 있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로서, 경질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처럼 응력집중으로 인해 척추 돌기 구조가 받는 척추 돌기의 단열을 회피할 수 있다.
상술한 연질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는 모두 양익 구조를 구비하는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좌우 양측에 각각 동일한 크기의 날개형 돌기가 있다. 이 대칭 양익 구조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가 2개의 척추 돌기 사이에서 비교적 양호한 밀착 효과를 가지게 한다. 그렇지만, 상술한 대칭 양익 구조는 단지 척추 돌기의 뒤면에서의 삽입은 비교적 쉬우나, 척추 돌기의 측면 삽입 시에 비교적 실행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고, 척추 돌기가 단열되는 상황도 발생한다.
그리고, DIAM®를 환자의 척추 돌기 사이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고정끈을 각각 당겨 연질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를 척추 돌기 사이에 고정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3개의 고정끈의 견인력이 불균형하게 되고, 척추 사이에 고정끈으로 묶인 부위가 다른 응력을 받아, 충전재가 빠져나올 이탈 확률이 높아진다.
상기의 점으로부터 보아,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가 시급히 필요하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는 척추 돌기의 뒤면 및 측면에서 모두 사용 가능해야 하며, 조작이 쉽고, 양호(良好)한 고정끈의 묶음 기술로 충전재의 안정성을 높이고, 충전재의 이탈 확률을 낮추어야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종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는, 하나의 연질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를 포함하되,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는 비대칭 양익 구조를 갖추며, 상기 척추 돌기 사이에 삽입하기가 쉽고, 또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는 하나의 고정끈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를 삽입한 후 고정 단계에서 상기 고정끈만을 당겨 척추 사이의 각 부위가 같은 응력을 받도록 하고, 묶음 효과를 확보하여 충전재의 이탈의 확률을 낮춘다. 여기서, "응력"은 단위면적이 받는 작용력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에 사용되는 한 종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는, 중앙 지지체, 상측 날개, 하측 날개, 상측 돌기, 하측 돌기, 적어도 하나의 통과 구멍을 포함하되, 상기 중앙 지지체는 서로 상반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에 수직한 하나의 상측과 하나의 하측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날개는 제1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기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한다. 상기 하측 날개는 제1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중 지지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한다. 상기 상측 돌기는 제2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며, 상기 상측 돌기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길이는 상기 상측 날개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길이보다 짧다. 상기 하측 돌기는 제2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지지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며, 상기 하측 돌기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길이는 상기 하측 날개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길이보다 짧다. 상기 통과 구멍은 상기 중앙 지지체의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통과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는, 상기 상측 날개가 상기 상측 돌기보다 길고, 상기 하측 날개가 상기 하측 돌기보다 긴 비대칭 양익 구조인바, 이러한 비대칭 양익 구조는 측면에서 2마디의 척추 사이에 삽입하기가 편리하다.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에 사용되는 또 다른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는, 중앙 지지체, 상측 날개, 하측 날개, 상측 돌기, 하측 돌기, 적어도 하나의 통과 구멍을 포함하되, 상기 중앙 지지체는 서로 상반되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을 구비하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서로 직교하는 하나의 상측과 하나의 하측을 구비한다. 상기 상측 날개는 제2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하고 있다. 상기 하측 날개는 제2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지지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하고 있다. 상기 상측 돌기는 제1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며, 상기 상측 돌기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길이는 상측 날개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길이보다 짧다. 상기 하측 돌기는 제1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지지체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며, 상기 하측 돌기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길이는 하측 날개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길이보다 짧다. 상기 통과 구멍은 상기 중앙 지지체의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통과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는, 상측 날개가 상측 돌기보다 길고, 하측 날개가 하측 돌기보다 긴 비대칭 양익 구조이다. 이러한 비대칭 양익 구조는 측면에서 2마디의 척추 사이에 삽입하기가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중앙 지지체는, 상부 지지체와 하부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부 지지체는 중앙 지지체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측 날개 및 상측 돌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지지체는 중앙 지지체의 하측에 위치하고, 하측 날개 및 하측 돌기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는, 하나의 상부 통과 구멍과 하나의 하부 통과 구멍을 포함한다. 이 상부 통과 구멍과 하부 통과 구멍은 중앙 지지체를 관통하며, 상부 통과 구멍과 하부 통과 구멍은 모두 상부 지지체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채의 상측 날개, 하측 날개, 상측 돌기, 하측 돌기에는, 각각 중앙 지지체와 인접한 근단부(根端部)와 상기 중앙 지지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말단부(末端部)가 포함되어 있다. 상측 날개, 하측 날개, 상측 돌기, 하측 돌기와 하측 돌기의 말단부는 호형(弧形, 활모양)의 어드밴스 각을 갖는바, 측면 삽입 수술에 적용되어 2마디의 척추 돌기 사이에 삽입하기가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중앙 지지체는, 앞측과 뒤측을 포함한다. 앞측 및 뒤측은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서로 직교하고, 앞측 및 뒤측은 상측 및 하측과 서로 직교하며, 앞측으로부터 뒤측까지 연장되어 하나의 수평면을 이루고, 수평면은 상측과 하측에 직교한다. 상부 오목면은 상측 날개와 상측 돌기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 지지체의 위쪽에 위치하며, 상부 오목면은 앞측으로부터 뒤측으로 경사져 상부 협각을 이룬다. 하부 오목면은 하측 날개와 하측 돌기 사이에 위치하고, 중앙 지지체의 하측에 위치하며, 본 발명의 상부 오목면과 하부 오목면은 평행으로 되지 않고, 인체의 척추 구조에 부합되기 때문에,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는 환자의 상하 2마디의 척추 마디 사이에 더욱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끈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끈은 통과 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고정끈은 상기 중앙 지지체의 제1방향 혹은 제2방향에서 고리형 구조를 이룬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금속 고리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끈의 일단부에 위치하는바, 금속 고리는 고리형 구조를 통해 하나의 매듭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고정끈, 금속 고리, 고리형 구조와 매듭은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가 척추에 고정되도록 하고, 또 단일(單一) 고정끈의 설계에 의해, 척추 사이의 각 부위가 상기 고정끈에 묶이는 힘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가 삽입된 후에는 척추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는, 직물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직물커버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를 완전히 커버하고,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와 척추 사이의 완충 매개체로서 작용하는바,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가 직접 척추 뼈와 접촉하여 충전재가 마모되는 일은 없고, 그에 따라 척추 돌기 주위의 조직파괴가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종류의 척추 사이의 상대위치를 안정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i) 하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를 안정시키려는 포유동물의 2마디의 척추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ii)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의 고정끈을 당겨 금속 고리가 고정시키려는 척추의 위측 마디와 아래측 마디의 극간 인대를 통과하도록 하는 단계, (iii) 금속 고리가 고리형 구조를 통과한 후에, 고정끈을 당겨 고리형 구조와 하나의 매듭을 만드는 단계, (iv) 금속 고리는 또 고정환을 통과하고, 고정환이 고정끈을 따라 매듭까지 이동하며, 마지막에 수술기구로 고정환에 힘을 가하여 고정끈을 조여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하는 단계. 이 발명이 제시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는 비대칭 양익 구조이기 때문에, 척추 사이에 삽입하기 쉽고 삽입 후에 잘 빠지지 않는바, 환자의 평안함을 높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외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의 외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와 직물커버의 외관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끈의 외관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투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의 제1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와 직물커버의 제1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의 제2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와 직물커버의 제2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제1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제2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제1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외관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의 외관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와 직물커버의 외관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투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제1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제2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를 인체 척추 돌기 사이에 삽입한 때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를 인체 척추 돌기 사이에 삽입한 때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를 인체 척추 돌기 사이에 삽입한 때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를 포함하되,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위측에는 각각 중앙 지지체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한 상측 날개와 상측 돌기가 있으며, 또 동일하게 중앙 지지체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한 하측 날개와 하측 돌기가 있다. 그 중 상측 날개는 상측 돌기보다 길고, 하측 날개는 하측 돌기보다 길어서 비대칭 양익 구조를 이룬다. 비대칭 양익 구조는 시술자가 수술시에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를 측면방식으로 쉽게 환자의 2개의 척추마디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시술자>는 해당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의 외과 삽입수술을 진행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환자>는 척추 병변으로 인해 외과수술을 통하여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삽입수술을 받는 사람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외관 도면이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는, 하나의 중앙 지지체(100)를 포함하고,서로 상반되는 제1방향(13)과 제2방향(14)이 있으며,제1방향(13) 및 제2방향(14)과 서로 직교하는 상측(11)과 하측(12)이 있고, 중앙 지지체(100)의 제1방향(13)으로부터 제2방향(14)까지의 길이는 대략 15mm∼25mm이다. 중앙 지지체(100)는 상측(11)으로 기울어진 상부 지지체(100a)와, 하측(12)으로 기울어진 하부 지지체(100b), 상측 날개(110), 하측 날개(111), 상측 돌기(120), 하측 돌기(121), 상측 오목면(130), 하부 오목면(131) 및, 한 쌍의 통과 구멍(140)을 구비한다. 그 중 상기 상부 지지체(100a)의 상측(11)으로부터 하측(12)까지의 길이는 약 8mm∼16mm이고, 상기 상부 지지체(100a)의 제1방향(13)으로부터 제2방향(14)까지의 폭은 약10mm∼20mm이다. 그 중 상기 하부 지지체(100b)의 상측(11)으로부터 하측(12)까지의 길이는 약 6mm∼12mm이고, 상기 하부 지지체(100b)의 제1방향(13)으로부터 제2방향(14)까지의 폭은 약 10mm∼20mm이다. 상기 상측 날개(110)는 제2방향(14)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상부 지지체(100a)로부터 상측(11)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며, 상기 상측 날개(110)의 길이는 약 5.5mm∼15mm이다. 상기 하측 날개(111)는 제2방향(14)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지지체(100b)로부터 하측(12)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며, 상기 하측 날개(111)의 길이는 5.5∼15mm이다. 상기 상측 돌기(120)는 제1방향(13)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체(100a)로부터 상측(11)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며, 상기 상측 돌기(120)의 길이는 약2mm∼5mm이다. 상기 하측 돌기(121)는 제1방향(13)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지지체(100b)로부터 하측(12)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며, 상기 하측 돌기(121)의 길이는 약 2mm∼5mm이다. 상기 상부 오목면(130)은 상기 상부 지지체(100a)의 상측 날개(110)와 상측 돌기(12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측(11)을 향하고 있으며, 그 중 상기 상측 오목면(130)의 제1방향(13)으로부터 제2방향(14)까지의 거리는 약 2mm∼6mm이다. 상기 하측 오목면(131)은 상기 하부 지지체(100b)의 하측 날개(111)와 하측 돌기(121)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하측(12)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하측 오목면(131)의 제1방향(13)으로부터 제2방향(14)까지의 거리는 약 2mm∼6mm이다. 한 쌍의 통과 구멍(140)은 상기 상부 지지체(100a)의 상부 통과 구멍(141)과 하부 통과 구멍(14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통과 구멍(141)으로부터 중앙 지지체(100)의 상측(11)의 정단(頂端, 맨 꼭대기)까지의 거리는 약 4mm∼6mm이며, 상기 하부 통과 구멍(142)으로부터 중앙 지지체의 상측(11)의 정단까지의 거리는 약 7mm∼10c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 날개(110)의 길이는 상기 상측 돌기(120)의 길이의 두 배이고, 상기 하측 날개(111)의 길이는 상기 하측 돌기(121)의 길이의 두 배이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상기 상측 돌기(120)는, 상기 상측 지지체(100a)로부터 상기 상측(11)으로 연장되어 돌출하고, 그 길이는 상기 상부 지지체(100a)로부터 상기 상측(11)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상기 상측 날개(110)의 길이보다 짧다. 상기 하측 돌기(121)는 상기 하부 지지체(100b)로부터 상기 하측(12)으로 연장되어 돌출하고, 그 길이는 상기 하부 지지체(100b)로부터 상기 하측(12)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상기 하측 날개(111)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상기 상측 날개(110)의 길이는 상기 상측 돌기(120)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하측 날개(111)의 길이는 상기 하측 돌기(121)의 길이보다 긴바, 상기 제2방향(14)으로부터 상하로 연장된 길이가 상기 제1방향(13)의 상하로 연장된 길이보다 긴 비대칭 양익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시술자가 외과수술을 진행할 때 환자의 척추 측면에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를 상기 제1방향(13)에서 환자의 2개의 척추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비대칭 양익 구조는 환자의 척추 구조와 서로 밀착되어 척추 돌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응력을 두 마디의 척추 각 부위에 분산시킨다. 따라서, 환자는 척추 회전시에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가 원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환자 체내에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의 외관 도면이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는,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 외에 고정끈(200)과 한 쌍의 금속 고리(21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끈(200)은 통과 구멍(140)을 통과한 후에 상기 중앙 지지체(100)의 제2방향(14)과 고리형 구조(300)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끈(200)은 절단면이 납작하거나 동그랗게 되어 있으며, 길이는 약 50mm∼300mm이고, 절단면은 약 1mm∼5mm이다. 상기 한 쌍의 금속 고리(210)는 제1 금속 고리(211)와 제2 금속 고리(2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속 고리(211)와 상기 제2 금속 고리(212)는 각각 상기 고정끈(200)의 양끝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가 시술자에 의해 환자의 척추에 삽입된 후,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의 상기 제1 금속 고리(211)와 상기 제2 금속 고리(212)는 각각 제2방향(14)에서 상부 척추 마디와 하부 척추 마디의 극간 인대를 관통하고, 또 상기 고리형 구조(300)를 통과하며, 시술자는 상기 고정끈(200)을 당겨 상기 고리형 구조(300)를 작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1 금속 고리(211)와 상기 제2 금속 고리(212)를 고정시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가 환자의 척추 마디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환자의 각 척추 부위는 상기 고정끈(200)과만 접하되기 때문에 유사한 응력을 받는다. 만일 하나 이상의 부재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를 고정시키면, 환자의 각 척추 부위가 받는 응력이 다르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지나면 척추 손상을 초래하여 환자의 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와 직물커버의 외관 도면이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의 외부에 한 층의 직물커버(160)를 덮을 수 있는데, 상기 직물커버(160)는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를 완전히 덮을 수 있고, 직물커버의 제1방향 상부 입구(161a), 직물커버의 제2방향 상부 입구(161b), 직물커버의 제1방향 하부 입구(162a), 제2방향 하부 입구(162b) 등을 구비하는 입구는 고정끈(200)을 통과시킨다. 직물커버의 제1방향 상부 입구(161a)는 도 1과 도 2의 상기 상부 통과 구멍(141)보다 상기 상측(11)에 가깝고, 상기 직물커버 제1방향 하부 입구(162a)는 도 1과 도 2의 상기 하부 통과 구멍(142)보다 상기 하측(12)에 가까운바, 상기 고정끈(200)은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를 통과한 후, 상기 직물커버(160)와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간의 공간을 각각 상측(11)과 하측(12)으로 돌아서, 상기 직물커버의 제1방향 상부 입구(161a)와 하부 입구(162a)를 통해 나온다. 상기 직물커버(160)는,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와 척추간의 완충 매개체(媒介體)로서,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와 척추 뼈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해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마모를 방지하고,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가 척추 돌기 주위의 조직을 파괴하는 것을 감소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투시 도면이다. 상기 고정끈(200)의 일단부는, 제2방향에서의 상기 상부 통과 구멍 입구(141b)로 진입하고, 상기 상부 통과 구멍 통로(141c)를 지나 제1방향에서의 상기 상부 통과 구멍 입구(141a)를 통해 나온다. 상기 고정끈(200)의 타단부는 제2방향에서의 상기 하부 통과 구멍 입구(142b)로 진입하고, 상기 하부 통과 구멍 통로(142c)를 지나 제1방향에서의 상기 하부 통과 구멍 입구(142a)를 통해 나온다. 상기 상부 통과 구멍 통로(141c)와 상기 하부 통과 구멍 통로(142c)는 상기 중앙 지지체(100) 내부에 위치하지만, 상기 상부 통과 구멍 통로(141c)와 상기 하부 통과 구멍 통로(142c)는 상기 중앙 지지체(100) 내부에서 교차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통과 구멍 통로(141c)와 상기 하부 통과 구멍 통로(142c)는 평행한 두 개의 통로이다.
도 6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의 제1방향(13)과 제2방향(14)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앞측(15)과 뒤측(16)을 정의하며, 상기 앞측(15)과 상기 뒤측(16)은 서로 대향하고, 상기 앞측(15)과 상기 뒤측(16)은 제1방향(13) 및 제2방향(14)과 서로 직교하며, 앞측(15) 및 뒤측(16)은 상측(11) 및 하측(12)과 서로 직교한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 혹은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를 환자의 척추에 삽입했을 때, 앞측(15)은 환자 척추의 척주와 마주하고 뒤측(16)은 환자의 등피부와 마주한다.
도 7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와 직물커버(160)의 제1방향(13)과 제2방향(14)의 측면도이다. 도 8과 도 9에서는, 상기 고정끈(200)은 제2방향에서 상기 상부 통과 구멍 입구(141b)로부터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를 통해 나오고, 또한 직물커버 제2방향 상부 입구(161b)로부터 나오며, 상기 고정끈(200)은 제2방향(14)에서 하측(12)으로부터도 제2방향에서 상기 하부 통과 구멍 입구(142b)로부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를 통해 나오고, 또한 직물커버 제2방향 하부 입구(162b)로부터 나온다. 도 6과 도 7에서는, 상기 고정끈(200)은 상기 제1방향(13)에서 제1방향의 상기 상부 통과 구멍 입구(141a)로부터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를 통해 나오고, 위로 접혀 상기 직물커버 제1방향 상부 입구(161a)로부터 나온다. 상기 직물커버 제1방향 상부 입구(161a)와 제1방향 상부 통과 구멍 입구(141a)의 위치는 서로 겹치지 않는다. 상기 고정끈(200)은, 제1방향(13)의 하측(12)에서 상기 제1방향 하부 통과 구멍 입구(142a)로부터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를 통해 나오고, 위로 접혀서 상기 직물커버 제1방향 하부 입구(162a)로부터 나오며, 상기 직물커버 제1방향 하부 입구(162a)와 상기 제1방향 하부 통과 구멍 입구(142a)는 서로 겹치지 않는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제1방향(13)과 제2방향(14)의 측면도이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상측 날개(110), 하측 날개(111), 상측 돌기(120), 하측 돌기(121)는 각각 상기 중앙 지지체(100)에 인접한 근단부(根端部)와 상기 중앙 지지체와 떨어져 있는 말단부(末端部)를 포함하고 있는바, 예컨대 상측 날개 근단부(110a), 상측 날개 말단부(110b), 하측 날개 근단부(111a), 하측 날개 말단부(111b), 상측 돌기 근단부(120a), 상측 돌기 말단부(120b), 하측 돌기 근단부(121a), 하측 돌기 말단부(121b)를 포함하고 있다. <두께>는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일부분 혹은 전체가 앞측(15)으로부터 뒤측(16)까지 형성된 축선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가리키고,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상측 날개(110)의 두께는 하측 날개(111)의 두께보다 얇으며, 그 중 상측 날개(110)의 두께는 약 6mm∼10mm이고, 하측 날개(111)의 두께는 10.5mm∼15mm이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상측 돌기(120)의 두께는 하측 돌기(121)의 두께보다 얇으며, 그 중 상측 돌기(120)의 두께는 6mm∼10mm이고, 하측 돌기(121)의 두께는 약 10.5mm∼15mm이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상부 지지체(100a)와 하부 지지체(100b)의 두께는 약 8mm∼20mm이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상측 날개(110)의 두께는 상부 지지체(100a)의 두께보다 얇으며, 상측 돌기(120)의 두께는 상부 지지체(100a)의 두께보다 얇다. 두께의 차이는 인체의 척추구조와 더욱 부합되는바, 상기 상측 날개(110)와 상기 상측 돌기 사이의 상부 오목면(130)이 환자의 척추와 척추 돌기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를 삽입한 환자의 주요하게 힘을 받는 부위가 척추 추판(脊椎椎板) 아래에 위치하며, 고정효과가 좋아지고,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의 삽입위치가 척추 회전 중심에 놓이게 된다. 상술한 부위의 근단부(110a, 111a, 120a, 121a)는 말단부(110b, 111b, 120b, 121b)와 연결되어 호형의 어드밴스 각(advance angle)을 이루는바, 상기 호형의 어드밴스 각은 제1방향(13)에서 고정끈(200)이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를 고정시키고 환자의 척추 사이에 더욱 밀접시켜 우수한 고정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제2방향(14)에서의 호형의 어드밴스 각은 시술자가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를 측면에서 쉽게 척추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제1방향(13)에서의 단면도로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앞측(15)으로부터 뒤측(16)까지 연장되어 하나의 수평면(150)을 이루고, 상기 수평면(150)은 상측(11) 및 하측(12)과 수직으로 된다. 상기 상부 오목면(130)은 앞측(15)으로부터 뒤측(16)으로 향하여 경사지고, 수평면(150)과 상부 협각(130a)을 이루는바, 상기 상부 협각(130a)의 범위는 0도∼60도이고, 바람직하게는 10도∼45도 사이이다. 상기 하부 오목면(131)과 수평면(150)도 협각(131a)을 이루는바, 이 하부 협각(131a)의 범위는 0도∼60이고, 바람직하게는 10∼45도 사이이다. <경사>는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의 특정 평면 혹은 부위가 수평면(150)과 평행으로 되지 않고, 앞측(15)으로부터 뒤측(16)으로 향하여 상측(11)이나 하측(12)으로 기울어진 것을 가리킨다. 상기 상부 협각(130a)과 상기 하부 협각(131a)이 같지 않기 때문에, 상부 오목면(130)과 하부 오목면(131)은 서로 평행으로 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와 환자 척추 구조가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의 외관 도면인바,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는 중앙 지지체(400), 상측 날개(410), 하측 날개(411), 상측 돌기(420), 하측 돌기(421), 상부 오목면(430), 하부 오목면(431), 한 쌍의 통과 구멍(440)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 지지체(400)는, 상측(11)으로 기울어진 상부 지지체(400a)와, 하측(12)으로 기울어진 하부 지지체(400b)를 가지고 있다. 상기 상측 날개(410)는 제1방향(13)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체(400a)로부터 상측(11)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돌출한다. 상기 하측 날개(411)는 제1방향(13)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지지체(400b)로부터 하측(12)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돌출한다. 상기 상측 돌기(420)는 제2방향(14)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체(400a)로부터 상측(11)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돌출한다. 상기 하측 돌기(421)는 제2방향(14)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지지체(400b)로부터 하측(12)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돌출한다. 상기 상부 오목면(430)은, 상기 상부 지지체(400a)의 상측 날개(410)와 상측 돌기(420) 사이에 위치하고, 상측(11)을 향하고 있다. 상기 하부 오목면(431)은, 상기 하부 지지체(400b)의 하측 날개(411)와 하측 돌기(421) 사이에 위치하고, 하측(12)을 향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통과 구멍(440)은 상기 상부 지지체(400a)에 위치한 상부 통과 구멍(441)과 하부 통과 구멍(442)을 구비한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의 상측 돌기(420)는 상기 상부 지지체(400a)의 상측(11)으로 연장되어 돌출하고, 그 길이는 상기 상부 지지체(400a)로부터 상측(11)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돌출한 상측 날개(410)의 길이보다 짧다. 상기 하측 돌기(421)는 상기 하측 지지체(400b)로부터 하측(12)으로 연장되어 돌출하고, 그 길이는 상기 하부 지지체(400b)로부터 하측(12)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하측 날개(411)의 길이보다 짧다. 상기 상측 날개(110)의 길이는 상기 상측 돌기(420)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하측 날개(411)의 길이는 상기 하측 돌기(421)의 길이보다 길며, 제1방향(13)에서 상하로 연장된 길이는 제2방향(14)에서 상하로 연장된 길이보다 긴바, 비대칭 양익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의 외관 도면이다. 상기 중앙 지지체(400)의 제1방향(13)으로부터 제2방향(14)까지의 길이는 약 15mm∼20mm이다. 상기 중앙 지지체(400)는 상측(11)으로 기울어진 상부 지지체(400a)와 하측(12)으로 기울어진 하부 지지체(400b)를 포함하는바, 그 중 상기 상부 지지체(400a)의 상측(11)으로부터 하측(12)까지의 길이는 약 8mm∼16mm이고, 상기 상부 지지체(400a)의 제1방향(13)으로부터 제2방향(14)까지의 폭은 약 10mm∼20mm이다. 상기 하부 지지체(400b)의 상측(11)으로부터 하측(12)까지의 길이는 약 6mm∼12mm이고, 상기 하부 지지체(400b)의 제1방향(13)으로부터 제2방향(14)까지의 폭은 약 10mm∼20mm이다. 상측 날개(410)는 제1방향(13)에 위치하고, 상부 지지체(400a)로부터 상측(11)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며, 상측 날개(410)의 길이는 약 5.5mm∼15mm이다. 하측 날개(411)는 제1방향(13)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지지체(400b)로부터 하측(12)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며, 하측 날개(411)의 길이는 약 5.5mm∼15mm이다. 상측 돌기(420)는 제2방향(14)에 위치하고, 상부 지지체(400a)로부터 상측(11)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며, 상측 돌기(420)의 길이는 약 2mm∼5mm이다. 상기 하측 돌기(421)는 제2방향(14)에 위치하고, 하부 지지체(400b)의 하측(12)으로 연장되어 돌출하며, 하측 돌기(421)의 길이는 약 2mm∼5mm이다. 상부 오목면(430)은 상부 지지체(400a)의 상측 날개(410)와 상측 돌기(420) 사이에 위치하고, 상측(11)으로 향하고 있으며, 그 중 상기 상부 오목면(430)의 제1방향으로부터 제2방향(14)까지의 길이는 약 2mm∼6mm이다. 하부 오목면(431)은 하부 지지체(400b)의 하측 날개(411)와 하측 돌기(421) 사이에 위치하고, 하측(12)으로 향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 오목면(431)의 제1방향(13)으로부터 제2방향(14)까지의 길이는 약 2mm∼6mm이다. 한 쌍의 통과 구멍은, 상부 지지체(400a)에 위치한 상부 통과 구멍(441)과 하부 통과 구멍(442)을 구비하는바, 상기 상부 통과 구멍(441)으로부터 중앙 지지체(400)의 상측(11)의 정단(頂端)까지의 거리는 약 4mm∼6mm이고, 상기 하부 통과 구멍(442)으로부터 중앙 지지체(400)의 상측(11)의 정단까지의 거리는 약 7mm∼10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 날개(110)의 길이는 상기 상측 돌기(120)의 길이의 두 배이고, 상기 하측 날개(111)의 길이는 상기 하측 돌기(121)의 길이의 두 배이다.
도 14, 도 16, 도 17, 도 18은 각각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의 외관 도면,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의 투시 도면,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의 제1방향(13)과 제2방향(14)의 측면도이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 외에 고정끈(200)과 한 쌍의 금속 고리(21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끈(200)은 통과 구멍(400)을 통과한 후 상기 중앙 지지체(400)의 제1방향(13)과 고리형 구조(300)를 이룬다. 상기 한 쌍의 금속 고리(210)는 제1 금속 고리(211)와 제2 금속 고리(2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속 고리(211)와 상기 제2 금속 고리(212)는 각각 고정끈(200)의 양끝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가 시술자에 의해 환자의 척추 사이에 삽입된후에,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의 제1 금속 고리(211)와 제2 금속 고리(212)는 시술자에 의해 각각 상부 척추 마디와 하부 척추 마디의 극간 인대를 통과하고, 다시 상기 고리형 구조(300)를 통과하는바, 시술자가 상기 고정끈(200)을 당겨 상기 고리형 구조(300)를 작아지게 하고, 상기 제1 금속 고리(211)와 상기 제2 금속 고리(212)를 고정시켜 해당하는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가 환자의 척추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환자의 각 척추부위는 하나의 고정끈(200)과만 접촉하기 때문에, 같은 응력을 받게 된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 혹은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가 환자의 척추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앞측(15)은 환자 척추의 척주와 마주하고, 뒤측(16)은 환자의 등쪽 피부와 마주한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의 상측 날개(410), 하측 날개(411), 상측 돌기(420) 및 하측 돌기(421)는 각각 상기 중앙 지지체(400)와 인접한 근단부와, 상기 중앙 지지체(400)로부터 떨어져 있는 말단부를 포함하는바, 예컨대 상측 날개 근단부((410)a), 상측 날개 말단부((410)b), 하측 날개 근단부(411a), 하측 날개 말단부(411b), 상측 돌기 근단부(420a), 상측 돌기 말단부(420b), 하측 돌기 근단부(421a), 하측 돌기 말단부(421b)를 포함한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의 상측 날개(410)의 두께는 하측 날개(411)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의 상측 돌기(420)의 두께는 하측 돌기(421)의 두께보다 얇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의 상술한 부위의 두께가 같지 않기 때문에,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의 삽입 위치는 척추 회전 중심에 더욱 가까이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부위의 근단부는 말단부와 연결된 부분에 호형의 어드밴스 각을 형성하는바, 상기 호형의 어드밴스 각은, 상기 고정끈(200)이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를 고정시키고 환자 척추와 고정시킬 때, 척추 돌기에 더욱 가까이 놓일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고정효과를 제공하고, 시술자가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를 쉽게 측면 삽입방식으로 환자 척추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중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의 상측 날개(410)의 두께는 상부 지지체(400a)의 두께보다 얇고, 상측 돌기(420)의 두께는 상부 지지체(400a)의 두께보다 얇다. 두께의 차이는 인체의 척추 구조에 더욱 부합되는바, 상측 날개(410)와 상측 돌기 사이의 상부 오목면(430)이 환자 척추 돌기를 지지하고,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가 환자 척추 사이에 삽입된 후, 주요하게 힘을 받는 부위가 척추추판(脊椎椎板) 아래에 위치하고, 고정효과가 좋아진다.
도 15는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와 직물커버(460)의 외관 도면으로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 외에 직물커버(460)를 포함하되, 상기 직물커버(460)는 완전히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를 덮을 수 있고, 직물커버 제1방향 상부 입구(461a), 직물커버 제2방향 상부 입구(461b), 직물커버 제1방향 하부 입구(462a), 직물커버 제2방향 하부 입구(462b)등의 입구가 있어 상기 고정끈(200)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직물커버 제1방향 상부 입구(461a)는 도 16과 도 17 중의 제1방향 상부 통과 구멍 입구(441a)보다 상측(11)에 가깝고, 상기 직물커버 제1방향 하부 입구(462a)는 도 16과 도 18 중의 제2방향 하부 통과 구멍 입구(442b)보다 하측(12)에 가까운바, 상기 고정끈(200)은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를 통과한 후, 상기 직물커버(460)와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 사이의 틈새에서 각각 상측(11)과 하측(12)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상기 직물커버 제1방향 상부 입구(461a)와 하부 입구(462a)로부터 나온다.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와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를 환자의 척추 사이에 삽입한 때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 종류의 인체의 척추 돌기 사이의 위치를 안정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i) 시술자가 외과 수술방식으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 혹은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를 환자의 2개의 척추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ii)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 혹은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 중의 고정끈(200)을 당겨 금속 고리(210)를 고정하려는 2마디의 척추 돌기 사이의 극간 인대로 통과시키는 단계, (iii) 금속 고리(210)를 고리형 구조(300)를 통과시키고, 고정끈을 당겨 고리형 구조(300) 부분에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 및 (iv) 금속 고리(210)를 고정환을 통과시키고, 상기 고정환을 고정끈(200)을 따라 매듭쪽으로 이동시키며, 마지막으로 기계로 고정환을 눌러서 고정끈(200)을 고정시켜 상기 고정끈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 단계. 상술한 환자의 2마디의 척추는 임의의 2개의 요추 사이의 척추 돌기를 가리킨다.
도 21은 본 발명의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를 환자 척추 사이에 삽입할 때의 제1방향(13)에서의 측면도이다. 상기 금속 고리(210)는 환자의 2마디의 요추 사이의 척추 돌기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고리형 구조(300)를 통과하여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를 고정시킨다.
앞에서 진술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를 환자의 2마디의 척추 돌기 사이에 삽입하는 방식은, 제1방향(13)에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를 환자 척추 돌기 사이의 틈새에 삽입하고,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의 위치를 조절하며, 먼저 하부 오목면(131)을 환자의 아래 마디 척추 돌기에 끼우고, 힘을 가하여 상부 오목면(130)을 환자의 위마디 척추 돌기와 맞춘 후, 다시 금속 고리(210)를 고정시키려는 2마디의 척추 돌기의 극간 인대 사이를 통과시키며, 제2방향(14)에 위치한 고리형 구조(300) 및 하나의 고정환을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한다. 앞에서 진술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를 환자의 2마디의 척추 돌기 사이에 삽입시키는 방식은, 제2방향(14)에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를 환자 척추 돌기 사이의 틈새에 삽입하고,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의 위치를 조절하며, 먼저 하부 오목면(431)을 환자의 아래 마디 척추 돌기에 끼우고, 힘을 가하여 상부 오목면(430)을 환자의 위 마디 척추 돌기에 맞춘 후, 다시 금속 고리(210)를 고정시키려는 2마디의 척추 돌기의 극간 인대 사이를 통과시키며, 제1방향(13)에 위치한 고리형 구조(300) 및 하나의 고정환을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한다.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2)에 적용되는 직물커버(160),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5)에 적용되는 직물커버(460) 및 고정끈(200)은 수술 전에 먼저 조합해 놓을 수 있다.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1)와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4)의 재료는 디메틸실리콘(dimethyl silicone) 혹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혹은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실리콘을 핵심으로 하고, 또한 폴리우레탄을 커버한다. 상기 고정끈(200)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혹은 고농도로 가교된 폴리에틸렌(highly cross-linked polyethylene) 섬유이다. 상기 금속 고리(210)의 재질은 티타늄 합금, 스테인리스 혹은 기타 생물 상용성(生物相容性) 금속재료이다. 직물커버(160)와 직물커버(460)의 재료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혹은 고농도로 가교된 폴리에틸렌이다. 상기 고정환의 재질은 티타늄 합금, 의료용 스테인리스 혹은 생물 상용성(生物相容性) 금속재료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수식응용(修飾應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1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2
상측 11
하측 12
제1방향 13
제2방향 14
앞측 15
뒤측 16
중앙 지지체 100
상부 지지체 100a
하부 지지체 100b
상측 날개 110
상측 날개 근단부 110a
상측 날개 말단부 110b
하측 날개 111
하측 날개 근단부 111a
하측 날개 말단부 111b
상측 돌기 120
상측 돌기 근단부 120a
상측 돌기 말단부 120b
하측 돌기 121
하측 돌기 근단부 121a
하측 돌기 말단부 121b
상부 오목면 130
상부 협각 130a
하부 오목면 131
하부 협각 131a
천공 140
상부 통과 구멍 141
제1방향 상부 통과 구멍 입구 141a
제2방향 상부 통과 구멍 입구 141b
상부 통과 구멍 통로 141c
하부 통과 구멍 142
제1방향 하부 통과 구멍 입구 142a
제2방향 하부 통과 구멍 입구 142b
하부 통과 구멍 통로 142c
수평면 150
직물커버 160
직물커버 제1방향 상부 입구 161a
직물커버 제2방향 상부 입구 161b
직물커버 제1방향 하부 입구 162a
직물커버 제2방향 하부 입구 162b
고정끈 200
금속 고리 210
제1금속 고리 211
제2금속 고리 212
고리형 구조 300
매듭 310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4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5
중앙 지지체 400
상부 지지체 400a
하부 지지체 400b
상측 날개 410
상측 날개 근단부 410a
상측 날개 말단부 410b
하측 날개 411
하측 날개 근단부 411a
하측 날개 말단부 411b
상측 돌기 420
상측 돌기 근단부 420a
상측 돌기 말단부 420b
하측 돌기 421
하측 돌기 근단부 421a
하측 돌기 말단부 421b
상부 오목면 430
하부 오목면 431
천공 440
상부 통과 구멍 441
제1방향 상부 통과 구멍 입구 441a
제2방향 상부 통과 구멍 입구 441b
상부 통과 구멍 통로 441c
하부 통과 구멍 442
제1방향 하부 통과 구멍 입구 442a
제2방향 하부 통과 구멍 입구 442b
하부 통과 구멍 통로 442c
직물커버 460
직물커버 제1방향 상부 입구 461a
직물커버 제2방향 상부 입구 461b
직물커버 제1방향 하부 입구 462a
직물커버 제2방향 하부 입구 462b

Claims (12)

  1.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에 있어서,
    서로 상반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서로 직교하는 하나의 상측과 하나의 하측을 가지고 있는 중앙 지지체,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기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한 상측 날개,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기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하고, 상기 상측 날개와 같은 방향에 위치하며, 그 폭이 상기 상측 날개의 폭보다 좁은 하측 날개,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기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하고, 그 길이가 상기 상측 날개의 길이보다 짧은 상측 돌기,
    상기 중앙 지지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하고, 상기 상측 돌기와 같은 방향에 위치하며, 그 길이가 상기 하측 날개의 길이보다 짧은 하측 돌기, 및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까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지지체는 상부 오목면과 하부 오목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오목면은 상기 상측을 향하고, 상기 상측 날개와 상기 상측 돌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오목면은 상기 하측을 향하고, 상기 하측 날개와 상기 하측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체는 상부 지지체와 하부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지지체는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기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상측 날개 및 상기 상측 돌기와 연결되며, 상기 하부 지지체는 상기 중앙 지지체의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하측 날개 및 상기 하측 돌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날개와 상기 상측 돌기의 두께는 모두 상기 상측 지지체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하측 날개와 상기 하측 돌기의 두께는 모두 상기 하측 지지체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구멍은 상부 통과 구멍과 하부 통과 구멍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통과 구멍과 상기 하부 통과 구멍은 각각 상기 중앙 지지체를 통과하고, 상기 상부 통과 구멍으로부터 상기 중앙 지지체의 정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하부 통과 구멍으로부터 상기 중앙 지지체의 정단까지의 거리보다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날개, 하측 날개, 상측 돌기 및 하측 돌기는 각각 상기 중앙 지지체와 인접한 근단부와, 상기 중앙 지지체로부터 떨어져 있는 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날개, 상기 하측 날개, 상기 상측 돌기, 상기 하측 돌기의 근단부의 두께는 상기 상측 날개, 상기 하측 날개, 상기 상측 돌기, 상기 하측 돌기의 말단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체는 앞측과 뒤측을 포함하되, 상기 앞측과 상기 뒤측은 각각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서로 직교하고, 상기 앞측 및 상기 뒤측은 각각 상기 상측 및 상기 하측과 서로 직교하며, 상기 앞측으로부터 상기 후측까지 연장되어 하나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면은 상기 상측과 상기 하측에 수직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재질은 디메틸 폴리실리콘, 폴리우레탄 혹은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8.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에 있어서,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를 포함하되,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는,
    서로 상반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 각각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서로 직교하는 상측과 하측을 구비하는 중앙 지지체,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한 상측 날개,
    상기 중앙 지지체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하고, 상기 상측 날개와 같은 방향에 위치하며, 그 폭이 상기 상측 날개의 폭보다 좁은 하측 날개,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기 상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하고, 그 길이가 상기 상측 날개의 길이보다 짧은 상측 돌기,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기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하고, 상기 상측 돌기와 같은 방향에 위치하며, 그 길이가 상기 하측 날개의 길이보다 짧은 하측 돌기,
    상기 중앙 지지체를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까지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 구멍,
    상기 통과 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중앙 지지체의 상기 제1방향 혹은 상기 제2방향에서 고리형 구조를 형성하는 고정끈,
    상기 고정끈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리형 구조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지지체는 상부 오목면과 하부 오목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오목면은 상기 상측을 향하고, 상기 상측 날개와 상기 상측 돌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오목면은 상기 하측을 향하고, 상기 하측 날개와 상기 하측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는 직물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직물커버는 상기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의 일부분 혹은 전체를 덮고, 상기 직물커버는 상기 고정끈의 일부분 혹은 전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커버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혹은 고농도로 가교된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끈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혹은 고농도로 가교된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금속 고리의 재질은 티타늄 합금, 스테인리스 혹은 기타 생물상용성(生物相容性)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KR1020180008579A 2017-01-24 2018-01-24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및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KR201800871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103150A TWI627935B (zh) 2017-01-24 2017-01-24 脊突間穩定器
TW106103150 2017-0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193A true KR20180087193A (ko) 2018-08-01

Family

ID=6102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579A KR20180087193A (ko) 2017-01-24 2018-01-24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및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368890A9 (ko)
EP (1) EP3354215A1 (ko)
JP (1) JP2018118047A (ko)
KR (1) KR20180087193A (ko)
CN (1) CN108338856A (ko)
RU (1) RU2018103033A (ko)
TW (1) TWI6279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3074B1 (fr) * 2018-06-29 2020-09-11 Cousin Biotech Dispositif implantable pour la fusion de deux vertebres adjacentes
CN111345922A (zh) * 2020-03-18 2020-06-30 北京爱康宜诚医疗器材有限公司 具有可调节填充块的椎板组件
FR3110074A1 (fr) * 2020-05-14 2021-11-19 Cousin Biotech Dispositif implantable, notamment de type espaceur intervertébral
CN113827379A (zh) * 2020-06-24 2021-12-24 好喜欢妮有限公司 棘突间固定装置
TWI756794B (zh) * 2020-06-24 2022-03-01 好喜歡妮有限公司 脊突間固定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6948A (en) * 1997-01-02 1998-11-17 Saint Francis Medical Technologies, Llc Spine distraction implant and method
FR2775183B1 (fr) * 1998-02-20 2000-08-04 Jean Taylor Prothese inter-epineuse
EP1746947A4 (en) * 2004-05-17 2010-05-05 Wooridul Spine Health Inst Co SPINE OF USE
KR100545060B1 (ko) * 2004-05-17 2006-01-24 (주)우리들척추건강 골해영상 클러스터링 방법 및 시스템
US7585316B2 (en) * 2004-05-21 2009-09-08 Warsaw Orthopedic, Inc. Interspinous spacer
US8282869B2 (en) * 2005-01-31 2012-10-09 Precast Concepts, Llc Method for making precast concrete meter pit
US8066742B2 (en) * 2005-03-31 2011-11-29 Warsaw Orthopedic, Inc. Intervertebral prosthetic device for spinal stabilization and method of implanting same
US7780709B2 (en) * 2005-04-12 2010-08-24 Warsaw Orthopedic, Inc. Implants and methods for inter-transverse process dynamic stabilization of a spinal motion segment
US7789898B2 (en) * 2005-04-15 2010-09-07 Warsaw Orthopedic, Inc. Transverse process/laminar spacer
CN101316558B (zh) * 2005-09-27 2013-03-27 帕拉迪格脊骨有限责任公司 棘突间脊椎稳定装置
WO2007062079A2 (en) * 2005-11-21 2007-05-31 Philipp Lang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facet joints, uncovertebral joints, costovertebral joints and other joints
FR2897771B1 (fr) * 2006-02-28 2008-06-06 Abbott Spine Sa Implant intervertebral
US7592038B2 (en) * 2006-06-28 2009-09-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repairing surface coating defects
FR2908035B1 (fr) 2006-11-08 2009-05-01 Jean Taylor Implant interepineux
US20080114357A1 (en) * 2006-11-15 2008-05-15 Warsaw Orthopedic, Inc. Inter-transverse process spacer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correcting a spinal deformity
CN200977198Y (zh) * 2006-11-17 2007-11-21 创生医疗器械(江苏)有限公司 椎间动态稳定器
US7955392B2 (en) 2006-12-14 2011-06-07 Warsaw Orthopedic, Inc. Interspinous process devices and methods
FR2912896B1 (fr) * 2007-02-26 2009-10-23 Jean Taylor Implant interepineux
US8968365B2 (en) 2007-09-14 2015-03-03 DePuy Synthes Products, LLC Interspinous spacer
FR2934714B1 (fr) * 2008-07-31 2010-12-1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Transistor organ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ouche dielectrique d'un tel transistor.
KR101066324B1 (ko) * 2011-04-06 2011-09-20 유창화 척추 극돌기 간격 유지장치
US20120259366A1 (en) * 2011-04-08 2012-10-11 Kyphon Sarl. Lumbar-sacral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8103033A3 (ko) 2019-07-29
US20180146989A1 (en) 2018-05-31
TWI627935B (zh) 2018-07-01
JP2018118047A (ja) 2018-08-02
RU2018103033A (ru) 2019-07-29
CN108338856A (zh) 2018-07-31
TW201827016A (zh) 2018-08-01
US20180368890A9 (en) 2018-12-27
EP3354215A1 (en)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7193A (ko) 척추 돌기 사이의 충전재 및 척추 돌기 사이의 안정장치
US7371238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scoliosis
US11672567B2 (en) Spinal fixation construct and methods of use
US8403960B2 (en) Distance-keeping inter-process implant
JP5416217B2 (ja) 粘弾性面関節インプラント
ES2400535T3 (es) Estructuras para restringir apófisis espinosas con un único conector
AU2009205575B2 (en) Spinal fixation device and method
US20210393304A1 (en) Surgical implant for correction of hallux valgus or tailor&#39;s bunion
KR20040028562A (ko) 성형술 케이지
CN102202590A (zh) 棘突间支撑体及其固定方法
US1151070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spondylolysis
US9795413B2 (en) Spinal fixation member
KR100650208B1 (ko) 척추고정장치
TWM547367U (zh) 脊突間穩定器
JP2008539969A (ja) 脊柱矯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