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027A - 가온장치 - Google Patents

가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027A
KR20180087027A KR1020170011203A KR20170011203A KR20180087027A KR 20180087027 A KR20180087027 A KR 20180087027A KR 1020170011203 A KR1020170011203 A KR 1020170011203A KR 20170011203 A KR20170011203 A KR 20170011203A KR 20180087027 A KR20180087027 A KR 20180087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eating
fluid
wall portion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057B1 (ko
Inventor
김하진
Original Assignee
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05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10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 F24H1/103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 with bare resistanc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Abstract

본 발명은 가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제1공간(S1)과, 상기 제1공간(S1)과 연통되어 상기 제1공간(S1)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2공간(S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S1)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4)와 상기 제2공간(S2)으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5)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제1공간(S1)에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210)와; 상기 제2공간(S2)에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220)를 포함하는 가온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온장치{Apparatus for control fluid temperature}
본 발명은 가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가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공급되는 수돗물을 그대로 음용하는 일은 거의 없고, 천연 생수 즉, 마시는 샘물을 구입하여 음용수로 사용하거나, 다양한 방식의 각종 정수기를 사용하여 수돗물을 정수한 후 음용수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냉ㆍ온 정수기는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화수를 생성시키는 다수의 필터링 수단으로 구성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화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정수탱크의 일측에는 냉수의 생산을 위해 소정의 냉각수단이 구비된 냉수탱크와, 온ㆍ생수를 얻을 수 있도록 소정의 가열수단으로 히터(heater)가 내장된 온수탱크가 구비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냉ㆍ온 정수기의 경우,온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온수탱크 내 또는 외부에 히터를 설치하여 필요시 언제든지 온수 사용이 가능하도록 온수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여 항상 일정온도로 유지시켜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물을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해 온수탱크는 항시 히터에 의해 가열상태를 유지함으로 인해 전력소비의 증대로 비용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정된 크기의 온수탱크에서 불과 몇 잔 정도의 온수를 취수하면 냉수가 혼입되어 필요한 적정한 온도의 온수가 공급되지 못하는 현상이 있어 사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냉ㆍ온 정수기는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를 정수기 몸체에 각각 내장된 구조를 갖추고 있으므로 정수기의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온수 탱크 내에 수용된 물이 장기간 유지될 경우 온수탱크에 스케일(일명 물때)이 끼이게 되면서 이물질의 발생은 물론 이러한 것들에서의 유해균의 서식원인에 의한 물의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입구 및 배출구를 통한 흐름을 기준으로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유체에 대한 배출시 유체에 대한 가열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가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체가 유입되는 제1공간(S1)과, 상기 제1공간(S1)과 연통되어 상기 제1공간(S1)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2공간(S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S1)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4)와 상기 제2공간(S2)으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5)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제1공간(S1)에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210)와; 상기 제2공간(S2)에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220)를 포함하는 가온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제2공간(S2)은, 상기 제1공간(S1)이 중앙에 위치되도록 도넛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110)와, 상기 측벽부(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S1) 및 상기 제2공간(S2)을 구획하며 상기 제1공간(S1)에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공간(S2)에 유입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통공(141)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부(140)와, 상기 측벽부(110) 및 상기 격벽부(140)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면부(120)와, 상기 측벽부(110) 및 상기 격벽부(14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저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20)는,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4)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140)와 함께 상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제1상면부(121)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5)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110) 및 상기 격벽부(140)와 함께 상기 제2공간(S2)을 형성하는 제2상면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저면부(130)는, 상기 격벽부(140)와 함께 상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제1저면부(131)와; 상기 측벽부(110) 및 상기 격벽부(140)와 함께 상기 제2공간(S2)을 형성하는 제2저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면부(121), 상기 제2상면부(122), 상기 제1저면부(131), 상기 제2저면부(132), 상기 측벽부(110) 및 상기 격벽부(140) 중 일부씩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10), 상기 격벽부(140) 및 상기 제2저면부(132)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상면부(121)는, 상기 측벽부(110) 및 상기 격벽부(140)에 용접결합되며, 상기 제2상면부(122)는, 상기 격벽부(140)에 용접 결합되며, 상기 제1저면부(131)는, 상기 격벽부(14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제1가열부(210) 및 상기 제2가열부(220)에 의하여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원차단부(4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부(400)는, 상기 제1공간(S1)에 채워진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상기 제1가열부(21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1전원차단부(410)와, 상기 제2공간(S2)에 채워진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상기 제2가열부(22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2전원차단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가열부(210) 및 제2가열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3전원차단부(4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210) 및 상기 제2가열부(220)는, 상기 제1공간(S1) 및 상기 제2공간(S2) 내에서 설치되는 발열부(212, 222)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부(212, 22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단자(211, 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210)는, 상기 발열부(212)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 상기 전원단자(211)에 지지되어 상기 제1공간(S1)에 'U자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가열부(220)는, 상기 발열부(222)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 상기 전원단자(221)에 지지되어 상기 제2공간(S2)에서 상기 제1공간(S1)을 1회 이상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2)에는, 상기 연통공(141)에 인접하여 상기 연통공(141)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25)를 향한 유동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동가이드부(112)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210)는, 상기 제1공간(S1)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제1온도로 유체를 가열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제2가열부(220)는, 상기 배출구(125)를 통하여 유체가 배출될 것으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제2공간(S2)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제2온도로 유체를 가열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210)는, 상기 제2가열부(220)가 상기 배출구(125)를 통하여 유체가 배출될 것으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3온도로 가열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온장치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통한 흐름을 기준으로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유체에 대한 배출시 유체에 대한 가열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구 및 배출구를 통한 흐름을 기준으로 제1공간 및 제2공간으로 공간을 구획하고, 제1공간에서 제1가열부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제1온도로 유체를 가열하고, 배출구를 통한 유체 배출시 제2가열부에 의하여 제2공간에서 미리 설정된 제2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유체배출시 유체의 가열효율 및 가열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온장치는, 제1공간에서의 가열온도, 즉 제1온도를 미리 최적화함으로써 유체배출이 없는 경우 가열유지를 위한 소요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제2공간이 미리 설정된 제1온도로 가열하는 제1공간을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공간에서의 열이 제2공간으로 전달되어 열효율을 극대화하도 동일한 온도 및 가열을 위한 가온장치를 최소로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온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Ⅲ-Ⅲ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우징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온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온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유입되는 제1공간(S1)과, 제1공간(S1)과 연통되어 제1공간(S1)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2공간(S2)이 형성되며, 제1공간(S1)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4)와 제2공간(S2)으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5)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제1공간(S1)에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210)와; 제2공간(S2)에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공간(S1)은, 유입된 유체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제1온도)로 유지되는 유체가 담기는 공간이며, 제2공간(S2)은, 제1공간(S1)에 유입되는 유체가 담기며 배출구(125)에 의한 배출시 유체에 대한 순간가열을 위한 공간으로서, 다양한 배치 및 형태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1공간(S1)은, 중앙에 위치되고, 제2공간(S2)은, 제1공간을 둘러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공간(S2)은, 제1공간(S1)이 중앙에 위치되도록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는 제1공간(S1)과, 제1공간(S1)과 연통되어 제1공간(S1)으로부터 유입되는 제2공간(S2)의 평면형상이 제1공간(S1)의 외측에 제2공간(S2)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에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하우징(100)은, 하우징(100)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110)와, 측벽부(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을 구획하며 제1공간(S1)에 유입된 유체가 제2공간(S2)에 유입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통공(141)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부(140)와, 측벽부(110) 및 격벽부(140)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면부(120)와, 측벽부(110) 및 격벽부(14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저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10)는,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의 배치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측벽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측벽부(110)는, 하나 이상의 측벽부재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측벽부재는, 측벽부(110)의 평면형상이 유선형, 사각형, 원형, 다각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110)는, 외면 및 내면 중 적어도 일면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10)는,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일단에 후술하는 상면부(120) 및 저면부(130)와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상면부(120) 및 저면부(130)와의 결합을 위한 단턱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111)는, 예로서, 상면부(120)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면부(120)와의 결합구조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단턱부(111)는, 상면부(120)의 가장자리 일부가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단차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벽부(110)는, 일측에 후술하는 유체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배출하거나, 제2가열부(220)에 의하여 유체가 가열되며 발생되는 기포를 외부로 토배출하기 위한 기체배출부(16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체배출부(160)는, 밸브 등의 조작에 의하여 유체, 기체 등의 배출을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측벽부(110)는, 상면부(120) 및 저면부(130)와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한겹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측벽부(110)는, 두겹으로 한겹은 상면부(120)와 일체로 형성되며 다른 겹은 저면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140)는,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측벽부(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을 구획하며 제1공간(S1)에 유입된 유체가 제2공간(S2)에 유입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통공(141)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부(140)는, 측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곡면, 평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격벽부(140)는, 측벽부(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을 구획하도록 하나 이상의 격벽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부재(142)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유체가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을 흐르도록 하는 연통공(1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공(141)은, 유체가 제1공간(S1)에서 제2공간(S2)으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형태이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격벽부(140)는, 상하가 개구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저면부(130)와 결합되며, 일측에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을 연통하는 연통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공간(S2)에는, 연통공(141)에 인접하여 연통공(141)으로부터 배출구(125)를 향한 유동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동가이드부(112)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부(112)는, 제1공간(S1)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측벽부(110)의 내측을 따라 흐르도록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유동가이드부(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10)의 내벽에 후술하는 연통홀(141)의 유체 배출방향에 대향되도록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140)는,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저면부(132)와 결합되어 측벽부(110), 제2상면부(122) 및 제2저면부(132)와 함께 제2공간(S2)을 형성하며, 하단 및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상벽부(131) 및 후술하는 제1저면부(131)와 함께 제1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부(140)는, 외주면이 제2저면부(132)의 내주면과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저면부(131)는, 격벽부(14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부(140), 측벽부(110), 상면부(120) 및 저면부(130)는 금속재질을 가지는 판형부재일 수 있으며, 각각의 부재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부(140)는, 저면부(130) 중 일부인 저면부재(14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재(143)는, 격벽부(140)에 결합되어 격벽부(140)와 함께 제1공간(S1)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저면부재(143)는, 저면부(130) 및 상면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격벽부(140)의 설치 위치에 따라 격벽부(14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저면부재(14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140)의 하측에 결합되어, 제2저면부(132)에 형성되는 삽입홀(133)에 삽입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20)는, 측벽부(110) 및 격벽부(140)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면부(120)는, 측벽부(110), 격벽부(140) 및 저면부(130)와 함께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상면부(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벽부(110)에 형성된 단턱부(111)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면부(12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4)가 형성되며 격벽부(140)와 함께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제1상면부(121)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5)가 형성되며 측벽부(110) 및 격벽부(140)와 함께 제2공간(S2)을 형성하는 제2상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면부(121)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4)가 형성되며 격벽부(140)와 함께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1상면부(121)는, 격벽부(140)의 상단에 결합되며, 제1공간(S1)에 유체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124)와 후술하는 제1가열부(210)가 설치되는 관통홀(127)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124)는, 유체의 유입을 위한 유입관(171)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상면부(121)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5)가 형성되며 측벽부(110) 및 격벽부(140)와 함께 제2공간(S2)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2상면부(122)는, 제1상면부(121)와 결합되는 위치에 상벽부관통공(123)과, 제2공간(S2)의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125)는, 유체의 배출을 위한 배수관(172)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면부(120)는, 후술하는 제2가열부(220)에 의하여 내부에 담기는 유체가 가열되는바, 유체가 가열되어 형성되는 증기, 유체 등을 배출하는 드레인부(15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30)는, 측벽부(110) 및 격벽부(140)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저면부(130)는, 측벽부(110), 격벽부(140) 및 상면부(120)와 함께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저면부(130)는, 격벽부(140)와 함께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제1저면부(131)와; 측벽부(110) 및 격벽부(140)와 함께 제2공간(S2)을 형성하는 제2저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면부(132)는, 격벽부(140)의 외측 및 측벽부(110)의 내측 하단에 결합되어 제2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저면부(131)는, 제2저면부(132)와 격벽부(140)의 결합위치, 즉 상기 격벽부(140)의 내측에 관통형성되는 하벽부관통공(1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저면부(131), 제2저면부(132), 격벽부(140) 및 측벽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는, 다른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상면부(121), 제2상면부(122), 제1저면부(131), 제2저면부(132), 측벽부(110) 및 격벽부(140) 중 일부씩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면부(121), 제2상면부(122), 제1저면부(131), 제2저면부(132), 측벽부(110) 및 격벽부(140)의 각각의 결합구조에 따라서 그 부재의 수가 결정되며, 프레스가공, 용접가공 등 다양한 가공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측벽부(110), 격벽부(140) 및 제2저면부(132)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1상면부(121)는, 측벽부(110) 및 격벽부(140)에 용접결합되며, 제2상면부(122)는, 격벽부(140)에 용접 결합되며, 제1저면부(131)는, 격벽부(140)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210)는, 제1공간(S1)에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상기 제1가열부(210)는, 제1공간(S1)에 담긴 유체를 미리 설정된 제1온도로 가열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가열부(210)는, 제1공간(S1)에 담긴 유체를 미리 설정된 제1온도로 가열되도록 제어됨으로써 후술하는 제2가열부(220)에 의한 순간 가열시 그 가열효율을 증대시키는데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물과 같은 온수의 공급시 일정량의 유체를 미리 가열된 상태로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이나, 미 사용시 가열된 상태의 유지에 따라서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전력효율의 증대를 위하여 순간가열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급속가열을 위한 발열부재의 사용으로 충분하게 가열되지 못하거나 물과 같은 유체의 가열을 위한 공간이 커져 가온장치 전체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제1가열부(210)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제1온도로 가열하여 저장하는 한편 배출구(125)를 통한 유체의 배출시 순간가열을 요하는 경우 제2가열부(220)에 의하여 순간가열을 수행함으로써 유체에 대한 적절한 가열 및 순간가열을 가능케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2가열부(220)는, 제2공간(S2)에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가열부(210)는, 제1공간(S1)의 유체의 예열을, 제2가열부(220)는, 제2공간(S2)의 유체의 순간가열을 위한 구성으로서, 제1가열부(210) 및 제2가열부(220)는,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 내에서 설치되는 발열부(212, 222)와,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발열부(212, 22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단자(211, 2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열부(210)는, 발열부(212)가 하우징(100)에 결합된 전원단자(211)에 지지되어 상기 제1공간(S1)에 'U자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제2가열부(220)는, 발열부(222)가 하우징(100)에 결합된 전원단자(221)에 지지되어 제2공간(S2)에서 제1공간(S1)을 1회 이상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열부(210)는, 제1공간(S1)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제1온도로 유체를 가열하도록 제어되며, 제2가열부(220)는, 배출구(125)를 통하여 유체가 배출될 것으로 제어되는 경우 제2공간(S2)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제2온도로 유체를 가열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가열부(210)는, 제2가열부(220)가 배출구(125)를 통하여 유체가 배출될 것으로 제어되는 경우 제1온도보다 높은 제3온도로 가열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부(212, 222)는 유체의 가열을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전기 인가에 의하여 발열하는 부재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발열부(222)는, 물과 같은 유체 내에 담기는 것을 고려하여 열전도성이 높으면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가열부(210) 및 제2가열부(220)는,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 각각의 유체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거나 순간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인 바, 제1가열부(210) 및 제2가열부(220)는,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의 온도 유지 및 냉각을 위한 제1냉각부(미도시) 및 제2냉각부(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가온장치는, 냉각 특성을 가지는바 냉각장치로 표현될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제1가열부(210) 및 제2가열부(220)에 의하여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원차단부(4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부(400)는, 제1가열부(210) 및 제2가열부(220)에 의하여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전원차단부(400)는, 제1공간(S1)에 채워진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제1가열부(21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1전원차단부(410)와, 제2공간(S2)에 채워진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제2가열부(22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2전원차단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차단부(410)는, 제1공간(S1)에 채워진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제1가열부(210)의 전원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2전원차단부(420)는, 제2공간(S2)에 채워진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제2가열부(220)의 전원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1전원차단부(410) 및 제2전원차단부(420)는,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스위치 오프되는 바이메탈 등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원차단부(40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제1가열부(210) 및 제2가열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3전원차단부(4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전원차단부(430)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제1가열부(210) 및 제2가열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회전에 의한 전원차단 스위치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1: 제1공간 S2: 제2공간
100: 하우징 151: 제1가열부
152: 제2가열부

Claims (14)

  1. 유체가 유입되는 제1공간(S1)과, 상기 제1공간(S1)과 연통되어 상기 제1공간(S1)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제2공간(S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S1)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4)와 상기 제2공간(S2)으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5)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제1공간(S1)에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210)와;
    상기 제2공간(S2)에 유입된 유체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220)를 포함하는 가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S2)은, 상기 제1공간(S1)이 중앙에 위치되도록 도넛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110)와,
    상기 측벽부(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S1) 및 상기 제2공간(S2)을 구획하며 상기 제1공간(S1)에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공간(S2)에 유입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통공(141)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부(140)와,
    상기 측벽부(110) 및 상기 격벽부(140)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면부(120)와,
    상기 측벽부(110) 및 상기 격벽부(14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저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20)는,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4)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140)와 함께 상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제1상면부(121)와;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5)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110) 및 상기 격벽부(140)와 함께 상기 제2공간(S2)을 형성하는 제2상면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저면부(130)는,
    상기 격벽부(140)와 함께 상기 제1공간(S1)을 형성하는 제1저면부(131)와;
    상기 측벽부(110) 및 상기 격벽부(140)와 함께 상기 제2공간(S2)을 형성하는 제2저면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온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부(121), 상기 제2상면부(122), 상기 제1저면부(131), 상기 제2저면부(132), 상기 측벽부(110) 및 상기 격벽부(140) 중 일부씩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가온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110), 상기 격벽부(140) 및 상기 제2저면부(132)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상면부(121)는, 상기 측벽부(110) 및 상기 격벽부(140)에 용접결합되며, 상기 제2상면부(122)는, 상기 격벽부(140)에 용접 결합되며, 상기 제1저면부(131)는, 상기 격벽부(140)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가온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제1가열부(210) 및 상기 제2가열부(220)에 의하여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원차단부(40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온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부(400)는,
    상기 제1공간(S1)에 채워진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상기 제1가열부(21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1전원차단부(410)와,
    상기 제2공간(S2)에 채워진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측정되면 상기 제2가열부(22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2전원차단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온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가열부(210) 및 제2가열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3전원차단부(43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온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210) 및 상기 제2가열부(220)는,
    상기 제1공간(S1) 및 상기 제2공간(S2) 내에서 설치되는 발열부(212, 222)와,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부(212, 22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단자(211, 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온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210)는, 상기 발열부(212)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 상기 전원단자(211)에 지지되어 상기 제1공간(S1)에 'U자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가열부(220)는, 상기 발열부(222)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 상기 전원단자(221)에 지지되어 상기 제2공간(S2)에서 상기 제1공간(S1)을 1회 이상 감싸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온장치.
  12.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S2)에는, 상기 연통공(141)에 인접하여 상기 연통공(141)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25)를 향한 유동의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한 유동가이드부(112)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온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210)는, 상기 제1공간(S1)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제1온도로 유체를 가열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제2가열부(220)는, 상기 배출구(125)를 통하여 유체가 배출될 것으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제2공간(S2)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제2온도로 유체를 가열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온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210)는,
    상기 제2가열부(220)가 상기 배출구(125)를 통하여 유체가 배출될 것으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3온도로 가열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온장치.
KR1020170011203A 2017-01-24 2017-01-24 가온장치 KR101942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03A KR101942057B1 (ko) 2017-01-24 2017-01-24 가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03A KR101942057B1 (ko) 2017-01-24 2017-01-24 가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027A true KR20180087027A (ko) 2018-08-01
KR101942057B1 KR101942057B1 (ko) 2019-01-24

Family

ID=6322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203A KR101942057B1 (ko) 2017-01-24 2017-01-24 가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499B1 (ko) * 2018-09-18 2020-04-0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10017987A (ko) * 2019-08-05 2021-02-1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6284B2 (ja) * 1991-10-18 1999-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温水器
JP2003139412A (ja) * 2001-10-30 2003-05-14 Hitachi Air Conditioning System Co Ltd 浴槽接続アダプタ
KR100631339B1 (ko) * 2005-04-14 2006-10-04 (주) 나인원 전기순간온수기
KR20110093417A (ko) * 2010-02-12 2011-08-18 이성근 냉온정수기
KR101088362B1 (ko) * 2009-10-08 2011-12-01 이상교 시설물용 고효율 난방장치
KR200463542Y1 (ko) * 2010-12-20 2012-11-09 황희수 전기 순간온수기
KR20150115707A (ko) * 2015-09-23 2015-10-14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6284B2 (ja) * 1991-10-18 1999-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温水器
JP2003139412A (ja) * 2001-10-30 2003-05-14 Hitachi Air Conditioning System Co Ltd 浴槽接続アダプタ
KR100631339B1 (ko) * 2005-04-14 2006-10-04 (주) 나인원 전기순간온수기
KR101088362B1 (ko) * 2009-10-08 2011-12-01 이상교 시설물용 고효율 난방장치
KR20110093417A (ko) * 2010-02-12 2011-08-18 이성근 냉온정수기
KR200463542Y1 (ko) * 2010-12-20 2012-11-09 황희수 전기 순간온수기
KR20150115707A (ko) * 2015-09-23 2015-10-14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499B1 (ko) * 2018-09-18 2020-04-0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10017987A (ko) * 2019-08-05 2021-02-1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057B1 (ko)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0692B2 (en) Water dispenser and method of purifying water
CN203147722U (zh) 蒸汽加热器和壶
EP3160613B1 (en) Home appliance
KR102038030B1 (ko) 냉수 공급장치 및 냉수 공급을 위한 제어방법
KR101942057B1 (ko) 가온장치
KR100804303B1 (ko) 순간 가열 장치
CA2579780A1 (en) Water heating distribution system
US11243010B2 (en) Water heater insert
KR101110673B1 (ko) 냉온 정수기
RU170579U1 (ru) Накопительный, аккумуляционны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CN110114621B (zh) 具有热风发生功能的储水式电热水器
EP3640563A1 (en) Electric water heater having instantaneous hot water storage-type structure
KR100852342B1 (ko) 이중 가열 히터를 포함한 정수 가열시스템
KR102078145B1 (ko) 차등히터를 가진 정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325625A1 (en) Steamer
JP2013119054A (ja) 電気分解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給湯機
CN213075011U (zh) 具有速热功能的集成智能厨卫电器
KR200428924Y1 (ko) 정수기를 포함한 냉온수기의 살균장치
CN205102387U (zh) 热水器
KR20160027722A (ko) 정수기용 온수 가열 장치
JPH02150658A (ja) 媒体用の加熱器具
KR101981070B1 (ko) 직수형 온수공급장치
KR100420081B1 (ko) 비데용 순간식 온수공급장치
CN205322089U (zh) 电水壶
CN217440856U (zh) 加热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