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414A - 고효율 wlan에 대한 동시적 링크 셋업 및 다운링크 데이터 검색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고효율 wlan에 대한 동시적 링크 셋업 및 다운링크 데이터 검색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414A
KR20180086414A KR1020187012672A KR20187012672A KR20180086414A KR 20180086414 A KR20180086414 A KR 20180086414A KR 1020187012672 A KR1020187012672 A KR 1020187012672A KR 20187012672 A KR20187012672 A KR 20187012672A KR 20180086414 A KR20180086414 A KR 20180086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a
trigger
pid
trigg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190B1 (ko
Inventor
씨아오페이 왕
한킹 루
구오동 장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80086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예를 들면, 고효율 WLAN에 대한 동시적 링크 셋업 및 다운링크 데이터 검색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수단이 개시된다. 액세스 포인트(AP)는, AP를 통한 사전 연결 송신을 위해 리소스를 할당하는 트리거 엘리먼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위해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AP는, 비결합 STA로부터,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단위(RU)를 통해 제1 프레임을 수신할 수도 있다. AP는, 비결합 STA를 식별하는 사전 연결 식별자(PID)를 결정할 수도 있다. AP는, 예를 들면,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또는 다중 STA ACK에서, PID를 비결합 STA로 전송할 수도 있다. AP는, PID를 포함하는 다중 유저(MU) 송신과 관련되는 제2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다. AP는 PID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고효율성 WLAN을 위한 동시 링크 설정 및 다운링크 데이터 검색 방법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은, 인프라(Infrastructure)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 모드 및 독립형 BSS(Independent BSS; IBSS) 모드와 같은 다수의 동작 모드를 가질 수도 있다. 인프라 BSS 모드에서의 WLAN은 BSS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가질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 receive unit; WTRU), 예를 들면, 스테이션(STA)이 AP와 관련될 수도 있다. AP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 또는 BSS 안팎으로 트래픽을 반송하는(carry) 다른 타입의 유선/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인터페이싱할 수도 있다. BSS 외부에서 시작하는 STA로의 트래픽은 AP를 통해 도달할 수도 있는데, AP는 트래픽을 STA로 전달할 수도 있다. 소정의 WLAN 시스템에서, STA 대 STA 통신이 발생할 수도 있다. 소정의 WLAN 시스템에서, AP는 STA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빔포밍(beamforming)은 WLAN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현재의 빔포밍 기술은 제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효율 WLAN에 대한, 동시적 링크 셋업 및 다운링크 데이터 검색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수단이 개시된다. 액세스 포인트(AP)는 트리거 엘리먼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AP를 통한 사전 연결 송신(pre-association transmission)을 위해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비결합(unassociated) 스테이션(STA)이 트리거 엘리먼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deterministic access)를 위해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제1 송신 기회(transmission opportunity; TXOP)에 전송될 수도 있다. AP는, 하나 이상의 비결합 STA의 비결합 STA로부터,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단위(resource unit; RU)를 통해 제1 프레임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은 인증 요청 프레임일 수도 있다. 제1 프레임은 제1 TXOP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AP는 제1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확인 응답(acknowledgement; ACK)을 전송할 수도 있다. ACK는 다중 STA ACK일 수도 있다. AP는, 비결합 STA를 식별하는 사전 연결 식별자(pre-association identifier; PID)를 결정할 수도 있다. PID는 비결합 STA에 의해, 예를 들면,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및/또는 AP는 비결합 STA에 PID를 할당할 수도 있다. PID는 연결 식별자(association identifier; AID)의 일부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AP는, 예를 들면, PID를 비결합 STA에 할당할 때, 예를 들면,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또는 다중 STA ACK에서, PID를 비결합 STA로 전송할 수도 있다.
AP는 다중 유저(multi-user; MU) 송신과 관련되는 제2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은 다운링크(downlink; DL) MU 물리 계층 수렴 프로시져(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LCP)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 PPDU)의 일부일 수도 있다. 제2 프레임은 인증 응답 프레임일 수도 있고 PID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은 PID를 신호(signal; SIG) 필드에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PID는 DL MU PPDU의 프리앰블(예를 들면, 프리앰블의 SIG 필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은 제1 TXOP에 후속하는 제2 TXOP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AP는 PID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다. 비결합 STA가 AP와 관련되기 이전에, 트리거 프레임이 전송될 수도 있다. AP는, 비결합 STA로부터, 예를 들면,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여, 연결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수신할 수도 있다. AP는, 연결 요청 프레임에 응답하여, 비결합 STA에 대한 AID를 나타내는 연결 응답 프레임(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전송할 수도 있다. AP는 PID를 AID로서 사용할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a는 예시적인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1b는, 하나 이상의 개시된 피쳐가 구현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c는 예시적인 무선 송수신 유닛인 WTRU를 묘사한다.
도 2는 예시적인 랜덤 트리거 프레임(Random Trigger Frame; TF-R)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요청된 트리거 타겟 웨이크 시간(Target Wake Time; TWT)의 예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브로드캐스트 트리거 TWT의 한 예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예시적인 트리거 프레임 포맷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버퍼 상태 폴(buffer status poll)/리포트 정보를 갖는 예시적인 HE A-Control 필드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랜덤 액세스를 갖는 예시적인 PS-Poll 송신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랜덤 액세스를 갖는 예시적인 CF-Poll 송신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예시적인 트리거 엘리먼트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트리거 필드 설계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랜덤 액세스를 위한 예시적인 트리거 필드 설계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Network Discovery and Link Setup)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중 유저(MU) 송신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사전 연결 ID(PID)를 갖는 다중 STA BA에 대한 예시적인 프레임 포맷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트리거된 PS-Poll 및/또는 DL 패킷 검색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이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이 다양한 도면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비록 이 설명이 가능한 구현예의 상세한 예를 제공하지만, 세부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본 출원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도 1a는 예시적인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피쳐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WLAN은 액세스 포인트(AP)(102), 스테이션(STA)(110) 및 STA(112)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TA(110 및 112)는 AP(102)와 관련될 수도 있다. WLAN은, DSSS, OFDM, OFDMA, 등등과 같은 채널 액세스 스킴을 포함할 수도 있는 IEEE 802.11 통신 표준의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WLAN은 모드, 예를 들면, 인프라 모드(infrastructure mode), 애드혹 모드(ad-hoc mode), 등등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인프라 모드에서 동작하는 WLAN은, 하나 이상의 관련된 STA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AP를 포함할 수도 있다. AP 및 AP와 관련되는 STA(들)는 기본 서비스 세트(BSS)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P(102), STA(110), 및 STA(112)는 BSS(1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확장된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는 (하나 이상의 BSS를 갖는) 하나 이상의 AP 및 AP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STA(들)를 포함할 수도 있다. AP는, 유선 및/또는 무선일 수도 있고 AP로 및/또는 AP로부터 트래픽을 반송할 수도 있는 분배 시스템(DS)(116)에 액세스 및/또는 인터페이싱할 수도 있다. WLAN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WLAN 내의 STA로의 트래픽은, WLAN 내의 STA로 트래픽을 전송할 수도 있는 WLAN 내의 AP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WLAN 내의 STA로부터 시작하는 WLAN 외부의 목적지, 예를 들면, 서버(118)로의 트래픽은 WLAN 내의 AP로 전송될 수도 있는데, AP는 트래픽을 목적지로, 예를 들면, 서버(118)로 전송되도록 DS(116)를 통해 네트워크(114)로 전송할 수도 있다. WLAN 내의 STA 사이의 트래픽은 하나 이상의 AP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소스 STA(예를 들면, STA(110))는 목적지 STA(예를 들면, STA(112))에 대해 의도되는 트래픽을 가질 수도 있다. STA(110)는 트래픽을 AP(102)로 전송할 수도 있고, AP(102)는 트래픽을 STA(112)로 전송할 수도 있다.
WLAN은 애드혹 모드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애드혹 모드 WLAN은 독립형 기본 서비스 세트(IBBS)로 칭해질 수도 있다. 애드혹 모드 WLAN에서, STA는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STA(110)는, 이러한 통신이 AP를 통해 라우팅되지 않고도 STA(112)와 통신할 수도 있다).
IEEE 802.11 디바이스(예를 들면, BSS의 IEEE 802.11 AP)는 비콘 프레임을 사용하여 WLAN 네트워크의 존재를 알릴 수도 있다. AP(102)와 같은 AP는 채널, 예를 들면, 주 채널(primary channel)과 같은 고정 채널 상에서 비콘을 송신할 수도 있다. STA는 주 채널과 같은 채널을 사용하여 AP와의 연결을 확립할 수도 있다.
STA(들) 및/또는 AP(들)는 반송파 감지 다중 액세스/충돌 회피(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CSMA/CA)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도 있다. CSMA/CA에서, STA 및/또는 AP는 주 채널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STA가 전송할 데이터를 갖는 경우, STA는 주 채널을 감지할 수도 있다. 주 채널이 사용 중인 것으로 검출되면, STA는 백오프(back off)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WLAN 또는 그 일부는, 하나의 STA가 주어진 시간, 예를 들면, 주어진 BSS에서 송신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채널 액세스는 RTS 및/또는 CTS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송 요청(request to send; RTS) 프레임의 교환은,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는 전송 준비 완료(clear to send; CTS) 프레임 및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P가 STA로 전송할 데이터를 갖는 경우, AP는 RTS 프레임을 STA로 전송할 수도 있다. STA가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면, STA는 CTS 프레임으로 응답할 수도 있다. CTS 프레임은, RTS를 개시하는 AP가 자신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는 동안, 다른 STA에게 매체 액세스를 보류하도록 경고할 수도 있는 시간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STA로부터 CTS 프레임의 수신시, AP는 데이터를 STA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할당 벡터(network allocation vector; NAV) 필드를 통해 스펙트럼을 예약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IEEE 802.11 프레임에서, NAV 필드는 시간 기간 동안 채널을 예약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를 송신하기를 원하는 STA는, 자신이 채널을 사용할 것을 예상할 수도 있는 시간으로 NAV를 설정할 수도 있다. STA가 NAV를 설정할 때, NAV는 관련된 WLAN 또는 그 서브세트(예를 들면, BSS)에 대해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STA는 NAV를 제로까지 카운트 다운할 수도 있다. 카운터가 제로의 값에 도달하면, NAV 기능성(functionality)은, 채널이 현재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다른 STA에게 나타낼 수도 있다.
AP 또는 STA와 같은 WLAN 내의 디바이스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메모리, (예를 들면, 트랜스시버에서 결합될 수도 있는) 무선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 하나 이상의 안테나(예를 들면, 도 1a의 안테나(106)),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기능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 특수 목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MAC 프로세서, 등등),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회로, 임의의 다른 타입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상태 머신, 및 등등.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될 수도 있거나 또는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그 서브세트)는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예를 들면, 메모리와 같은 다른 기능)과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신호 코딩, 데이터 프로세싱, 전력 제어, 입력/출력 프로세싱, 변조, 복조, 및/또는 디바이스가 도 1a의 WLAN과 같은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기능성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실행 가능 코드(예를 들면,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셋) 또는 메모리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명령어의 실행은, 디바이스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실행 가능 코드 또는 명령어(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등), 전자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디지털 정보와 같은 프로그래밍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는 메모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은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예를 들면, 프로세서와 같은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다른 기능)과 통합될 수도 있다. 메모리는,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예를 들면,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등),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시스템 버스를 통해, 직접적으로, 등등으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엔티티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b는 하나 이상의 개시된 피쳐가 구현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100)의 도면이다.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를 넘어(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되는 벽으로 둘러싸인 정원을 넘어) 확장하는 베어러가 QoS 특성을 할당받을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음성, 데이터, 비디오,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등과 같은 콘텐츠를 다수의 무선 유저에게 제공하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multiple access system)일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대역폭을 비롯한 시스템 리소스의 공유를 통해 다수의 무선 유저가 이러한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100)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FDMA(orthogonal FDMA; OFDMA), 싱글 캐리어 FDMA(single-carrier FDMA; SC-FDMA), 및 등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채널 액세스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송수신 유닛(WTRU), 예컨대 복수의 WTRU, 예를 들면 WTRU(102a, 102b, 102c, 및 102d),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104), 코어 네트워크(106), 공중 교환식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108), 인터넷(110), 및 다른 네트워크(112)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개시된 실시형태는 임의의 수의 WTRU, 기지국(base station),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고려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WTRU(102a, 102b, 102c, 102d)의 각각은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및/또는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예로서, WTRU(102a, 102b, 102c, 102d)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유저 기기(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예를 들면, WLAN STA), 고정식 또는 이동식 가입자 유닛, 페이저, 셀룰러 전화, 개인 휴대형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 랩탑, 넷북, 퍼스널 컴퓨터, 무선 센서, 가전 기기(consumer electronics), 및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100)은 또한 기지국(114a) 및 기지국(114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114a, 114b)의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106), 인터넷(1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112)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WTRU(102a, 102b, 102c, 102d)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타입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예로서, 기지국(114a, 114b)은 기지국 트랜스시버(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노드 B, eNode B, 홈 노드 B, 홈 eNode B, 사이트 컨트롤러(site controller), 액세스 포인트(AP), 무선 라우터, 및 등등일 수도 있다. 기지국(114a, 114b) 각각이 단일의 엘리먼트로서 묘사되지만, 기지국(114a, 114b)은 임의의 수의 상호 접속된(interconnected) 기지국 및/또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기지국(114a)은, 다른 기지국 및/또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도시되지 않음), 예컨대 기지국 컨트롤러(base station controller; BSC),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adio network controller; RNC), 중계 노드, 등등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는 RAN(104)의 일부일 수도 있다. 기지국(114a) 및/또는 기지국(114b)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 내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특정한 지리적 영역은 셀(도시되지 않음)로서 칭해질 수도 있다. 셀은 셀 섹터로 더 분할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114a)과 관련되는 셀은 세 개의 섹터로 분할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a)은 세 개의 트랜스시버, 즉, 셀의 각각의 섹터에 대해 하나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a)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고, 따라서, 셀의 각각의 섹터에 대해 다수의 트랜스시버를 활용할 수도 있다.
기지국(114a, 114b)은, 임의의 적절한 무선 통신 링크(예를 들면,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마이크로파, 적외선(infrared; IR), 자외선(ultraviolet; UV), 가시광, 등등)일 수도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 116)를 통해 WTRU(102a, 102b, 102c, 102d)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도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116)는 임의의 적절한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을 사용하여 확립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다중 액세스 시스템일 수도 있고,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등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채널 액세스 스킴을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RAN(104) 내의 기지국(114a) 및 WTRU(102a, 102b, 102c)는, 광대역 CDMA(wideband CDMA; WCDMA)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확립할 수도 있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지상 무선 액세스(Terrestrial Radio Access)(UTRA)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WCDMA는 고속 패킷 액세스(High-Speed Packet Access; HSPA) 및/또는 진화된 HSPA(Evolved HSPA; HSPA + )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도 있다. HSPA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및/또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a) 및 WTRU(102a, 102b, 102c)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및/또는 LTE-어드밴스드(LTE-Advanced; LTE-A)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확립할 수도 있는 진화형 UMTS 지상 무선 액세스(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a) 및 WTRU(102a, 102b, 102c)는, IEEE 802.16(즉,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CDMA2000, CDMA2000 1X, CDMA2000 EV-DO, IS-2000(Interim Standard 2000), IS-95(Interim Standard 95), IS-856(Interim Standard 856),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GSM 에볼루션을 위한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GSM EDGE(GERAN), 및 등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b의 기지국(114b)은, 예를 들면, 무선 라우터, 홈 노드 B, 홈 eNode B, 또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도 있고, 사업장, 가정, 차량, 캠퍼스, 및 등등의 장소와 같은 국소화된 영역에서 무선 연결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RAT를 활용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b) 및 WTRU(102c, 102d)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을 확립하기 위해 IEEE 802.11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b) 및 WTRU(102c, 102d)는 무선 사설 영역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를 확립하기 위해 IEEE 802.15와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여전히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지국(114b) 및 WTRU(102c, 102d)는 피코셀 또는 펨토셀을 확립하기 위해 셀룰러 기반 RAT(예를 들면, WCDMA, CDMA2000, GSM, LTE, LTE-A, 등등)를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114b)은 인터넷(110)에 대한 직접 연결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114b)은 코어 네트워크(106)를 통해 인터넷(110)에 액세스하는 데 필요로 되지 않을 수도 있다.
RAN(104)은, WTRU(102a, 102b, 102c, 102d) 중 하나 이상으로 음성,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인터넷 전화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일 수도 있는 코어 네트워크(106)와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코어 네트워크(106)는 호 제어(call control), 과금 서비스, 모바일 위치 기반 서비스, 선불 통화, 인터넷 연결성, 비디오 분배, 등등을 제공할 수도 있고, 및/또는 유저 인증과 같은 하이 레벨의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비록 도 1b에서 도시되지는 않지만, RAN(104)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106)는, RAN(104)과 동일한 RAT 또는 상이한 RAT를 활용하는 다른 RAN과 직접 또는 간접 통신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E-UTRA 무선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는 RAN(104)에 연결되는 것 외에, 코어 네트워크(106)는 GSM 무선 기술을 활용하는 다른 RAN(도시되지 않음)과 또한 통신할 수도 있다.
코어 네트워크(106)는 WTRU(102a, 102b, 102c, 102d)가 PSTN(108), 인터넷(1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112)에 액세스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로서 또한 기능할 수도 있다. PSTN(108)은, 기존 전화 서비스(plain old telephone service; POTS)를 제공하는 회선 교환식 전화망(circuit-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넷(110)은, TCP/IP 인터넷 프로토콜 일군(suite)에서의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유저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및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상호 접속된 컴퓨터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의 글로벌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112)는 다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소유되는 및/또는 운영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12)는, RAN(104)과 동일한 RAT 또는 상이한 RAT를 활용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RAN에 연결되는 다른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102d)에서의 WTRU(102a, 102b, 102c, 102d) 중 몇몇 또는 모두는 다중 모드 성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WTRU(102a, 102b, 102c, 100)는 상이한 무선 링크를 통해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다수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b에서 도시되는 WTRU(102c)는, 셀룰러 기반 무선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는 기지국(114a)과, 그리고 IEEE 802 무선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는 기지국(114b)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c는 예시적인 무선 송수신 유닛인 WTRU(102)를 묘사한다. WTRU는, 유저 기기(UE), 이동국, WLAN STA, 고정식 또는 이동식 가입자 유닛, 페이저, 셀룰러 전화, 개인 휴대형 정보 단말(PDA), 스마트폰, 랩탑, 넷북, 퍼스널 컴퓨터, 무선 센서, 가전기기, 및 등등일 수도 있다. WTRU(102)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통신 시스템 중 하나 이상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WTRU(102)는 프로세서(118), 트랜스시버(120), 송신/수신 엘리먼트(122), 스피커/마이크(124), 키패드(126), 디스플레이/터치패드(128), 비착탈식 메모리(130), 착탈식 메모리(132), 전원(134), 전지구 위치 결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칩셋(136), 및 다른 주변장치(138)를 포함할 수도 있다. WTRU(102)는 한 실시형태와 여전히 부합하면서 상기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프로세서(118)는 범용 프로세서, 특수 목적의 프로세서, 종래의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관련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회로, 임의의 다른 타입의 집적 회로(IC), 상태 머신, 및 등등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18)는 신호 코딩, 데이터 프로세싱, 전력 제어, 입력/출력 프로세싱, 및/또는 WTRU(102)가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기능성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8)는, 송신/수신 엘리먼트(122)에 커플링될 수도 있는 트랜스시버(120)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도 1c가 프로세서(118) 및 트랜스시버(120)를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묘사하지만, 프로세서(118) 및 트랜스시버(120)는 전자적 패키지 또는 칩에 함께 집적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송신/수신 엘리먼트(122)는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114a))으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송신/수신 엘리먼트(122)는 RF 신호를 송신하도록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송신/수신 엘리먼트(122)는, 예를 들면, IR, UV, 또는 가시광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방출기(emitter)/검출기(detector)일 수도 있다. 여전히 다른 실시형태에서, 송신/수신 엘리먼트(122)는 RF 및 광 신호 둘 다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송수신 엘리먼트(122)는 무선 신호의 임의의 조합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비록 송신/수신 엘리먼트(122)가 도 1c에서 단일의 엘리먼트로서 묘사되지만, WTRU(102)는 임의의 수의 송신/수신 엘리먼트(1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WTRU(102)는 MIMO 기술을 활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WTRU(102)는,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송신/수신 엘리먼트(122)(예를 들면, 다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랜스시버(120)는, 송신/수신 엘리먼트(122)에 의해 송신될 신호를 변조하도록 그리고 송신/수신 엘리먼트(122)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WTRU(102)는 다중 모드 성능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트랜스시버(120)는, WTRU(102)가, 예를 들면, UTRA 및 IEEE 802.11과 같은 다수의 RAT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WTRU(102)의 프로세서(118)는, 스피커/마이크(124), 키패드(126), 및/또는 디스플레이/터치패드(128)(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유닛)에 커플링될 수도 있고, 그리고 이들로부터 유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8)는 유저 데이터를 스피커/마이크(124), 키패드(126), 및/또는 디스플레이/터치패드(128)로 또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18)는, 비착탈식 메모리(130) 및/또는 착탈식 메모리(132)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적절한 메모리의 정보에 액세스할 수도 있고, 그리고 그 임의의 타입의 적절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비착탈식 메모리(13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하드디스크,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착탈식 메모리(132)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메모리 스틱, 시큐어 디지털(secure digital; SD) 메모리 카드, 및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프로세서(118)는, WTRU(102) 상에 물리적으로 위치되지 않는 메모리, 예컨대 서버 또는 가정용 컴퓨터(도시되지 않음) 상의 메모리의 정보에 액세스할 수도 있고, 그리고 그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8)는 전원(134)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WTRU(102)의 다른 컴포넌트로 전력을 분배하도록 및/또는 그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134)은 WTRU(10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원(134)은 하나 이상의 드라이 셀 배터리(예를 들면, 니켈 카드뮴(NiCd), 니켈 아연(NiZn), 니켈 금속 수소(NiMH), 리튬 이온(Li ion), 등등), 솔라 셀, 연료 전지, 및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8)는, WTRU(102)의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예를 들면, 경도 및 위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GPS 칩셋(136)에 또한 커플링될 수도 있다. GPS 칩셋(136)으로부터의 정보 외에, 또는 그 정보 대신, WTRU(102)는 무선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114a, 114b))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및/또는 두 개 이상의 근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신호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WTRU(102)는, 한 실시형태와 여전히 부합하면서, 임의의 적절한 위치 결정 방법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프로세서(118)는 또한, 추가적인 피쳐, 기능성, 및/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는 다른 주변장치(138)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주변장치(138)는 가속도계, 전자 콤파스, 위성 트랜스시버, (사진 및 비디오용의) 디지털 카메라,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포트, 진동 디바이스, 텔레비전 트랜스시버, 핸즈프리 헤드셋, Bluetooth® 모듈,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ed; FM) 무선 유닛,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플레이어 모듈, 인터넷 브라우저, 및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은 인프라 기본 서비스 세트(BSS) 모드 및 독립형 BSS(IBSS) 모드와 같은 다수의 동작 모드를 가질 수도 있다. 인프라 BSS 모드에서의 WLAN은 BSS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AP)를 가질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STA)이 AP와 관련될 수도 있다. AP는, 분배 시스템(DS) 또는 BSS 안팎으로 트래픽을 반송하는 다른 타입의 유선/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인터페이싱할 수도 있다. BSS 외부에서 시작하는 STA로의 트래픽은 AP를 통해 도달할 수도 있는데, AP는 트래픽을 STA로 전달할 수도 있다. STA로부터 시작하는 BSS 외부의 목적지로의 트래픽은, 각각의 목적지로 트래픽을 전달할 수도 있는 AP로 전송될 수도 있다. BSS 내의 STA 사이의 트래픽은 AP를 통해, 예를 들면, 소스 STA로부터 AP로 그리고 AP로부터 목적지 STA로 전송될 수도 있다. BSS 내의 STA 사이의 이러한 트래픽은 피어 투 피어(peer-to-peer) 트래픽일 수도 있다. 피어 투 피어 트래픽은, 예를 들면, IEEE 802.11e 다이렉트 링크 셋업(direct link setup; DLS) 또는 IEEE 802.11z 터널식 DLS(tunneled DLS; TDLS)를 사용하는 DLS를 사용하여, 소스 STA와 목적지 STA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독립형 BSS(IBSS) 모드에 있는 WLAN은 AP가 없을 수도 있고, STA는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IBSS 통신 모드는 "애드혹" 통신 모드로 칭해질 수도 있다.
AP는, 예를 들면, 802.11ac 인프라 동작 모드에서, 고정 채널(예를 들면, 주 채널) 상에서 비콘을 송신할 수도 있다. 채널은, 예를 들면, 20 MHz 폭일 수도 있다. 채널은 BSS의 동작 채널일 수도 있다. 채널은, 예를 들면, AP와의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STA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802.11 시스템에서의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은, 캐리어 감지 다중 액세스/충돌 회피(CSMA/CA)일 수도 있다. AP를 포함하는 STA는, 예를 들면, CSMA/CA 동작 모드에서, 주 채널을 감지할 수도 있다. STA는, 예를 들면, 채널이 사용 중인 것으로 검출되면, 주어진 BSS에서 한 번에 하나의 STA만이 송신할 수도 있도록 백오프할 수도 있다.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 STA는, 예를 들면, 802.11n에서의 통신을 위해, 예를 들면, 40MHz 폭의 채널을 사용할 수도 있다. 20 MHz의 주 채널은 20 MHz의 인접한 채널과 결합되어 40 MHz 폭의 연속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 STA는, 예를 들면, 802.11ac에서, 예를 들면, 20MHz, 40MHz, 80MHz 및 160MHz 폭의 채널을 지원할 수도 있다. 40 MHz 및 80 MHz 채널은, 예를 들면, 연속하는 20 MHz 채널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160 MHz 채널은, 예를 들면, 여덟 개의 연속하는 20 MHz 채널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또는 두 개의 연속하지 않는 80 MHz 채널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는데, 두 개의 연속하지 않는 80 MHz 채널을 결합하는 것은, 80 + 80 구성으로 칭해질 수도 있다. 80 + 80 구성은, 예를 들면, 채널 인코딩 이후에, 데이터를 두 개의 스트림으로 나누는 세그먼트 파서를 통과할 수도 있다. 역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및 시간 도메인 프로세싱은, 예를 들면, 각각의 스트림 상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스트림은 두 개의 채널 상으로 매핑될 수도 있다. 데이터는 두 개의 채널 상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수신기는 송신기 메커니즘을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수신기는 다수의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재결합할 수도 있다. 재결합된 데이터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로 전송될 수도 있다.
서브기가헤르츠(Sub-GHz)(예를 들면, MHz) 동작 모드는, 예를 들면, 802.11af 및 802.11ah에 의해, 지원될 수도 있다. 채널 동작 대역폭 및 캐리어, 예를 들면, 802.11n 및 802.11ac에서 사용되는 상대적인 대역폭 및 캐리어가 감소될 수도 있다. 802.11af는, 예를 들면, TV 화이트 스페이스(TV white space; TVWS) 스펙트럼에서 5 MHz, 10 MHz 및 20 MHz 대역폭을 지원할 수도 있다. 802.11ah는, 예를 들면, TVWS 스펙트럼에서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대역폭을 지원할 수도 있다. 802.11ah에 대한 사용 사례의 예는,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에서 미터 타입 제어(Meter Type Control; MTC) 디바이스에 대한 지원일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는 제한된 성능(예를 들면, 제한된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고 매우 긴 배터리 수명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WLAN 시스템(예를 들면, 802.11n, 802.11ac, 802.11af 및 802.11ah 시스템)은 다수의 채널 및 채널 폭, 예컨대 주 채널로 지정되는 채널을 지원할 수도 있다. 주 채널은, 예를 들면, BSS 내의 STA에 의해 지원되는 가장 큰 공통 동작 대역폭과 동일한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다. 주 채널의 대역폭은, 가장 작은 대역폭 동작 모드를 지원하는 STA에 의해 제한될 수도 있다. 802.11ah의 예에서, 주 채널은, 예를 들면, 1 MHz 모드를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STA(예를 들면, MTC 타입 디바이스)가 존재하고 한편 AP 및 다른 STA가 2 MHz, 4 MHz, 8 MHz, 16 MHz 또는 다른 채널 대역폭 동작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1 MHz 폭일 수도 있다. 캐리어 감지 및 NAV 설정은, 주 채널의 상태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로서, 예를 들면, 1 MHz 동작 모드를 지원하는 STA가 주 채널 상에서 AP로 송신하는 것에 기인하여 주 채널이 사용 중인 상태를 갖는 경우, 모든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이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사용 중인 것으로 간주되어 유휴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상이한 영역 사이에서 변할 수도 있다. 예로서, 미국에서는, 802.11ah에 의해 사용되는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미국에서는, 902MHz 내지 928MHz, 한국에서는 917.5MHz 내지 923.5MHz, 일본에서는 916.5MHz 내지 927.5MHz일 수도 있다. 이용 가능한 총 대역폭은 영역마다 다를 수도 있다. 예로서, 802.11ah에 대해 이용 가능한 총 대역폭은 국가 코드에 따라 6 MHz 내지 26 MHz일 수도 있다.
HE로 칭해질 수도 있는 IEEE 802.11™ 고효율 WLAN(High Efficiency WLAN; HEW)은, 2.4 GHz 및 5 GHz 대역에서의 AP 및 STA의 고밀도 배치와 같은 많은 사용 시나리오에서 무선 유저가 경험하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HEW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기술은, 경기장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 전달, 기차역 또는 기업/소매 환경과 같은 유저 밀도가 높은 시나리오, 비디오 전달 및 의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무선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 시나리오를 지원할 수도 있다. HEW는, 예를 들면, IEEE 802.11ax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는 짧은 패킷은, 가상 오피스, TPC 확인 응답(ACK), 비디오 스트리밍 ACK, 디바이스/컨트롤러(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게임 컨트롤러), 액세스(예를 들면, 프로브 요청/응답), 네트워크 선택(예를 들면, 프로브 요청, 액세스 네트워크 쿼리 프로토콜(Access Network Query Protocol; ANQP)) 및 네트워크 관리(예를 들면, 제어 프레임)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적용 가능할 수도 있다.
업링크(uplink; UL) 및 다운링크(DL)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및 UL 및 DL MU-MIMO와 같은 MU 피쳐가 802.11ax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OFDMA는, 예를 들면, 고밀도 네트워크 조건에서 주파수 선택 멀티플렉싱 이득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최대화하기 위해, 채널 선택성을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고속 링크 적응,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및 리소스 단위 기반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피드백에 대한 메커니즘이 설계 및 정의될 수도 있다.
반송파 감지 다중 액세스/충돌 회피(CSMA/CA)가 802.11에서 (예를 들면, 채널 액세스 스킴으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 CSMA/CA에서, 한 번에 하나의(예를 들면, 단지 하나의) STA가 매체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802.11에서의 CSMA/CA는 다중 유저(MU) 동시 랜덤 액세스를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이 (예를 들면, 802.11ax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AP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다가오는(upcoming) 동시 UL MU 송신을 동기화 및/또는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AP에 의해 전송되는 트리거 프레임에 대한 응답(예를 들면, 즉각적인 응답)으로서, UL MU 물리 계층 수렴 프로토콜(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PLCP)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PDU)(예를 들면, MU-MIMO 또는 OFDMA)가 전송될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를 위한 지원은 OFDMA를 사용하는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랜덤 액세스를 위한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를 위해 랜덤 트리거 프레임(TF-R)이 사용될 수도 있다. TF-R은, 하나보다 많은 STA에 의해 동시에 랜덤 액세스될 수도 있는 리소스 단위(RU)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할당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TF-R(200)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TF-R(200)은 복수의 RU(20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STA는 복수의 RU(202) 중 제1 RU(202A)를 선택할 수도 있고, 제2 STA는 복수의 RU(202) 중 제2 RU(202C)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제3 RU(202B)(예를 들면, RU 2), 제4 RU(202D)(예를 들면, RU 4), 및/또는 제5 RU(202E)(예를 들면, RU 5)는 선택 및/또는 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는 슬롯화된 알로하(slotted Aloha)와 유사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된 트리거 프레임(Trigger Frame)에 대한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된 트리거 프레임 메커니즘은 요청된 트리거 타겟 웨이크 시간(TWT)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트리거 TWT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 메커니즘은 트리거 프레임이 나타내어질 타겟 송신 시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에 대한 타겟 송신 시간은 암시적인 TWT 동작에 기초할 수도 있다. 브로드캐스트 트리거 TWT는 비콘 프레임에 TWT 엘리먼트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인에이블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P는 비콘 프레임의 TWT 응답에서 하나 이상의 타겟 트리거 시간을 나타낼 수도 있다. TWT 패턴은 비콘 프레임에 후속하는 비콘 인터벌에 대해 유효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비콘 인터벌에 대해서만 유효할 수도 있다). AP는 TWT 셋업 동안 하나 이상의 브로드캐스트 트리거 TWT를 나타낼 수도 있다. 요청된 트리거 TWT는 암시적 TWT 협상(negotiation)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인에이블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STA는 AP가 하나 이상의 트리거 프레임을 스케줄링해야 한다는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STA는 AP가 TWT 요청을 통해 하나 이상의 트리거 프레임을 스케줄링해야 한다는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TWT 패턴은 UL 트래픽 패턴 및/또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TWT 패턴은 주기적일 수도 있다. AP는 요청에 응답할 수도 있다. 응답은 TWT 요청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응답은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TWT 스케줄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TWT 스케줄은 복수의 STA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유사한 트래픽 패턴을 갖는 둘 이상의 STA는 (예를 들면, 유사한 TWT 서비스 기간 및/또는 다른 유사한 파라미터를 갖는) 유사한 TWT에서 할당될 수도 있다.
브로드캐스트 트리거 TWT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STA 및 AP는, PS STA에 의해 모니터링될 타겟 비콘 프레임을 나타내기 위해 TWT 요청 및 TWT 응답을 교환할 수도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요청된 트리거 TWT(300)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요청된 트리거 TWT(300)는 트리거 TWT 셋업(302)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TWT 셋업(302)은 협상될 수도 있다. 고효율(HE) 비 AP(non-AP) STA는 트리거 프레임의 스케줄링을 요청할 수도 있다. HE 비 AP STA는 각각의 TWT의 시작에서 트리거 프레임의 스케줄링을 요청할 수도 있다. AP는 각각의 TWT의 시작에서 트리거 프레임의 스케줄링을 확인할 수도 있다. AP는 각각의 TWT 서비스 기간(service period; SP)(306)의 시작에서 트리거 프레임(304)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비 AP STA가 TWT에서 기상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비 AP STA는 MU DL/UL 교환을 준비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비 AP STA는 AP에 의해 전송되는 트리거 프레임(304)을 대기할 수도 있다. TWT SP(306) 동안, 하나 이상의 비 AP STA는, (예를 들면, 트리거 프레임(304)의 수신시) 절전(power save; PS) Poll, 자동 절전 전달(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APSD) 트리거 프레임, UL/DL 버퍼 가능 유닛(bufferable unit; BU), 및/또는 등등을 교환할 수도 있다. STA는 (예를 들면, TWT가 협상된 경우) 비콘 프레임을 판독하기 위해 기상하지 않을 수도 있다. DL BU 가용성은 TWT SP(306) 동안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비 AP STA는 (예를 들면, 트래픽 패턴이 변하는 경우) TWT를 재협상할 수도 있다.
도 4는 브로드캐스트 트리거 TWT(400)의 한 예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TWT 요청 및 TWT 응답은 STA와 AP 사이에서 교환될 수도 있다. TWT 요청 및 TWT 응답은 PS STA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타겟 비콘 프레임을 협상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STA는 브로드캐스트 트리거 TWT 동작을 요청하기 위해 TWT 요청을 AP로 전송할 수도 있다. AP는 TWT 응답을 STA로 전송할 수도 있다. TWT 응답은, 타겟 TBTT로 설정되는 TWT 및/또는 STA의 청취 인터벌로 설정되는 TWT 웨이크 인터벌을 포함할 수도 있다. STA는 TWT로부터 TWT 웨이크 인터벌의 기간을 가지고 비콘 프레임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STA가 비콘에 포함되는 TWT 응답에서 하나 이상의 타겟 트리거 시간을 수신하는 경우, STA는 하나 이상의 타겟 트리거 시간까지 전력을 절약할 수도 있다. STA는 (예를 들면,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타겟 트리거 시간에서 기상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에 대한 포맷은 공통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공통 정보는, 정보의 포맷, 지속 기간 및/또는 트리거의 목적의 표시(indication)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에 대한 포맷은 유저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저별 정보는, AID, RU 할당 설명, 전력 제어 정보, 및/또는 등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트리거 프레임 포맷(500)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제어 프레임 포맷은 UL MU PPDU를 송신하는 및/또는 UL MU PPDU에 대한 리소스를 할당하는 하나 이상의 STA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트리거 프레임(500)은, 레거시 헤더,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하나 이상의 트리거 정보 필드, 및/또는 FCS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레거시 헤더는 FC 필드 및/또는 지속 기간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기는 레거시 헤더에 기초하여 NAV 설정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는, 하나 이상의 트리거 정보 필드의 사용 및/또는 포맷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트리거 정보 필드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트리거 정보 필드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에 대해 공통인 정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수신기의 각각에 고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트리거 정보 필드는, 정보의 포맷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트리거 정보 필드는 UL MU 응답의 지속 기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트리거 정보 필드는 트리거의 목적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트리거 정보 필드는 STA의 식별자(예를 들면, AID)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트리거 정보 필드는 UL MU MIMO 리소스 할당 설명(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할당된 스트림)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트리거 정보 필드는 UL OFDMA 리소스 할당 설명(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할당된 RU)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트리거 정보 필드는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버퍼 상태 폴/리포트 정보를 갖는 예시적인 HE A-Control 필드(600)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집성된(Aggregated) 제어 필드(예를 들면, HE A-Control 필드(600))는 (예를 들면, 상이한 802.11ax 피쳐에 대해 필요로 되는 제어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HE A-Control 필드(600)는 유연할(flexible) 수도 있다. HE A-Control 필드(600)는 (예를 들면, 최소한의 오버헤드를 가지고) PPDU에 동적으로 추가될 수도 있다. HE A-Control 필드(600)는 버퍼 상태 폴/리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HE A-Control 필드(600)는 QoS 제어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WLAN에서의 조정된 직교 채널 액세스(Coordinated orthogonal channel access; COCA)가 제공될 수도 있다. WLAN에서의 COCA는, 지원 COCA에 대한 성능 표시, COCA 동작을 위한 구성, COCA 동작의 동기화, 다수의 COCA 프레임의 식별, 및/또는 COCA 프레임에 관한 반송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PS-Poll 프레임 및/또는 CF-Poll 프레임은 랜덤 액세스 방식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PS-Poll 프레임 및/또는 CF-Poll 프레임은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트리거될 수도 있다. 도 7은 랜덤 액세스(700)를 갖는 예시적인 PS-Poll 송신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랜덤 액세스(800)를 갖는 예시적인 CF-Poll 송신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랜덤 액세스를 사용한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이 제공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은, 이용 가능한 AP의 디스커버리, 서비스 디스커버리, 인증, 연결, 및/또는 WLAN 시스템에 대한 IP 어드레스 할당을 포함할 수도 있다. STA는,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및/또는 과도한 부하가 무선 매체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어떤 시간 기간 내에, 예를 들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STA는 링크 셋업 이전에 AP에게 알려지지 않을 수도 있다. STA와 AP 사이의 트래픽의 부하는 예측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예를 들면, 예측 불가능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에서, 하나 이상의 비결합 STA가 AP에 알려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하나 이상의 비결합 STA의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과 관련되는 트래픽 부하는 예측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예를 들면, 예측 불가능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비결합 STA는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스커버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비결합 STA는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AP와의 링크 셋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AP는 하나 이상의 타입의 프레임에서 리소스 할당 정보 및/또는 트리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리소스 할당 정보 및/또는 트리거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의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P는, 비콘(예를 들면, 정규 비콘 또는 짧은 비콘), 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 측정 파일럿 프레임, 브로드캐스트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 인증 응답 프레임, 또는 다른 타입의 프레임에서, 프로브 요청, 서비스 디스커버리, 인증 요청, 연결 요청, 및/또는 재연결 요청과 같은,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 프레임의 송신과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할당 및/또는 트리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트리거 엘리먼트(900)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디바이스(예를 들면, AP, AP로서 작용하는 STA, 비 AP STA, 등등)는, 비콘, 짧은 비콘, 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 브로드캐스트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 인증 응답 프레임 및/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프레임에서 트리거 엘리먼트(9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트리거 엘리먼트(900)는 다음 필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엘리먼트 ID 필드, 길이 필드, 엘리먼트 ID 확장 필드, 포맷 필드 및/또는 하나 이상의 트리거 필드.
엘리먼트 ID 필드 및/또는 엘리먼트 ID 확장 필드는, 엘리먼트가 트리거 엘리먼트이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예를 들면,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되어 나타낼 수도 있다). 길이 필드는 트리거 엘리먼트(900)에서의 나머지 엘리먼트의 길이를 나타낼 수도 있다. 포맷 필드는 트리거 필드의 포맷을 나타낼 수도 있다. 트리거 필드의 포맷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결정론적 액세스, 랜덤 액세스, 혼합된 결정론적 액세스, 및/또는 랜덤 액세스. 결정론적 액세스에서, 매체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STA가 (예를 들면,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결정론적 액세스에서, 관련된 트리거된 TXOP에서의 STA에 대한 하나 이상의 할당된 리소스가 (예를 들면,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에서, 매체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STA가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를 위한 리소스 풀이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매체 액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리소스 및/또는 어떤 STA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지는 결정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혼합 모드에서, 결정론적 및 랜덤 액세스가 허용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사용될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가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트리거 필드(예를 들면, 각각의 트리거 필드)의 포맷을 나타내기 위해, 포맷 필드가 (예를 들면, 각각의 트리거 필드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트리거 필드는 트리거 필드 1 내지 트리거 필드 N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각각의 트리거 필드는 한 기간에 대한 트리거링 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다. 각각의 트리거 필드는 다음 필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프셋 필드, 타입 필드, 지속 기간 필드, STA ID 필드, 리소스 필드, 및/또는 TX/RX 설정 필드.
오프셋 필드는 트리거된 송신의 오프셋 타이밍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오프셋 타이밍은 현재 프레임의 끝에서 시작할 수도 있다. 오프셋 타이밍은 TSF 타이머 값 또는 한 시점(point of time)에서 시작할 수도 있다. 0의 오프셋 필드 값은, 트리거된 송신이 (예를 들면, IFS, DIFS, AIFS, 등등과 같은 잠재적으로 어떤 미리 결정된 지연을 가지고) 현재 프레임에 후속하여(예를 들면, 바로 후속하여) 시작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오프셋 필드는 포함되는 파라미터의 목록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암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타입 필드는 트리거될 수도 있는 프레임의 타입을 나타낼 수도 있다. 타입 필드의 가능한 값은, PS-Poll, 데이터, 제어, 관리, 네트워크 디스커버리(예를 들면, 프로브 요청), 링크 셋업(예를 들면, 인증 요청 및/또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 및/또는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예를 들면, 모든) 타입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타입 필드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1"은 프레임의 타입이 송신되도록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지속 기간 필드는 트리거된 송신의 하나 이상의 지속 기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속 기간 필드는 트리거된 송신의 하나 이상의 지속 기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속 기간 필드는, 파라미터 목록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암시적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STA ID 필드는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STA ID 필드의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는, 매체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트리거되는 하나 이상의 STA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의 각각은, MAC 어드레스, AID, 브로드캐스트 캐스트 어드레스(예를 들면, 이들은 모든 STA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허용된다는 것을 암시할 수도 있음), 및/또는 그룹 ID/어드레스(예를 들면, 이들은 결정론적 또는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도록 허용되는 STA의 그룹을 암시할 수도 있음; 결정론적 액세스의 경우, 그룹 내의 STA의 순서는 할당되는 리소스의 순서를 암시할 수도 있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소스 필드는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리소스 필드의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는, 트리거된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나타낼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의 경우, 리소스 필드는, 어떤 RB가 리소스로서 사용되도록 허용되는지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혼합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의 경우,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의 각각은 STA ID 필드 내의 서브필드에 대응할 수도 있다. STA ID 필드의 그룹 ID/어드레스의 경우, 그룹 내의 STA의 순서는, 그 STA에 할당되는 리소스를 포함하는 서브필드의 순서를 암시할 수도 있다.
TX/RX 설정 필드는, (예를 들면, 송신 전력과 같은) 트리거된 송신에 대한 TX/RX 설정을 나타낼 수도 있다. TX/RX 설정 필드는 변조/코딩 스킴(modulation/coding scheme; MCS)을 나타낼 수도 있다. 송신 전력 설정은, "현재 프레임의 송신 전력" 또는 "AP에서의 트리거된 송신의 타겟 수신 전력"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트리거된 STA는, 트리거된 송신에 대한 적절한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송신 전력 설정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트리거 필드(Trigger Field)(1000) 설계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각각의 TX 필드는, STA ID 필드, 리소스 필드, 및/또는 TX/RX 설정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리소스 필드는 STA ID 필드에서 나타내어지는 하나 이상의 STA에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나타낼 수도 있다. TX/RX 설정 필드는, STA ID 필드에서 나타내어지는 하나 이상의 STA와 관련될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예를 들면, 혼합 또는 랜덤 액세스 포맷)의 경우, STA ID 필드는, 할당되는 리소스가 랜덤 액세스를 위해 의도된다는 표시자(indicator)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자는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 멀티캐스트 어드레스, 및/또는 특정한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결정론적 액세스(예를 들면, 혼합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 포맷)의 경우, STA ID 필드는, MAC 어드레스, AID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할당된 리소스를 사용할 수도 있는 다른 타입의 STA I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은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를 위한) 예시적인 트리거 필드(1100) 설계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트리거 필드(1100) 설계는, 오프셋 필드, 타입 필드, 지속 기간 필드, STA ID 필드, 리소스 비트맵 필드, 및/또는 TX/RX 설정 필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STA ID 필드는 하나 이상의 STA를 나타낼 수도 있다. STA ID 필드는,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 멀티캐스트 어드레스, 그룹 어드레스/ID, 또는 특정한 값과 같은 하나 이상의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STA ID 필드에서 나타내어지는 하나 이상의 STA는 매체 액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리소스 비트맵 필드는, 랜덤 액세스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예를 들면, 필드의 서브세트 및/또는 그 서브필드)는 새로 정의된 엘리먼트, 또는 (예를 들면, RPS 엘리먼트, TWT 엘리먼트, TIM 엘리먼트, 및/또는 절전 엘리먼트와 같은) 현존하는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트리거 프레임, 비콘 프레임, 짧은 비콘 프레임, 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 NDP 프레임 및/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프레임과 같은, 임의의 현존하는 또는 새로운 프레임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MAC/PHY 헤더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는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1200)과 관련되는 예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점선 화살표는 트리거된 랜덤 액세스를 나타낼 수도 있다. 실선 화살표는 트리거된 결정론적 액세스를 나타낼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1200)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AP는 비콘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비콘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트리거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브로드캐스트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일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하나 이상의 트리거된 송신을 트리거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를 위해 의도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가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링크 셋업 및/또는 데이터, PS-Poll 프레임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프레임(예를 들면, 모든 타입의 프레임)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비콘 프레임 이후에(예를 들면, 바로 후속하여)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DIFS, AIFS, SIFS, 또는 미리 결정된 값과 같은 지연을 가지고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지연은 비콘에서(예를 들면,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나타내어지는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비콘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 이후에(예를 들면, 직후에) 전송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트리거 엘리먼트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콘에서의 트리거 엘리먼트는,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 프레임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RB와 같은 하나 이상의(예를 들면, 세 개의)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프로브 응답 프레임(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서의 트리거 엘리먼트는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 프레임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STA의 그룹(예를 들면, 또는 모든 STA)은, 비콘 프레임 또는 브로드캐스트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서(예를 들면,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레임(예를 들면, 모든 타입의 프레임)에 대한 결정론적 액세스를 위해 하나의 리소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STA3 및 STA12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리소스 또는 RB1 및 RB 3을 (예를 들면, 랜덤하게) 선택하여 대응하는 인증 요청 프레임을 송신할 수도 있다. 리소스 2는 랜덤 액세스를 위해 STA에 의해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다. STA 1은 데이터 프레임을 AP에 송신하기 위해 결정론적 액세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나보다 많은 트리거 세션(예를 들면, 제2 또는 더 나중의 트리거 필드에 의해 나타내어짐)이 비콘 프레임 또는 브로드캐스트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의해 트리거되는 경우, 트리거 프레임은 제2 또는 다른 후속하는 트리거된 세션의 시작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대응하는 트리거 필드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STA는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에서 랜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전에 트리거된 세션에서 충돌 또는 실패(예를 들면, 송신된 패킷이 확인 응답되지 않음)를 경험한 STA는,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에서 랜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트리거 프레임/트리거된 세션이 현재의 트리거 프레임에 후속할 것인지의 여부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현재의 트리거된 세션이 일련의 트리거된 송신에서 마지막일 것인지의 여부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현재의 트리거된 세션이 일련의 트리거된 송신에서 마지막일 것인지의 여부의 표시는, 하나 이상의 STA가 마지막 트리거 송신 이후 매체 액세스를 위해 경쟁하도록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에서 트리거되도록 나타내어지는 하나 이상의 STA는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STA는 더 나중의 할당된 트리거된 세션에서 기상할 수도 있다.
AP는 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할 수도 있다. 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은 트리거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하나 이상의 트리거된 송신을 트리거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 둘 모두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를 위해 의도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가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링크 셋업 및/또는 데이터, PS-Poll 프레임 또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예를 들면, 모든 타입의 프레임)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 이후에(예를 들면, 바로 후속하여)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DIFS, AIFS, SIFS 또는 미리 결정된 값과 같은 지연을 가지고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지연은 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에서(예를 들면,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나타내어지는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트리거 엘리먼트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는 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 이후에(예를 들면, 직후에)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에서의 트리거 엘리먼트는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 프레임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RB와 같은 하나 이상의(예를 들면, 세 개의)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STA의 그룹(예를 들면, 모든 STA)은 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랜덤 액세스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에서의 트리거 엘리먼트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결정론적 액세스를 위한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STA 2, STA 7 및 STA 11은 랜덤 액세스를 위해 리소스 1, 리소스 3 및 리소스 4를 선택하여(예를 들면, 랜덤하게 선택하여) 연결 요청 또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 인증 요청 프레임 및/또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송신할 수도 있다. STA 6은 데이터 프레임을 AP로 송신하기 위해 결정론적 액세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하나보다 많은 트리거된 세션(예를 들면, 제2 또는 더 나중의 트리거 필드에 의해 나타내어짐)이 FILS 디스커버리 프레임에 의해 트리거되는 경우, 트리거 프레임은 제2 또는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의 시작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대응하는 트리거 필드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수행할 수 없는 STA는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에서 랜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전에 트리거된 세션에서 충돌(예를 들면, 송신된 패킷이 확인 응답되지 않음)을 경험한 STA는,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에서 랜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트리거 프레임/트리거된 세션이 현재의 트리거 프레임에 후속할 것인지의 여부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현재의 트리거된 세션이 일련의 것에서 마지막일 것이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에서 트리거될 것으로 나타내어지는 STA는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STA는 더 나중의 할당된 트리거 세션에서 기상할 수도 있다.
AP는 트리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짧은 비콘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하나 이상의 트리거된 송신을 트리거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 둘 모두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를 위해 의도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가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링크 셋업 및/또는 데이터, PS-Poll 프레임 또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예를 들면, 모든 타입의 프레임)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짧은 비콘 프레임 이후에(예를 들면, 바로 후속하여)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DIFS, AIFS, SIFS, 또는 미리 결정된 값과 같은 지연 이후에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지연은 짧은 비콘 프레임에서(예를 들면,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트리거 엘리먼트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는 짧은 비콘 프레임 이후에(예를 들면, 직후에)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짧은 비콘 프레임에서의 트리거 엘리먼트는 하나 이상의(예를 들면, 두 개의)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리소스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 프레임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RB와 같은) 리소스 1 및 리소스 4를 포함할 수도 있다. STA의 그룹(예를 들면, 모든 STA)은 짧은 비콘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랜덤 액세스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레임(예를 들면, 모든 타입의 프레임)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위해 리소스 2가 사용될 수도 있다. 리소스 3은 PS-Poll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STA 9 및 STA 22는 랜덤 액세스를 위해 리소스 1 및 리소스 4를 선택하여(예를 들면, 랜덤하게 선택하여) 연결 또는 재연결 요청 프레임 및 인증 요청 프레임을 송신할 수도 있다. STA 6은 데이터 프레임을 AP로 송신하기 위해 결정론적 액세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STA 16은 리소스 2를 선택하여(예를 들면, 랜덤하게 선택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수도 있다. STA 21은 리소스 3을 선택하여(예를 들면, 랜덤하게 선택하여) PS-Poll 프레임을 송신할 수도 있다.
하나보다 많은 트리거된 세션(예를 들면, 제2 또는 더 나중의 트리거 필드에 의해 나타내어짐)이 비콘 프레임(예를 들면, 짧은 비콘 프레임)에 의해 트리거되는 경우, 트리거 프레임은 제2 또는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의 시작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대응하는 트리거 필드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수행할 수 없는 STA는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에서 랜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전에 트리거된 세션에서 충돌(예를 들면, 송신된 패킷이 확인 응답되지 않음)을 경험한 STA. 트리거 프레임은, 트리거 프레임/트리거된 세션이 현재의 트리거 프레임에 후속할 것인지의 여부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현재의 트리거된 세션이 일련의 트리거된 세션에서 마지막일 것이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에서 트리거될 것으로 나타내어지는 STA는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STA는 더 나중의 할당된 트리거 세션에서 기상할 수도 있다.
트리거된 세션이 랜덤 액세스를 위한 것인 경우(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만을 위한 것인 경우), (예를 들면, ACK/BA, 다중 STA ACK/BA, 프로브 응답 프레임, 인증 응답 프레임, (재)연결 응답 프레임, 및/또는 사전 연결 ID 할당 프레임과 같은)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패킷에 대한 응답 프레임은 랜덤 액세스 패킷 이후에(예를 들면, 바로 후속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패킷에 대한 응답 프레임은, 랜덤 액세스 패킷이 송신된 동일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AP가 다수의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AP는 브로드캐스트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으로 응답할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AP는 브로드캐스트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으로 응답할 수도 있다). 브로드캐스트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전체 대역폭에 걸쳐,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를 위해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상에서, 및/또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상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AP는 랜덤 액세스 패킷(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STA로부터의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또는 링크 셋업 프레임)을 수신할 수도 있다. AP는 더 나중의 시점에 응답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응답은,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프레임에 대해 할당되는 리소스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리소스에 대해 할당되는 리소스는, 프레임(예를 들면, MU 프레임)의 PHY 또는 MAC 헤더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필드 및/또는 특정한 시퀀스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리소스의 예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MU 프레임의 PHY 및/또는 MAC 헤더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필드 및/또는 특정한 시퀀스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 패킷을 송신한 이후, STA는 응답 프레임에 대한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를 위해(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응답을 위해)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응답 프레임은 MU 프레임의 PHY/MAC 헤더 내의 하나 이상의 필드 또는 특정한 시퀀스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트리거 세션이 혼합된 랜덤 및 결정론적 액세스를 위한 것인 경우, STA(예를 들면, AP)는 랜덤 액세스를 위해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고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위해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하나 이상의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응답 프레임은, 랜덤 액세스 송신에 후속하여 (예를 들면, 몇몇 IFS 직후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응답 프레임은, 랜덤 액세스 패킷이 전송된 동일한 리소스 상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다중 STA BA/ACK는, 하나 이상의 이전 송신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해 할당되는 리소스 상에서 랜덤 액세스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예를 들면, 모든)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으로서 전송될 수도 있다. 결정론적 액세스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패킷에 대한 응답 프레임은 결정론적 액세스를 위해 할당되는 동일한 리소스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중 STA ACK/BA는 하나 이상의 이전 송신에서 결정론적 액세스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패킷에 대한 응답 프레임으로서 송신될 수도 있다.
MU 송신과 관련되는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이 제공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은, 비결합 STA와 AP 사이의 하나보다 많은 프레임 교환을 활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 여러 개의 프레임 교환 중에서, 비결합 STA는 연결 ID(AID)를 할당받을 수도 있다. AID를 할당받기 이전에, 비결합 STA는 이 기본 서비스 세트(BSS) 내에서 AP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는 아이덴티티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단일의 유저 송신에서, AP는 제1 프레임 교환 이후에 비결합 STA의 MAC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MAC 어드레스가 48 비트이기 때문에) 비결합 STA를 MAC 어드레스에 의해 식별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도 있다. 다중 유저 송신에서, 비결합 STA를 MAC 어드레스에 의해 식별하는 것이 더욱 비효율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P는, 리소스 할당을 비결합 STA로 시그널링하기 위해 PLCP 헤더 내의 제한된 시그널링 비트를 사용할 것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사전 연결 ID(PID)가 제공될 수도 있다. AP는 비결합 STA를 식별하기 위해 PID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더욱 효율적일 수도 있다. AP는, 예를 들면, 비결합 STA가 AP와 관련되기 이전에, PID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프레임 교환에서 비결합 STA를 식별할 수도 있다.
PID는 AP에 의해 (예를 들면, AP로부터 STA로의 시그널링을 통해 명시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PID는 미리 정의된 규칙 및/또는 공식에 기초하여 AP 및/또는 비결합 STA에 의해 (예를 들면, 개별적으로) 계산될 수도 있다. PID는, 예를 들면, AP와 비결합 STA 사이의 제1 프레임 교환 이후에 결정될 수도 있다.
비결합 STA를 어떤 시간 기간 내에(예를 들면, 비결합 STA가 AP와 관련되기 이전에) 식별하기 위해, PID는, AP의 MAC 어드레스 또는 BSSID와 함께, (예를 들면, 유일하게 또는 거의 유일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AID가 비결합 STA에 할당되기 이전에 비결합 STA를 식별하기 위해, PID는, 예를 들면, AP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PID는, 통상의 및/또는 영구적인 AID가 비결합 STA에 할당되기 이전에, 유효할 수도 있다. 비결합 STA가 AP와 관련되지 못하는 경우, AP는, 비결합 STA에게, PID가 더 이상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시그널링할 수도 있고, PID를 다른 비결합 STA에게 할당할 수도 있고, 및/또는 PID의 수명을 명시적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AP는 미리 정의된 PID 수명을 비결합 STA로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미리 정의된 PID 수명은, 대응하는 PID가 유효한 시간의 기간을 정의할 수도 있다.
AP 및 비결합 STA는 미리 정의된 규칙/공식을 따르는 것에 의해 PID를 개별적으로 계산할 수도 있다. AP 및 비결합 STA는, 예를 들면,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AP 및 비결합 STA 둘 모두에게 알려진 정보를 사용하여 PID를 계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P는 비결합 STA의 MAC 어드레스를 알 수도 있고 비결합 STA는 AP의 MAC 어드레스를 알 수도 있다. PID는 BSSID(예를 들면, AP의 MAC 어드레스) 및 비결합 STA의 MAC 어드레스의 함수일 수도 있다. PID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PID = function(BSSID, 비결합 STA MAC 어드레스)
PID는 BSSID 및/또는 STA MAC 어드레스보다 더 적은 비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PID는 보편적으로 고유하지 않을 수도 있다.
PID가 계산되는 경우, (예를 들면, 타임스탬프, TSF 타이머, 또는 트리거에서의 TSF 타이머의 압축된 버전과 같은) 제1 프레임 교환의 시간 관련 파라미터가 고려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 교환 및/또는 다른 DL 프레임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프레임은 시간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PID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PID = function(BSSID, 비결합 STA MAC 어드레스, 시간 관련 파라미터)
이 함수는, 미리 정의되는 및/또는 AP 및 비결합 STA 둘 모두에게 알려지는 해시 함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AP 및 비결합 STA는 미리 정의된 규칙 및/또는 공식을 따르는 것에 의해 PID를 개별적으로(예를 들면, 독립적으로) 계산할 수도 있다. AP 및 비결합 STA는 AP 및 비결합 STA 둘 모두에게 알려진 정보를 사용하여 PID를 계산할 수도 있다. 계산은 트리거 기반 연결(Trigger based association)과 관련될 수도 있다. 비결합 STA로부터의 제1 UL 송신은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다. 비결합 STA로부터의 제1 UL 송신은, 예를 들면, 비콘 프레임과 같은 다른 타입의 프레임에서 트리거 엘리먼트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다. 트리거 토큰 필드가 트리거 프레임 또는 트리거 엘리먼트에 포함될 수도 있다.
트리거 토큰 필드는, 주어진 시간 기간 내에 트리거 프레임 또는 트리거 엘리먼트를 식별(예를 들면,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정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토큰 필드는 [0,2^k-1]의 범위 내의 K 비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AP는 각각의 트리거 프레임/엘리먼트 송신에 대해 트리거 토큰 번호를 1만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최대 트리거 토큰 번호가 도달되는 경우, AP는 트리거 토큰을 재시작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0부터 카운트함).
비결합 STA가 UL 프레임을 AP로 성공적으로 전송하는 경우, AP 및/또는 비결합 STA는, 송신을 트리거한 트리거 프레임/엘리먼트의 트리거 토큰 번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AP 및/또는 비결합 STA는 송신을 위해 활용되는 RU 인덱스를 알 수도 있다. 하나보다 많은 RU가 활용된 경우, AP 및/또는 비결합 STA는 (예를 들면, 단지 하나의) RU 인덱스를 기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비결합 STA는 UL 송신을 위해 RU2 및 RU7을 활용할 수도 있다. 비결합 STA 및/또는 AP는 RU 인덱스를 RU2로서 기록할 수도 있다. PID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PID = function(트리거 토큰, RU 인덱스)
AP는 하나 이상의 비결합 STA에게 PID를 할당할 수도 있다.
PID는 AID의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PID는 AID와 관련되는 특정한 시퀀스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ID 내의 숫자의 제1 시퀀스는 ID가 단지 PID이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PID는 트리거 프레임 및/또는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할당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 및/또는 트리거 엘리먼트가 랜덤 액세스 송신을 개시하는 경우, AP는, 하나 이상의 RU 상에서 성공적으로 송신한 비결합 STA가 특정한 PID를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PID는 DL 확인 응답에서 UL 송신에 할당될 수도 있다. DL 확인 응답은 다중 STA BA 및 단일의 ACK/BA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결정론적 송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확인 응답은 다중 STA BA의 포맷일 수도 있다. 다중 STA BA에서, AID는 STA를 나타내기 위해 활용될 수도 있다. 랜덤 송신의 경우, OFDMA를 사용하여 단일의 ACK 및/또는 BA가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CK/BA는, 이전의 랜덤 액세스를 위해 STA에 의해 사용되는 RU에 대한 미리 정의된 매핑에 따라 결정되는 RU 상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개개의 ACK/BA가 OFDMA 모드에서 전송되는 경우, PID 필드를 포함하도록 하나 이상의 ACK/BA 프레임이 수정될 수도 있다.
AP는, 예를 들면, PID가 할당될 때, 미리 정의된 PID 수명을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고정된 미리 정의된 PID 수명은, 예를 들면, 표준에 정의된 대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3은 MU 송신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디스커버리 및 링크 셋업(1300)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다음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AP(1302)는 트리거 프레임 및/또는 트리거 엘리먼트(1308)를 송신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 및/또는 트리거 엘리먼트(1308)는 랜덤 액세스를 개시할 수도 있다. AP(1302)는 PID를 (예를 들면, PID 계산 및/또는 할당에 따라) 트리거 프레임 및/또는 트리거 엘리먼트(1308)에서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1308)는 비콘 프레임(13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비 AP STA(1304) 및/또는 하나 이상의 의도되지 않은 STA(1306)는 트리거 프레임 및/또는 트리거 엘리먼트(1308)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비 AP STA(1304)는 비결합 STA(예를 들면, STA 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결합 STA는, 예를 들면, 트리거 엘리먼트(1308)에 의해 랜덤 액세스를 위해 할당된 RU에서 제1 프레임(예를 들면, 프레임 A(1312))을 송신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1312)은 연결 이전의 임의의 프레임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프레임(1312)은 인증 요청 프레임일 수도 있다.
PID는 AP(1302) 및/또는 비결합 STA(들)에서 계산될 수도 있다. AP(1302)는 트리거 프레임 및/또는 트리거 엘리먼트(1308)를 사용하여 PID를 할당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비결합 STA에게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PID는 트리거 엘리먼트(1308)에 포함될 수도 있다. AP(1302)는 DL 확인 응답 프레임을 사용하여 PID를 할당할 수도 있다.
AP(1302)는 확인 응답(ACK)을 이전의 UL 송신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P(1302)는, 비결합 STA로부터의 제1 프레임(1312)의 수신에 응답하여 ACK를 전송할 수도 있다. ACK는 (예를 들면, AP(1302) 및 비결합 STA 둘 모두가 PID를 알고 있는 경우) 다중 STA BA(1314)일 수도 있다. 다중 STA BA(1314)는 비결합 STA에 대한 PID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비결합 STA에 대해 어떠한 AID도 할당되지 않은 경우) PID는 AID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TXOP(1326)는 제1 TXOP(1316)에 후속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바로 후속할 수도 있다). AP(1302)는 신호 프레임(1318)을 전송할 수도 있다. AP(1302)는 MU 송신을 사용하여 제2 프레임(1320)(예를 들면, 프레임 B)을 비결합 STA로 송신할 수도 있다. 신호 프레임(1318) 및/또는 제2 프레임(1320)은 제2 TXOP(1326)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1320)은 연결 이전의 임의의 프레임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 프레임(1320)은 인증 응답 프레임일 수도 있다. AP(1302)는 HE SIG-A, HE SIG-B 및/또는 HE SIG-A/SIG-B를 비롯한 HE-SIG 필드에서 리소스 할당을 포함할 수도 있다. HE SIG 필드는 제2 프레임(1320)의 PLCP 헤더에서 반송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1320)은, 예를 들면, (예를 들면, 리소스 할당 목적을 위해) SIG 필드의 공통 부분 및/또는 유저 특정 부분에서 PID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1322)은 제2 프레임(1320)에 후속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1322)은 비결합 STA로부터 업링크 확인 응답(1324)을 트리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비결합 STA는 트리거 프레임(1322)을 수신할 수도 있다. 비결합 STA는 트리거 프레임(1322)에 응답하여 UL ACK(1324)를 전송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1322)은 비결합 STA를 나타내기 위한 PI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결합 STA는, 예를 들면, 제2 TXOP에서의 제2 프레임(1320)을 수신한 후의 xIFS 시간에 UL ACK(1324)를 AP(13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3 TXOP(1336)는 제2 TXOP(1326)에 후속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바로 후속할 수도 있다). AP(1302)는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트리거하기 위해 트리거 프레임(1328)을 송신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1328)은 제3 TXOP(1336)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AP(1302)가 비결합 STA로부터 결정론적 액세스를 트리거하는 경우, PID가 트리거 프레임(1328)에 포함될 수도 있다.
비결합 STA는 트리거 프레임(1328)에 응답하여 연결 요청 프레임(1330)을 AP(13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비결합 STA는 트리거 프레임(1328)을 수신한 후의 xIFS 시간에 연결 요청 프레임(1330)을 전송할 수도 있다. 비결합 STA는 하나 이상의 RU를 사용하여 연결 요청 프레임(1330)을 AP(13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AP(1302)는 연결 응답 프레임(1332)을 비결합 STA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연결 응답 프레임(1332)은 PID를 포함하는 ACK를 포함할 수도 있다. AP(1302)는, 연결 요청 프레임(1330)을 수신한 후의 xIFS 시간에 연결 응답 프레임(1332)을 전송할 수도 있다. AP(1302)는 연결 응답 프레임(1332)을 제3 TXOP(1336)에서 또는 다음 TXOP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AP(1302)는 비결합 STA에게 AID를 할당할 수도 있다. AID는 나중에 비결합 STA를 식별하기 위해 활용될 수도 있고 PID는 AID의 할당시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연결 응답 프레임은 AID를 포함할 수도 있다. AP(1302)는 비결합 STA에 대한 AID로서 PID를 사용할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1 TXOP(1316)는 (예를 들면, 비결합 STA로부터) UL 정보를 반송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프레임 교환으로서 해석될 수도 있다. 제2 TXOP(1326)는 (예를 들면, AP(1302)로부터) DL 정보를 반송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프레임 교환으로서 해석될 수도 있다.
Wi-Fi 시스템에서, AP는 절전 모드에 있는 하나 이상의 STA에 대한 패킷을 버퍼링할 수도 있다. AP는 비콘 및/또는 짧은 비콘에서 하나 이상의 STA에 대한 버퍼링된 패킷을 알릴 수도 있다. STA는, 자신이 깨어 있고 DL 패킷을 검색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PS-Poll 및/또는 다른 프레임을 AP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OFDMA 및 UL MU-MIMO가 802.11에 통합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효율적인 MU DL 데이터 검색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4는 PID(1400)를 갖는 다중 STA BA에 대한 예시적인 프레임 포맷을 묘사하는 도면이다. STA에 대한 확인 응답은 개개의 ACK/BA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STA 이외의) UL 송신의 나머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확인 응답은 다중 STA BA 및/또는 개개의 ACK/BA의 포맷일 수도 있다.
도 15는 트리거된 PS-Poll 및/또는 DL 패킷 검색(1500)에 대한 예시적인 프로시져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AP는 TIM 엘리먼트 및/또는 트리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 또는 짧은 비콘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다. TIM 엘리먼트는 하나 이상의 STA가 AP에서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패킷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하나 이상의 트리거된 송신을 트리거할 수도 있다. TIM 엘리먼트 및 트리거 엘리먼트는, 하나 이상의 STA에 대한 하나 이상의 버퍼링된 패킷뿐만 아니라 STA가 DL 패킷을 검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트리거된 세션을 나타내기 위해 결합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를 위해 의도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가 데이터, PS-Poll 프레임, 및/또는 다른 타입의 프레임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비콘 프레임 또는 짧은 비콘 프레임 이후에(예를 들면, 바로 후속하여)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트리거 엘리먼트는 DIFS, AIFS, SIFS, 또는 미리 결정된 값과 같은 지연 이후에 랜덤 액세스 및/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지연은 비콘 프레임 또는 짧은 비콘 프레임에서(예를 들면,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나타내어지는 값일 수도 있다. STA가 DL 데이터 검색을 수행하도록 할당되는 정확한 리소스는 TIM 엘리먼트에서의 표시(indication)(예를 들면, 포지티브 표시(positive indication))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TIM/트리거 엘리먼트 또는 이들의 조합은 할당된 리소스의 사이즈를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비콘 프레임 또는 짧은 비콘 프레임 이후에(예를 들면, 직후에) 전송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트리거 엘리먼트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짧은 비콘 프레임에서의 트리거 엘리먼트는 하나 이상의(예를 들면, 두 개의)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리소스는 리소스 1, 리소스 2 및 리소스 3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리소스는 DL 데이터 검색, 또는 PS-Poll, 및/또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랜덤 액세스를 위한 RB일 수도 있다. STA 그룹(예를 들면, 모든 STA)은 비콘 프레임 또는 짧은 비콘 프레임에서(예를 들면,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리소스를 사용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STA의 그룹은, STA 1이 DL 데이터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결정론적 액세스를 위한 리소스(예를 들면, 리소스 4)를 사용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리소스 4의 위치는 STA 1에 대한 TIM 엘리먼트 내의 위치 표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STA 3은 랜덤 액세스를 위해 리소스 1을 선택하여(예를 들면, 랜덤하게 선택하여) PS-Poll을 AP로 송신할 수도 있다. STA 12는 UL 데이터 패킷을 포함할 수도 있다. STA 12는 랜덤 액세스를 위해 리소스 3을 선택하여(예를 들면, 랜덤하게 선택하여) 리소스 3 상에서 데이터 패킷을 AP로 전송할 수도 있다. 리소스 3은 또한 PS-Poll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리소스 2는 랜덤 액세스에서 STA에 의해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다. STA 1은 결정론적 액세스를 사용하여 PS-Poll을 AP로 송신할 수도 있다.
하나보다 많은 트리거된 세션(예를 들면, 제2 또는 더 나중의 트리거 필드에 의해 나타내어짐)이 짧은 비콘 프레임에 의해 트리거되는 경우, 제2 또는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의 시작에서 트리거 프레임 및/또는 다른 비콘 프레임 또는 짧은 비콘 프레임이 전송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 및/또는 다른 비콘 프레임 또는 짧은 비콘 프레임은 대응하는 트리거 필드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수행할 수 없는 STA는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에서 랜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전에 트리거된 세션에서 충돌(예를 들면, 송신된 패킷이 확인 응답되지 않음)을 경험한 STA는,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에서 랜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 비콘 프레임, 또는 짧은 비콘 프레임은, 더 많은 트리거 프레임/트리거 세션이 현재 트리거 프레임을 후속할 것인지의 여부의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거 프레임, 비콘 프레임, 또는 짧은 비콘 프레임은, 현재의 트리거된 세션이 일련의 것에서 마지막일 것이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 나중의 트리거된 세션에서 트리거되도록 나타내어지는 하나 이상의 STA는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STA는 더 나중의 할당된 트리거된 세션에서 기상할 수도 있다.
비록 본원에서 피쳐가 설명되지만, 각각의 피쳐 또는 엘리먼트는 다른 피쳐 없이 사용될 수도 있거나 또는 다른 피쳐의 유무에 무관하게 다양한 조합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비록 예에서 다양한 프레임간 간격을 나타내기 위해 SIFS가 사용되지만, RIFS, AIFS, DIFS 또는 다른 합의된 시간 인터벌과 같은 다른 프레임간 간격이 동일한 솔루션에서 적용될 수 있다.
비록 트리거된 TXOP마다 소정의 수의 RB가 예로서 나타내어질 수도 있지만, 활용되는 RB/채널/대역폭의 실제 수는 변할 수도 있다.
WTRU는 물리적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를, 또는 가입 관련 아이덴티티와 같은 유저의 아이덴티티, 예를 들면, MSISDN, SIP URI, 등등을 참조할 수도 있다. WTRU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아이덴티티,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별로 사용될 수도 있는 유저명을 참조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는, 컴퓨터 및/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통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예는,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송신되는) 전자 신호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내장 하드 디스크 및 착탈식 디스크와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자기 매체, 광자기 매체, 및/또는 CD-ROM 디스크 및/또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 DVD)와 같은 광학 매체를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WTRU, 단말, 기지국, RNC, 및/또는 임의의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트랜스시버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28)

  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의 사전 연결(pre-association)의 방법으로서,
    리소스를 할당하는 트리거 엘리먼트를 전송하는 단계;
    비결합(unassociated) 스테이션(station; STA)으로부터, 상기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단위(resource unit; RU)를 통해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결합 STA를 식별하는 사전 연결 식별자(pre-association identifier; PID)를 결정하는 단계;
    다중 유저(multi-user; MU) 송신과 관련되는 제2 프레임 -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PID를 포함함 - 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PID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 -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비결합 STA가 상기 AP와 관련되기 이전에 전송됨 - 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사전 연결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합 STA로부터, 상기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여 연결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 프레임에 응답하여, 연결 식별자(association identifier; AID)를 나타내는 연결 응답 프레임(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사전 연결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ID를 상기 비결합 STA에 대한 상기 AID로서 사용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사전 연결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다운링크 MU 물리 계층 수렴 프로토콜(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PLCP)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PPDU)의 프리앰블 내의 신호(signal; SIG) 필드에 상기 PID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사전 연결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는, 연결을 위해 필요로 되는 상기 AP를 통한 하나 이상의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사전 연결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PID를 나타내는 다중 STA 확인 응답(acknowledgment; ACK)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사전 연결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1 송신 기회(transmission opportunity; TXOP)에서 상기 트리거 엘리먼트가 전송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이 수신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제2 TXOP에서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사전 연결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deterministic access) 중 하나 이상을 위해 상기 리소스를 할당하는,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사전 연결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인증 요청 프레임(authentication request frame)이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인증 응답 프레임(authentication response frame)인,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사전 연결의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엘리먼트는 상기 비결합 STA에게 상기 PID를 나타내는,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사전 연결의 방법.
  11.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메모리;
    트랜스시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AP는:
    상기 AP를 통한 송신을 위해 리소스를 할당하는 트리거 엘리먼트를 전송하도록,
    비결합 스테이션(STA)으로부터, 상기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단위(RU)를 통해 제1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상기 비결합 STA를 식별하는 사전 연결 식별자(PID)를 결정하도록,
    다중 유저(MU) 송신과 관련되는 제2 프레임 -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PID를 포함함 - 을 전송하도록, 그리고
    상기 PID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 - 상기 트리거 프레임은 상기 비결합 STA가 상기 AP와 관련되기 이전에 전송됨 - 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포인트(AP).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합 STA로부터, 상기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여 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연결 요청 프레임에 응답하여, 연결 식별자(AID)를 나타내는 연결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액세스 포인트(AP).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PID를 상기 비결합 STA에 대한 상기 AID로서 사용할 것을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액세스 포인트(AP).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다운링크 MU 물리 계층 수렴 프로토콜(PLCP)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PDU)의 프리앰블 내의 신호(SIG) 필드에 상기 PID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는, 연결을 위해 필요로 되는 상기 AP를 통한 하나 이상의 송신을 위해 할당되는, 액세스 포인트(AP).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PID를 나타내는 다중 STA 확인 응답(ACK)을 전송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액세스 포인트(AP).
  17. 제11항에 있어서,
    제1 송신 기회(TXOP)에서 상기 트리거 엘리먼트가 전송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이 수신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제2 TXOP에서 전송되는, 액세스 포인트(AP).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 중 하나 이상을 위해 상기 리소스를 할당하는, 액세스 포인트(AP).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인증 요청 프레임이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인증 응답 프레임인, 액세스 포인트(AP).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엘리먼트는 상기 비결합 STA에게 상기 PID를 나타내는, 액세스 포인트(AP).
  21. 비결합 스테이션(STA)으로서,
    메모리;
    트랜스시버;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비결합 STA는: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한 송신을 위해 리소스를 할당하는 트리거 엘리먼트를 수신하도록;
    상기 트리거 엘리먼트에서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단위(RU)를 사용하여 제1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응답하여 확인 응답(ACK)을 수신하도록;
    상기 비결합 STA를 식별하는 사전 연결 식별자(PID)를 상기 AP로부터 수신하도록;
    다중 유저(MU) 송신과 관련되는 제2 프레임 -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PID를 포함함 - 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PID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비결합 스테이션(STA).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하여 연결 요청 프레임을 상기 AP로 전송하도록; 그리고
    연결 식별자(AID)를 나타내는 연결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비결합 스테이션(STA).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PID는 상기 AID로서 사용되는, 비결합 스테이션(STA).
  24. 제21항에 있어서,
    제1 송신 기회(TXOP)에서 상기 트리거 엘리먼트가 수신되고, 상기 ACK가 수신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이 전송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제2 TXOP에서 수신되는, 비결합 스테이션(STA).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엘리먼트는 랜덤 액세스 또는 결정론적 액세스 중 하나 이상을 위해 상기 리소스를 할당하는, 비결합 스테이션(STA).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인증 요청 프레임이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인증 응답 프레임인, 비결합 스테이션(STA).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다운링크 MU 물리 계층 수렴 프로토콜(PLCP)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PDU)의 프리앰블 내의 신호(SIG) 필드에 상기 PID를 포함하는, 비결합 스테이션(STA).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CK는 상기 PID를 나타내는, 비결합 스테이션(STA).
KR1020187012672A 2015-10-23 2016-10-21 고효율 wlan에 대한 동시적 링크 셋업 및 다운링크 데이터 검색을 위한 방법 KR102480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5621P 2015-10-23 2015-10-23
US62/245,621 2015-10-23
PCT/US2016/058146 WO2017070487A1 (en) 2015-10-23 2016-10-21 Methods for concurrent link setup and downlink data retrieval for high efficiency wl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414A true KR20180086414A (ko) 2018-07-31
KR102480190B1 KR102480190B1 (ko) 2022-12-21

Family

ID=5721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672A KR102480190B1 (ko) 2015-10-23 2016-10-21 고효율 wlan에 대한 동시적 링크 셋업 및 다운링크 데이터 검색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1160112B2 (ko)
EP (1) EP3366065A1 (ko)
JP (2) JP2018534862A (ko)
KR (1) KR102480190B1 (ko)
CN (2) CN109417755A (ko)
BR (1) BR112018008007A2 (ko)
RU (1) RU2736422C2 (ko)
WO (1) WO201707048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45A1 (ko) * 2018-09-17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무선 통신 링크를 제어하는 기법
WO2021112616A1 (ko) * 2019-12-05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유닛을 할당하기 위한 기법
WO2022025739A1 (ko) * 2020-07-31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2039482A1 (ko) * 2020-08-19 2022-0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원 절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9093B2 (en) * 2016-01-08 2019-09-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abling channel state feedback for multi-user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998582B (zh) * 2016-01-22 2020-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协商目标唤醒时间的方法、接入点和站点
CN115118390A (zh) * 2016-07-22 2022-09-2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发送装置、发送方法和接收装置
WO2018066955A1 (ko) * 2016-10-04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33252B2 (en) * 2016-10-24 2019-10-01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ing target wake-up time (TWT) operation
US10798743B2 (en) * 2017-04-21 2020-10-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resource unit utilization
JP6920872B2 (ja) * 2017-04-24 2021-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014538A1 (en) * 2017-07-07 2019-01-10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twt indication in broadcast probe response and fils discovery frames to aid unassociated stas
CN114245463A (zh) * 2017-08-17 2022-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US11540314B2 (en) 2017-09-28 2022-12-27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to coordinate simultaneous downlink wireless transmissions
CN111684786B (zh) 2018-01-30 2022-10-18 索尼公司 成像装置、图像传感器单元、相机单元和控制方法
US20190253967A1 (en) * 2018-02-14 2019-08-15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target wake time scheduling using congestion metrics
EP3761745B1 (en) * 2018-03-27 2024-02-21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20012980A1 (ja) * 2018-07-11 2020-01-1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管理装置、通信装置、通信管理方法、及び通信方法
US11290955B2 (en) * 2018-09-28 2022-03-29 Apple Inc. Low latency wireless protocol
US10728849B2 (en) * 2018-11-01 2020-07-28 Cisco Technology, Inc. Traffic indicator map for networks with multiple access points
EP3878240A1 (en) * 2018-11-08 2021-09-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joint multi-ap transmission in wlans
US10855428B2 (en) * 2018-11-29 2020-12-01 Cisco Technology, Inc. Reducing channel sounding overhead using uplink OFDMA transmissions
US11451966B2 (en) 2019-03-04 2022-09-20 Apple Inc. Wireless access protocol with collaborative spectrum monitoring
CN111726203B (zh) 2019-03-19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回复确认帧的方法及装置、数据传输系统
CN111294865B (zh) * 2019-04-22 2022-02-0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GB2585231B (en) * 2019-07-04 2022-09-07 Canon Kk Temporary aids for unassociated stations in communication networks
US11445431B2 (en) * 2019-07-12 2022-09-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link communication
CN112491497A (zh) * 2019-09-12 2021-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发送和接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8019153A (zh) * 2019-11-11 2024-05-10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多链路信道存取方法
JP7225177B2 (ja) * 2020-09-29 2023-02-20 任天堂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通信装置、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US20220353812A1 (en) * 2021-04-19 2022-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hroughput-based optimization for target wake time interval adjustment
CN113709910A (zh) * 2021-08-26 2021-11-26 太仓市同维电子有限公司 一种wlan设备提高空口数据容量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676B1 (ko) * 2006-12-22 2011-04-1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유저 단말기
US20140185501A1 (en) * 2012-12-29 2014-07-03 Minyoung Park Methods and arrangements to coordinate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20140211678A1 (en) * 2013-01-31 2014-07-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low power wake up signal and operations for wla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8021B2 (en) * 2008-05-02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ACK/NACK resource allocation
WO2012026932A1 (en) * 2010-08-25 2012-03-01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the-air configuration of a wireless device
EP2727261A4 (en) 2011-06-28 2015-02-18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METHOD FOR ASSIGNING A CLIENT TO AN ACCESS POINT IN A WLAN
WO2013055117A2 (ko) * 2011-10-14 201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TWI620449B (zh) 2012-01-11 2018-04-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加速鏈結設置方法及裝置
EP2823627A2 (en) * 2012-03-05 2015-01-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e-association discovery in communication networks
KR101606808B1 (ko) 2012-04-24 201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부분 연관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232725B1 (en) * 2012-04-28 2019-06-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hannel in wlan system
EP2854443B1 (en) * 2012-05-21 2019-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8811041B (zh) * 2012-07-03 2021-05-2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在无线站中使用的用于快速初始链路建立的方法及无线站
US9319902B2 (en) * 2012-08-09 2016-04-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by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94382B1 (ko) 2012-09-26 2016-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서브채널 선택적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179455B2 (en) 2012-10-05 2015-11-03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frequency selective transmission
CN110099460B (zh) 2012-11-09 2023-06-2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协调正交信道接入(coca)的方法和装置
GB2508608B (en) * 2012-12-04 2015-06-10 Broadcom Corp Data delivery
US20140169247A1 (en) * 2012-12-12 2014-06-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mmunication on a wireless network
KR20150105339A (ko) * 2012-12-12 2015-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어소시에이션 식별자에 관련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648559B2 (en) * 2013-03-08 2017-05-0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fferentiated fast initial link setup
US10034307B2 (en) * 2013-03-15 2018-07-24 Alcatel Lucent Spatially grouped random access in a wireless network
US9622262B2 (en) 2013-05-03 2017-04-1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opportunity (TXOP) based channel reuse
CN103313367B (zh) * 2013-07-08 2016-08-31 东南大学 一种适用于无线局域网的上行多用户方法
WO2016028117A1 (ko) * 2014-08-21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트리거하는 방법 및 장치
US9699807B2 (en) * 2014-11-19 2017-07-04 Intel IP Corporation High-efficiency Wi-Fi (HEW) station and access point (AP)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contention
US9713087B2 (en) * 2015-01-28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ed target wake time operation
US9730148B2 (en) * 2015-03-04 2017-08-08 Nokia Technologies Oy Procedure for selecting network discovery method
CN107637005B (zh) * 2015-05-15 2021-06-04 韦勒斯标准与技术协会公司 用于多用户上行链路传输的无线通信终端和无线通信方法
CN104853385A (zh) * 2015-05-25 2015-08-19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ofdma技术的wifi系统中高效传输信息的动态机制
US20180324685A1 (en) * 2017-05-05 2018-11-08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ng upcoming random access trigger frame via fast initial link setup discovery fr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676B1 (ko) * 2006-12-22 2011-04-1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유저 단말기
US20140185501A1 (en) * 2012-12-29 2014-07-03 Minyoung Park Methods and arrangements to coordinate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20140211678A1 (en) * 2013-01-31 2014-07-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low power wake up signal and operations for wlan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mentor.ieee.org/802.11/dcn/15/11-15-0132-09-00ax-spec-framework.docx *
https://mentor.ieee.org/802.11/dcn/15/11-15-0735-05-00ax-tgax-july-2015-meeting-agenda.ppt *
https://mentor.ieee.org/802.11/dcn/15/11-15-0875-01-00ax-random-access-with-trigger-frames-using-ofdma.pptx *
https://mentor.ieee.org/802.11/dcn/15/11-15-0880-00-00ax-scheduled-trigger-frames.pptx>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145A1 (ko) * 2018-09-17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무선 통신 링크를 제어하는 기법
US11838951B2 (en) 2018-09-17 2023-12-05 Lg Electronics Inc. Technique for controlling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links
WO2021112616A1 (ko) * 2019-12-05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유닛을 할당하기 위한 기법
WO2022025739A1 (ko) * 2020-07-31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2039482A1 (ko) * 2020-08-19 2022-0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원 절약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8117299A3 (ko) 2020-04-02
US20230300898A1 (en) 2023-09-21
KR102480190B1 (ko) 2022-12-21
CN113260082B (zh) 2024-03-22
RU2736422C2 (ru) 2020-11-17
WO2017070487A1 (en) 2017-04-27
EP3366065A1 (en) 2018-08-29
JP7130807B2 (ja) 2022-09-05
US20180302930A1 (en) 2018-10-18
RU2018117299A (ru) 2019-11-11
JP2021106417A (ja) 2021-07-26
US11160112B2 (en) 2021-10-26
CN109417755A (zh) 2019-03-01
US20220046719A1 (en) 2022-02-10
BR112018008007A2 (pt) 2018-10-30
CN113260082A (zh) 2021-08-13
JP2018534862A (ja) 2018-11-22
US11678382B2 (en)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0807B2 (ja) 高効率wlan用の同時リンクセットアップおよびダウンリンクデータ取得のための方法
JP7379288B2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制御および動作
JP6853297B2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wlan)についてのマルチユーザ同時ランダムアクセス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7117988B2 (ja) Wifiチャネル選択およびサブチャネル選択性送信
CN110832912B (zh) 与唤醒无线电设备相关联的闭环传输
CN111901887A (zh) 探测和信道选择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