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384A - 3차원 바코드 - Google Patents

3차원 바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384A
KR20180086384A KR1020170010093A KR20170010093A KR20180086384A KR 20180086384 A KR20180086384 A KR 20180086384A KR 1020170010093 A KR1020170010093 A KR 1020170010093A KR 20170010093 A KR20170010093 A KR 20170010093A KR 20180086384 A KR20180086384 A KR 20180086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mensional
bar code
barcode
hol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주
Original Assignee
지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영주 filed Critical 지영주
Priority to KR1020170010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384A/ko
Publication of KR20180086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06K19/1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the marking being a hologram or diffraction gr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07/00Other aspects
    • G06K2207/1015Hologr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별부과 기준점을 바탕으로 "홀로그램(hologram)" 기술을 활용하여 1차원이나 2차원 바코드보다 정보량을 크게 향상시킨 3차원 바코드의 표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식별부의 크기"와 정보를 저장하는 "화소"에 의존하여 무한대의 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1차 및 2차원 바코드 시스템이 처리하지 못하는 정보량을 충분히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바코드{3-dimentional barcode}
본 발명은 3차원 바코드의 표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별부과 기준점을 바탕으로 홀로그램 기술을 활용하여 1차원이나 2차원 바코드보다 정보량을 크게 향상시킨 3차원 바코드의 표준 기술에 관한 것이다.
1차원 바코드는 바(bar)모양으로 흔히 유통부문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1차원 바코드 기호의 정보량 부족으로 인하여 보다 많은 정보량이 저장되는 2차원 바코드가 활성화되고 있다. 2차원 바코드는 종류가 다양하지만, 기술 표준원에서는 4가지를 표준으로 정하고 있다.
현재 2차원 바코드의 심볼로지는 미국의 심볼 테크놀로지스(코드명 PDF-417), 인터내셔널 데이타매트릭스(코드명 data matrix), UPS의 내용(코드명 maxi code) 및 일본 덴소(코드명 QR code)가 개발한 코드들이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홀로그램 금속판 및 홀로그램 금속스티커의 제조방법"은 국내에서 특허 10-0543177로 등록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국내외서 여러 방법으로 홀로그램을 구현하여 위조 방지에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식별부(1, square code)와 기준점(2, standard point)을 나타내는 도식이며, 도 2는 1차 바코드 스캐너, 2차 바코드 스캐너, 3차 바코드 스캐너에 관한 도식이다.
도 2를 참고하면, 1차 바코드는 선형, 2차 바코드는 사각형의 2차원 도형으로 구성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홀로그램이 갖는 빛의 특수성을 활용하여 3차원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오늘날 1차원 바코드 시스템은 물류 시스템과 POS(Point of Sales, 판매시점)시스템, ID 카드(IDentification card) 인증 시스템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2차원 바코드 시스템은 문서 및 동영상과 같은 좀더 큰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개인용 모바일 기기가 전세계적으로 30억대 이상 보급됨으로써 정보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서, 더욱 풍부한 정보를 표현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hologram)"을 정보 저장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알루미늄 스티커에 저장된 정보와 이것을 각각 x축, y축, z축에서 "CCD 화상 카메라의 영상신호"로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이런 영상신호는 1차원이나 2차원 바코드보다 처리할 수 있는 정보량이 매우 커서 부족한 처리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개인용 모바일 기기가 폭발적으로 정보를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1차원 및 2차원 바코드 시스템은 정보량을 처리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식별부의 크기"와 정보를 저장하는 "화소"에 의존하여 무한대의 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1차 및 2차원 바코드 시스템이 처리하지 못하는 정보량을 충분히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식별부(1, square code)과 기준점(2, standard point)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에 사용되었던 1차원 바코드와 2차원 바코드의 스캐너에 관한 도면으로, 3차원 스캐너의 차이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홀로그램을 스캐닝하기 위하여 x축, y축, z축에서 화상카메라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4은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판독되는 식별부의 정보를 x축, y축, z축의 3차원으로 표현한 도식이다.
1차원 바코드 시스템은 검정색과 흰색 선의 빛의 반사, 흡수 성질을 이용하여 바코드를 해독하고 정보를 전송하는 바코드 스캐너와, 이와 연결된 바코드 데이타 처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2차원 바코드 시스템은 "QR 코드(QR Code)"를 통해 사각형안에 기록된 정보를 해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hologram)"이 갖는 광학적 특성을 활용하여 정보를 기록하고 해독하도록 설계되는데, 앞선 2차원 바코드 시스템과 같이 사각형안에 정보를 기록한다. 이것을 "식별부(square code)"로 부른다.
식별부(square code)는 이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에 따라서 서로다른 영상신호로 해석되기 때문에, "기준점(standard point)"이 필요하다. 기준점(standard point)이 없는 코드는 3차원 바코드로는 적합하지 않다. 그 이유는 3가지 이상의 영상신호로 해석될 수 있어서 정확한 정보를 처리할 수 없다.
도 2에서와 같이 스캐너는 식별부(square code)와 기준점(standard point)을 표시하여 스캔한다. 스캐너의 안쪽에는 x축, y축, z축에 각각 하나씩의 CCD 화상 카메라가 들어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서로다른 화상카메라에 의해서 수신된 영상신호는 도 4에서와 같이 3가지 "데이터 형(Data type)"으로 해독된다.
x축, y축, z축에서 수신된 영상신호는 식별부(square code)의 크기와 화소(pixel)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각각의 영상신호는 "데이터 블록(Data block)"을 형성하여, 데이터 베이스에서 기록되고 판독되어 3차원 바코드 시스템(3-dimentional barcode system)을 구현한다.
1. 식별부(square code) 2. 기준점(standard point)

Claims (1)

  1. "홀로그램(halogram)" 기술을 활용한 이미지를 알루미늄 스티커에 기록하고 이것을 "CCD 화상 카메라(CCD Camera)"로 읽어서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한 "3차원 바코드(3 Dimentional Barcode)"로서,
    "홀로그램(halogram)"으로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
    식별부(1, square code)와 기준점(2, standard point)으로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식,
    x축, y축, z축으로 홀로그램 정보를 카메라로 수신하는 방식,
    (x, y, z)축으로 구성된 "영상 정보"를 "데이터 블록(data block)"으로 처리하여 x축 데이터, y축 데이터, z축 데이터의 3차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바코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바코드 시스템(Barcode System)"
KR1020170010093A 2017-01-21 2017-01-21 3차원 바코드 KR20180086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093A KR20180086384A (ko) 2017-01-21 2017-01-21 3차원 바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093A KR20180086384A (ko) 2017-01-21 2017-01-21 3차원 바코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384A true KR20180086384A (ko) 2018-07-31

Family

ID=6307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093A KR20180086384A (ko) 2017-01-21 2017-01-21 3차원 바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63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929B2 (en) Imaging terminal, imaging sensor to determine document orientation based on bar code orientation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91713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and authentication of covert security information using a smart device
US8978984B2 (en) Indicia reading terminals and methods for decoding decodable indicia employing light field imaging
US9210294B2 (en) System and method to manipulate an image
CN107423652B (zh) 用于文档处理的系统和方法
US7106902B2 (en)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483677B2 (en) Machine-readable symbols
GB2446424A (en) Two dimensional bar code with locating symbols
US201200249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qr code
KR20130108346A (ko) 고유 무질서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통합 유닛
EP34623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ptical codes with damaged or incomplete finder patterns
JP2016540329A (ja) 2次元バーコードおよびそのようなバーコードの認証方法
CN101887512A (zh) 二维码识读装置、其使用方法及pos机
JP5765749B2 (ja) 個体識別情報生成装置、物品判定装置、物品判定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428798A (zh) 用于明确标记对象的方法
US20150129656A1 (en) Creating a virtual bar code from a physical bar code
CN114662515A (zh) 用于采用立体成像来解码可解码标记的标记读取设备和方法
US8919649B2 (en) Method for the detection of a marker affixed to the surface of an object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me
US10158834B2 (en) Corrected projection perspective distortion
KR20180086384A (ko) 3차원 바코드
AU2021202205B2 (en) Using barcodes to determine item dimensions
CN105095823A (zh) 一种影像式条码扫描器的成像装置、条码读取方法和条码扫描器
Tseng et al. Retrospective tracking for barcode reading
Chen et al. Multi Barcode Scanning and Decoding Technology Based on AR Smart Glasses.
Gaubatz et al. Barcodes on non-flat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