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429A -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429A
KR20180085429A KR1020170008938A KR20170008938A KR20180085429A KR 20180085429 A KR20180085429 A KR 20180085429A KR 1020170008938 A KR1020170008938 A KR 1020170008938A KR 20170008938 A KR20170008938 A KR 20170008938A KR 20180085429 A KR20180085429 A KR 20180085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information
alarm system
receiving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우
이치우
최현준
신명섭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명섭
이치우
최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명섭, 이치우, 최현준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5429A/ko
Publication of KR2018008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에 있어서, 맥박측정과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정보를 전달받아 맥박의 정지시간을 판단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달한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The pulse and GPS alarm using wearable band}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맥박을 측정하여 고독사나 심정지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정된 사람에게 알리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심장의 박동에 의한 동맥 내압의 변동과 그것에 동반하는 동맥 혈관벽의 파동. 맥이라고도 한다. 보통은 요골 동맥(橈骨動脈)에서 촉진한다. 심박수는 정상 성인의 경우 1분에 60~80회이다. 이상하게 많은 것(100회 이상)을 빈맥이라 하고, 적은 것(50회 이하)을 서맥, 진동이 불규칙한 것을 부정맥이라고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불리는 착용 컴퓨터는 안경,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 컴퓨터를 뜻한다. 궁극적으로는 사용자가 거부감 없이 신체의 일부처럼 항상 착용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인간의 능력을 보완하거나 배가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기본 기능들로는 언제 어디서나(항시성), 쉽게 사용할 수 있고(편의성), 착용하여 사용하기에 편하며(착용감), 안전하고 보기 좋은(안정성/사회성) 특성이 요구된다.
이는 단순히 액세서리처럼 전자기기를 몸에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신체의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점은 주변 환경에 대한 상세 정보나 개인의 신체 변화를 실시간으로 끊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 안경의 경우 눈에 보이는 주변의 모든 정보의 기록이 가능하며 스마트 속옷은 체온, 심장박동과 같은 생체신호를 꾸준히 수집할 수 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15-0103568호,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에서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단으로 연장되는 제1 밴드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타단으로 연장되는 제2 밴드를 포함하여 손목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시계형 케이싱부 상기 제1 밴드 또는 상기 제2 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밴드에 내장되며, 착용시 손목에 밀착되어 노동맥에서 발생되는 맥박을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감지되는 상기 맥박을 분당 맥박수로 실시간 산출하여 실시간 맥박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맥박수 데이터 생성단과, 상기 실시간 맥박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맥박수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준 맥박수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맥박알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맥박알림 제어신호 생성단을 포함하는 한다.
또한 맥박알림 제어부 상기 실시간 맥박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 맥박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맥박알림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기준 맥박수를 벗어난 상태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맥박알림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소리 또는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맥박상태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감지부는, 상기 제1 밴드에 내장되고 플렉시블 압전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진동 센서와, 상기 제2 밴드에 내장되고 플렉시블 압전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진동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시계형 케이싱부의, 상기 제1 밴드는 손목의 노동맥 상에 밀착되도록 엄지손가락 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밴드는 새끼손가락 쪽에 마련되되, 상기 제2 진동 센서가 상기 노동맥의 맥박을 센싱하지 않도록, 상기 제2 밴드가 상기 제1 밴드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맥박알림 제어부는, 상기 제1 진동 센서에서 감지되는 진동을 맥박 신호로 판단하되, 상기 제2 진동 센서에서 진동이 감지될 때 동일 시점에서 상기 제1 진동 센서에서 감지되는 진동을 제1 노이즈 신호로 판단하여 1차적으로 제거하는 제1 노이즈 제거단과, 상기 맥박 신호의 피크치의 평균값을 산출한 후 상기 피크치의 평균값으로부터 상하 일정 범위를 기준 맥박 피 크치 범위로 설정하여, 상기 맥박 신호의 피크치가 상기 기준 맥박 피크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노이즈 신호로 판단하여 2차적으로 제거하는 제2 노이즈 제거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맥박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맥박을 실시간으로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관리용 서버에서 모니터링하고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의 착용자가 응급 상황에 처한 경우에 이를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한 방법이지만 체제 유지하기에 번거로운 점과 스마트폰 연동부재로 알림을 효율적으로 타인에게 알리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15-0103568호,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에서는 착용자의 상반신 피부에 밀착되는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로서, 상기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는 액와(겨드랑이)를 중심으로 흉부 정면의 일부와 흉부 배면의 일부를 덮는 바이오센서 시트, 및 상기 바이오센서 시트에 접속되고 상기 흉부 배면의 하단에 위치한 바이오센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센서 시트는 심전도, 심박율, 체온, 맥박, 근전도, 혈압, 및 호흡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이오센서 제어부는, 상기 바이오센서 시트가 상기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최초로 측정하여 관리용 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관리용 서버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식별자(ID) 및 데이터 송신 주기를 수신하고 GPS 위성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생체 신호 데이터의 세트를 상기 데이터 송신 주기로 상기 관리용 서버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데이터 송신 주기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송신가능하도록 상기 식별자,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측정된 생체 신호를 상기 생체 신호 데이터의 세트로 압축변환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관리용 서버에서 지정된 위험 지역에 근접하는 경우, 경고 표시 신호 및 위치 경고 신호 를 발생시키는 알람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알람 모듈이 상기 경고 표시 신호 및 상기 위치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경고 신호, 상기 식별자 및 상기 위치 신호를 경고 신호 데이터로 추가로 압축변환하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경고 신호 데이터를 상기 관리용 서버에 송신하는,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바이오 센서 시트를 직접 착용해야하며 많은 센서들로 인해 가격이 상승되어 진다. 또한 점점 증가되는 고독사나 심정지 노인에게 보급에 제한이 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10-1461622호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15-010356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맥박을 측정하여 고독사나 심정지 환자의 위치를 확인 가능한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심박수 설정 값을 조절 가능한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위험에 처했을 때 연락할 주변지인의 번호로 현재 상황을 전송하는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에 있어서, 맥박측정과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정보를 전달받아 맥박의 정지시간을 판단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달한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부는 밴드로 되어 내측에는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센서와 상기 맥박센서의 맥박정보를 전달받는 mcu와 상기 mcu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mcu는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블루투스와 상기 배터리는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는 케이블 단자가 구비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을 판단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으로 판단되면, 타이머가 작동하고, 상기 타이머의 설정 값으로 판단되면, 지정된 전화번호로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에 의하면 맥박을 측정하여 고독사나 심정지 환자의 위치를 확인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맥박수 설정 값을 조절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위험에 처했을 때 연락할 주변지인의 번호로 현재 상황을 알리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의 제어부 순서도
도 3은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의 입력부 구성도
도 4는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의 입력부 도면
도 5는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메인화면 도면
도 6은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심박수 설정화면 도면
도 7은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알람수신번호 설정화면 도면
도 8은 종래기술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의 대표도
도 9는 종래기술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의 대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맥박을 측정하여 고독사나 심정지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정된 사람에게 알리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맥박측정과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100)와 입력부(100)의 정보를 전달받아 맥박의 정지시간을 판단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200)와 제어부(200)가 전달한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0)는 밴드로 되어 내측에는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센서(130)와 맥박센서(130)의 맥박정보를 전달받는 mcu(120)와 mcu(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cu(120)는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블루투스(121)와 배터리(110)는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는 케이블 단자가 구비되는 충전단자(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입력부(100)로부터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을 판단하고, 입력부(100)로부터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으로 판단되면, 타이머가 작동하고, 타이머의 설정 값으로 판단되면, 지정된 전화번호로 위치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을 판단하고, 맥박값 참조(S1)를 하여 사용자의 위험상황(S2)을 인지한다.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값이 바운더리를 넘었는가?(S3) 었다면 타이머가 작동 Timer ON(S4)하고 타이머가 5초이상 맥박값이 경계를 넘어있는가?(S5) 판단되면 GPS 참조(S6)하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지정된 전화번호 참조(S7)하여 지정된 전화번호로 위치 정보 문자 발신(S8)과 전화 동시 발신(S9)되고 Timer OFF(10)하여 종료되어 질 수 있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맥박측정과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100)는 정보를 처리하는 mcu(120)와 mcu(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10) 배터리(110)의 충방전을 위해 충전단자(111)가 형성될 수 있다.
mcu(120)에는 GPS를 처리와 블루투스(121)가 내장되어 제어부(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므로써 제어부(200)의 정상적인 처리가 되어질 수 있다.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입력부(100)는 밴드로 되어 굽혀지거나 펴는 것이 자유로울 수 있으며 밴드 내부에 맥박측정과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100)는 정보를 처리하는 mcu(120)와 mcu(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10) 배터리(110)의 충방전을 위해 충전단자(111)가 형성될 수 있다.
mcu(120)에는 GPS를 처리와 블루투스(121)가 내장되어 제어부(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므로써 제어부(200)의 정상적인 처리가 되어질 수 있다.
도 5는 맥박측정과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입력부의 정보를 전달받아 맥박의 정지시간을 판단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을 판단하고, 입력부로부터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으로 판단되면, 타이머가 작동하고, 타이머의 설정 값으로 판단되면, 지정된 전화번호로 위치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여기서 맥박 값과 타이머 설정 값을 설정하며 전화번호를 지정하여 위치정보를 발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맥박측정과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입력부의 정보를 전달받아 맥박의 정지시간을 판단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을 판단하고, 입력부로부터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으로 판단되면, 타이머가 작동하고, 타이머의 설정 값으로 판단되면, 지정된 전화번호로 위치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여기서 맥박 값과 타이머 설정 값을 설정하며 전화번호를 지정하여 위치정보를 발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심박수와 지정번호를 설정하는 화면으로 원하는 번호를 지정할 수 있으며 심박수 또한 설정 할 수 있다.
도 7은 맥박측정과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입력부의 정보를 전달받아 맥박의 정지시간을 판단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을 판단하고, 입력부로부터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으로 판단되면, 타이머가 작동하고, 타이머의 설정 값으로 판단되면, 지정된 전화번호로 위치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여기서 맥박 값과 타이머 설정 값을 설정하며 전화번호를 지정하여 위치정보를 발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카운터를 설정 하고 지정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입력부
110: 배터리
111: 충전단자
120: mcu
121: 블루투스
140: 맥박센서
200: 제어부
300: 송신부
400: 수신부
S1: 맥박값 참조
S2: 사용자의 위험상황
S3: 맥박값이 바운더리를 넘었는가?
S4: Timer ON
S5: 5초이상 맥박값이 경계를 넘어있는가?
S6: GPS 참조
S7: 지정된 전화번호 참조
S8: 지정된 전화번호로 위치 정보 문자 발신
S9: 전화 동시 발신
S10: Timer OFF

Claims (4)

  1.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에 있어서,
    맥박측정과 위치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정보를 전달받아 맥박의 정지시간을 판단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달한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입력부는
    밴드로 되어 내측에는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센서;와
    상기 맥박센서의 맥박정보를 전달받는 mcu;와
    상기 mcu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mcu는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블루투스;와
    상기 배터리는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는 케이블 단자가 구비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을 판단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맥박 정보를 전달받아 설정된 맥박 값으로 판단되면, 타이머가 작동하고,
    상기 타이머의 설정 값으로 판단되면, 지정된 전화번호로 위치정보를 발신하는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KR1020170008938A 2017-01-19 2017-01-19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KR20180085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938A KR20180085429A (ko) 2017-01-19 2017-01-19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938A KR20180085429A (ko) 2017-01-19 2017-01-19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429A true KR20180085429A (ko) 2018-07-27

Family

ID=6307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938A KR20180085429A (ko) 2017-01-19 2017-01-19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542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622B1 (ko) 2013-07-04 2014-11-20 이성훈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KR20150103568A (ko) 2014-03-03 2015-09-11 김성훈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622B1 (ko) 2013-07-04 2014-11-20 이성훈 휴대용 맥박알림 장치
KR20150103568A (ko) 2014-03-03 2015-09-11 김성훈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데이터 모니터링/응급 상황 감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1206B1 (en) Fetal movement monitor
US20190099114A1 (en) Fall sensing and medical alert systems
KR101239348B1 (ko) 휴대용 맥박 측정기
KR100847137B1 (ko) 휴대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CN205667545U (zh) 一种可穿戴式生理信号监护内衣
US20100056878A1 (en) Indirectly coupled personal monitor for obtaining at least one physiological parameter of a subject
GB2408105A (en) Ear wearable combined core body temperature and pulse rate sensor
US20150130613A1 (en) Selectively available information storage and communications system
US20170319082A1 (en) Phono-Electro-Cardiogram Monitoring Unit
KR20060128625A (ko) 신체 활동 측정 단말기
US10264971B1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grating feedback from multiple wearable sensors
CN103126658A (zh) 医疗监控手表及医疗监控系统
US10631739B2 (en) Monitoring vital signs
EP3556289A1 (en) Wearable device
US20090157325A1 (en)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N103714249A (zh) 一种用户行为安全的监测方法及设备
KR101821858B1 (ko) 휴식 심박동 측정 방법
KR102568715B1 (ko) 휴대용 복합 생체신호 측정장치
GB2517179A (en)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KR101905695B1 (ko) 넥밴드형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동알림 시스템
JP2002017693A (ja) 携帯無線電話型バイタルチェッカー
KR10181099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응급 문자 전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20180085429A (ko) 웨어러블 밴드를 이용한 맥박측정 및 위치 알람 시스템
CN205388810U (zh) 人体生命体征及姿态探测内裤
KR20020024083A (ko) 무선 건강체크기 및 무선 건강체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