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173A -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173A
KR20180085173A KR1020170008463A KR20170008463A KR20180085173A KR 20180085173 A KR20180085173 A KR 20180085173A KR 1020170008463 A KR1020170008463 A KR 1020170008463A KR 20170008463 A KR20170008463 A KR 20170008463A KR 20180085173 A KR20180085173 A KR 20180085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ering plastic
unit
super engineering
ai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길
Original Assignee
박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길 filed Critical 박영길
Priority to KR102017000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5173A/ko
Publication of KR2018008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2Making preform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e.g. sheets,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4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크기로 분쇄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용융하여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압출하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로부터 압출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중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그리고 냉각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출 후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여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냉각시킴으로써, 침지방식의 냉각이 어려운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일 경우, 침지방식의 냉각으로 인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의 변형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기존 공기만으로 냉각시키는 방식에 비해 보다 빨리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제품의 불량률을 낮춰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공정을 단축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SUPER ENGINEERING PLASTIC RECYCLE SYSTEM}
본 발명은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은 금속을 대체할 수 있도록 고강도 및 고내열성을 갖는 고성능 플라스틱으로서, 자동차부품, 기계부품, 전기, 전자부품 등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일반적인 범용 플라스틱에 비하여 강도, 내마모성 및 내열성이 뛰어나,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어 변형되거나, 용제나 화학약품 등에 노출될 경우에도 취화되지 않고 원형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금속을 대체 가능하여 기존 금속으로 이루어진 대상물을 경량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보다 강도, 내마모성 및 내열성이 더 뛰어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는 PPS(Poly Phenylene Sulfide), PPA(Poly Phthal Amide), LCP(Liquid Crystal Polymer) 등이 있다.
그러나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고가의 가공비가 소모됨에 따라, 사용 후 재생하여 재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재생과정을 살펴보면, 재생재를 소정의 크기로 분쇄한 후, 분쇄된 재생재를 압출시키고, 압출된 재생재를 저온의 냉수에 침지시켜 냉각시킨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재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재생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냉각단계에서 해당 재생재에 적합한 냉각방식을 적용하지 않고, 단순히 압출되는 재생재를 일괄적으로 냉수에 침지시킴으로써, 재생재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종류 중 LCP 소재는 소재적 특성으로 인하여, 압출 후 냉수에 침지될 경우, 우그러지거나 뒤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제조 시 불량률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LCP와 같이 수냉방식의 적용이 어려운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압출 후 공기 중에 노출시켜 냉각시키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수냉방식에 비하여 압출된 재생재가 짧은 시간 내에 냉각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제조공정이 지연됨은 물론, 냉각 후 재생재의 절단 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여 작업자의 신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1-000642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출 후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재생재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여, 침지방식의 냉각이 어려운 재생재일 경우, 기존 공기만으로 냉각시키는 방식에 비해 보다 빨리 재생재를 냉각시킬 수 있고, 재생재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재생재의 표면에 물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재생재가 절단되어 분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을 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크기로 분쇄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용융하여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압출하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로부터 압출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중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그리고 냉각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압출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동력발생장치에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주동롤러,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 측에 설치되는 종동롤러, 그리고 상기 주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주동롤러의 회전 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순환되는 순환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중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물을 분사하는 수냉부, 그리고 상기 수냉부를 통과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냉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측에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격되어 복수로 배치되는 물분사 노즐, 상기 이송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내측으로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압력을 발생시키는 순환펌프, 그리고 상기 물분사 노즐과 상기 순환펌프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순환펌프의 구동 시 상기 순환펌프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물분사 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냉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측에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격되어 복수로 배치되는 공기분사 노즐, 상기 이송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외측으로 미리 설정된 온도의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장치,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 노즐과 상기 송풍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송풍장치의 구동 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분사 노즐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를 통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가 내부에 저장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로부터 분진, 불량품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선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출부, 상기 이송부, 상기 냉각부, 상기 커팅부 및 상기 선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출부, 상기 이송부, 상기 냉각부, 상기 커팅부 및 상기 선별부를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출 후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여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냉각시킴으로써, 침지방식의 냉각이 어려운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일 경우, 침지방식의 냉각으로 인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의 변형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기존 공기만으로 냉각시키는 방식에 비해 보다 빨리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제품의 불량률을 낮춰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공정을 단축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의 표면에 물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가 절단됨으로써,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여 제조 시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이하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이라 함)은 압출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여, 침지방식의 냉각이 어려운 재생재일 경우, 기존 공기만으로 냉각시키는 방식에 비해 보다 빨리 재생재를 냉각시킬 수 있고, 재생재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재생재의 표면에 물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재생재가 절단되어 분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분쇄부(미도시) 및 압출부(10)를 포함한다.
분쇄부는 폐기 처리되어 수거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를 등급별로 분리한 후, 이 중 재생에 이용될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선정하여 미리 설정된 크기로 분쇄한다.
압출부(10)는 미리 설정된 크기로 분쇄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혼합재(미도시)와 혼합한 후, 이를 용융하여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압출한다. 예컨대, 압출부(10)에는 분쇄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가 투입될 경우,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건조하여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로부터 습기를 제거하는 건조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압출부(10)에는 자성을 이용하여 용융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포함된 금속성분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압출부(10)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의 제조 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압출장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은 이송부(20)를 포함한다.
이송부(20)는 압출부(10)로부터 압출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송부(20)는 지지프레임(21), 동력발생장치(22), 그리고 컨베이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이송부(20)는 압출부(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면(G)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프레임(21), 지지프레임(21)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22), 그리고 지지프레임(21)에 설치되어 압출부(10)로부터 압출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 세트는 주동롤러(23), 종동롤러(24) 및 순환벨트(25)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컨베이어 세트는 지지프레임(21)의 일 측에 설치되고, 동력발생장치(22)에 동력전달부재(22a)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주동롤러(23), 지지프레임(21)의 타 측에 설치되는 종동롤러(24), 그리고 주동롤러(23)와 종동롤러(24)를 서로 연결하고, 주동롤러(23)의 회전 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순환되는 순환벨트(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은 냉각부(30)를 포함한다.
냉각부(30)는 이송부(20)에 설치되어 이송부(20)를 통해 이송중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물과 공기를 순차적으로 분사하여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냉각시킨다.
한편, 냉각부(30)는 수냉부(31) 및 공냉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냉각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20)를 통해 이송중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물을 분사하는 수냉부(31)와, 수냉부(31)를 통과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냉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냉부(31)는 물분사 노즐(311), 저장탱크(313), 순환펌프(315) 및 물공급라인(317)을 포함할 수 있다.
물분사 노즐(311)은 이송부(20)의 상측에 이송부(20)로부터 이격되어 복수로 배치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물분사 노즐(311)의 입구에는 물분사 노즐(311)의 물 분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저장탱크(313)는 이송부(20)의 하측에 배치되어 내측으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탱크(313)에는 내측에 저장된 물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순환펌프(315)는 저장탱크(313)에 연결되어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물공급라인(317)을 물분사 노즐(311)과 순환펌프(315)를 서로 연결하고, 순환펌프(315)의 구동 시 순환펌프(315)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물분사 노즐(311)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물공급라인(317)에는 후술할 제어부(60)를 통해 제어 가능한 제어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각 물분사 노즐(311)의 개폐 및 물분사 노즐(311)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냉부(31)에는 분사된 물이 순환되는 물순환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이송부(20)에는 수냉부(31)로부터 분사된 물이 수집되는 수집공간(미도시)이 형성되고, 수집공간은 별도의 라인(미도시)을 통하여 정화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정화장치는 저장탱크(313)와 연결되어 정화된 물을 저장탱크(313)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은 사용된 물을 버리지 않고, 정화하여 재사용 할 수 있다. 이때, 정화장치에는 수집공간에 수용된 물을 정화장치 측으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정화장치를 통화한 물을 저장탱크(313) 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공냉부(33)는 공기분사 노즐(331), 송풍장치(333) 및 공기공급라인(335)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분사 노즐(331)은 이송부(20)의 상측에 상기 이송부(20)로부터 이격되어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분사 노즐(331)은 토출되는 공기의 분사압력 및 분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구된 입구 측을 향하여 단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공기분사 노즐(331)은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필요 시 원하는 방향으로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송풍장치(333)는 각 공기분사 노즐(331)에 대응되도록 이송부(20)의 하측에 복수로 배치되고, 각 송풍장치(333)는 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외측으로 미리 설정된 온도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송풍장치(333)의 내부에는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코일 등과 같은 가열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가열수단은 제어를 통하여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공기공급라인(335)은 공기분사 노즐(331)과 송풍장치(333)를 연결하고, 송풍장치(333)의 구동 시 송풍장치(33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공기분사 노즐(331)로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기 공급라인은 주름관과 같이 유연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은 커팅부(4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커팅부(40)는 냉각부(30)를 통과하여 냉각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한다.
또한, 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은 선별부(50) 및 제어부(60)를 더 포함한다.
선별부(50)는 커팅부(40)의 후방에 배치되어, 커팅부(40)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가 내부에 저장되고,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로부터 분진, 불량품 및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압출부(10), 이송부(20), 냉각부(30), 커팅부(40) 및 선별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출부(10), 이송부(20), 냉각부(30), 커팅부(40) 및 선별부(50)를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출 후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여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냉각시킴으로써, 침지방식의 냉각이 어려운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일 경우, 침지방식의 냉각으로 인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의 변형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기존 공기만으로 냉각시키는 방식에 비해 보다 빨리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제품의 불량률을 낮춰 품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공정을 단축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의 표면에 물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가 절단됨으로써,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여 제조 시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압출부
20. 이송부
21. 지지프레임
22. 동력발생장치 22a. 동력전달부재
23. 주동롤러
24. 종동롤러
25. 순환벨트
30. 냉각부
31. 수냉부
311. 물분사 노즐 313. 저장탱크
315. 순환펌프 317. 물공급라인
33. 공냉부
331. 공기분사 노즐 333. 송풍장치
335. 공기공급라인
40. 커팅부
50. 선별부
60. 제어부
G. 지면

Claims (7)

  1. 미리 설정된 크기로 분쇄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용융하여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압출하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로부터 압출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중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물과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그리고
    냉각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압출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동력발생장치에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주동롤러,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 측에 설치되는 종동롤러, 그리고
    상기 주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주동롤러의 회전 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순환되는 순환벨트를 포함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중인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물을 분사하는 수냉부, 그리고
    상기 수냉부를 통과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냉부를 포함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수냉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측에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격되어 복수로 배치되는 물분사 노즐,
    상기 이송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내측으로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압력을 발생시키는 순환펌프, 그리고
    상기 물분사 노즐과 상기 순환펌프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순환펌프의 구동 시 상기 순환펌프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물분사 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라인을 포함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5. 제3항에서,
    상기 공냉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측에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격되어 복수로 배치되는 공기분사 노즐,
    상기 이송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외측으로 미리 설정된 온도의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장치,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 노즐과 상기 송풍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송풍장치의 구동 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분사 노즐로 공급하는 공기공급라인을 포함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커팅부를 통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가 내부에 저장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재로부터 분진, 불량품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선별부를 더 포함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압출부, 상기 이송부, 상기 냉각부, 상기 커팅부 및 상기 선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출부, 상기 이송부, 상기 냉각부, 상기 커팅부 및 상기 선별부를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KR1020170008463A 2017-01-18 2017-01-18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KR20180085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463A KR20180085173A (ko) 2017-01-18 2017-01-18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463A KR20180085173A (ko) 2017-01-18 2017-01-18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173A true KR20180085173A (ko) 2018-07-26

Family

ID=6304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463A KR20180085173A (ko) 2017-01-18 2017-01-18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51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1814A (zh) * 2021-03-23 2021-06-22 耿文龙 一种再生塑料颗粒造粒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422B1 (ko) 1988-10-17 1991-08-24 케미라이트, 리미티드 철과 망간을 함유한 정제액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422B1 (ko) 1988-10-17 1991-08-24 케미라이트, 리미티드 철과 망간을 함유한 정제액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1814A (zh) * 2021-03-23 2021-06-22 耿文龙 一种再生塑料颗粒造粒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536B1 (ko)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펠릿 제조 장치
KR0125284B1 (ko) 노즐에서 압출되는 용융 스트랜드를 냉각하여 펠릿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337358B (zh) 用于具有可变排出速率的3d打印的打印头、方法和系统
CZ295331B6 (cs) Zařízení k tepelnému zpracování sypkých materiálů, obsahujících plasty
KR20180085173A (ko)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생 시스템
KR20100083937A (ko) 오염방지 기능을 갖는 폐 수지 압출기용 냉각장치
KR20050095081A (ko) 핫커팅 방식을 채용한 재생 합성수지 펠릿 제조 방법 및그 제조설비
WO2012157392A1 (ja) 溶融樹脂切断処理システム
US11919201B2 (en) Processing plant and method for processing plastics material for the recycling thereof
JP2006264325A (ja) 熱可塑性樹脂ペレット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05166A (ko) 열풍을 이용한 사출 성형물 표면 처리 장치
KR20170096287A (ko) 에너지 효율 및 생산성이 뛰어난 폐플라스틱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753791B1 (ko) 불순물 제거 및 양품 선별이 가능한 플라스틱 압출 장치
KR102304314B1 (ko) 연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소재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랜덤 시트
EP34799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ycling plastic materials
KR101559016B1 (ko) 커팅과 용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폐수지 재생장치
KR101938594B1 (ko) 압출기
KR100881285B1 (ko) 합성수지 재생칩 제조장치에서의 냉각장치
KR101753787B1 (ko) 원료 교반이 용이하고 산도 제어가 가능한 플라스틱 압출 장치
KR0175915B1 (ko) 폐 발포 폴리스티렌 재생장치
KR100866308B1 (ko) 폐필름 재생기
KR20100039134A (ko) 폐수지 용융장치
JP3745662B2 (ja) 高分子系廃棄物の搬送装置
US20050167876A1 (en) Method for granulating plastics
KR20240007992A (ko) 폐합성수지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