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281A -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281A
KR20180083281A KR1020180077064A KR20180077064A KR20180083281A KR 20180083281 A KR20180083281 A KR 20180083281A KR 1020180077064 A KR1020180077064 A KR 1020180077064A KR 20180077064 A KR20180077064 A KR 20180077064A KR 20180083281 A KR20180083281 A KR 20180083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ompartment space
temperature
temperature value
circula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아
Original Assignee
김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아 filed Critical 김민아
Priority to KR1020180077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3281A/ko
Publication of KR2018008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에 따르면, 실내에 설치된 에어컨; 상기 에어컨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순환팬; 상기 에어컨과 순환팬에 각각 구비된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통신하며,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로부터 조작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가 수신함에 따라,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
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서로 다른 구획공간에 에어컨과 순환팬이 설치되고, 에어컨 및 순환팬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에어컨이 설치된 구획공간의 냉기가 순환팬이 설치된 구획공간으로 보다 신속하게 유입되고, 실내의 구획공간 온도차가 줄어들어 실내 전체적으로 냉방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에어컨과 순환팬의 가동으로 에어컨의 가동시간을 단축시켜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Air conditioning and fan using cooling system}
본 발명은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중심이 되는 거실에 에어컨을 설치하고, 부가적으로 선풍기를 이용하여 냉방을 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가정집에서는 거실에 1대의 에어컨이 설치되고, 방과 같은 곳은 벽걸이 에어컨 또는 선풍기를 이용하고 있다.
이때, 거실과 독립된 방에서 냉방이 필요할 경우에는, 거실의 에어컨을 동작시킨 후, 방의 출입구에 선풍기를 위치시켜 거실의 냉기를 방으로 유입시켰다. 또한 다수의 방에서 냉방이 필요하면, 다수의 선풍기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에어컨은 기 설치된 온도센서로 설정된 온도에 의해 제어되나, 방의 온도보다 에어컨이 설치된 거실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항상 방의 온도는 거실보다 높았으며, 에어컨을 계속적으로 가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203426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컨이 제1구획공간에 설치되고, 제1구획공간과 벽으로 구획된 다수의 제2구획공간에 순환팬이 다수 설치되고, 에어컨 및 다수 순환팬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에어컨이 설치된 제1구획공간의 냉기가 순환팬이 설치된 다수의 제2구획공간으로 보다 신속하게 유입되고, 제1구획공간과 다수의 제2구획공간 사이의 온도차가 줄어들어 실내 전체적으로 냉방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에어컨과 순환팬의 가동으로 에어컨의 가동시간을 단축시켜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에 따르면, 실내에 설치된 에어컨; 상기 에어컨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의 순환팬; 상기 에어컨과 순환팬에 각각 구비된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통신하며,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로부터 조작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가 수신함에 따라,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내는, 제1구획공간과, 벽을 통해 상기 제1구획공간과 구획된 다수의 제2구획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컨은, 상기 제1구획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팬은, 상기 다수의 제2구획공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에어컨으로부터 제1구획공간으로 배출된 냉기를 제2구획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구획공간과 제2구획공간을 구획하는 벽에는, 공기순환구가 관통형성되되, 상기 순환팬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순환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구획공간과 제2구획공간의 온도차가 발생할 경우 또는 순환팬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구획공간의 공기가 제2구획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순환구를 개방시키는 개폐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에어컨이 설치된 제1구획공간과상기 순환팬이 설치된 제2구획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순환팬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을상기 에어컨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과 제1구획공간의 온도값을 파악하고, 기 설정된 동작온도값보다 이상이면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을 동작시키되, 상기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중지온도값보다 낮으면 상기 에어컨의 동작을 중지시키며, 상기 순환팬만 동작시키고, 상기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이 상기 동작온도값보다 높으면 중시시킨 에어컨을 재동작시키며, 상기 중지온도값은, 상기 동작온도값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설정되는 희망온도를 상기 온도감지센서로 감지된 상기 제1구획공간의 온도값 및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과 비교하여, 제1차이온도값과 제2차이온도값을 분석하는 온도분석부와, 상기 제1차이온도값과 제2차이온도값이 기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으로 차이나면,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을 최대출력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1구획공간의 온도값 및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이 희망온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제1차이온도값과 제2차이온도값이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을 최대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낮춰 동작시키는 동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차이온도값과 제2차이온도값이 기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으로 차이나면, 제1구획공간의 온도값 및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이 희망온도까지 도달하기까지 예상되는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을 분석하는 시간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이 기 설정된 설정시간보다 더 긴 경우,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을 최대출력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의 동작시간이 상기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을 지나거나, 상기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이 상기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최대출력으로 동작되는 에어컨 및 순환팬을 최대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낮춰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에어컨이 제1구획공간에 설치되고, 제1구획공간과 벽으로 구획된 다수의 제2구획공간에 순환팬이 다수 설치되고, 에어컨 및 다수 순환팬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에어컨이 설치된 제1구획공간의 냉기가 순환팬이 설치된 다수의 제2구획공간으로 보다 신속하게 유입되고, 제1구획공간과 다수의 제2구획공간 사이의 온도차가 줄어들어 실내 전체적으로 냉방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에어컨과 순환팬의 가동으로 에어컨의 가동시간을 단축시켜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실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이 실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은, 에어컨(10), 순환팬(20), 통신부(30), 조작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먼저, 에어컨(10)은 실내에 설치된다.
이때, 실내는, 벽(3)을 통해 다수 구획된 구획공간이 형성된다. 즉, 실내는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이며, 구획공간은 거실, 룸, 벽(3)으로 꺾인 공간 등을 말한다.
즉, 실내는, 제1구획공간(1)과, 벽(3)을 통해 제1구획공간(1)과 구획된 다수의 제2구획공간(2)이 형성된다.
그리고, 에어컨은, 거실과 같은 제1구획공간(1)에 설치된다.
순환팬(20)은, 에어컨(10)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순환팬(20)은, 선풍기, 서큘레이터, 직립식 냉방기, 벽(3)걸이형 선풍기 등이다.
그리고, 순환팬(20)은, 에어컨(10)이 설치된 제1구획공간(1)과 벽(3)으로 구획된 다수의 제2구획공간(2)에 각각 설치되고, 에어컨(10)으로부터 제1구획공간(1)으로 배출된 냉기를 제2구획공간(2)으로 유입시킨다.
예를 들어, 실내가 가정집인 경우, 에어컨(10)은 거실에 설치되고, 순환팬(20)은 룸 또는 벽(3)으로 꺾여진 공간(예:주방, 현관 등)에 설치된다. 이로써, 거실의 냉기가 룸 또는 공간으로 보다 신속하게 유입됨에 따라, 실내의 구획공간 온도차가 줄어들어 실내 전체적으로 냉방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에어컨(10)과 순환팬(20)의 가동으로 에어컨(10)의 가동시간을 단축시켜 전기를 절약할수 있다.
한편, 제1구획공간(1)과 제2구획공간(2)을 구획하는 벽(3)에는, 공기순환구(4)가 관통형성되되, 순환팬(20)의 주위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구획공간(1)과 제2구획공간(2) 사이의 기압차가 발생하여 냉기의 순환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져, 제2구획공간(2)에서 희망하는 냉방온도까지 신속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구획공간(1)과 제2구획공간(2)의 냉방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순환팬(20)는 제2구획공간(2)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은, 개폐장치(70)를 더 포함한다.
개폐장치(70)는, 공기순환구(4)에 구비되어, 제1구획공간(1)과 제2구획공간(2)의 온도차가 발생할 경우 또는 순환팬(20)이 작동하는 경우, 제1구획공간(1)의 공기가 제2구획공간(2)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공기순환구(4)를 개방시킨다.
즉, 평상시에는 개폐장치(70)가 공기순환구(4)를 폐쇄하고, 공기의 흐름이 필요로 할 때, 개폐장치(70)로 폐쇄된 공기순환구(4)가 개방된다.
통신부(30)는, 에어컨(10)과 순환팬(20)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통신부(30)는, 에어컨(10)과 순환팬(20)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30)는, 스마트폰, 패드 등의 스마트기기와 더불어 신호를 송수신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통하여 에어컨(10)과 순환팬(20)을 조작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3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등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조작부(40)는, 통신부(30)와 통신하며, 에어컨(10) 및 순환팬(20)의 동작을 조작한다.
이때, 조작부(40)는, 리모컨, 스마트기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50)는, 조작부(40)로부터 조작되는 신호를 통신부(30)가 수신함에 따라, 에어컨(10) 및 순환팬(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내의 온도를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은, 온도감지센서(60)를 더 포함한다.
온도감지센서(60)는, 에어컨(10) 및 순환팬(20)에 각각 구비되어, 에어컨(10)이 설치된 제1구획공간(1)과 순환팬(20)이 설치된 제2구획공간(2)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때, 통신부(30)는, 순환팬(20)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60)가 감지한 제2구획공간(2)의 온도값을 에어컨(10)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통신부(30)가 수신한 제2구획공간(2)의 온도값과 제1구획공간(1)의 온도값을 파악하고, 제2구획공간(2)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동작온도 값보다 이상이면 순환팬(20)을 동작시킨다.
또한, 제어부(50)는, 에어컨(10) 및 순환팬(20)을 동작시키되, 제2구획공간(2)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중지온도값보다 낮으면 에어컨(10)의 동작을 중지시키며, 순환팬(20)만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때, 순환팬(20)에 의하여 제1구획공간(1)의 냉기가 공기순환구(4)를 통해 제2구획공간(2)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제2구획공간(2)의 온도값이 설정온도값보다 낮아지면 순환팬(2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더불어, 제어부(50)는, 다수의 순환팬(20)이 설치된 다수의 제2구획공간(2)의 온도에 따라, 각각의 순환팬(20)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냉기의 이동이 이루어진 후, 제1구획공간(1) 또는 제2구획공간(2)의 온도값이 동작온도값보다 높으면 중시시킨 에어컨(10) 또는 순환팬(20)을 재동작시킨다.
이때, 중지온도값은, 동작온도값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50)는, 온도분석부(51), 동작부(52) 및 시간분석부(53)를 포함한다.
온도분석부(51)는, 조작부(40)를 통해 설정되는 희망온도를 온도감지센서(60)로 감지된 제1구획공간(1)의 온도값 및 제2구획공간(2)의 온도값과 비교하여, 제1차이온도값과 제2차이온도값을 분석한다.
동작부(52)는, 제1차이온도값과 제2차이온도값이 기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으로 차이나면, 에어컨(10) 및 순환팬(20)을 최대출력으로 동작시키고, 제1구획공간(1)의 온도값 및 제2구획공간(2)의 온도값이 희망온도에 도달하면, 에어컨(10) 및 순환팬(20)을 최대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낮춰 동작시킨다.
또한, 동작부(52)는, 제1차이온도값과 제2차이온도값이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에어컨(10) 및 순환팬(20)을 최대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낮춰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희망온도와 일정온도에 도달하는 것은, 희망온도와 일정온도에 동일할 때를 말할 수 있다. 또한, 희망온도와 일정온도보다 1~3℃ 높은 온도가 되었을 때를 말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는, 다수의 제2구획공간(2)마다 감지되는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제2구획공간(2)마다 설치된 순환팬(20)을 각각 조절하고, 다수의 제2구획공간(2)과 제1구획공간(1)을 포함한 실내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전기절약 할 수 있다.
시간분석부(53)는, 제1차이온도값과 제2차이온도값이 기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으로 차이나면, 제1구획공간(1)의 온도값 및 제2구획공간(2)의 온도값이 희망온도까지 도달하기까지 예상되는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을 분석한다.
이때, 동작부(52)는,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이 기 설정된 설정시간보다 더 긴 경우, 에어컨(10) 및 순환팬(20)을 최대출력으로 동작시킨다. 그리고 동작부(52)는, 에어컨(10) 및 순환팬(20)의 동작시간이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을 지나면 최대출력으로 동작되는 에어컨(10) 및 순환팬(20)을 최대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낮춰 동작시킨다.
또한, 동작부(52)는,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이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최대출력으로 동작되는 에어컨(10) 및 순환팬(20)을 최대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낮춰 동작시킨다.
이때, 설정시간에 도달하는 것은,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이 설정시간과 동일하거나, 1~10분 차이날 때를 말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제1구획공간 2 : 제2구획공간
3 : 벽 4 : 공기순환구
10 : 에어컨 20 : 순환팬
30 : 통신부 40 : 조작부
50 : 제어부 51 : 온도분석부
52 : 동작부 53 : 시간분석부
60 : 온도감지센서 70 : 개폐장치

Claims (7)

  1. 실내에 설치된 에어컨;
    상기 에어컨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의 순환팬;
    상기 에어컨과 순환팬에 각각 구비된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통신하며,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 조작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가 수신함에 따라,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는, 제1구획공간과, 벽을 통해 상기 제1구획공간과 구획된 다수의 제2구획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컨은, 상기 제1구획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팬은, 상기 다수의 제2구획공간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에어컨으로부터 제1구획공간으로 배출된 냉기를 제2구획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획공간과 제2구획공간을 구획하는 벽에는, 공기순환구가 관통형성되되, 상기 순환팬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순환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구획공간과 제2구획공간의 온도차가 발생할 경우 또는 순환팬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제1구획공간의 공기가 제2구획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순환구를 개방시키는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에어컨이 설치된 제1구획공간과상기 순환팬이 설치된 제2구획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순환팬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을 상기 에어컨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과 제1구획공간의 온도값을 파악하고,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동작온도값보다 이상이면 상기 순환팬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을 동작시키되, 상기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중지온도값보다 낮으면 상기 에어컨의 동작을 중지시키며, 상기 순환팬만 동작시키고, 상기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이 상기 동작온도값보다 높으면 중시시킨 에어컨을 재동작시키며,
    상기 중지온도값은, 상기 동작온도값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설정되는 희망온도를 상기 온도감지센서로 감지된 상기 제1구획공간의 온도값 및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과 비교하여, 제1차이온도값과 제2차이온도값을 분석하는 온도분석부와,
    상기 제1차이온도값과 제2차이온도값이 기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으로 차이나면,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을 최대출력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제1구획공간의 온도값 및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이 희망온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제1차이온도값과 제2차이온도값이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을 최대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낮춰 동작시키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차이온도값과 제2차이온도값이 기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으로 차이나면, 제1구획공간의 온도값 및 제2구획공간의 온도값이 희망온도까지 도달하기까지 예상되는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을 분석하는 시간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이 기 설정된 설정시간보다 더 긴 경우,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을 최대출력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에어컨 및 순환팬의 동작시간이 상기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을 지나거나, 상기 제1예상시간과 제2예상시간이 상기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최대출력으로 동작되는 에어컨 및 순환팬을 최대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낮춰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KR1020180077064A 2018-07-02 2018-07-02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KR20180083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064A KR20180083281A (ko) 2018-07-02 2018-07-02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064A KR20180083281A (ko) 2018-07-02 2018-07-02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281A true KR20180083281A (ko) 2018-07-20

Family

ID=6310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064A KR20180083281A (ko) 2018-07-02 2018-07-02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32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8280A (zh) * 2021-06-04 2021-09-21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用于控制空调的方法、装置和智能空调
CN113915726A (zh) * 2021-11-25 2022-01-1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426B1 (ko) 1997-04-09 1999-06-15 전주범 에어컨의 온도 감지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426B1 (ko) 1997-04-09 1999-06-15 전주범 에어컨의 온도 감지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8280A (zh) * 2021-06-04 2021-09-21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用于控制空调的方法、装置和智能空调
CN113418280B (zh) * 2021-06-04 2022-07-19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用于控制空调的方法、装置和智能空调
CN113915726A (zh) * 2021-11-25 2022-01-1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CN113915726B (zh) * 2021-11-25 2023-04-0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73115A1 (en) Occupancy-based Service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10508824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system that is connected to a network
US10980099B2 (en) Load control adjustment from a wireless device
CN107252237B (zh) 一种集成环境调节和光照控制功能的窗户系统与方法
CN101178242A (zh) 操作空调系统的设备及控制空调系统的方法
KR100939281B1 (ko) 외기도입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항온항습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201902575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zone climate control
US4662269A (en) Selective zone isolation for HVAC system
CN109405190B (zh) 空调器的控制方法与装置
EP3792565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4522116A (en) Selective zone isolation for HVAC system
KR20190139024A (ko) 미세먼지감지기가 적용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KR20180083281A (ko) 에어컨과 순환팬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EP3623716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refrigerant-amount setting method therefor
US20200217550A1 (en) Hvac infrared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WO2015034079A1 (ja) 空調制御システム
CN111795464A (zh) 一种厨房新风系统及其控制方法
EP1598605A2 (en) Unitary air-conditioning syste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TW201625887A (zh) 合作系統及集中控制器以及集中控制方法
KR20160008279A (ko) 방범 기능 및 제습 기능이 구비된 공기 순환형 환풍장치
KR20060018677A (ko) 유니터리 공기조화기
WO2017168511A1 (ja) 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空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28074A (ko) 개폐식 대공간에서의 공조 제어 시스템
US20220279327A1 (en) Wirel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cuators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JP2018162905A (ja) 空気循環制御装置、空気循環制御方法、および、全館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