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782A -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a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a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782A
KR20180082782A KR1020170004089A KR20170004089A KR20180082782A KR 20180082782 A KR20180082782 A KR 20180082782A KR 1020170004089 A KR1020170004089 A KR 1020170004089A KR 20170004089 A KR20170004089 A KR 20170004089A KR 20180082782 A KR20180082782 A KR 20180082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main plate
connection
detergen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39084B1 (en
Inventor
장슬기
송문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4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084B1/en
Publication of KR20180082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7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0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16K15/031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the hinge being flexi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57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device, which is disposed on a connection flow path connecting a detergent containing part and a tub, and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plate for defining a thickness in the flow direction; an extension part extending along a periphery of the main plate and formed to be thicker than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plate; a connection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eriphery and fixed to the connection flow path.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for accommodating a fabric, a detergent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a detergent, a connection flow path for introducing a liquid in the detergent receiving part into the tub, and the check valve disposed on the connection flow path for preventing a counterflow.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a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수, 수증기 또는 거품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flow of wash water, steam or foam, and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탈수기 등이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물 및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를 포함한다. 세탁물의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세제는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이 있다. 상기 세제를 투입하기 위해,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제 수용부와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포함한다. 연결 유로는 세제가 용해된 물이 세제 수용부에서 터브로 흐르도록 구비된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washing machine, a dryer, and a dehydrator.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tub in which laundry and wash water are received. Detergents used for the treatment of laundry include laundry detergent, fabric softener or bleach. To introduce the detergent,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detergent contain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detergent.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connection duct connecting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and the tub. The connecting passage is provided so that the water in which the detergent is dissolved flows from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to the tub.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터브 내에서 세탁수, 수증기 또는 거품 등이 상기 연결 유로를 통해 세제 수용부로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washing water, water vapor, foam or the like flows into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connecting channel in the tub.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체크밸브의 동작이 걸림되는 오작동 현상을 줄이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malfunction of the operation of the check valve.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연결 유로 내의 유체의 역류는 차단하면서도, 연결 유로 내의 유체의 정상 흐름은 원활하게 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ooth flow of the fluid in the connection passage while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fluid in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제 1 내지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제 수용부와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 상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는, 유로 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하는 메인판과, 상기 메인판의 둘레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메인판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둘레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유로에 고정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first to third problems,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disposed on a connecting flow path connecting a detergent containing portion and a tub includes a main plate for forming a thickness in the flow direction,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main plate and formed thicker than a thickness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plate; and a connection portio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periphery and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제 1 내지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포를 수용하는 터브와,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와, 상기 세제 수용부 내의 액체를 상기 터브 내로 유입시키는 연결 유로와, 상기 연결 유로 상에 배치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연결 유로를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메인판과, 상기 메인판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메인판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메인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유로에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first to third problems,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tub housing a detergent, a detergent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detergent, And a check valve disposed on the connection passage to prevent backflow. Wherein the check valve includes a main plate disposed across the connection passage, an extension exten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main plate and formed to be thicker than at least a part of the main plate, And a connection portion fixed to the connection passage.

상기 제 2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second problem, the extension may form a rib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가 배치된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범위에서만 연장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third problem, the extension may be extended only in a range other than the rang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disposed.

상기 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의 두께는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판의 중앙부의 두께는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thickness of the extended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dge of the main plate.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plate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dge of the main plate.

상기 제 2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메인판의 중심을 유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상에서,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다가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의 중앙부는, 상기 단면상에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second problem, the check valve has a curved surface which forms a concave curvature from the center to the edge on a cross section including an imaginary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ain plate in the flow direction, . ≪ / RTI > The central portion of the check valve may include a surface forming a convex curvature on the cross section.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세제 수용부에 형성된 공급관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공급관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된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공급관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역류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접촉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may include a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and a supply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ub. In order to solve the third problem, the supply pip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contacting a surface looking in a backward flow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상기 연결부는 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며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홀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form a heat hole, and the connection passage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In order to solve the third problem, the extension portion may be dispos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hole.

이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체크밸브로써 터브 내의 세탁수, 수증기 또는 거품 등이 상기 세제 수용부 내로 역류하는 현상을 막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backwashing of wash water, steam, foam or the like in the tub into the detergent containing portion through the check valve.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연장부를 두껍게 함으로써, 체크밸브의 둘레 부분을 따라 잘 휘지 않도록 하여, 체크밸브가 작동 중 연결 유로 내에서 구속되는 오작동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가 잘 휘지 않기 때문에, 체크밸브의 둘레부분이 휘어져서 유로 공간의 내로 말려들어가거나, 유로 공간의 주변의 구성 들에 끼여 정상 흐름 방향으로도 이동되지 않는 오작동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extended portion of the check val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eck valve from ben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check valve, thereby reducing the malfunction of the check valve being restrained in the connection flow path during operation. Specifically, since the extension portion does not bend wel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function that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check valve is curved into the flow path space by being bent or is not moved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by being caught in the peripheral structures of the flow path space .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중앙부를 두껍게 함으로써, 메인판이 전체적으로 잘 휘지 않도록 하여, 체크밸브가 작동 중 연결 유로 내에서 구속되는 오작동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mak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check valve thick, the main plate can be prevented from bending over as a whole, and the malfunction of the check valve restrained in the connection flow path during operation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연장부를 두껍게 함으로써, 체크밸브가 연결 유로 내에서 구속되더라도, 연장부의 상대적으로 강한 복원력에 의해 구속이 스스로 쉽게 풀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thickening the extended portion of the check valve, even if the check valve is restrained in the connecting passage, the restraint can be easily released by the relatively strong restoring force of the extended portion.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상기 주변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가볍게 하여, 연결 유로 내의 정상 흐름 방향의 유체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가 쉽게 개방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check valve relatively, the weight of the check valve is relatively lightened, so that the check valve can be easily opened by the fluid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in the connection passage.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볼록하고 오목한 곡률을 가진 표면 형성을 통해, 연결 유로 내의 정상 흐름 방향의 유체가 오목한 곡률 부분으로 모여,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정상 흐름 방향으로 쉽게 열리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convex and concave curvature surface of the check valve, the fluid in the steady flow direction in the connection passage collects at the concave curvature portion, so that the check valve can be easily opened in the steady flow direction.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볼록하고 오목한 곡률을 가진 표면 형성을 통해, 연결 유로 내의 역류 방향의 유체가 오목한 곡률 부분으로 모여, 상기 체크밸브가 충분한 힘으로 상기 연결 유로를 폐쇄시키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convex and concave curved surface of the check valve, the fluid in the counter flow direction in the connection passage is gathered at the concave curved portion, and the check valve closes the connection passage with sufficient force.

또한, 연결홀의 하단보다 하측에 연장부를 위치시키거나, 연장부가 상측의 연결부을 제외한 범위내에서만 연장되게 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가 유체의 정상 흐름 방향으로는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연결부는 강성이 작게하여 잘 휘어지게 함으로써, 체크밸브의 둘레부분이 잘 휘어지지 않더라도 원할 하게 연결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heck valve can be smoothly bent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by allowing the extension portion to be position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hole or extending only within the range except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have. That is,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small rigidity to be bent so that the connecting channel can be opened smoothly even i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check valve is not bent proper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 수용부(150) 및 체크밸브(170)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체크밸브(17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체크밸브(170)를 정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체크밸브(170)를 라인 A1-A1'를 따라 두께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공급관 연결부(153)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2의 공급관 연결부(153)를 정면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7a는 체크밸브(170)가 제외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체크밸브(170)가 연결유로 상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b의 공급관 연결부(153) 및 체크밸브(170)를 라인 A2-A2'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8a는 연결 유로(160, 153) 내의 액체가 정상 흐름 방향(F)으로 흐를 때 체크밸브(17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연결 유로(160, 153) 내의 액체가 역류 방향(R)으로 흐를 때 체크밸브(17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detergent receiver 150 and the check valve 170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eck valve 170 of FIG.
4 is a top view of the check valve 170 of FIG. 2 viewed from the fro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heck valve 170 of FIG. 4 cut along the line A1-A1 'in the thickness direc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of FIG.
7A and 7B are top views of 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of FIG. 2 viewed from the front. FIG. 7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heck valve 170 is excluded, and FIG. 7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heck valve 170 is disposed on the connection passage.
Figs. 8A and 8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upply pipe connecting portion 153 and the check valve 170 of Fig. 7B cut along the line A2-A2 '. 8A shows the state of the check valve 170 when the liquid in the connection flow paths 160 and 153 flows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F and FIG. 8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liquid in the connection flow paths 160 and 153 flows in the reverse flow direction R of the check valve 170. As shown in Fig.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정상 흐름 방향(F)'은 세제 수용부(150) 내의 액체가 정상적으로 터브(122) 내로 공급될 때 유체가 흐르는 방향을 의미하고, '역류 방향(R)'은 터브(122) 내의 액체나 기체 등이 세제 수용부(150) 내로 유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2, 도 8a 및 도 8b는, 정상 흐름 방향(F) 및 역류 방향(R)을 도시한다.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유로 방향'은 정상 흐름 방향(F) 및 역류 방향(R)을 포괄하는 의미이다.The 'normal flow direction (F)' referred to in the present descrip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when the liquid in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is normally supplied into the tub 122, and the 'reverse flow direction R' 122 or the like flows into the detergent housing unit 150. [0064] Figs. 2, 8A and 8B show the normal flow direction F and the counter flow direction R. Fig. The "flow direction" referred to in the present description is meant to encompass the normal flow direction (F) and the counter flow direction (R).

또한,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상(U)/하(D)/좌(Le)/우(Ri)'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4, 도 7a 및 도 7b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다. 또한,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중심축(X)'은 체크밸브(170)의 중심부를 유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축을 의미하고, '원주 방향'이란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원심 방향'이란 중심축(X)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원심 반대 방향'이란 중심축(X)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expression referring to directions such as 'U / D / Le / Right' referred to in the present description is defined as shown in FIGS. 4, 7A and 7B . The 'center axis X'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means a virtu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heck valve 170 in the flow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rotating about the center axis X . The 'centrifug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X, and the 'centrifug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approaching the central axis X.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learly understood,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directions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re the reference is placed.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The use of the term "first, second, third, etc." in front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entioned below is intended to avoid confusion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entioned above, and it is not limited to the order, importance, . For example, an invention including only the second component without the first component is also feasible.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포 투입구(111a)가 형성된 케이싱(111)과, 포 투입구(111a)를 개폐하는 도어(112)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케이싱(111) 내에 배치되는 터브(122)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터브(12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124)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124)은 포 투입구(111a)를 통해 투입된 포를 수용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드럼(124)를 회전시키는 모터(113)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150)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컨트롤 패널(11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111 having a filling port 111a and a door 112 for opening and closing a filling port 111a.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tub 122 disposed in a casing 111. [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drum 124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122. The drum 124 accommodates the pellets introduced through the pouring port 111a.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motor 113 for rotating the drum 124.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for receiving detergent.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ontrol panel 114.

케이싱(111)에는 포 출입구(111a)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1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케이싱(111)에는 컨트롤 패널(114)이 구비된다. The door 11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112 so that the door 112a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casing 111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114.

터브(122)는 케이싱(111) 내부에 스프링(115) 및 댐퍼(117)에 의하여 완충 가능하게 배치된다. 터브(122)는 세탁수를 수용한다. 터브(122)는 드럼(124)의 외부에 드럼(124)를 감싸며 배치된다. 터브(122)는 포를 수용한다. 드럼(124)이 구비되지 않는 실시예에서, 터브(122)의 내면에 포가 접촉하며 터브(122)가 포를 수용할 수 있다. 드럼(124)이 구비되는 실시예에서, 드럼(124)이 포를 수용하고 터브(122)는 드럼(124)을 수용하므로, 터브(122)는 포를 수용한다.The tub 122 is disposed in the casing 111 so as to be able to be buffered by the spring 115 and the damper 117. The tub 122 receives wash water. The tub 122 is disposed outside the drum 124 so as to surround the drum 124. The tub 122 receives the can. In an embodiment where the drum 124 is not provided, the ca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122 and the tub 122 can receive the can.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drum 124 is provided, the tub 122 receives the bell and the tub 122 receives the drum 124, so that the tub 122 receives the bell.

모터(113)는 드럼(124)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한다. 모터(113)는 정방향 또는 상기 정방향과 반대인 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드럼(124)을 다양한 속도 또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motor 113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the drum 124. [ The motor 113 is rotatable in a positive direction or in a reverse direction opposite to the positive direction, and may rotate the drum 124 at various speeds or directions.

드럼(124)은 터브(12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드럼(124)은 회전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124)은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드럼(124)은 모터(11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The drum 124 may be disposed within the tub 122. The drum 124 is formed into a rotatable cylindrical shape. The drum 124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o allow wash water to pass therethrough. The drum 124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13 and rotates.

개스킷(128)은 터브(122)와 케이싱(111) 사이를 밀봉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의 입구와 포 투입구(111a) 사이에 배치된다. 개스킷(128)은 드럼(124)의 회전시 도어(11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스킷(128)에는 드럼(124) 내로 세탁수를 유입하는 순환노즐(127)이 구비될 수 있다.The gasket 128 seals between the tub 122 and the casing 111. The gasket 128 is disposed between the inlet of the tub 122 and the filling port 111a. The gasket 128 alleviates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door 112 when the drum 124 rotates and prevents the wash water in the tub 122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 gasket 128 may be provided with a circulation nozzle 127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drum 124.

세제 수용부(150)는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케이싱(111)의 외부에서 세제 수용부(150)의 내부로 세제를 투입 가능하게 구비된다. 일 예로, 세제 수용부(150)의 내부에는 드로어(미도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케이싱(111)의 외부에서 상기 드로어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케이싱(111)의 외부에서 상기 세제 수용부(150)의 전체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세제 수용부(150)는 케이싱(111)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세제 수용부(150) 내의 세제는 물과 혼합되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receives a detergent such as laundry detergent, fabric softener or bleach.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such that the detergent can be introduced into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111. For example, a drawer (not shown) may be slidably disposed in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and the drawer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111. As another example, the entirety of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casing 111.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111 to be detachable. The detergent in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is mixed with water and flows into the tub 122.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물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131)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급수 밸브(131)에 의해 유입된 물을 세제 수용부(150)로 안내하는 급수 유로(132)를 포함한다. 급수 유로(132)는 세제 수용부(15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세제 수용부(150) 내의 세제와 물이 혼합된 액체가 연결 유로(153, 160)를 통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연결 유로(153, 160)는 세제 수용부(150) 내의 액체를 터브(122) 내로 유입시킨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water supply valve 131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water supply flow path 132 for guiding the water introduced by the water supply valve 131 to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The water supply flow path 132 guides water to be supplied into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The liquid mixed with the detergent and the water in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flows into the tub 122 through the connecting flow paths 153 and 160. [ The coupling flow paths 153 and 160 introduce the liquid in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into the tub 122. [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케이싱(111) 내부에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유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수관(135)과, 배수되는 세탁수에 압력을 가하는 펌프(136)와, 세탁수가 케이싱(111)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배수 유로(138)를 포함한다. 터브(122)내의 세탁수는 배수관(135), 펌프(136) 및 배수 유로(138)를 순차적으로 거쳐 배수된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asing 111 having a drain pipe 135 for guiding the wash water in the tub 122 to flow out, a pump 136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wash water to be drained, And a water drainage passage 138 for guiding water to be drained to the outside.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122 is drained through the drain pipe 135, the pump 136 and the drain pipe 138 sequentially.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 유로(137)와, 세탁수가 드럼(124) 내로 유입하는 순환노즐(127)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순환 펌프 및 배수 펌프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irculation flow path 137 for circulating wash water and a circulation nozzle 127 through which the wash water flows into the drum 124.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circulation pump and a drain pump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도 2를 참고하여, 세제 수용부(150)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공간(150a)을 형성한다. 세제 수용부(150)는 터브의 상측에 위치한다. 세제 수용부(150)는 내부에 세제 수용공간(150a)을 형성하는 세제 케이스(151)를 포함한다. 세제 케이스(151)는 세제 수용부(150)의 외형을 형성한다. 세제 수용부(150)는 공급관(160)에 연결되는 공급관 연결부(153)를 포함한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세제 수용부(150)의 하측에 배치된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세제 케이스(151)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유로 방향으로 돌출된다.Referring to Fig. 2,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forms a detergent receiving space 150a for receiving the detergent.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ub. The detergent housing part 150 includes a detergent case 151 which forms a detergent housing space 150a therein. The detergent case 151 forms an outer shape of the detergent container 150.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includes a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160. The supply pipe connecting portion 153 is disposed below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The supply pipe connection part 153 may protrude from the detergent case 151 to one side. The supply pipe connecting portion 153 protrudes in the flow direction.

연결 유로(153, 160)는 세제 수용부(150) 내부의 액체를 터브(122) 내로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연결 유로(153, 160)는, 일단이 공급관 연결부(153)에 연결되고 타단이 터브(122)에 연결된 공급관(160)을 포함한다. 연결 유로(153, 160)는, 세제 수용부(150)에 형성된 공급관 연결부(153)를 포함한다. 체크밸브(170)는 연결 유로(160, 153)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체크밸브(170)는 공급관(160) 또는 공급관 연결부(153)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크밸브(170)는 공급관 연결부(153)에 배치된다.The coupling flow paths 153 and 160 provide a passage for guiding the liquid inside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into the tub 122. The connection flow paths 153 and 160 include a supply pipe 16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ub 122. The connection flow paths 153 and 160 include a supply pipe connecting portion 153 formed in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The check valve 170 is disposed on the connecting flow paths 160 and 153. Specifically, the check valve 170 may be disposed in the supply pipe 160 or 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 In this embodiment, the check valve 170 is disposed in 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

도 6 내지 8b를 참고하여, 공급관 연결부(153)는 공급관(160)의 일단에 연결된다. 공급관 연결부(153)는 공급관(160)의 일단과 체결되는 스크류(153a)를 형성할 수 있다. 스크류(153a)는 공급관 연결부(153)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관(160)의 일단부의 내주면에는 스크류(153a)와 맞물리는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6 to 8B, 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ly pipe 160. Fig. The supply pipe connection part 153 may form a screw 153a to be fastened to one end of the supply pipe 160. [ The screw 153a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ly pipe connecting portion 153. [ A groove shaped to engage with the screw 153a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supply pipe 160. [

공급관 연결부(153)는 유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유로 공간(153b)을 형성한다. 유로 공간(153b)은 세제 수용공간(150a)과 연결된다. 유로 공간(153b)은 공급관(160) 내부의 공간과 연결된다. The supply pipe connecting portion 153 forms a flow path space 153b extending along the flow direction. The flow path space 153b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accommodation space 150a. The flow path 153b is connected to the space inside the supply pipe 160. [

공급관 연결부(153)는 체크밸브(170)의 가장자리 부분의 배면이 접촉되는 안착부(154)를 포함한다. 안착부(154)는 공급관 연결부(153)의 외주면보다 원심 방대 방향에 위치한다. 안착부(154)는 체크밸브(170)의 연장부(173)의 역류 방향(R)을 바라보는 면에 접촉한다. 안착부(154)는 체크밸브(170)가 안착부(154)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역류 방향(R)으로 휘어지지 않게 한다.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includes a seat portion 154 to which the back surface of the edge portion of the check valve 170 abuts. The seating portion 154 is located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The seating portion 154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that faces the backward flow direction R of the extension portion 173 of the check valve 170. [ The seating portion 154 prevents the check valve 170 from further bending in the backward flow direction R when the seating portion 154 is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154.

공급관 연결부(153)는 체크밸브(170)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되는 둘레부(155)를 포함한다. 둘레부(155)는 안착부(154)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된다. 둘레부(155)는 안착부(154)에서 정상 흐름 방향(F)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둘레부(155)의 상측부에는 배치 홈(153c)이 형성된다. 배치 홈(153c)에는 체크밸브(170)의 연결부(175)가 배치된다.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includes a circumferential portion 155 which surrounds and surrounds the check valve 170. The peripheral portion 155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seating portion 154. The peripheral portion 155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F from the seating portion 154. An arrangement groove 153c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155. [ A connection portion 175 of the check valve 170 is disposed in the placement groove 153c.

공급관 연결부(153)는, 공급관 연결부(153)의 내측면에서 원심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유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안착 보조부(157)를 포함한다. 안착 보조부(157)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착 보조부(157)는 안착부(154)가 배치된 지점에서 말단을 형성한다. 복수의 안착 보조부(157)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관 연결부(153)의 내측면 중, 좌측면에 형성된 제 1안착 보조부(157a)와, 하측면에 형성된 제 2안착 보조부(157b)와, 우측면에 형성된 제 3안착 보조부(157c)가 구비된다. 안착 보조부(157)의 말단은 체크밸브(170)가 안착부(154)에 접촉한 상태에서 역류 방향(R)으로 더 이상 꺾이지 않게 한다.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includes a seating auxiliary portion 157 protruding in the centrifugal opposite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and extending along the flow direction. The seating auxiliary portion 157 is formed in a rib shape. The seating assist portion 157 forms a distal end at a position where the seating portion 154 is disposed. A plurality of seating assist parts 157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ly pipe connecting portion 153, A first seating support auxiliary part 157a, a second seating auxiliary part 157b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a third seating auxiliary part 157c formed on the right side. The distal end of the seat support portion 157 prevents the check valve 170 from being further broken in the backward flow direction R in a state in which the check valve 170 is in contact with the seat portion 154. [

공급관 연결부(153)는 체크밸브(17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58)를 포함한다. 고정부(158)는 배치 홈(153c)에 배치된다. 배치 홈(153c)은 공급관 연결부(153)의 말단에서 역류 방향(R)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고정부(158)는 정상 흐름 방향(F)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정부(158)는 체크밸브(170)의 후술할 연결홀(175a)을 통과하며 배치된다.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includes a fixing portion 158 for fixing the check valve 170. The fixing portion 158 is disposed in the placement groove 153c. The placement groove 153c is recessed in the backward flow direction R at the end of 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153. [ The fixing portion 158 is formed by protruding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F. [ The fixing portion 158 is arranged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75a of the check valve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고정부(158)는 정상 흐름 방향(F)으로 돌출되고 연결홀(175a)을 통과하며 배치되는 제 1파트(158a)를 포함한다. 제 1파트(158a)는 안착부(15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정부(158)는 체크밸브(170)를 걸림되게 형성된 제 2파트(158b)를 포함한다. 제 2파트(158b)는 후크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파트(158b)는 제 1파트(158a)의 말단부에 형성된다. 제 2파트(158b)는 연결홀(175a)의 정상 흐름 방향 측에 배치된다. 제 2파트(158b)는, 제 1파트(158a)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제 1후크(158b1)를 포함한다. 제 2파트(158b)는, 제 1파트(158a)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 2후크(158b2)를 포함한다. 제 2파트(158b)는, 제 1파트(158a)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 3후크(158b3)를 포함한다.The fixing portion 158 includes a first part 158a that protrudes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F and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75a. The first part 158a is formed protruding on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as the seating part 154. [ The fixing portion 158 includes a second portion 158b formed to catch the check valve 170 therein. The second part 158b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The second part 158b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part 158a. And the second part 158b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normal flow direction of the connection hole 175a. The second part 158b includes a first hook 158b1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part 158a. The second part 158b includes a second hook 158b2 protruding to the right in the first part 158a. The second part 158b includes a third hook 158b3 protruding to the left in the first part 158a.

도 2 내지 도 5 및 도 7b 내지 도 8b를 참고하여, 체크밸브(170) 는 세제 수용부(150)와 터브(122)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160, 153) 상에 배치된다. 체크밸브(170)는 연결 유로(160, 153) 상에 배치되어 역류를 방지한다. 체크밸브(170)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체크밸브(170)는 연결 유로(160, 153) 내의 액체의 흐름에 의한 압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2 through 5 and 7B through 8B, the check valve 170, Is disposed on the connection flow paths (160, 153) connecting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150) and the tub (122). The check valve 170 is disposed on the connecting flow paths 160 and 153 to prevent backflow. The check valve 17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The check valve 17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bent by the pressure caused by the flow of the liquid in the connection flow paths 160 and 153.

체크밸브(170)는 연결 유로(160, 153)를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메인판(171)을 포함한다. 체크밸브(170)는 메인판(17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173)를 포함한다. 연장부(173)는 메인판(171)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체크밸브(170)는 연결 유로(160, 153)에 고정되는 연결부(175)를 포함한다. 연결부(175)는 메인판(171)의 일측에 배치된다.The check valve 170 includes a main plate 171 disposed across the connection flow paths 160 and 153. The check valve 170 includes an extension 173 exten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main plate 171. The extended portion 173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 plate 171. The check valve 170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175 fixed to the connection flow paths 160 and 153. The connection portion 175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plate 171.

메인판(171)은 유로 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한다. 메인판(171)은 유로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부(171a)를 포함한다. 메인판(171)은 중앙부(17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주변부(171b)를 포함한다. 주변부(171b)는 중앙부(171a)와 연장부(173)의 사이에 배치된다. 주변부(171b)는 중앙부(171a)보다 원심 방향에 위치한다. 주변부(171b)는 연장부(173)보다 원심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The main plate 171 forms a thickness in the flow direction. The main plate 171 includes a central portion 171a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low path. The main plate 171 includes a peripheral portion 171b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portion 171a. The peripheral portion 171b is dispos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71a and the extending portion 173. [ The peripheral portion 171b is located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than the central portion 171a. The peripheral portion 171b is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stal portion 173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연결부(175)는 메인판(171)의 둘레의 일측에 배치된다. 연결부(175)는 연결 유로(160, 153)에 고정되기 위해 구비된다. 연결부(175)는, 탄성 휨 변형 및 탄성 복원하여, 연결 유로(160, 153)를 개폐한다.(도 8a 및 도 8b 참고) 연결부(175)는 연결홀(175a)을 형성한다. 연결홀(175a)은 연결부(175)를 유로 방향으로 관통한다. 연결부(175)는 체크밸브(170)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연결부(175)는 메인판(171)과 일체로 형성된다.The connection portion 175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plate 171. The connection portion 175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onnection flow paths 160 and 153. The connecting portion 175 is elastically deformed and elastically restored to open and close the connecting flow paths 160 and 153. (Refer to FIGS. 8A and 8B) The connecting portion 175 forms a connecting hole 175a. The connection hole 175a penetrates the connection portion 175 in the flow direction. The connection portion 175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check valve 170. The connection portion 175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plate 171.

연장부(173)는 메인판(171)의 둘레을 따라 연장된다. 연장부(173)는 주변부(171b)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연장부(173)는 메인판(171)과 일체로 형성된다. 연장부(173)는 메인판(171)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연장부(173)는 인접하는 메인판(171)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유로 방향으로의 두께)를 형성한다. 연장부(173)는 주변부(171b)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형성한다. 연장부(173)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The extension 173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plate 171. The extension 173 extends around the periphery 171b. The extended portion 17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plate 171. [ The extended portion 173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 plate 171. The extending portion 173 forms a thickness (thickness in the flow direction) that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djacent main plate 171. The extension portion 173 forms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eripheral portion 171b. The extending portion 173 can form a rib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4를 참고하여, 연장부(173)는, 연결부(175)가 배치된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범위에서만 연장된다. 연장부(173)는, 메인판의 중심을 유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축(X)을 기준으로, 연결부(175)가 배치된 예각 범위(a)를 제외한 나머지 각도 범위(b)에서만 연장된다.4, the extension portion 173 extends only in the remaining range excluding the rang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175 is disposed. The extending portion 173 is extended only in the remaining angular range b except for the acute angle range a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175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virtual center axis X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ain plate in the flow direction. do.

연장부(173)는 연결홀(175a)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연장부(173)의 상단에서 연결부(175)의 상단까지의 길이를 연결부 길이(c)로 정의한다. 연결부 길이(c)의 하단은 연결홀(175a)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The extension portion 173 is dispos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hole 175a. The length from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173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75 is defined as a connection portion length c.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length c may be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hole 175a.

도 5를 참고하여, 연장부(173)의 두께(e)는 메인판(171)의 가장자리의 두께(f)보다 크게 형성된다. 연장부(173)의 두께(e)는 주변부(171b)의 두께(f)보다 크게 형성된다. 연장부(173)는 정상 흐름 방향(F)으로 돌출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173)는 역류 방향(R)으로 돌출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173)는 메인판(171)의 가장자리에서 정상 흐름 방향(F)으로 돌출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판(171)의 가장자리에서 역류 방향(R)으로 돌출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5, the thickness e of the extended portion 173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f of the edge of the main plate 171. [ The thickness e of the extending portion 173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f of the peripheral portion 171b. The extension portion 173 can form a surface protruding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F. [ The extending portion 173 can form a surface protruding in the backward flow direction R. [ The extension portion 173 can form a surface protruding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F from the edge of the main plate 171. [ A surface protruding in the backward flow direction R from the edge of the main plate 171 can be formed.

메인판(171)의 중앙부(171a)의 두께(d)는 메인판(171)의 가장자리의 두께(f)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판(171)의 중앙부(171a)의 두께(d)는 주변부(171b)의 두께(f)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171a)의 두께(d)는 연장부(173)의 두께(e)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ckness d of the center portion 171a of the main plate 171 may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f of the edge of the main plate 171. [ The thickness d of the central portion 171a of the main plate 171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f of the peripheral portion 171b. The thickness d of the central portion 171a may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e of the extending portion 173. [

체크밸브(170)는, 중심축(X)을 포함하는 단면상에서, 중앙부(171a)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오목한 곡률(r2)을 형성하다가 볼록한 곡률(r3)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체크밸브(170)의 정상 흐름 방향(F)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곡률(r2) 및 상기 곡률(r3)을 형성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역류 방향(R)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곡률(r2) 및 상기 곡률(r3)을 형성할 수 있다.The check valve 170 includes a surface forming a convex curvature r3 while forming a concave curvature r2 from the central portion 171a toward the edge on a section including the central axis X. [ The surface facing the normal flow direction F of the check valve 170 may form the curvature r2 and the curvature r3. The surface facing the backward flow direction R of the check valve 170 may form the curvature r2 and the curvature r3.

체크밸브(170)의 중앙부(171a)는, 중심축(X)을 포함하는 단면상에서 볼록한 곡률(r3)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체크밸브(170)의 중앙부(171a)의 정상 흐름 방향(F)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곡률(r3)을 형성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중앙부(171a)의 역류 방향(R)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곡률(r3)을 형성할 수 있다.The central portion 171a of the check valve 170 includes a surface forming a convex curvature r3 on the cross section including the central axis X. [ The surface facing the normal flow direction F of the central portion 171a of the check valve 170 can form the curvature r3. The surface facing the backward flow direction R of the central portion 171a of the check valve 170 can form the curvature r3.

체크밸브(170)는, 중심축(X)을 포함하는 단면상에서, 중앙부(171a)에서 볼록한 곡률(r3)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는 상기 단면상에서, 주변부(171b)에서 오목한 곡률(r2)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잇다. 체크밸브(170)는 상기 단면상에서, 연장부(173)에서 볼록한 곡률(r1)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면상에서 체크밸브(170)의 표면은, 상기 곡률(r1)을 형성하는 표면과 상기 곡률(r2)을 형성하는 표면이 연결되는 변곡점(p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면상에서 체크밸브(170)의 표면은, 상기 곡률(r2)을 형성하는 표면과 상기 곡률(r3)을 형성하는 표면이 연결되는 변곡점(p2)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정상 흐름 방향(F)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변곡점(p1)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정상 흐름 방향(F)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변곡점(p2)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역류 방향(R)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변곡점(p1)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170)의 역류 방향(R)을 바라보는 표면은, 상기 변곡점(p2)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eck valve 170 may include a surface forming a convex curvature r3 at the central portion 171a on a cross section including the central axis X. [ The check valve 170 may, on the cross section, include a surface that forms a concave curvature r2 in the peripheral portion 171b. The check valve 170 may include, on the cross section, a surface that forms a convex curvature rl in the extension 173. The surface of the check valve 170 on the cross section may include an inflection point p1 at which the surface forming the curvature r1 and the surface forming the curvature r2 are connected. The surface of the check valve 170 on the section may include an inflection point p2 connecting the surface forming the curvature r2 and the surface forming the curvature r3. The surface facing the normal flow direction F of the check valve 170 may include the inflection point p1. The surface facing the normal flow direction F of the check valve 170 may include the inflection point p2. The surface facing the backward flow direction R of the check valve 170 may include the inflection point p1. The surface facing the backward flow direction R of the check valve 170 may include the inflection point p2.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여, 체크밸브(17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the operation of the check valve 170 will be described below.

연결 유로(160, 153) 내의 유체가 정상 흐름 방향(F)으로 흐르는 경우, 유체는 체크밸브(170)에 정상 흐름 방향(F)으로 압력을 제공한다. 이 때, 연결부(175)의 하측부가 정상 흐름 방향(F)으로 휘어지면서, 연장부(173)와 안착부(154) 사이에 갭(gap)이 형성된다. 상기 갭을 통해, 연결 유로(160, 153) 내의 유체가 흘러갈 수 있게 된다. 연결부(175)의 하측부는 원할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연장부(173)가 형성되지 않는 연결부 길이(c)를 충분히 확보하게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fluid in the coupling flow paths 160 and 153 flows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F, the fluid provides pressure to the check valve 170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F. [ At this tim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xtended portion 173 and the seating portion 154 while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175 is bent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F. The fluid in the connection flow passages 160 and 153 can flow through the gap.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75 can be sufficiently bent so as to sufficiently secure the length c of the connecting portion where the extending portion 173 is not formed.

연결 유로(160, 153) 내의 유체가 역류 방향(F)으로 흐르는 경우, 유체는 체크밸브(170)에 역류 방향(R)으로 압력을 제공한다. 이 때, 연장부(173)와 안착부(154)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연장부(173)와 안착부(154)가 서로 접촉하면 연결 유로(160, 153)가 막히게 되고, 유체가 역류 방향(R)으로 흘러 세제 수용부(1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연장부(173)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여, 연장부(173)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장부(173)의 강성을 증가시키면, 연장부(173)가 휘어져서 유로 공간(153b)의 내로 말려들어가거나, 유로 공간(153b)의 주변의 구성 들(안착부(154) 및/또는 안착 보조부(157))에 끼여 정상 흐름 방향(F)으로도 이동되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fluid in the connecting flow paths 160 and 153 flows in the backward flow direction F, the fluid provides pressure to the check valve 170 in the backward flow direction R. [ At this time, the extended portion 173 and the seating portion 154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extended portion 173 and the seating portion 154 contact each other, the coupling flow paths 160 and 153 are blocked, and the fluid flows in the backward flow direction R and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detergent containing portion 150.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extended portion 173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rigidity of the extended portion 173 can be increased. When the rigidity of the extension portion 173 is increased, the extension portion 173 is curved and is curled into the flow path space 153b or the structures (the seating portion 154 and / or the seating portion 154) around the flow path space 153b Malfunction that does not move even in the normal flow direction (F) can be prevented.

100 : 세탁물 처리장치 124 : 드럼
122 : 터브 132 : 급수 유로
150 : 세제 수용부 150a : 세제 수용공간
151 : 세제 케이스 153 : 공급관 연결부
160, 153 : 연결 유로 160 : 공급관
153 : 공급관 연결부 154 : 안착부
155 : 둘레부 157 : 안착 보조부
158 : 고정부
170 : 체크밸브 171 : 메인판
171a : 중앙부 171b : 주변부
173 : 연장부 175 : 연결부
175a : 연결홀
100: laundry processing device 124: drum
122: a tub 132:
150: Detergent receiving part 150a: Detergent receiving space
151: Detergent case 153: Supply pipe connection
160, 153: Connection channel 160: Supply pipe
153: supply pipe connection part 154: seat part
155: circumference part 157: seat support part
158:
170: check valve 171: main plate
171a: central portion 171b: peripheral portion
173: extension part 175: connection part
175a: connection hole

Claims (10)

세제 수용부와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 상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에 있어서,
유로 방향으로 두께를 형성하는 메인판;
상기 메인판의 둘레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메인판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둘레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유로에 고정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disposed on a connecting flow path connecting a detergent containing portion and a tub,
A main plate which forms a thickness in the flow direction;
An extension exten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main plate and being formed thicker than a thickness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 plate; And
And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erimeter and adapted to be fixed to the connection pass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forming a rib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가 배치된 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범위에서만 연장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The check valve extending only in the remaining range except for the rang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dispo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두께는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hickness of the extended portion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dge of the main plat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판의 중앙부의 두께는 상기 메인판의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plate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dge of the main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메인판의 중심을 유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상에서,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다가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eck valve
And a surface forming a convex curvature on a section including an imaginary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main plate in the flow direction, the curvature forming a concave curvature from the center to the edg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의 중앙부는,
상기 단면상에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entral portion of the check valve
And a surface forming a convex curvature on said cross-section.
포를 수용하는 터브;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
상기 세제 수용부 내의 액체를 상기 터브 내로 유입시키는 연결 유로; 및
상기 연결 유로 상에 배치되어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연결 유로를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메인판;
상기 메인판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메인판의 적어도 일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메인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유로에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A tub for receiving the can;
A detergent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detergent;
A connecting passage through which the liquid in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flows into the tub; And
And a check valve disposed on the connection passage for preventing backflow,
The check valve
A main plate disposed across the connection passage;
An extension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plate and being formed thicker than a thickness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 plate; And
And a connection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plate and fixed to the connection passag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세제 수용부에 형성된 공급관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공급관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된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역류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접촉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nection channel includes a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and a supply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ub,
The supply pipe connection portion
And a seat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a surface looking in a direction of backward flow of the extending por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유로는 상기 연결홀을 통과하며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홀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forms a heat hole,
Wherein the connection passage includes a fixing portion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is dispos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hole.
KR1020170004089A 2017-01-11 2017-01-11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a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9390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89A KR101939084B1 (en) 2017-01-11 2017-01-11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a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089A KR101939084B1 (en) 2017-01-11 2017-01-11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a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782A true KR20180082782A (en) 2018-07-19
KR101939084B1 KR101939084B1 (en) 2019-01-16

Family

ID=6305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089A KR101939084B1 (en) 2017-01-11 2017-01-11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a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08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501A (en) * 1996-05-17 1997-11-25 Yamato Protec Co Water flow detector
JPH10272277A (en) * 1997-03-31 1998-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0341843Y1 (en) * 2003-11-11 2004-02-14 씨티엠(주) Drain check valve assembly for dish washer
KR20160021517A (en) * 2014-08-18 2016-02-26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Check valve for ureawater injection and urea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501A (en) * 1996-05-17 1997-11-25 Yamato Protec Co Water flow detector
JPH10272277A (en) * 1997-03-31 1998-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0341843Y1 (en) * 2003-11-11 2004-02-14 씨티엠(주) Drain check valve assembly for dish washer
KR20160021517A (en) * 2014-08-18 2016-02-26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Check valve for ureawater injection and ureawater supply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084B1 (en)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31400B2 (en) Laundry machine
KR101332286B1 (en) Washing Machine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US20120024021A1 (en) Washing machine
TWI453316B (en) Drum Washing Machine (3)
EP3121326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982792B1 (en) Water quality detector assembly of a washing machine
KR20150047372A (en) Washing Machine
EP3594403A1 (en) Washing machine
KR102448494B1 (en) Washing machine
KR101939084B1 (en) a Check valve for a laundry processing device and a Laundry proces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37327A (en) Drainage apparatus
KR102173188B1 (en) Drainage pump and cloth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00086621A (en) Drumtype washing machine
US20210131012A1 (en) Washing machine
TWI676722B (en) washing machine
KR20170123599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6932188B2 (en) Washing machine
JP7372133B2 (en)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filter equipment
US11913161B2 (en) Washing machine
US2024002659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054400B1 (en) Fluid spill blocking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JP2021529044A (en) Washing machine
KR20170006091A (en) Laundry treat machine
JP2021528182A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