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123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2123A KR20180082123A KR1020170003420A KR20170003420A KR20180082123A KR 20180082123 A KR20180082123 A KR 20180082123A KR 1020170003420 A KR1020170003420 A KR 1020170003420A KR 20170003420 A KR20170003420 A KR 20170003420A KR 20180082123 A KR20180082123 A KR 201800821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lid
- rotation
- cam
- cover
- rota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2040/225—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본체; 수평 회전에 의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속뚜껑; 및 상기 속뚜껑의 회전을 구현하는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부는, 상기 속뚜껑의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접촉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승강부가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상기 승강부의 승강으로 전환하는 돌출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속뚜껑의 개방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은 고형 화장품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체 화장품 등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의 경우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와 같은 화장도구는 화장품 용기의 속뚜껑 위에 안착된 상태로 화장품 용기의 내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겉뚜껑을 열어 속뚜껑에 안착된 퍼프를 인출한 뒤,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속뚜껑을 열어 화장품을 노출시킨 다음, 퍼프를 화장품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경우, 겉뚜껑의 개방 후 속뚜껑의 개방 사이에, 사용자가 속뚜껑에 안착되어 있는 퍼프를 손가락 등에 고정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속뚜껑 역시 겉뚜껑과 마찬가지로 힌지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퍼프를 속뚜껑에서 꺼내지 않고 속뚜껑을 열게 되면 퍼프가 바닥에 떨어져 버려서 오염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속뚜껑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속뚜껑에 놓여 있는 퍼프를 손가락에 끼우는 등의 동작을 해야 하고, 손가락에 퍼프가 끼워진 상태로 속뚜껑을 들어 올려야 함에 따라 불편함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겉뚜껑 개방 후 속뚜껑을 개방할 때, 속뚜껑이 퍼프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퍼프가 떨어질 염려 없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본체; 수평 회전에 의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속뚜껑; 및 상기 속뚜껑의 회전을 구현하는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부는, 상기 속뚜껑의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접촉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승강부가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상기 승강부의 승강으로 전환하는 돌출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캠은, 둘레를 따라 높이가 상승하였다가 하강하는 것을 반복하는 파형의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캠은, 둘레를 따라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캠부는, 상기 승강부를 상기 회전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캠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용기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캠부는,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승강부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중심축의 일단을 고정하는 걸림부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을 두르는 둘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둘레부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둘레부의 외측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속뚜껑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 회전에 의해 상기 속뚜껑의 일측을 개폐하는 겉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겉뚜껑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속뚜껑은, 상기 겉뚜껑과 인접한 일면에 상기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한 도구를 안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겉뚜껑은,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상기 속뚜껑을 내리 누르는 리브를 가지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속뚜껑이 상기 리브에 의해 눌리면 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힌지 회전하는 겉뚜껑과 달리 속뚜껑(20)이 수평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속뚜껑이 개방되더라도 속뚜껑에 놓인 퍼프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캠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캠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캠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때 도 1과 도 2는 속뚜껑(20)이 열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속뚜껑(20)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본체(10), 속뚜껑(20), 겉뚜껑(30), 캠부(4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0)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을 갖는다. 용기본체(1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액상이거나, 분말형 등의 화장품일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본체(10)의 수용공간(11)은 내용물을 직접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수용공간(11) 내에 내용물을 담은 리필용기(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리필용기는 상면에 보호시트(도시하지 않음)가 덮인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리필용기를 수용공간(11) 내에 삽입한 뒤 보호시트를 제거할 수 있고, 리필용기에 담긴 내용물은 속뚜껑(2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수용공간(11)에 리필용기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도록 하기 위해, 수용공간(11)의 하면에는 개구(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개구를 통해 수용공간(11)에 결합된 리필용기를 밀어올려서, 리필용기가 수용공간(1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용기본체(10)는 수용공간(11)을 두르는 둘레부(12)를 포함한다. 둘레부(12)는 수용공간(11)과 후술할 개폐 연동부(40)를 서로 분리하는 격벽과 같은 구조일 수 있으며, 일례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둘레부(12)의 내측에는 내용물이 직접 수용될 수 있고,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11)에 리필용기가 안착되면서 둘레부(12)의 내벽에 리필용기가 결합될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테두리와 둘레부(12)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간격 내에 캠부(40)가 안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용기본체(10)는 둘레부(12)의 외측을 덮는 커버(121)를 포함할 수 있는바, 캠부(40)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가려져 있을 수 있다.
커버(121)는, 둘레부(12)의 외측과 용기본체(10)의 외곽 사이의 간격을 덮도록 마련된다. 이때 커버(121)는 탈착 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캠부(40)의 보수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속뚜껑(20)은, 수용공간(11)을 개폐한다. 속뚜껑(20)은 용기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내용물이 직접 수용될 경우 수용공간(11)의 상면을 덮는 크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1)에 리필용기가 수용될 경우 리필용기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속뚜껑(20)은, 수평 회전하여 수용공간(11)을 개폐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는 컴팩트 제품의 경우, 속뚜껑(20)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때 속뚜껑(20)은 힌지(31)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개폐된다.
즉 종래의 경우 사용자가 속뚜껑(20)을 열게 되면, 속뚜껑(20)에 놓인 퍼프가 바닥으로 떨어져 버릴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속뚜껑(20)이 수평 회전되어 수용공간(11)을 개폐하도록 한다.
속뚜껑(20)이 회전하는 중심은 속뚜껑(20)에서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한 도구인 퍼프 등이 안착되는 일면과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속뚜껑(20)의 개방에도 불구하고 퍼프 등이 놓인 일면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속뚜껑(20)의 회전은 캠부(4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캠부(40)를 통해 속뚜껑(20)의 회전이 일정 각도마다 제한될 수 있다. 캠부(4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속뚜껑(20)은 수평 회전을 위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1)를 갖는다. 손잡이(21)는 속뚜껑(20)에서 캠부(40)와 먼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측면이 손가락으로 밀릴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커버(121)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를 위해 커버(121)에는 속뚜껑(20)의 개방을 위해 손잡이(21)를 밀어야 하는 방향이 화살표 등으로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손잡이(21)는 후술할 겉뚜껑(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잡이(21)가 속뚜껑(20)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속뚜껑(20)의 외측에서 용기본체(10)의 외측 사이의 간격 보다 작을 수 있다.
겉뚜껑(3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손잡이(21)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속뚜껑(20)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못한다. 반면 겉뚜껑(30)이 열리면 손잡이(21)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손잡이(21)를 옆으로 밀어서 속뚜껑(20)의 수평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속뚜껑(20)의 개방을 위해 마련되는 손잡이(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손잡이(21)가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손잡이(21)는 속뚜껑(20)의 외측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겉뚜껑(30)은, 힌지(31) 회전에 의해 속뚜껑(20)의 일측(421)을 개폐한다. 겉뚜껑(30)은 속뚜껑(20)에서 퍼프 등이 놓이는 일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것이고, 용기본체(10)에 덮여 수용공간(11) 및 속뚜껑(20)을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다.
즉 겉뚜껑(30)은 속뚜껑(20)을 덮는 크기와 형태를 갖도록 마련되며, 겉뚜껑(30)은 외부로 노출되는 반면, 겉뚜껑(30)이 덮이면 속뚜껑(2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겉뚜껑(30)의 폐쇄 시 속뚜껑(20)에 안착된 퍼프 역시 외부와 격리될 수 있다.
겉뚜껑(30)은 용기본체(10)의 일측(421)에 힌지(31)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31)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힌지(31)는, 겉뚜껑(30)과 일체로 회전하는 힌지축(311) 및 용기본체(10)에 마련되며 힌지축(311)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축 고정부(312)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힌지(31)는 힌지축(311)이 없는 나비힌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즉 힌지(31)의 형태나 구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속뚜껑(20)의 개방을 위해 용기본체(10)에는 버튼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버튼부를 누르면 버튼부 및/또는 힌지(31)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속뚜껑(20)이 자동으로 열리게 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가 탄성부재를 마련하지 않을 경우, 버튼부를 누르면 속뚜껑(20)의 개방을 잠그고 있던 구조가 해제되면서, 속뚜껑(20)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버튼부가 속뚜껑(20)의 개방을 잠그는 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돌기의 걸림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겉뚜껑(30)의 내측에는 리브(32)가 마련될 수 있다. 리브(32)는 겉뚜껑(30)이 닫힐 때 속뚜껑(20)를 내리 누르는 구성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속뚜껑(20)이 수용공간(11)을 효과적으로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리브(32)는 링 형태를 갖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 형태, 원호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브(32)는, 겉뚜껑(30) 외에 속뚜껑(20)에도 마련되어 수용공간(11)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겉뚜껑(30)이 힌지 회전에 의해 닫히면서 리브(32)가 속뚜껑(20)을 누르게 되면, 캠부(40)의 회전부(41)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캠부(40)는, 속뚜껑(20)의 회전을 구현한다. 캠부(40)는 속뚜껑(20)이 수용공간(11)을 덮거나 개방시키도록, 수평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캠부(40)는, 속뚜껑(20)의 회전이 일정 각도마다 제한되도록 하여, 속뚜껑(20)은 회전하는 정도에 따라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인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캠부(40)는 회전부(41), 승강부(42), 돌출캠(43), 탄성부재(44), 하우징부(45), 중심축(46)을 포함한다. 회전부(41)는 속뚜껑(20)의 일측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손잡이(21)를 밀어서 속뚜껑(20)을 회전시킬 때 속뚜껑(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회전부(41)는 승강부(42)와 상하 방향으로 놓여있을 수 있는데, 회전부(41)에서 승강부(42)에 맞닿는 하면에는 돌출캠(43)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후술할 돌출캠(43)은 회전부(41)에서 승강부(42)에 맞닿는 하면 및 승강부(42)에서 회전부(41)에 맞닿는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41)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부(41)의 아래에 놓여있는 승강부(42)는 돌출캠(43)에 의하여 승강될 수 있다. 즉 회전부(41)의 회전은 승강부(42)의 승강을 구현하게 되며, 회전부(41)에는 후술할 중심축(46)이 관통하기 위한 구멍(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된다.
회전부(41)는 속뚜껑(2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또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는데, 속뚜껑(20)의 회전 시 회전부(41) 역시 회전하게 되며, 또는 속뚜껑(20)이 리브(32)에 의해 눌릴 때 회전부(41) 역시 하강하게 된다.
즉 회전부(41)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하며, 겉뚜껑(30)의 닫힘에 의해 하강할 수 있다. 회전부(41)가 하강하면 탄성부재(44)가 압축될 수 있는데, 탄성부재(44)의 탄성력은 겉뚜껑(30)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에 의해 회전부(41)의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다만 회전부(41)의 하강은, 회전부(41)의 각도에 따라 허용 또는 제한될 수 있다. 즉 속뚜껑(20)이 수용공간(11)을 밀폐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부(41)는 하강되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속뚜껑(20)이 수용공간(11)을 밀폐한 상태에서 회전부(41)는 하강이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41)의 하강 제한은, 후술할 하우징부(45)에 회전부(4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때, 돌기와 돌기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구조를 부여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승강부(42)는, 회전부(41)와 접촉하며 회전부(41)의 회전에 의해 승강한다. 승강부(42)에서 회전부(41)와 맞닿는 상면에는 돌출캠(43)이 마련될 수 있으므로, 회전부(41)의 회전 시 승강부(42)의 높이가 돌출캠(43)으로 인하여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승강부(42)는, 원형이 아닌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마찬가지로 원형이 아니며 승강부(42)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의 단면을 갖는 하우징부(45)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회전은 불가능하고 승강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승강부(42)와 회전부(41)는 서로 상대 회전이 이루어진다(승강부(42) 기준으로 회전부(41)만 회전하고 승강부(42)는 회전부(41)를 기준으로 회전하지만 용기본체(10) 기준으로는 회전 없이 승강만 구현된다.).
승강부(42)의 아래에는 탄성부재(44)가 마련되므로, 승강부(42)는 상승하려는 힘을 갖게 된다. 따라서 승강부(42)가 회전부(41)의 회전에 의해 하강하면 탄성부재(44)가 압축되고, 이후 탄성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부(42)가 상승하면서 회전부(41)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돌출캠(43)은, 회전부(41)와 승강부(42)가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마련된다. 돌출캠(43)은 회전부(41)의 회전을 승강부(42)의 승강으로 전환하는데, 이를 위해 돌출캠(43)의 높이는 둘레를 따라 파형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즉 돌출캠(43)은 둘레를 따라 높이가 상승하였다가 하강하는 것을 반복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과 같이 회전부(41)의 하면과 승강부(42)의 상면에 모두 돌출캠(43)이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회전이 승강으로 변환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부(41)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부(41)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이 승강부(42)의 돌출캠(43)에서 골 부분에 있다가 산 부분으로 옮겨가면서 승강부(42)를 내리 누르게 되므로 승강부(42)가 하강하게 된다. 다만 승강부(42)의 하강이 이루어지기 위해 승강부(42)는 회전하지 않고 회전부(41)는 높이가 가변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승강부(42)가 하강하면 탄성부재(44)가 압축되는데, 탄성부재(44)가 탄성력을 승강부(42)에 전달함에 따라 승강부(42)는 회전부(41) 방향으로 상승하려는 힘을 받는다. 이러한 힘은, 회전부(41)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이 승강부(42)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에 위치해 있다가 승강부(42)의 돌출캠(43)에서 골 부분으로 타고 가려는 움직임(승강부(42)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이 회전부(41)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에 위치해 있다가 회전부(41)의 돌출캠(43)에서 골 부분으로 타고 가려는 움직임과 동일)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부(41)를 회전시켜서 회전부(41)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이 승강부(42)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을 넘어가도록 하면, 이러한 과정에서 압축되는 탄성부재(44)로 인하여, 이후 회전부(41)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은 자연스럽게 승강부(42)의 돌출캠(43)에서 골 부분까지 타고 가게 된다.
다만 회전부(41)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이 승강부(42)의 돌출캠(43)에서 골 부분에 대응될 경우(회전부(41)의 돌출캠(43)에서 골 부분이 승강부(42)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에 대응될 경우와 동일), 속뚜껑(20)의 회전은 저지될 수 있다. 이때 속뚜껑(20)을 회전하기 위해서는, 회전부(41)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이 승강부(42)의 돌출캠(43)에서 골 부분으로부터 산 부분까지 타고 가기 위해, 탄성부재(44)를 압축시켜야 하는 힘이 부여되어야 한다.
회전부(41) 및/또는 승강부(42)에 마련되는 돌출캠(43)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속뚜껑(20)의 회전은 일정 각도마다 저지될 수 있고, 따라서 속뚜껑(20)은 일정 각도마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여, 추가적인 회전이나 되돌아오는 회전이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돌출캠(43)에서 산과 골 사이는 경사면 또는 곡면 등으로 연결되어, 산과 골 사이에서 높이가 변경되는 정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44)는, 승강부(42)를 회전부(41) 방향으로 밀어낸다. 탄성부재(44)는 스프링일 수 있고, 승강부(42)에서 회전부(41)와 반대되는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41)가 회전하면서 회전부(41)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이 승강부(42)의 돌출캠(43)에서 골 부분에서 산 부분으로 위치 이동할 때, 승강부(42)가 하강하면서 탄성부재(44)가 압축될 수 있다.
이후 탄성부재(44)가 승강부(42)를 밀어내게 되면, 회전부(41)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은, 승강부(42)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에서 골 부분으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즉 속뚜껑(20)이 손잡이(21)를 밀어내는 외력에 의해 회전을 시작할 때, 탄성부재(44)는 속뚜껑(20)의 회전을 방해하였다가 회전부(41)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이 승강부(42)의 돌출캠(43)에서 산 부분을 넘어간 이후로는, 속뚜껑(20)의 회전을 도울 수 있다.
하우징부(45)는, 탄성부재(44)를 수용하며 용기본체(10)에 고정된다. 하우징부(45)는 탄성부재(44)와 함께 승강부(42)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다만 하우징부(45)는 승강부(42)를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부(45)의 단면은 원형이 아닐 수 있고, 하우징부(45)의 내부에 수용되는 승강부(42)의 단면 역시 원형이 아닌 형태일 수 있다.
또는 하우징부(45)와 승강부(42)의 단면은 모두 원형이면서, 승강부(42) 및/또는 하우징부(45)에는 가이드홈 또는 그에 삽입되는 돌기를 마련하여, 승강부(42)의 상승은 허용하되 승강부(42)의 회전은 저지할 수 있다. 승강부(42)의 회전이 저지됨에 따라, 회전부(41)가 회전하면서 승강부(42)와 회전부(41)가 서로 상대회전하게 되어, 돌출캠(43)이 속뚜껑(20)의 회전을 일정 각도마다 제한할 수 있다.
중심축(46)은, 회전부(41) 및 승강부(42)를 관통한다. 중심축(46)은 속뚜껑(20)의 회전 중심일 수 있으며, 회전부(41)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또한 중심축(46)은 일단(하단)이 하우징부(45)에 마련되는 걸림부(451)에 의해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중심축(46)의 타단(상단)은 회전부(41)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중심축(46)은, 탄성부재(44), 승강부(42), 회전부(41)가 속뚜껑(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놓이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탄성부재(44)는 중심축(46)을 두르는 스프링일 수 있고, 승강부(42)와 회전부(41)에는 중심축(46)이 관통되는 구멍(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심축(46)의 일단은 걸림부(451)에 의해 하우징부(45)에 고정될 수 있는데, 하우징부(45)에는 중심축(46)의 일단이 관통되도록 하는 구멍(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걸림부(451)는 하우징부(45)에서 관통된 중심축(46)의 일단을 걸어 고정하여, 중심축(46)이 하우징부(45)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중심축(46)이 하우징부(45)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걸림부(451)의 구조나 형태, 위치 등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중심축(46)은 탄성부재(44)의 탄성력 때문에 상방으로 빠져나가려고 하는 힘을 받는데, 이는 중심축(46)의 타단이 회전부(41)를 이탈 불가능하게 고정하며 회전부(41)는 탄성부재(44)와 맞닿는 승강부(42)에 의해 상승하려는 힘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중심축(46)의 일단은, 용기본체(10)에 고정된 하우징부(45)에 걸려 고정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중심축(46)의 타단은, 단면이 확장된 형태를 가져서 회전부(4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및/또는 중심축(46)의 타단은, 회전부(41)를 관통하고 관통된 부위에 앞서 설명한 걸림부(451)와 동일/유사한 부재가 걸려서 회전부(4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돌출캠(43)을 갖는 캠부(40)를 이용하여 속뚜껑(20)의 수평 회전을 구현하여, 속뚜껑(20)에 퍼프 등과 같은 화장 도구가 놓여있더라도 속뚜껑(20)이 수용공간(11)을 개폐할 때 화장 도구가 밖으로 떨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용기본체
11: 수용공간 12: 둘레부
121: 커버 20: 속뚜껑
21: 손잡이 30: 겉뚜껑
31: 힌지 311: 힌지축
312: 힌지축 고정부 32: 리브
40: 캠부 41: 회전부
42: 승강부 43: 돌출캠
44: 탄성부재 45: 하우징부
451: 걸림부 46: 중심축
11: 수용공간 12: 둘레부
121: 커버 20: 속뚜껑
21: 손잡이 30: 겉뚜껑
31: 힌지 311: 힌지축
312: 힌지축 고정부 32: 리브
40: 캠부 41: 회전부
42: 승강부 43: 돌출캠
44: 탄성부재 45: 하우징부
451: 걸림부 46: 중심축
Claims (14)
-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본체;
수평 회전에 의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속뚜껑; 및
상기 속뚜껑의 회전을 구현하는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부는,
상기 속뚜껑의 일측에 고정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접촉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승강부가 서로 마주하는 면 중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상기 승강부의 승강으로 전환하는 돌출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캠은,
둘레를 따라 높이가 상승하였다가 하강하는 것을 반복하는 파형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캠은,
둘레를 따라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승강부를 상기 회전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용기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승강부를 관통하는 중심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중심축의 일단을 고정하는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을 두르는 둘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둘레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둘레부의 외측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10 항에 있어서,
힌지 회전에 의해 상기 속뚜껑의 일측을 개폐하는 겉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겉뚜껑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뚜껑은,
상기 겉뚜껑과 인접한 일면에 상기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한 도구를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겉뚜껑은, 내측에 돌출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상기 속뚜껑을 내리 누르는 리브를 가지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속뚜껑이 상기 리브에 의해 눌리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3420A KR102121998B1 (ko) | 2017-01-10 | 2017-01-10 | 화장품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3420A KR102121998B1 (ko) | 2017-01-10 | 2017-01-10 | 화장품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2123A true KR20180082123A (ko) | 2018-07-18 |
KR102121998B1 KR102121998B1 (ko) | 2020-06-11 |
Family
ID=6304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3420A KR102121998B1 (ko) | 2017-01-10 | 2017-01-10 | 화장품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199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72989A (zh) * | 2020-05-20 | 2020-08-25 | 吴国祥 | 一种用于小型溶液瓶具有双向双功能的可翻盖式封口盖 |
KR20210138282A (ko) | 2020-05-12 | 2021-11-19 | 임흥호 | 화장품 용기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7519Y1 (ko) * | 2003-05-14 | 2003-09-19 | 박경한 | 측방으로 회전 개폐가 가능한 뚜껑을 갖는 미용용구 케이스 |
KR200339318Y1 (ko) * | 2003-10-31 | 2004-01-16 | 임병택 | 힌지조립체 |
JP2004175359A (ja) * | 2002-11-22 | 2004-06-24 | Takanori Suda | 飲用容器 |
KR200372597Y1 (ko) * | 2004-10-06 | 2005-01-14 | 주식회사 엘케이엠코스메틱 | 회전 트레이 화장품 용기의 구조 |
KR20150008798A (ko) * | 2013-07-15 | 2015-01-23 | 주식회사 정민 |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
KR20150069607A (ko) * | 2013-12-13 | 2015-06-24 |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 콤팩트 용기 |
-
2017
- 2017-01-10 KR KR1020170003420A patent/KR1021219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75359A (ja) * | 2002-11-22 | 2004-06-24 | Takanori Suda | 飲用容器 |
KR200327519Y1 (ko) * | 2003-05-14 | 2003-09-19 | 박경한 | 측방으로 회전 개폐가 가능한 뚜껑을 갖는 미용용구 케이스 |
KR200339318Y1 (ko) * | 2003-10-31 | 2004-01-16 | 임병택 | 힌지조립체 |
KR200372597Y1 (ko) * | 2004-10-06 | 2005-01-14 | 주식회사 엘케이엠코스메틱 | 회전 트레이 화장품 용기의 구조 |
KR20150008798A (ko) * | 2013-07-15 | 2015-01-23 | 주식회사 정민 |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
KR20150069607A (ko) * | 2013-12-13 | 2015-06-24 |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 콤팩트 용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38282A (ko) | 2020-05-12 | 2021-11-19 | 임흥호 | 화장품 용기 |
CN111572989A (zh) * | 2020-05-20 | 2020-08-25 | 吴国祥 | 一种用于小型溶液瓶具有双向双功能的可翻盖式封口盖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1998B1 (ko) | 2020-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90173A (en) | Beverage container | |
JP5968902B2 (ja) | シーリング部材を有する、製品、特に化粧品をパッケージングするためのデバイス | |
KR200448626Y1 (ko) | 원터치 방식 화장품 용기 | |
EP3289914B1 (en) | Compact container | |
KR101551230B1 (ko) |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 |
KR20090099483A (ko) | 제품, 특히 화장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보호 장치 | |
KR101424591B1 (ko) | 콤팩트 | |
KR101597115B1 (ko) | 버튼형 펜슬 화장품 용기 | |
KR20180082123A (ko) | 화장품 용기 | |
EP3735856A1 (en) | Dropping pipette-type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ressing button having adjustable descending distance | |
KR101247124B1 (ko) | 펜슬형 화장품용기 | |
KR102196810B1 (ko) | 스틱형 화장품 용기 | |
KR20150034708A (ko) |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 |
KR200455996Y1 (ko) |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 |
KR20190113365A (ko) | 화장품 용기 | |
KR20180006204A (ko) | 립글로스 용기 | |
KR102508278B1 (ko) | 화장품 용기 | |
KR101583902B1 (ko) | 화장품 용기 | |
KR101931509B1 (ko) | 화장품 용기 | |
KR20130005050U (ko) | 도포부재가 구비된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 |
KR101941216B1 (ko) | 화장품 용기 | |
KR200460286Y1 (ko) | 분말화장품용기 | |
CN211794844U (zh) | 棒状化妆品容器 | |
KR101246290B1 (ko) |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 |
KR101896042B1 (ko) | 가압 토출식 콤팩트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