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025A -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025A
KR20180082025A KR1020170003058A KR20170003058A KR20180082025A KR 20180082025 A KR20180082025 A KR 20180082025A KR 1020170003058 A KR1020170003058 A KR 1020170003058A KR 20170003058 A KR20170003058 A KR 20170003058A KR 20180082025 A KR20180082025 A KR 20180082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ption
driving motor
suction
main bod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32074B1 (en
Inventor
하건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074B1/en
Publication of KR2018008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0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0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main body, a first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generate a suctioning force, a first suction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placed on a floor surface, a second driving motor for driving a brush module provided at a suction port of the first suction unit, a first detection unit detecting one of an upright mode in which the main body is operated up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and a floor cleaning mode in which the main body is operat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mode detected by the first detection unit.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및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a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 및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Background Art Generally, a vacuum cleaner sucks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hair by using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a main body, and then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main body.

진공 청소기는, 바닥면의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이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 장치에 의해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up-right)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canister system in which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and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device, an up-right method in which the suction nozzl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 / RTI >

종래의 업라이트 방식의 진공 청소기는 흡입 노즐이 바닥면을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므로 바닥면의 청소는 가능하나, 바닥면 이외의 공간 예를 들면, 계단이나 소정 높이의 공간 등은 청소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The vacuum cleaner of the conventional upright type can clean the floor surface since the suction nozzle performs cleaning while moving on the bottom surface, but a space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for example, a staircase or a space of a predetermined height, There was no problem.

따라서, 본 출원인은 종래의 업라이트 방식의 진공청소기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아래와 같이 출원(이하, 선행기술)을 실시하여 공개한 바 있다. 선행문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made a patent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upright type vacuum cleaner. The information of the preceding documents is as follows.

1. 공개 번호 (공개일): 공개특허공보 10-2012-0032092 (2012년 04월 05일)One. Publication No. (Published Date):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32092 (Apr. 05, 2012)

2. 발명의 명칭: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2. Title: Upright vacuum cleaner

상기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1흡입 유닛과,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흡입 유닛과, 상기 흡입 모터를 상기 제1흡입 유닛 또는 상기 제2흡입 유닛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상기 흡입 모터, 상기 제1흡입 유닛 및 상기 제2흡입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유로 절환 장치와, 상기 유로 절환 장치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유로 절환 장치가 상기 흡입 모터를 상기 제1흡입 유닛 또는 상기 제2흡입 유닛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소정 각도로 회동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한다.The upright vacuum cleaner disclosed in the prior ar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first suction uni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a second suction unit detachably provided to the main body, A flow path switch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motor, the first suction unit and the second suction unit to selectively communicate the suction motor with the first suction unit or the second suction unit, And a lever member which is provided outside the apparatus and which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selectively communicate the suction motor with the first suction unit or the second suction unit.

선행 기술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 1 흡입 유닛을 이용하여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제 2 흡입 유닛을 이용하여 바닥면 이외의 공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upright vacuum cleaner of the prior art, the user can rem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floor surface by using the first suction unit, and remove the foreign matter in the space other than the floor surface by using the second suction unit.

한편, 선행 기술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는, 상기 제 1 흡입 유닛의 일측에 설치되어 바닥의 먼지, 이물등을 털어내는 역할을 하는 브러쉬 어셈블리(brush assembly)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 어셈블리에는 바닥의 이물 등을 털어내기 위하여 솔이 구비된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키기 위한 브러쉬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of the prior art may be provided with a brush assemb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rst suction unit to blow dust, foreign matter, etc. from the floor. The brush assembly may include a brush provided with a brush for brushing off foreign objects on the floor, and a brush motor for rotating the brush.

사용자가 제1흡입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흡입모터 및 상기 브러쉬모터가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모터는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 동작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이물질이 잘 제거되지 않는 카펫이나, 바닥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브러쉬모터를 동작 시킬 수 있다. When the user uses the first suction unit, the suction motor and the brush motor can be operated. The brush motor may be turned on / off by a user. For example, a user can generally operate a brush motor to remove carpets or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floor surface, where the foreign matter is not well removed.

선행 기술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서는, 상기 브러쉬모터의 구동 여부에 상관없이 고정된 소비전력으로 상기 흡입모터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상기 흡입모터의 소비전력을 높혀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음에도, 상기 흡입모터가 고정된 소비전력으로 동작되어, 청소효율이 고객의 기대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upright vacuum cleaner of the prior art,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with fixed power consump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brush motor is driven or not. Therefore, although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uction motor is increased to provide better performance,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with fixed power consumption, and the cleaning efficiency can not satisfy the expectation of the customer.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된 소비전력 내에서, 복수의 모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청소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 및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and a vacuum cleaner control method capable of improving the cleaning performance by controlling the output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motors within a set power consumption It is in the sugges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흡입모터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흡입모터 및 브러쉬모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소비전력 제어함으로써, 청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 청소기 및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and a vacuum cleaner control method capable of improving the cleaning performance by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either the suction motor or the brush motor based on the speed of the suction motor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구동모터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닥면에 놓이는 제 1 흡입유닛와, 상기 제 1 흡입유닛의 흡입구에 구비되는 브러시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2 구동모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main body, a first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includes a first suction unit and a second drive motor for driving the brush module provided at the suction port of the first suction unit.

그리고,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본체가 상기 제 1 흡입유닛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동작되는 업라이트 모드 및 상기 본체가 상기 제 1 흡입유닛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동작되는 바닥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와, 상기 제 1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동작모드에 따라, 제 1 구동모터 및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vacuum cleaner senses any one of an upright mode in which the main body is operated in a stand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and a floor cleaning mode in which the main body is operated in an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상기 바닥 청소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구동모터는 제 1 소비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는 상기 제 1 소비전력보다 작은 제 2 소비 전력으로 구동된다.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first drive motor is driven with a first power consumption, and the second drive motor is driven with a second power consumption low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업라이트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소비전력에서 상기 제 1 소비전력보다 큰 제 3 소비전력으로 증가된다.When switching from the floor cleaning mode to the upright mod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is increased from the first power consumption to the third power consumption which is larg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2 소비전력에서 감소된다.T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e motor is reduced at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상기 업라이트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구동모터는 제 1 소비전력보다 큰 제 3 소비전력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는 정지동작된다.In the upright mode, the first drive motor is operated with a third power consumption high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and the second drive motor is stopped.

상기 제 3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최대 소비전력일 수 있다.The third power consumption may be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 1 소비전력 및 상기 제 2 소비전력의 합은 상기 업라이트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최대소비전력과 같거나 작다.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sum of the first power consumption and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in the upright cleaning mode.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흡입유닛과,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second suction unit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상기 제 1 흡입유닛 및 상기 제 2 흡입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유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nnection channel pipe selectively connecting any one of the first suction unit and the second suction unit to the main body.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연결유로관은 상기 제 2 흡입유닛에 연결된다.W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in the upright mode, the connection duct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ction unit.

상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바닥 청소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연결유로관은 상기 제 1 흡입유닛에 연결된다.W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unit.

상기 제 1 감지부는, 상기 제 2 흡입유닛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것으로 감지한다.The first sensing unit senses that the second suction unit is operated in the upright mode when the second suction unit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속도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가 더 포함된다.And a second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부로부터 측정되는 제 1 구동모터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based on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measur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제 1 구동모터의 속도가 설정속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제 1 설정소비전력만큼 감소시킨다. 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e motor by the first set power consumption when the measured speed of the first drive motor is less than the set speed.

그리고,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상기 제 1 설정소비전력보다 작은 제 2 설정소비전력만큼 증가시킨다.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e motor by a second set power consumption which is smaller than the first set power consumption.

상기 제 1 설정소비전력 및 상기 제 2 설정소비전력의 합은 최대 소비전력과 같거나 작다.The sum of the first set power consumption and the second set power consumption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상기 제 1 감지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제 1 흡입유닛 사이에 형성된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업라이트 모드 및 상기 바닥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한다.The first sensing unit measures the inclination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suction unit to sense either the upright mode or the floor cleaning mod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은, 진공 청소기가 업라이트 모드 및 바닥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인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것이 제 1 감지부에 감지되는 단계와, 상기 진공 청소기의 동작모드에 기초하여, 본체에 구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모터 및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흡입유닛에 구비되는 제 2 구동모터를 제어부가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acuum cleaner, including: detecting a first mode of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in an operation mode that is one of an upright mode and a floor clean mod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first suction unit to which the main body is rotatably connected.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 1 구동모터는 제 1 소비전력으로 구동된다.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first drive motor is driven with a first power consumption.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 2 구동모터는 상기 제 1 소비전력보다 작은 제 2 소비전력으로 구동된다.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second drive motor is driven with a second power consumption low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업라이트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소비전력에서 상기 제 1 소비전력보다 큰 제 3 소비전력으로 증가된다.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is increased from the first power consumption to the third power consumption which is larg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when the floor cleaning mode is switched to the upright mode.

그리고,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업라이트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2 소비전력에서 감소된다.When the floor cleaning mode is switched to the upright mod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is reduced at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상기 업라이트 모드에서, 상기 제 1 구동모터는 상기 제 1 소비전력보다 큰 제 3 소비전력으로 동작된다.In the upright mode, the first drive motor is operated with a third power consumption high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상기 업라이트 모드에서, 상기 제 2 구동모터는 정지동작된다.In the upright mode, the second drive motor is stopped.

상기 제 3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최대 소비전력이다.And the third power consumption is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e motor.

상기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은, 제 2 감지부에 의해 제 1 구동모터의 속도가 감지되는 단계와,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속도를 기초로 상기 제 1 구동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etecting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by the second sensing unit and a step of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based on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Lt; / RTI >

상기 제 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속도가 설정속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소비전력 및 상기 제 1 소비전력보다 작은 제 1 설정소비전력 사이 범위에서 동작된다.When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is lower than the set spee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is low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and the first predetermined power consumption Lt; / RTI >

그리고, 상기 제 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속도가 설정속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2 소비전력 및 상기 제 2 소비전력보다 작은 제 2 설정소비전력 사이 범위에서 동작된다.When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sens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is lower than the set spee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is lower than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and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Power consumption.

상기 진공 청소기의 동작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는, 제 1 흡입유닛 및 상기 본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기준으로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것이다.The step of sens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determines an operation mode based on an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suction unit and the main body.

또는, 상기 진공 청소기의 동작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는, 제 2 흡입유닛의 본체 장착여부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것이다..Alternatively, the step of sens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based on whether the second suction unit is mounted on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가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과정에서, 브러쉬 어셈블리는 정지되고, 흡입모터의 출력은 증가된다. 따라서, 진공 청소기의 청소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ocess in which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in the upright mode, the brush assembly is stopped and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is increased. Therefore,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vacuum cleaner is improved.

또한, 진공 청소기가 동작되는 과정에서, 감지부를 이용하여 흡입모터의 속도을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카펫과 같은 모직물이 있는 구역을 청소하는 경우, 흡입모터의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이때, 브러쉬모터의 출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카펫에 있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the speed of the suction motor can be measured using the sensing unit. For example, when cleaning areas with wool, such as carpets, the speed of the suction motor may decrease. At this time, by improving the output of the brush mo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foreign substances in the carpet can be efficiently rem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흡입유닛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 2 흡입유닛이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진공 청소기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모드의 진공 청소기 내부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바닥 청소 모드의 진공 청소기 내부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동작모드에 따른 각 구동모터의 소비전력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진공 청소기의 동작모드에 따른 각 구동모터의 소비전력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briefly showing a first suction unit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ction uni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5 and 6 are views showing a vacuum cleaner internal flow path in the upright m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7 and FIG. 8 are views showing a flow path inside the vacuum cleaner in the floor cleaning m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1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power consumption of each drive mo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4 is a graph showing power consumption of each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concep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흡입유닛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nd FIG. 3 is a cross- Fig.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11)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닥면에 놓이는 제 1 흡입유닛(10)과,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먼지분리장치(30)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닥면 또는 바닥면 이외의 부분을 청소하기 위한 제 2 흡입 유닛과, 상기 본체(10)의 상방에 구비되는 핸들(60)과, 상기 핸들(60) 및 상기 본체(1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호스(70)가 포함될 수 있다.1 and 2, the vacuum clean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suction motor 11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first suction unit 1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to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 a dust separating device 30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10; A handle 60 provided above the main body 10 and a connection hose 70 connecting the handle 60 and the main body 10 to each other,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이물질 및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1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path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nd air.

본 발명에서, 상기 흡입유로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동작모드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로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assage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1. [ The suction flow pat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제 1 흡입유닛(10)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 1 흡입유닛(1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바퀴(213)가 구비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first suction unit 10, wheels 213 for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suction unit 10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 1 흡입유닛(10)의 후측부에는, 상기 본체(10)가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14)를 조작하면, 상기 본체(10)가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해서 회전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핸들(60)을 잡고 상기 제 1 흡입유닛(10)을 이동시키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A manipulation unit 214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suction unit 10 to allow the main body 10 to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in an upright state. Therefo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214, the main body 1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 At this time, the user may hold the handle 60 and move the first suction unit 10 to clean the floor surfac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흡입구하우징(212)과, 바닥면의 이물 및 공기가 흡입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하우징(212)의 내측에서 형성된 흡입구(2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suction unit 10 includes a first suction port housing 212 for forming an appearance, a suction port 212 formed inside the suction port housing 212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nd air on the bottom surface, (Not shown).

상기 제 1 흡입구하우징(212)에는, 상기 흡입구(211)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바닥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브러쉬모듈(22)이 포함될 수 있다. The first suction port housing 212 may include a brush module 22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port 211 and rotatably mounted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floor.

상기 브러쉬모듈(22)의 외면에는 솔 형태로 부착되는 브러쉬부재(221)와, 상기 브러쉬모듈(22)이 상기 제 1 흡입구하우징(2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내측에 형성된 브러쉬축(22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부재(221)는 상기 브러쉬모듈(22)의 외면에 형성되어 바닥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A brush member 221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rush module 22 in the form of a brush and a brush shaft 222 formed inside the brush module 22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ction port housing 212, ) May be included. The brush member 22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ush module 22 to remove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상기 제 1 흡입구하우징(212)에는, 상기 흡입구(211)의 타측에 배치되며 회전 및 직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러쉬모터(23)가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suction port housing 212 may include a brush motor 23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ort 211 and generating rotation and linear driving force.

그리고, 상기 제 1 흡입구하우징(212)에는, 상기 브러쉬모터(23) 및 상기 브러쉬모듈(22)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브러쉬모터(23)의 구동력을 상기 브러쉬모듈(22)에 전달시키기 위한 동력전달기구(24)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suction port housing 212 is connected to the brush motor 23 and the brush module 22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port housing 212 by a power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brush motor 23 to the brush module 22. [ The transfer mechanism 24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동력전달기구(24)는 상기 브러쉬모터 축(2231)의 일측에 고정되는 구동풀리(241)와, 상기 브러쉬 축(222)의 일측에 고정되는 피동풀리(242)와, 상기 구동풀리(241)와 상기 피동풀리(242)를 연결하는 밸트(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풀리(241)와 상기 피동풀리(24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24 includes a driving pulley 241 fixed to one side of the brush motor shaft 2231, a driven pulley 242 fixed to one side of the brush shaft 222, And a belt 243 connecting the driven pulley 242 to the driven pulley 242. The drive pulley 241 and the driven pulley 242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상기 브러쉬모터(23)가 동작되어 브러쉬모터 축(223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풀리(241)는 상기 브러쉬모터 축(2231)과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풀리(241)에는 상기 브러쉬모터(23)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brush motor 23 is operated to rotate the brush motor shaft 2231 in one direction, the drive pulley 241 can rotate in on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brush motor shaft 2231. That is, the power of the brush motor 23 can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pulley 241.

상기 구동풀리(241)에 전달된 동력은, 상기 구동풀리(241)에 장착된 밸트(243)를 통해 상기 피동풀리(242)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모듈(22)은 상기 브러쉬모터(23)의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모듈(22)이 회전됨으로 브러쉬부재(221)는 바닥면에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tted to the driving pulley 241 can be transmitted to the driven pulley 242 through the belt 243 mounted on the driving pulley 241. Accordingly, (Not shown). As the brush module 22 is rotated, the brush member 221 can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surface.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먼지분리장치(30)는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선택적으로 장작되고,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은 상기 본체(10)의 뒤쪽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1 and 2, the dust separator 30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selectively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Can be mounted.

상기 먼지분리장치(30)는, 상기 본체(10)로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이물질이 저장되도록 한다.The dust separator 30 separates foreign matter from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and stores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상기 제 2 흡입유닛(50)에는, 바닥면 또는 바닥면 이외의 부분을 청소하기 위한 제 2 노즐(51)과, 상기 제 2 노즐(51) 및 상기 핸들(60)을 서로 연결하는 흡입관(52)이 포함될 수 있다.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provided with a second nozzle 51 for cleaning a portion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and a suction pipe 52 for connecting the second nozzle 51 and the handle 60 to each other ) May be included.

상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이 장착되는 장착부(40)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A mounting portion 40 on which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mounted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상기 장착부(40)에는, 상기 흡입관(52)이 장착될 수 있는 흡입관장착부(40)와, 상기 제 2 노즐(51)이 장착될 수 있는 노즐장착부(40)가 포함될 수 있다. The mounting portion 40 may include a suction pipe mounting portion 40 on which the suction pipe 52 can be mounted and a nozzle mounting portion 40 on which the second nozzle 51 can be mounted.

상기 핸들(60) 내부에는, 상기 제 2 노즐(51)을 통하여 흡입된 이물질 및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호스(70)는 상기 제 2 노즐(51)을 통하여 흡입된 이물질 및 공기가 상기 본체(1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호스(7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움직임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handle 60, a flow path (not shown) through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through the second nozzle 51 and the air flow may be formed. The connection hose 70 may allow foreign matter and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nozzle 51 to be transferred to the main body 10. The connecting hose 7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and is free to move.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진공 청소기의 작용에 대하서 간단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가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흡입유닛(10)을 바닥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러쉬모듈(22)은 사용자에 의해 온되거나 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In order to clean the floor, the main body 1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 The user can clean the floor while moving the first suction unit 10 along the floor surface. At this time, the brush module 22 may be turned on or off by the user.

한편, 바닥면 이외의 부분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이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lean a portion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the second suction unit 50 must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흡입유닛이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진공청소기의 후면 사시도이다.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c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을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을 이용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4,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while the main body 10 is in an upright position, and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used to remove foreign matter Can be sucked.

이와 같이, 상기 제 1 흡입유닛(10) 또는 제 2 흡입유닛(50)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두 개의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유로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모터(11)와 연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two flow paths through which air can flow in order to perform selective cleaning using the first suction unit 10 or the second suction unit 50. [ In addition, one of the two flow paths may be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motor (11).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이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10)가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해서 회전된 상태에서, 바닥면 청소가 가능한 동작모드를 바닥 청소 모드라 이름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The operation mode is called floor cleaning mode.

또한,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이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본체(10)가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해 직립된 상태에서, 바닥면 또는 바닥면 이외의 공간을 청소할 수 있는 동작모드를 업라이트 모드라 이름한다.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and a space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 is up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 The cleanable operation mode is called the upright mode.

이하에서는, 상기 두 개의 유로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모터(11)에 연통되는 것을 설명한다.Hereinafter, one of the two flow paths is selectively communicated to the suction motor 11.

도 5 및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모드의 진공 청소기 내부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바닥 청소 모드의 진공 청소기 내부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S. 5 and 6 are views showing a flow path in a vacuum cleaner in the upright m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flow paths in the vacuum cleaner in the floor cleaning m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먼저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모터(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12)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5, and 6, a suction motor 11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Rotation shafts 1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서 흡입된 공기 및 이물질이 유동하기 위한 제 1 흡입유로(131)가 형성되는 제 1 흡입유로관(13)과, 상기 제 2 흡입유닛(50)에서 흡입된 공기 및 이물질이 유동하기 위한 제 2 흡입유로(141)가 형성되는 제 2 흡입유로관(14)과,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흡입유로(131) 또는 제 2 흡입유로(141)의 공기 및 이물질이 상기 먼지분리장치(30)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유로(151)가 형성되는 연결유로관(15)이 포함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first suction flow pipe 13 having a first suction passage 131 through which air sucked by the first suction unit 10 and foreign substances flow, A second suction flow pipe 14 formed with a second suction flow path 141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in the first suction flow path 50 and a foreign substance flow is formed, (15) in which a connection channel (151) for moving air and foreign matter of the first suction channel (131) or the second suction channel (141) to the dust separator (30) is formed.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장착부(40)에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이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유로관(15)이 회전되도록 하는 제 1 부재(161)와, 상기 연결유로관(15)이 회전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부재(16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재(162)에는 일례로, 탄성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first member 161 for rotating the connection channel pipe 15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second suction unit 50 on the mounting portion 40, And a second member 162 for returning the tube 15 to the home position in a rotated state. The second member 162 may include, for example, an elastic member

정리하면,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이 상기 장착부(40)에 장착되면, 상기 제 2 흡입유닛(50)에 상기 제 1 부재(161)가 가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부재(161)에 의해서 상기 연결유로관(15)은 상기 제 1 흡입유로관(13)에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모터(11)의 흡입력이 상기 제 1 흡입유로관(13)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14)를 조작하여 상기 본체(10)가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해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In summary, when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40, the first member 161 can be pressed against the second suction unit 50 to clean the floor surface.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ipe 15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suction pipe 13 by the first member 161. Therefore,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11 can act as the first suction pipe 13. In this state,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unit 214 to cause the main body 10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그리고, 상기 흡입모터(11)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 1 흡입유닛(10)을 통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된 이물질 및 공기는 상기 제 1 흡입유로관(13) 및 상기 연결유로관(15)을 통하여 상기 먼지분리장치(30)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진공 청소기(1)가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진공 청소기(1)의 흡입유로는 제 1 흡입유로관(13) 및 상기 연결유로관(1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can be sucked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from the suction motor (11). The sucked foreign matter and air can be transferred to the dust separating apparatus 30 through the first suction pipe 13 and the connecting pipe 15. That is, when the vacuum cleaner 1 is operated in the upright mode, the suction path of the vacuum cleaner 1 may be formed by the first suction pipe 13 and the connection pipe 15.

한편, 바닥면 이외의 공간, 일례로, 가구 등의 하측 공간, 계단, 좁은 틈새 등은 상기 제 1 흡입유닛(10)을 이용하여 청소하는 것이 제한되는 공간은,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흡입 유닛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pace to be cleaned by using the first suction unit 10 is restricted in the space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for example, the lower space of the furniture, the stairs, the narrow gap, Cleaning can be performed using the cleaning liqui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lean the floor using the second suction unit.

도 4, 도 7,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가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해 직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은 상기 장착부(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해서 직립되지 않아도 무방하나,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청소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본체(10)가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해서 직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 7 and 8,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portion 40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10 is erec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 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0 does not have to be up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but in order to stably perform cleaning using the second suction unit 50, So as to be erec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그리고,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을 분리시키면, 상기 제 1 부재(161)로 가해지는 가압력(제 1 부재를 회전시키는 힘)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2 부재(162)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연결유로관(15)이 회전되어, 상기 연결유로관(15)과 상기 제 2 흡입유로관(14)이 연통될 수 있다.The second suction unit (5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When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first member 161 (force for rotating the first member) can be removed. Then, the connection channel pipe 15 is rot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member 162, so that the connection channel pipe 15 and the second suction pipe 14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흡입모터(11)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 2 노즐(51)에는 통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이물질 및 공기는 상기 흡입관(52), 핸들(60), 연결호스(70), 제 2 흡입유로관(14) 및 상기 연결유로관(15)을 순차적으로 유동한 후에 상기 먼지분리장치(30)로 유동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1)가 바닥 청소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진공 청소기의 흡입유로는 제 2 흡입유로관(14) 및 상기 연결유로관(1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11 allows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to be sucked through the second nozzle 51. The sucked foreign matter and air flow sequentially through the suction pipe 52, the handle 60, the connecting hose 70, the second suction pipe 14 and the connecting pipe 15, 30). In other words, when the vacuum cleaner 1 is operated 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suction path of the vacuum cleaner may be formed by the second suction pipe 14 and the connection pipe 15.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흡입모터(11)는 제 1 구동모터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브러쉬모터(23)는 제 2 구동모터라 이름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uction motor 11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driving motor, and the brush motor 23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driving moto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 1 부재 및 제 1 부재에 작용하는 제 2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흡입유로가 전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복원력에 의하여 흡입유로가 전환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 흡입유로가 전환되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Furth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uction passage is switch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cting on the first memb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witching of the suction flow path by the restoring force, and it is disclosed that the suction flow path can be switched by various methods.

이하에서는, 진공 청소기의 제어구성 및 제어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rol configura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도 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1)에는, 진공청소기의 업라이트 모드 및 바닥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8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81)는 일례로, 상기 본체(1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81)는 상기 본체(10)의 기울기가 상기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하여여 수직이거나, 수직이 아닌 상태를 감지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한 기울기가 수직인 경우,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본체(10)의 제 1 흡입유닛(10)에 대한 기울기가 수직이 아닌 경우, 상기 진공 청소기(1)는 바닥 청소 모드로 동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81 for sensing that the vacuum cleaner operates in either an upright mode or a floor cleaning mode of a vacuum cleaner. The sensing unit 81 may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a tilt of the main body 10. The sensing unit 81 may sense a state where the inclination of the main body 10 is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or not. When the inclination of the main body 10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is vertical,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vacuum cleaner 1 operates in the upright mode. Conversely, when the inclination of the main body 10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10 is not perpendicula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vacuum cleaner 1 is operated in the floor cleaning mode.

상기 감지부(81)는 다른 예로,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81)는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이 상기 장착부(40)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진공 청소기(1)는 바닥 청소 모드로 동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감지부(81)에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이 장착된 것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nsing unit 81 may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mounted. The sensing unit 81 senses that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40, and the vacuum cleaner 1 is operated in the floor cleaning mode. Conversely, when it is not detected that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mounted on the sensing unit 81, the vacuum cleaner 1 may be regarded as operating in the upright mode.

또 다른 예로, 상기 감지부(81)는 상기 흡입모터(11)의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동작모드를 확인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가 바닥 청소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흡입모터(11)의 속도는 설정된 소비전력에 대한 설정속도로 동작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진공 청소기(1)가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바닥 청소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흡입유로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모터(11)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부하가 걸리게 되어, 상기 흡입모터(11)의 속도는 설정속도 이하의 값으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81)에 의해 측정되는 흡입모터(11)의 속도가 설정속도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진공 청소기(1)는 바닥 청소 모드로 동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흡입모터(11)의 속도가 설정속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nsing unit 81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the speed of the suction motor 11 and confirm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1. [ When the vacuum cleaner 1 is operated 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speed of the suction motor 11 can be operated at a set speed for the set power consumption. On the contrary, when the vacuum cleaner 1 is operated in the upright mode, the suction flow path may be relatively longer than that 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refore, a relatively larger load is applied to the suction motor 11, so that the speed of the suction motor 11 can be operated at a value lower than the set speed. Accordingly, when the speed of the suction motor 11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8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speed, the vacuum cleaner 1 can be understood as being operated in the floor cleaning mode. Conversely, when the speed of the suction motor 11 is lower than the set spee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vacuum cleaner 1 operates in the upright mode.

한편, 상기 감지부(81)에 의해 감지된 감지정보는 제어부(84)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4)는 상기 감지정보를 기초로 흡입모터(11)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4)에 대한 내용은 후술된다.Meanwhile, the sensed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81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84. The control unit 84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11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The content of the control unit 84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진공 청소기(1)에는, 상기 진공 청소기(1)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8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83)에는, 상기 제 1, 2 구동모터(11, 23)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 구동모터(11, 23)의 소비전력이 저장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83 in which information on the vacuum cleaner 1 is stored. The memory 83 may store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of the drive motors 11 and 23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11 and 23.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구동모터(11)의 소비전력은 제 1 소비전력(W1)이라 이름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23)의 소비전력은 제 2 소비전력(W2)이라 이름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e motor 11 is referred to as a first power consumption W 1 ,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e motor 23 is referred to as a second power consumption W 2 Name it.

한편,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상기 감지부(81), 상기 메모리(83), 상기 제 1 구동모터(11), 상기 제 2 구동모터(2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4)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모터(11) 및 상기 제 2 구동모터(23)의 성능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1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84 for controlling the sensing unit 81, the memory 83, the first driving motor 11,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23 . The control unit 84 may control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driving motor 11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23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1. [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며,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동작모드에 따른 각 구동모터의 소비전력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 change in power consumption of each drive mo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작동 시작 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진공 청소기(1)는 동작될 수 있다(S1).Referring to FIGS. 10 and 11, an operation start command is input by a user, and the vacuum cleaner 1 may be operated (S1).

상기 제어부(84)는 상기 감지부(81)를 제어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동작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S3).The controller 84 controls the sensing unit 81 to check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1 (S3).

상기 진공 청소기(1)가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S5), 사용자에 의해 제 2 흡입유닛(50)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흡입유닛(10)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제어부(84)는 제 1 구동모터(11)만 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구동모터(11)는 최대 소비전력(WMax)으로 동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진공 청소기(1)가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S5), 상기 제 1 구동모터(11)는 상기 제 1 소비전력 보다 높고 최대 소비전력 보다 낮은 소비전력인 제 3 소비전력으로 동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vacuum cleaner 1 is operated in the upright mode (S5),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used by the user.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suction unit 10 is not used, the control unit 84 can turn on only the first drive motor 11. [ At this time, the first driving motor 11 can be operated with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W Max ). As another example, when it is sensed that the vacuum cleaner 1 is operated in the upright mode (S5), the first driving motor 11 is controlled to be in the third power consumption mode, which is high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and lower than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with power consumption.

한편, 상기 진공 청소기(1)가 바닥 청소 모드로 동작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S7), 사용자에 의해 제 1 흡입유닛(10)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흡입유닛(50)은 상기 장착부(40)에 장착되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If it is detected that the vacuum cleaner 1 is operated in the floor cleaning mode (S7),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suction unit 10 is us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second suction unit 5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40 and may not be used.

따라서, 상기 제어부(84)는 상기 메모리(83)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2 구동모터(11, 23)를 설정된 소비전력(W1,W2)으로 동작될 수 있다(S9). 이때, 바닥면에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구동모터(11)의 제 1 소비전력(W1)은 상기 제 2 구동모터(23)의 제 2 소비전력(W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소비전력(W1) 및 상기 제 2 소비전력(W2)의 합은 상기 제 1 구동모터(11)의 최대 소비전력(WMax)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84 can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11 and 23 with the power consumption (W 1 , W 2 ) set by referring to the memory 83 (S9). The first power consumption W 1 of the first drive motor 11 is higher than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W 2 of the second drive motor 23 in order to easily suck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surface It can be big. The sum of the first power consumption W 1 and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W 2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W max of the first drive motor 11.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가 바닥 청소 모드로 동작되는 과정에서 업라이트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 2 구동모터는 정지되고,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증가되므로, 흡입력이 증가되어 이물질 흡입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즉, 진공 청소기의 청소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vacuum cleaner is switched to the upright mode in the course of operating 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second driving motor is stopped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is increased, The suc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That is, cleaning efficiency of the vacuum cleaner is improv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바다 청소 모드에서, 제 1 구동모터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1 구동모터 또는 제 2 구동모터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있어서는 생략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ea cleaning mode, the output of the first drive motor or the second drive motor is varie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first drive motor .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mainly in terms of differences, and is omitted in the same parts.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진공 청소기(1)에는,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동작모드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8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는 업라이트 모드 및 바다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vacuum cleaner 1 may include a first sensing unit 81 for sensing an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1. The operation mode may be any one of an upright mode and a sea cleaning mode.

상기 진공 청소기(1)에는, 상기 제 1 구동모터(11)의 속도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8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공 청소기(1)가 바닥 청소 모드 동작 시에, 상기 진공 청소기(1)가 카펫(carpet)과 같은 모직물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구동모터(11)의 속도는 감소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nsing unit 82 for sensing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11. [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11 can be reduced in the course of the vacuum cleaner 1 cleaning the wool such as a carpet in the floor cleaning mode operation.

상기 진공청소기(1)에는, 상기 진공 청소기(1)에 대한 상태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8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83)에는, 상기 제 1, 2 구동모터(11, 23)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비전력(W1, W2)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81)로부터 감지된 제 1, 2 구동모터(11, 23)의 감지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동작모드를 확인하기 위한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83 for stor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vacuum cleaner 1. Power consumption (W 1 , W 2 ) for operating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11, 23 can be stored in the memory 83. A set value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1 may be stored in comparison with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11 and 23 sensed by the sensing unit 81. [

상기 감지부(81)의 감지정보가 속도인 경우, 상기 설정값은 설정속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설정값은 상기 감지부(81)의 감지정보가 흡입유로의 압력인 경우, 상기 설정값은 설정압력일 수 있다.If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81 is a speed, the setting value may be a setting speed. Alternatively, the set value may be a set pressure whe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81 is the pressure of the suction passage.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진공 청소기의 동작모드에 따른 각 구동모터의 소비전력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power consumption of each drive mo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S11). 13 and 14, the vacuum cleaner 1 may be operated by a user (S11).

상기 제어부(84)는 상기 제 1 감지부(81)를 제어하여, 상기 진공 청소기(1)의 동작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S13).The control unit 84 can check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1 by controlling the first sensing unit 81 at step S13.

상기 진공 청소기(1)가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S15), 상기 제 1 구동모터(11)는 온될 수 있고, 상기 제 2 구동모터(23)는 오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구동모터(11)의 소비전력은 최대 소비전력(WMax)으로 동작될 수 있다.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vacuum cleaner 1 is operated in the upright mode (S15), the first driving motor 11 can be turned on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23 can be turned off. At this tim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e motor 11 can be operated with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W Max .

한편, 상기 진공 청소기(1)가 바닥 청소 모드로 동작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S17), 상기 제 1, 2 구동모터(11, 23)는 상기 메모리(83)를 참조하여 각각 설정된 소비전력으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구동모터(11)는 제 1 소비전력(W1)으로 동작될 수 있고, 상기 제 2 구동모터(23)는 제 2 소비전력(W2)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제 1 소비전력(W1)은 상기 제 2 소비전력(W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소비전력(W1) 및 상기 제 2 소비전력(W2)의 합은 상기 최대소비전력(WMax)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vacuum cleaner 1 is operated in the floor cleaning mode (S17),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11 and 23 refer to the memory 83, . That is, the first driving motor 11 may be operated with the first power consumption W 1 ,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23 may be operated with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W 2 . At this time, the first power consumption W 1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W 2 . The sum of the first power consumption W 1 and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W 2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W Max .

한편, 상기 진공 청소기(1)가 바닥 청소 모드로 동작되는 중에, 상기 제어부(84)는 상기 제 2 감지부(82)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구동모터(11)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S19). 그리고, 상기 제어부(84)는 측정된 제 1 구동모터(11)의 측정속도(V)와 메모리(83)에 저장된 설정속도를 비교할 수 있다(S21).Meanwhile, while the vacuum cleaner 1 is operating 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control unit 84 may control the second sensing unit 82 to measure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11 (S19). The control unit 84 may compare the measured speed V of the measured first driving motor 11 with the preset speed stored in the memory 83 (S21).

상기 제 1 구동모터(11)의 측정속도가 상기 설정속도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구동모터(11)는 정상작동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the measured speed of the first drive motor 11 is larger than the set spee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drive motor 11 is in the normal operation state.

한편, 상기 제 1 구동모터(11)의 측정속도가 상기 설정속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진공 청소기(1)는 카펫(carpet)과 같은 모직물이 있는 구역을 청소하는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4)는 청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줄이면서,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S23).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asurement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11 is lower than the set speed, the vacuum cleaner 1 may be in a state of cleaning a region having a wooly material such as a carpet. 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the controller 84 may increas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while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S23).

상세히, 상기 제어부(84)는 상기 제 1 구동모터(11)의 소비전력을 설정된 상기 제 1 소비전력(W1) 및 제 1 설정소비전력(WS1) 사이 범위에서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4)는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제 2 소비전력(W2) 및 제 2 설정소비전력(WS2) 범위 내에서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가변되는 제 1 구동모터(11)의 소비전력과 가변되는 제 2 구동모터(23)의 소비전력의 합은 최대소비전력(WMAX)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In detail, the control unit 84 may vary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11 in the range betwee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W 1 and the first power consumption W S1 . Also, the control unit 84 may vary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within the range of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W 2 and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W S2 . At this time, the sum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variable first drive motor 11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e motor 23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maximum power consumption W MAX .

또한, 상기 제 2 흡입유닛(50)에 의해 카펫트의 일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흡입유로를 통해 용이하게 흡입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구동모터(11)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2 구동모터(23)의 소비전력보다 클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 1 설정소비전력(WS1)은 이물질이 흡입될 수 있는 최소한의 제 1 구동모터(11)의 전류출력값을 의미할 수 있다.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11 is lower tha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23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carpet are easily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th by the second suction unit 50. [ May be larger than the power consumption. In other words, the first set power consumption W S1 may mean the current output value of the minimum first drive motor 11 to which the foreign matter can be sucked.

제 1 구동모터(11) 및 상기 제 2 구동모터(23)의 소비전력이 가변되면, 상기 제어부(84)는 상기 제 1 구동모터(11)의 속도를 재측정하여, 진공 청소기가 모직물이 있는 청소 구역을 벗어났는지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11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23 is varied, the control unit 84 re-measures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11, You can check if you are out of the cleaning area.

청소구역을 빠져나온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84)는 바닥 청소 모드의 소비전력으로 각 구동모터(11, 23)를 동작시킬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has exited the cleaning area, the control unit 84 can operate the driving motors 11 and 23 with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loor cleaning mode.

본 실시예에서, 제 1 구동모터 및 제 2 구동모터가 제 1,2 소비전력으로 동작되는 동작모드를 제 1 바닥 청소 모드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모터 및 제 2 구동모터가 제 1, 2 소비전력 및 제 1,2 설정소비전력 사이 범위에서 동작되는 동작모드를 제 2 바닥 청소 모드라 이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are operated with the first and second power consumption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floor cleaning mode. The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operate in the range between the first, second power consump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et power consumption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floor cleaning mode.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진공 청소기가 바닥 청소 모드 동작하는 중 제어부는 감지부를 제어하여 카펫과 같은 모직물이 있는 청소구역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카펫과 같은 모직물이 있는 구역을 청소하는 경우, 제 1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낮추고,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높힘으로써, 모직물에 있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iddle control unit in which the vacuum cleaner operates in the floor cleaning mode can control the sens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leaning zone with a wooly material such as a carpet. In the case of cleaning a wooly area such as a carpe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is lowered,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is increased, so that the foreign matter in the wooly fabric can be efficiently remov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부를 통해 자동으로 모직물이 있는 청소구역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감지정보를 기초로 제어부는 각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wastewater-containing cleaning zone automatically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driving motor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다만, 진공 청소기(1)에 제 2 구동모터의 온/오프 스위치 및 제 2 구동모터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 및 구동모터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각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vacuum cleaner 1 may be provided with an on / off switch of the second drive motor and a switch capable of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second drive moto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manually control each drive motor by using a switch capable of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on / off switch and the drive motor.

1: 진공 청소기 10: 본체
11: 흡입모터 13: 제 1 흡입유로관
14: 제 2 흡입유로관 15: 연결유로관
20: 제 1 흡입유로 21: 제 1 노즐
22: 브러쉬모듈 23: 브러쉬모터
24: 동력전달기구 30: 먼지분리장치
40: 장착부 50: 제 2 흡입유닛
60: 핸들 70: 연결호스
81: 제 1 감지부 82: 제 2 감지부
83: 메모리 84: 제어부
1: Vacuum cleaner 10: Body
11: Suction motor 13: First suction pipe
14: second suction flow pipe 15: connection flow pipe
20: first suction passage 21: first nozzle
22: Brush module 23: Brush motor
24: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30: Dust separation device
40: mounting portion 50: second suction unit
60: Handle 70: Connection hose
81: first sensing unit 82: second sensing unit
83: memory 84:

Claims (20)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구동모터;
상기 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닥면에 놓이는 제 1 흡입유닛;
상기 제 1 흡입유닛의 흡입구에 구비되는 브러시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2 구동모터;
상기 본체가 상기 제 1 흡입유닛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동작되는 업라이트 모드 및 상기 본체가 상기 제 1 흡입유닛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동작되는 바닥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 및
상기 제 1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동작모드에 따라, 제 1 구동모터 및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main body;
A first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first suction unit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placed on a bottom surface;
A second drive motor for driving the brush module provided at the suction port of the first suction unit;
A first sensing unit for sensing either an upright mode in which the main body is operated in a stand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and a floor cleaning mode in which the main body is operated in an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ction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sensed by the first sen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청소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구동모터는 제 1 소비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는 상기 제 1 소비전력보다 작은 제 2 소비 전력으로 구동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first drive motor is driven with a first power consumption,
And the second drive motor is driven with a second power consumption small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업라이트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소비전력에서 상기 제 1 소비전력보다 큰 제 3 소비전력으로 증가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2 소비전력에서 감소되는 진공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switching from the floor cleaning mode to the upright mod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is increased from the first power consumption to the third power consumption which is larg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is reduced at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라이트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구동모터는 제 1 소비전력보다 큰 제 3 소비전력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는 정지동작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pright mode,
Wherein the first drive motor is operated at a third power consumption high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and the second drive motor is stopp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최대 소비전력인 진공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third power consumption is a maximum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e mo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 1 소비전력 및 상기 제 2 소비전력의 합은 상기 업라이트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최대소비전력과 같거나 작은 진공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floor cleaning mode,
Wherein the sum of the first power consumption and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a maximum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e motor in the upright cleaning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흡입유닛; 및
상기 제 1 흡입유닛 및 상기 제 2 흡입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유로관이 더 포함되고,
상기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연결유로관은 상기 제 2 흡입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 청소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연결유로관은 상기 제 1 흡입유닛에 연결되는 진공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suction unit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flow pipe for selectively connecting either the first suction unit or the second suction unit to the main body,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upright mode, the connection channel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ction unit,
And the connection channel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unit when the floor cleaning mode is opera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부는,
상기 제 2 흡입유닛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업라이트 모드로 동작되는 것으로 감지하는 진공 청소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sensing unit comprises:
And detects that the second suction unit is operated in the upright mode when the second suction unit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속도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부로부터 측정되는 제 1 구동모터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nsing unit for sensing a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Wherein,
And control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e motor based on the speed of the first drive motor measur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제 1 구동모터의 속도가 설정속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제 1 설정소비전력만큼 감소시키며,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상기 제 1 설정소비전력보다 작은 제 2 설정소비전력만큼 증가시키는 진공 청소기.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floor cleaning mode,
Wherein the control unit de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by the first predetermined power consumption when the measured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is smaller than the set speed and control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by the first setting consumption Power by a second set power consumption that is less than the pow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소비전력 및 상기 제 2 설정소비전력의 합은 최대 소비전력과 같거나 작은 진공청소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um of the first set power consumption and the second set power consump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a maximum power consump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제 1 흡입유닛 사이에 형성된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업라이트 모드 및 상기 바닥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nsing unit comprises:
And a tilt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irst suction unit is measured to detect either the upright mode or the floor cleaning mode.
진공 청소기가 업라이트 모드 및 바닥 청소 모드 중 어느 하나인 동작 모드로 동작되는 것이 제 1 감지부에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진공 청소기의 동작모드에 기초하여, 본체에 구비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모터 및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흡입유닛에 구비되는 제 2 구동모터를 제어부가 제어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
The first sensing unit sensing that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in an operation mode that is one of an upright mode and a floor cleaning mode; And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based on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and a second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first suction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Control method of vacuum clean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제 1 구동모터는 제 1 소비전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는 상기 제 1 소비전력보다 작은 제 2 소비전력으로 구동되는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floor cleaning mode,
The first drive motor is driven with a first power consumption,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is driven with a second power consumption low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청소 모드에서 상기 업라이트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소비전력에서 상기 제 1 소비전력보다 큰 제 3 소비전력으로 증가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2 소비전력에서 감소되는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floor cleaning mode is switched to the upright mod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is increased from the first power consumption to the third power consumption which is larg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Wherein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is reduced at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업라이트 모드에서,
상기 제 1 구동모터는 상기 제 1 소비전력보다 큰 제 3 소비전력으로 동작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는 정지동작되는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upright mode,
The first drive motor is operated at a third power consumption high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And the second drive motor is stoppe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최대 소비전력인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third power consumption is a maximum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감지부에 의해 제 1 구동모터의 속도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속도를 기초로 상기 제 1 구동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Detecting a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by the second sensing unit; And
And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based on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속도가 설정속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1 소비전력 및 상기 제 1 소비전력보다 작은 제 1 설정소비전력 사이 범위에서 동작되고,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소비전력은 상기 제 2 소비전력 및 상기 제 2 소비전력보다 작은 제 2 설정소비전력 사이 범위에서 동작되는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n the speed of the first driving motor detected by the second sensing unit is lower than the set spee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is lower than the first power consumption and the first predetermined power consumption Lt; / RTI >
Wherei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is operated in a range between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and a second set power consumption lower than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의 동작 모드를 감지하는 단계는,
제 1 흡입유닛 및 상기 본체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기준으로 동작 모드를 판단하거나, 제 2 흡입유닛의 본체 장착여부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것인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of sens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vacuum cleaner comprises:
Wherein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based on an angle formed between the first suction unit and the main body, or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second suction unit is mounted on the main body.
KR1020170003058A 2017-01-09 2017-01-09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9320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058A KR101932074B1 (en) 2017-01-09 2017-01-09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058A KR101932074B1 (en) 2017-01-09 2017-01-09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025A true KR20180082025A (en) 2018-07-18
KR101932074B1 KR101932074B1 (en) 2019-03-20

Family

ID=6304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058A KR101932074B1 (en) 2017-01-09 2017-01-09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07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279A (en) * 1992-01-20 1993-08-03 Sharp Corp Vacuum cleaner
JP2006001924A (en) * 2004-05-20 2006-01-05 Otsuka Pharmaceut Co Ltd Solid medicinal preparation
KR20070019092A (en) * 2005-08-11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head for upright type vaccum cleaner
JP2008061924A (en) * 2006-09-11 2008-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KR20100053095A (en) * 2008-11-12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JP2015000342A (en) * 2013-06-13 2015-01-05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279A (en) * 1992-01-20 1993-08-03 Sharp Corp Vacuum cleaner
JP2006001924A (en) * 2004-05-20 2006-01-05 Otsuka Pharmaceut Co Ltd Solid medicinal preparation
KR20070019092A (en) * 2005-08-11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head for upright type vaccum cleaner
JP2008061924A (en) * 2006-09-11 2008-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KR20100053095A (en) * 2008-11-12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JP2015000342A (en) * 2013-06-13 2015-01-05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074B1 (en)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028A (en) Upright vacuum cleaner
JP6560921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EP1468637B1 (en) Suction cleaner
KR102511243B1 (en)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KR101411028B1 (en) Electric cleaner
KR20100053095A (en) Vacuum cleaner
KR101932074B1 (en) Vacuum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625814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70102849A (en) Upright type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40023776A1 (en) Suction nozzle, cleaner comprising suction nozzle, and control method of cleaner
JP2010115360A (en) Vacuum cleaner
EP126769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appliances
JP2750976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854144B1 (en) Robot cleaner
JP2011139773A (en) Vacuum cleaner
KR20000001763A (en) Robot cleaner and driv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12953B1 (en) Vacuum cleaner
JPH0595882A (en) Vacuum cleaner
KR100947363B1 (en) Vacuum cleaner
JPH04352930A (en) Vacuum cleaner
JPH07124091A (en) Vacuum cleaner
KR20120032440A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H05146383A (en) Vacuum cleaner
JP3285028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1092445A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