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947A -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 - Google Patents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947A
KR20180081947A KR1020170002902A KR20170002902A KR20180081947A KR 20180081947 A KR20180081947 A KR 20180081947A KR 1020170002902 A KR1020170002902 A KR 1020170002902A KR 20170002902 A KR20170002902 A KR 20170002902A KR 20180081947 A KR20180081947 A KR 20180081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spection
path
push button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185B1 (ko
Inventor
박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Priority to KR102017000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1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1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 G01M3/1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체(10)의 가스배관(P)상에서 가스를 점검통(20)의 점검용액(23)으로 유입시켜 기포(B)가 발생하여 가스 누출을 확인하는 퓨즈콕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가스배관(P)에서 공급로(11)에 가스의 공급유무를 단속하는 개폐핸들(13)을 구비하고, 내부에 과도한 가스의 유동을 감지하는 차단휴즈(15)를 구비하는 동체(10); 상기 동체(10)의 공급로(11)와 상호 연통되게 유입로(31)를 구비하고, 가스를 점검통(20)으로 유입되도록 단속하는 푸쉬버튼(37)을 구비하는 점검수단(30); 및 상기 점검수단(30)의 유입로(31)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로(41)를 구비하고, 푸쉬버튼(37)과 상호 연동하여 가스를 배출로(46)로 배출하는 배출구(45)를 구비하는 배출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구적으로 문제점을 보완하여 용이한 작동성과 함께 평상시나 운반 중에 점검액이 유출되지 않는 밀폐성이 향상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의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하는 동시에 가스의 차단과 가스 누출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Fuse Cock Valve for gas leak check}
본 발명은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구적으로 문제점을 보완하여 용이한 작동성과 함께 평상시나 운반 중에 점검액이 유출되지 않는 밀폐성이 향상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의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하는 동시에 가스의 차단과 가스 누출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스레인지 및 가스보일러 등 가스 이용기구는 가스공급원과 연결된 가스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가스배관의 소정 부위에는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개폐용 밸브가 설치되어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잠그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개폐용 밸브와 가스배관 부위나 가스 이용기구 등에는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형 가스폭발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에, 가스 이용자는 이러한 가스폭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가 누출되기 쉬운 곳에 비눗물을 칠하여 이를 수시로 체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가스가 누출되기 쉬운 곳에 일일이 비눗물을 칠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번거로우며, 비눗물이 고르게 도포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스누출을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62188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826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3453호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일예로, 한국공개특허 제2003-0062188호에 따르면, "물과 가스방향을 이용한 가스 누출 확인기 이므로 물속의 가스방울을 확인 할 수 있고 중간밸브와 확인밸브를 설치한다."는 가스 누출 확인기를 제시한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특허는 수조통을 일체시킨 가스 누출점검용 밸브의 제조공정상 점검 가스통로가 미세하게 개방되는 단점이 발생하고, 점검 가스통로를 크게 하게 되면 밸브 전체의 크기가 매우 커져서 제조원가의 상승과 설치 시공상 작업동선이 맞지 않아 별도의 연결부재를 추가해야 하고 미관적으로 매우 불합리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826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3453호 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는 가스를 공급하는 배관에 장착되어 가스의 차단과 가스 누출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 가능하여 안전사고 예방과 간소화된 구성을 토대로 제조 단가가 저렴한 효과는 있지만, 점검시 내부에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가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가 결정됨에 따라, 강한 탄성력을 지닌 스프링을 사용시 작동이 원활하지 않는 한편, 약한 탄성력을 지닌 스프링을 사용시 배출관로가 수월하게 개방되어 평상시나 운반 중에 점검액이 유출되어 밀폐성이 저하되는 점 등 기구적으로 미흡한 점이 있어 이를 개선할 여지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62188호 "가스 누출 확인기"(공개일자: 2003. 07. 2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8260호 "가스 누출 확인 기능을 갖는 중간 차단밸브"(등록일자: 2008. 06. 0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3453호 "가스 누출 확인용 중간 차단밸브"(등록일자: 2012. 11. 1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적으로 문제점을 보완하여 용이한 작동성과 함께 평상시나 운반 중에 점검액이 유출되지 않는 밀폐성이 향상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의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하는 동시에 가스의 차단과 가스 누출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체의 가스배관 상에서 가스를 점검통의 점검용액으로 유입시켜 기포가 발생하여 가스 누출을 확인하는 퓨즈콕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관에서 공급로에 가스의 공급유무를 개폐하는 개폐핸들을 구비하고, 내부에 과도한 가스의 유동을 감지하는 차단휴즈를 구비하는 동체; 상기 동체의 공급로와 상호 연통되게 유입로를 구비하고, 가스를 점검통으로 유입되도록 단속하는 푸쉬버튼을 구비하는 점검수단; 및 상기 점검수단의 유입로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로를 구비하고, 푸쉬버튼과 상호 연동하여 가스를 배출로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점검수단은 유입로 상에서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차단오링과 함께 이동유무를 결정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차단구, 차단구의 이동에 따른 가스 유입을 단속하는 단속면을 구비한 푸쉬버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배출수단은 연결로 상에서 가스를 유입하는 유입공을 구비하면서 푸쉬버튼의 단속면에 접촉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스프링이 구비된 배출구, 배출구의 하단에 배출로로 가스의 배출을 단속하는 차단오링과 함께 점검통으로 가스를 유입시켜 기포를 발생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은 기구적으로 문제점을 보완하여 용이한 작동성과 함께 평상시나 운반 중에 점검액이 유출되지 않는 밀폐성이 향상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의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의 차단과 가스 누출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의 주요 구성을 단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의 점검 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의 점검 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3의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의 점검 시 상태의 주요 부분만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동체(10)의 가스배관(P)상에서 가스를 점검통(20)의 점검용액(23)으로 유입시켜 기포(B)가 발생하여 가스 누출을 확인하는 퓨즈콕에 관련되며, 특히 기구적으로 문제점을 보완하여 작동성과 함께 점검액이 유출되지 않는 밀폐성이 향상함을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점검통(20)은 누출되는 가스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기포(B)를 발생하도록 점검용액(23)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점검통(20)은 후술하는 배출수단(40)에 연결되어 점검용액(23)을 통하여 가스 누출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목적을 취한다. 이는 후술하는 점검수단(30)과 배출수단(40)에 의해 가스를 점검용액(23)을 보내 기포(B)가 발생되면 가스가 누출된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관(P)에서 공급로(11)에 가스의 공급유무를 단속하는 개폐핸들(13)을 구비하는 동체(10)는 내부에 과도한 가스의 유동을 감지하는 차단휴즈(15)를 구비한다. 동체(10)는 도 1 및 도 2처럼 가스공급원으로부터 공급이 원활하도록 가스배관(P) 상에 체결하면서 유입되는 가스를 공급로(11)로 공급받는다. 이러한 동체(10)는 개폐핸들(13)의 조작에 의해 공급로(11)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하거나 공급하는데, 이는 개폐핸들(13)과 함께 회전하는 차단볼(도면번호 미부여)에 의해 가스의 공급유무를 단속한다.
그리고 동체(10)의 공급로(11) 상에 위치한 차단휴즈(15)는 과도한 가스의 유동을 감지하여 공급로(11)로 차단하는 바, 이는 차단휴즈(15)는 전방에 패킹부와 후방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많은 양의 가스 유동을 감지 시 스프링이 압축되어 패킹부가 공급로(11)를 차단하게 되는 구조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동체(10)의 공급로(11)와 상호 연통되게 유입로(31)를 구비하는 점검수단(30)은 가스를 점검통(20)으로 유입되도록 단속하는 푸쉬버튼(37)을 구비한다. 점검수단(30)은 도 3처럼 가스의 누출을 육안으로 점검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바, 즉 동체(10)의 공급로(11)와 상호 연통되게 유입로(31)를 통하여 가스를 점검통(20)으로 유입시켜 점검용액(23)에 기포(B)를 발생시켜 가스 누출을 확인한다. 이에 따른 상세한 구성 및 설명은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점검수단(30)은 유입로(31) 상에서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차단오링(32)과 함께 이동유무를 결정하는 스프링(33)을 구비한 차단구(35), 차단구(35)의 이동에 따른 가스 유입을 단속하는 단속면(38)을 구비한 푸쉬버튼(3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검수단(30)은 도 3 및 도 4처럼 차단구(35)와 푸쉬버튼(37)으로 구성되는데, 차단구(35)는 유입로(31) 상에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차단오링(32)과 이동유무를 결정하도록 스프링(33)이 탄지된다. 즉 평상시에는 도 2처럼 차단오링(32)이 유입로(31)를 차단하여 가스가 내부(점검수단(30)과 배출수단(40)을 지칭함)로 유입됨을 차단하고, 점검시에는 도 3처럼 차단구(35)에 의해 차단오링(32)도 함께 이동하여 유입로(31)를 개방하여 가스를 유입한다.
그리고 푸쉬버튼(37)은 차단구(35)를 이동시켜 후술하는 배출수단(40)과 상호 연동하면서 가스 유입을 단속하도록 단속면(38)을 구비한다. 이는 푸쉬버튼(37)을 누르면 차단구(35)와 차단오링(32)이 이동하여 유입구(31)로 가스가 유입된다. 이와 함께 차단구(35)의 이동으로 단속면(38)에 상호 맞대어 있는 후술하는 배출수단(40)의 배출구(47)가 하강하여 연결로(41)를 통하여 점검통(20)으로 가스를 유입시켜 기포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처럼 푸쉬버튼(37)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면 차단구(35)의 스프링(33)에 의해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차단구(35)와 차단오링(32)이 이동하여 유입구(31)를 차단하여 가스가 내부로 유입됨을 차단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점검수단(30)의 유입로(31)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로(41)를 구비하는 배출수단(40)은 푸쉬버튼(37)과 상호 연동하여 가스를 배출로(46)로 배출하는 배출구(45)를 구비한다. 배출수단(40)은 도 3처럼 점검수단(30)과 상호 연동하여 가스를 점검통(20)으로 유입함과 함께 배출로(41)로 가스를 배출시키는데, 이는 푸쉬버튼(37)의 누름에 따라 배출구(45)가 상호 연동하여 연결로(41)로 통하여 점검통(20)으로 유입시켜 점검용액(23)에 의해 기포(B)를 발생시켜 가스 누출을 확인하고, 누출된 가스는 배출로(46)를 통하여 가스배관(P)으로 배출하는 바, 이에 따른 상세한 구성 및 설명은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출수단(40)은 연결로(41) 상에서 가스를 유입하는 유입공(42)을 구비하면서 푸쉬버튼(37)의 단속면(38)에 접촉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스프링(43)이 구비된 배출구(45), 배출구(45)의 하단에 배출로(46)로 가스의 배출을 단속하는 차단오링(47)과 함께 점검통(20)으로 가스를 유입시켜 기포를 발생하는 배출관(4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수단(40)은 도 3처럼 배출구(45)와 배출관(48)으로 구성되는데, 배출구(45)는 연결로(41) 상에서 푸쉬버튼(37)의 단속면(38)에 접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유입로(31)와 연결로(41)로부터 가스를 유입하도록 유입공(42)을 구비한다. 즉 배출구(45)는 차단구(35)의 단속면(38)과 상호 맞대어 있는 상태에서 푸쉬버튼(37)을 누르면 차단구(35)의 이동으로 단속면(38)으로부터 배출구(45)가 하강하여 연결로(41)를 통하여 유입공(42)로 가스가 유입된다. 그리고 점검수단(30)의 푸쉬버튼(37)을 복귀시키면 배출구(45)의 스프링(43)에 의해 상승하여 연결로(41)를 통하여 가스가 내부로 유입됨은 차단하는 동시에 배출로(46)를 통하여 가스가 가스배관(P)으로 배출됨을 차단한다.
그리고 배출관(48)은 배출구(45)의 하단에 연결되면서 점검통(20)에 개재되는 바, 이러한 배출관(48)을 통하여 가스를 점검통(20)으로 유입시켜 점검용액(23)에 의해 기포(B)를 발생시켜 가스 누출을 확인함과 함께 차단오링(47)에 의해 배출로(46)로 가스를 배출한다. 이는 평상시에는 도 2처럼 배출구(45)의 스프링(43)에 의해 상승하여 차단오링(47)이 연결로(41)와 배출로(46)를 차단하고, 점검시에는 배출구(45)가 하강함과 동시에 배출관(48)의 차단오링(47)이 하강하여 연결로(41)와 유입공(42)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관(48)을 지나 점검통(20)으로 유입시켜 점검용액(23)에 기포(B)를 발생시키고, 그 가스는 배출로(46)를 통하여 가스배관(P)으로 배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작동에 있어서, 도 2처럼 평상시 동체(10)의 개폐핸들(13)을 조작하여 공급로(1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시켜 가스배관(P)을 통해 가스레인지 및 가스보일러 등의 가스 이용기구에 가스를 정상적으로 공급한다. 물론 여기서 점검수단(30)은 차단오링(32)이 유입로(31)를 차단하여 가스가 내부(점검수단(30)과 배출수단(40)을 지칭함)로 유입됨을 차단한다.
도 3 및 도 4처럼 점검시에는 개폐핸들(13)을 조작하여 공급로(1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푸쉬버튼(37)을 누르면 차단구(35)와 차단오링(32)이 이동하여 유입구(31)로 가스가 유입된다. 이어서, 차단구(35)의 이동으로 단속면(38)으로부터 배출구(45)가 하강하여 연결로(41)를 통하여 유입공(42)으로 가스를 유입되고, 배출관(48)을 통하여 가스가 점검통(20)으로 유입시켜 점검용액(23)에 의해 기포(B)가 계속 발생되는 현상이 나타나 사용자는 육안으로 가스누출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점검통(20)내에 잔존하는 가스는 배출구(45)가 하강함과 동시에 배출관(48)의 차단오링(47)이 하강하여 배출로(46)를 통하여 가스가 가스배관(P)으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푸쉬버튼(37)을 복귀시키면 도 2처럼 차단구(35)의 스프링(33)에 의해 복귀되어 차단오링(32)이 이동하여 유입구(31)를 차단하여 가스가 내부로 유입됨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배출구(45)의 스프링(43)에 의해 상승하여 연결로(41)를 차단하면서 차단오링(47)이 배출로(46)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은 기구적으로 문제점을 보완하여 용이한 작동성과 함께 평상시나 운반 중에 점검액이 유출되지 않는 밀폐성이 향상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의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하는 동시에 가스의 차단과 가스 누출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 가능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동체 11: 공급로
13: 개폐핸들 15: 차단휴즈
20: 점검통 23: 점검용액
30: 점검수단 31: 유입로
32: 차단오링 33: 스프링
35: 차단구 37: 푸쉬버튼
38: 단속면 40: 배출수단
41: 연결로 46: 배출로
45: 배출구 48: 배출관
B: 기포 P: 가스배관

Claims (3)

  1. 동체(10)의 가스배관(P)상에서 가스를 점검통(20)의 점검용액(23)으로 유입시켜 기포(B)가 발생하여 가스 누출을 확인하는 퓨즈콕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관(P)에서 공급로(11)에 가스의 공급유무를 단속하는 개폐핸들(13)을 구비하고, 내부에 과도한 가스의 유동을 감지하는 차단휴즈(15)를 구비하는 동체(10);
    상기 동체(10)의 공급로(11)와 상호 연통되게 유입로(31)를 구비하고, 가스를 점검통(20)으로 유입되도록 단속하는 푸쉬버튼(37)을 구비하는 점검수단(30); 및
    상기 점검수단(30)의 유입로(31)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로(41)를 구비하고, 푸쉬버튼(37)과 상호 연동하여 가스를 배출로(46)로 배출하는 배출구(45)를 구비하는 배출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수단(30)은 유입로(31) 상에서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하는 차단오링(32)과 함께 이동유무를 결정하는 스프링(33)을 구비한 차단구(35), 차단구(35)의 이동에 따른 가스 유입을 단속하는 단속면(38)을 구비한 푸쉬버튼(3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0)은 연결로(41) 상에서 가스를 유입하는 유입공(42)을 구비하면서 푸쉬버튼(37)의 단속면(38)에 접촉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스프링(43)이 구비된 배출구(45), 배출구(45)의 하단에 배출로(46)로 가스의 배출을 단속하는 차단오링(47)과 함께 점검통(20)으로 가스를 유입시켜 기포를 발생하는 배출관(4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
KR1020170002902A 2017-01-09 2017-01-09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 KR102000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902A KR102000185B1 (ko) 2017-01-09 2017-01-09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902A KR102000185B1 (ko) 2017-01-09 2017-01-09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947A true KR20180081947A (ko) 2018-07-18
KR102000185B1 KR102000185B1 (ko) 2019-07-15

Family

ID=6304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902A KR102000185B1 (ko) 2017-01-09 2017-01-09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263A (ko) 2019-06-10 2020-12-18 이원희 퓨즈콕 제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188A (ko) 2002-01-16 2003-07-23 홍성식 가스 누출 확인기
KR100785166B1 (ko) * 2006-07-21 2007-12-11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가스누출 확인용 안전 밸브
KR20080000770U (ko) * 2006-10-26 2008-04-30 코스모가스텍(주) 버튼형 가스누출 확인밸브
KR100838260B1 (ko) 2007-01-20 2008-06-17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가스 누출 확인 기능을 갖는 중간 차단밸브
KR101203453B1 (ko) 2011-11-11 2012-11-21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가스 누출 확인용 중간 차단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188A (ko) 2002-01-16 2003-07-23 홍성식 가스 누출 확인기
KR100785166B1 (ko) * 2006-07-21 2007-12-11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가스누출 확인용 안전 밸브
KR20080000770U (ko) * 2006-10-26 2008-04-30 코스모가스텍(주) 버튼형 가스누출 확인밸브
KR100838260B1 (ko) 2007-01-20 2008-06-17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가스 누출 확인 기능을 갖는 중간 차단밸브
KR101203453B1 (ko) 2011-11-11 2012-11-21 주식회사 이지씨엔이 가스 누출 확인용 중간 차단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263A (ko) 2019-06-10 2020-12-18 이원희 퓨즈콕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185B1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453B1 (ko) 가스 누출 확인용 중간 차단밸브
KR20110089809A (ko) 액상물 충전기의 충전통로 개폐장치
CN102123939B (zh) 用于流体计量装置的密封保持阀及包含该阀的流体分配仪
WO2004081422A3 (en) Protected integral cylinder valve, gas pressure regulator and flow meter, and method for refilling a gas cylinder so equipped
CN103939735A (zh) 液氯槽车无泄漏鹤管自动化装车系统及其装车方法
KR102000185B1 (ko) 가스 누출 확인용 퓨즈콕
US9581250B2 (en) Pressurised container valve
KR200430488Y1 (ko) 버튼형 가스누출 확인밸브
KR101511579B1 (ko) 가스 누출 안전점검 장치
JP2004191105A (ja) バルブ装置の気密検査用ガス漏れ検出孔
CN203810036U (zh) 液氯槽车无泄漏鹤管自动化装车系统
KR100838260B1 (ko) 가스 누출 확인 기능을 갖는 중간 차단밸브
KR100600493B1 (ko) 가스누출확인장치
KR20080000770U (ko) 버튼형 가스누출 확인밸브
KR20020094874A (ko) 급액노즐
JP2016519269A (ja) 加圧流体容器
KR101735407B1 (ko) 가스 누출 확인용 중간 차단밸브
KR101238177B1 (ko) 일방향 개폐밸브
KR20080009181A (ko) 버튼형 가스누출 확인밸브
KR101483503B1 (ko) 가스누출 경보용 안전밸브
CN104183520A (zh) 材料供给装置
KR101662613B1 (ko) 가스누설 점검밸브가 구비된 가스배관 중간밸브
JP2003120831A (ja) ボールバルブと流体漏れ防止方法
KR200433591Y1 (ko) 편심캠을 이용한 가스 누출 확인 밸브
JP2007205500A (ja) 逆流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