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406A -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406A
KR20180081406A KR1020170002597A KR20170002597A KR20180081406A KR 20180081406 A KR20180081406 A KR 20180081406A KR 1020170002597 A KR1020170002597 A KR 1020170002597A KR 20170002597 A KR20170002597 A KR 20170002597A KR 20180081406 A KR20180081406 A KR 20180081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unit
error signal
switch
injecti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기
Original Assignee
한울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울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울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1406A/ko
Publication of KR2018008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06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6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ower or energy, e.g. integral function of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8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relative position of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45/7606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display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003Measured parameter
    • B29C2945/76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635Electr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에 있어서, 특히 일정한 열 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출에 의해서 양질의 화장용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1) 사출 재료를 금형장치의 호퍼에 투입하는 단계; (2) 투입된 사출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하는 단계; (3) 가열온도를 온도센서로 체크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계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4) 용융된 사출재료를 노즐로 보내는 단계; (5) 노즐을 이용하여 용융된 사출재료를 금형장치로 보내는 단계; (6) 금형장치에서 화장용기를 사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Cosmetic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열 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출에 의해서 양질의 화장용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化粧品) 용기(容器)의 특성은 외관이 미려(美麗)하여야 하고 내용물이 담기는 부위가 내약품성(耐藥品性)이 있어야 하다는 전제로 원재료가 되는 수지(樹脂)의 선택 및 공정의 방법이 결정된다. 내약품성이 매우 뛰어난 수지로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를 들 수 있다.
수지는 화학적 거동에 따라 열가소성(熱可塑性) 수지와 열경화성(熱硬化性) 수지의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특정 온도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가열에 의해 연화(軟化)되고 냉각에 의하여 경화(硬化)되는 수지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다시 그 구조상으로 결정성(結晶性) 수지와 비결정성 수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PP 수지는 용융 수지가 고화(固化)될 때 분자 사슬이 부분적으로 결정체(結晶體)를 형성시키는 결정성 수지에 해당한다.
고급감과 디자인의 한계를 초월하기 위해서 두께를 유지하여야 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PP 수지와 같은 결정성 수지는 사출 성형시 표면의 수축 또는 휨이 발생하고 흐름이 좋지 않아 표면이 매끄럽지 않게 되어 고급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PP 수지는 수지 중 가격이 저렴하고 내약품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을 가진 수지이므로 상기와 같은 사출 성형상의 단점만 보완하면, 원가 절감, 불량 감소, 생산성 향상, 친환경에 가장 적합한 수지이며, 문제점만 해결되면 활용 범위가 더욱 더 넓어지고 고급화될 것이다.
PP 수지와 같은 결정성 수지로 고급화 제품을 만들기 위한 해결방안을 찾는데 있어서 그 주안점은 사출성형 금형구조 및 콘트롤, 사출성형기에서의 조합이 있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 두께를 유지하는 화장품 용기 제품은 외관이 미려(美麗)하여야 하고 내용물이 담기는 부위가 내약품성(耐藥品性)이 있어야 하다는 전제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금형(金型)과 다른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즉, (a) 외용기 금형, (b) 내용기 금형으로 각각 사출성형하여 (c)조립하게 된다. 그 이유는 디자인상 미려한 외관 부분과 내약품성이 있는 내용기로 구성되고 이들의 조립공정으로 제품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생산 공정을 단순화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금형과 하나의 수지로 하는 것이 타당하지만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는데 적합한 수지로는 PP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출장치는 성형품의 주재료인 플라스틱 등의 사출재료를 용융시켜 사출하여 금형에 주입함으로써 성형품을 제작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사출장치는 2002년 11월 25일자 특허청에 출원번호 제10-2002-0073393호(발명의 명칭: 금형장치에 의한 수지 성형품의 성형방법)로 출원된 도면 잘 나타나 있다.
상기 출원번호 제10-2002-0073393호에 나타난 금형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 코어(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금형 코어(12)는 원뿔통 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열제공시 동일한 열이 제공되면서 사출이 이루어지는지 정확하게 경보하는 장치가 없어서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사출시 필요한 열을 정확하게 체크하여 기준을 벗어난 상태로 열을 제공할시에 계속적인 경보음을 출력하여 이를 보정한 이후에 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함으로서 양질의 화장용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1) 사출 재료를 사출장치의 호퍼에 투입하는 단계; (2) 투입된 사출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하는 단계; (3) 가열온도를 온도센서로 체크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계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4) 용융된 사출재료를 노즐로 보내는 단계; (5) 노즐을 이용하여 용융된 사출재료를 금형장치로 보내는 단계; (6) 금형장치에서 화장용기를 사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출장치는, 베이스(102)와; 상기 베이스(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사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00)와; 상기 베이스(10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제1가이드레일(104)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10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제2가이드레일(106)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레일(104)과 제2가이드레일(10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레일(104)과 제2가이드레일(106)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며 호퍼로부터 투입된 사출재료를 가열하여 용융하고 용융된 사출재료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노즐로 보내는 가열부(108)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열부(108)의 일측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부(108)로 사출재료를 투입하는 호퍼(110)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열부(108)의 일측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열부(108)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움직이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부(108)로부터 보내져 온 용융된 사출재료를 금형장치로 보내는 노즐(112)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112)로부터 보내져 온 용융된 사출재료로 원뿔통 형상의 화장용기를 사출하는 금형장치(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부에는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센서의 결과에 따라 제어부에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면 계속적으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영구자석(1134)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금형장치(114)는, 상기 베이스(10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제1지지판(116)과; 상기 제1지지판(116)의 일측에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을 갖는 제1금형틀(120)과; 상기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연통 가능하게 상기 제1지지판(116)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112)로부터 보내져 온 용융된 사출재료를 상기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으로 보내는 주입공(122)과; 상기 제1지지판(116)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연결봉(124)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지지판(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지지판(116)과 마주보게 상기 연결봉(1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봉(124)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는 제2지지판(126)과; 상기 제2지지판(126)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이드봉(128)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봉(12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봉(128)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는 제2금형틀(130)과; 상기 제1금형틀(120)의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수용되게 상기 제2금형틀(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금형틀(130)의 전진시 상기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수용되어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수용되는 용융된 사출재료를 압착하는 원뿔형상의 압착부(132)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금형틀(120)의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뿔형상의 압착부(132)의 압착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뿔형상의 수용홈(132)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사출되는 원뿔통 형상의 화장용기를 냉각시켜 주는 냉각수분사부(134)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출시 필요한 열을 정확하게 체크하여 기준을 벗어난 상태로 열을 제공할시에 계속적인 경보음을 출력하여 이를 보정한 이후에 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함으로서 양질의 화장용기를 생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화장용기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화장용기 사출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출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금형장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출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금형장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사출장치는,
베이스(102)와;
상기 베이스(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사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00)와;
상기 베이스(10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제1가이드레일(104)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10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제2가이드레일(106)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레일(104)과 제2가이드레일(10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레일(104)과 제2가이드레일(106)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며 호퍼로부터 투입된 사출재료를 가열하여 용융하고 용융된 사출재료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노즐로 보내는 가열부(108)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열부(108)의 일측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부(108)로 사출재료를 투입하는 호퍼(110)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열부(108)의 일측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열부(108)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움직이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부(108)로부터 보내져 온 용융된 사출재료를 금형장치로 보내는 노즐(112)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112)로부터 보내져 온 용융된 사출재료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통 형상의 화장용기를 사출하는 금형장치(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금형장치(11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제1지지판(116)과;
상기 제1지지판(116)의 일측에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을 갖는 제1금형틀(120)과;
상기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연통 가능하게 상기 제1지지판(116)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112)로부터 보내져 온 용융된 사출재료를 상기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으로 보내는 주입공(122)과;
상기 제1지지판(116)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연결봉(124)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지지판(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지지판(116)과 마주보게 상기 연결봉(1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봉(124)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는 제2지지판(126)과;
상기 제2지지판(126)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이드봉(128)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봉(12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봉(128)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는 제2금형틀(130)과;
상기 제1금형틀(120)의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수용되게 상기 제2금형틀(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금형틀(130)의 전진시 상기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수용되어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수용되는 용융된 사출재료를 압착하는 원뿔형상의 압착부(132)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금형틀(120)의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뿔형상의 압착부(132)의 압착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뿔형상의 수용홈(132)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사출되는 원뿔통 형상의 화장용기를 냉각시켜 주는 냉각수분사부(1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열온도를 센서로 체크하여 기준 이하이면 경보를 출력하되 계속적인 경보를 통해 적절한 조치를 반드시 취한후 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온도센서(400)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센서의 결과 기준(180도 - 220도)을 벗어나면 제어부(500)에서 파악하여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계속적인 경보음을 출력하여 고장 수리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회로 전원부(1101)와,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발진 트랜스(1103)와,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릴레이 스위치(1107)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통신 단말기 전원 스위치(sw2)와,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01)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킨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부(1102)는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킨다.
상기 발진 트랜스(1103)는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는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탄발 스프링(1133)과, 영구자석(1134)과,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킨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탄발 스프링(1133)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영구자석(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킨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이 연결되어 발진 트랜스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트랜스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릴레이 스위치(1107)의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을 통과하면서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1107)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트랜스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1109)과 콘덴서(1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120)를 통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스위칭을 위해 계속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멈추게 된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에러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의 전류 흐름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120)를 통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보조 스위치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출력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에러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에러요인을 치유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에러요인을 치유하도록 유도한다.
즉,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수동 스위치(1135)를 작동시켜 경보신호를 오프시키게 되더라도,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에러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에러신호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에러신호 출력부가 오프되면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화장용기 물품은 여기에 기재된 임의의 다양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열형성 및 다른 유형의 여기에 기재된 방법, 시스템, 기구 및 장치는 여기에 기재된 일부의 또는 모든 물질을 사용하여 용기 및 기타 물품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물품은 하나 이상의 특별한 물질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될 수 있지만, 이러한 동일한 물품, 및 상기 물품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락트산,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많은 기타 열가소성 수지에 적용 가능하다. 다른 적당한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머 물질, 예로 열경화성 폴리머, 열가소성 물질,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예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예로 나일론(예를 들어 나일론 6, 나일론 66) 및 MXD6, 폴리스티렌, 에폭시, 아크릴, 코폴리머, 배합물, 그래프트화 폴리머, 및/또는 개질 폴리머(측쇄기로서 다른 기를 갖는 이들의 단량체 또는 일부, 예컨대 올레핀-개질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들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다층 구조, 배합물 또는 코폴리머에서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상이한 첨가제, 예컨대 나노입자 배리어 물질, 산소 스캐빈저, UV 흡수제, 발포제 등과 조합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인 물질의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에틸렌비닐 알콜 코폴리머("EVOH"),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아크릴산("EA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폴리에틸렌 2,6- 및 1,5-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PETG),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PLA), 폴리카보네이트, 폴리글리콜산(PGA), 폴리스티렌, 시클로올레핀, 폴리-4-메틸펜텐-1,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딘클로라이드(PVDC),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아세탈,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머 이오노머 예컨대 PET의 술포네이트, 폴리술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테트라메틸렌1,2-디옥시벤조에이트,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의 코폴리머, 및 상술한 하나 이상의 코폴리머 및/또는 배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출 재료를 호퍼에 투입하는 단계;
(2) 투입된 사출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하는 단계;
(3) 가열온도를 체크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경보음을 계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4) 용융된 사출재료를 노즐로 보내는 단계;
(5) 노즐을 이용하여 용융된 사출재료를 금형장치로 보내는 단계;
(6) 금형장치에서 화장용기를 사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먼저 첫번째 단계에서 본 발명은 호퍼에 화장용기 제작하기 위해 사출재료를 투입시킨다. 호퍼는 적당량의 사출재료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공간부를 갖으며 상기 호퍼에 사출재료를 담아서 사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둘째단계에서 투입된 사출재료를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즉, 상기 사출재료는 고체상태이기 때문에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변형시킨다.
셋째단계에서는 가열온도를 체크하는바, 사출 가열온도는 180 - 220도 사이이며 이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경보음을 계속적으로 출력하여 가열온도가 상기 기준범위를 벗어나지 않토록 관리를 유도한다. 이때 상기 온도범위를 벗어나도 임시로 경보스위치를 차단하게 되면 계속적으로 경보음을 출력하므로 반드시 에러상황을 치유하도록 유도한다.
넷째단계에서 융용된 사출재료를 노즐로 보내어서 노즐이 용융된 사출재료를 필요한 장소로 보내도록 한다.
다섯째 단계에서 상기 노즐을 이용하여 금형장치로 사출재료를 보내며 이때 사출재료는 용융된 상태라서 액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출재료를 금형장치로 보내서 원하는 사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다.
여섯째 단계에서 금형장치로부터 화장용기를 취출하여 화장용기 제조작업을 마무리한다.
102: 베이스
104: 제1가이드레일
106: 제2가이드레일
108: 가열부
110: 호퍼
112: 노즐
114: 금형장치

Claims (4)

  1. (1) 사출 재료를 사출장치의 호퍼에 투입하는 단계;
    (2) 투입된 사출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하는 단계;
    (3) 가열온도를 온도센서로 체크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음을 계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4) 용융된 사출재료를 노즐로 보내는 단계;
    (5) 노즐을 이용하여 용융된 사출재료를 금형장치로 보내는 단계;
    (6) 금형장치에서 화장용기를 사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출장치는,
    베이스(102)와;
    상기 베이스(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사출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00)와;
    상기 베이스(10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제1가이드레일(104)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베이스(10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제2가이드레일(106)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레일(104)과 제2가이드레일(10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레일(104)과 제2가이드레일(106)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며 호퍼로부터 투입된 사출재료를 가열하여 용융하고 용융된 사출재료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노즐로 보내는 가열부(108)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열부(108)의 일측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부(108)로 사출재료를 투입하는 호퍼(110)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열부(108)의 일측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열부(108)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움직이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부(108)로부터 보내져 온 용융된 사출재료를 금형장치로 보내는 노즐(112)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112)로부터 보내져 온 용융된 사출재료로 원뿔통 형상의 화장용기를 사출하는 금형장치(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부에는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센서의 결과에 따라 제어부에서 경보신호를 출력하면 계속적으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상기 전원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에 접점되어 전원 유지용 스위치부를 온 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이 온 되면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 사이에 설치되어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회로 작동용 철편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이 끌어당겨져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회로 작동용 철편을 부착시켜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온 상태를 지속시키는 영구자석(1134)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장치(114)는,
    상기 베이스(10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제1지지판(116)과;
    상기 제1지지판(116)의 일측에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을 갖는 제1금형틀(120)과;
    상기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연통 가능하게 상기 제1지지판(116)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112)로부터 보내져 온 용융된 사출재료를 상기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으로 보내는 주입공(122)과;
    상기 제1지지판(116)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연결봉(124)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지지판(11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지지판(116)과 마주보게 상기 연결봉(1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봉(124)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는 제2지지판(126)과;
    상기 제2지지판(126)의 일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가이드봉(128)과;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봉(12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봉(128)을 타고 전진 또는 후진하는 제2금형틀(130)과;
    상기 제1금형틀(120)의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수용되게 상기 제2금형틀(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금형틀(130)의 전진시 상기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수용되어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수용되는 용융된 사출재료를 압착하는 원뿔형상의 압착부(132)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금형틀(120)의 원뿔형상의 수용홈(118)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뿔형상의 압착부(132)의 압착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원뿔형상의 수용홈(132)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사출되는 원뿔통 형상의 화장용기를 냉각시켜 주는 냉각수분사부(134)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제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기.
KR1020170002597A 2017-01-06 2017-01-06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KR20180081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97A KR20180081406A (ko) 2017-01-06 2017-01-06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97A KR20180081406A (ko) 2017-01-06 2017-01-06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406A true KR20180081406A (ko) 2018-07-16

Family

ID=6304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597A KR20180081406A (ko) 2017-01-06 2017-01-06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14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32536T2 (de) Elektrische zweistufige einspritzeinheit und verfahren zur zuführung von kunststoffschmelze in eine sprizgiessformkavität
CN104275801B (zh) 一种3d打印塑料材料焊接装置
JPH1110673A (ja) 繊維強化樹脂の積層成形方法および積層成形品
KR101772816B1 (ko) 음료컵 제조장치
JP6113625B2 (ja) 射出成形機
KR20180081406A (ko)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KR20180081405A (ko) 화장용기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JP2003019731A (ja) インモールドコーティング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品
CN102275254A (zh) 一种基于co2激光器的塑料塑化方法和装置
KR101885456B1 (ko) 음료컵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음료컵
KR101885457B1 (ko) 음료컵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음료컵
KR20180081412A (ko)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KR20180081415A (ko)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KR20180081408A (ko)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KR20180081410A (ko) 화장용기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DE50003084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ehrkomponentenspritzgiessen von Kunststoff-Formteilen
KR20180081411A (ko) 화장용기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KR20180081409A (ko) 화장용기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KR20180081413A (ko) 화장용기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KR20180081407A (ko) 화장용기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KR20180081214A (ko) 블로워 용기 제조장치
KR101772817B1 (ko) 음료컵 제조방법
KR20180089001A (ko) 블로워 용기 제조방법
KR200486733Y1 (ko) 음료컵 제조장치
CN211307188U (zh) 一种注塑机送料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