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248A - 착용식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착용식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248A
KR20180081248A KR1020170002238A KR20170002238A KR20180081248A KR 20180081248 A KR20180081248 A KR 20180081248A KR 1020170002238 A KR1020170002238 A KR 1020170002238A KR 20170002238 A KR20170002238 A KR 20170002238A KR 20180081248 A KR20180081248 A KR 20180081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pattern
information
senso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888B1 (ko
Inventor
이재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7000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8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다양한 활동 과정에서 타인에 대해 자신의 이후 행동을 알릴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신의 비상 상황을 제3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자신과 타인의 안전을 보장하고,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착용식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알림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의복, 착용구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기 위한 체결수단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가 부착되는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움직임과 미리 저장된 모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모션정보에 포함된 모션 중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을 검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패턴이 포함되는 패턴정보에서 상기 모션에 대응되는 패턴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용식 알림 장치{WEARABLE IND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착용식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들의 다양한 활동 과정에서 타인에 대해 자신의 이후 행동을 알릴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신의 비상 상황을 제3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자신과 타인의 안전을 보장하고,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착용식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 비해 최근에는 사람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활동을 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활동을 함에 따라 상호 간의 의사소통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주간에 국한되지 않고, 야간에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생활에 꼭 필요한 활동뿐만 아니라 레저, 취미로써의 활동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특정 활동만을 하도록 한정되는 장소가 아닌, 복합적인 생활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복잡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한 사고가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주행을 위해 시설되는 도로 시설물의 경우 항상 차량의 활동을 위한 공간이 되기도 하지만, 이를 유지 보수 하는 인력의 일터가 되기도 하고, 보행자가 다른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해 차량과 다른 형태로의 이동이 발생하는 공간이 되기도 한다. 또한, 강변등에 조성되는 공원, 하상도로와 같은 공간은 자전거와 같은 탈것, 달리기 위한 레저용품을 이용하는 공간이 되면서도 한편으로는 산책, 조깅과 같은 운동을 하는 사용자들의 운동 공간이 되기도 한다.
이렇듯, 하나의 공간이 서로 다른 활동을 하는 사용자들에 의해 함께 공유되면서 서로 다른 활동을 하는 사용자가 간의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더욱이 사고자의 상황을 제3자가 인지하지 못하여 중요한 사고처리 시간이 그냥 경과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일례로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의 경우 앞서 진행하는 라이더의 차후 진행방향을 후행하는 라이더가 인지하지 못하여, 추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전거에 설치하는 알림 수단 등이 제시된 바 있으나, 설치나 이용이 불편하고, 자전거에만 사용할 수 있는 제약이 있어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1999-7010253(공개일 2001.02.15) '동작 감지 자전거 안전등 및 그 사용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들의 다양한 활동 과정에서 타인에 대해 자신의 이후 행동을 알릴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신의 비상 상황을 제3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자신과 타인의 안전을 보장하고, 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착용식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알림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의복, 착용구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기 위한 체결수단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가 부착되는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움직임과 미리 저장된 모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모션정보에 포함된 모션 중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을 검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패턴이 포함되는 패턴정보에서 상기 모션에 대응되는 패턴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정보에 포함된 상기 패턴의 호출을 위한 상기 모션의 설정을 위해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모션을 실행하여 상기 센싱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일한 상기 패턴에 대해 상기 센싱값의 전달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값의 전달은 상기 패턴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패턴별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턴정보는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값은 상기 외부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본체에 발생되는 변위 또는 속도를 복수의 축방향 각각에 대해 측정 가능한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정보는 상기 변위 또는 속도의 변화가 상기 모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기 위한 모션별 기준값 또는 기준값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알림 장치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활동 과정에서 타인에 대해 자신의 이후 행동을 알릴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신의 비상 상황을 제3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자신과 타인의 안전을 보장하고, 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알림 장치의 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착용식 알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정보와 모션정보의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패턴정보와 모션정보가 설정된 착용식 알림 장치의 사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알림 장치의 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착용식 알림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용식 알림 장치는 케이스(11), 출력부(20), 센서(30), 저장부(40), 통신부(50), 전원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1)는 출력부(20), 센서(30), 저장부(40), 통신부(50), 전원부(60) 및 제어부(70)를 수납하며, 사용자의 신체, 의복, 사용자가 지정한 장치에 체결수단(15)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출력부(20) 중 표시부(12)와 같이 일부 구성은 케이스(11)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1)는 일면에 표시부(12)가 노출되게 구성되고, 표시부(12)가 노출된 위치 외의 위치에 체결수단(15)이 마련된다. 체결수단(15)은 밴드, 단추, 접착식 테잎, 벨크로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 또는 장치에 착탈 가능한 수단이면 어떠한 수단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이 케이스(11)에는 전원부(60)와 외부 전원을 연결하거나, 통신부(50)와 외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전원인터페이스(1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4) 또는 입력버튼이 마련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20)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지정되는 영상 패턴, 음향을 출력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출력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영역이 케이스(11)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부(12)와 음향 출력을 위한 스피커, 진동 출력을 위한 모터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20)에 구성되는 표시부(12)는 액정표시패널,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ED)와 같이 경량, 박형의 고광도 표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20)는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장치와 같은 입력겸용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패턴정보가 이 입력겸용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센서(30)는 장치에 가해지는 각종 변수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70)에 전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센서(30)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장치가 설치된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동작 또는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변수를 측정하며, 이때 측정되는 변수는 위치의 변화량, 변화방향, 속도와 같은 사항으로, 3축에 대한 변화량인 피치(Pitch), 요(yaw), 롤링(rolling)와 같은 요소와, 가속도와 같은 사항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70)에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피치, 요, 롤링을 각각 x, y, z축의 변위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 3축의 변위가 위치의 변화량, 변화방향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센서(30)는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모션센서, 지자기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또는 설치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동작 또는 움직임에 의한 3축 변위와 속도를 측정 또는 산출할 수 있는 센서는 어떤 센서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저장부(40)는 전원부(6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50)를 통해 전달되는 패턴정보와 모션정보가 저장되고, 제어부(7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패턴정보와 모션정보를 전달한다. 이 저장부(40)는 마이크로 SD카드와 같은 착탈식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50)는 외부장치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80)나 컴퓨터 단말과 착용식 알림 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50)는 케이스(11)에 마련되는 유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외부장치와 연결되거나, 무선통신채널에 의해 외부장치에 연결된다. 무선통신채널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과 같은 무선방식일 수 있으며, 유선 인터페이스는 USB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통신모듈이 통신부(50)에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50)는 외부장치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외부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패턴정보, 모션정보를 전달받아 제어부(70)에 전달한다. 또는 모션정보의 작성을 위한 센싱정보를 외부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부(60)는 착용식 알림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이를 위해 착탈식 또는 충전식 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원부(60)는 외부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케이스(11)에 구성되는 전원인터페이스(13)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70)는 모션정보와 패턴정보를 저장부(40)에 저장하며, 착용식 알림 장치의 구동시 센서(30)로부터 전달되는 센싱정보를 모션정보와 비교하여, 센싱정보에 의해 확인되는 장치의 변위 정보가 모션정보에 의해 정해진 모션으로 인식되면, 패턴정보에 의한 영상 또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출력부(20)를 제어하거나, 통신부(50)가 외부에 알람을 위한 메시지를 전달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70)는 입력겸용의 출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패턴정보 또는 모바일단말(80)과 같은 외부장치에 의해 전달되는 패턴정보와 모션정보를 저장부(40)에 저장한다. 특히, 제어부(70)는 모바일 단말(80)에 의해 패턴정보와 모션정보를 매칭 및 생성하기 위한 센싱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센싱정보를 모바일 단말(8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모션정보는 장치의 3축 변위 및 속도에 대한 기준값 또는 기준값의 범위를 지정한 것으로, 복수의 기준값 또는 기준값의 범위로 지정될 수 있다. 이 모션정보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착용식 알림 장치가 장착된 장치에 의해 착용식 알림 장치에 변위 및 속도변화가 발생한 경우, 이러한 변위 및 속도변화가 패턴정보에 기재된 패턴을 출력하기 위한 모션 입력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다. 즉, 사용자가 착용식 알림 장치를 방향지시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착용식 알림 장치를 팔에 부착하고, 팔을 올리고 내리는 동작으로 방향지시 기능이 동작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팔을 올리고 내리는 동작으로 인해 발생되는 착용식 알림 장치의 3축 변위 및 속도 변화를 모션정보에 기록된 기준값 또는 기준값의 범위에 의해 제어부(70)가 판단하여, 방향지시 명령의 입력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패턴정보는 모션에 의한 입력이 발생시 표시부(12)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지정되는 영상패턴 또는 음향일 수 있다. 즉, 방향지시에 대한 패턴정보인 경우 해당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화살표의 깜빡임, 화살표의 색변화, 방향전환에 대한 음성 안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션정보와 패턴정보는 복수의 모션과 복수의 패턴에 대해 정의되어 모션에 따라 각기 다른 패턴이나 음향이 출력부(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각긱 다른 모션에 의해, 정지, 방향, 감속, 가속과 같은 알림을 표현할 수 있도록 각각에 대한 모션과 패턴이 정의되어 모션정보와 패턴정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모션정보와 패턴정보에는 긴급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긴급정보는 사용자의 사고 발생을 판단하고, 사고발생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바일 알림 장치가 수행해야 할 절차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는 긴급정보에 의해 센싱정보를 비교하고, 긴급상황으로 인지되는 경우 긴급정보에 지정된 절차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고, 외부에 메시지, 통신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사고 발생을 통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정보와 모션정보의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5는 패턴정보와 모션정보가 설정된 착용식 알림 장치의 사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패턴정보의 설정과정을 위해서 통신채널 형성 단계(S10), 패턴설정 단계(S20), 패턴별 모션설정단계(S30), 패턴정보와 모션정보 저장단계(S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채널 형성단계(S10)는 착용식 알림 장치의 통신부(50)와 모바일 단말(80) 또는 컴퓨터 단말 간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채널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이 통신채널 형성단계(S10)에서 착용식 알림 장치는 모바일 단말(80)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대기하게 된다. 여기서, 통신채널 형성단계(S10)는 패턴설정이 외부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때에만 필요한 것으로, 착용식 알림 장치에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이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바일 단말(80)에 의해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패턴설정 단계(S20)는 모바일 단말(80)에 의해 표시될 패턴이 설정되어 패턴정보가 작성되는 단계이다. 모바일 단말(8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되는 표시형태, 안내 형태와, 표시 주기, 안내 주기, 색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패턴정보를 작성한다. 일례로, 도 4와 같은 형태의 패턴정보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패턴정보가 방향안내정보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삼각형 형태의 패턴이 작성되고, 이 패턴이 패턴정보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패턴 정보에는 패턴의 색, 패턴이 표현되는 주기가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패턴뿐만 아니라 음향 안내를 위한 안내 음향과 관련정보가 패턴 정보로 작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턴정보에는 복수의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즉, 방향알림 외에도, 정지, 가속, 감속과 같은 다양한 패턴이 저장될 수 있으며, 방향, 속도 안내외에, 주의, 경고와 같은 일상 생활 또는 작업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패턴이 저장될 수도 있다.
모션설정단계(S30)는 각 패턴을 호출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션이 설정되는 단계이다. 모션 설정단계(S30)에서 모바일 단말(80)은 패턴을 호출하여 출력하기 위한 입력인 모션을 설정하게 되며, 설정된 모션에 의해 모션정보가 작성된다. 패턴정보에 복수의 패턴이 포함되는 경우 모션정보에는 각 패턴을 호출하기 위한 복수의 모션이 설정된다. 이러한 모션설정은 모바일 단말(80)에서 센싱값을 모션으로 인식하기 위한 센싱값의 수치가 직접 입력에 의해 지정될 수도 있으나, 모바일 단말(80)에 의해 모션 설정이 입력되는 동안 착용식 알림 장치에 실제 사용에서와 똑같은 모션이 적용되어 패턴별 모션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션설정 단계(S30)에서 모바일 단말(80)을 통해 모션설정을 위한 입력이 요청되면 사용자가 착용식 알림 장치를 착용하여 실제 사용시와 동일하게 착용식 알림 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패턴별 모션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모션설정단계(S30)에서 착용식 알림 장치가 실제 상황과 동일한 움직임을 발생시키면 센서(30)가 이를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작성하고, 이 센싱정보가 모바일 단말(80)로 전달되어 센싱정보에 설정된 센싱값이 패턴에 대응되어 저장되게 된다.
특히, 모션설정단계(S30)는 반복적으로 수 회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턴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각 패턴에 대응되는 모션을 설정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또한, 패턴에 대응되는 모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동일한 패턴에 대해 센싱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패턴에 대해 반복적으로 센싱값을 수집하는 경우 모션값의 범위를 설정하는 형태로 모션설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모션설정단계(S30)에서 설정되는 모션은 동일한 형태의 모션이 반복되는 경우에 입력으로 인정되도록 모션의 반복횟수가 정해질 수 있다. 즉,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오동작하지 않고 정확한 입력을 확인하기 위해 각 패턴별로 정해진 모션이 일정 횟수 이상 반복되도록 하여 패턴의 호출을 위한 입력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패턴정보 & 모션정보 저장단계(S40)는 전술한 패턴설정 단계(S20)와 모션 설정 단계(S30)에서 설정된 패턴정보와 모션정보가 착용식 알림 장치에 전달되어 저장부(40)에 저당되는 단계이다. 이 패턴정보 & 모션정보 저장단계(S40)에서 모션정보에 포함된 각 모션의 기준값 또는 기준값의 범위는 패턴정보에 포함되는 각 패턴에 대응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은 저장단계(S40)가 종료되면, 착용식 알림 장치와 모바일 단말(80)의 통신이 종료되어 사용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이러한 패턴정보와 모션정보의 설정의 최초 1회 또는 사용자에 의한 모션 또는 패턴 변경시에만 선택적으로 행해질 수 있는 것으로 착용식 알림 장치의 사용시마다 진행될 필요는 없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와 같이 복수의 패턴과 이에 대응되는 모션이 설정되어 패턴정보와 모션정보가 마련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상황에 따라 착용식 알림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과정은 센싱정보 작성단계(S50), 평균값 산출 단계(S60), 패턴판단단계(S70) 및 출력단계(S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정보 작성단계(S50)는 사용자가 착용식 알림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센서(30)가 장치에 발생되는 3축 변위와 속도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센싱정보로 작성하여 제어부((70)에 전달하는 단계이다.
평균값 산출 단계(S60)는 센싱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70)에 센싱정보에 포함된 센싱값이 기준값 이상의 크기를 가지면, 제어부(70)는 이러한 센싱값이 입력에 의한 센싱값인지 또는 장치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반복입력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이를 위해 모션정보에 포함된 모션의 입력 횟수를 조회하여 횟수만큼의 반복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정해진 횟수만큼의 반복이 이루어지는 경우 모션정보에 포함된 해당 모션의 기준값 또는 기준값의 범위와 센싱값의 비교를 위해 반복적으로 획득된 센싱값의 평균을 산출하게 된다. 착용식 알림 장치는 평균값을 모션별로 정해지는 기준값 또는 기준값의 범위와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모션을 수행함에 있어 사소하게 발생되는 부정확한 모션이 있더라도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패턴판단단계(S50)는 입력된 모션을 통해 해당 모션에 정의된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 패턴판단단계(S50)에서 제어부(70)는 전술한 평균값과 각 모션별로 정해진 기준값 또는 기준값의 범위를 판단하여 출력할 패턴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패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상적인 상황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사용자가 알리기 위한 패턴정보 외에 긴급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방향지시를 위해 팔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센서(30)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센서(30)에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가 포함되는 경우 Y축(yaw)의 큰 변위가 발생함과 아울러,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x축과 y축의 속도가 크게 변화하게 된다. 제어부는 이와 같이 각 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각 축별 센싱값을 모션정보에 포함된 모션별 기준값 또는 기준값의 범위와 비교하여 기준값 이상 또는 범위 내의 값으로 확인되면 패턴 호출을 위한 명령인 모션으로으로 인식하여 모션에 대응되는 패턴을 출력하도록 출력단계(S80)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패턴판단단계(S50)에서 긴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전거 주행중에 갑자기 넘어진 경우 Z축 방향의 속도변화가 크게 발생되고, X축 변위(Pitch)가 크게 변하게 되어, 이러한 센싱값이 제어부(70)에 전달되게 된다. 이때 제어부(70)는 센싱값에 의해 모션정보와 패턴정보를 조회하고, 모션정보에 저장되는 별도 조건 예를 들어 시간의 경과등을 판단하여 사고발생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센싱값의 큰 변화 후 측정되는 센싱값의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의 값이고,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이러한 상황이 유지되는 경우 긴급상황으로 판단하게 된다.
출력단계(S80)에서 제어부(70)는 전술한 단계에서 결정된 패턴을 출력부(20)를 통해 출력하여 타인에 대해 알림의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특히, 출력단계(S80)에서 긴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긴급상황시 출력하도록 설정된 패턴을 출력함과 아울러, 통신부(50)를 통해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긴급메시지를 전달하는 등의 긴급상황시의 처리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1 : 케이스 12 : 표시부
13 : 전원인터페이스 14 : 스위치
15 : 체결수단 20 : 출력부
30 : 센서 40 : 저장부
50 ; 통신부 60 : 전원부
70 : 제어부 80 : 모바일 단말

Claims (8)

  1. 사용자의 신체, 의복, 착용구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기 위한 체결수단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가 부착되는 대상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움직임과 미리 저장된 모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모션정보에 포함된 모션 중 상기 움직임에 대응되는 모션을 검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패턴이 포함되는 패턴정보에서 상기 모션에 대응되는 패턴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알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정보에 포함된 상기 패턴의 호출을 위한 상기 모션의 설정을 위해 상기 패턴에 대응되는 모션을 실행하여 상기 센싱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알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동일한 상기 패턴에 대해 상기 센싱값의 전달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알림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값의 전달은 상기 패턴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패턴별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알림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턴정보는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알림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값은 상기 외부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알림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본체에 발생되는 변위 또는 속도를 복수의 축방향 각각에 대해 측정 가능한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알림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정보는 상기 변위 또는 속도의 변화가 상기 모션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기 위한 모션별 기준값 또는 기준값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식 알림 장치.
KR1020170002238A 2017-01-06 2017-01-06 착용식 알림 장치 KR101925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238A KR101925888B1 (ko) 2017-01-06 2017-01-06 착용식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238A KR101925888B1 (ko) 2017-01-06 2017-01-06 착용식 알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248A true KR20180081248A (ko) 2018-07-16
KR101925888B1 KR101925888B1 (ko) 2018-12-06

Family

ID=6304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238A KR101925888B1 (ko) 2017-01-06 2017-01-06 착용식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8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298B1 (ko) * 2004-03-26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에 기반한 소리 발생 방법 및 장치
KR20160042500A (ko) * 2014-10-10 2016-04-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용자 동작 정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동작 인식 장치
KR20160111268A (ko) * 2015-03-16 2016-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115312A (ko) *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얍컴퍼니 모바일 단말의 비콘 수신기 활성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298B1 (ko) * 2004-03-26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에 기반한 소리 발생 방법 및 장치
KR20160042500A (ko) * 2014-10-10 2016-04-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용자 동작 정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동작 인식 장치
KR20160111268A (ko) * 2015-03-16 2016-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115312A (ko) *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얍컴퍼니 모바일 단말의 비콘 수신기 활성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888B1 (ko)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48265B (zh) 一种导航装置及方法
CN105139643B (zh) 感应提醒方法及感应提醒装置
US1075554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CN112158734B (zh) 建筑机械
EP2801318B1 (en) Ergonomic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KR101461306B1 (ko) 신체에 걸리는 방식으로 착용되는 낙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낙상 사고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낙상 사고 관리 방법
JP2010246912A (ja) 動作矯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これを用いた動作矯正サービスシステム
KR102353762B1 (ko)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자세 센서의 전후 좌우 방향 결정 방법
US11651714B2 (en) Display light emission device, head-up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helmet
JP2010188159A (ja) 身体動作センシング装置
GB2550318A (en) Cyclist accessory system
KR101925888B1 (ko) 착용식 알림 장치
US11145181B1 (en) Method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imbalance warning
CN206312069U (zh) 可穿戴式智能装置及智能系统
US11137600B2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system
US20220296455A1 (en) Clothing item
KR101352945B1 (ko) 작업자 위치 추적 및 동작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JP2012114755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82490B1 (ko)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557B1 (ko) 헤드셋 및 이의 충돌 경고 방법
CN113712536B (zh) 基于步态分析的不平衡预警方法及穿戴装置
JP6435958B2 (ja) 運動情報測定装置、運動管理方法、及び運動管理プログラム
KR102193653B1 (ko) 사용자 동작 및 인지 능력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EP4245181A2 (en) Display light emission device, head-up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helmet
KR102170323B1 (ko) IoT 웨어러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