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941A -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941A
KR20180080941A KR1020170002097A KR20170002097A KR20180080941A KR 20180080941 A KR20180080941 A KR 20180080941A KR 1020170002097 A KR1020170002097 A KR 1020170002097A KR 20170002097 A KR20170002097 A KR 20170002097A KR 20180080941 A KR20180080941 A KR 20180080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ont panel
deco
decor
sid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효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2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0941A/ko
Priority to EP18150329.3A priority patent/EP3345527B1/en
Priority to US15/862,928 priority patent/US10806324B2/en
Publication of KR2018008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5Arrangements of door covering/decoration panels or plinths, e.g. for integrated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F16B5/121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fastened over the edge(s) of the sheet(s) or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16Joints and connections with adjunctive protector, broken parts retainer, repair, assembly or disassembly feature
    • Y10T403/1608Holding means or protector functioning only during transportation, assembly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도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패널; 전면 패널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상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패널;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과 상기 상부 패널의 일단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간극; 그리고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간극을 메우는 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는,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과 상기 상부 패널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도록 구비되는 노출부;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측면부;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전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door panel for a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도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의 캐비닛 또는 도어는 금속 재질의 판재를 판금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하나의 판재를 판금하여 복수 개의 면을 형성하게 된다. 판재의 벤딩 부분 즉 절곡 부분은 일면과 일면 사이의 경계면으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3 개의 면이 만나는 꼭지점 부분이나 일면과 일면이 절곡된 후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불연속적인 간극은 용접을 통해 메워지거나 불연속적인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자의 경우는 이러한 불연속적인 간극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이며, 후자의 경우는 불연속적인 간극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금속 재질의 캐비닛이나 도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많다. 특히, 세탁기, 냉장고 그리고 식기 세척기와 같은 가전제품에서 도어 패널의 재질을 금속, 특히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도어 패널은 대부분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 패널에서 불연속적인 간극을 용접을 통해 메우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그리고 용접 후 폴리싱 등 마감처리를 해야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부분과의 색감이나 질감이 달라져 미려한 미관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간극을 메우기 위한 삽입장치를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5-0096741을 통해 제시한 바 있다. 상기 삽입장치는 패널의 간극을 패널 외부에서 삽입하여 메우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간극의 길이가 짧은 경우 이러한 삽입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삽입 후 삽입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들이 삽입장치가 작아짐에 따라서 제대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간극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 효과적으로 간극을 메울 수 있는 삽입장치 또는 데코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러한 데코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데코가 보다 신뢰성이 있게 간극을 메울 수 있는 도어 패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 도어 패널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도어 패널 내부에서 장착할 수 있는 데코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삽입된 데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간극이 작은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 그리고 안정적으로 메울 수 있는 데코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데코가 삽입되는 도어 패널 구조를 변경하여 양자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도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데코의 장착이 용이하고 정확한 위치에 데코를 장착할 수 있는 도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서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데코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패널; 전면 패널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상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패널;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과 상기 상부 패널의 일단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간극; 그리고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간극을 메우는 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는,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과 상기 상부 패널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도록 구비되는 노출부;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측면부; 그리고상기 전면 패널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전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는 상기 상부 패널과 상기 측면 패널의 좌우 차이를 보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간극은 상하 단차와 좌우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코는 이러한 간극을 메우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패널은 후단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 패널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패널의 전후 길이는 상기 측면 패널의 전후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극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데코의 삽입 방향은 도어 패널의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패널에는 수평 절개부와 수직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절개부와 수직 절개부를 통해 보강 패널 개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패널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데코가 상기 보강 패널의 전면과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 사이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코는 상기 노출부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평 절개부로 삽입되는 상면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데코의 삽입 시 하방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상부 패널을 미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는 탄성 후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후크에는 상기 강도 패널의 말단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데코의 상부 이동과 후방 이동이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부의 전체 전후 길이 중 일부분만 상기 보강 패널의 전면과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면부(220)와 상기 수평 절개부는 접촉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는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전면 패널을 미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는 보조 후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데코는 다양한 접촉 위치를 갖고 복수 개의 패널들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적어도 두 개소의 탄성 지지점을 갖게 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탄성 후크를 통해서 데코의 후방 이탈과 상부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가 간극과 밀착되는 것이 해제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들 사이의 밀착이 해제되면 미관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노출부와 상기 전면부 사이에는 상기 전면 패널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는 상기 측면 패널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두께 부분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데코의 좌우 회전을 방지하는 단차 방지 리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측면패널의 내면과 나란한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과 상기 측면패널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데코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간극이 메워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 패널의 후단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보강 패널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은 가전제품 도어의 전면 패널일 수 있다.
상기 가전제품은 식기 세척기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패널; 전면 패널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상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후단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 패널을 포함하는 상부 패널;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과 상기 상부 패널의 일단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간극; 그리고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간극을 메우는 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는,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과 상기 상부 패널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도록 구비되는 노출부;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측면부; 상기 전면 패널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전면부; 그리고 상기 노출부와 상하 단차를 갖는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보강 패널의 하단과 접촉하여 상기 데코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데코의 상부 이동을 탄성 복원력을 통해 제한하는 탄성 후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의 하측에는 상기 전면 패널과 밀착되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 후크의 탄성 복원력 방향과 상기 보조 후크의 탄성 복원력 방향은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출부와 상기 전면부 사이에는 상기 전면 패널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는 상기 측면 패널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패널에는 수평 절개부와 수직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절개부와 수직 절개부를 통해 보강 패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패널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데코가 상기 보강 패널의 전면과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 사이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도어 패널 내부에서 장착할 수 있는 데코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삽입된 데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간극이 작은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 그리고 안정적으로 메울 수 있는 데코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데코가 삽입되는 도어 패널 구조를 변경하여 양자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도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데코의 장착이 용이하고 정확한 위치에 데코를 장착할 수 있는 도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서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데코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패널에 데코가 삽입되기 전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데코를 다양한 방향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제1에 도시되 데코가 도어 패널에 삽입된 후의 단면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패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 패널(100)은 전면 패널(110), 측면 패널(120) 그리고 상부 패널(140)을 포함한다. 하나의 패널을 통해서 이러한 패널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패널(110)의 일측에서 절곡에 의해서 측면 패널(120)이 형성되고, 전면 패널(110)의 상측에서 절곡에 의해서 상부 패널(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에 의해서 각 패널의 연결부위에는 라운드가 형성되며, 이러한 라운드에 의해서 각 패널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면 패널(110)에서 라운드 형태로 절곡된 상부 패널(140)은 측면 패널(120)와 상하 단차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에서 라운드 형태로 절곡된 측면 패널(120)은 상기 상부 패널(140)의 일단과 좌우 단차를 갖게 된다.
이러한 단차는 상부 패널(140)과 측면 패널(120) 사이에서 상하 좌우 단차를 갖는 간극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간극(160)을 메우기 위한 데코(2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코(200)는 도어 패널(100)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간극(160)을 메우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장착된 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데코(200)를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패널은 후단에서 상기 전면 패널(110)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 패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패널(150)의 전후 길이는 상기 측면 패널(120)의 전후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도어 패널의 두께 보다 상부 패널(150)의 전후 길이가 짧을 수 있다. 도어 패널의 상부면은 상기 상부 패널(150)과 함께 미도시된 컨트롤 패널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격(160)은 도어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이러한 간격을 별도의 구성을 통해서 메우는 것은 매우 용이하지 않다.
상기 보강 패널(150)에는 수평 절개부(155)와 수직 절개부(15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절개부(155)와 수직 절개부(156) 사이에 보강 패널 개구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패널 개구부(157)는 상기 데코(200)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부(157)를 통해 데코(200)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데코(200)는 전면 패널(110)의 후면과 상기 보강 패널(150)의 전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일단 삽입된 데코(200)는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즉, 데코가 전후 좌우 그리고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간극(200)이 충분히 메우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데코(200)는 상기 도어 패널(100)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도어 패널(100)은 상기 데코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간극(200)은 상부 패널(140)와 측면 패널(120) 사이의 좌우 간극 그리고 상부 패널(140)과 측면 패널(120) 사이의 상하 간극을 포함하며, 따라서 이러한 간극에 의한 단차를 보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데코(200)는 노출부(21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노출부(200)는 도어 패널 외부에서 상기 간극을 메우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데코(200)는 측면 패널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측면부(230)와 상기 전면 패널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전면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230)에는 기준면(231)이 형성되며 상기 기준면(231)은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면(231)이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데코(200)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110)과 측면 패널(120)은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두께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두께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노출부(21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노출부(210)에는 단차부(211)가 형성된다. 즉, 노출부(210)와 측면부(230) 사이 그리고 노출부(210)와 전면부(240) 사이에는 단차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211)를 통해서 노출부(210)는 전면 패널(110) 상단의 두께 부분 그리고 측면 패널(110) 상단의 두께 부분을 덮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단차부(211)에 의해서 삽입된 데코(200)가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데코(200)는 상기 노출부(210)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상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는 상기 노출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220)는 상기 수평 절개부(155)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면부(220)는 전체가 상기 수평 절개부(155)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면부의 전체 전후 길이 중 일부분만 상기 보강 패널의 전면과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면부와 상기 수평 절개부는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220)에는 상기 데코의 삽입 시 하방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상부 패널을 미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는 탄성 후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후크(221)에는 상기 보강 패널의 말단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는 상기 데코의 상부 이동과 후방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상기 전면부(240)의 하부에는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전면 패널을 미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는 보조 후크(241)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후크(221)와 보조 후크(241)는 상기 데코(200)의 좌우 중심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 후크(221)는 데코(200)의 상부 그리고 보조 후크(241)는 데코(2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 복원력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이를 통해서 데코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단차 방지 리브(2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 방지 리브는 상기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부는 단차 방지 리브 그리고 보조 후크를 통해서 전면 패널의 후면과 접하게 된다. 이러한 단차 방지 리브의 구조를 통해서 상기 전면부가 상기 전면 패널과 밀착되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 패널(130)의 후단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보강 패널(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은 구체적으로는 도어의 프론트 패널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 패널(130)에는 도어의 리어 패널이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패널은 프론트 패널과 달리 사출물로 형성된 패널일 수 있다.
상기 도어 패널은 가전제품의 도어 패널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의 도어 패널일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전면에 구비되는 패널이므로 미관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외부로 노출되는 간극을 데코를 통해 메우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데코는 도어 패널과 질감 및 색감이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후크(221)과 보조 후크(241)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방향과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도 6을 기준으로 데코(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코의 미세한 이동도 제한되므로 간극(160)이 일부분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후크(221)는 이중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 후크(221)에 형성된 삽입부(222)에는 수평 절개부(155)의 말단이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코(200)가 상부로 이동될 때,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평 절개부(155)에 걸려 상부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데코(200)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평 절개부(155)에 걸려 후방 이동이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간극, 일례로 10mm 전후 길이의 작은 간극을 효과적으로 메울 수 있는 데코(200)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패널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용이하게 간극을 메우는 위치를 찾아갈 수 있는 데코(200)를 제공할 수 있다. 노출부 하부의 단차부에서 측면 패널의 상단 두께 부분과 접촉을 유지하고, 데코 측면부의 지지면과 측면 패널의 내측면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즉, 데코(200)의 자세가 유지된 상태에서 정확한 방향으로 간극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간극을 메울 수 있게 된다.
100 : 도어 패널 110 : 전면 패널
120 : 측면 패널 130, 150 : 보강 패널
140 : 상부 패널 200 : 데코
210 : 노출부 220 : 상면부
230 : 측면부 240 : 전면부

Claims (19)

  1. 전면 패널;
    전면 패널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상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패널;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과 상기 상부 패널의 일단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간극; 그리고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간극을 메우는 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는,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과 상기 상부 패널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도록 구비되는 노출부;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측면부;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전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은 후단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 패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의 전후 길이는 상기 측면 패널의 전후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널에는 수평 절개부와 수직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절개부와 수직 절개부를 통해 보강 패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패널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데코가 상기 보강 패널의 전면과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 사이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는 상기 노출부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평 절개부로 삽입되는 상면부(22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220)에는 상기 데코의 삽입 시 하방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상부 패널을 미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는 탄성 후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후크에는 상기 강도 패널의 말단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데코의 상부 이동과 후방 이동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의 전체 전후 길이 중 일부분만 상기 보강 패널의 전면과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상면부(220)와 상기 수평 절개부는 접촉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220)의 하부에는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전면 패널을 미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는 보조 후크(24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와 상기 전면부 사이에는 상기 전면 패널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는 상기 측면 패널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데코의 좌우 회전을 방지하는 단차 방지 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측면패널의 내면과 나란한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과 상기 측면패널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데코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간극이 메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의 후단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보강 패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은 가전제품 도어의 전면 패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은 식기 세척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16. 전면 패널;
    전면 패널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상측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후단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강 패널을 포함하는 상부 패널;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과 상기 상부 패널의 일단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간극; 그리고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간극을 메우는 데코를 포함하고,
    상기 데코는,
    상기 측면 패널의 상단과 상기 상부 패널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도록 구비되는 노출부;
    상기 측면 패널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측면부;
    상기 전면 패널의 내측면과 밀착하는 전면부; 그리고
    상기 노출부와 상하 단차를 갖는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보강 패널의 하단과 접촉하여 상기 데코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데코의 상부 이동을 탄성 복원력을 통해 제한하는 탄성 후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하측에는 상기 전면 패널과 밀착되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보조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 후크의 탄성 복원력 방향과 상기 보조 후크의 탄성 복원력 방향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와 상기 전면부 사이에는 상기 전면 패널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출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는 상기 측면 패널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패널에는 수평 절개부와 수직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절개부와 수직 절개부를 통해 보강 패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패널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데코가 상기 보강 패널의 전면과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 사이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KR1020170002097A 2017-01-05 2017-01-05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KR20180080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097A KR20180080941A (ko) 2017-01-05 2017-01-05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EP18150329.3A EP3345527B1 (en) 2017-01-05 2018-01-04 Front panel for a door for a household appliance
US15/862,928 US10806324B2 (en) 2017-01-05 2018-01-05 Door panel for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097A KR20180080941A (ko) 2017-01-05 2017-01-05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941A true KR20180080941A (ko) 2018-07-13

Family

ID=6093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097A KR20180080941A (ko) 2017-01-05 2017-01-05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06324B2 (ko)
EP (1) EP3345527B1 (ko)
KR (1) KR201800809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686A (ko) * 2018-10-12 202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5649S1 (en) * 2020-09-18 2022-10-04 Lg Electronics Inc. Panel for refrigerator
USD963007S1 (en) * 2020-09-18 2022-09-06 Lg Electronics Inc. Panel for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893A (en) * 1974-02-22 1976-03-02 R-J Industries, Inc. Building panel joint
US4320614A (en) * 1980-01-07 1982-03-23 General Electric Company Panel assembly for sheet metal panels having double wall construction corners
ATE69935T1 (de) * 1988-05-05 1991-12-15 Schneider & Co Metallwaren Kasten, insbesondere badezimmerschrank.
EP1330173B1 (en) * 2000-09-28 2008-04-09 Manfred Frank Patent Holdings Limited A joint arrangement for demountable structure
DE102010063448A1 (de) * 2010-12-17 2012-06-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DE102011075185A1 (de) * 2011-05-03 2012-11-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seitlichen, an Kraftaufnehmern gesicherten Gehäusewandungen
US9226289B2 (en) 2012-12-18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to conserve power of machine-to-machine devices using a shared data channel
WO2014200765A1 (en) * 2013-06-14 2014-12-18 Dirtt Environmetal Solutions, Inc. Panel and wall module connectio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WO2016041597A1 (en) * 2014-09-18 2016-03-24 Knauf Gips Kg Board mounting structure for building a corner element defining a corner
KR101743764B1 (ko) 2015-06-29 2017-06-05 김영자 감성 아바타 이모티콘 기반의 초경량 데이터 애니메이션 방식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감성 아바타 이모티콘 제공 단말장치
KR102378130B1 (ko) 2015-07-07 2022-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틈새부위 마감처리를 위한 삽입장치
KR102102151B1 (ko) * 2015-12-03 2020-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널 조립체, 식기세척기 및 전자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686A (ko) * 2018-10-12 202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5527B1 (en) 2020-04-22
EP3345527A1 (en) 2018-07-11
US10806324B2 (en) 2020-10-20
US20180184879A1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0336B1 (en) Built-in kitchen appliance
KR20180080941A (ko) 가전제품용 도어 패널
US9303916B2 (en) Built-in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decorative panel
CA2920234C (en) Handle tray for fascia panel of an appliance
KR20090098213A (ko) 세탁기
EP3371532B1 (en) Cooling appliance
JP5465111B2 (ja) 食器洗浄機
US11796243B2 (en) Refrigerator
EP1529482A1 (en) Built-in domestic appliance with decorative panel applied to the door
KR102552741B1 (ko) 냉장고
CN105371574A (zh) 冰箱门体
KR101717525B1 (ko) 냉장고
JP6099440B2 (ja) 食器洗浄機
US20190261829A1 (en) Domestic dishwasher
EP2628433A1 (en) A system for installing a front plinth to a built-in appliance
EP2889424B1 (en) Laundry appliance
US3804483A (en) Unit-handled roller assembly for plastic tubs
JP6565180B2 (ja) 食器洗浄機
US3817590A (en) Means for supporting roller assemblies in a dishwasher tub
KR100828326B1 (ko) 냉장고의 데코도어 장치
KR101285664B1 (ko) 세탁 장치
JP2014158568A (ja) 食器洗浄機
CN220187202U (zh) 用于冰箱的抽屉组件和冰箱
KR20230103412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090127763A (ko) 가전제품용 적층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