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898A - 3-dimensional back light image direction method based on multi-back board, and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3-dimensional back light image direction method based on multi-back board, and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898A
KR20180080898A KR1020170001999A KR20170001999A KR20180080898A KR 20180080898 A KR20180080898 A KR 20180080898A KR 1020170001999 A KR1020170001999 A KR 1020170001999A KR 20170001999 A KR20170001999 A KR 20170001999A KR 20180080898 A KR20180080898 A KR 20180080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backboard
dimensional
distance
glass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홍준
옥윤채
Original Assignee
최홍준
옥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준, 옥윤채 filed Critical 최홍준
Priority to KR1020170001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0898A/en
Publication of KR20180080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8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H05B37/0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86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esenting multi-backboard-based three-dimensional backlight. The method comprises: a first step of allowing a control unit (25) to present backlight to a glass bead end (22) of a second backlight backboard (24) through control of a backlight illumination device (21a) of a first backlight backboard (21); a second step of allowing the control unit (25) to measure a distance to an external object from a proximity sensor (26); a third step of allowing the control unit (25) to analyze information on the measured distance to extract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from a prestored DB for either a proximity control range of first to n^th steps (where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two) or a spacing control range of first to m^th steps (where m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two and equal to or different from n); and a fourth step of allowing the control unit (25) to control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cklight backboard (21) and the second backlight backboard (24) according to the extracted distance information for either the proximity control range of the first to n^th steps or the spacing control range of the first to m^th steps. Thus, an aesthetic function for a sculpture such as a statue of the Buddha is improved, and since any mechanism device is not formed on the sculpture, the sculpture can be easily replaced at the breakage thereof.

Description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3-dimensional back light image direction method based on multi-back board, and apparatus for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backlight-based three-dimensional backlight image-based multi-back board,

본 발명은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불상 등과 같은 조형물에 심미적 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조형물에는 어떠한 기구 장치를 형성하지 않아 조형물 파손시 조형물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backlight based on a multi-back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thre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backboard-based three-dimensional halftone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placement.

종래의 조형물은 단순한 모형으로 제공됨으로써, 어떠한 환경 그리고 상태에서의 조형물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배경 지식을 갖춰야 할 필요성이 있다.Since conventional sculptures are provided as simple models,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ckground knowledge in order to judge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culptures are formed and the state of the sculptures.

이에 따라 다른 문화환경이나 유아 등과 같은 어린이에게는 설명을 해야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 limit to explain to other cultural environments or children such as infants.

또한, 종래의 조형물에는 조명 등과 같은 기구적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조형물이 동상과 같은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경우, 기구적 장치에 대한 교체 및 수리시 이동되지 못하여 수리자가 조형물이 위치한 장치로 가서 수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mechanical device such as a lighting device in a conventional molding, if the molding has a lot of weight such as a frozen image, it can not be moved during replacement or repair of the mechanical device so that the repairer must go to the device where the molding is located and repair There has been an inconvenienc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0-0090955호 "조형물의 후광 연출장치(Back light device for sculpture)"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90955 "Back light device for sculptur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불상 등과 같은 조형물에 심미적 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조형물에는 어떠한 기구 장치를 형성하지 않아 조형물 파손시 조형물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backboard-based three-layered structure for improving the aesthetic function of a sculpture such as a statue, And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3D halo imag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은, 제어부(25)가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의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글라스 비드 단(22)으로의 후광 비주얼 연출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제어부(25)가 근접센서(26)로부터 외부의 객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는 제 2 단계; 제어부(25)가 측정된 거리 정보를 분석하여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근접 제어 범위, 제 1 내지 제 m 단계(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n과 같거나 다른 수)의 이격 제어 범위 중 하나에 대해서 미리 저장된 DB로부터 측정된 거리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 제어부(25)가 추출된 제 1 내지 제 n 단계의 근접 제어 범위 및 제 1 내지 제 m 단계의 이격 제어 범위 중 하나의 거리 정보에 따라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와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거리를 제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rendering a three-dimensional backlight based on a multi-back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25 controls the backlight device 21a of the primary backlight- A first step of performing a backlight visual presentation of the secondary back light directing backboard (24) to the glass bead end (22); A second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25 measures a distance to an external object from the proximity sensor 26; The control unit 25 analyzes the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proximity control range of the first to the n-th step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the first to m-th steps (m is a number equal to or different from n, A third step of extracting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DB stored in advance in one of the distance control ranges of the distances;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of one of the first to the n-th step and the distance control range of the first to m-th steps from which the control unit 25 is extracted, (24); And a control uni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는, 조형물(10) 자체에는 별도의 장치적 구성이 없이 모든 장치적 구성이 3차원 후광 연출부(20)에 형성되는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에 있어서, 3차원 후광 연출부(20)는,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의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글라스 비드 단(22)으로의 후광 비주얼 연출을 수행하며, 모션인식센서(28)에 의해 외부의 사용자에 의한 합장 제스처를 인식한 경우,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의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로부터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글라스 비드 단(22)으로의 후광 비주얼 연출시 후광의 면적이 극대화되도록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의 위치 및 광원 출력을 제어하는 후광 연출모듈(25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3D back-light directing apparatus based on the multi-back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ll the apparatuses constitute the three-dimensional back light directing section 20, The three-dimensional halftone light emitting unit 20 is configured to emit light through the second halftone emitting backbone (not shown) through the control of the backlight device 21a of the first halftone backboard 21 And the backlight visual presentation to the glass bead end 22 of the primary backlight illumination backboard 21 is performed by the motion recognition sensor 28. When the motion recognition sensor 28 recognizes the integration gesture by the external user, (25a)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backlight device (21a) and the output of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area of the backlight is maximized when the backlight is visually directed from the first backlight illumination device (21a) to the glass bead end (22) );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는, 불상 등과 같은 조형물에 심미적 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조형물에는 어떠한 기구 장치를 형성하지 않아 조형물 파손시 조형물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backlight based on a multi back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the aesthetic function of a sculpture such as a statue, but also facilitates replacement of a sculpture when the sculpture is broken, Provide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의 구성 중 제어부(25)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multi-backboard-based three-dimensional backlight rende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multi-backboard-based three-dimensional backlight rende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backboard-based three-dimensional halo-ray producing apparatus 1 shown in FIGS.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25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backboard-based three-dimensional backlight producing apparatus 1 of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3D backlight rendering method based on a multi back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element 'transmits' data or signals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can transmit the data or signal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element Data o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multi-backboard-based three-dimensional backlight rende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multi-backboard-based three-dimensional backlight rende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와 제 2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의 차이점은 제 1 실시예의 경우 이격 간격 제어모듈(27)을 구비하면, 제 2 실시예의 경우 3차원 후광 연출부(20)의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대(21b)를 구비한 것에 해당한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backlight rendering apparatus 1 based on the multi-backbo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1 and the three-dimensional backlight rendering apparatus 1 based on the multi-backboard according to the second second embodiment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separation interval control module 27 is provided, it corresponds to a support base 21b formed vertically from the lower plate of the three-dimensional backlight continuous portion 20.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의 구성 중 제어부(25)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backboard-based three-dimensional halo-ray producing apparatus 1 shown in FIGS.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25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backboard-based three-dimensional backlight producing apparatus 1 of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는 공통적으로 조형물(10) 및 3차원 후광 연출부(2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multi-backboard-based three-dimensional halftone image producing apparatus 1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cludes a molding 10 and a three-dimensional halftone image producing section 20 in common.

여기서 3차원 후광 연출부(20)는 배면에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를 구비하는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 글라스 비드(glass bead) 단(22)을 구비한 제 2 차 후광 연출 백보드(24), 제어부(25), 근접센서(26)를 구비한다. 한편, 글라스 비드 단(22)은 상부 글라스 비드 단(22a) 및 하부 글라스 비드 단(22b)으로 형성된다. Here, the three-dimensional halftone light emitting portion 20 includes a first halftone backboard 21 having a backlight device 21a on its backside, a second halftone backboard 24 having a glass bead end 22, ), A control unit 25, and a proximity sensor 26. On the other hand, the glass bead end 22 is formed of the upper glass bead end 22a and the lower glass bead end 22b.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경우 이격 간격 제어모듈(27)에 대한 제어부(25)의 제어를 통해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 및 제 2 차 후광 연출 백보드(24) 간의 이격거리가 제어되며, 제 2 실시예의 경우 3차원 후광 연출부(20)의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대(21b)와 제 2 차 후광 연출 백보드(24) 간의 이격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이격 간격 제어모듈이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5)는 후광 연출모듈(25a), 간격 제어모듈(25b), 결합 제어모듈(25c) 및 글라스 비드 연출모듈(25d)을 구비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section 25 to the interval control module 27,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alftone backboard 21 and the second halftone backboard 24 is controlled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a separate spac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frame 21b formed vertically from the lower plate of the three-dimensional rear projection part 20 and the second secondary rear projection board 24, Is preferably formed on the plate. 4, the control unit 25 includes a back light generation module 25a, an interval control module 25b, a coupling control module 25c, and a glass bead rendering module 25d.

이하에서는 제어부(25)의 구성을 중심으로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multi-backboard-based three-dimensional halftone directing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25.

후광 연출모듈(25a)은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의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글라스 비드 단(22)으로의 후광 비주얼 연출을 수행한다. 연출된 화면은 도 1b와 같을 수 있다. The backlight directing module 25a performs backlight visual rendering of the secondary backlight directing backboard 24 to the glass bead end 22 through the control of the backlighting device 21a of the primary backlight directing backboard 21 . The created screen may be as shown in Fig. 1B.

한편, 후광 연출모듈(25a)은 모션인식센서(28)에 의해 외부의 사용자에 의한 합장 제스처를 인식한 경우,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의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로부터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글라스 비드 단(22)으로의 후광 비주얼 연출시 후광의 면적이 극대화되도록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의 위치 및 광원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tion recognition sensor 28 recognizes the merging gesture by the external user, the halos rendering module 25a receives the second halos from the backlight device 21a of the first halftone backboard 21, The position of the backlight device 21a and the output of the light source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area of the backlight is maximized when the backlight visual is directed to the glass bead end 22 of the backlight device 24.

이 경우 조형물(10)은 도 1 및 도 2와는 다르게 합장하는 형상의 부처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조형물(10) 자체에는 별도의 장치적 구성이 없이 모든 장치적 구성이 3차원 후광 연출부(20)에 형성됨으로써, 조형물(10)의 파손시 조형물(10)에 대한 대체만으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this case, the sculpture 10 may be a Buddhist temple having a shape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FIGS. 1 and 2. In the meantime, the mold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eparate device configuration, and all device configurations are formed in the three-dimensional backlight continuous portion 20, so that only the substitution of the molding 10 for breakage of the molding 1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unction.

다음으로, 간격 제어모듈(25b)은 근접센서(26)로부터 외부의 객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한 뒤, 측정된 거리 정보를 분석하여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근접 제어 범위, 제 1 내지 제 m 단계(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n과 같거나 다른 수)의 이격 제어 범위 중 하나에 대해서 추출한다.Next, the interval control module 25b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external object from the proximity sensor 26, analyzes the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istance control module 25b in the first through n-th step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Range, and the first to m-th steps (m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2 and equal to or different from n).

이후, 간격 제어모듈(25b)은 추출된 제 1 내지 제 n 단계의 근접 제어 범위 및 제 1 내지 제 m 단계의 이격 제어 범위 중 하나의 거리 정보에 따라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와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거리를 제어한다. 거리에 대한 제어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경우 이격 간격 제어모듈(27)을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 및 제 2 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간격을 제어하며, 제 2 실시예의 경우 3차원 후광 연출부(20)의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대(21b)와 제 2 차 후광 연출 백보드(24) 간의 이격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이격 간격 제어모듈을 이용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어한다. Thereafter, the interval control module 25b se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order halftone backboard 21 and the second-order halftone dot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of one of the first to the n-th proximity control range and the first to m- And controls the distance of the backlighting backboard 24.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interval control module 27 control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cklight directing backboard 21 and the second backlight directing backboard 24 in a sliding manner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by using a separate spac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21b formed vertically from the lower plate of the three-dimensional rear projection part 20 and the secondary rear projection board 24 Sliding control is performed.

결합 제어모듈(25c)은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와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거리를 완전히 접합한 상태로 이격 간격 제어모듈을 제어함으로써,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1)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와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가 접합된 상태에서 별도로 제공되는 하부 브라켓을 이용해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와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가 고정될 수 있다. The coupling control module 25c controls the spacing distance control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back light directing backboard 21 and the secondary back light directing backboard 24 is fully joined so that the multi- 1) is easy to store. The first and second halftone backboards 21 and 24 are fixed using a separate lower bracket in a state where the first halftone backboard 21 and the second halftone backboard 24 are joined together. .

글라스 비드 연출모듈(25d)은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의 광원이 직접 조사되는 상부 글라스 비드 단(22a)과 해당 광원이 직접 조사되지 않는 하부 글라스 비드 단(22b)으로 구분된 글라스 비드 단(22)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해 상부 글라스 비드 단(22a)으로의 연꽃과 같은 특정한 무늬 형상이 연출되도록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를 제어하며, 하부 글라스 비드 단(22b)으로는 물결 형상으로 글라스 비드가 도포된 상부 글라스 비드 단(22a)으로 조사되는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의 잔류 광원을 이용해 마치 물결과 같은 형상이 구현되도록 한다. 이 경우, 글라스 비드 연출모듈(25d)은 광원 출력량 및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와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 간의 거리 정보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요청시 제어 출력한다. The glass bead directing module 25d has a glass bead end 22a divided into an upper glass bead end 22a to which a light source of the backlight illumination device 21a is directly irradiated and a lower glass bead end 22b to which the light source is not directly irradiated , The backlight illumination device 21a is controlled such that a specific pattern shape such as a lotus flower to the upper glass bead end 22a is directed and the glass bead is applied in a wavy shape to the lower glass bead end 22b Like shape by using the remaining light source of the backlight device 21a irradiated with the upper glass bead end 22a. In this case, the glass bead directing module 25d controls and outputs the light source output amount and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back light directing backboard 21 and the second back light directing backboard 24 when the user requests it.

즉 본 발명에서 상부 글라스 비드 단(22a) 및 하부 글라스 비드 단(22b)은 글라스 비드가 도포되어 난반사를 통화 후광 효과를 극대화한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glass bead end 22a and the lower glass bead end 22b are coated with glass beads to maximize the call halo effec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5)는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의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글라스 비드 단(22)으로의 후광 비주얼 연출을 수행한다(S11). 연출된 화면은 도 1b와 같을 수 있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3D backlight rendering method based on a multi back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control unit 25 controls the backlight device 21a of the primary backlight-emitting backboard 21 to control the backlight visual of the secondary backlight-emitting backboard 24 to the glass bead end 22, (S11). The created screen may be as shown in Fig. 1B.

단계(S11) 이후, 제어부(25)는 근접센서(26)로부터 외부의 객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한다(S22).After step S11, the controller 25 measures the distance to the external object from the proximity sensor 26 (S22).

단계(S22) 이후, 제어부(25)는 단계(S22)에서 측정된 거리 정보를 분석하여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근접 제어 범위, 제 1 내지 제 m 단계(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n과 같거나 다른 수)의 이격 제어 범위 중 하나에 대해서 미리 저장된 DB로부터 측정된 거리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추출한다(S23).After the step S22, the controller 25 analyzes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in the step S22 to calculate the proximity control range of the first to the n-th step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S23), which is matched with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DB, which is stored in advance, for one of the separation control ranges of the number of the same or different from n a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단계(S23) 이후, 제어부(25)는 단계(S23)에서 추출된 제 1 내지 제 n 단계의 근접 제어 범위 및 제 1 내지 제 m 단계의 이격 제어 범위 중 하나의 거리 정보에 따라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와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거리를 제어한다(S24). After step S23, the control unit 25 se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o the n-th step proximity control ranges and the first to m-th step distance control ranges, which are extracted in step S23,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board 21 and the second backlight directing backboard 24 is controlled (S24).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of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 조형물
20 : 3차원 후광 연출부
21 : 1차 후광 연출 백보드
22 : 글라스 비드(glass bead) 단
24 : 2차 후광 연출 백보드
25 : 제어부
후광 연출모듈결합 제어모듈
(25a)
간격 제어모듈
(25b)
결합 제어모듈
(25c)
글라스 비드 연출모듈
(25d)
26 : 근접센서
27 : 이격 간격 제어모듈
28 : 모션인식센서
10: Sculpture
20: Three-dimensional halo illumination section
21: First Halo Directed Backboard
22: glass bead stage
24: Second Halo Directed Backboard
25:
Halogen directing module coupling control module
(25a)
Interval control module
(25b)
Coupling control module
(25c)
Glass bead directing module
(25d)
26: Proximity sensor
27: Spacing Interval Control Module
28: Motion recognition sensor

Claims (2)

제어부(25)가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의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글라스 비드 단(22)으로의 후광 비주얼 연출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제어부(25)가 근접센서(26)로부터 외부의 객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는 제 2 단계;
제어부(25)가 측정된 거리 정보를 분석하여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근접 제어 범위, 제 1 내지 제 m 단계(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n과 같거나 다른 수)의 이격 제어 범위 중 하나에 대해서 미리 저장된 DB로부터 측정된 거리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
제어부(25)가 추출된 제 1 내지 제 n 단계의 근접 제어 범위 및 제 1 내지 제 m 단계의 이격 제어 범위 중 하나의 거리 정보에 따라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와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거리를 제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The controller 25 controls the backlight illumination device 21a of the primary backlight backboard 21 to perform backlight visual rendering of the secondary backlight backboard 24 to the glass bead end 22, step;
A second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25 measures a distance to an external object from the proximity sensor 26;
The control unit 25 analyzes the measured distance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proximity control range of the first to the n-th steps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the first to m-th steps (m is a number equal to or different from n, A third step of extracting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distanc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DB stored in advance in one of the distance control ranges of the distances; And
The controller 25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halftone backboards 21 and 22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of one of the first through the nth proximity control ranges and the first through mth separation control ranges 24); Dimensional backlight based on the backboard of the multi-backboard.
조형물(10) 자체에는 별도의 장치적 구성이 없이 모든 장치적 구성이 3차원 후광 연출부(20)에 형성되는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에 있어서, 3차원 후광 연출부(20)는,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의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에 대한 제어를 통해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글라스 비드 단(22)으로의 후광 비주얼 연출을 수행하며, 모션인식센서(28)에 의해 외부의 사용자에 의한 합장 제스처를 인식한 경우, 1차 후광 연출 백보드(21)의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로부터 2차 후광 연출 백보드(24)의 글라스 비드 단(22)으로의 후광 비주얼 연출시 후광의 면적이 극대화되도록 후광 조명 디바이스(21a)의 위치 및 광원 출력을 제어하는 후광 연출모듈(25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장치.
In the 3D back-light directing apparatus based on a multi-backboard in which all device configurations are formed in the three-dimensional back light continuous portion 20 without a separate device configuration, the three-dimensional back light directing portion 20,
The backlight illumination device 21a of the primary backlight directing backboard 21 performs backlight visual rendering of the secondary backlight directing backboard 24 to the glass bead end 22, The backlight illumination device 21a of the primary backlight backboard 21 to the backlight bead 22 of the secondary backlight backboard 24 to the glass bead end 22, A halo generating module 25a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backlight device 21a and the output of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area of the backlight is maximized; Dimensional backlight based on the backboard of the multi-backboard.
KR1020170001999A 2017-01-05 2017-01-05 3-dimensional back light image direction method based on multi-back board,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800808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999A KR20180080898A (en) 2017-01-05 2017-01-05 3-dimensional back light image direction method based on multi-back board,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999A KR20180080898A (en) 2017-01-05 2017-01-05 3-dimensional back light image direction method based on multi-back board, and apparatus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898A true KR20180080898A (en) 2018-07-13

Family

ID=6291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999A KR20180080898A (en) 2017-01-05 2017-01-05 3-dimensional back light image direction method based on multi-back board, and apparatu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089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74414B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position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US20150237319A1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thereof
JPWO2008081780A1 (en) Viewing environment control device, view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viewing environment control method
JP2010224665A (en) Light-tactilit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US9685096B2 (en) Guidance system for learning to play piano
CN106918974B (en) Projection device, optical projection system and its correcting and regulating method
WO201722172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8572447B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object tracking device and object tracking method thereof
KR20170129635A (en) Apparatus to display solid lighting image in midair and its displaying method
JP6665194B2 (en) Lighting equipment
KR20180013426A (en) 3-dimensional back light image direction method based on multi-back board,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80080898A (en) 3-dimensional back light image direction method based on multi-back board, and apparatus for the same
ITPE20130004A1 (en) PROCEDURE FOR THE IMPLEMENTATION OF AN INTERACTIVE AUDIOVISUAL INTERFACE THAT REPRODUCES HUMAN BEINGS
KR20150062952A (en) Laser projector with position detecting capability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13810837A (en) Synchronous sounding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related equipment
JP2014032600A (en) Display input device
KR20190142161A (en) 3-dimensional back light image direction method based on multi-back board,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200049401A (en) Wall display system
CN111127578B (en) Intelligent programmable light source DOT imaging system, method and device
KR20180013430A (en) Method for 3-Dimensional back light image direc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10060301B (en)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ion grating modeling
KR101347802B1 (en) Network lighting system capable of advertising and discussion learning using led and projector,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JP5504697B2 (en) Projection system, projection apparatus, audio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3620845B1 (en) Image display system and multimedia playback method
KR20190093244A (en) Block recognition based infant learning device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