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244A - Block recognition based infant learning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Block recognition based infant learning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244A
KR20190093244A KR1020180012609A KR20180012609A KR20190093244A KR 20190093244 A KR20190093244 A KR 20190093244A KR 1020180012609 A KR1020180012609 A KR 1020180012609A KR 20180012609 A KR20180012609 A KR 20180012609A KR 20190093244 A KR20190093244 A KR 20190093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lock
user terminal
us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호준
Original Assignee
성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호준 filed Critical 성호준
Priority to KR102018001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3244A/en
Publication of KR20190093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2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The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arrangement area of blocks for a toddler by irradiating light; and an image providing device unit installed on a camera of a user terminal to provide an image of the user and an image of the blocks for a toddler on the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to the camera, respectively.

Description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 및 방법{BLOCK RECOGNITION BASED INFANT LEARNING DEVICE AND METHOD}BLOCK RECOGNITION BASED INFANT LEARN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유아용 블록식 학습교구는 복잡한 블록과 달리, 아주 단순한 형태를 가지며, 원하는 모양대로 쌓는 놀이를 수행하는 학습교구이다.Block-type teaching aids for children, unlike complex blocks, have a very simple form and are learning tools that perform play that builds up as desired.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유아용 블록식 학습교구는 대개 1세 내지 5세의 아동 또는 이와 상응하는 정신연령을 가진 정신지체 장애우(이하, 유아라 함)의 지능 발달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The block school teaching aids that are commonly found in the surroundings are usually used for the intelligence development of children 1 to 5 years of age or mentally handicapped people with a corresponding mental 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fants).

이러한 유아용 블록식 학습교구는 다양한 형태로 쌓아 올림으로써, 건축물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유아의 사고발달과 탐구력이 향상시키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Such block-type teaching aids for children can be assembled in various forms to assemble various types of sculptures such as buildings. By repeatedly performing such a process, children's thinking development and inquiry ability are used to improve.

그뿐만 아니라 조립과 분해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인지발달에 필요한 주의력, 관찰력, 구성력, 이해력, 창작성 및 응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아용 블록식 학습교구는 유아에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복잡하지 않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In addition, by repeatedly performing assembly and disassembly, it is possible to improve attention, observation, composition, understanding, creativity, and application for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block school supplies for children are not complicated because they are applied to children. You have.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블록식 학습교구는 그 구성과 학습 방법의 단순함으로 인해 학습자의 흥미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키지 못하며 학습효과도 높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lock-type learning teaching aids for children do not effectively induce the interest of the learner due to the simplicity of the composition and learning method, and has a disadvantage that the learning effect is not high.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광을 조사하여 유아용 블록의 배치 영역을 표시하고, 이미지 제공 장치부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상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측으로 사용자의 이미지와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구성을 통해, 보다 간단한 구조이며, 상호 작용이 가능하여 학습효과가 높은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arrangement area of the baby block by irradiating light, and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is installed on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to the image of the user and the baby to the camera side Through the configuration that provides the image of the block, a simpler structure and interaction is possible to provide a block recognition-based early childhood learning device with high learning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유아용 블록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기능 또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유아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블록인식기반 유아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recognition-based infant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induce interest of infant users by providing a variety of functions or program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infant block.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이미지 인식 버튼 없이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이미지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성을 보다 단순화 시킨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recognition-based early childhood learning device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by enabling the imag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without a separate image recognition button, and to induce the interest of the user.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는 광을 조사하여 유아용 블록의 배치 영역을 표시하는 블록 배치 표시부; 및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이미지와 상기 블록 배치 표시부 상의 상기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각각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 장치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apparatus including: a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n arrangement area of a block for infants by irradiating light; And an image providing device unit disposed on a camera of a user terminal to provide an image of a user and an image of the baby block on the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to the camera,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치 영역은 상기 유아용 블록이 배치되는 지정 영역과 상기 지정 영역으로부터 일정 범위의 외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cement area may include a designated area in which the baby block is disposed and an outer area of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designated area.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 배치 표시부는 LED를 통해 광을 조사하며,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emits light through an LED and may be included in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측으로 투과시키는 이미지 투과부; 및 상기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측으로 반사시키는 이미지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is an imag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user to the camera side of the user terminal; And an image reflector configured to reflect the image of the baby block to the camera side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측으로 투과시키며, 상기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측으로 반사시키는 이미지 투과 및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transmits the image of the user to the camera side of the user terminal, the imag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unit for reflecting the image of the baby block to the camera side of the user terminal;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는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유아용 블록 이미지가 중첩되어 상기 카메라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may be provided to the camera by overlapping the user image and the baby block imag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와 상기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the gesture of the user, the user terminal may control to capture the image of the user and the image of the baby bloc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방법은 사용자의 이미지와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측으로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 장치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상에 설치되는 제1 단계; 블록 배치 표시부가 광을 조사하여 상기 유아용 블록이 배치되는 지정 영역과 상기 지정 영역으로부터 일정 범위의 외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배치 영역을 표시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가 상기 배치 영역 상의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와 상기 블록 배치부 상의 상기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배치 영역 상에서의 상기 유아용 블록의 배치 위치에 따라 결과를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Block recognition-based infant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irst step of providing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n image of the user and the image of the baby block to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on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 second step of displaying, by the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a layout area including a designated area in which the baby block is arranged and an external area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designated area; A third step of providing, by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an image of the user on the placement area and an image of the baby block on the block placement unit to the camera; And a fourth step of displaying, by the user terminal, a result according to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baby block on the arrangement area.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유아용 블록이 상기 지정 영역 또는 상기 외부 영역 상에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may display a result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baby block is disposed on the designated area or the external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을 조사하여 유아용 블록의 배치 영역을 표시하고, 이미지 제공 장치부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상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측으로 사용자의 이미지와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구성을 통해, 보다 간단한 구조이며, 상호 작용이 가능하여 학습효과가 높은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area of the infant block is irradiated with light, and an image providing device unit is installed on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a user image and an image of the infant block to the camer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lock recognition-based early childhood learning device having a simpler structure and a more interactive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용 블록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기능 또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유아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블록인식기반 유아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variety of functions or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baby block can provide a block recognition-based early childhood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induce interest of infant use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이미지 인식 버튼 없이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이미지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성을 보다 단순화 시킨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흥미를 보다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lock recognition-based early childhood learning device that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by enabling the imag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without a separate image recognition button, it can be more interesting to the user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의 이미지 제공 장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의 이미지 제공 장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unit of a block recognition-based infant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unit of a block recognition-based infant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description, it does not mean the size that is actually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의 이미지 제공 장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의 이미지 제공 장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unit of a block recognition-based early childhood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mage of a block recognition-based early childhood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a provision apparatus part.

이후부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상기 블록 배치 표시부(127)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배치 영역(110)은 상기 유아용 블록(111)이 배치되는 지정 영역(112)과 상기 지정 영역(112)으로부터 일정 범위의 외부 영역(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area 110 displayed by the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12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esignated region 112 in which the 111 is disposed and an external region 113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designated region 11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100)는 블록 배치 표시부(127) 및 이미지 제공 장치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127 and an image providing device unit 120.

블록 배치 표시부(127)는 광을 조사하여 유아용 블록의 배치 영역(110)을 표시하며, LED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광을 조사할 수 있다.The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127 may display the arrangement area 110 of the infant block by irradiating light,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LED to irradiate ligh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 배치 표시부(127)는 이미지 제공 장치부(12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치 영역(110)은 유아 등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유아용 블록(111)이 배치되는 곳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유아용 블록(111)을 이동시켜 상기 배치 영역(110) 에 배치하여 상기 유아용 블록(111)이 이미지 제공 장치부(120)에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127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120, and the arrangement area 110 is a place where the infant block 111 used by a user such as an infant is disposed. In addition, a user may move the infant block 111 to arrange the infant block 111 in the placement area 110 so that the infant block 111 may be recognized by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120.

또한, 상기 블록 배치 표시부(127)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배치 영역(110)은 상기 유아용 블록(111)이 배치되는 지정 영역(112)과 상기 지정 영역(112)으로부터 일정 범위의 외부 영역(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area 110 displayed by the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127 includes a designated area 112 in which the baby block 111 is disposed and an external area 113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designated area 112.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예를 들어, 상기 지정 영역(112) 상에 유아용 블록(111)이 배치되면 사용자 단말(101)은 상기 유아용 블록(111)이 올바르게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영역(113) 상에 상기 유아용 블록(111)이 배치되면 사용자 단말(101)은 상기 유아용 블록(111)이 올바르게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fant block 111 is disposed on the designated region 112, the user terminal 101 may determine that the infant block 111 is correctly disposed, and on the outer region 113. When the baby block 111 is disposed, the user terminal 101 may determine that the baby block 111 is not correctly disposed.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지정 영역(112) 상에 유아용 블록(111)이 배치되면 사용자 단말(101)이 점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영역(113) 상에 상기 유아용 블록(111)이 배치되면 사용자 단말(101)이 상기 점수 보다 낮은 점수를 제공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the infant block 111 is disposed on the designated region 112, the user terminal 101 may provide a score, and the infant block 111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region 113. If arranged, the user terminal 101 may provide a score lower than the score.

이미지 제공 장치부(120)는 사용자 단말(101)의 카메라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101)로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의 스마트 단말 뿐만 아니라 노트북 등의 카메라가 있는 다양한 단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01)은 거치대(103)에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120 may be installed on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1. In this case, as the user terminal 101, various terminals including a camera such as a laptop as well as a smart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a smart pad may be used, and such a user terminal 101 may be mounted on a holder 103 to be fixed. Can b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120)는 사용자(102)의 이미지와 블록 배치부(110) 상의 상기 유아용 블록(111)의 이미지를 각각 상기 카메라로 제공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120 may provide an image of the user 102 and an image of the baby block 111 on the block arrangement unit 110 to the camera, respectively.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제공 장치부(120)는 이미지 투과부(121) 및 이미지 반사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12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transmitting unit 121 and an image reflecting unit 122.

즉, 이미지 투과부(121)는 사용자(102)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101)의 카메라 측으로 투과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미지 반사부(122)는 유아용 블록(111)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측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at is, the image transmitting unit 121 transmits the image of the user 102 to the camera side of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image reflecting unit 122 reflects the image of the infant block 111 to the camera side of the user terminal. Can function.

따라서, 사용자 단말(101)의 카메라는 상기 사용자(102)의 이미지와 상기 유아용 블록(111)의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1)은 화면의 분할된 일측에 상기 사용자(102)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화면의 분할된 타측에 상기 유아용 블록(111)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refore,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1 receives the image of the user 102 and the image of the baby block 111, the user terminal 101 is the image of the user 102 on the divided side of the screen And display an image of the baby block 111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제공 장치부(120)는 이미지 투과 및 반사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transmitting and reflecting unit 125.

상기 이미지 투과 및 반사부(125)는 도 2의 실시예에서의 이미지 투과부(121) 및 이미지 반사부(122)의 기능을 결합한 구성으로서, 상기 사용자(102)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101)의 카메라 측으로 투과시키며, 동시에 상기 유아용 블록(111)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101)의 카메라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The image transmitting and reflecting unit 125 combines the functions of the image transmitting unit 121 and the image reflecting unit 122 in the embodiment of FIG. 2, and transmits the image of the user 102 to the user terminal 101. It is transmitted to the camera side of the, at the same time the image of the baby block 111 can be reflected to the camera side of the user terminal 101.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101)의 카메라 측으로는 상기 사용자(102)의 이미지와 상기 유아용 블록(111)의 이미지가 중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101)은 화면 상에 상기 사용자(102)의 이미지와 상기 유아용 블록(111)의 이미지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an image of the user 102 and an image of the baby block 111 may be overlapped and provided to the camera side of the user terminal 101, and the user terminal 101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 And the image of the baby block 111 may be displayed by overlapping.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01)은 사용자(102) 이미지와 유아용 블록(111)의 이미지를 제공받고, 상기 사용자(102)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상기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102)의 이미지와 상기 유아용 블록(111)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such, the user terminal 101 receives the image of the user 102 and the image of the infant block 111, recognizes the gesture of the user 102, and the camera detects the image of the user 102 and the infant.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to capture an image of the block 111.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을 조사하여 유아용 블록의 배치 영역을 표시하고, 이미지 제공 장치부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상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측으로 사용자의 이미지와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구성을 통해, 보다 간단한 구조이며, 상호 작용이 가능하여 학습효과가 높은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of the baby block by irradiating light to display, and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is installed on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a user image and the image of the baby block to the camera side Through the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lock recognition-based early childhood learning device having a simpler structure and higher interac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후부터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a block recognition based toddler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이미지 제공 장치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상에 설치된다(S410).First,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is installed on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S4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는 사용자의 이미지와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측으로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provides an image of the user and an image of the baby block to the camera side of the user terminal.

이후, 블록 배치 표시부가 광을 조사하여 배치 영역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동시킨 유아용 블록이 상기 배치 영역 상에 배치되고(S420),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가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와 배치 영역 상의 상기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로 제공한다(S430).Thereafter, the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irradiates light to display the arrangement area, and the infant block moved by the user is disposed on the arrangement area (S420), and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of the infant block on the arrangement area and the image of the user is disposed. The image is provided to the camera (S430).

따라서, 사용자 단말이 상기 유아용 블록이 지정 영역에 배치되었는지 판단한다(S440).Therefore,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baby block is disposed in the designated area (S440).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유아용 블록이 지정 영역에 배치되었으면, 상기 유아용 블록이 올바르게 배치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으며(S450), 상기 유아용 블록이 상기 지정 영역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유아용 블록이 올바르게 배치되지 않았음을 표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baby block is disposed in the designated area, the user terminal may indicate that the baby block is correctly disposed (S450). If the baby block is not disposed in the designated area, the user block may be displayed. This may indicate that it is not placed correctly.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용 블록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기능 또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유아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블록인식기반 유아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variety of functions or program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baby block can provide a block recognition-based early childhood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induce interest of infant users.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100: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
101: 사용자 단말
102: 사용자
103: 거치대
110: 배치 영역
111: 유아용 블록
112: 지정 영역
113: 외부 영역
120: 이미지 제공 장치부
121: 이미지 투과부
122: 이미지 반사부
125: 이미지 투과 및 반사부
127: 블록 배치 표시부
100: block recognition based learning device
101: user terminal
102: user
103: holder
110: placement area
111: baby blocks
112: designated area
113: outer zone
120: image providing unit
121: image transmission part
122: image reflector
125: imag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127: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Claims (5)

광을 조사하여 유아용 블록의 배치 영역을 표시하는 블록 배치 표시부; 및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이미지와 상기 블록 배치 표시부 상의 상기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각각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 장치부;
를 포함하는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
A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arrangement area of the infant block by irradiating light; And
An image providing device unit disposed on a camera of a user terminal to provide an image of a user and an image of the infant block on the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to the camera;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배치 표시부는,
LED를 통해 광을 조사하며,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에 포함되고,
상기 배치 영역은,
상기 유아용 블록이 배치되는 지정 영역과 상기 지정 영역으로부터 일정 범위의 외부 영역을 포함하는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Irradiates light through an LED and is included in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The arrangement area,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device comprising a designated area in which the baby block is disposed and a predetermined range of external areas from the designated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측으로 투과시키는 이미지 투과부; 및
상기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측으로 반사시키는 이미지 반사부;
를 포함하는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An imag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user to the camera side of the user terminal; And
An image reflector configured to reflect the image of the baby block toward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측으로 투과시키며, 상기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측으로 반사시키는 이미지 투과 및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는,
상기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유아용 블록 이미지가 중첩되어 상기 카메라로 제공되도록 하는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And an image transmitting and reflec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user to the camera side of the user terminal and reflecting the image of the baby block to the camera side of the user terminal.
The image providing device unit,
Block recognition-based toddler learning device for the user image and the baby block image is superimposed to provide to the camera.
사용자의 이미지와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측으로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 장치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상에 설치되는 제1 단계;
블록 배치 표시부가 광을 조사하여 상기 유아용 블록이 배치되는 지정 영역과 상기 지정 영역으로부터 일정 범위의 외부 영역으로 구성되는 배치 영역을 표시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미지 제공 장치부가 상기 배치 영역 상의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와 상기 블록 배치부 상의 상기 유아용 블록의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배치 영역 상에서의 상기 유아용 블록의 배치 위치에 따라 결과를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유아용 블록이 상기 지정 영역 또는 상기 외부 영역 상에 배치되었는지를 판단한 결과를 표시하는 블록인식기반 유아학습 방법.
A first step of providing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unit for providing an image of a user and an image of a baby block to a camera side of a user terminal on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 second step of displaying, by the block arrangement display unit, a layout area including a designated area in which the baby block is arranged and an external area 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designated area;
A third step of providing, by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an image of the user on the placement area and an image of the baby block on the block placement unit to the camera; And
And displaying, by the user terminal, a result according to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baby block on the arrangement area.
The fourth step,
Block recognition-based infant learning method for displaying the result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baby block is disposed on the designated area or the external area.
KR1020180012609A 2018-02-01 2018-02-01 Block recognition based infant learning device and method KR201900932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609A KR20190093244A (en) 2018-02-01 2018-02-01 Block recognition based infant learning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609A KR20190093244A (en) 2018-02-01 2018-02-01 Block recognition based infant learning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244A true KR20190093244A (en) 2019-08-09

Family

ID=6761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609A KR20190093244A (en) 2018-02-01 2018-02-01 Block recognition based infant learning device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324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690B1 (en) * 2022-11-07 2023-02-06 (주)그로비교육 Learning Terminal Storage Cradle Having A Structure To Improve Concent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690B1 (en) * 2022-11-07 2023-02-06 (주)그로비교육 Learning Terminal Storage Cradle Having A Structure To Improve Concent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6725B2 (en) Using clear-coded, see-through objects to manipulate virtual objects
US11257392B2 (en) Apparatus, engin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imulation of and training for the operation of heavy equipment
CN105323520B (en) Projector apparatus, interactive system and interaction control method
US20180232087A1 (en) Touch control system, touch control display system and touch control interaction method
Fleck et al. Making tangible the intangible: Hybridization of the real and the virtual to enhance learning of abstract phenomena
Krestanova et al. Development and technical design of tangible user interfaces in wide-field areas of application
KR20190093244A (en) Block recognition based infant learning device and method
KR20190093243A (en) Block recognition based infant learning device and method
KR20150062952A (en) Laser projector with position detecting capability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Miller Using Eye-Tracking to Understand the Complex Relations Between Attention and Language in Children's Spatial Skill Development
CN104679238A (en) Holographic interac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signal transmission
JP4611416B2 (en) Teaching materials
Verweij et al. Designing motion matching for real-world applications: Lessons from realistic deployments
Stephanidis et al. HCI International 2022 Posters: 2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I 2022, Virtual Event, June 26–July 1, 2022, Proceedings, Part III
US9851891B2 (en) Interactive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thereof
KR20070107949A (en)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with beam-recognition screen
Do et al. Happy healthy home
Holzinger et al. Intuitive e-teaching by using combined hci devices: Experiences with wiimote applications
Liou et al. Utilizing a low-cost, laser-driven interactive system (LaDIS) to improve learning in developing rural regions
RU2494441C1 (en) Interactive learning complex
US2024003808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interact with discoverable objects by pointing a light beam using a handheld device
Palani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advancement of touchscreen-based non-visual access to 2D spatial information
de Siqueira Toward New Ecologies of Cyberphysical Representational Forms, Scales, and Modalities
KR20150095330A (en) System for smart projector
KR20180033738A (en) Detachable Touch Panel Device Equipped with Di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