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657A - Cleaning robot - Google Patents
Cleaning rob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0657A KR20180080657A KR1020170001608A KR20170001608A KR20180080657A KR 20180080657 A KR20180080657 A KR 20180080657A KR 1020170001608 A KR1020170001608 A KR 1020170001608A KR 20170001608 A KR20170001608 A KR 20170001608A KR 20180080657 A KR20180080657 A KR 201800806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suction module
- guide
- module
- cleaning robo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75—Means for protecting the manipulator from its environment or vice vers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영역을 이동하면서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최근 자율 주행 기술, 자동 제어 기술 등의 발전으로 인해, 주행장치, 특히 로봇의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automatic control technology, the functions of a traveling device, particularly a robot, have been expanded.
각각의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율 주행은 기계가 스스로 판단하여 이동하고,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기술이다. 자율 주행 기술에 따르면 로봇은 센서를 통해 자율적으로 위치를 인식하여 이동하고 장애물을 피할 수 있게 된다. Describing each technology in detail, autonomous driving is a technique in which a machine can judge itself and move and avoid obstacles. According to the autonomous navigation technology, the robot can recognize the position autonomously through the sensor and can move and avoid obstacles.
자동 제어 기술은 기계에서 기계 상태를 검사한 계측 값을 제어 장치에 피드백하여 기계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말한다. 따라서 사람의 조작 없이 제어 가능하고, 목적하는 제어 대상을 목적하는 범위 내 즉, 목표 값에 이르도록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e automatic control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by feeding back the measured value of the machine condition to the control device. Therefore, the control object can be controlled without any human operation, and the target control object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within a target range, that is, to reach the target valu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술들의 발전 및 융합으로 지능형 로봇의 구현이 가능하고, 지능형 로봇을 통해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The development and convergence of the technologies described above makes it possible to implement intelligent robot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nd services through intelligent robots.
로봇의 응용분야는 대체로 산업용, 의료용, 우주용, 해저용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 생산과 같은 기계 가공 공업에서는 로봇이 반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람이 수행하는 작업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작업에 해당하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는 산업로봇이 이미 많이 가동되고 있다. The application fields of robot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industrial, medical, space, and submarine applications. For example, in the mechanical processing industry such as automobile production, robots can perform repetitive tasks. That is, when inputting a work performed by a person, many industrial robots capable of repeating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work are already in operation.
또한, 로봇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기술은 이미 종래에 많이 구현되어 있다. 로봇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거나 장애물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도 충분히 구현되고 있다. In addition, a technique in which a camera is mounted on a robot has already been widely implemented. The robot can recognize the position or recognize the obstacle by using the camera. In addition,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on the display unit is sufficiently implemented.
본 발명의 청소 로봇은 공항과 같은 넓은 공간에서 이동하며 청소 동작을 수행하므로, 일반적인 가정용 로봇 청소기에 비해 큰 부피 및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청소 로봇에 포함된 흡입 모듈 또한 부피 및 무게가 클 수 있다. 부피 및 무게가 큰 흡입 모듈이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 충돌에 의해 상호간에 가해지는 힘이 클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모듈 또는 장애물이 충돌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The clean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in a wide space such as an airport and performs a cleaning operation, so that the cleaning robot can have a larger volume and weight than general household robot cleaners. The suction module included in such a cleaning robot may also be bulky and heavy. When a large volume and heavy suction module collides with an obstacle, the force exerted by each other due to the collision may be large. Accordingl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uction module or the obstacle is damaged by the collis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정 크기를 갖는 이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가이드가 구비된 흡입 모듈에 있어서, 특히 상기 흡입 모듈의 측면으로 장애물이 접촉함에 따라 상기 흡입 가이드 및 흡입 모듈이 손상되거나, 장애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ction module including a suction guide for sucking a foreign substan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more particularly, Or to prevent the obstacle from being damaged.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르면, 청소 로봇은 하부에 흡입 가이드가 구비되는 흡입 모듈, 흡입 모듈과 고정부를 연결하고, 흡입 모듈을 지면으로부터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흡입 가이드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ing robot may include a suction module having a suction guide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lift portion connecting the suction module and the fixing portion, and raising and lowering the suction module from the ground. In particular,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ction guide.
흡입 모듈은 외부에 형성되는 흡입 모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모듈 프레임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uction module may include an externally formed suction module frame.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ction module frame.
승강부는 고정부와 연결되는 세로축, 흡입 모듈과 연결되는 가로축, 및 세로축과 가로축 사이에 구비되어 가로축을 회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모듈의 측면으로 장애물이 접촉하는 경우, 가로축은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측 회동하여 흡입 모듈을 상승시킬 수 있다.The elevating portion may include a vertical shaft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a horizontal shaft connected to the suction module, and a connect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shaft and the horizontal shaft to rotate the horizontal shaft. When an obstacl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ction module, the horizontal axis is upward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ortion to raise the suction modu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흡입 모듈은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흡입 가이드 및 흡입 모듈 프레임, 및 흡입 모듈을 상승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함으로써, 장애물이 측면으로 접촉하는 경우 흡입 모듈이 장애물을 타고 넘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문턱과 같은 지면에 고정된 장애물에 흡입 모듈 또는 흡입 가이드가 걸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청소 로봇의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당 장애물이 흡입 모듈과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 로봇의 사용 시 다른 물품이 청소 로봇에 의해 손상됨에 따른 이미지 악화나 신뢰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module includes the suction guide and the suction module frame, which are formed with the inclined surfaces at the side surfaces, and the elevation portion for raising the suction module, so that when the obstacle is in side contact, hav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ction module or the suction guide from being damaged by the obstacle fixed on the ground such as the threshold,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of the cleaning robot.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obstacle from being damaged by contact with the suction module. Accordingly, when the cleaning robot is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image and lowered reliability due to damage of other articles by the cleaning rob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내부에 구비된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커버와 이동 프레임 간의 체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에 구비된 흡입 모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에 구비된 흡입 모듈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에 구비된 흡입 모듈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주행 시, 이물이 흡입 가이드를 통해 흡입구로 흡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회전 시, 흡입 모듈의 측면으로 장애물이 충돌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body provided inside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 and the moving frame of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uction module included i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suction module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of a suction module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nd FIG. 8 are diagrams showing how a foreign object is sucked into a suction port through a suction guide whe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veling.
FIG. 9 and FIG. 10 illustrate how obstacles collide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ction module whe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본 명세서에서는 청소 로봇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청소 로봇은 특정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청소 로봇은 공항과 같은 넓은 장소에서 이동하면서 청소 동작을 수행하는 공항용 청소 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using a cleaning robot. The cleaning robot may mean a robot that performs a cleaning operation while moving in a specific area. For example, the cleaning robot may include an airport cleaning robot that performs a cleaning operation while moving in a wide area such as an airport.
다만, 본 발명의 특징은 청소 로봇에 한정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청소 로봇을 포함하는 주행 장치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Howeve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leaning robot, and can be similarly applied to a traveling device including a cleaning rob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청소 로봇(1)은 본체(20; 도 2 참조)에 구비된 각종 구성 요소들을 감싸는 커버(10a, 10b, 10c, 10d, 10e; 포괄하여 10)를 포함한다. 커버(10)는 본체(2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현되어, 청소 로봇(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1, the
예컨대, 커버(10)는 탑 커버(10a), 탑 커버(10a)의 하측에 배치되는 미들 커버(10b), 및 미들 커버(10b)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 커버(10c)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10a), 미들 커버(10b), 및 바텀 커버(10c)는 일체로 구성되는 하나의 커버에 해당할 수도 있고, 각각 분리 및 결합되는 별개의 구성에 해당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탑 커버(10a)는 청소 로봇(1)의 최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탑 커버(10a)는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들 커버(10b)는 탑 커버(10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커버(10b)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미들 커버(10b)는 탑 커버(10a)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바텀 커버(10c)는 미들 커버(10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텀 커버(10c)는 탑 커버(10a) 및 미들 커버(10b)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커버(10c)의 내부에는 흡입 모듈(27)이 수용될 수 있다. The
실시 예에 따라, 바텀 커버(10c)는 양 측면에 대칭되어 주행부(26)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바텀 커버(10c)는 주행부(26)의 외측을 감싸는 주행부 커버(10d, 10f)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청소 로봇(1)의 하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브러시(15)가 구비되는 경우, 바텀 커버(10c)는 사이드 브러시(15)를 감싸도록 형성되거나, 사이드 브러시(15)를 감싸는 사이드 브러시 커버(10e)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커버(10)는 청소 로봇(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111_1~115_2; 포괄하여 센서부(11)라 함)을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11)는 탑 커버(10a), 미들 커버(10b), 바텀 커버(10c)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The
한편, 커버(10)는 제1 함몰부(13)와 제2 함몰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함몰부(13)와 제2 함몰부(14) 각각은 커버(10)의 외곽으로부터 로봇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함몰부(13)와 제2 함몰부(14)의 상측에는 탑 커버(10a)와 미들 커버(10b)가 위치하고, 하측에는 바텀 커버(10c)가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커버와 이동 프레임 간의 체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ver and a moving frame of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청소 로봇(1)의 본체(20)는 고정부(21), 주행부(26), 흡입 모듈(또는 메인 브러시 모듈; 27), 흡입 파이프(28), 및 청소 모듈(2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청소 로봇(1)의 본체(2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청소 로봇(1)의 본체(20)는 위에서 열거되는 구성 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요소들 중 고정부(21)는, 청소 로봇(1)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부품 및 다른 구성 요소들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정부(21)는 본체(20)의 기본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플레이트를 포괄하는 개념에 해당할 수 있다. 고정부(21)는 바텀 커버(10c)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xing
고정부(21)는 청소 로봇(1)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21)는 청소 로봇(1)의 전반적인 구동을 관리하는 보드, 센서부(11), 카메라부(24), 및 라이다 센서(25)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보드, 및/또는 배터리의 전원을 청소 로봇(1)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로 공급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또한, 고정부(21)는 청소 로봇(1)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구성 요소들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21)는 주행부(26), 흡입 모듈(27), 청소 모듈(29) 등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고정부(21)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방 고정부(21a),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방 고정부(21b), 및 하방으로 형성되는 하방 고정부(21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탑 커버(10a)의 내측에 수용되는 청소 모듈(29)은 상방 고정부(21a)와 연결될 수 있고, 청소 로봇(1)의 하측에 구비된 주행부(26) 및 흡입 모듈(27)은 하방 고정부(21c)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실시 예에 따라, 본체(20)는 커버(10)와 체결되어 커버(10)를 고정부(21)로부터 지지하는 이동 프레임(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2)은 바텀 커버(10c)와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 또는 이동 프레임(22)은 체결용 보스(222)를 포함하고, 체결용 스크류(221)와 체결용 보스(222)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커버(10)와 이동 프레임(22)의 체결 방식이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공지된 체결 방식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주행부(26)는 고정부(2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주행부(26)는 하방 고정부(21c)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이하 도면들에서는 주행부(26)가 주행 바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주행부(26)는 레그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좌우 양측에 각각 1개의 주행 바퀴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주행 바퀴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running
흡입 모듈(27)은, 청소 로봇(1)의 주행 중 먼지 등의 이물을 흡입할 수 있다. 이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해, 흡입 모듈(27)은 지면과 밀착하거나 지면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흡입 모듈(27)은, 저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이물이 흡입되는 흡입구, 지면과 인접하여 회전하면서 이물을 지면으로부터 분리하는 아지테이터(agitator; 또는 메인 브러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입 모듈(27)은 아지테이터의 회전을 위한 구동 모터(271)와 타이밍 벨트(27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흡입 파이프(28)는, 흡입 모듈(27)과 청소 모듈(29)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흡입 모듈(27)을 통해 흡입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은, 흡입 파이프(28)를 통해 이동하여 청소 모듈(29) 내의 먼지 포집부(먼지 팩 또는 먼지 통)으로 포집될 수 있다.The
청소 모듈(29)은, 이물의 흡입을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집진 모터와, 흡입된 이물을 포집하는 먼지 포집부(예컨대, 먼지 팩 또는 먼지 통)가 내부에 수용되는 집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포집부는 집진부 또는 청소 모듈(29)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청소 모듈(29)은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실시 예에 따라, 청소 로봇(1)은 이동 프레임(22)을 고정부(21)로부터 탄성 지지하는 탄성 설정기(23), 청소 로봇(1)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4), 및 청소 로봇(1)의 전 방향에 대한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라이다 센서(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leaning
도 2에서 살펴본 본체(20)의 각종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청소 로봇(1)은 특정 장소(예컨대, 공항 등) 내의 영역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청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Using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청소 로봇(1)에 구비된 흡입 모듈(27)은 지면의 이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하여 지면과 밀착 또는 근접 배치될 수 있다. 청소 로봇(1)은 주로 전진 주행하므로, 흡입 모듈(27)은 청소 로봇(1)에 종속되어 전진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청소 로봇(1)이 정지 후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좌우로 주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 때, 흡입 모듈(27)은 지면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흡입 모듈(27)의 좌우 이동 시, 흡입 모듈(27)의 측면에 지면과 고정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흡입 모듈(27)의 측면 부분과 장애물이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 모듈(27) 또는 장애물이 파손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1)은 공항이나 터미널 등과 같은 넓은 공간에 배치되어 청소 동작을 수행하므로, 일반적인 가정용 로봇 청소기에 비해 부피 및 무게가 매우 클 수 있다. 예컨대, 청소 로봇(1)의 무게는 약 200kg 또는 그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 모듈(27)의 크기 및 무게 또한 증가할 수 있다. 크기 및 무게가 큰 흡입 모듈(27)이 지면에 고정된 문턱 등의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 장애물이 파손되거나 흡입 모듈(27)이 파손될 가능성은 일반적인 로봇 청소기의 경우보다 클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4는 청소 로봇에 구비된 흡입 모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uction module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도 4를 참조하면, 흡입 모듈(27)은 아지테이터(274; 도 6 참조)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271)와 타이밍 벨트(27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지테이터(274)는 상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면서, 이물을 지면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은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흡입 파이프(28)를 통해 청소 모듈(29)에서 포집될 수 있다. 다만, 일부 이물은 아지테이터(274)의 브러시에 흡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4, the
흡입 모듈(27)은, 아지테이터(274)에 흡착된 이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아지테이터 커버(2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지테이터 커버(273)는 아지테이터(274)의 상부를 커버함으로써, 아지테이터 (274)의 하단에서 흡착된 이물이 회전에 의해 아지테이터(274)의 상단에서 다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흡입 모듈(27)은 흡입 모듈(27)의 내부(예컨대, 아지테이터(274) 등)를 보호하기 위한 흡입 모듈 프레임(275), 흡입 파이프(28)와 연결되는 흡입 파이프 연결부(2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흡입 모듈 프레임(275)의 전방에는, 지면의 장애물을 보다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기 위한 경사면(2751; 도 5 참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경사면(2751)은 흡입 모듈 프레임(275)의 상부가 하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일종의 역경사면에 해당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1)은, 지면의 장애물과 접촉시 아지테이터(274) 및 흡입 모듈 프레임(275)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부(277)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leaning
승강부(277)는 고정부(21)와 흡입 모듈(27) 사이에 연결되어 흡입 모듈(27)을 고정부(21)에 지지하고, 흡입 모듈(27)을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부(277)의 세로축(2771)은 고정부(21)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고, 승강부(277)의 가로축(2773)은 흡입 모듈(27)의 흡입 모듈 프레임(275)과 연결될 수 있다. 승강부(277)의 세로축(2771)과 가로축(2773)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2772)는, 가로축(2773)을 연결부(2772)를 축으로 회동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277)의 세로축(2771)과 가로축(2773)은 흡입 모듈(27)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구비되는 제1 세로축과 제1 가로축, 및 제2 세로축과 제2 가로축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772)는 좌우로 각각 구비된 제1 세로축과 제2 세로축, 및 제1 가로축과 제2 가로축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277)는 보다 안정적으로 흡입 모듈(27)을 고정부(21)에 지지할 수 있다.The
가로축(2773)의 길이는 세로축(277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로축(2773)은, 길이가 길어질수록 흡입 모듈(27)을 보다 원활히 상승시킬 수 있다. 가로축(2773)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가로축(2773)이 연결부(2772)를 기준으로 적은 각도만큼 회동하더라도, 흡입 모듈(27)의 상승 정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가로축(2773)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흡입 모듈(27)의 상승 시 지면으로부터 기울어지는 각도는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모듈(27)이 보다 안정적으로 장애물을 타고 넘어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실시 예에 따라, 흡입 모듈(27)은 탄성 부재(2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278)는, 흡입 모듈(27)이 경사면(2751) 및 승강부(277)에 의해 상승하여 장애물을 넘어갈 때, 장애물에 가해지는 흡입 모듈(27)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흡입 모듈(27)의 하중이 감소되므로, 장애물과 흡입 모듈(27) 사이의 마찰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모듈(27)은 장애물을 보다 원활하게 넘어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예컨대 탄성 부재(278)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장 스프링의 일단은 승강부(277)의 가로축(2773)과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부(21) 또는 하방 고정부(21c)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탄성 부재(278)는 흡입 모듈(27)을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구비된 가로축과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277)의 세로축(2771) 및 가로축(2773)이 흡입 모듈(27)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배치되는 제1 세로축과 제1 가로축, 및 제2 세로축과 제2 가로축을 포함하는 경우, 흡입 모듈(27)은 일 측방으로 비스듬하게 상승할 수 있다. 예컨대, 흡입 모듈(27)의 좌측으로 장애물이 접촉하는 경우, 좌측에 구비된 제1 가로축이 먼저 회동하면서 흡입 모듈(27)이 비스듬하게 상승될 수 있다. 반면, 흡입 모듈(27)의 우측으로 장애물이 접촉하는 경우, 우측에 구비된 제2 가로축이 먼저 회동하면서 흡입 모듈(27)이 비스듬하게 상승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청소 로봇(1)에 구비된 흡입 모듈(27)은 이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하여 지면과 밀착 또는 근접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 모듈(27)과 지면 사이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는 이물의 경우, 흡입 모듈(27) 하부의 흡입구로 흡입되지 못하고 흡입 모듈(27)의 전방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입 모듈(27)은 크기가 큰 이물을 흡입구로 가이드하기 위한 흡입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가이드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해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에 구비된 흡입 모듈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에 구비된 흡입 모듈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FIG. 5 is a front view of a suction module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suction module provided i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흡입 모듈 프레임(275)은 적어도 하나의 흡입 가이드(2754)를 흡입 모듈(27) 또는 흡입 모듈 프레임(275)의 하부에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흡입 가이드(2754) 각각은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 가이드(2754) 사이에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흡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지면의 이물 중, 상기 흡입 공간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이물은 상기 흡입 공간을 통해 흡입 모듈(27) 내로 흡입될 수 있다.5 and 6, the
이물이 상기 흡입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흡입 가이드(2754)는 일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비스듬히 형성되는 가이드면을 전방에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면, 흡입 가이드(2754)의 전방에는 흡입 가이드(2754)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왼쪽 후방 및 오른쪽 후방으로 각각 비스듬히 형성되는 가이드면(2755, 2756)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 가이드(2754)와 접촉하는 이물은, 청소 로봇(1)의 주행 시 흡입 가이드(2754)의 가이드면을 따라 흡입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다. In order to guide the foreign object to be moved to the suction space, the
흡입 모듈(27)의 하부에 흡입 가이드(2754)가 구비됨으로써, 이물은 흡입 가이드(2754) 사이의 흡입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다. 흡입 공간으로 이동된 이물은 흡입 가이드(2753)의 후방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흡입 모듈(27) 내로 흡입될 수 있다. The
실시 예에 따라, 흡입 가이드(2754)의 전방에 구비된 가이드면(2755, 2756)은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경사면은 가이드면(2755, 2756)의 상부가 하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일종의 역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흡입 모듈(27) 및 흡입 가이드(2754)는, 전방의 지면에 고정되어 존재하는 장애물(문턱 등)과 접촉 시, 흡입 모듈 프레임(275)의 경사면(2751) 및 흡입 가이드(2754)의 가이드면(2755, 2756)에 형성된 경사면을 이용하여 장애물을 타고 넘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장애물에 흡입 모듈(27) 또는 흡입 가이드(2754)가 걸려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guide surfaces 2755 and 2756 provided in front of th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주행 시, 큰 이물이 흡입 가이드를 통해 흡입구로 흡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FIG. 7 and FIG. 8 are views showing how a large foreign object is sucked into a suction port through a suction guide whe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veling.
도 7을 참조하면, 청소 로봇(1)은 특정 방향으로 주행(예컨대, 전진 주행)하면서, 지면 상에 존재하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청소 로봇(1)의 주행 중, 주행 경로 상에 이물(GB)이 존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cleaning
예컨대, 청소 로봇(1)은 각종 센서(11)나 카메라(24) 등을 이용하여 이물(GB)이 존재함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물(GB)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추정된 크기가 소정 크기보다 큰 경우, 청소 로봇(1)은 이물(GB)의 흡입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이물(GB)을 회피하여 주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leaning
반면, 추정된 크기가 소정 크기보다 작은 경우, 청소 로봇(1)은 이물(GB)의 흡입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흡입 모듈(27)을 이용하여 이물(GB)을 흡입하기 위해 이물(GB)이 존재하는 위치로 주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estimated siz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size, the cleaning
상기 소정 크기는, 청소 로봇(1)이 흡입할 수 있는 이물의 최대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정 크기는 도 5에서 상술한 흡입 공간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The predetermined size may mean the maximum size of the foreign object that the cleaning
도 8을 참조하면, 청소 로봇(1)이 이물(GB)이 존재하는 위치로 주행함에 따라, 흡입 가이드(2754)의 전방과 이물(GB)이 접촉할 수 있다. 이물(GB)과 접촉 후에도 청소 로봇(1)은 계속 주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물(GB)은 흡입 가이드(2754)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가이드면(2755, 2756)을 따라 흡입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흡입 공간으로 이동된 이물(GB)은, 흡입 모듈(27)의 흡입구로 흡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s the cleaning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모듈(27)은 이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가이드를 포함함으로써, 이물이 흡입 모듈(27)의 전방에 걸린 채 흡입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8, the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청소 로봇(1)이 회전하거나 측면으로 주행하는 경우, 흡입 모듈(27) 또는 흡입 가이드(2754)의 측면으로 장애물(문턱 등)이 충돌하거나, 장애물에 흡입 모듈(27) 또는 흡입 가이드(2754)가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 모듈(27) 또는 흡입 가이드(2754)가 손상 또는 파손되거나, 장애물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cleaning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의 회전 시, 흡입 모듈의 측면으로 장애물이 충돌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FIG. 9 and FIG. 10 illustrate how obstacles collide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ction module when the cleaning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흡입 모듈 프레임(275)의 양 측방에는 측방 경사면(2752, 275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흡입 가이드(2754)의 가이드면(2755, 2756) 및 양 측방에도 측방 경사면(2757, 275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장애물과의 접촉시 흡입 모듈 프레임(275) 또는 흡입 가이드(2754)가 장애물을 타고 넘어가기 위해, 측방 경사면(2752, 2753, 2757, 2758)은 측방으로 역경사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방 경사면(2752, 2753, 2757, 2758)의 상부는 하부보다 양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 모듈 프레임(275)의 하부의 넓이는 상부의 넓이보다 작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흡입 가이드(2753)의 하부의 넓이는 상부의 넓이보다 작을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6, laterally inclined
도 9를 참조하면, 청소 로봇(1)은 주행 중 전방에 장애물이나 벽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장애물이나 벽을 회피하기 위해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청소 로봇(1)은 주행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회전(도 9의 실시 예의 경우 좌회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when the obstacle or the wall is detected in the forward direction during traveling, the cleaning
청소 로봇(1)이 회전하는 경우, 청소 로봇(1)의 중심 지점이 회전축에 해당할 수 있다. 회전축의 전방에 구비되는 흡입 모듈(27)은, 청소 로봇(1)의 회전시 지면에 대해 측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청소 로봇(1)의 측면에 존재하는 장애물(OB)과 흡입 모듈(27)의 측면이 접촉할 수 있다. When the cleaning
도 10을 참조하면, 장애물(OB)과 흡입 모듈(27)의 측면이 접촉하는 경우, 흡입 모듈 프레임(275)은 측방 경사면(2752, 2753)을 이용하여 장애물(OB)을 타고 넘어갈 수 있다. 흡입 가이드(2754) 또한, 가이드면(2755, 2756) 또는 측면에 형성된 측방 경사면(2757, 2758)을 이용하여 장애물(OB)을 타고 넘어갈 수 있다. 10, when the obstacle OB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흡입 모듈 프레임(275) 및 흡입 가이드(2754)가 장애물(OB)을 보다 원활하게 타고 넘어가기 위하여, 승강부(277)는 흡입 모듈(27)을 상승시킬 수 있다. 특히, 승강부(277)가 흡입 모듈(27)의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각각 배치되는 경우, 장애물(OB)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가로축이 흡입 모듈(27)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 모듈(27)이 좌우로 비스듬하게 상승될 수 있다. The
흡입 모듈(27)이 장애물(OB)을 타고 넘어가는 경우, 탄성 부재(278)는 흡입 모듈(27)의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흡입 모듈(27)과 장애물(OB)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즉, 흡입 모듈(27)의 측면은 장애물과의 접촉 시 경사면(2752, 2753, 2757, 2758) 및 승강부(277)에 의해 상승하여, 장애물(OB)을 원활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장애물과의 접촉 시 흡입 모듈 프레임(275) 및 흡입 가이드(2754)는 장애물(OB)에 걸리지 않으므로, 흡입 모듈 프레임(275) 및 흡입 가이드(2754)의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장애물의 파손이나 손상 또한 방지될 수 있다.That is, the side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청소 로봇(1)은 흡입 모듈(27)의 하부에 흡입 가이드(2754)를 구비함으로써, 소정 크기를 갖는 이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The cleaning
뿐만 아니라, 흡입 가이드(2754) 및 흡입 모듈 프레임(275)의 양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 모듈(27)의 측면과 장애물이 접촉하는 경우, 흡입 모듈 프레임(275) 및 흡입 가이드(2754)는 경사면과 승강부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흡입 모듈 프레임(275) 및 흡입 가이드(2754)가 장애물에 걸려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Claims (11)
이물을 지면으로부터 분리하는 아지테이터;
상기 아지테이터를 포함하는 흡입 모듈;
소정 높이를 갖고, 상기 흡입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는 흡입 가이드; 및
상기 주행부와 연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흡입 모듈과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고, 상기 흡입 모듈을 지면으로부터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가이드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청소 로봇. A traveling part for traveling;
An agitator for separating the foreign object from the ground;
A suction module including the agitator;
A suction guid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module, the suction guid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And
And a lifting portion connecting the suction module and the fixing portion and lifting the suction module from the ground,
And a slop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ction guide.
상기 흡입 모듈은,
상기 아지테이터의 외부에 형성되는 흡입 모듈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듈 프레임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청소 로봇.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modul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uction module frame formed outside the agitator,
And a slop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ction module frame.
상기 흡입 가이드의 전방에는,
일 지점으로부터 후측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는 청소 로봇.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front of the suction guide,
And a guide surface formed so as to extend rearward from one point.
상기 흡입 가이드의 전방에는,
상기 흡입 가이드의 중앙으로부터 양측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면이 구비되는 청소 로봇.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front of the suction guide,
And a guide surface formed to extend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uction guide.
상기 흡입 가이드의 전방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청소 로봇.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lope is formed in front of the suction guide.
상기 흡입 가이드는 제1 흡입 가이드, 및 상기 제1 흡입 가이드와 수평으로 이격된 제2 흡입 가이드를 포함하는 청소 로봇.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guide includes a first suction guide and a second suction guide horizontally spaced from the first suction guide.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세로축;
상기 흡입 모듈과 연결되는 가로축; 및
상기 세로축과 상기 가로축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청소 로봇.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unit includes:
A vertical ax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A horizontal axis connected to the suction module; And
And a connec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axis and the horizontal axis.
상기 가로축은 상기 연결부를 축으로 상측으로 회동하는 청소 로봇.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abscissa axis rotates the connecting portion upwardly about the axis.
상기 세로축은,
상기 흡입 모듈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되는 제1 세로축; 및
상기 흡입 모듈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되는 제2 세로축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축은,
상기 흡입 모듈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되는 제1 가로축; 및
상기 흡입 모듈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되는 제2 가로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좌측에 구비된 상기 제1 세로축 및 상기 제1 가로축과, 상기 우측에 구비된 상기 제2 세로축 및 상기 제2 가로축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청소 로봇.9. The method of claim 8,
The vertical axis,
A first vertical ax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of the suction module; And
And a second vertical ax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of the suction module,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A first horizontal ax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of the suction module; And
And a second horizontal ax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of the suction module,
The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vertical axis and the first horizontal axis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second vertical axis and the second horizontal ax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상기 아지테이터의 외부에 형성되는 흡입 모듈 프레임;
소정 높이를 갖고, 상기 흡입 모듈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흡입 가이드; 및
상기 아지테이터, 상기 흡입 모듈 프레임, 및 상기 흡입 가이드를 포함하는 흡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가이드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 모듈 프레임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청소 로봇.An agitator for separating the foreign object from the ground;
A suction module frame formed outside the agitator;
A suction guid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ction module frame, the suction guid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d a suction module including the agitator, the suction module frame, and the suction guide,
The side surface of the suction guide has an inclined surface,
And a slop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ction module frame.
상기 아지테이터의 외부에 형성되는 흡입 모듈 프레임;
상기 아지테이터 및 상기 흡입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는 흡입 모듈;
상기 흡입 모듈과 연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입 모듈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는 사이드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모듈 프레임의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청소 로봇.
An agitator for separating the foreign object from the ground;
A suction module frame formed outside the agitator;
A suction module including the agitator and the suction module frame;
A fixing part connected to the suction module; And
And a side brush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and provided in front of the suction module frame,
And a slop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ction module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1608A KR102678819B1 (en) | 2017-01-04 | 2017-01-04 | Cleaning rob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1608A KR102678819B1 (en) | 2017-01-04 | 2017-01-04 | Cleaning rob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0657A true KR20180080657A (en) | 2018-07-12 |
KR102678819B1 KR102678819B1 (en) | 2024-06-28 |
Family
ID=6291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1608A KR102678819B1 (en) | 2017-01-04 | 2017-01-04 | Cleaning rob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881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177223A1 (en) * | 2019-12-17 | 2021-06-17 | Sharkninja Operating Llc | Nozzle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7642A (en) * | 2012-03-22 | 2013-10-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cleaner |
KR101331706B1 (en) * | 2009-06-30 | 2013-1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robot cleanner |
KR20150102365A (en) * | 2014-02-28 | 2015-09-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Robot Cleaner |
-
2017
- 2017-01-04 KR KR1020170001608A patent/KR10267881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1706B1 (en) * | 2009-06-30 | 2013-11-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robot cleanner |
KR20130107642A (en) * | 2012-03-22 | 2013-10-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cleaner |
KR20150102365A (en) * | 2014-02-28 | 2015-09-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Robot Clean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177223A1 (en) * | 2019-12-17 | 2021-06-17 | Sharkninja Operating Llc | Nozzle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US12022989B2 (en) * | 2019-12-17 | 2024-07-02 | Sharkninja Operating Llc | Nozzle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8819B1 (en) | 2024-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04704B2 (en) | Debris evacuation for cleaning robots | |
JP6706770B2 (en) | Autonomous traveling vacuum cleaner | |
KR102428783B1 (en) | Robot cleaner | |
EP2679130B1 (en) |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9999328B2 (en) | Autonomous cleaning appliance | |
KR100595571B1 (en) | Robot cleaner | |
US20200298415A1 (en) | Autonomous cleaning robot | |
US8508329B2 (en) | Mobile robotic device having a collision sensor | |
KR100711972B1 (en) | Robot for Cleaner and Cleaning Method | |
KR102021826B1 (en) | A cleaner | |
KR101880089B1 (en) | Autonomous clea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683502B1 (en) | Cleaning robot | |
US11116370B2 (en) | Cleaning robot | |
KR20180080657A (en) | Cleaning robot | |
KR102624847B1 (en) | robotic vacuum | |
KR20180080660A (en) | Cleaning robot | |
US11510535B2 (en) | Robot cleaner | |
KR20150066329A (en) | Cleaning robot | |
KR101489582B1 (en) | Robot cleaner | |
TWI736006B (en) | Robot cleaner | |
KR102639906B1 (en) | Cleaning robot | |
KR102097487B1 (en) | Articulated wood processing machine with contact detaction belt | |
KR20180103528A (en) | Cleaning robot | |
KR100595543B1 (en) | Method for cleaning corner of a robot cleaner | |
KR20230172347A (en)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