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413A - 밸런스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밸런스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413A
KR20180080413A KR1020170000738A KR20170000738A KR20180080413A KR 20180080413 A KR20180080413 A KR 20180080413A KR 1020170000738 A KR1020170000738 A KR 1020170000738A KR 20170000738 A KR20170000738 A KR 20170000738A KR 20180080413 A KR20180080413 A KR 20180080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ard
balance
exercise
presen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영
김태경
김재하
Original Assignee
이공이비피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공이비피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공이비피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0413A/ko
Publication of KR2018008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 A63B21/002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for isometric exercising,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밸런스운동, 자세교정 등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운동의 난이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성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밸런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복수 개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메인 보드 및 상기 메인 보드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돌기부가 하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런스 운동기구{Seesaw type valence exercise tool}
본 발명은 밸런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운동, 푸쉬업을 포함하여 다양한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운동 강도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밸런스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신체의 유지, 질병의 예방, 취미 등의 다양한 이유로 운동이 인간의 삶에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와 목적의 운동기구들이 보급되고 있으며, 새롭고 다양한 운동기구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예로서, 미국특허공보 특허번호 US7,909,746B2(2011.3.22.)는 푸쉬업 운동장치로서, 선회 베이스, 핸들과 아치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체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단순히 푸쉬업 운동에만 적용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운동 취향이나 요구에 부합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실질적으로 소비자의 기대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공보 특허번호 US7,909,746B2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사회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밸런스운동, 자세교정 등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될 수 있도록 한 밸런스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운동의 난이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성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밸런스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밸런스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이 쉽고 구조가 단순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밸런스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밸런스 운동기구는,
상부에 복수 개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메인 보드 및
상기 메인 보드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돌기부가 하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는,
하부에 구비되는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또는 운동 부속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홈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부는 그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에 삽입 안착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끼워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보드의 하면 테두리에는 복수 개의 소켓 안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 안착구의 하측에는 영구자석이 내재되며,
상기 소켓 안착구는,
상기 메인 보드의 하면보다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소켓홈 및
상기 소켓홈 내측에 위치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되 그 표면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소켓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외형이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소켓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돌기용 홀이 구비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소켓 및
상기 소켓에 결합되는 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보드 하측의 전단과 후단의 양단부 각각에는 제 1 확장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확장결합부의 주변에는 조절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확장결합부는,
원형의 결합홈,
상기 결합홈 테두리에 형성되는 장착홈 및
상기 장착홈 내에서 위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중앙에 홀이 구비되고 상기 홀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원판 형의 외측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측 결합구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구 내에 위치하는 결합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보드의 하부에 결합되는 확장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확장장치는 상기 제 1 확장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2 확장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확장결합부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는 원통형 바디 및
상기 원통형 바디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외주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원판 형의 내측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장치는,
상기 메인 보드의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제 2 확장결합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하면의 중앙이 양단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밸런스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런스 프레임의 하면 중앙에 결합되는 난이도 조절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난이도 조절구는 상기 밸런스 프레임의 중앙부보다 곡률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장치는,
상기 메인 보드의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제 2 확장결합부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탄성부를 구비하는 스프링 보드 확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장치는,
상기 메인 보드의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제 2 확장결합부가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스텝박스 확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보드에 설치되는 자이로 센서 및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로부터 밸런스 정보를 산출하여 전송하는 제어송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밸런스 운동기구는 밸런스운동, 자세교정 등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운동의 난이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성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이 우수하며, 제작이 쉽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절감되며 내구성이 우수한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를 활용한 운동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를 다른 방향에서 관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밴드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제 1 확장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제 2 확장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다양한 확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밸런스 프레임 과 난이도 조절구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운동 부속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를 활용한 운동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를 다른 방향에서 관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밴드 결합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제 1 확장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제 2 확장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다양한 확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밸런스 프레임과 난이도 조절구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운동 부속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는 메인 보드(10), 한 쌍의 결합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보드(10)는 상부에 복수 개의 안착홈(11)이 형성되는 판 형태의 부재이다. 특히 상기 메인 보드(10)의 상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홈(11)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상기 안착홈(11)이 일렬로 배치된 실시예에 대해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배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20)는 사용자가 운동시 직접 손으로 잡거나 여러가지 운동을 위한 별도의 부재로서, 상기 메인 보드(10)의 안착홈(11)에 안착되는 돌기부(21)가 하면에 구비되는 결합 플레이트(22)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22)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3) 또는 운동 부속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기부(21)가 상기 안착홈(11)에 끼움된 상태로 안착되어 결합구(20)는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22)와 손잡이부(23) 또는 운동 부속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21)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돌기부(21)가 삽입되는 상기 안착홈(11)은 상기 한 쌍의 결합구(20)의 간격을 조정하고 각도를 조절하여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돌기부(21)는 그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안착홈(11)에 삽입 안착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끼워 맞추어지게 된다.
일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홈(11)의 단면은 육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21)의 단면은 사다리꼴로 이루어져 결합구(20)의 각도를 조절하여 회전시켜 상기 메인 보드(10)와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을 활용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결합구(20)의 간격을 조정하고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방식과 강도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보드(10)의 하면 테두리에는 복수 개의 소켓 안착구(30)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 안착구(30)의 하측에는 영구자석(31)이 내재되며, 상기 소켓 안착구(30)는 상기 메인 보드(10)의 하면보다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소켓홈 및 상기 소켓홈 내측에 위치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되 그 표면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소켓걸림돌기(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켓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외형이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소켓걸림돌기(32)가 삽입될 수 있는 돌기용 홀이 구비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소켓(33) 및 상기 소켓(33)에 결합되는 밴드(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밴드(34)가 결합된 소켓(33)이 상기 소켓 안착구(30)에 결합시에 소켓(33)은 소켓걸림돌기(32)에 걸려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소켓(33)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소켓(33)을 소켓 안착구(30)에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시키게 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은 상기 메인 보드(10)에 결합된 밴드(34)를 이용한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보드(10) 하측의 전단과 후단의 양단부 각각에는 제 1 확장결합부(40)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확장결합부(40)의 주변에는 조절구(41)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확장결합부(40)는, 원형의 결합홈, 상기 결합홈 테두리에 형성되는 장착홈 및 상기 장착홈 내에서 위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중앙에 홀이 구비되고 상기 홀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원판 형의 외측 결합구(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측 결합구(44)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구(45) 및 상기 연결구(45)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구(41) 내에 위치하는 결합 손잡이(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메인 보드(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확장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확장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확장결합부(40)에 결합되는 제 2 확장결합부(50)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확장결합부(50)는, 하부 플레이트(51), 상기 하부 플레이트(51) 상부에 형성되는 원통형 바디(52) 및 상기 원통형 바디(52) 상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외주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원판 형의 내측 결합구(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확장장치는 상기 메인보드에 쉽게 착탈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제 1 확장결합부(40)의 결합홈에 상기 제 2 확장결합부(50)의 원통형 바디(52)를 삽입 후에 상기 결합 손잡이(46)를 이용하여 상기 외측 결합구(44)를 회전시켜 외측 결합구(44)와 내측 결합구(53)의 돌출부가 서로 걸림되게 하여 서로 간의 분리를 방지하고, 탈거시에는 다시 상기 외측 결합구(44)를 회전시켜 외측 결합구(44)와 내측 결합구(53)의 돌출부가 서로 걸리지 않도록 하여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확장장치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보드(10)의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제 2 확장결합부(50)가 상면에 형성되고 하면의 중앙이 양단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밸런스 프레임(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스 프레임(60)의 하면 중앙에 결합되는 난이도 조절구(6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난이도 조절구(61)는 그 중안 돌출부는 상기 밸런스 프레임(60)의 중앙부보다 곡률이 더 크게 또는 작게 형성함으로써 곡률을 달리하여 운동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확장장치의 다른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보드(10)의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제 2 확장결합부(50)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탄성부를 구비하는 스프링 보드 확장장치(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메인 보드(10)의 하부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제 2 확장결합부(50)가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스텝박스 확장장치(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하게 그 용도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구의 다양한 운동 부속구를 활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부속구로 강봉(24)과 상기 강봉(24)을 지지하는 강봉 지지구(25)를 활용하여 강봉(24)을 활용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플레이트(22)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회전 원판(26)을 설치하여 회전 원판(26)을 활용한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보드에 설치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 및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로부터 밸런스 정보를 산출하여 전송하는 제어송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스마트 기기나 컴퓨터 등으로 밸런스 정도나 운동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분석하여 운동량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이로 센서 이외에도 가속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설치되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보드의 상면 중앙에는 휴대폰 등의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의 기능과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20)를 필요에 따라 메인 보드(10)의 안착홈(11)의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각도로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밸런스 운동기구는 좌우 대칭의 시소 형상을 가지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가해지는 무게에 따라 기울기가 변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좌우 무게 균형을 유지하는 밸런스 운동, 자세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인 밸런스 운동기구는 밸런스운동, 자세교정 등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될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운동의 난이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성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이 우수하며, 제작이 쉽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절감되며 내구성이 우수한 등의 이점이 있다.
10: 메인 보드 11: 안착홈
20: 결합구 21: 돌기부
22: 결합 플레이트 23: 손잡이부
24: 강봉 25: 강봉 지지구
26: 회전 원판
30: 소켓 안착구 31: 영구자석
32: 소켓걸림돌기 33: 소켓
34: 밴드
40: 제 1 확장결합부 41: 조절구
42: 결합홈 43: 장착홈
44: 외측 결합구 45: 연결구
46: 결합 손잡이
50: 제 2 확장결합부 51: 하부 플레이트
52: 원통형 바디 53: 내측 결합구
60: 밸런스 프레임 61: 난이도 조절구
70: 스프링 보드 확장장치
80: 스텝박스 확장장치

Claims (1)

  1. 상부에 복수 개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메인 보드 및
    상기 메인 보드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돌기부가 하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운동기구
KR1020170000738A 2017-01-03 2017-01-03 밸런스 운동기구 KR20180080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38A KR20180080413A (ko) 2017-01-03 2017-01-03 밸런스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38A KR20180080413A (ko) 2017-01-03 2017-01-03 밸런스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413A true KR20180080413A (ko) 2018-07-12

Family

ID=6291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738A KR20180080413A (ko) 2017-01-03 2017-01-03 밸런스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04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9784A (zh) * 2020-05-04 2021-11-05 G·克拉吾特 插接连接装置及训练平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9784A (zh) * 2020-05-04 2021-11-05 G·克拉吾特 插接连接装置及训练平台
EP3906977A1 (de) * 2020-05-04 2021-11-10 Günter Krauter Verbindungsvorrichtung sowie verbindungskonzept für einen steckgriff eines vibrationstrainingsgeräts
CN113599784B (zh) * 2020-05-04 2023-04-14 G·克拉吾特 插接连接装置及训练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7889B (zh) 具有調整特徵及連鎖特徵之鼓踏板
US7845027B2 (en) Slow closure mechanism for toilet covers
US20080216348A1 (en) Footwear for the Diet Equipped with the Buffering Means
CN105498152A (zh) 具有球摆动式结构的扭动运动器材
JP2006212407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重りの構造
JP2004521696A (ja) 安定なグリッド構造体を構築するためのモジュールを磁気アンカレッジと結合するための部材
US20150198865A1 (en) Rotatable camera device
EP3278002B1 (en) Anti-tilt spring mechanism and tension mounting mechanism for a ball and socket mounting device
US20140227939A1 (en) Sawtooth structure and toy block comprising the structure
KR20180080413A (ko) 밸런스 운동기구
JP2006141710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重さ調整自在構造
KR101730020B1 (ko)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US9776534B2 (en) Car safety seat
KR101525009B1 (ko) 프로파일 각도 조절용 조인트
CN206802167U (zh) 减震结构、减震组件及飞行器
AU2017329476B2 (en) Seating furniture
WO2001085262A1 (en) Elasticity-controllable trampoline using plate spring
KR101642824B1 (ko)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KR20170100087A (ko) 시소형태의 밸런스 운동기구
US20160374473A1 (en) Adjustable head support apparatus
JP3180833U (ja) フィギュア用の関節構造
KR100857375B1 (ko) 중량조절이 가능한 훌라후프
JP5440522B2 (ja) 機器保持装置
JP2019519698A (ja) テントポール用のスイベル式ハブ
KR20080003591A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