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151A - Physicl key for removabl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hysicl key for removabl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151A
KR20180080151A KR1020180071249A KR20180071249A KR20180080151A KR 20180080151 A KR20180080151 A KR 20180080151A KR 1020180071249 A KR1020180071249 A KR 1020180071249A KR 20180071249 A KR20180071249 A KR 20180071249A KR 20180080151 A KR20180080151 A KR 20180080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erminal
physical key
housing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2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송길
Original Assignee
안송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송길 filed Critical 안송길
Priority to KR102018007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0151A/en
Publication of KR2018008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1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physical key, and a terminal using the same. The detachable physical key comprises: a main body housing having a through space passing throug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nd a detachable surface detached from the terminal; and a button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housing to be elastically pushed towards the detachable surface in the through space, and having a conductor.

Description

탈착식 물리키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PHYSICL KEY FOR REMOVABLE AND TERMINAL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vable physical key and a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물리키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ysical key that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a terminal and a terminal having the same.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이용됨에 따라 사용자의 생활 패턴은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As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re widely used and used, life patterns of users are changing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변화시킨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제품의 차별성을 위해 지속적인 제품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The portable terminal which changes the life pattern of the user is continuously trying to change the product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product.

특히,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는 방수 기능 및 디자인의 심미성을 위해 최근 일체형으로 변화되는 추세이다.Particularly, the user input part for receiving a user's input signal has recently changed into a monolithic type for waterproof function and aesthetics of design.

기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과 물리적으로 동작되는 키패드인 물리키가 혼합된 구조를 가졌었다. 다시말해,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화면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주로 화면 하단에 위치하는 메뉴 버튼, 홈 버튼, 뒤로가기 버튼은 물리키로 구성되었다.The user input part of the existing portable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a touch screen and a physical key, which is a keypad that is physically operated, are mixed. In other words, the main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mposed of a touch screen, and a menu button, a home button, and a back butt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re constituted by physical keys.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 기능 향상 및 일체형 디자인으로의 변경 등에 따라 해당 물리키가 사라지고, 터치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버튼이 대다수의 모델에 적용되고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hysical key disappears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waterproof function and the change to the integral design, and software buttons driven by the touch are applied to a large number of models.

소프트웨어 버튼은, 최근 휴대용 단말기 제조의 트렌드에 따라 그 장점이 다수 존재하지만, 소프트웨어 버튼에 대한 터치감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여전히 물리키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Software buttons have many advantages according to recent trend of portable terminal manufacture, but there is still a demand for physical keys for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touch of software buttons.

하지만, 휴대용 단말기 제조사 입장에서는 동일한 모델에 대하여 물리키와 소프트웨어 버튼을 별도로 생산하는 것은 제조 효율을 저하시키므로, 물리키에 대한 수요가 존재함에도 사업적 방향에 따라 전체 모델에 대하여 소프트웨어 버튼을 적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since the manufacturing of the physical key and the software button for the same model separately reduces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the software button is applied to the entire model according to the business direction even though there is a demand for the physical key There is no reality.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선호도와 상관없이 휴대용 단말기 제조사의 사업 방향에 따라 생산된 소프트웨어 버튼이 적용된 단말기만을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users need to use only a terminal to which a software button produced according to a business direction of a portable terminal manufacturer is irrespective of their preference, and a countermeasure is need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형 단말기에 탈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는 물리키를 제공하여 소프트웨어 버튼으로 구비된 단말기에서도 선택적으로 물리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식 물리키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vable physical key for selectively using a physical key even in a terminal equipped with a software button by providing a physical key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물리키는,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공간인 관통 공간과, 단말기에 부착되는 탈착면을 구비하는 본체 하우징; 및 상기 관통 공간에서 상기 탈착면을 향해 탄성 눌림 가능하게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고, 전도체를 구비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movable physical key comprising: a main housing having a through space, which is a space passing throug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nd a removable surface attached to the terminal; And a button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housing so as to be elastically pressed from the through space toward the detachment surface, the button portion having a conductor.

여기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관통 공간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탈착면의 반대 방향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탄성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 지지부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housing may include an elastic support portion that is movable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 the through-hole and is form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etachment surface, and the button portion is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 portion, And may be form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elastic support portion.

여기서, 상기 버튼부는, 외력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 변형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utton unit may include a deformable body whose shape is deformed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여기서, 상기 형상 변형체는, 상기 탈착면의 반대면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탈착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상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etachment surface, the deformed shape is deformed so as to extend toward the detachment surface, and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external force does not act.

여기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관통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protruding toward the through space.

여기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연속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housing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s and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눌림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전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탈착식 물리키;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comprising: a touch screen; And a detachable physical ke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ich is detachably formed on the touch screen and contacts the touch screen to transmit a current when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탈착식 물리키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단말기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물리키를 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movable physical key and the terminal using the same, the physical key can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the terminal configured as the touch screen,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user.

또한, 해당 물리키는 물리적인 작동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동을 위한 전기적인 요소가 필요치 않아 이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hysical key has a physical operating structure, so that an electric element for driving is not required, and the us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전도체를 통한 정전용량 방식 및 물리적인 감압 방식 모두 적용 가능하여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oth the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hrough the conductor and the physical pressure reduction type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물리키(100)가 적용된 단말기(4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리키(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투과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3의 물리키(1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 변형체가 적용된 물리키(2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물리키(300)가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terminal 400 to which a physical ke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physical key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hysical key 100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hysical key 200 to which a shape modif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hysical key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물리키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detachable physical ke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rminal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물리키(100)가 적용된 단말기(4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terminal 400 to which a physical ke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400)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과 같이 일면 또는 다면이 터치 스크린(S)으로 구성되는 단말기(400)일수 있다. 다시말해, 해당 단말기(40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 소프트웨어 버튼(SB)(터치 스크린(S))으로 구성되는 단말기(400) 일수 있다.As shown, the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400 including a touch screen S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In other words, the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400 in which the means for inputting a user input signal is composed of a software button SB (touch screen S).

이때, 단말기(400)의 터치 스크린(S)에는 탈착식 물리키(100)가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S)이 단말기(40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워 버튼 및 음향 조절 버튼이 존재하는 단말기(400)의 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movable physical key 100 can be selectively attached to the touch screen S of the terminal 400. [ Although the touch screen S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4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ouch screen S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400, have.

탈착식 물리키(100)는, 터치 스크린(S)에 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눌림되어 눌림 되는 영역의 반대 영역이 터치 스크린(S)에 접촉될 수 있다.The removable physical key 100 is formed so as to be attachable to the touch screen S, and an area opposite to an area pressed and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

따라서, 시중에 출시되는 소프트웨어 버튼(SB)으로 홈 버튼, 메뉴 버튼, 뒤로가기 버튼 등이 구성되는 터치 스크린(S)의 하단 영역에서, 각 소프트웨어 버튼(SB)에 대응되도록 물리키(100)가 부착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lower area of the touch screen S where a software button SB is commercially available, a home button, a menu button, a back button, and the like are configured, the physical key 100 is associated with each software button SB .

이 후, 사용자의 손가락(P)과 같은 도구에 의해 물리키(100)가 눌림되는 경우, 해당 물리키(100)는 하강하여 터치 스크린(S)에 접촉함으로써 대응되는 소프트웨어 버튼(SB)을 물리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physical key 100 is depressed by a tool such as the user's finger P, the corresponding physical key 100 is lowered to come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 .

이와 같은 탈착식 물리키(100)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버튼(SB)으로만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400)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물리적 방식으로 버튼을 구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movable physical key 100 as described above, the buttons can be physically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400, which is composed only of the software button SB, in a simple manner.

이상은 물리키(100)가 적용된 단말기(4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2 및 도 3에서는 탈착식 물리키(100)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400 to which the physical key 100 is applied. 2 and 3, the structure of the removable physical key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리키(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투과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3의 물리키(1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physical key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hysical key 100 of FIG.

물리키(100)는, 단말기(400)의 터치 스크린(S)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눌림되는 경우, 눌림되는 반대 영역이 터치 스크린(S)에 접촉되어 해당되는 소프트웨어 버튼(SB)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물리키(100)는 본체 하우징(110) 및 버튼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physical key 100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touch screen S of the terminal 400 and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opposite area of the physical key 100 is contacted with the touch screen S, Can be activated. To this end, the physical key 100 may include a body housing 110 and a button portion 130.

본체 하우징(110)은, 물리키(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수단으로 단말기(400)의 터치 스크린(S)에 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원형, 원통형, 이외의 다른 다각형 구조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 하우징(110)은, 관통 공간(A), 탈착면(113), 탄성 지지부(111), 접착 날개(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housing 110 may be a part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uch screen S of the terminal 400 as a means for configur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physical key 100. Although this embodiment is shown as a hexagonal shape,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circular, cylindrical, or other polygonal structures may be applied. The main body housing 110 may include a penetrating space A, a removable surface 113, an elastic supporting portion 111, and an adhesive blade 115.

관통 공간(A)은, 본체 하우징(110)은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공간일 수 있다. 따라서, 본체 하우징(110)은 일면과 타면이 관통 공간(A)을 통해 개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관통 공간(A)의 형상은 실험 및 공정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enetrating space A may be a space through which the main body housing 110 passes throug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Therefore, the main body housing 1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re opened through the penetrating space A. The shape of the penetrating space A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experiment and the process conditions.

탈착면(113)은, 본체 하우징(110)을 단말기(400)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따라서, 탈착면(113)은 본체 하우징(110)에서 단말기(400)를 향하는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탈착면(113)은 점성이 있는 접착제가 도포된 층으로 구성되거나, 이외 공지의 접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The desorption surface 113 may be a means for attaching the main housing 110 to the terminal 400. [ Accordingly, the detachable surface 113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facing the terminal 400. The desorption surface 113 may be composed of a layer coated with a viscous adhesive, or a known adhesive structure may be applied.

탄성 지지부(111)는, 관통 공간(A)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승하강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 지지부(111)는, 관통 공간(A)에 해당하는 본체 하우징(110)의 내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하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지지부(111)는 높이 방향의 이동 경로 내부에 탄성 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수단은 탈착면(113)을 향하는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탄성 지지부(111)는 탈착면(113)의 반대 방향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 지지 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탄성력이나 다른 자체 힘에 의해 이동 위치가 복원될 수 있는 다양한 승하강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111 may be a lifting means that is movable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 the through space A. [ For this, the elastic support portion 111 may b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110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space A, and elastic means such as a spring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Therefore,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111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supported by elastic means inside the movement path in the height direction. 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means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facing the desorption surface 113,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111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towar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esorption surface 11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variety of lifting and lowering structures capable of restoring the moving position by elastic force or other self-sustaining force can be applied.

접착 날개(115)는, 본체 하우징(110)의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탈착면(113)에 대응되는 본체 하우징(110)의 외면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조일수 있다. 따라서, 접착 날개(115)는 탈착면(113)에 대응되는 본체 하우징(110)의 외면이 너비 방향을 향해 소정 두께로 연장되는 구조이며, 탈착면(113)과 동일하게 접착 구조로 구성되어 단말기(400)에 부착될 수 있다.The adhesive vane 115 may be formed to protrude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110 corresponding to the detachable surface 113 as means for further improv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main housing 110. Therefore, the adhesive vane 11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corresponding to the desorption surface 113 extends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oward the width direction, and has the same adhesive structure as the desorption surface 113, (Not shown).

버튼부(130)는, 상기 본체 하우징(110)가 결합되어 탄성 눌림됨으로써 단말기(400)의 터치 스크린(S)을 선택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부(130)는, 버튼 하우징(131), 연결체(133), 및 전도체(135)를 구비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130 may be a means for selectively contacting the touch screen S of the terminal 400 when the main body housing 110 is coupled and pressed with elastic force. To this end, the button unit 130 may include a button housing 131, a connector 133, and a conductor 135.

버튼 하우징(131)은, 버튼부(130)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관통 공간(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 공간(A)에 원통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버튼 하우징(131)의 형상 역시 이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 하우징(131)과 본체 하우징(110) 사이의 관통 공간(A)에는 실링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도 1, P 이하생략)에 의해 접촉되는 버튼 하우징(131)의 일면은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볼록면, 평면, 하부를 향해 중심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버튼 하우징(131)은 관통 공간(A)에서 본체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경우, 최초 바닥면이 탈착면(113)까지 소정 높이 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utton housing 13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space A in order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button unit 130. In this embodiment, the button housing 1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through-hole A, and the shape of the button housing 131 may also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hereto. A seal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through-space A between the button housing 131 and the main body housing 110. One side of the button housing 13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inger (not shown in FIG. 1, P or less), has a convex surface protruding upward toward the top, a concave surface having a center concave toward the bottom, . In addition, when the button housing 131 is engaged with the main housing 110 in the penetrating space A, the first bottom surfac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etachment surface 113 by a predetermined height.

연결체(133)는, 버튼 하우징(131)을 탄성 지지부(111)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체(133)는 버튼 하우징(131)의 측면에서 너비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체(133)는 탄성 지지부(111)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 상에 끼움되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connector 133 may be a means for connecting the button housing 131 to the resilient supporting portion 111. For this, the connector 133 may have a protruding structure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utton housing 131. Accordingly, the connecting body 133 is fitted on the elastic body such as the spring of the elastic supporting body 111, and can be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버튼 하우징(131)은 연결체(133)에 의해 탄성체에 의해 탄성 지지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도구에 의해 상부가 눌림되는 경우, 소정 높이 만큼 하강하고, 외력이 사라지는 경우에는 탄성체에 의해 기존 높이로 다시 상승되어 위치 복원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button housing 13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by the connecting body 133, and when the upper part is pressed by a tool such as a user's finger, the button housing 131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height, It can be raised to the original height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body.

전도체(135)는, 터치 스크린(S)에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 섬유, 전도성 고무, 전도성 실리콘, 및 전도성 금속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도체(135)가 버튼 하우징(131)의 중심축에서 높이 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시말해, 버튼 하우징(131) 전체가 전도체(135)로 구비될 수도 있다. 버튼 하우징(131) 전체가 전도체(135)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버튼 하우징(131)의 하강 시, 하강되는 면이 단말기(도 1, 400 이하생략)의 터치 스크린(S)에 접촉될 수 있도는 탄성 지지부(111)의 배치 구조를 갖거나, 버튼 하우징(131)의 형상이 탈착면(11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도체(135)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버튼 하우징(131)을 누루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단말기(400)의 터치 스크린(S)에 전달시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S)을 구동시킬 수 있다.The conductor 135 may be a means for delivering current to the touch screen S. Accordingly, it can be made of conductive fibers, conductive rubbers, conductive silicon, and conductive metals or a combination thereof. In this embodiment, the conductor 135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button housing 13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entire button housing 131 may be provided with the conductor 135. When the entire button housing 131 is formed of the conductor 135, the lowered surface of the button housing 131 may contact the touch screen S of the terminal The elastic support portion 111 may have a disposition structure or the shape of the button housing 131 may be protruded in the direction of the attaching surface 113. [ Accordingly, when the user touches the button housing 131 with the finger, the conductor 135 transmits the current generated from the user's body to the touch screen S of the terminal 400, S can be driven.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탈착식 물리키(100)의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method of the removable physical key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본체 하우징(110)의 탈착면(113)을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S)에 부착시킬 수 있다. 탈착면(113)은 부착 전에는 양면 필름과 같은 커버 수단을 통해 덮여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탈착면(113)에 부착된 커버 수단을 제거한 뒤, 자신이 원하는 소프트웨어 버튼(SB)에 대응되도록 탈착면(113)을 부착시킬 수 있다.First, the user can attach the removable surface 113 of the main housing 110 to the touch screen S of the terminal. The attachment surface 113 may be covered with a cover means such as a double-sided film before attachment. Accordingly, the user can remove the cover means attached to the removable surface 113, and attach the removable surface 113 so as to correspond to the desired software button SB.

이후, 물리키(100)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도구에 의해 눌림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고정 수단이므로, 사용자에 의한 눌림 압력은 버튼 하우징(131)에 전달될 수 있다. Then, the physical key 100 may be pressed by a tool such as a user's finger. Since the main body housing 110 is a fixing means,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can be transmitted to the button housing 131.

버튼 하우징(131)은, 손가락의 눌림 압력이 발생되면, 본체 하우징(110)의 탄성 지지부(111)를 따라 탈착면(113) 방향을 향해 하강될 수 있다. 버튼 하우징(131)은 전도체(13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손가락에서 전달되는 전류(정전기)가 버튼 하우징(131)과 접촉하는 단말기(400)의 터치 스크린(S)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물리키(100)가 위치하는 소프트웨어 버튼(SB)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 하우징(131)은 터치 스크린(S)과 물리적인 접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S)이 정전용량 방식이 아니라 감압식인 경우에도 물리적인 접촉에 의한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button housing 131 can be lowered toward the direction of the removable surface 113 along the elastic support portion 111 of the main body housing 110 when a pressing pressure of the finger is generated. Since the button housing 131 includes the conductor 135, a current (static electricity) transmitted from the user's finger can be transmitted to the touch screen S of the terminal 400 in contact with the button housing 131. Therefore, the software button SB in which the physical key 100 is located can be driven. In addition, since the button housing 131 is physically contacted with the touch screen S, even when the touch screen S is not of a capacitive type but of a reduced pressure type, an electrical signal due to physical contact can be generated.

이렇게, 전도체(135)의 터치 스크린(S) 접촉에 의한 단말기의 신호 발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버튼 하우징(131)을 누르던 손가락을 때어 낼 수 있다. 버튼 하우징(131)과 결합된 탄성 지지부(111)는 버튼 하우징(131)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지면,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 하우징(131)을 원래의 위치로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signal generation of the terminal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S of the conductor 135 is completed, the user can release the finger that has depressed the button housing 131.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utton housing 131 disappears, the elastic support portion 111 coupled with the button housing 131 can move the button housing 131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provided therein .

따라서, 물리키(100)는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S)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시키는 간편한 동작을 통해, 기존 정전용량 방식의 소프트웨어 버튼(SB)을 물리적으로 동작되는 버튼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physical key 100 can be changed into a physically operated button by a simple operation of attaching the physical key 100 at a desired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S of the terminal.

이상은, 물리키(1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4에서는 도 2 및 도 3과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물리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hysical key 100 have been described above. In Fig. 4, a physical key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ose of Figs. 2 and 3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상 변형체(231)가 적용된 물리키(2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hysical key 200 to which a shape changing body 23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실시예에서의 물리키(200)는 도 2 및 도 3의 물리키(도 2, 100)와 버튼부(도 2, 130)에서 차이가 있다. 앞서 도 2 및 도 3의 버튼부(도 2, 130)는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버튼 하우징(도 3, 131)은 형상의 변형없이 탄성 지지부(도 3, 111)를 따라 승하강하는 구성이었다.The physical key 200 in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e physical keys (Figs. 2 and 100) and the button portion (Figs. 2 and 130) of Figs. 2 and 3. 3 and Fig. 3), the button housing (Figs. 3 and 131)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elastic support portions (Figs. 3 and 111) .

반면, 본 실시예의 버튼부(230)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부(230)는 형상 변형체(231), 커버(233), 전도체(235)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tton unit 23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hape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o this end, the button portion 230 may include a shape changing body 231, a cover 233, and a conductor 235.

형상 변형체(231)는, 외력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는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 변형체(231)는 탄성 재질의 고무나 이와 비슷한 재질의 고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hape changing body 231 may be a material that deforms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force and returns to the original shape when no external force acts. The shape changing body 231 may be made of elastic rubber or a solid of similar material.

또한, 형상 변형체(231)는 젤 타입이나 액상 타입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젤 및 액상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들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커버(233)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pe changing body 231 may be formed of a gel type or liquid type material. Gel, and liquid type, a cover 233 for holding these shapes may be provided.

커버(233)는, 젤이나 액상 타입의 형상 변형체(231)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으로 탄성 재질의 필름이나 수지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ver 233 may be made of a film or resi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s a means for sealing the gel or the shape-changing body 231 of liquid type.

이때, 전도체(235)는 형상 변형체(231)의 외면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현상 변형체(213)의 일측과 타측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233)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커버(233)를 따라 전도체(235)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전도체(235)의 형상, 배치, 및 구조 등은 사용자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S)에 전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들이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ductors 235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hape-changing body 231, 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eveloping deforming body 2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urther, when the cover 233 is provided, the conductor 235 may be provided along the cover 233.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transmitting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user to the touch screen S of the terminal can be applied to the shap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the conductor 235.

본체 하우징(210)은 관통 공간(X)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housing 210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217 protruding toward the through-space X.

고정부(217)는, 관통 공간(X)에서 형상 변형체(231)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통 공간(X) 하부 영역에서 중심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17)는, 형상 변형체(231)와, 탈착면(213) 사이에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형상 변형체(231)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탈착면(213)을 향해 형상 변형체(231)의 일부 영역이 연장되고, 연장된 형상 변형체(231)의 영역인 연장 영역(L)이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S) 소프트웨어 버튼(SB)에 접촉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217 may be form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region of the through space X toward the central portion by the means for supporting the shape changing body 231 in the through space X. [ At this time, the fixing portion 217 may be provided so as to form a space communicating between the shape-changing body 231 and the detachable surface 213. 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shape deforming body 231, a part of the shape deforming body 231 extends toward the attaching face 213 and the extended region L, which is the area of the extending deforming body 231, (S) software button SB of the touch screen (S).

상기와 같은 형상 변형체(231)를 구비한 물리키(200)의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method of the physical key 200 having the shape changing body 231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물리키(200)를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S)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도구에 의해 형상 변형체(231)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외력이 가해지면, 형상 변형체(231)는 외력의 반대 방향을 향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탈착면(213)을 향하는 관통 공간(X) 하부에 고정부(21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부(217)에 지지되는 형상 변형체(231)는 관통 공간(X) 내부에 위치하고, 형상 변형체(231)와 탈착면(213) 사이에서 고정부(217)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연통 공간을 통해 형상 변형체(231)의 일부가 탈착면(213)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의 눌림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어 연장되는 변형체의 일부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S)에 접촉하고, 전도체(235)에 의해 사용자의 전류가 전달되어 터치 스크린(S)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First, the user can attach the physical key 200 to the touch screen S of the terminal. Thereafter, an external force can be applied to the shape-changing body 231 by a tool such as a user's fing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hape changing body 231 can be deform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rnal force. The deformed body 231 supported by the fixed portion 217 is located inside the penetrating space X because the fixed portion 217 is provided under the penetrating space X facing the desorption surface 213 A part of the shape changing body 231 can extend toward the attaching face 213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not supported by the fixing portion 217 between the shape changing body 231 and the attaching face 213. [ Therefore, a part of the deformed shape deformed and extended by pressing of the finger contacts the touch screen S of the terminal, and the current of the user is transmitted by the conductor 235 to transmit the current to the touch screen S have.

형상 변형체(231)를 누르던 외력이 사라지면, 형상 변형체(231)는 복원력에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터치 스크린(S)과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that presses the shape changing body 231 disappears, the shape changing body 231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by the restoring force, and th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 can be released.

또한, 앞선 실시예들에서 본체 하우징(210) 및 버튼부(230)는 서로 다른 구성으로 결합되는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실시예일 뿐이고, 본체 하우징(210)과 버튼부(230)는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lthough the main housing 210 and the button 23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different configurations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main housing 210 and the button 230 ar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Lt; / RTI >

이와 같은 물리키(200)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는 단말기에 물리키(200)를 간단히 부착하는 동작을 통해 물리적으로 버튼을 구동시키는 물리키(200)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hysical key 200, the physical key 200 that physically operates the button can be implemented by simply attaching the physical key 200 to a terminal configured as a software button.

이상은, 형상 변형체를 구비한 물리키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도 5에서는 다중 본체 하우징이 구비된 물리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hysical key provided with the shape changing body. 5, a physical key provided with a multi-body housing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물리키(300)가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hysical key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의 물리키(300)는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연속되도록 결합되는 본체 하우징(310, 310', 3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본체 하우징(310, 310', 310")은 제1 본체 하우징(310), 제2 본체 하우징(310'), 및 제3 본체 하우징(310")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서로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각 본체 하우징(310, 310', 310")은 자신들의 관통 공간에 각각의 제1 버튼부(330), 제2 버튼부(330'), 및 제3 버튼부(33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물리키는 복수의 버튼부(330, 330',330")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hysical key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ody housings 310, 310 ', and 310' 310 ', 310 ") comprise a first body housing 310, a second body housing 310', and a third body housing 310 ", which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continuous manner. 310, 310 ', and 310' have respective first button portions 330, second button portions 330 ', and third button portions 330' in their respective through spaces. The physical key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utton units 330, 330 ', and 330 "are continuously disposed.

본 실시에에서는 3개의 본체 하우징(310, 310', 310")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개 수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2개 이상의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three main body housings 310, 310 ', and 310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as been described, the number of the main body housings 310, 310', and 310 "is not limited and may be two or more.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 본체 하우징(310, 310', 310")은 서로에 대하여 서로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Also,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main body housings 310, 310 ', 3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detachable structure.

뿐만아니라, 복수의 본체 하우징(310, 310', 310")의 연결 길이는 단말기(도 1, 40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메뉴 버튼, 홈 버튼, 뒤로가기 버튼인 소프트웨어 버튼(도 1, SB) 각각의 버튼부(330, 330', 330")가 대응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lengths of the plurality of main housing 310, 310 ', 310 "may include a menu button, a home button, a software button (FIG. 1, SB)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terminal And may have a length such that each of the button portions 330, 330 ', and 330 "

이와 같은 물리키에 의하면 복수의 본체 하우징 및 버튼부를 통해 한번의 단말기 부착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 버튼에 대응되는 물리키의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서로 탈착되는 본체 하우징을 통해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이용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physical key, it is possible to install physical keys corresponding to various software buttons with a single terminal through a plurality of main housing and button portions. Further, they may be selectively separated and used through a body housing which is detached from each other.

상기와 같은 탈착식 물리키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removable physical key and the terminal us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탈착식 물리키 231: 형상 변형체
110: 본체 하우징 233: 커버
111: 탄성 지지부 400: 단말기
113: 탈착면 S: 터치 스크린
115: 접착 날개 SB: 소프트웨어 버튼
130: 버튼부 A: 관통 공간
131: 버튼 하우징
133: 연결체
135: 전도체
100: detachable physical key 231:
110: main body housing 233: cover
111: elastic support part 400: terminal
113: Desorption surface S: Touch screen
115: Adhesive wing SB: Software button
130: button portion A: penetration space
131: Button housing
133:
135: Conductor

Claims (7)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공간인 관통 공간과, 단말기에 부착되는 탈착면을 구비하는 본체 하우징; 및
상기 관통 공간에서 상기 탈착면을 향해 탄성 눌림 가능하게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고, 전도체를 구비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탈착식 물리키.
A main housing having a through space, which is a space passing through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and a removable surface attached to the terminal; And
And a button portion coupled to the body housing so as to be resiliently pressed from the through space toward the detachment surface, the button portion having a condu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관통 공간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탈착면의 반대 방향을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탄성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 지지부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는, 탈착식 물리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housing,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that is movable along the height direction in the through space and is form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etachment surface,
The button unit includes:
And is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 portion, and is form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elastic suppor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외력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 변형체를 포함하는, 탈착식 물리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tton unit includes:
A deformable physical key comprising a deformable body whose shape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변형체는,
상기 탈착면의 반대면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탈착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상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형성되는, 탈착식 물리키.
The method of claim 3,
The shape-
And is deformed so as to extend toward the detachment surface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etachment surface and is formed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external force does not a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관통 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탈착식 물리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housing,
And a fixing part protruding toward the through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연속되도록 결합되는, 탈착식 물리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housing,
A removable physical key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s and being coupled to each other in a continuous manner.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눌림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전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탈착식 물리키;를 포함하는, 탈착식 물리키를 구비한 단말기.
touch screen; And
And a detachable physical ke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ich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touch screen and contacts the touch screen when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o transmit a current. A terminal having a key.
KR1020180071249A 2018-06-21 2018-06-21 Physicl key for removabl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800801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249A KR20180080151A (en) 2018-06-21 2018-06-21 Physicl key for removabl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249A KR20180080151A (en) 2018-06-21 2018-06-21 Physicl key for removabl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151A true KR20180080151A (en) 2018-07-11

Family

ID=6291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249A KR20180080151A (en) 2018-06-21 2018-06-21 Physicl key for removabl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015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2412A (en) * 2018-08-01 2018-12-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A kind of display device
DE102018220824A1 (en) 2018-07-10 2020-01-16 Hyundai Motor Company FORCED REGULATION SYSTEM OF A GASOLINE PARTICLE FILTER
WO2021167246A1 (en) * 2020-02-20 2021-08-26 주식회사 토비스 Button composite structur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20824A1 (en) 2018-07-10 2020-01-16 Hyundai Motor Company FORCED REGULATION SYSTEM OF A GASOLINE PARTICLE FILTER
CN109032412A (en) * 2018-08-01 2018-12-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A kind of display device
WO2021167246A1 (en) * 2020-02-20 2021-08-26 주식회사 토비스 Button composite structure
KR102293639B1 (en) * 2020-02-20 2021-08-26 주식회사 토비스 Button complex structure
JP2023513195A (en) * 2020-02-20 2023-03-30 トビ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button composit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528B1 (en) Keyboard pad for touch screen
EP3260009B1 (en) Portable terminal case
CN105847499B (en) Embedded key of electronic device
CN212009526U (en) Intelligent controller
KR20180080151A (en) Physicl key for removabl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40110607A (en) Key button assembl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10170824U (en) Auxiliary clicking device of touch screen
CN218896352U (en) Touch control panel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571166B1 (en) Keypad assembly for mobile phone
CN106158472A (en) Keyboard
CN212967466U (en) Button and mutual dull and stereotyped
CN112335010B (en) Keyboard key, key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80065397A (en) Personal portable device
CN209766294U (en) keying module of wall switch
CN105990057A (en) Keyboard
KR20080099930A (en) Key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TWI840218B (en) Key and keyboard
KR100863311B1 (en) Control panel assembly
CN204289184U (en) A kind of automobile remote controllers button
CN220137660U (en) Novel profiling mouse
CN220020937U (en) Key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CN218631748U (en) Key waterproof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CN218497975U (en) Cantilever type button and terminal equipment thereof
KR20110121858A (en) A skin for portable communications equipment
KR101124614B1 (en)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s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