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397A - Personal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Personal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397A
KR20080065397A KR1020070002492A KR20070002492A KR20080065397A KR 20080065397 A KR20080065397 A KR 20080065397A KR 1020070002492 A KR1020070002492 A KR 1020070002492A KR 20070002492 A KR20070002492 A KR 20070002492A KR 20080065397 A KR20080065397 A KR 20080065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key input
buttons
portable terminal
fro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88817B1 (en
Inventor
박철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지엔씨
Priority to KR1020070002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817B1/en
Publication of KR20080065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8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distinguish between buttons clearly, to carry out button input easily, to improve preciseness in key touch, and to configure button parts in various shapes. A portable terminal(100) comprises a front case(110), a rear case(130), and a key input module. The front case comprises a pad area(113) where a plurality of buttons are defined.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buttons, a button hole(115) is formed at the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other buttons, the first button part(117) is formed at the pad area. The rear case corresponds to the front case. The key input module comprises a key input sensor part and the second button part(119). The key input sensor part is located below the pad area. The second button part, formed on the key input sensor part, is exposed through the button hole. The key input sensor part creates input signals as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arts are manipulated.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PERSONAL PORTABLE DEVICE}

도1은 기존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ist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 2의 개인휴대단말기를 Ⅰ-Ⅰ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2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I-I.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변형예이다.4 is a first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변형예이다. 5 is a second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변형예이다.6 is a third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100a~100c : 개인휴대단말기100, 100a ~ 100c: Personal handheld terminal

110, 100a~100c : 전면 케이스110, 100a ~ 100c: front case

113, 113a~113c : 패드 영역113, 113a-113c: pad area

115, 115a~115c : 버튼 홀115, 115a ~ 115c: Button Hole

117, 117a~117c : 제 1 버튼부117, 117a to 117c: first button portion

119, 119a~119c : 제 2 버튼부119, 119a to 119c: second button portion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버튼 입력이 용이하며,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이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larifying the distinction between buttons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easy button input, and various design variations.

휴대폰 등의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키패드의 버튼을 이용한다. 휴대폰과 관련된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키패드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 외에도, 키패드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을 위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게임 기능이나 각종 기능을 구현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향은 비단 휴대폰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전자기기 등 일반적인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적용될 수가 있다.Use the buttons on the keypad to enter numbers on personal mobile phones such as mobile phones. As technology related to mobile phones is developed, in addition to entering a phone number using a keypad, a character may be input for message transmission using the keypad, and game functions or various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This trend can be applied not only to mobile phones but also to general personal mobile devices such as other electronic devices.

도1은 기존 휴대폰에서 키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keypad in an existing mobile phone.

도1을 참조하면, 기존 휴대폰은 전면 케이스(10) 및 전면 케이스(10)에 대응하는 후면 케이스(20)를 포함하며, 전면 케이스(10)에는 버튼 패드(13)가 제공된다.Referring to FIG. 1, the existing mobile phone includes a front case 10 and a rear case 20 corresponding to the front case 10, and the front case 10 is provided with a button pad 13.

버튼 패드(13)는 버튼 슬릿(11) 및 버튼부(15)를 포함한다. 버튼 패드(13)는 전면 케이스(10)와 일체를 이루며, 사출성형 시 케이스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버튼 패드(13)는 전면 케이스(20)와 일체형이기 때문에 단일 벽을 형성하고, 버튼 패드(13)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버튼부(15)가 제공된다. 버튼 슬릿(11)은 전면 케이스(10)의 버튼부(15)가 움직일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버튼 슬릿(11)에 의해서 버튼부(15)는 전면 케이스(10)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The button pad 13 includes a button slit 11 and a button portion 15. The button pad 13 is integrated with the front case 10 and may be molded together with the case during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since the button pad 13 is integrated with the front case 20, the button pad 13 forms a single wall, and the button pad 13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15 that can mo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button slit 11 may provide a space for the button portion 15 of the front case 10 to move, and the button slit 11 may move independently from the front case 10 by the button slit 11. To help.

상기와 같이 버튼 패드(13)는 케이스와 일체를 이루며 버튼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면 케이스(10)의 일 벽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벽면은 단층의 벽면을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utton pad 13 may be integral with the case and provide a button, and may form one wall surface of the front case 10, wherein the wall surface forms a single wall surface.

버튼 패드(13)의 저면에는 전극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가 배치되며, 버튼 패드(13)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돔 스위치(19)를 포함하는 돔 스위치 패드(17)가 제공된다.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전극은 돔 스위치(19)와 동일한 형태의 동심원의 원형 구조를 가지며, 돔 스위치(19)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 printed circuit board (PCB) having electrodes formed thereon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utton pad 13, and a dome switch pad 17 including a dome switch 19 is provided between the button pad 13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electrod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a concentric circular structure of the same shape as the dome switch 19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dome switch 19.

상술한 돔 스위치 패드(17) 및 인쇄회로기판을 전면 케이스(10)에 장착한 후, 후면 케이스(20)으로 전면 케이스(10)의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0) 및 후면 케이스(20)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에는 돔 스위치(19)나 기판 같은 키입력 모듈 외에도 무선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After the above-described dome switch pad 17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mounted on the front case 10, the rear case 20 may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case 10. In addition to the key input module such as the dome switch 19 or the board, various modules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mounted in the housing including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튼 패드(13)를 전면 케이스(10)와 일체형로 구성함으로써, 키패드를 단층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단말기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전면 케이스(10)와 버튼 패드(1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 케이스와 버튼 간의 구분이 모호하여 정확한 버튼 입력을 방해할 수 있으며, 모든 버튼이 케이스와 동일한 질감으로 형성되어 버튼과 버튼 간의 구분이 모호할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constituting the button pad 13 integrally with the front case 10, the keypad can be formed in a single layer, and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can be made thinner. However, if the front case 10 and the button pad 13 are integrally form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ase and the button may be ambiguous, which may prevent accurate button input.All buttons are formed in the same texture as the case, so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button and the button Can be ambiguous

또한 버튼 패드(13)와 전면 케이스(1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개인휴대단말기의 버튼부(15)의 변형이 쉽지가 않다. 따라서 개인휴대단말기 디자인의 변형에 대한 한계가 생겨 다양한 디자인을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대한 요구에 뒷받침하지 못한다. In addition, since the button pad 13 and the front case 10 are integrally formed, deformation of the button unit 15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not easy.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variation of the design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which does not support the demand for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with various design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n object to provide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buttons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버튼 입력이 용이하다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the button input is easy.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이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modified in a variety of design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버튼이 정의된 패드 영역 상에 버튼 중 일부분에 대응하여 버튼 홀이 형성되고, 버튼 중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여 제1 버튼부가 패드 영역에 형성되며, 제 1 버튼부는 주변의 다른 버튼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전면 케이스에 대응하는 후면 케이스가 제공되고, 패드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키입력 센서부 및 키입력 상에 제공되어 버튼 홀을 통해 노출되는 제 2 버튼부를 포함하며, 버튼 홀을 통해 노출되는 제 2 버튼부를 수용하고, 키입력 센서부는 제 1 및 제 2 버튼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 모듈을 구비된 개인휴대단말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hole is formed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a button on a pad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buttons are defined,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rtion of the button. The button portion is formed in the pad region, the first button portion can move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other button portions in the periphery, a rear case corresponding to the front case is provided, and a key input sensor portion and a key located below the pad region. A second button portion provided on the input and exposed through the button hole, the second button portion being exposed through the button hole, wherein the key input sensor portion generates an input signal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A personal handheld terminal having a key input module is provided.

전면 케이스에는 복수개의 버튼 자리가 정의된 패드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드 영역에는 케이스와 일체를 이루는 제1 버튼부와 제2 버튼부의 버튼 자리에 대응하는 버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버튼 홀은 패드 영역의 전반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튼 홀은 각 버튼 자리에 대응하도록 버튼 별로 형성될 수 있지만, 2개 이상의 버튼 자리에 대응하도록 통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A pad region in which a plurality of button positions are defined may be formed in the front case, and a button hol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ositions of the first button portion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integral with the case may be formed in the pad region. The button hole thus formed may be formed in a portion instead of being formed throughout the pad area. In addition, the button hole may be formed for each button to correspond to each button seat, but may be provided in an integrated form to correspond to two or more button seats.

제1 버튼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면 케이스에 연결될 수가 잇다. 일 예로, 제1 버튼부에서 일면이 전면 케이스에 연결되고 나머지 면은 전면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즉 캔틸레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버튼부의 양단부가 케이스 또는 다른 제1 버튼부가 이어지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제1 버튼부가 케이스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다른 제1 버튼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The first button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front case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one surface of the first butt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case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provided separated from the front case, that is, in a cantilever shape, and both ends of the first button portion may be provided so as to connect the case or the other first button portion. It may be. In addition, the first button unit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ase and mov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 first button unit.

이렇게 형성된 제1 버튼부는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변형 및 복원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버튼부는 전면 케이스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키패드와 개인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단일 벽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button unit thus formed may repeat deformation and restor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pressing. In addition, the first button un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case is formed of a single wall that can simultaneously serve as a keypad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se.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버튼부를 포함하는 키입력 모듈이 제공되며, 키입력 모듈이 전면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면서 제2 버튼부가 버튼 홀을 통해 제1 버튼부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2 버튼부는 제1 버튼부와 다른 형상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버튼부와 제 2 버튼부의 구분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케이스와 버튼의 구분이 명확해져 버튼을 입력하기가 쉬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key input module including a second button unit is provided, and the second button unit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utton unit through the button hole while the key input module is mounted under the front case. Since the second butt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or a different material from that of the first button portion, the first button portion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may be easily distinguished,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ase and the button may be clear, and thus it is difficult to input the button. Rest

키입력 모듈은 제 2 버튼부 및 제2 버튼부를 지지하는 키입력 센서부를 포함한다. 키입력 센서부는 제1 버튼부 또는 제2 버튼부의 누름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센서방식 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센서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입력 센서부는 제2 버튼부가 부착되는 탄성 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 시트는 제1 버튼부 및 제2 버튼부를 함께 지지할 수가 있다. 특히 탄성 시트의 저면에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러버 시트가 제공할 수 있으며, 러버 시트는 버튼부의 누름을 돔 스위치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The key input module includes a second button part and a key input sensor part supporting the second button part. The key input sensor unit may receive a press of the first button unit or the second button unit, and may use a conventional sensor method or a sensor method that may replace the same. For example, the key input sensor unit may include an elastic sheet to which the second button unit is attached, and the elastic sheet may support the first button unit and the second button unit together. In particular, a rubber sheet including a pressing protrusion on the bottom of the elastic sheet may be provided, and the rubber sheet may effectively transmit the pressing of the button portion to the dome switch.

본 명세서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휴대용 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 센서부는 돔 스위치 및 전극으로 구성된 구조 외에도 적용되는 기술 수준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키입력 센서부가 선택될 수 있으며, 단말기에 맞게 변경될 수가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ersonal portable device (Personal Portable Device)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smart phone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module, It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wired or wireless LAN card, and may be used as a concept of collectively a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computing power by mounting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have.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dome switch and the electrode, the key input sensor unit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applied technology level, the key input sensor unit of various structures, it can be changed to suit the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 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100)는 전면 케이스(110), 후면 케이스(130) 및 키입력 모듈(128)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front case 110, a rear case 130, and a key input module 128.

여기서 전면 케이스(110)는 복수개의 버튼이 정의된 패드 영역(113)을 포함하며, 여기서 패드 영역(113)에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이 정의된다. 이러한 전면 케이스(110)에는 제 1 버튼부(117)가 제공되는데, 제 1 버튼부(117)는 전면 케이스(110)의 모든 버튼에 대하여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에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후술하는 키입력 모듈(128)의 제 2 버튼부(119)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front case 110 includes a pad area 113 in which a plurality of buttons are defined. Here, a button for inputting a number, a letter, or a symbol is defined in the pad area 113. The front case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button portion 117, the first button portion 117 is not provided for all the buttons of the front case 110, but may be defined corresponding to a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May be defined by the second button unit 119 of the key input module 128 described later.

제 1 버튼부(117)는 예를 들어, 캔틸레버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변의 다른 버튼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캔틸레버의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버튼부(117)는 캔틸레버 형상이 아닌 다른 유동 가능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버튼부(117)는 전면 케이스(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전면 케이스(110)는 키패드와 휴대폰의 케이스 역할을 동시에 할 수가 있으며, 단일벽으로 형성된다.The first button portion 117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for example, and can move independently of other buttons in the vicinity.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formed in the shape of a cantil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utton part 117 may be formed in a flowable form other than the cantilever shape. The first button unit 11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case 110, so that the front case 110 can serve as a case of the keypad and the mobile phone at the same time, it is formed as a single wall.

이때, 버튼 홀(115)은 패드 영역(113)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버튼 홀(115)에는 제 2 버튼부(119)가 수용된다. In this case, the button hole 115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pad region 113,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119 is accommodated in the button hole 115.

이렇게 버튼 홀(115)에 수용되는 제 2 버튼부(119)는 탄성 시트(121) 상에 돌출되어 제공되고 탄성 시트(121)의 저면에는 키입력 센서부가 제공된다. 여기서 키입력 센서부는 후술하는 누름 돌출부와 돔 스위치(125)로 구성된다. The second button part 119 accommodated in the button hole 115 is provided to protrude on the elastic sheet 121 and a key input sensor par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elastic sheet 121. Here, the key input sensor unit includes a push protrusion and a dome switch 125 to be described later.

이렇게 전면 케이스(110)와 패드 영역(113)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버튼부(117)와 제 2 버튼부(119)의 차이로 인하여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버튼 입력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버튼부(119)는 질감 이외에도 형태, 색 등의 차이가 생겨 다양한 디자인을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Thu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buttons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n be made clea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button portion 117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119 in which the front case 110 and the pad region 113 are integrally formed. Input becomes easy.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utton units 119 may be provided with personal mobile terminals having various designs in addition to texture, such as differences in shape and color.

도 3은 도 2의 개인휴대단말기를 Ⅰ-Ⅰ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2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I-I.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버튼부(117)가 제공된 전면 케이스(110)의 중앙에는 제 2 버튼부(119)에는 제공되며, 제 1 버튼부(117) 저면에 위치하는 탄성 시트(121) 상에 제 2버튼부(119)가 접착되어 있다. 접착된 제 2 버튼부(119)와 제 1 버튼부(117)가 결합하여 개인휴대단말기의 버튼부를 제공한다. 여기서 탄성 시트(121)는 제 2 버튼부(119)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3, an elastic sheet 121 is provided in the second button part 119 at the center of the front case 110 provided with the first button part 117, an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button part 117. The second button part 119 is adhere | attached on the top. The bonded second button portion 119 and the first button portion 117 are combined to provide a button por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elastic sheet 121 serves to support the second button portion 119.

이렇게 형성된 탄성 시트(121)의 저면에는 제 1 및 제 2 버튼부(117, 119)에 대응하도록 누름 돌출부(124)가 형성되어 있는 러버 시트(123)가 제공된다. 이때, 누름 돌출부(124)는 통상적으로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누름 돌출부(124) 저면에는 돔 스위치(125)가 제공되는 돔 스위치 패드(127)가 형성된다. 돔 스위치 패드(127)의 하부에는 돔 스위치(125)와 대응되도록 원형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CB)이 제공된다. 여기서 누름 돌출부(124)는 상기 제1 및 제 2 버튼부(117, 119)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눌러질 때에 누름 돌출부(124)가 돔 스위치(125)를 누르게 되고 돔 스위치(125)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하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의 원형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bottom of the elastic sheet 121 is formed is provided with a rubber sheet 123 is formed with a pressing projection 124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117, 119). In this case, the pressing protrusion 124 may be typically formed of silicon, and a dome switch pad 127 in which the dome switch 125 is provide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essing protrusion 124. The lower portion of the dome switch pad 127 is provid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PCB) in which a circular electrod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ome switch 125. Here, the pressing protrusion 124 presses the dome switch 125 when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117 and 119 are pressed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and the dome switch 12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ircular electrode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이러한 제 1 버튼부(117)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124)가 형성되어 있는 러버 시트(123)가 제공된다. 누름 돌출부(124)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124)와 대응되는 돔 스위치(125)가 제공된다. 이러한 돔 스위치(125)의 하부에는 돔 스위치(125)와 대응되도록 인쇄회로기판(PCB)의 원형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bottom of the first button portion 117 is provided with a rubber sheet 123 in which the pressing projection 124 is forme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ing protrusion 124 is provided with a dome switch 125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rotrusion 124. The lower part of the dome switch 12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ircular electrode of a printed circuit board (PCB) so as to correspond to the dome switch 125.

변형예1Modification Example 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변형예이다.4 is a first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버튼 홀(115a)의 일부분이 케이스 일부로 확장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서는 버튼 홀(115a)이 개인휴대단말기의 길이 방향에 따라 확장되어, 확장된 버튼 홀(115a)에 제 2 버튼부(119a)가 수용된다. Referring to FIG. 4, a part of the button hole 115a may be extended to a part of the case. That is, in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hole 115a extend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second button portion 119a is accommodated in the expanded button hole 115a.

이때 제 2 버튼부(119a)는 커버 피스(126)를 포함하게 된다. 확장된 버튼 홀(115a)이 케이스의 일부이기 때문에 제 2 버튼부(115a)가 제공되지 않는 영역이 커버 피스(126)가 수용하게 된다. 이때 커버 피스(126)는 제 2 버튼부(119a)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 피스(126)는 제 2 버튼부(119a)와 동일한 형상이 아닌 케이스의 일면을 형성해주는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button portion 119a includes the cover piece 126. Since the expanded button hole 115a is part of the case, the cover piece 126 accommodates an area where the second button portion 115a is not provided. In this case, the cover piece 126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button part 119a, and the cover piece 126 may be formed in another shape to form one surface of a case that is not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button part 119a. Can also be formed.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서는 전면 케이스(110a)와 패드 영역(113a)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버튼부(117a)와 제 2 버튼부(119a)의 차이로 인하여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버튼 입력이 용이해지는 효과는 동일하고, 더불어 개인휴대단말기의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In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button portion 117a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119a in which the front case 110a and the pad region 113a are integrally formed, the button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distinction can be made clear, and the effect of the button input is the same, and it is possible to bring about variations of various designs of the personal mobile device.

변형예2Modification Example 2

이하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변형예이다.5 is a second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를 참조하면, 버튼 홀(115b)은 패드 영역(113b)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버튼 홀(115b)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제 1 버튼부(117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버튼부(117b)는 상부 제 1 버튼부(117b)와 하부 제 1 버튼부(119b)로 나뉘어져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button hole 115b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ad region 113b, and the first button portion 117b is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button hole 115b is not formed. In this case, the first button part 117b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first button part 117b and a lower first button part 119b.

여기서 상부 제 1 버튼부(117b)와 하부 제 1 버튼부(119b)는 동일한 효과의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하부 제 1 버튼부(117b, 119b)는 일면이 전면 케이스(100b)에 연결되고 나머지 면은 전면 케이스(100b)로부터 분리된, 캔틸레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하부 제 1버튼부(117b, 118)의 양단부가 케이스 또는 다른 상/하부 제 1 버튼부(117b, 118)가 이어지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부 제 1 버튼부(118)는 상부 제 1 버튼부(117b)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의 일부분에 결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제 1 버튼부(118)는 전면 케이스(110b)의 일부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서는 하부 제 1 버튼부(118)가 개인휴대단말기의 길이방향에 따라 확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upper first button portion 117b and the lower first button portion 119b may use buttons having the same effect. That is, the upper and lower first button parts 117b and 119b may be provided in a cantilever shape, one surfac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case 100b and the other surface of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ront case 100b. Both ends of the button portions 117b and 118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ase or other upper and lower first button portions 117b and 11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lower first button part 118 may be provided in combination with a portion of the case in which the upper first button part 117b is formed. In addition, the lower first button part 118 is formed to be extended to a part of the front case 110b. That is, in the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first button part 118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는 상, 하부로 나뉘어 제 1 버튼부를 형성하여 다른 형상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버튼부 간의 버튼의 구분이 명확해져 버튼을 입력하기가 쉬어진다. In the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button part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formed in a different shape or a different material, the distinction between the button and the first button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becomes clear. It is easy to type.

상/하부 제 1 버튼부(117b. 118)가 형성된 패드 영역(113b)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 홀(115b)에는 본 발명와 동일하게 제 2 버튼부(119b)가 수용된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서는 다른 형상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된 상/하부 제 1 버튼부(117b, 118) 간의 차이와 상/하부 제 1 버튼부(117b, 118)와 제 2 버튼부(119b)의 차이로 인하여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버튼 입력이 용이해지는 효과는 동일하고, 더불어 개인휴대단말기의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Similarly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utton portion 119b is accommodated in the button hole 115b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ad region 113b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first button portions 117b and 118 are formed. 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rst button portions 117b and 118 formed of different shapes or different materials, and the upper and lower first button portions 117b and 118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Due to the difference of (119b),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buttons in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the effect of easy button input is the same, and also can bring various design variations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변형예3Modification 3

이하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변형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버튼 홀(115c)은 패드 영역(113c)에 제 1 버튼부(117c)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홀(115c)은 제 1 버튼부(117c)와 바둑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6 is a third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button holes 115c are alternately formed with the first button portion 117c in the pad region 113c. For example, the button hole 115c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heckerboard with the first button portion 117c.

여기서 제 1 버튼부(117c)는 실시예의 제 1 버튼부(117c)와 동일한 효과의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버튼부(117c)는 일면이 전면 케이스(110c)에 연결되고 나머지 면은 전면 케이스(110c)로부터 분리된, 캔틸레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 1 버튼부(117c)의 양단부가 케이스 또는 다른 제 1 버튼부(117c)가 이어지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버튼부(117c)는 버튼 홀(115c)과 교대로 형성되어 버튼부의 일부를 제공한다. Here, the first button portion 117c may use a button having the same effect as the first button portion 117c of the embodiment. That is, the first button portion 117c may be provided in a cantilever shape, one surfac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case 110c and the other surface of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ront case 110c, and both ends of the first button portion 117c may be provided. A case or other first button portion 117c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Here, the first button portion 117c is alternately formed with the button hole 115c to provide a part of the button por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버튼부(117c)와 교대로 형성되는 제 2 버튼부(119c)는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 홀(115c)에 수용되어 개인휴대단말기의 버튼부를 제공한다. 제공된 제 1 버튼부(117c)와 제 2 버튼부(119c)는 다른 형상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각 버튼부 간의 차이로 인하여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버튼입력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개인휴대단말기의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utton portion 119c alternately formed with the first button portion 117c is accommodated in the button hole 115c formed in the case to provide the button por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do. The provided first button portion 117c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119c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or different materials to clarif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buttons in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pective button portions, and easy button input. You can get the effect of termin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ring a variety of design variations of the personal mobile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에 의하면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provid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clearly distinguish between buttons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더불어 본 발명은 버튼 입력이 용이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provid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th easy button input.

또한 본 발명은, 버튼부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변형이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을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forms of the button portion is effective in provid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modified for a variety of desig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2)

복수개의 버튼이 정의된 패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 중 일부분에 대응하여 버튼 홀이 상기 패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 중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여 제1 버튼부가 상기 패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버튼부는 주변의 다른 버튼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전면 케이스;A plurality of buttons including a pad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buttons are defined, a button hole is formed in the pad area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buttons, and a first button part is formed in the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arts of the buttons, The first button portion can be moved independently of the other button portion around the front case; 상기 전면 케이스에 대응하는 후면 케이스; 및A rear case corresponding to the front case; And 상기 패드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키입력 센서부 및 상기 키입력 센서부 상에 제공되어 상기 버튼 홀을 통해 노출되는 제 2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홀을 통해 노출되는 제2버튼부를 수용하고, 상기 키입력 센서부는 상기 제1 및 제 2 버튼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 모듈; 을 구비하는 개인휴대단말기.A key input sensor unit positioned below the pad area and a second button unit provided on the key input sensor unit and exposed through the button hole, and receiving a second button unit exposed through the button hole, The key input sensor unit may include a key input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an input signal in response to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 units; Personal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버튼부는 상기 전면 케이스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first button unit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cas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버튼부는 상기 버튼 중 복수개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And the second button unit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the butt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버튼부는 상기 버튼 홀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And the second button unit is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button 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버튼부는 필름 박편, 사출 플라스틱 성형물, 금속박편과 필름의 적층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second button unit is a personal handhel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t least one of a film flake, an injection plastic molding, a metal flake and a laminate of the fil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입력 모듈은 상기 패드 영역의 하부에 밀착하는 탄성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And the key input module comprises an elastic sheet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ad area.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탄성 시트 상에는 상기 제 2 버튼부가 접착되고, 상기 제2 버튼부는 상기 버튼 홀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 단말기. The second button portion is bonded to the elastic sheet, the second button portion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button hol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탄성 시트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버튼부에 대응하는 누름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러버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 말기.The bottom of the elastic she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ubber sheet is formed with pressing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 respectively.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누름 돌출부는 실리콘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 돌출부 저면에는 돔 스위치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The push protrusion is formed of silicon, the bottom of the push projection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ome switch corresponding.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돔 스위치의 하부에는 PCB 기판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bottom of the dome switch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electrode of the PCB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 영역은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 상기 상부에는 제 1 버튼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에는 제 2 버튼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pad region is divided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wherein a first button portion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second button por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 영역의 제 1 버튼부와 제 2 버튼부는 각각 교대로 형성되는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of the pad area are alternately formed, respectively.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70002492A 2007-01-09 2007-01-09 Personal portable device KR1008888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492A KR100888817B1 (en) 2007-01-09 2007-01-09 Personal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492A KR100888817B1 (en) 2007-01-09 2007-01-09 Personal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397A true KR20080065397A (en) 2008-07-14
KR100888817B1 KR100888817B1 (en) 2009-03-17

Family

ID=3981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492A KR100888817B1 (en) 2007-01-09 2007-01-09 Personal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81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8026A2 (en) * 2009-07-14 2011-01-20 주식회사 블루버드소프트 Mobile terminal
US9100098B2 (en) 2009-07-14 2015-08-04 Bluebird Soft Co., Ltd. Mobile terminal
WO2017155127A1 (en) * 2016-03-07 2017-09-14 주식회사 블루버드 Mobile terminal having security keypa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7077A4 (en) 2010-03-11 2013-11-13 Song Hak Ji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three signals via one input key, and text input method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112B1 (en) * 2004-02-12 2005-12-22 (주)지엔씨 Button plat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a plastic she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8026A2 (en) * 2009-07-14 2011-01-20 주식회사 블루버드소프트 Mobile terminal
WO2011008026A3 (en) * 2009-07-14 2011-04-28 주식회사 블루버드소프트 Mobile terminal
US9100098B2 (en) 2009-07-14 2015-08-04 Bluebird Soft Co., Ltd. Mobile terminal
WO2017155127A1 (en) * 2016-03-07 2017-09-14 주식회사 블루버드 Mobile terminal having security key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817B1 (en)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7902B (en) Switch integrated type housing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US7176894B2 (en) Double-sided keyboard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KR100996646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KR100230716B1 (en) Keypad configuration
US7915556B2 (en) Input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768269B1 (en) Uppercase unified with button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uppercase
EP1028445A2 (en) Support structure for a keypad
US20100051434A1 (en) Keypa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888817B1 (en) Personal portable device
JP2002008606A (en) Cell pack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O2008044764A1 (en) Operation key structure
WO2008082090A1 (en) Button input device using e-paper
KR200415225Y1 (en) Key pad assembly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0364952Y1 (en) Key-pad assembly for cellular phone
KR20070041094A (en) Button structure for direction finding
US20070074965A1 (en) Electronic device
KR100867607B1 (en) Capacitive Input Device
KR100779066B1 (en) Mathod of manufactering of keypad and keypad
KR20080099930A (en) Key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968856B1 (en) Key input apparatus
KR100843263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key
KR20060010096A (en) Key-pad assembly for cellular phone
KR100972340B1 (en) Structure for keypad using the button
KR100567557B1 (en) 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KR20070068048A (en)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entering number of personal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