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397A - Personal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Personal portab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65397A KR20080065397A KR1020070002492A KR20070002492A KR20080065397A KR 20080065397 A KR20080065397 A KR 20080065397A KR 1020070002492 A KR1020070002492 A KR 1020070002492A KR 20070002492 A KR20070002492 A KR 20070002492A KR 20080065397 A KR20080065397 A KR 200800653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key input
- buttons
- portable terminal
- front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1은 기존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ist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 2의 개인휴대단말기를 Ⅰ-Ⅰ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2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I-I.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변형예이다.4 is a first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변형예이다. 5 is a second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변형예이다.6 is a third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100a~100c : 개인휴대단말기100, 100a ~ 100c: Personal handheld terminal
110, 100a~100c : 전면 케이스110, 100a ~ 100c: front case
113, 113a~113c : 패드 영역113, 113a-113c: pad area
115, 115a~115c : 버튼 홀115, 115a ~ 115c: Button Hole
117, 117a~117c : 제 1 버튼부117, 117a to 117c: first button portion
119, 119a~119c : 제 2 버튼부119, 119a to 119c: second button portion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버튼 입력이 용이하며,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이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larifying the distinction between buttons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easy button input, and various design variations.
휴대폰 등의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키패드의 버튼을 이용한다. 휴대폰과 관련된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키패드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 외에도, 키패드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을 위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게임 기능이나 각종 기능을 구현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향은 비단 휴대폰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전자기기 등 일반적인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적용될 수가 있다.Use the buttons on the keypad to enter numbers on personal mobile phones such as mobile phones. As technology related to mobile phones is developed, in addition to entering a phone number using a keypad, a character may be input for message transmission using the keypad, and game functions or various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This trend can be applied not only to mobile phones but also to general personal mobile devices such as other electronic devices.
도1은 기존 휴대폰에서 키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keypad in an existing mobile phone.
도1을 참조하면, 기존 휴대폰은 전면 케이스(10) 및 전면 케이스(10)에 대응하는 후면 케이스(20)를 포함하며, 전면 케이스(10)에는 버튼 패드(13)가 제공된다.Referring to FIG. 1, the existing mobile phone includes a
버튼 패드(13)는 버튼 슬릿(11) 및 버튼부(15)를 포함한다. 버튼 패드(13)는 전면 케이스(10)와 일체를 이루며, 사출성형 시 케이스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버튼 패드(13)는 전면 케이스(20)와 일체형이기 때문에 단일 벽을 형성하고, 버튼 패드(13)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버튼부(15)가 제공된다. 버튼 슬릿(11)은 전면 케이스(10)의 버튼부(15)가 움직일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버튼 슬릿(11)에 의해서 버튼부(15)는 전면 케이스(10)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와 같이 버튼 패드(13)는 케이스와 일체를 이루며 버튼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면 케이스(10)의 일 벽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벽면은 단층의 벽면을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버튼 패드(13)의 저면에는 전극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가 배치되며, 버튼 패드(13)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돔 스위치(19)를 포함하는 돔 스위치 패드(17)가 제공된다.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전극은 돔 스위치(19)와 동일한 형태의 동심원의 원형 구조를 가지며, 돔 스위치(19)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 printed circuit board (PCB) having electrodes formed thereon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상술한 돔 스위치 패드(17) 및 인쇄회로기판을 전면 케이스(10)에 장착한 후, 후면 케이스(20)으로 전면 케이스(10)의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10) 및 후면 케이스(20)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에는 돔 스위치(19)나 기판 같은 키입력 모듈 외에도 무선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After the above-describ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튼 패드(13)를 전면 케이스(10)와 일체형로 구성함으로써, 키패드를 단층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단말기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전면 케이스(10)와 버튼 패드(1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 케이스와 버튼 간의 구분이 모호하여 정확한 버튼 입력을 방해할 수 있으며, 모든 버튼이 케이스와 동일한 질감으로 형성되어 버튼과 버튼 간의 구분이 모호할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constituting the
또한 버튼 패드(13)와 전면 케이스(1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개인휴대단말기의 버튼부(15)의 변형이 쉽지가 않다. 따라서 개인휴대단말기 디자인의 변형에 대한 한계가 생겨 다양한 디자인을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대한 요구에 뒷받침하지 못한다. In addition, since th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n object to provide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buttons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버튼 입력이 용이하다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the button input is easy.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이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modified in a variety of design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버튼이 정의된 패드 영역 상에 버튼 중 일부분에 대응하여 버튼 홀이 형성되고, 버튼 중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여 제1 버튼부가 패드 영역에 형성되며, 제 1 버튼부는 주변의 다른 버튼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전면 케이스에 대응하는 후면 케이스가 제공되고, 패드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는 키입력 센서부 및 키입력 상에 제공되어 버튼 홀을 통해 노출되는 제 2 버튼부를 포함하며, 버튼 홀을 통해 노출되는 제 2 버튼부를 수용하고, 키입력 센서부는 제 1 및 제 2 버튼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 모듈을 구비된 개인휴대단말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hole is formed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a button on a pad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buttons are defined,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rtion of the button. The button portion is formed in the pad region, the first button portion can move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other button portions in the periphery, a rear case corresponding to the front case is provided, and a key input sensor portion and a key located below the pad region. A second button portion provided on the input and exposed through the button hole, the second button portion being exposed through the button hole, wherein the key input sensor portion generates an input signal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utton portions; A personal handheld terminal having a key input module is provided.
전면 케이스에는 복수개의 버튼 자리가 정의된 패드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드 영역에는 케이스와 일체를 이루는 제1 버튼부와 제2 버튼부의 버튼 자리에 대응하는 버튼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버튼 홀은 패드 영역의 전반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튼 홀은 각 버튼 자리에 대응하도록 버튼 별로 형성될 수 있지만, 2개 이상의 버튼 자리에 대응하도록 통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A pad region in which a plurality of button positions are defined may be formed in the front case, and a button hol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ositions of the first button portion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integral with the case may be formed in the pad region. The button hole thus formed may be formed in a portion instead of being formed throughout the pad area. In addition, the button hole may be formed for each button to correspond to each button seat, but may be provided in an integrated form to correspond to two or more button seats.
제1 버튼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면 케이스에 연결될 수가 잇다. 일 예로, 제1 버튼부에서 일면이 전면 케이스에 연결되고 나머지 면은 전면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즉 캔틸레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버튼부의 양단부가 케이스 또는 다른 제1 버튼부가 이어지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제1 버튼부가 케이스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다른 제1 버튼부에 대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The first button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front case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one surface of the first butt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case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provided separated from the front case, that is, in a cantilever shape, and both ends of the first button portion may be provided so as to connect the case or the other first button portion. It may be. In addition, the first button unit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ase and mov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 first button unit.
이렇게 형성된 제1 버튼부는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변형 및 복원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버튼부는 전면 케이스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키패드와 개인휴대단말기 케이스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단일 벽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button unit thus formed may repeat deformation and restor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pressing. In addition, the first button un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case is formed of a single wall that can simultaneously serve as a keypad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se.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버튼부를 포함하는 키입력 모듈이 제공되며, 키입력 모듈이 전면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면서 제2 버튼부가 버튼 홀을 통해 제1 버튼부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2 버튼부는 제1 버튼부와 다른 형상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버튼부와 제 2 버튼부의 구분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케이스와 버튼의 구분이 명확해져 버튼을 입력하기가 쉬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key input module including a second button unit is provided, and the second button unit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utton unit through the button hole while the key input module is mounted under the front case. Since the second butt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or a different material from that of the first button portion, the first button portion and the second button portion may be easily distinguished,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ase and the button may be clear, and thus it is difficult to input the button. Rest
키입력 모듈은 제 2 버튼부 및 제2 버튼부를 지지하는 키입력 센서부를 포함한다. 키입력 센서부는 제1 버튼부 또는 제2 버튼부의 누름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센서방식 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센서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입력 센서부는 제2 버튼부가 부착되는 탄성 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 시트는 제1 버튼부 및 제2 버튼부를 함께 지지할 수가 있다. 특히 탄성 시트의 저면에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러버 시트가 제공할 수 있으며, 러버 시트는 버튼부의 누름을 돔 스위치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The key input module includes a second button part and a key input sensor part supporting the second button part. The key input sensor unit may receive a press of the first button unit or the second button unit, and may use a conventional sensor method or a sensor method that may replace the same. For example, the key input sensor unit may include an elastic sheet to which the second button unit is attached, and the elastic sheet may support the first button unit and the second button unit together. In particular, a rubber sheet including a pressing protrusion on the bottom of the elastic sheet may be provided, and the rubber sheet may effectively transmit the pressing of the button portion to the dome switch.
본 명세서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휴대용 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 센서부는 돔 스위치 및 전극으로 구성된 구조 외에도 적용되는 기술 수준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키입력 센서부가 선택될 수 있으며, 단말기에 맞게 변경될 수가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ersonal portable device (Personal Portable Device)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smart phone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module, It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wired or wireless LAN card, and may be used as a concept of collectively a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computing power by mounting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have.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dome switch and the electrode, the key input sensor unit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applied technology level, the key input sensor unit of various structures, it can be changed to suit the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 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100)는 전면 케이스(110), 후면 케이스(130) 및 키입력 모듈(128)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personal
여기서 전면 케이스(110)는 복수개의 버튼이 정의된 패드 영역(113)을 포함하며, 여기서 패드 영역(113)에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이 정의된다. 이러한 전면 케이스(110)에는 제 1 버튼부(117)가 제공되는데, 제 1 버튼부(117)는 전면 케이스(110)의 모든 버튼에 대하여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에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후술하는 키입력 모듈(128)의 제 2 버튼부(119)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제 1 버튼부(117)는 예를 들어, 캔틸레버 형상으로 형성되어, 주변의 다른 버튼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캔틸레버의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버튼부(117)는 캔틸레버 형상이 아닌 다른 유동 가능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버튼부(117)는 전면 케이스(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전면 케이스(110)는 키패드와 휴대폰의 케이스 역할을 동시에 할 수가 있으며, 단일벽으로 형성된다.The
이때, 버튼 홀(115)은 패드 영역(113)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버튼 홀(115)에는 제 2 버튼부(119)가 수용된다. In this case, the
이렇게 버튼 홀(115)에 수용되는 제 2 버튼부(119)는 탄성 시트(121) 상에 돌출되어 제공되고 탄성 시트(121)의 저면에는 키입력 센서부가 제공된다. 여기서 키입력 센서부는 후술하는 누름 돌출부와 돔 스위치(125)로 구성된다. The
이렇게 전면 케이스(110)와 패드 영역(113)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버튼부(117)와 제 2 버튼부(119)의 차이로 인하여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버튼 입력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버튼부(119)는 질감 이외에도 형태, 색 등의 차이가 생겨 다양한 디자인을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Thu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buttons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n be made clea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도 3은 도 2의 개인휴대단말기를 Ⅰ-Ⅰ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2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I-I.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버튼부(117)가 제공된 전면 케이스(110)의 중앙에는 제 2 버튼부(119)에는 제공되며, 제 1 버튼부(117) 저면에 위치하는 탄성 시트(121) 상에 제 2버튼부(119)가 접착되어 있다. 접착된 제 2 버튼부(119)와 제 1 버튼부(117)가 결합하여 개인휴대단말기의 버튼부를 제공한다. 여기서 탄성 시트(121)는 제 2 버튼부(119)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3, an
이렇게 형성된 탄성 시트(121)의 저면에는 제 1 및 제 2 버튼부(117, 119)에 대응하도록 누름 돌출부(124)가 형성되어 있는 러버 시트(123)가 제공된다. 이때, 누름 돌출부(124)는 통상적으로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누름 돌출부(124) 저면에는 돔 스위치(125)가 제공되는 돔 스위치 패드(127)가 형성된다. 돔 스위치 패드(127)의 하부에는 돔 스위치(125)와 대응되도록 원형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CB)이 제공된다. 여기서 누름 돌출부(124)는 상기 제1 및 제 2 버튼부(117, 119)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눌러질 때에 누름 돌출부(124)가 돔 스위치(125)를 누르게 되고 돔 스위치(125)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하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의 원형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bottom of the
이러한 제 1 버튼부(117)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124)가 형성되어 있는 러버 시트(123)가 제공된다. 누름 돌출부(124)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124)와 대응되는 돔 스위치(125)가 제공된다. 이러한 돔 스위치(125)의 하부에는 돔 스위치(125)와 대응되도록 인쇄회로기판(PCB)의 원형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bottom of the
변형예1Modification Example 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변형예이다.4 is a first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버튼 홀(115a)의 일부분이 케이스 일부로 확장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서는 버튼 홀(115a)이 개인휴대단말기의 길이 방향에 따라 확장되어, 확장된 버튼 홀(115a)에 제 2 버튼부(119a)가 수용된다. Referring to FIG. 4, a part of the
이때 제 2 버튼부(119a)는 커버 피스(126)를 포함하게 된다. 확장된 버튼 홀(115a)이 케이스의 일부이기 때문에 제 2 버튼부(115a)가 제공되지 않는 영역이 커버 피스(126)가 수용하게 된다. 이때 커버 피스(126)는 제 2 버튼부(119a)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 피스(126)는 제 2 버튼부(119a)와 동일한 형상이 아닌 케이스의 일면을 형성해주는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서는 전면 케이스(110a)와 패드 영역(113a)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1 버튼부(117a)와 제 2 버튼부(119a)의 차이로 인하여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버튼 입력이 용이해지는 효과는 동일하고, 더불어 개인휴대단말기의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In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변형예2Modification Example 2
이하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변형예이다.5 is a second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를 참조하면, 버튼 홀(115b)은 패드 영역(113b)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버튼 홀(115b)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제 1 버튼부(117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버튼부(117b)는 상부 제 1 버튼부(117b)와 하부 제 1 버튼부(119b)로 나뉘어져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여기서 상부 제 1 버튼부(117b)와 하부 제 1 버튼부(119b)는 동일한 효과의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하부 제 1 버튼부(117b, 119b)는 일면이 전면 케이스(100b)에 연결되고 나머지 면은 전면 케이스(100b)로부터 분리된, 캔틸레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하부 제 1버튼부(117b, 118)의 양단부가 케이스 또는 다른 상/하부 제 1 버튼부(117b, 118)가 이어지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부 제 1 버튼부(118)는 상부 제 1 버튼부(117b)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의 일부분에 결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제 1 버튼부(118)는 전면 케이스(110b)의 일부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서는 하부 제 1 버튼부(118)가 개인휴대단말기의 길이방향에 따라 확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upper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는 상, 하부로 나뉘어 제 1 버튼부를 형성하여 다른 형상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버튼부 간의 버튼의 구분이 명확해져 버튼을 입력하기가 쉬어진다. In the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button part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formed in a different shape or a different material, the distinction between the button and the first button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becomes clear. It is easy to type.
상/하부 제 1 버튼부(117b. 118)가 형성된 패드 영역(113b)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 홀(115b)에는 본 발명와 동일하게 제 2 버튼부(119b)가 수용된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서는 다른 형상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된 상/하부 제 1 버튼부(117b, 118) 간의 차이와 상/하부 제 1 버튼부(117b, 118)와 제 2 버튼부(119b)의 차이로 인하여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버튼 입력이 용이해지는 효과는 동일하고, 더불어 개인휴대단말기의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Similarly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변형예3
이하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변형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버튼 홀(115c)은 패드 영역(113c)에 제 1 버튼부(117c)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홀(115c)은 제 1 버튼부(117c)와 바둑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6 is a third modified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button holes 115c are alternately formed with the
여기서 제 1 버튼부(117c)는 실시예의 제 1 버튼부(117c)와 동일한 효과의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버튼부(117c)는 일면이 전면 케이스(110c)에 연결되고 나머지 면은 전면 케이스(110c)로부터 분리된, 캔틸레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 1 버튼부(117c)의 양단부가 케이스 또는 다른 제 1 버튼부(117c)가 이어지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버튼부(117c)는 버튼 홀(115c)과 교대로 형성되어 버튼부의 일부를 제공한다. Her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버튼부(117c)와 교대로 형성되는 제 2 버튼부(119c)는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 홀(115c)에 수용되어 개인휴대단말기의 버튼부를 제공한다. 제공된 제 1 버튼부(117c)와 제 2 버튼부(119c)는 다른 형상 또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각 버튼부 간의 차이로 인하여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버튼입력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개인휴대단말기의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에 의하면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버튼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provid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clearly distinguish between buttons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더불어 본 발명은 버튼 입력이 용이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provid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th easy button input.
또한 본 발명은, 버튼부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변형이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을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forms of the button portion is effective in provid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modified for a variety of desig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2492A KR100888817B1 (en) | 2007-01-09 | 2007-01-09 | Personal portab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2492A KR100888817B1 (en) | 2007-01-09 | 2007-01-09 | Personal portabl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5397A true KR20080065397A (en) | 2008-07-14 |
KR100888817B1 KR100888817B1 (en) | 2009-03-17 |
Family
ID=3981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2492A KR100888817B1 (en) | 2007-01-09 | 2007-01-09 | Personal portabl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881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08026A2 (en) * | 2009-07-14 | 2011-01-20 | 주식회사 블루버드소프트 | Mobile terminal |
US9100098B2 (en) | 2009-07-14 | 2015-08-04 | Bluebird Soft Co., Ltd. | Mobile terminal |
WO2017155127A1 (en) * | 2016-03-07 | 2017-09-14 | 주식회사 블루버드 | Mobile terminal having security keypa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547077A4 (en) | 2010-03-11 | 2013-11-13 | Song Hak Ji |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three signals via one input key, and text input method using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8112B1 (en) * | 2004-02-12 | 2005-12-22 | (주)지엔씨 | Button plat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a plastic sheet |
-
2007
- 2007-01-09 KR KR1020070002492A patent/KR10088881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08026A2 (en) * | 2009-07-14 | 2011-01-20 | 주식회사 블루버드소프트 | Mobile terminal |
WO2011008026A3 (en) * | 2009-07-14 | 2011-04-28 | 주식회사 블루버드소프트 | Mobile terminal |
US9100098B2 (en) | 2009-07-14 | 2015-08-04 | Bluebird Soft Co., Ltd. | Mobile terminal |
WO2017155127A1 (en) * | 2016-03-07 | 2017-09-14 | 주식회사 블루버드 | Mobile terminal having security keypa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88817B1 (en) | 2009-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227902B (en) | Switch integrated type housing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 |
US7176894B2 (en) | Double-sided keyboard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 |
KR100996646B1 (en) |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 |
KR100230716B1 (en) | Keypad configuration | |
US7915556B2 (en) | Input panel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KR100768269B1 (en) | Uppercase unified with button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uppercase | |
EP1028445A2 (en) | Support structure for a keypad | |
US20100051434A1 (en) | Keypa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KR100888817B1 (en) | Personal portable device | |
JP2002008606A (en) | Cell pack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WO2008044764A1 (en) | Operation key structure | |
WO2008082090A1 (en) | Button input device using e-paper | |
KR200415225Y1 (en) | Key pad assembly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0364952Y1 (en) | Key-pad assembly for cellular phone | |
KR20070041094A (en) | Button structure for direction finding | |
US20070074965A1 (en) | Electronic device | |
KR100867607B1 (en) | Capacitive Input Device | |
KR100779066B1 (en) | Mathod of manufactering of keypad and keypad | |
KR20080099930A (en) | Key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KR100968856B1 (en) | Key input apparatus | |
KR100843263B1 (en) | Apparatus for inputting key | |
KR20060010096A (en) | Key-pad assembly for cellular phone | |
KR100972340B1 (en) | Structure for keypad using the button | |
KR100567557B1 (en) | 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 |
KR20070068048A (en) |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entering number of personal portab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