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269B1 - Uppercase unified with button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uppercase - Google Patents

Uppercase unified with button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upper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269B1
KR100768269B1 KR1020050014270A KR20050014270A KR100768269B1 KR 100768269 B1 KR100768269 B1 KR 100768269B1 KR 1020050014270 A KR1020050014270 A KR 1020050014270A KR 20050014270 A KR20050014270 A KR 20050014270A KR 100768269 B1 KR100768269 B1 KR 10076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ntilever
pad body
cantilever butt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43042A (en
Inventor
박철
조영도
Original Assignee
(주)지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씨 filed Critical (주)지엔씨
Publication of KR2006004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0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Abstract

제조가 용이하고 두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캔틸레버 버튼부와 일체형으로 사출되는 전면 케이스 및 개인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개인휴대단말기의 전면 케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홀이 형성되며, 버튼 홀에서 일면이 연결되고 나머지 면이 패드 본체로부터 분리된 다수개의 캔틸레버 버튼부가 제공되고, 전면 케이스의 버튼 홀에 장착되는 캔틸레버 버튼부는 각각에 대응하는 누름 센서를 포함하는 키입력 센서부를 포함한다. 캔틸레버 버튼부와 일체형으로 사출되는 전면 케이스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캔틸레버 버튼부의 제조는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공정의 횟수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품의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키며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키 입력부와 비교해서 훨씬 얇은 버튼부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림화를 가져 올 수 있다.Disclosed are a front case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hich are integrally injected with a cantilever button part,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ickness. At least one button hole is formed in the front cas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 plurality of cantilever button portion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utton hole and separated from the pad body are provided, and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mounted to the button hole of the front case is provided. And a key input sensor unit including a push sensor corresponding to each. The manufacturing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using the front case which is integrally injected with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is easy to manufacture, and can reduce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by reducing the defect rate of the product and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uch thinner button por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key input portion can bring a slimmer portable personal terminal.

캔틸레버 버튼부, 개인휴대단말기Cantilever button unit, personal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버튼이 일체화된 개인휴대단말기의 전면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UPPERCASE UNIFIED WITH BUTTON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UPPERCASE}UPPERCASE UNIFIED WITH BUTTON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UPPERCASE}

도 1 은 종래의 휴대폰에서 키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key input unit 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도 2 는 종래의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key input unit.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패드 본체의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of the pad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른 패드 본체의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another pad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 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또다른 단면도이다.16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또다른 단면도이다.17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또다른 단면도이다.18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22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2:전면 케이스 212: Front case

214:후면 케이스 222:버튼 홀214: Rear case 222: Button hole

224:캔틸레버 버튼부 227:패드 본체224: Cantilever button part 227: The pad body

230:누름 센서부 232:돔 스위치230: Push sensor part 232: Dome switch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제조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일체형 전면 케이스 및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input unit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front case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facilitate manufacturing and assembly and can be reduced in thickness.

휴대폰 등의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키 입력부의 버튼을 이용한다. 휴대폰과 관련된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키 입력부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 외에도, 키 입력부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을 위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게임 기능이나 각종 기능을 구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향은 비단 휴대폰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전자기기 등 일반적인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적용될 수가 있다.In a personal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key input unit uses a button to input a number. As a technology related to a mobile phone is developed, in addition to inputting a phone number to a key input unit, a character for delivering a message may be input using a key input unit, and a game function or various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This trend can be applied not only to mobile phones but also to general personal mobile devices such as other electronic devices.

도 1 에 종래의 휴대폰에서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key input unit 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폰(1)에서 키 입력부는 버튼(12)이 형성된 키 패드(10), 돔 스위치(22)가 형성된 접착 시트(20), 및 원형의 전극(32)이 형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1, a key input unit includes a keypad 10 having a button 12 formed thereon, an adhesive sheet 20 having a dome switch 22 formed therein, and a circular electrode 32 formed therein. It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substrate 30.

키 패드(10)는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키 패드(10)의 상면에는 휴대폰의 버튼(12)이 사출 성형 등을 통해 키 패드(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키 패드(10)에서 버튼(12)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된 버튼(12)은 휴대폰의 상부 케이스(2)에 형성된 홀(4)를 통해서 각각 노출될 수가 있다.The keypad 10 is made of rubber, silicone, or synthetic resin, and the button 12 of the mobile phon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keypad 10 through injection mol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eypad 10. In the keypad 10, the buttons 12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protruding buttons 12 may be exposed through the holes 4 formed in the upper case 2 of the mobile phone.

키 패드(10)의 하부에는 돔 스위치(22)를 포함하는 접착 시트(20)가 제공된다. 돔 스위치(22)는 금속을 재질로 형성되며, 돔(dome) 형태의 스위치로서 누르면 평평하게 눌러지면서 전극(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하여 전극(32)을 다시 분리시킬 수 있다. 돔 스위치(22)는 접착 시트(3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시킬 수가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keypad 10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sheet 20 including a dome switch 22. The dome switch 22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when pressed as a dome (dome) type of switch, the electrode 3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being pressed flat.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moved, the dome switch 22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gain. Can be removed again. The dome switch 22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adhesive sheet 30. However, since the dome switch 22 is generally formed of another material, the dome switch 22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PCB 기판(30)은 원형의 전극(32)를 포함하며, 전극(32)은 버튼(12) 및 돔 스위치(22)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전극(32)은 동심원의 원형 구조를 가지며, 돔 스위치(2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PCB substrate 30 includes a circular electrode 32, which is located at the bottom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utton 12 and the dome switch 22. Specifically, the electrode 32 has a concentric circular structure and has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dome switch 2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 패드(10)는 상부 케이스(2)의 하부에 위치하며, 버튼(12)은 상부 케이스(2)의 홀(4)을 통해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키 입렵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부 케이스(2) 및 키 패드(10)를 겹쳐서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키 입력부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밖에 없다. As described above, the keypad 10 is located under the upper case 2, and the button 12 is disposed to be exposed or protru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4 of the upper case 2. In order to form the key fitting portion, the upper case 2 and the key pad 10 must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e thickness of the key input portion is inevitably thickened.

또한, 상부 케이스(2)에 홀(4)을 형성하여야 하며, 각 홀(4)에 대응하도록 버튼(12)을 위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조립을 통한 제작이 복잡하며 키 입력부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도 많다.In addition, a hole 4 must be formed in the upper case 2, and the button 12 must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hole 4. Therefore, fabrication through assembly is complicated and product defects often occur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key input unit.

도 2는 종래의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key input unit.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의 버튼(12)이 키 패드(10)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키 패드(10)의 저면에는 간격 지지부(16) 및 누름 돌출부(14)가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a button 12 of a mobile phone is formed on a keypad 10, and a gap support 16 and a pressing protrusion 14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keypad 10 to face downward. have.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12)을 누르면, 누름 돌출부(14)가 돔 스위치(22)를 누르게 되고, 돔 스위치(22)가 변형되면서 돔 스위치(22) 하부에 위치한 전극(32)을 연결할 수가 있다. 전극(32)이 연결됨에 따라 버튼(12)의 누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극(32)에서 발생된 신호는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위해 내부 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버튼(12)의 면적이 누름 돌출부(14)의 면적보다 훨씬 크므로, 버튼(12)을 누르는 힘이 모아져서 누름 돌출부(14)에 전해질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돔 스위치(22)를 용이하게 누를 수가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2, the push protrusion 14 presses the dome switch 22, and the dome switch 22 is deformed to connect the electrode 32 positioned below the dome switch 22. As the electrode 32 is connecte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button 12 is pressed, and a signal generated from the electrode 32 may be transmitted to an internal circuit for input of numbers or letters. Since the area of the button 12 is much larger than the area of the pressing protrusion 14, the force for pressing the button 12 can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pressing protrusion 14, and the dome switch 22 can be easily operated with a small force. Can be press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캔틸레버 버튼부와 전면 케이스를 일체로 제작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공정의 횟수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제품의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키며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the cantilever button unit and the front case integrally, easy to manufacture, can reduce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incidence of product defects and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키 입력부 보다 얇은 버튼부를 제조하여 제조키 입력부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hand-held terminal which minimizes the thickness of the manufacturing key input unit by manufacturing a button portion thinner than the conventional key input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디자인 및 색채의 표현이 용이하여 제품으로서도 우수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전면 케이스 및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ont case and a personal portable device that can easily express various designs and colors, thereby providing excellent quality as a produc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버튼 홀이 형성되어 있는 패드 본체 및 상기 버튼 홀에 장착되는 캔틸레버 버튼부를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를 포함하며, 전면 케이스의 저면에는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키입력 센서부가 제공된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case including a pad body in which a button hole is formed and a cantilever button unit mounted to the button hole, and a number on the bottom of the front case. Alternatively, a key input sensor unit for detecting a text input is provided.

전면 케이스에는 캔틸레버 버튼부가 일체로 형성된 패드 본체가 제공된다. 버튼부는 일면이 연결되고 나머지 면이 분리된 캔틸레버(cantilever)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변형 및 복원을 반복할 수가 있다. The front case is provided with a pad body in which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The button portion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in which one surface is connected and the other surface is separated, and the button portion can repeat deformation and restoration in response to a user's pressing.

종래의 키 입력부는 고무 재질의 키 패드 및 키 패드 상에 돌출 형성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홀이 제공된 휴대폰 케이스에 의해 커버됨으로써 일정두께이상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림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The conventional key input unit includes a rubber key pad and a button protruding from the keypad, and the buttons are requir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more by being covered by a mobile phone case provided with a hole. Therefore, it becomes a factor that hinders the slimming of personal mobile terminals.

하지만, 본 발명의 캔틸레버 버튼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전면 케이스는 키 입력부와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가 있으며, 단일 벽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키 입력부에 비해서 얇게 제작될 수가 있다. 따라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단말기의 두께를 현저하게 줄일 수가 있다.However, the integrated front case including the cantilever butt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serve as a key input unit and a conventional mobile phone case, and can be made thinner than a conventional key input unit because it is formed as a single wall. Therefore,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and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패드 본체로부터 일면이 연결되는 캔틸레버 버튼부의 저면에 누름 센서부의 돔 스위치와 대응하는 누름 돌출부가 제공되어, 캔틸레버 버튼부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눌러질 때 상기 누름 돌출부가 돔 스위치를 누르게 되고 돔 스위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하부에 위치하는 PCB 기판의 원형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dome switch of the pressing sensor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to which one surface is connected from the pad body, so that the pressing protrusion is a dome whe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is pressed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The switch is press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lar electrode of the PCB substrate located at the bottom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ome switch.

상기의 누름 돌출부는 전면 케이스의 캔틸레버 버튼부의 저면에 제공될 수도 있으나 상기 패드 본체의 저면에 제공되는 러버 패드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러버 패드는 캔틸레버 버튼부의 탄성력을 보완하고, 인쇄 등을 통하여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가 있으며, 외부로부터 캔틸레버 버튼부와 패드 본체와의 이격된 부분, 즉 버튼홀을 통과하여 돌출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s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antilever button of the front case, but may be included in the rubber pad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ad body. The rubber pad complements the elastic force of the cantilever button part and implements various colors through printing, etc., and protrudes through the button hole spaced apart from the cantilever button part and the pad body from the outside, that is, foreign matter enters through the button hol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키감을 좋게 하고 버튼부의 영구변형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캔틸레버 버튼부와 돔 스위치를 맞닿게 제조하거나 패드 본체의 일면에 연결되는 캔틸레버 버튼부의 연결부에 캔틸레버 버튼부에 탄성조절을 위한 탄성조절 홈이나 탄성조절 굴곡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feel and prevent the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button portio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and the dome switch are manufactur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d body.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elastic adjustment groove or elastic adjustment bend for adjustmen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는 사출 공정에 의해 개인휴대단말기의 전면 케이스와 일체화되어 제작되며 상기 전면 케이스는 후면케이스와 결합되어 본체 케이스를 형성한다.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 케이스는 통상적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자 부품을 둘러 싸고 있는 외장부를 말하며, 통상적으로 ABS 수지나 PC 수지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ntilever button part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front cas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by an injection process, and the front case is combined with the rear case to form a body case. The main body cas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ypically refers to an outer portion surround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usual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ABS resin or PC resin.

또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 케이스는 캔틸레버 버튼부가 장착되는 전면 케이스와 배터리가 장착되는 후면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부분 등과 같이 여러 부분으로 제작되는데,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 케이스 중 어느 위치에 장착되더라도 캔틸레버 버튼부를 통하여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입력 센서부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cas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manufactured in several parts, such as the front case to which the cantilever button unit is mounted, the rear case to which the battery is mounted, and the part to which the display unit is mounted, and the cantilever is mounted at any position of the main cas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Key input sensor unit for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by inputting letters and numbers through the button unit.

통상적으로는 키버튼 일체형 본체 케이스가 제작되는 본체 케이스의 특정 부 분은 종래의 방식에서 키패드가 실장되는 부분인 전면 케이스에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버튼 기능 및 케이스 기능이 동시에 가능한 플라스틱 외장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ypically, a specific part of the main body case in which the key button-integrated main body case is manufactured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the front case in which the keypad is mounted in the conventional manner, and the plastic outer part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button function and the case function. desirable.

또한, 플라스틱 외장부를 코팅시키는 경우에도 이러한 케이스의 기능은 보존된다.In addition, the function of such a case is preserved even when the plastic exterior is coated.

본 명세서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 센서부는 돔 스위치 및 전극으로 구성된 구조 외에도 적용되는 기술 수준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키입력 센서부가 선택될 수 있으며, 단말기에 맞게 변경될 수가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ersonal portable device (Personal Portable Device) refers to a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nd the lik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a wired / wireless LAN card, etc., and a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computing power by mounting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Can be used as a generic concept.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dome switch and the electrode, the key input sensor unit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applied technology level, the key input sensor unit of various structures, it can be changed to suit the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실시예 1Example 1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200)은 전면 케이스(212), 후면 케이스(214), 및 키입력 센서부(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200 includes a front case 212, a rear case 214, and a key input sensor unit 230.

단말기 본체는 일반적인 단말기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내외 부품 및 회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폰의 경우 단말기 본체는 단말기 케이스, 키 입력부, 디스플레이 모듈, 무선 송수신 모듈, 배터리, 마이크 및 리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의 단말기 본체(210)는 바(bar)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는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스윙형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스타일로 형성될 수가 있다. The terminal body may include a case including internal terminal functions, internal and external components, and a circuit configur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the terminal body may include a terminal case, a key input unit, a display module,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 battery, a microphone and a receiver. In addition, although the terminal body 210 of FIG. 3 has a bar sha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dy is formed in various types of styles such as a flip type, a folding type, a slide type, a swing type, and the like. Can be.

단말기 본체는 전면 케이스(212) 및 후면 케이스(214)를 포함하며, 전면 케이스(212)의 전면에는 캔틸레버 버튼부(224)가 형성된 패드 본체(227)가 일체로 제공된다.The terminal body includes a front case 212 and a rear case 214, and a pad body 227 having a cantilever button part 224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ront case 212.

패드 본체(227)의 안쪽으로는 키입력 센서부(230)가 제공된다. 패드 본체(227)는 전면 케이스(212)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전면 케이스(212)와 일체형으로 사출되어 단일벽을 형성하는 키 입력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키 입력부와 함께 개인휴대단말기의 벽면을 제공할 수가 있다.The key input sensor unit 230 is provided inside the pad body 227. The pad body 227 may form a front part of the front case 212 and may provide a key input unit which is integrally injected with the front case 212 to form a single wall, and together with the key input unit, provide a wall surface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You can do it.

전면 케이스(212)는 버튼 홀(222)을 포함하는 패드 본체(227) 및 캔틸레버 버튼부(224)를 포함한다. 패드 본체(227)는 플라스틱 단일층으로 케이스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개인휴대단말기의 벽면은 얇은 두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조립을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으며, 성형 및 조립이 간단하여 제조에 필요한 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가 있다.The front case 212 includes a pad body 227 including a button hole 222 and a cantilever button part 224. Since the pad body 227 acts as a case with a single plastic layer, the wall surface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can maintain a thin thickness and can easily complete the assembly.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버튼부의 누름 돌출부를 설 명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pressing projection of the cantilever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를 참조하면, 패드 본체에 장착된 캔틸레버 버튼부(324)는 저면에 누름 돌출부(331)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324 mounted to the pad body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331 on a bottom surface thereof.

전면 케이스의 패드 본체로부터 일면이 연결되는 캔틸레버 버튼부(324)의 저면에 제공되는 누름 센서부의 돔 스위치(332)와 대응하는 누름 돌출부(331)는 캔틸레버 버튼부(324)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눌러질 때에 상기 누름 돌출부(331)가 돔 스위치(332)를 누르게 되고 돔 스위치(332)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하부에 위치하는 PCB 기판의 원형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push protrusion 331 corresponding to the dome switch 332 of the push sensor uni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unit 324 to which one surface is connected from the pad body of the front case is provided by the cantilever button unit 324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When pressed downwards, the pressing protrusion 331 presses the dome switch 332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ircular electrode of a PCB substrate positioned below the corresponding dome switch 332.

상기의 누름 돌출부(331)는 캔틸레버 버튼부(324)의 저면에 제공될 수도 있으나 패드 본체의 저면에 제공되는 러버 패드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The pressing protrusion 331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antilever button part 324 but may be included in the rubber pad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pad body.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패드 본체의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a pad bod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른 패드 본체의 평면도이다. 6 is a plan view of another pad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424a, 424b)는 패드 본체(427a, 427b)와 일면이 연결되고 나머지 타측은 패드 본체(427a, 427b)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424a, 424b)와 패드 본체427a, 427b)의 연결부에 의해서 각 캔틸레버 버튼부(424a, 424b)가 외력을 받으면 연결부가 변형되어 캔틸레버 버튼부(424a, 424b)가 아래로 눌러지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캔틸레버 버튼부(424a, 424b)는 본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5 and 6, the cantilever button units 424a and 424b are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pad bodies 427a and 427b,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pad bodies 427a and 427b. Whe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s 424a and 424b are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by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s 424a and 424b and the pad bodies 427a and 427b, the connecting portions are deformed and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s 424a and 424b are pressed dow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cantilever button units 424a and 424b may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본 발명에서는 패드 본체(427a, 427b)의 전면에 캔틸레버 버튼부(424a, 424b)를 정의하는 버튼 홀(422a, 422b)을 형성하고, 각 캔틸레버 버튼부(424a, 424b)의 일면은 패드 본체(427a, 427b)에 연결되고, 나머지 면은 버튼 홀(422a, 422b)에 의해서 패드 본체(427a, 427b)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를 일명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라고 하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holes 422a, 422b defining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s 424a, 424b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pad bodies 427a, 427b, and one surface of each cantilever button portion 424a, 424b has a pad body ( 427a, 427b, and the oth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pad body 427a, 427b by the button holes 422a, 422b. Such a structure is called a cantilever structure,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개인휴대단말기의 패드 본체(427a, 427b)에 연결되는 일면에 의해서 캔틸레버 버튼부(424a, 424b)는 탄성력 및 복원력을 가지며, 개인휴대단말기의 소재로 이용된 플라스틱의 재질과 캔틸레버 버튼부(424a, 424b)와 패드 본체(427a, 427b)와 연결되는 일면 즉, 연결부의 두께, 형상 및 폭 등에 따라 캔틸레버 버튼부(424a, 424b)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게 된다.The cantilever button portions 424a and 424b have elasticity and resilience by one surface connected to the pad bodies 427a and 427b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he plastic material and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424a, which are used as material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s 424a and 424b may have a constant elastic force according to one surface that is connected to the 424b and the pad bodies 427a and 427b, that is, the thickness, shape, and width of the connecting portion.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 에서는 캔틸레버 버튼부(424a)와 패드 본체(427a)와의 연결부에 탄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모양의 탄성조절 홀(425a)을 형성하였다.5 and 6, in FIG. 5, a line-shaped elastic adjustment hole 425a is formed in order to adjust elasticity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antilever button part 424a and the pad body 427a.

도 6 에서는 캔틸레버 버튼부(424b)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ㄷ” 형상의 탄성조절 홀(425b)을 제공하였다. 상기 탄성조절 홀(425b)의 형상은 선이나 “ㄷ”형상외에도 패드 본체(427a)와 캔틸레버 버튼부(424b)의 연결면이 각이 없도록 둥글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켄틸레버 버튼부(424b)가 패드 본체(427b)와의 연결부에 의해서 그 탄성력을 유지하여 캔틸레버 버튼부(424b)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제공될 수가 있다. In Figure 6, in order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424b is provided with an elastic control hole (425b) of the "c" shape. The shape of the elastic adjustment hole 425b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pad body 427a and the cantilever button part 424b is rounded in addition to the line or the "c" shape. Therefore,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424b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range that can maintain the elastic force by the connecting portion with the pad body 427b to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424b.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사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imilar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도 7 은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524a)와 패드 본체(527a)의 연결부에는 라인 형상의 탄성조절 홈(526a)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라인형상의 탄성조절 홈(526a)은 캔틸레버 버튼부(524a)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아래위로 유동할 때 패드 본체(527a)에 장착되는 캔틸레버 버튼부(524a)의 유동 경계라인이 되어 패드 본체(527a)가 캔틸레버 버튼부(524a)와 전체적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7 and 8, in FIG. 7, a line-shaped elastic adjustment groove 526a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antilever button part 524a and the pad body 527a. The line-shaped elastic adjustment groove 526a becomes a flow boundary lin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a mounted to the pad body 527a whe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a flows up and down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527a may serve to prevent flow of the cantilever button unit 524a as a whole.

또한, 캔틸레버 버튼부(524a)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아래위로 유동할 때에 캔틸레버 버튼부(524a)와 패드 본체(527a)와의 연결부가 과도한 변형으로 영구변형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524a)의 누름 돌출부(531a)와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524a)에 대응하는 누름 센서부의 돔 스위치(532a)가 맞닿도록 설치되어있다.In addition, whe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a flows up and down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a and the pad body 527a from being permanently deformed due to excessive deformation. The push protrusion 531a of 524a and the dome switch 532a of the push senso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a are provided to abut.

또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패드 본체(527a)에 형성된 캔틸레버 버튼부(524a)가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 되었을 시에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써 캔틸레버 버튼부(524a)의 패드 본체(527a)와 연결면과 마주보는 면이 패드 본체(527a) 보다 위에 놓이도록 형성되고 있다.In additio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a as the other means for preventing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a formed on the pad body 527a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from being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by the user. The surface of the pad body 527a facing the connecting surface of the pad body 527a is formed above the pad body 527a.

도 8 은 캔틸레버 버튼부(524b)가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 되었을 시에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써 캔틸레버 버튼부(524b)의 패드 본체(527b)와 연결면과 마주보는 면이 패드 본체(527b)와 평행하게 놓이되 캔틸레버 버튼부(524b)에 대응하는 누름 센서부의 돔 스 위치(532b)가 맞닿도록 설치되어있으며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7 의 작동 원리와 같다.Fig. 8 is a connection surface with the pad body 527b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b as another means for preventing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b from being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by the user is removed. The operating surface of FIG. 7 except that the surface facing the pad body 527b is placed in parallel with the pad body 527b and the dome switch 532b corresponding to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b is in contact with the pad body 527b. Same as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사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imilar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면, 도 9 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524c)와 패드 본체(527c)와 연결되는 일면에 굴곡부를 제공하여 탄성조절 굴곡면(526c)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탄성조절 굴곡면(526c)은 캔틸레버 버튼부(524c)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아래위로 유동할 때 패드 본체(527c)에 장착되는 캔틸레버 버튼부(524c)의 유동 경계 굴곡면이 되어 패드 본체(527c)가 전체적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9 and 10, FIG. 9 provides a bent portion on one surface connected to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c and the pad body 527c to provide an elastic adjustment curved surface 526c. The elastic adjustment curved surface 526c becomes a flow boundary curved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c mounted on the pad body 527c whe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c flows up and down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527c) may serve to prevent flow as a whole.

또한, 캔틸레버 버튼부(524c)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아래위로 유동할 때에 캔틸레버 버튼부(524c)와 패드 본체(527c)와의 연결부가 과도한 변형으로 영구변형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524c)의 누름 돌출부(531c)와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524c)에 대응하는 누름 센서부의 돔 스위치(532c)가 맞닿도록 설치되며 캔틸레버 버튼부(524c)와 패드 본체(527c) 사이의 연결부에 탄성조절 굴곡면(526c)이 형성되어있어 그 유동 경계가 되어 패드 본체(527c)가 전체적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c flows up and down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c and the pad body 527c from being permanently deformed due to excessive deformation. The push protrusion 531c of the 524c and the dome switch 532c corresponding to the push sensor part corresponding to the cantilever button part 524c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cantilever button part 524c and the pad body 527c is elastic. The adjustment curved surface 526c is formed and serves as a flow boundary so that the pad body 527c does not flow as a whole.

또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패드 본체(527c)에 형성된 캔틸레버 버튼부(524c)가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 되었을 시에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지 못하 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써 캔틸레버 버튼부(524c)의 패드 본체(527c)와 연결면과 마주보는 면이 패드 본체(527c) 보다 위에 놓이도록 형성되고 있다.In additio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c formed on the pad body 527c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is another means for preventing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c from being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by the user. The surface facing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pad body 527c of 524c is formed to be above the pad body 527c.

도 10 은 캔틸레버 버튼부(524d)가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 되었을 시에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오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써 캔틸레버 버튼부(524d)의 패드 본체(527d)와 연결면과 마주보는 면이 패드 본체(527d)와 평행하게 놓이되 캔틸레버 버튼부(524d)에 대응하는 누름 센서부의 돔 스위치(532d)가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9 의 작동 원리와 같다.Fig. 10 is a connection surface with the pad body 527d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d as another means for preventing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d from being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by the user is removed. The surface facing the pad body 527d is parallel to the operation principle of FIG. 9 except that the dome switch 532d of the push senso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524d is installed to abut. .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패드 본체의 버튼 홀에 장착된 캔틸레버 버튼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mounted in the button hole of the pad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캔틸레버 버튼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shape of another cantilever butt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 를 참조하면, 도 11 에서는 패드 본체의 버튼 홀에 장착된 캔틸레버 버튼부(624a)와 돔 스위치(632a)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 본체에 형성되는 캔틸레버 버튼부(624a)는 사출 공정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버튼 홀에서 연결되는 캔틸레버 버튼부(624a)의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타면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주변에 인접한 패드 본체(627a) 또는 다른 캔틸레버 버튼부(624a) 간의 이격된 상단의 간격이 하단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따라서 외부에서 개인 휴대단말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1 and 12, the cantilever button part 624a and the dome switch 632a mounted in the button hole of the pad body are included in FIG. 11. The cantilever button part 624a formed in the pad body is manufactured integrally by an injection process.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urface except for one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624a connected to the button hol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pad body 627a adjacent to the periphery of the other cantilever button portion 624a is spaced at a lower end thereof. It is formed to be narrower,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from the outside.

도 12 는 패드 본체의 버튼 홀에 장착된 캔틸레버 버튼부(624b)와 돔 스위치(632b)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 본체에 장착되는 캔틸레버 버튼부(624b)는 사출 공정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버튼 홀에 연결되는 캔틸레버 버튼부(624b)의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타면의 측면이 단으로 형성되어, 주변에 인접한 패드 본체(627b) 또는 다른 캔틸레버 버튼부의 일부를 커버함으로써 외부에서 개인 휴대단말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2 includes a cantilever button portion 624b and a dome switch 632b mounted in the button hole of the pad body.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624b mounted on the pad body is manufactured integrally by an injection process.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urface except for one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624b connected to the button hole is formed in a stage, and covers a portion of the pad body 627b or another cantilever button portion adjacent to the periphery to the inside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Foreign material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다시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도 11 및 도 12 에서 캔틸레버 버튼부(624a, 624b) 간의 이격된 상단의 간격이 하단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개인휴대단말기 전면을 위에서 바라본 경우에 캔틸레버 버튼부(624a, 624b)와 패드 본체와의 이격 간격이 최소화되고 따라서 외부에서 개인 휴대단말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2 again, in FIGS. 11 and 12, the space between the cantilever button units 624a and 624b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cantilever button unit when the front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viewed from above. 624a, 624b) and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pad body is minimiz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from the outside.

실시예 2Example 2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700)는 전면 케이스(712), 후면 케이스(714), 러버 패드(750) 및 키입력 센서부(7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3,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7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ront case 712, a rear case 714, a rubber pad 750, and a key input sensor unit 730.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전면 케이스(712), 후면 케이스(714), 및 키입력 센서부(730)는 제 1 실시예의 전면 케이스(212), 후면 케이스(214), 및 키입력 센서부(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서 전면 케이스(712), 후면 케이스(714), 및 키입력 센서부(730)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단말기 본체(210) 및 키입력 센서부(230)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ront case 712, the rear case 714, and the key input sensor unit 730 are the front case 212, the rear case 214, and the key input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nsor unit 230. Therefore, the descriptions of the front case 712, the rear case 714, and the key input sensor 730 in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210 and the key input sensor 230 in the first embodiment. And drawings, and repeated content may be omitted.

다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캔틸레버 버튼부(724)의 탄성력을 보완하고 돌출부가 형성되어 캔틸레버 버튼부(724)와 패드 본체(727)와의 이격된 틈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또한 캔틸레버 버튼부(727)를 보호할 수 있는 러버 패드(750)가 더 제공된다.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cantilever button part 724 is complemented, and a protruding part is formed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by the gap between the cantilever button part 724 and the pad body 727. In addition, a rubber pad 750 may be provided to protect the cantilever button part 727.

러버 패드는(750)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또는 PE(PolyEthylene) 또는 PET 또는 아크릴 필름 등과 같은 유기 고분자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거나 고무 재질의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러버 패드(750)는 약 0.5 mm~ 1mm의 두께로 가지며,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The rubber pad 750 may be formed of a plastic film of an organic polymer type such as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or PE (PolyEthylene) or PET or acrylic film, or may be formed using a rubber film. The rubber pad 750 has a thickness of about 0.5 mm to 1 mm and may be formed through plastic injection.

러버 패드(750)는 패드 본체(727)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캔틸레버 버튼부(724)는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 지지될 수 있지만, 패드 본체(727)의 저면에 형성된 러버 패드(750)때문에 플라스틱 고유의 탄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러버 패드(750)에 형성된 돌출부가 일부 캔틸레버 버튼부(724)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캔틸레버 버튼부(724)의 상면을 덮음으로써 캔틸레버 버튼부(724) 중 일부가 상부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캔틸레버 버튼부(724)와 패드 본체(727)와의 이격된 틈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The rubber pad 750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pad main body 727. Therefore,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724 may be supported by its own elastic force, but due to the rubber pad 7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d body 727, the inherent elasticity of the plastic may be used, and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rubber pad 750 may be used. Can prevent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724 from being excessively deformed. More specifically, by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724, it is possible to prevent som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724 from bending upward.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cantilever button part 724 and the pad body 727 may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도 14 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러버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rubber p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4 를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는 캔틸레버 버튼부(724a)와 러버 패드(750a)를 포함하고 있다. 캔틸레버 버튼부(724a)는 누름센서의 돔 스위치(732a)를 누를 수 있는 누름 돌출부(731a)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저면에 놓이는 러버 패드(750a)는 상기 누름 돌출부(731a)가 통과하기 위한 누름 돌출부 홀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캔틸레버 버튼부(724a)를 누르면, 누름 돌출부(731a)가 러버 패드(750a)에 형성된 누름 돌출부 홀을 통과하여 돔 스위치(732a)를 누르게 되고, 돔 스위치(732a)가 변형되면서 돔 스위치(732a) 하부에 위치한 누름 센서의 접점부에 연결할 수가 있다. 접점부에 연결됨에 따라 캔틸레버 버튼부(724a)의 누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접점부에서 발생된 신호는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위해 내부 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includes a cantilever button unit 724a and a rubber pad 750a.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724a includes a push protrusion 731a for pressing the dome switch 732a of the push sensor, and the rubber pad 750a placed on the bottom thereof is a push protrusion for the push protrusion 731a to pass through. It contains a hall.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724a, the pressing protrusion 731a passes through the pressing protrusion hole formed in the rubber pad 750a and presses the dome switch 732a, and the dome switch 732a is deformed and the dome switch 732a can be connected to the contact of the push sensor located below. As it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724a is pressed, and a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act por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internal circuit for inputting a number or a letter.

도 15 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러버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rubber p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5 를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는 캔틸레버 버튼부(724b)와 러버 패드(750b)를 포함하고 있다. 다만, 도 14 에서 와는 다르게 캔틸레버 버튼부(724b)의 저면에 놓이는 러버 패드(750b)가 누름 돌출부(731b)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역할과 작동원리는 도 14 에서 설명된 것과 같다.Referring to FIG. 15,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includes a cantilever button unit 724b and a rubber pad 750b. 14, except that the rubber pad 750b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724b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731b, the role and operation principle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

도 16 은 러버 패드에 형성된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rubber pad.

도 16 을 참조하면, 패드 본체(827a)와 캔틸레버 버튼부(824a)사이에 형성된 이격부, 돌출부(870a)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850a)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6, a rubber pad 850a including a spaced portion and a protrusion 870a formed between the pad body 827a and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24a is illustrated.

패드 본체(810a)의 저면에 형성된 러버 패드(850a)는 캔틸레버 버튼부(824a)의 탄성을 보완할 수 있으며 러버 패드(850a)에 형성된 돌출부(870a)가 외력에 의해 일부 캔틸레버 버튼부(824a)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캔틸레버 버튼부(824a)와 패드 본체(827a)와의 이격된 틈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The rubber pad 850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d body 810a may compensate for the elasticity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24a, and the protrusion 870a formed on the rubber pad 850a may partially support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24a by an external force. Excessive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cantilever button part 824a and the pad body 827a may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 from the outside.

도 17 은 러버 패드에 형성된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rubber pad.

도 17 을 참조하면, 러버 패드(850b)는 상기 패드 본체(827b)를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827b)의 외형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870b)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870b)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824b) 주변의 이격된 부분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캔틸레버 버튼부(824b)의 상면을 커버함으로써 캔틸레버 버튼부(824b) 중 일부가 위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캔틸레버 버튼부(824b)와 패드 본체(827b)와의 이격된 틈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rubber pad 850b is formed with a protrusion 870b protruding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cantilever button part 827b from a surface facing the pad body 827b, and the protrusion 870b is A portion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24b may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upward by partially exposing through the spaced portion around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24b to cover the top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24b. 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24b and the pad body 827b may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 from the outside.

도 18 은 러버 패드(850c)에 형성된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rubber pad 850c.

도 18 을 참조하면, 러버 패드(850c)는 캔틸레버 버튼부(850c)의 외형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870c)가 형성되고, 돌출부(870c)는 캔틸레버 버튼부(850c) 주변의 이격된 부분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다만, 도 17 의 돌출부(870b)와는 다르게 캔틸레버 버튼부(850c) 혹은 패드 본체(827c)상의 단이나 경사면에 러버 패드(850c)의 돌출부(870c)가 형성되어 돌출부(870c)와 패드 본체(827c)의 상면이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rubber pad 850c is formed with a protrusion 870c protruding along the outlin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50c, and the protrusion 870c is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y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50c. Partially exposed. However, unlike the protruding portion 870b of FIG. 17, the protruding portion 870c of the rubber pad 850c is formed at an end or an inclined surface o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50c or the pad main body 827c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870c and the pad main body 827c. ) The upper surface of)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또한, 캔틸레버 버튼부(824c)의 상면을 덮음으로써 캔틸레버 버튼부(824c) 중 일부가 상부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며, 캔틸레버 버튼부(824c)와 패드 본체(827c)와의 이격된 틈으로 들어올 수 있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24c to prevent a portion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24c to be bent upwards, foreign matter that can enter into the gap betwee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824c and the pad body 827c. Can prevent the inflow of

실시예 3Example 3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를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900)는 전면 케이스(912), 후면 케이스(914), 및 이격된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 시트(970) 및 키입력 센서부(930)가 도시되어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9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front cover 912, a rear case 914, and a cover sheet 970 and a key input sensor unit 930 that cover spaced apart portions. ) Is shown.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전면 케이스(912), 후면 케이스(914), 및 키입력 센서부(930)는 제 1 실시예의 전면 케이스(212), 후면 케이스(214), 및 키입력 센서부(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서 전면 케이스(912), 후면 케이스(914), 및 키입력 센서부(930)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전면 케이스(212), 후면 케이스(214), 및 키입력 센서부(230)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In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front case 912, the rear case 914, and the key input sensor unit 930 are the front case 212, the rear case 214, and the key input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nsor unit 230. Therefore, descriptions of the front case 912, the rear case 914, and the key input sensor unit 930 in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ront case 212, the rear case 214, and the key input of the first embodiment.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sensor unit 230 and the drawings, and the repeated content may be omitted.

다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와는 다르게 커버 시트 (9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 시트(970)는 캔틸레버 버튼부(924)를 보호하고 캔틸레버 버튼부(924)와 패드 본체(927)와의 이격된 틈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cover sheet 970 may be included, and the cover sheet 970 protects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924 and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924 and the pad. A gap between the main body 927 and the main body 927 may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단면도이다.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및 도 20 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900)의 패드 본체(927)와 커버 시트(97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드 본체(927)는 커버 시트(970)를 고정시키기 위해 윗면으로부터 만입된 고정 홈(928)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홈(928)과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924)의 이격된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 시트(970)가 제공된다. 또한 커버 시트(970)는 캔틸레버 버튼부(924)를 밖으로 돌출시키기 위해서 돌출 홀(972)을 포함하고 있다.19 and 20, a portion of the pad body 927 and the cover sheet 970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900 are shown. The pad body 927 forms a fixing groove 928 indented from an upper surface to fix the cover sheet 970, and covers a spaced portion of the fixing groove 928 and the cantilever button part 924. Sheet 970 is provided. The cover sheet 970 also includes a protruding hole 972 to protrude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924 outward.

실시예 4Example 4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이며, 도 22 는 코팅막이 형성된 패드 본체의 단면도이다.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d body having a coating film formed thereon.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1000)는 전면 케이스(1012), 후면 케이스(1014), 패드 본체 위에 코팅막(1028) 및 키입력 센서부(1030)가 도시되어 있다.21 and 22,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front case 1012, a rear case 1014, a coating film 1028 and a key input sensor unit 1030 on the pad body. Is shown.

제 4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전면 케이스(1012), 후면 케이스(1014), 패드 본체(1100), 및 키입력 센서부(1030)는 제 2 실시예의 전면 케이스(712), 후면 케이스(714), 러버 패드(750) 및 키입력 센서부(7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 4 실시예에서 전면 케이스(1012), 후면 케이스(1014), 및 키입력 센서부(1030)에 대한 설명은 제 2 실시예의 전면 케이스(712), 후면 케이스(714), 러버 패드(750) 및 키입력 센서부(730)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front case 1012, the rear case 1014, the pad body 1100, and the key input sensor unit 1030 are the front case 712 and the rear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714, the rubber pad 750, and the key input sensor unit 730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refore, descriptions of the front case 1012, the rear case 1014, and the key input sensor unit 1030 in the fourth embodiment are described in the front case 712, the rear case 714, and the rubber pad 750 of the second embodiment. ) And the description of the key input sensor unit 730 and the drawings, and repeated content may be omitted.

다만,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는 개인휴대단말기(1000)의 전면 케이스(1012)에 스프레이 코팅막(1028)이 형성되어 다양한 색상, 문자 및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However,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 coating film 1028 is formed on the front case 1012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1000 to express various colors, letters and numbers.

삭제delete

도 22 를 참조하면, 스프레이 코팅막(1028)은 고급스러우며 그 표면처리가 매끄러워 코팅 품질에 있어서는 우수하지만, 한 제품에 한 색깔로 스프레이 코팅을 할 수밖에 없어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22, the spray coating film 1028 is luxurious and its surface treatment is smooth, so it is excellent in coating quality. However, the spray coating film 1028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colors because it can only spray coating one color to one produc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러버 패드(1050)의 저면에 다색 인쇄를 하고, 패드 본체(1100)의 상면에는 스프레이 코팅하여 스프레이 코팅막(1028)을 형성 할 수 있다. 스프레이 코팅막(1028)이 형성된 상태에서 숫자나 문자 부분 또는 기타 데코레이션(Decoration)이 필요한 부분을 레이저로 벗겨내는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rubber pad 1050 may be multicolored printed, and the top surface of the pad body 1100 may be spray coated to form a spray coating film 1028. In the state in which the spray coating film 1028 is formed, a process of peeling off the numbers or letters or other portions requiring decoration by laser may be applied.

다시 도 22 를 참조하면, PC, PET, 및 우레탄 등으로 형성되는 러버 패드(1050)의 하부에 소정의 디자인에 따른 인쇄를 하여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으며, 대략 이들 색의 분포는 캔틸레버 버튼부(1024)에서 표현되는 색채로 사용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22 again, various colors may be expressed by print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sign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ubber pad 1050 formed of PC, PET, urethane, etc., and the distribution of these colors may be about the cantilever button unit ( 1024) can be used as the color represented.

인쇄가 된 러버 패드(1050)의 상면에 존재하는 캔틸레버 버튼부(1024)가 장착된 패드 본체의 상면에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하여 스프레이 코팅막(1028)을 형성한다. 여기서 스프레이 코팅막은 단일 색채를 이용할 수 있으며, 패드 본체의 상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spray coating film 1028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main body on which the cantilever button part 1024 exis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ubber pad 1050 which is printed is mounted using spray coating. Here, the spray coating film may use a single color, and may be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pad body.

스프레이 코팅막(1028)을 형성한 후,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특정한 숫자나 문자가 있어야 할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숫자 또는 문자가 표현된 스프레이 코팅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레이저 마킹으로 숫자나 문자를 새기는 방법은 기존의 키 패드를 제작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마킹 방법 자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After forming the spray coating film 1028, it is possible to remove a portion having a certain number or letters using a laser or the like. This process provides a spray coating pattern in which numbers or letters are represented. The method of engraving numbers or letters by laser marking is a method commonly used when manufacturing an existing keypad, and the marking method itself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캔틸레버 버튼부 일체형 전면 케이스를 제공하여 키 입력부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의 패드 본체의 저면에 러버 패드를 제공함으로써 두께가 얇아져 경도가 약해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ront case integrated with a cantilever button unit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key input unit, and solve the problem that the thickness becomes thin by providing a rubber pad on the bottom of the pad body made of plastic. Can be.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별도의 키패드를 실장하지 않고 케이스 본체에 일체형으로 캔틸레버 버튼부를 형성하여 개인휴대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개인휴대단말기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cantilever button un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body without mounting a separate keypa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efficiently utiliz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사출 공정에 의해 무선통신 단말기 본체에 버튼을 함께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공정에 의한 키패드 제작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button can be manufactured together in the main bod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by a single injection process can reduce the cost compared to the production of the keypad by a separate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unit cos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product It is effective.

또한, 사출 성형이 아닌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하여 다양한 디자인 및 색채를 표현이 용이하게 되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express various designs and colors using spray coating rather than injection mold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24)

적어도 하나의 버튼 홀이 형성된 패드 본체, 상기 버튼 홀에서 일면이 상기 패드 본체에 연결되고 나머지 면이 상기 패드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캔틸레버 버튼부를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A front case including a pad body having at least one button hole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cantilever button portions of which one surface is connected to the pad body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utton hole is separated from the pad body to be pressed; 상기 전면 케이스에 대응하는 후면 케이스; 및A rear case corresponding to the front case; And 상기 패드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누름 센서를 포함하는 키입력 센서부; 를 구비하는 개인휴대단말기.A key input sensor unit positioned below the pad body and including a push sens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cantilever button unit; A personal mobile terminal hav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저면에 누름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 본체에 연결되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일면에 탄성조절 홀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adjustment hol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connected to the pad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 본체에 연결되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일면에 탄성조절 홈이 라인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adjustment groove is provided in a line shape on one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connected to the pad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 본체에 연결되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일면에 제공되는 탄성조절 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가 외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패드 본체에서 위로 휘어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adjustment groov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connected to the pad body is provided to be bent upward from the pad body when the button portion does not have an external for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홀에서 연결되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일면에 제공되는 탄성조절 홈이 형성되고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가 외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패드 본체에서 평행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And an elastic adjustment groov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art connected to the button hole, and the cantilever button part is provided in parallel in the pad body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홀에 연결되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일면에 굴곡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connected to the button 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홀에 연결되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일면이 곡면형상의 굴곡부로 제공되어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가 외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패드 본체에서 위로 휘어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One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connected to the button hole is provided as a curved portion bent so that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is bent upward from the pad body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홀에 연결되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일면에 제공되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가 외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패드 본체와 평행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And a bent par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art connected to the button hole, and wherein the button part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pad body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홀에 연결되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타면의 측면이 단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주변에 인접한 패드 본체 또는 다른 캔틸레버 버튼부 간의 이격된 상단의 간격이 하단의 간격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단말기.A side surface of the other surface except for one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connected to the button hole is formed to be short or inclined, so that an interval between the pad body adjacent to the periphery or another cantilever button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Personal handse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홀에 연결되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타측이 상기 패드 본체의 위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패드 본체와의 이격 간격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other side except for one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unit connected to the button hole is formed to protrude above the pad body, to cover the separation interval with the pad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패드 본체의 하부에는 러버 패드가 제공되며, 상기 러버 패드는 상기 누름 돌출부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bottom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ressing projection, a lower portion of the pad body is provided with a rubber pad, the rubber pad comprises a hole formed in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rojection.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 본체의 하부에는 러버 패드가 제공되며, 상기 러버 패드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에 대응하여 저면에 형성된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A rubber pad is provided below the pad body, and the rubber pad includes a push protrus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 본체의 하부에는 러버 패드가 제공되며, 상기 러버 패드는 상기 패드 본체를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외형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 주변의 이격된 부분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A rubber pad is provided below the pad body, and the rubber pad include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along an outer shape of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from a surface facing the pad body, and the protrusion is spaced apart around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Personal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artially exposed through.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돌출부가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 상부면을 일부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protruding portion partially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unit.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돌출부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를 향해 돌출된 커버면을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는 상기 커버면을 수용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만입된 커버면 홈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면 이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면의 상면과 상기 버튼부의 상면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protruding portion includes a cover surface protruding toward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and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includes a cover surface groove partially indented to receive the cover surface, and the cover surface is accommodated in the cantilever button portion and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unit coincid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누름센서는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돔 스위치 및 상기 돔 스위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push sensor may include a dome switch located below the button unit and a contact unit located below the dome switc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 본체의 상면에 커버 시트가 제공되며, 상기 커버 시트는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돌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A cover sheet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d body, and the cover sheet includes a protruding hole for passing the cantilever button part.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패드 본체는 상기 커버 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 시트의 외곽을 따라 형성된 고정 홈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시트는 상기 고정 홈과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이격된 부분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pad body includes a fixing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sheet to fix the cover sheet, wherein the cover sheet covers the spaced apart portion of the fixing groove and the cantilever button unit. . 삭제delete 개인휴대단말기의 전면 케이스에 있어서,In the front case of a personal mobile terminal, 적어도 하나의 버튼 홀이 형성된 패드 본체 및 상기 버튼 홀에서 일면이 상기 패드 본체에 연결되고 나머지 면이 상기 패드 본체로부터 분리된 복수개의 캔틸레버 버튼부를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And a pad body having at least one button hole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cantilever button portions having one surface connected to the pad body and the other surface separated from the pad body in the button hole.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의 저면에 누름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케이스.The front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rojec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tilever button.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패드 본체의 하부에는 러버 패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케이스.The front case, characterized in that a rubber pad is provided below the pad body.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패드 본체의 윗면에 상기 캔틸레버 버튼부를 돌출시키기 위한 돌출 홀을 포함하는 커버 시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케이스.And a cover sheet including a protruding hole for protruding the cantilever button part on an upper surface of the pad body.
KR1020050014270A 2004-03-11 2005-02-21 Uppercase unified with button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uppercase KR10076826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686 2004-03-11
KR20040016686 2004-03-11
KR20040020539 2004-03-25
KR1020040020539 2004-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042A KR20060043042A (en) 2006-05-15
KR100768269B1 true KR100768269B1 (en) 2007-10-18

Family

ID=3714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270A KR100768269B1 (en) 2004-03-11 2005-02-21 Uppercase unified with button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upper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2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887A1 (en) * 2010-03-11 2011-09-15 Ji Song Hak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three signals via one input key, and text input method u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611B1 (en) * 2006-03-13 2007-11-09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Metal front-cover for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61087B1 (en) * 2006-04-19 2007-09-28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grated metal front-cover for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12304B1 (en) * 2006-04-19 2007-04-27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grated metal front-cover for communication apparatus
WO2007145424A1 (en) * 2006-06-14 2007-12-21 Mogem Co., Ltd. One body type keypad comprising window and wireless telephone having the same
KR100837589B1 (en) * 2006-06-14 2008-06-12 주식회사 모젬 One Body Type Keypad Comprising Window And Wireless Telephone Having The Same
KR101245584B1 (en) * 2006-07-14 201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 uni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348714B1 (en) * 2006-10-24 2014-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KR100834633B1 (en) 2006-11-0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Keypad coupling structure for mobile phone
KR100737762B1 (en) * 2006-11-20 2007-07-13 주식회사 모젬 One body type keypad comprising window and wireless telephone having the same
KR200454034Y1 (en) * 2009-07-31 2011-06-13 안권웅 Bar type cell phone transparent case with incoming call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079A (en) * 2004-02-12 2005-12-15 (주)지엔씨 Key pad for cellular phone made by plastic she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079A (en) * 2004-02-12 2005-12-15 (주)지엔씨 Key pad for cellular phone made by plastic she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887A1 (en) * 2010-03-11 2011-09-15 Ji Song Hak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three signals via one input key, and text input method using same
CN103109520A (en) * 2010-03-11 2013-05-15 池松鹤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three signals via one input key, and text input method using same
US9459702B2 (en) 2010-03-11 2016-10-04 Song Hak JI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three signals via one input key, and text input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042A (en)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269B1 (en) Uppercase unified with button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uppercase
US9450631B2 (en) Case for a hand held device
EP1507273B1 (en) Keypad assembly
US8063325B2 (en) Keypad assembly
US7345250B2 (en) Keyboard with key support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s devices
KR100888817B1 (en) Personal portable device
US20070275751A1 (en) Faceplate having keys for mobile phone
US7228111B2 (en) Keypad structure
KR100538112B1 (en) Button plat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a plastic sheet
KR200326795Y1 (en) A key-input part for mobile phone
KR200415225Y1 (en) Key pad assembly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100228301B1 (en) Structure of button in portable terminal
KR100584241B1 (en) Keypad for cellular 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844441B1 (en)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KR20080099930A (en) Key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647981B1 (en) structure for key pad rubber to fabricate of handphone
KR200364952Y1 (en) Key-pad assembly for cellular phone
KR100799315B1 (en) Keypad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404433Y1 (en) A thin film keypad for a portable phone
KR100964208B1 (en) Integrated key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eypad
KR100459772B1 (en) Key button assembly
KR200370005Y1 (en) a side key-pad for emitting light
KR100596302B1 (en) Key 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86736Y1 (en) Number button of telephone and hand-phone for computer user
KR20070094387A (en) Key-pad film for key-input apparatus, button plate assembly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ering the key-pad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