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951A -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real time pollution cleanup device control using systems and control methods - Google Patents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real time pollution cleanup device control using systems and control meth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951A
KR20180079951A KR1020170000735A KR20170000735A KR20180079951A KR 20180079951 A KR20180079951 A KR 20180079951A KR 1020170000735 A KR1020170000735 A KR 1020170000735A KR 20170000735 A KR20170000735 A KR 20170000735A KR 20180079951 A KR20180079951 A KR 20180079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terminal unit
unit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상윤
박준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호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호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호엔텍
Priority to KR1020170000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9951A/en
Publication of KR2018007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9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6Wireless systems for monitoring the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minant purification control system using real-time Internet-of-things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The contaminant purification control system is capable of effectively monitoring 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a terminal unit (smart device, PC, laptop) of a manager by providing an algorithm capable of monitoring a facility load amount and a facility performance in real time without adding a separate instrument by using data collected in a monitoring item of a local control panel (LCP) and an instrument applied to an existing control method. The contaminant purification control system comprises: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for purifying contaminants included in air or water to prevent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 control unit controlling communications control unit using Internet-of-things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aminant purification device; a terminal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s control unit in a wireless or wired manner, and displays a state of the control unit and a sensing value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and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s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s network which connects the communications control unit and the terminal unit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s. In the terminal unit, a state of a contamination prevention facility and a state of the control unit, which are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contamination purification device, are received and displayed through the communications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unit is controlled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unit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s control unit.

Description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real time pollution cleanup device control using systems and control method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for a pollutant purifier using a real-time object Internet,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PLC(Programmable Logical Controller)를 이용한 중앙집중식 설비제어 방식을 Low-cost USB형 I/O Device와 사물인터넷(Iot) 단말기를 이용하여 설비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부(스마트기기) 또는 서버에서 감시 또는 제어를 구현하는 기술이며, 기존 제어방식에 적용된 계기류 및 LCP(Local Control Panel)의 감시항목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별도 계기를 추가하지 않고 설비부하량 및 기기성능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알고리즘(algorism)을 부여하여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부(스마트기기) 또는 서버에서 효과적으로 다수의 설비를 감시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real-time object Internet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d a centralized facility control method using a conventional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is called a low-cost USB type I / (Smart device) or server in a facility manager using an Iot terminal and data collected from monitoring items of instrument and LCP (Local Control Panel) applied to the existing control method. (Algorism) that can monitor the equipment load and device performance in real time without adding any additional instrument so that it can effectively monitor and control many facilities in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unit (smart device) or server Control System for Pollutant Purification Using Internet and Real Time Object Control Method It relates.

일반적으로, 물품을 제조하거나 가공할 때 또는 재료를 연소시켜 배출하는 과정에서 먼지 또는 이물질이 발생되는데 이를 흡입장치를 통해 흡입하여 공기와 함께 배출한다.Generally, dust or foreign matter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processing an article, or in a process of burning and discharging a material, which is sucked through a suction device and discharged together with air.

이러한 배기가스는 배출되는 환경에 따라 먼지 또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배출되는데 이러한 먼지 또는 이물질이 포함된 배기가스를 공기중에 그대로 방출하면 공기가 오염되므로, 먼지 또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기가스 내에 잔존하지 않도록 하는 집진장치 또는 흡착장치를 배관 상에 설치하게 된다.Such exhaust gas contains dust or foreign matter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scharged. When the exhaust gas containing such dust or foreign matter is released into the air as it is, the air is contaminated. Therefore, the dust or foreign matter is filtered out so as not to remain in the exhaust gas The dust collecting device or the adsorp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piping.

이러한 집진 또는 흡착장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필터 또는 흡착제에 먼지 또는 이물질이 적체되므로 효율이 감소하게 되어 정상적인 필터링 또는 흡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such a dust collecting or adsorbing apparatus, since dust or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on the filter or the adsorbent over time, the efficiency is decreased and normal filtering or adsorption is not performed, which is difficult to confirm.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선행특허는 원격 제어를 위한 굴뚝 원격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굴뚝에 설치되고, 굴뚝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측정하여 측정된 값 신호와 자신의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측정기기; 및 하나 이상의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측정값 및 상태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측정기기를 모니터링하고, 하나 이상의 측정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ior patent discloses a chimney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remote control, which is installed in a chimney, measures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gas discharged from the chimney, One or more measurement devices for outputting the measurement results; And a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signals for measured values and states measured at the at least one measuring device, monitoring one or more measuring devices, and outpu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measuring device.

그러나, 선행특허는 배기가스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 또는 흡수하는 공기 정화장치 및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거나 배기가스 내의 오염물질을 물로 흡수하여 배출시키는 배출장치의 효율 또는 부하율을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시간으로 정보를 확인하여 공기 정화장치 또는 배출장치를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measure the efficiency or the load factor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for filtering or absorbing the dust or foreign matter of the exhaust gas and the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the exhaust gas or absorbing and discharging the pollutant in the exhaust gas by water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purification device or the exhaust device can not be controlled by checking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 공보 제10-1199928호(2012년11월05일)Previous Pat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99928 (Nov. 05, 2012)

본 발명은 기존 제어방식에 적용된 계기류 및 LCP(Local Control Panel)의 감시항목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별도 계기를 추가하지 않고 설비부하량 및 기기성능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알고리즘(algorism)을 부여하여 관리자의 단말부(스마트기기, PC, 랩탑)에서 효과적으로 다수의 설비를 감시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monitoring items of the instrument and the LCP (Local Control Panel) applied to the existing control method to give an algorithm (algorism) capable of monitoring the equipment load and the performance of the apparatus in real time without adding a separate instrumen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system for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real-time object Internet and 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hich enables a plurality of facilities to be effectively monitored or controlled in a manager terminal unit (smart device, PC, or laptop).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은,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또는 물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설치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와,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연결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을 이용한 제어부 제어용 통신제어부; 상기 통신제어부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제어부를 통해 전송되는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감지값 및 제어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말부 및 상기 통신제어부와 단말부 간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망을 포함하여, 상기 단말부에서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오염물질 방지시설의 상태 및 제어부의 상태를 통신제어부를 통해 전송받아 표시하며, 단말부의 제어신호를 통신제어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송하여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controlling a pollutant purifier using a real-time object Internet, the system comprising: a sensor installed in a pollutant purifier for purifying pollutants contained in air or water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 communic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using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connected to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A terminal uni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through a wire or wireless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and the terminal unit for displaying a sensing value sensed by a sensing senso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and a state of the control unit, The state of the pollutant prevention facility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at the terminal unit and the state of the control unit are transmitted and display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control unit.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제어부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제어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단말부로 전송하고, 단말부에서 전송되는 실시간 제어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receives a detection signal of a sensing sensor that senses the stat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in real time using the real-time object Internet, receives the state of the control unit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in real time, And transmits a real-tim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pollutant purifier.

상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는 스크러버, 집진기, 흡착기 또는 수질정화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센서가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설치되어 감지되는 감지값을 통신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lutant purifier includes a scrubber, a dust collector, an adsorbent, or a water purifier. The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in the pollutant purifier and transmits a sensed value to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상기 단말부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통신제어부를 통해 전송되는 감지센서의 감지값 및 제어부의 상태 신호를 통해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체 및 상기 단말부에 제어값을 입력하는 입력체가 구비되며, 상기 단말부는 서버, PC, 태블릿, 랩탑, PDA 또는 휴대전화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uni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stat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through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ing sensor and the status signal of the control unit, which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And the terminal un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server, a PC, a tablet, a laptop, a PDA or a cellular phone.

상기 단말부는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전단과 후단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의 감지값을 통해 실시간으로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감시하고, 제어신호를 통신제어부에 전송하여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unit monitors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in real time through the detection values of the detection sensors install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to control the control uni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은,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설치되는 감지센서를 통해 작동중인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상태를 감지한 감지신호 및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제어부 상태를 통신제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단말부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으로 단말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통해 전송되는 감지센서의 감지값과 제어부의 제어 상태값을 단말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통해 단말부에 표시되는 감지센서의 감지값과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정화능력에 따라 단말부에 최소 및 최대로 설정되는 각 경고 단계의 설정값을 비교하여 각 단계의 최소 또는 최대 설정값 이하 또는 이상일 경우 단말부를 통해 경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부를 통해 경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통해 표시되는 경보 값의 경보 단계에 따라 경보를 해제하거나 단말부의 제어신호를 통신제어부로 전송하여 제어부를 통해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작동을 조정 또는 중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작동을 조정 또는 중지시키는 단계를 통해 작동이 중지된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정화성능이 정상이 되도록 정비하고,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using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real-time object Internet, comprising: detecting a state of a pollutant purifier in operation through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pollutant purifier; Transmitting a state of a control unit of a signal and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to a terminal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in real time; Displaying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ing sensor and the control state value of the control unit transmitted through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unit in real time on the terminal unit; Comparing the set value of each warning step set to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to the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and the purification capability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through the step of displaying on the terminal unit, Displaying an alarm through the terminal unit when the differe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or maximum set value; Releasing an alarm according to an alarm step of an alarm value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unit 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a terminal unit to a communication controller to adjust or stop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purifier through the controller; And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purging device so that the purging performance of the pollutant purging device whose operation is stopped through the step of adjusting 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purging device is normalized and operating the pollutant purging device again.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간으로 단말부에 전송하는 단계는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집진필터, 흡착제 또는 흡수층의 압력손실 또는 통풍장치인 송풍기의 부하량을 포함한 각종 구성품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센서가 연결된 통신제어부를 통해 단말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unit in real time, the operation state of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dust filter of th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the pressure loss of the adsorbent or the absorption layer or the load of the blower, To the terminal unit.

상기 단말부를 통해 경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단말부에 설정되는 다수의 경보단계에 따른 최소 값과 최대값 간에 감지센서의 감지값이 위치하면 경보를 표시하지 않고, 각 단계의 최소값 또는 최대값보다 낮거나 높을 경우 그에 해당하는 단계의 경보를 단말부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displaying an alarm through the terminal unit may include displaying an alarm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is located between a minimum value and a maximum value according to a plurality of alarm steps set in the terminal unit, Or if it is high, an alarm of the corresponding stage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상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는 스크러버, 집진기, 흡착기 또는 수질정화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센서가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설치되어 감지되는 감지값을 통신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lutant purifier includes a scrubber, a dust collector, an adsorbent, or a water purifier. The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in the pollutant purifier and transmits a sensed value to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상기 단말부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통신제어부를 통해 전송되는 감지센서의 감지값 및 제어부의 상태 신호를 통해 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체 및 상기 단말부에 제어값을 입력하는 입력체가 구비되며, 상기 단말부는 서버, PC, 태블릿, 랩탑, PDA 또는 휴대전화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uni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stat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through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ing sensor and the status signal of the control unit, which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And the terminal un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server, a PC, a tablet, a laptop, a PDA or a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통해 배기가스의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정화장치 및 배기가스를 배출 또는 물로 배기가스 내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배출하는 배출장치의 효율 또는 부하율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r dust of an exhaust gas through a real-time object Internet and an efficiency or a load factor of a discharging device for discharging exhaust gas or adsorbing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in exhaust gas by wat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간단한 구성이며 저가로 이루어지는 실시간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저가로 신뢰성있는 감시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어 쉽게 공기 정화장치 및 배출장치의 성능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a reliable surveillance system can be provided at a low cost through a real-time object Internet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and low cost, and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and the discharger can be easily confirmed and control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에 따른 단말부에 설정되는 경보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real-time object Inter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using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real-time object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arm step set in a terminal according to a control method using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real-time object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And shall not interpret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로서, 오염물질 정화장치(1)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0), 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 및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제어부(2)상태를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단말부(30)로 실시간 사물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통신제어부(10), 감지센서(40)에서 감지되는 감지값 및 제어부(2)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말부(30) 및 통신제어부(10)와 단말부(30) 간이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등의 통신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통신망(20)을 포함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aminant purifying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real-time object Inter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minant purifying apparatus 1 includes a sensing sensor 40, a sensing sensor 40,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for transmitting a sensing signal and a state of the control unit 2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to the terminal unit 30 via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using a real time object control method, A terminal unit 30 for displaying a sensing value to be sensed and a state of the control unit 2 and a communication network 20 for allow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and the terminal unit 30 through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or wired Internet .

상기 오염물질 정화장치(1)는 스크러버, 집진기, 흡착기 또는 수질정화기 등의 공기 또는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장치를 말한다.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refers to a device for purify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or water such as a scrubber, a dust collector, an adsorbent or a water purifier.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센서(40)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또는 물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오염물질 정화장치(1)에 설치되어 주요 구성품인 집진필터, 흡착제 또는 흡수층의 압력손실 그리고 통풍장치인 송풍기의 부하량을 포함한 각종 구성품의 작동 상태 를 감지하여 통신제어부(10)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etection sensor 40 is installed in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for purify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or water to prevent contamination. The pressure of the particulate filter, the adsorbent, Loss, and load of the blower, and transmits the detected operation state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상기 통신제어부(10)는 감지센서(40)와, 오염물질 정화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부(2)에 연결되어 감지신호 및 제어부(2)의 상태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20)을 통해 단말부(30)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is connected to a sensing unit 40 and a control unit 2 for controlling the pollutant purification unit 1 to transmit a sensing signal and a status signal of the control unit 2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0 To the terminal unit (30).

상기 통신제어부(10)는 실시간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을 이용하는 IOT 단말기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단말부(30)와 실시간으로 통신을 하여 단말부(30)의 제어신호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어신호를 제어부(2)로 전송하거나, 직접 제어부(2)에 연결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작동을 조정 또는 정지시킨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may be an IOT terminal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unit 30 in real time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unit 30 in real time The control unit 2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2 or adjusts the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direct control unit 2 to adjust or stop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purifier 1.

이로 인해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정화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오염물질이 대기 또는 수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us, when the purification performanc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is lowered, the pollutant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or water.

상기 통신망(20)은 통신제어부(10)와 단말부(3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인터넷망, 3G 통신망(20), LTE통신망(20), DMB통신망(20) 또는 위성통신망(2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터넷망으로 이루어진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a 3G communication network 20, an LTE communication network 20, a DMB communication network 20, or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20 that connects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and the terminal unit 30 by wire or wirelessly. And the like, and is preferably composed of the Internet network.

상기 단말부(30)는 감지센서(40)에서 감지되는 감지값 및 제어부(2)의 상태를 통신제어부(10)와 통신망(20)을 통해 전송받아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상태를 표시체에 표시하고, 입력체를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통신제어부(10)를 통해 제어부(2)를 제어하거나, 통신제어부(10)를 제어하여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작동을 조정 또는 정지시키게 된다.The terminal unit 30 receives the sensing value sensed by the sensing sensor 40 and the state of the control unit 2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to display the stat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And controls the control unit 2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or controls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to adjust or stop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by inputting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

상기 단말부(30)는 통신망(20)을 통해 통신 제어부(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단말부(30)는 서버, PC, 태블릿, 랩탑, PDA 또는 휴대전화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The terminal unit 3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20 such that the terminal unit 30 can be connected to a server, a PC, a tablet, a laptop, a PDA, .

상기 단말부(30)와 연결되는 통신제어부(10)는 오염물질 정화장치(1)에 각각 하나씩 연결되며, 단말부(30)는 다수의 통신제어부(10)와 연결되어 다수의 오염물질 정화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30 is connected to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one by one and the terminal unit 3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control units 10, (1) can be controlled.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정화장치(1)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A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using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using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real-time object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전단과 후단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0)를 통해 작동중인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상태를 감지한 감지신호 및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제어부(2) 상태를 통신제어부(10)를 통해 실시간으로 단말부(30)에 전송하는 단계(S10), 실시간으로 단말부(30)에 전송하는 단계(S10)를 통해 전송되는 감지센서(40)의 감지값과 제어부(2)의 제어 상태값을 단말부(30)에 표시하는 단계(S20), 단말부(30)에 표시하는 단계(S20)를 통해 단말부(30)에 표시되는 감지센서(40)의 감지값과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정화능력에 따라 단말부(30)에 최소 및 최대로 설정되는 각 경고 단계의 설정값을 비교하여 각 단계의 최소 또는 최대 설정값 이하 또는 이상일 경우 단말부(30)를 통해 경보를 표시하는 단계(S30), 단말부(30)를 통해 경보를 표시하는 단계(S30)를 통해 표시되는 경보 값의 경보 단계에 따라 경보를 해제하거나 단말부(30)의 제어신호를 통신제어부(10)로 전송하여 제어부(2)를 통해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작동을 조정 또는 중지시키는 단계(S40) 및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작동을 조정 또는 중지시키는 단계(S40)를 통해 작동이 중지된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정화성능이 정상이 되도록 정비하고, 오염물질 정화장치(1)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ensing signal senses the stat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in operation through the sensing sensor 40 install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1 to the terminal unit 30 in real time via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and transmitting the state of the control unit 2 in the real time to the terminal unit 30 in step S10 A step S20 of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f the sensor 40 and the control state value of the control unit 2 on the terminal unit 30 and a step S20 of displaying the terminal unit 30 on the terminal unit 30 The setting values of the warning stages set to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are compared with the detection values of the sensing sensor 40 and the cleaning ability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A step S30 of displaying an alarm through the terminal unit 30 when the set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t value, a step S30 of displaying an alarm through the terminal unit 30 The control unit 2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unit 30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2 The purifying performance of the pollutant purifying device 1 whose operation has been stopped through the step S40 of adjusting or stopping the purifying device 1 and the step S40 of adjusting 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urifying device 1, And a step (S50) of restarting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again.

상기 실시간으로 단말부(30)에 전송하는 단계(S10)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전단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0)를 통해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고,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후단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0)를 통해 오염물질 정화장치(1)에서 오염물질이 정화되어 배출되는 공기 또는 물 내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지하여 통신제어부(10)를 통해 단말부(30)로 전송한다.The step S10 of transmitting the pollutants to the terminal unit 30 in real time is performed by using the detection sensor 40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for purifying pollutants, And the pollutant is purified by the pollutant purifying device 1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40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ollutant purifying device 1, And transmits the detected concentration of the substance to the terminal unit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이때,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2)의 상태신호도 통신제어부(10)를 통해 단말부(30)로 전송된다.At this time, the state signal of the control unit 2,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is also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nit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

상기 실시간으로 단말부(30)에 전송하는 단계(S10)를 톨해 단말부(30)로 전송된 감지값과 상태신호는 단말부(30)에 표시하는 단계(S20)를 통해 단말부(30)의 표시체를 통해 표시되며, 갑지값과 제어부(2)의 상태 신호를 통해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상태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표시한다.The detection value and the status signal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nit 30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nit 30 through the step S20 of transmitting the detection value and the status signal to the terminal unit 30, And displays the stat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simultaneously in real time through the inertia value and the state signal of the control unit 2.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에 따른 단말부에 설정되는 경보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arm step set in a terminal according to a control method using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a real-time object Inter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에 도시된 L', L'', L'''은 각 단계별 최소 경보 설정값을 나타나며, H', H'', H'''은 각 단계별 최대 경보 설정값을 나타낸다.L ', L' ', and L' '' shown in FIG. 3 indicate minimum alarm set values for each step, and H ', H' ', and H' '' represent maximum alarm set values for each step.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부(30)에 표시하는 단계(S20)를 통해 감지값과, 제어 상태 신호값 및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상태가 단말부(30)에 표시될 때 단말부(30)를 통해 경보를 표시하는 단계(S30)를 통해 단말부(30)에서 감지센서(40)의 감지값과 단말부(30)에 설정되는 여러단계로 이루어지는 경보단계의 최소 및 최대 값과 비교하여 각 단계의 최소 및 최대값 범위 내에 감지값이 위치하면 경보를 표시하지 않으며, 각 단계의 최소값 또는 최대값 이하 또는 이상일 경우 해당 범위의 단계에 해당하는 경보를 표시체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3, when the sensing value, the control status signal value, and the stat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are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30 through the step S20 of displaying on the terminal unit 30, The terminal unit 30 displays the alarm through the display unit 30 and detects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alarm step that is set in the terminal unit 30, The alarm is not displayed when the detection value is within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 range of each step, and when the alarm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minimum value or the maximum value of each step, the alarm corresponding to the step of the ran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body .

상기 각 단계별 경보값이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나뉘는 이유는 최소값과 최대값 간의 범위 내에 감지센서(40)의 감지값이 위치하면 해당 단계에 대해 표시하게 되며, 최소 수치와 최대 수치 간의 범위를 벗어나면 그 다음 단계의 경보를 표시하게 된다.The reason why the alarm value for each step is divided into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is that when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ing sensor 40 is positioned within the range between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the alarm value is displayed for the corresponding step. And an alarm of the next step is displayed.

즉, 예를 들어 상기 경보의 각 단계가 주의, 경고, 점검으로 이루어질 경우 주의의 최소값은 경고의 경보값보다 값이 크며, 최대값의 경우 경고보다 경보값이 작다.That is, for example, when each step of the alarm is made by caution, warning, and inspection, the minimum value of the attention is larger than the alarm value of the warning, and in the case of the maximum value, the alarm value is smaller than the warning.

상기 경고의 경우 주의 보다 최소값의 경보값이 작으며, 최대값은 크고, 점검의 경우 최소값이 경고보다 최소값이 작으며, 최대값은 더 크게 설정된다.In the case of the warning, the alarm value of the minimum value is smaller than the warning, the maximum value is larger, and in the case of the inspection, the minimum value is smaller than the warning value and the maximum value is set larger.

이때 상기 단말부(30)의 표시체는 경보를 음향 및 화면으로 표시하여 관리자의 입력으로 경보를 끌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unit 30 may display an alarm as sound and a screen, and may turn off the alarm by the input of the manager.

상기 단말부(30)를 통해 경보를 표시하는 단계(S30)를 통해 표시되는 경보 값의 경보 단계에 따라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작동을 조정 또는 중지시키는 단계(S40)를 통해 단말부(30)의 경보를 해제하거나 단말부(30)의 제어신호를 통신제어부(10)로 전송하여 제어부(2)를 통해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작동을 조정 또는 중지시키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is controlled or stopped according to the alarm level of the alarm value displayed in step S30 through the terminal unit 30, 30 or sends a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unit 30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to adjust or stop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through the control unit 2. [

이때, 상기 단말부(30)에서 표시되는 경보 단계에 따라 통신제어부(10)를 제어하여 제어부(2)에 인가되는 전원을 끄거나 제어부(2)를 제어하여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작동을 원격 조정하여 점검할 수 있으며, 해당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청소, 교체등의 조치가 필요한 경우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is controlled according to an alarm step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30 to turn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control unit 2 or to control the control unit 2 to operate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And the operation can be stopped when cleaning, replacement, or the lik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is required.

상기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작동을 조정 또는 중지시키는 단계(S40)를 통해 작동이 중지된 오염물질 정화장치(1)는 오염물질 정화장치(1)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S50)를 통해 정화성능이 정상이 되도록 정비하고, 오염물질 정화장치(1)를 다시 작동시키게 된다.Th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1 whose operation is stopped through the step S40 of adjusting 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1 is performed through the step S50 of operating th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1 again The purification performance is maintained to be normal, and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is operated again.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통해 배기가스의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정화장치 및 배기가스를 배출 또는 물로 배기가스 내의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배출장치의 효율 또는 부하율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purifying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r dust of an exhaust gas through a real-time object Internet, and real-time checking of efficiency or load ratio of exhaust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exhaust gas or discharging pollutants in exhaust gas by discharging water. So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ntrolled.

또한, 간단한 구성이며 저가로 이루어지는 실시간 사물 인터넷을 통해 저가로 신뢰성있는 감시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어 쉽게 공기 정화장치 및 배출장치의 성능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a reliable surveillance system can be provided at a low cost through a real-time object Internet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and low cost, and the performance of the air purifier and the discharger can be easily confirmed and controlled.

상기와 같은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aminant purifying apparatus control system using the real-time object Internet and th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 : 오염물질 정화장치 2 : 제어부
10 : 통신제어부 20 : 통신망
30 : 단말부 40 : 감지센서
1: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2: control unit
10: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communication network
30: terminal unit 40: detection sensor

Claims (10)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또는 물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오염물질 정화장치(1)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0);
상기 감지센서(40)와, 오염물질 정화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부(2)에 연결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을 이용한 제어부(2) 제어용 통신제어부(10);
상기 통신제어부(1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제어부(10)를 통해 전송되는 감지센서(40)에서 감지되는 감지값 및 제어부(2)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말부(30) 및
상기 통신제어부(10)와 단말부(30) 간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망(20)을 포함하여,
상기 단말부(30)에서 오염물질 정화장치(1)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0)에서 감지되는 오염물질 방지시설의 상태 및 제어부(2)의 상태를 통신제어부(10)를 통해 전송받아 표시하며, 단말부(30)의 제어신호를 통신제어부(10)를 통해 제어부(2)로 전송하여 제어부(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
A detection sensor 40 installed in a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1 for purify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air or water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2 using the detection sensor 40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 for controlling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A terminal unit 30 for displaying a state of the control unit 2 and a sensing value sensed by a sensing sensor 4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wirelessly or by wire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20) connec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and the terminal unit (30)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state of the pollutant prevention facility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40 installed in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at the terminal unit 30 and the state of the control unit 2 are received and display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unit (30) to the control unit (2)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to control the control unit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부(10)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제어부(2)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단말부(30)로 전송하고, 단말부(30)에서 전송되는 실시간 제어신호를 제어부(2)로 전송하여 오염물질 정화장치(1)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sensor 40 that detects the stat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in real time using the real-time object Internet, And transmits the real tim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unit 30 to the control unit 2 to control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Control System of Pollutant Purifier using Real - Time Objects Inter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정화장치(1)는 스크러버, 집진기, 흡착기 또는 수질정화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센서(40)가 오염물질 정화장치(1)에 설치되어 감지되는 감지값을 통신제어부(1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comprises a scrubber, a dust collector, an adsorption unit or a water purifier. The detection sensor 40 is installed in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and transmits a sensed value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Wherein the pollutant purifying device control system uses a real-time object Inter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30)는,
상기 통신망(20)을 통해 통신제어부(10)와 연결되며, 상기 통신제어부(10)를 통해 전송되는 감지센서(40)의 감지값 및 제어부(2)의 상태 신호를 통해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체 및
상기 단말부(30)에 제어값을 입력하는 입력체가 구비되며,
상기 단말부(30)는 서버, PC, 태블릿, 랩탑, PDA 또는 휴대전화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unit (30)
The pollution control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and is connected to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 ≪ / RTI >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value to the terminal unit 30,
Wherein the terminal unit (30) comprises at least one of a server, a PC, a tablet, a laptop, a PDA or a mobile phone.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30)는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전단과 후단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0)의 감지값을 통해 실시간으로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정화성능을 감시하고, 제어신호를 통신제어부(10)에 전송하여 제어부(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terminal unit 30 monitors the purifying performance of th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1 in real time through the sensing values of the sensing sensor 40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1,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to control the control unit (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의 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정화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은,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전단과 후단에 설치되는 감지센서(40)를 통해 작동중인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상태를 감지한 감지신호 및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제어부(2) 상태를 통신제어부(10)를 통해 실시간으로 단말부(30)에 전송하는 단계(S10);
상기 실시간으로 단말부(30)에 전송하는 단계(S10)를 통해 전송되는 감지센서(40)의 감지값과 제어부(2)의 제어 상태값을 단말부(30)에 표시하는 단계(S20);
상기 단말부(30)에 표시하는 단계(S20)를 통해 단말부(30)에 표시되는 감지센서(40)의 감지값과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정화능력에 따라 단말부(30)에 최소 및 최대로 설정되는 각 경고 단계의 설정값을 비교하여 각 단계의 최소 또는 최대 설정값 이하 또는 이상일 경우 단말부(30)를 통해 경보를 표시하는 단계(S30);
상기 단말부(30)를 통해 경보를 표시하는 단계(S30)를 통해 표시되는 경보 값의 경보 단계에 따라 경보를 해제하거나 단말부(30)의 제어신호를 통신제어부(10)로 전송하여 제어부(2)를 통해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작동을 조정 또는 중지시키는 단계(S40) 및
상기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작동을 조정 또는 중지시키는 단계(S40)를 통해 작동이 중지된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정화성능이 정상이 되도록 정비하고, 오염물질 정화장치(1)를 다시 작동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using th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control unit 2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detects a stat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in operation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40 install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S10) transmitting the status to the terminal unit 30 in real time via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S20) of displaying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ing sensor 40 and the control state value of the control unit 2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nit 30 via the terminal unit 30 in real time in the terminal unit 30;
The terminal unit 30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30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40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30 and the purification capability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Comparing the set values of the warning stages set to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and displaying an alarm through the terminal unit 30 when the minimum and maximum set values are equal to or less than the minimum or maximum set value of each stage (S30);
The alarm is released or the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unit 30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0 according to the alarm level of the alarm value displayed in step S30 of displaying the alarm through the terminal unit 30, (S40) of adjusting 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Th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1 whose operation has been stopped through the step of adjusting 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1 is adjusted so that the purifying performance becomes normal and th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1 is operated (S50) of operating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real time object Intern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으로 단말부(30)에 전송하는 단계(S10)는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집진필터, 흡착제 또는 흡수층의 압력손실 또는 통풍장치인 송풍기의 부하량을 포함한 각종 구성품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센서(40)가 연결된 통신제어부(10)를 통해 단말부(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S10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unit 30 in real time is performed by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of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pressure loss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the adsorbent or the absorption layer of the pollutant purifying apparatus 1 or the load of the blower Wherein the control unit sends the detection sensor to the terminal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to which the detection sensor is connec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30)를 통해 경보를 표시하는 단계(S30)는 단말부(30)에 설정되는 다수의 경보단계에 따른 최소 값과 최대값 간에 감지센서(40)의 감지값이 위치하면 경보를 표시하지 않고, 각 단계의 최소값 또는 최대값보다 낮거나 높을 경우 그에 해당하는 단계의 경보를 단말부(30)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tep S30 of displaying the alarm through the terminal unit 30 may be performed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40 is located between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alarm steps set in the terminal unit 30 And displays the alarm of the corresponding stage in the terminal unit (30) when it is lower or higher than the minimum value or the maximum value of each step without displaying it. The controlling method using the contaminant purifying device control system using the real-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 정화장치(1)는 스크러버, 집진기, 흡착기 또는 수질정화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센서(40)가 오염물질 정화장치(1)에 설치되어 감지되는 감지값을 통신제어부(1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comprises a scrubber, a dust collector, an adsorption unit or a water purifier. The detection sensor 40 is installed in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1 and transmits a sensed value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And controlling the pollutant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real-time object Intern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30)는 통신망(20)을 통해 통신제어부(10)와 연결되며,
상기 통신제어부(10)를 통해 전송되는 감지센서(40)의 감지값 및 제어부(2)의 상태 신호를 통해 오염물질 정화장치(1)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체 및
상기 단말부(30)에 제어값을 입력하는 입력체가 구비되며,
상기 단말부(30)는 서버, PC, 태블릿, 랩탑, PDA 또는 휴대전화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오염물질 정화장치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erminal unit 3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state of the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1 through the detection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40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part 10 and the status signal of the control part 2,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trol value to the terminal unit 30,
Wherein the terminal unit (30) comprises at least one of a server, a PC, a tablet, a laptop, a PDA or a mobile phone.
KR1020170000735A 2017-01-03 2017-01-03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real time pollution cleanup device control using systems and control methods KR201800799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35A KR20180079951A (en) 2017-01-03 2017-01-03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real time pollution cleanup device control using systems and control meth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35A KR20180079951A (en) 2017-01-03 2017-01-03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real time pollution cleanup device control using systems and control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51A true KR20180079951A (en) 2018-07-11

Family

ID=6291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735A KR20180079951A (en) 2017-01-03 2017-01-03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real time pollution cleanup device control using systems and control meth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9951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900B1 (en) * 2019-07-24 2019-10-16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씨 SMART DUST COLLECTING APPARATUS BASED ON IoT USING SENSOR DATA
KR102107416B1 (en) * 2019-05-02 2020-05-07 주식회사 서호엔텍 Simultaneous control method of purification device by simultaneous monitoring using real-time internet of things
KR102165847B1 (en) * 2019-05-07 2020-10-14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AN EXHAUST AIR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CONVER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AND AN IoT BASED EXHAUST AIR PURIFYING SYSTEM
KR102176467B1 (en) * 2020-04-23 2020-11-09 주식회사 세종플랜트 management systems using the IoT of environmental facility
KR102236352B1 (en) * 2021-01-28 2021-04-05 (주)에스에이치모빌리티 IOT gateway system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ants in facilities based on sensor linkage, and its automatic control method
KR102268329B1 (en) * 2020-04-28 2021-06-24 주식회사 해밀 Dust control device of filter for dust collector with remote control
KR102463225B1 (en) * 2021-12-17 2022-11-08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Dust, odor gas and carbon dioxide pollutant removal system based on iot sensor
CN117252044A (en) * 2023-11-17 2023-12-19 四川省医学科学院·四川省人民医院 Inhalant inhalation quali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943A (en) * 2002-07-26 2004-02-26 Daikin Ind Ltd Failure diagnosis system and diagnosis server
KR20110114352A (en) * 2010-04-13 2011-10-19 (주)에어스텍 Deodorizing equipment with remote controlling system
KR101565879B1 (en) * 2015-05-28 2015-11-04 에코리더 주식회사 Management System for Non-point Pollutants Reducing Apparatus on Internet of Things
KR20160051011A (en) * 2014-10-31 2016-05-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A Control System of Dust Collector
KR20160069035A (en) * 2014-12-05 2016-06-16 코웨이 주식회사 Air purifier, system for managing ai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ing air purifi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943A (en) * 2002-07-26 2004-02-26 Daikin Ind Ltd Failure diagnosis system and diagnosis server
KR20110114352A (en) * 2010-04-13 2011-10-19 (주)에어스텍 Deodorizing equipment with remote controlling system
KR20160051011A (en) * 2014-10-31 2016-05-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A Control System of Dust Collector
KR20160069035A (en) * 2014-12-05 2016-06-16 코웨이 주식회사 Air purifier, system for managing ai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ing air purifier
KR101565879B1 (en) * 2015-05-28 2015-11-04 에코리더 주식회사 Management System for Non-point Pollutants Reducing Apparatus on Internet of Thing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416B1 (en) * 2019-05-02 2020-05-07 주식회사 서호엔텍 Simultaneous control method of purification device by simultaneous monitoring using real-time internet of things
KR102165847B1 (en) * 2019-05-07 2020-10-14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AN EXHAUST AIR PURIFYING APPARATUS CAPABLE OF CONVER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AND AN IoT BASED EXHAUST AIR PURIFYING SYSTEM
KR102032900B1 (en) * 2019-07-24 2019-10-16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씨 SMART DUST COLLECTING APPARATUS BASED ON IoT USING SENSOR DATA
KR102176467B1 (en) * 2020-04-23 2020-11-09 주식회사 세종플랜트 management systems using the IoT of environmental facility
KR102268329B1 (en) * 2020-04-28 2021-06-24 주식회사 해밀 Dust control device of filter for dust collector with remote control
KR102236352B1 (en) * 2021-01-28 2021-04-05 (주)에스에이치모빌리티 IOT gateway system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ants in facilities based on sensor linkage, and its automatic control method
KR102463225B1 (en) * 2021-12-17 2022-11-08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Dust, odor gas and carbon dioxide pollutant removal system based on iot sensor
CN117252044A (en) * 2023-11-17 2023-12-19 四川省医学科学院·四川省人民医院 Inhalant inhalation quali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7252044B (en) * 2023-11-17 2024-02-06 四川省医学科学院·四川省人民医院 Inhalant inhalation quali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9951A (en)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real time pollution cleanup device control using systems and control methods
CN102708647B (en) Image and multi-band infrared-ultraviolet compound fire disaster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7030766B2 (en) Ambient condition detector with multi-function test
KR101852785B1 (en) Indoor fine dust and safety accident detection device and its system
CN204203201U (en) The treatment facility of air pollutants parameter and system
US20120111190A1 (en) Air purification and decontamination system
CN1603835A (en) Detector with dust filter and airflow monitor
EP3221759A1 (en) Safety control room
GB2401468A (en) Ambient condition detector with multiple sensors and a single control unit
JP7085670B2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2107416B1 (en) Simultaneous control method of purification device by simultaneous monitoring using real-time internet of things
CN103903398B (en) A kind of gas detecting remote alarm based on mobile phone, monitoring and control method
CN204880551U (en) Aerial detection purifies mobile terminal
JP3390378B2 (en) Air filter clogging detection device
CN211374671U (en) Monitoring device for dangerous gas of underground pipe network
CN106885878A (en) A kind of device of real-time sensing environmental quality
CN109003351A (en) A kind of mobile patrolling and checking management system and its application method
CN105911232B (en) A kind of air pollutants detection device
JPWO2013190727A1 (en) Vibr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vibration detection method
KR20130085174A (en) Harmfulness gas transmitting apparatus
JP7100743B2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AU2002224878A1 (en) Method for monitoring filtering installations
CN110361138A (en) A kind of sulfur hexafluoride gas leakage warning device
JP2005127907A (en) Gas detection system and compound gas detection system
CN109782830A (en) A kind of engineering-environment mass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