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916A -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 Google Patents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916A
KR20180079916A KR1020170000659A KR20170000659A KR20180079916A KR 20180079916 A KR20180079916 A KR 20180079916A KR 1020170000659 A KR1020170000659 A KR 1020170000659A KR 20170000659 A KR20170000659 A KR 20170000659A KR 20180079916 A KR20180079916 A KR 20180079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housing
hole
ski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187B1 (ko
Inventor
이만규
곽호중
최병욱
Original Assignee
(주)엠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큐어 filed Critical (주)엠큐어
Priority to KR102017000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1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시술장치에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피부를 천공함과 동시에 피부에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약물이 충진되고, 하면에 약물배출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밀착됨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에 다수의 니들이 구비됨과 아울러 약물주입홀이 형성된 니들캡;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니들캡이 하우징의 하단에서 회전하여 상기 약물배출홀과 약물주입홀이 연통될 때 약물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공급됨으로써, 약물주입홀의 개폐를 위하여 밸브나 스프링과 같은 기구적 요소들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하우징에서 니들캡을 회전시키면 되므로 그 사용사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Needle Modul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of Drug Injecting Hole}
본 발명은 니들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부시술장치에 구비되어 피부 천공과 피부에 대한 약물 도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에 관한 것이다.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현대인에게 여드름 치료, 모공 축소, 주름 제거, 흉터 제거 등의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현재 여러 가지 형태로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또는 약물의 피부를 통한 전달은 약물이 각질층을 투과하기가 어려워 흡수율이 매우 낮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492732호(발명의 명칭 : 피부 치료기)와 같은 기술이 제시되어 다수의 니들로 피부를 천공하면서 동시에 약물이 피부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약물의 흡수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종래의 기술은 피부 천공과 피부에 대한 약물 도포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술이 편리하고 시술 시간이 짧아지는 장점이 있지만, 밸브나 스프링과 같은 기구적 요소들을 사용하여 니들모듈 중앙에 크게 형성된 약물주입홀을 개폐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작단가가 상승하며 조립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출원번호:10-2012-0063918 (등록특허:10-1386490, 발명의 명칭 :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피부침투장치) 출원번호:10-2013-0113495 (등록특허:10-1492732, 발명의 명칭 : 피부 치료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부의 천공 작업과 피부에 대한 약물 도포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되, 약물이 통과되는 약물주입홀의 개폐를 간단한 구조와 동작만으로 가능하게 하는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은 피부시술장치에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피부를 천공함과 동시에 피부에 약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약물이 충진되고, 하면에 약물배출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밀착됨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에 다수의 니들이 구비됨과 아울러 약물주입홀이 형성된 니들캡;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니들캡이 하우징의 하단에서 회전하여 상기 약물배출홀과 약물주입홀이 연통될 때 약물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약물배출홀이 직경을 달리하여 복수개가 형성되고, 이 직경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약물배출홀을 한 세트로 하여 다수개의 세트가 형성되며; 상기 니들캡에 형성된 약물주입홀은 직경이 다른 약물배출홀들로 이루어진 한 세트의 형성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각각의 약물주입홀은 직경이 다른 약물배출홀들로 이루어진 각 세트와 개별적으로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약물주입홀은 복수개의 약물배출홀 중에서 가장 직경이 큰 약물배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는 다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캡의 테두리 부분에는 니들캡이 회전할 때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약물충진홀이 형성되고, 상기 약물충진홀에는 마개가 설치되는데, 상기 마개는 상기 커버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핀과; 상기 커버의 약물충진홀에 끼움되는 끼움부와; 상기 고정핀과 끼움부를 연결하고, 상기 커버에 밀착되는 평판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은 약물주입홀의 개폐를 위하여 밸브나 스프링과 같은 기구적 요소들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하우징에서 니들캡을 회전시키면 되므로 그 사용사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여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및 사용이 간단하며, 공기구멍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약물이 약물배출홀과 약물주입홀을 통해 자동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므로 피부천공과 약물주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니들캡을 회전시켜 끼움돌기를 끼움홈에 삽입시키면 외력이 작용해도 하우징에 대한 니들캡의 회전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약물주입홀이 형성된 니들모듈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약물주입홀이 형성된 니들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약물주입홀이 형성된 니들모듈에 형성된 다양한 사이즈의 약물배출홀을 개폐하는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약물주입홀이 형성된 니들모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약물주입홀이 형성된 니들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약물주입홀이 형성된 니들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의한 약물주입홀이 형성된 니들모듈에 형성된 다양한 사이즈의 약물배출홀을 개폐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은 피부시술장치에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피부를 천공함과 동시에 피부에 약물이 침투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10-1492732호(발명 명칭 : 피부 치료기, 특허권자 : 이만규)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은 니들부 어댑터에 연결되고 이 니들부 어댑터가 동력을 제공하는 기기본체에 연결되어, 니들모듈이 피부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피부를 천공하고 약물을 도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설치구조는 한국등록특허 10-1492732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동력을 제공받아 빠른 속도로 상하로 진동하면서 피부를 천공하고 약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본 발명에 의한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은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이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20)와, 상기 하우징(10) 하부에 설치되는 니들캡(30)과, 상기 커버(20)에 설치되는 마개(4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약물이 충진되고, 상단은 개방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의 하면에는 직경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약물배출홀(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약물배출홀(11)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충진된 약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직경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약물배출홀(11)을 한 세트(S)로 하여 다수개의 세트가 하우징(10)의 하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작은 직경/중간 직경/큰 직경을 갖는 3개의 약물배출홀(11)을 한 세트(S)로 하여 총 4개의 세트(S)가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약물배출홀(11)의 개수나 세트(S)의 개수는 자유롭게 증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약물배출홀(11)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둥글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은 하측부 내주면을 따라 둥근 곡면 형상을 갖는 삽입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은 상기 니들캡(30)이 끼움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공기구멍(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약물충진홀(22) 및 고정홀(23)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구멍(21)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될 때 통과되는 구멍으로서, 상기 공기구멍(2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10) 내부의 약물이 약물배출홀(11)과 후술할 약물주입홀(32)을 통해 피시술자의 피부에 도포된다.
상기 약물충진홀(22)은 피부에 주입되어야 하는 약물을 하우징(10) 내부 공간에 충진할 때 사용하는 구멍이다.
상기 고정홀(23)은 상기 약물충진홀(22)에 비하여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마개(40)를 커버(20)에 연결하기 위하여 형성한 구멍이다.
상기 니들캡(30)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 밀착됨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니들캡(30)은 저면에 다수의 니들(31)이 구비됨과 아울러 다수의 약물주입홀(32)이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니들캡(30)은 상면이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 밀착되고, 상측부 외주면을 따라 볼록한 곡면 형상의 삽입돌기(33)가 돌출 형성되며, 이 삽입돌기(33)는 상기 하우징(10)의 삽입홈(12)에 삽입된다. 이로써 니들캡(30)을 회전시키면 니들캡(30)의 상면이 하우징(1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돌기(33)가 삽입홈(12) 내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니들(31)은 피시술자의 피부를 미세하게 천공한다.
상기 약물주입홀(32)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충진된 약물이 배출되는 곳으로서,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약물주입홀(32)은 상기 니들캡(30)이 하우징(10)의 하단에서 회전할 때 상기 약물배출홀(11)과 연통되어 약물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이다.
좀 더 부연하면, 상기 약물주입홀(32)은 직경이 다른 약물배출홀들로 이루어진 한 세트(S)의 형성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각각의 약물주입홀(32)은 직경이 다른 약물배출홀들로 이루어진 각 세트(S)와 개별적으로 대응된다.
즉, 본 발명의 도면에서 약물배출홀(11)은 작은 직경/중간 직경/큰 직경을 갖는 3개의 약물배출홀(11)을 한 세트(S)로 하여 총 4개의 세트(S)가 하우징(10)의 하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므로, 4개의 세트(S)에 각각 1:1로 대응될 수 있도록 약물주입홀(32)은 4개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약물주입홀(32)은 복수개의 약물배출홀(11) 중에서 가장 직경이 큰 약물배출홀(11)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도면에서 약물배출홀(11)이 작은 직경/중간 직경/큰 직경을 갖도록 도시하였는데, 큰 직경의 약물배출홀(11)과 약물주입홀(32)의 직경을 동일하게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니들캡(30)이 하우징(10)의 하단에서 회전할 때 하나의 약물주입홀(32)은 하나씩의 약물배출홀(11)과 개별적으로 대응된다. 즉 약물주입홀(32)은 복수개의 약물배출홀(11) 중에서 2개 이상의 약물배출홀과 동시에 연통되지 않고 하나씩의 약물배출홀하고만 연통되는 것이다.
이렇게 약물주입홀(32)은 그 직경이 가장 큰 직경의 약물배출홀(11)과 동일하고, 더불어 하나의 약물주입홀(32)이 하나의 약물배출홀(11)과 연통됨으로써, 니들캡(30)은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약물배출홀(11)을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약물주입홀(32)을 통해 배출되는 약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는 다수개의 끼움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캡(30)의 테두리 부분에는 끼움돌기(3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34)는 상기 니들캡(30)이 하우징(10)의 하단에서 회전할 때 상기 끼움홈(13)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니들캡(30)이 한 칸씩 회전하여 끼움돌기(34)가 각 끼움홈(13)에 끼워질 때마다 약물주입홀(32)은 직경이 각각 다른 약물배출홀(11)과 순차적으로 연통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의 외측면, 특히 끼움홈(13) 위쪽에 숫자(0, 1, 2, 3...)를 표시하면 약물주입홀(32)이 큰 직경의 약물배출홀(11)과 연통되었는지 작은 직경의 약물배출홀(11)과 연통되었는지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마개(40)는 상기 커버(20)의 약물충진홀(22)에 설치되어 약물충진홀(22)을 밀폐하는 것으로서, 휨과 절곡 등이 자유로운 연성 재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마개(40)는 고정핀(41), 끼움부(42), 상기 고정핀(41)과 끼움부(42)를 연결하는 평판부(4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41)은 상기 커버(2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좀 더 자세히는 커버(20)에 형성된 고정홀(23)에 끼움된다.
상기 끼움부(42)는 상기 커버(20)의 약물충진홀(22)에 끼움된다.
상기 평판부(43)는 상기 커버(20)의 상면에 밀착된다.
10: 하우징 11: 약물배출홀
12: 삽입홈 13: 끼움홈
20: 커버 21: 공기구멍
22: 약물충진홀 23: 고정홀
30: 니들캡 31: 니들
32: 약물주입홀 33: 삽입돌기
34: 끼움돌기 40: 마개
41: 고정핀 42: 끼움부
43: 평판부
S: 세트

Claims (6)

  1. 피부시술장치에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피부를 천공함과 동시에 피부에 약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약물이 충진되고, 하면에 약물배출홀(11)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구멍(21)이 형성된 커버(20)와;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 밀착됨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저면에 다수의 니들(31)이 구비됨과 아울러 약물주입홀(32)이 형성된 니들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니들캡(30)이 하우징(10)의 하단에서 회전하여 상기 약물배출홀(11)과 약물주입홀(32)이 연통될 때 약물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는 상기 약물배출홀(11)이 직경을 달리하여 복수개가 형성되고, 이 직경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약물배출홀(11)을 한 세트(S)로 하여 다수개의 세트(S)가 형성되며,
    상기 니들캡(30)에 형성된 약물주입홀(32)은 직경이 다른 약물배출홀들로 이루어진 한 세트(S)의 형성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각각의 약물주입홀(32)은 직경이 다른 약물배출홀들로 이루어진 각 세트(S)와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약물주입홀(32)은 복수개의 약물배출홀(11) 중에서 가장 직경이 큰 약물배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는 다수개의 끼움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캡(30)의 테두리 부분에는 니들캡(30)이 회전할 때 상기 끼움홈(13)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4)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에는 약물충진홀(22)이 형성되고, 상기 약물충진홀(22)에는 마개(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개(40)는 상기 커버(2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핀(41)과;
    상기 커버(20)의 약물충진홀(22)에 끼움되는 끼움부(42)와;
    상기 고정핀(41)과 끼움부(42)를 연결하고, 상기 커버(20)에 밀착되는 평판부(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KR1020170000659A 2017-01-03 2017-01-03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KR101938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659A KR101938187B1 (ko) 2017-01-03 2017-01-03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659A KR101938187B1 (ko) 2017-01-03 2017-01-03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16A true KR20180079916A (ko) 2018-07-11
KR101938187B1 KR101938187B1 (ko) 2019-01-14

Family

ID=6291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659A KR101938187B1 (ko) 2017-01-03 2017-01-03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9781A (zh) * 2021-01-26 2021-06-01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无痛皮试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357A (ko) * 2009-01-20 2010-07-29 (주)마이티시스템 미세바늘을 이용한 유용성분 피부전달용 용기
KR20110115377A (ko) * 2010-04-15 2011-10-21 (주)마이티시스템 유출량 조절이 가능한 미세바늘 뚜껑 시스템
KR20120118840A (ko) * 2011-04-19 2012-10-29 문청용 밧데리 발전기
JP5680685B2 (ja) * 1996-12-31 2015-03-04 日東電工株式会社 生物活性薬剤送達のための組織微穿孔
KR101582822B1 (ko) * 2015-05-30 2016-01-07 주식회사 하일 피부 자극용 유체 주입 장치
JP2016019701A (ja) * 2014-07-15 2016-02-04 合同会社Syndeo 薬剤送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0685B2 (ja) * 1996-12-31 2015-03-04 日東電工株式会社 生物活性薬剤送達のための組織微穿孔
KR20100085357A (ko) * 2009-01-20 2010-07-29 (주)마이티시스템 미세바늘을 이용한 유용성분 피부전달용 용기
KR20110115377A (ko) * 2010-04-15 2011-10-21 (주)마이티시스템 유출량 조절이 가능한 미세바늘 뚜껑 시스템
KR20120118840A (ko) * 2011-04-19 2012-10-29 문청용 밧데리 발전기
JP2016019701A (ja) * 2014-07-15 2016-02-04 合同会社Syndeo 薬剤送出装置
KR101582822B1 (ko) * 2015-05-30 2016-01-07 주식회사 하일 피부 자극용 유체 주입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제5680685호(2015.03.04.)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9781A (zh) * 2021-01-26 2021-06-01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无痛皮试针
CN112869781B (zh) * 2021-01-26 2023-09-26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无痛皮试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187B1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9076B2 (en) Operational instrument for fluid injector using multi-microneedle device
EP2647310B1 (en) Tattoo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pigment fluid for tattoos or semi-permanent tattoos
CN104684610B (zh) 使用多微针构件的流体注入器操作器具
KR20120044612A (ko) 피부 시술용 모듈
CN113784745B (zh) 具有球形滚针的拆装式皮肤手术装置
CN102844062B (zh) 药物给予器具及药物注射装置
CN106061543B (zh) 药液注入装置
WO2013165715A1 (en) Microneedle based transdermal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KR100792640B1 (ko) 피부 침투용 미세 돌기 장치
CN103157178B (zh) 精确控制微针插入长度的印章式工具
KR101865668B1 (ko) 피부 미용을 위한 니들디스크 롤러장치
JP2011083484A (ja) 経皮薬物投与装置及び経皮薬物投与ユニット
US11439475B2 (en) Drug delivery robot
KR101938187B1 (ko) 약물주입홀의 개폐가 가능한 니들모듈
KR101929761B1 (ko) 약물주입홀이 형성된 니들모듈
CN108778396A (zh) 包括瓶颈下端紧贴结构的粘弹性连接盖的微针滚轮装置
KR200465168Y1 (ko) 두피관리용 머리빗
KR101541159B1 (ko) 피부 시술용 모듈
KR20140019532A (ko) 피부 시술용 모듈
KR102006937B1 (ko) 주사장치
KR101756630B1 (ko) 가압식 수간주사 방법 및 그 주사기
KR101380189B1 (ko) 피부시술장치용 니들유닛
KR20120118640A (ko) 캡슐용 미세바늘시스템
KR20180000446U (ko) 피부시술용 니들모듈
KR200481169Y1 (ko) 약물 주입용 피부시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