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805A -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805A
KR20180079805A KR1020170000435A KR20170000435A KR20180079805A KR 20180079805 A KR20180079805 A KR 20180079805A KR 1020170000435 A KR1020170000435 A KR 1020170000435A KR 20170000435 A KR20170000435 A KR 20170000435A KR 20180079805 A KR20180079805 A KR 20180079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mobile
authentication
ve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333B1 (ko
Inventor
박종은
현상훈
송주한
이준섭
어준선
홍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Priority to KR102017000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333B1/ko
Priority to PCT/KR2018/000065 priority patent/WO2018124857A1/ko
Publication of KR2018007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5Use of electronic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WITHOUT A FACE-TO-FACE CONTACT BY USING MOBILE ID BASED ON BLOCKCHAIN, AND TERMINAL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대면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검증수단값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검증수단값을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도록 지원하며, 서비스 서버로부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서의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유효 여부에 따른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단말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종래 대면 인증을 통해 이루어지던 금융거래는 최근 유선 통신망 내지 유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비대면 인증을 이용한 비대면 금융거래 방식으로 이전되고 있다.
한편, 비대면 금융거래는 자금출금과 이체를 포함하는 모든 금융거래가 비대면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비대면 인증 특성과, 비대면 금융거래 채널을 제공하는 브라우저의 취약점, 통신망의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공인인증서, 키보드 해킹 보안, 보안카드, OTP(One Time Password)와 같은 수없이 많은 보안 기능이 추가되고 있으나, 종래의 보안 기능은 고객단말의 메모리 해킹 내지 통신망 상의 스니핑(Sniffing)을 통해 보안정보가 노출되는 경우,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일부를 변경하여 대량의 자금을 해커의 계좌로 이체하도록 요청하더라도 이를 감지하기에 난해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조작된 정보에 의해 거래요청을 정상 거래요청으로 처리하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복사 또는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단말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아이디에 따른 사용자 인증서를 해쉬 함수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보안이 보장되고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단말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성의 검증수단값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검증 및 인증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정보 도용에 따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단말 및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인증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검증수단값 - 상기 검증 수단값은,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증 서버가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임 - 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 - 상기 검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함 - 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수행된 비대면 인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도록 하고, 상기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확인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검증수단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함으로써,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며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인증 서버가, (i)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함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는 단계; (b) (i)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웹으로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인증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가 관리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서버가,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함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어 상기 인증 서버가 (i)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어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서비스 웹으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웹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도록 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 인증서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대응한 서비스 서버로부터의 상기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가 획득되면,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확인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검증수단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서비스 웹으로 전송되도록 지원하며, (ii) 상기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도록 지원하고, (iii)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인증 서버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인증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검증수단값 - 상기 검증 수단값은,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증 서버가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임 - 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 - 상기 검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함 - 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수행된 비대면 인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도록 하고, 상기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확인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검증수단값이 획득되면,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함으로써,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며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함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i)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웹으로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인증 서버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인증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가 관리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함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어 상기 인증 서버가 (i)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어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서비스 웹으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상기 서비스 웹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도록 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 인증서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대응한 서비스 서버로부터의 상기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확인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검증수단값이 획득되면,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서비스 웹으로 전송되도록 지원하며, (ii) 상기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도록 지원하고, (iii)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복사 또는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아이디에 따른 사용자 인증서를 해쉬 함수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보안이 보장되고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회성의 검증수단값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검증 및 인증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 정보 도용에 따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급된 모바일 아이디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인증 서버(200), 및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모바일 아이디를 표시하여 주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모바일 컴퓨터, PDA/EDA,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개인 내비게이션 등의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부와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모바일 아이디 앱(110)과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서비스 앱(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 서버(200)는 통신부(210)와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이용하여 나타낸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들 개별 장치들이 동일하다는 의미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서버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해당 방법을 수행하거나 동일한 인증 서버(200)를 통해 해당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인증 서버(200)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의 각각의 노드에 대응되는 서버이거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의 각각의 노드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 서버(200)는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통신부(210)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와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는 바, 일 예시로서 그러한 요청과 응답은 동일한 TCP 세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바, 예컨대 UDP 데이터그램으로서 송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2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300)는 통신부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서버(300)는 금융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비대면 인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300)는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받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인증 서버(200)에 접속한 상태, 일 예로, 사용자가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즉 모바일 아이디 앱(110)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하고, 발급받기 위한 모바일 아이디에 필요한 모바일 아이디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S100). 이때, 모바일 아이디는 운전면허증, 건강보험증, 외국인등록증, 공무원증, 청소년증, 장애인등록증, 주민등록증과 같은 공공 아이디뿐만 아니라 국가자격증, 민간자격증, 사원증, 학생증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모바일 아이디 정보 입력이 완료되어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을 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을 인증 서버(200)로 전송한다(S101). 이때,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모바일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며, 모바일 아이디 정보는 사용자의 사진 이미지 및 각 신분증 별 표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아이디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확인한다(S102). 이때, 사용자 확인은 공개 키 기반(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인증서를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개인 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공개 키 기반 인증서인 공인인증서, OPSign 인증서 등을 통해 특정 발행자를 확인하거나, 주민 번호, 여권, 법인 등록 번호, 사업자 등록 번호, 로그인 정보 등과 같이 개인, 은행 또는 단체의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개인 정보 등을 통해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확인되면,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인증서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03)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는 인증서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인증키인 퍼블릭 키와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게 되며(S104), 사용자에 의해 프라이빗 키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확인 정보가 설정되도록 한다(S105). 이때, 확인 정보는 프라이빗 키에 접근하기 위한 패스 정보로, 비밀 번호, 생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프라이빗 키에 대한 접근 제어를 위한 확인 정보의 설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확인 정보의 설정을 사용자의 인증키를 생성하기 이전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키 중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추출하며, 추출된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서 등록 정보를 인증 서버(2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S106). 이때,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식별을 위하여 사용자 별로 주어지는 고유 정보로서, 푸시토큰, 사용자 아이디, 주민번호, 사용자 단말 아이디, 사용자 단말의 아이피 주소,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어 획득되는 인증서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인증서를 생성한다(S107). 즉, 인증 서버(200)는 인증서 등록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퍼블릭 키와 사용자 식별 정보에 더하여, 확인된 사용자 정보에 해쉬 함수를 적용하여 생성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생성한다. 이때, 해쉬값 생성을 위한 해쉬 함수는 MD4 함수, MD5 함수, SHA-0 함수, SHA-1 함수, SHA-224 함수, SHA-256 함수, SHA-384 함수, SHA-512 함수 및 HAS-160 함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Triple SHA256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인증 서버(200)는 생성된 사용자 인증서를 복사 또는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한다(S108).
일 예로,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하고(S108),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된 사용자 인증서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 상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획득하여(S109)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및 퍼블릭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하여 줄 수 있다(S110).
이때, 모바일 아이디는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모바일 아이디 표시 영역(10)과 모바일 아이디 정보 영역(20)을 가질 수 있다.
모바일 아이디 표시 영역(10)은 각 아이디 별 표시하여야 하는 사용자 정보에 관한 것으로, 사진 이미지, 성명, 아이디 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모바일 아이디가 구현하고자 하는 신분증의 표시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해당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되거나 인증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아이디 정보 영역(20)은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된 사용자 서명값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인증이 이루어질 때마다 변화된 값을 가짐으로써 사용자 정보 도용에 따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모바일 아이디가 발급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퍼블릭 키,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대면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서비스 앱(120)을 통해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S200), 일 예로, 사용자가 서비스 앱(120)을 통해 해당 서비스로의 접근을 위한 비대면 인증을 진행하기 위하여 비대면 인증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서비스 앱(120)을 통한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따른 모바일 아이디 선택 요청 신호(S201)에 대응하여 모바일 아이디 앱(110)을 통해 사용자가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의 모바일 아이디 앱(110)을 통해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하면(S202),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 서버(200)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인증 요청 트랜잭션을 전송하여 줄 수 있다(S203). 이때, 인증 요청 트랜잭션은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모바일 아이디가 선택될 경우, 사용자가 확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확인 정보가 설정된 확인 정보와 일치할 경우 사용자 확인에 따른 인증 요청 트랜잭션을 인증 서버(200)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그러면,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된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한다.
일 예로,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인증서 확인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로 전송하며(S204), 이에 대응하여 블록체인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되는 인증서를 확인한다(S205). 이때, 인증 서버(200)는 확인된 사용자 인증서가 유효한지를 확인하며, 사용자와 매칭되는 인증서가 없거나 사용자 인증서가 폐기 등에 의해 유효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에러 신호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서버(200)는 확인된 사용자 인증서를 참조하여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인증 서버(200)는 검증수단값을 생성하여(S206)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여 줄 수 있다(S207). 이때, 검증수단값은 논스(nonce), OTP,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서버(200)는 검증수단값과 더불어 검증 대상 아이디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때, 검증 대상 아이디는 생성된 검증수단값에 대한 소유자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서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 정보 해쉬값일 수 있다. 또한, 검증 대상 아이디는 사용자의 퍼블릭 키일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의 모바일 아이디 앱(110)은 사용자에게 확인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확인 정보가 설정된 정보와 일치할 경우 프라이빗 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여 인증 서버(200)로부터 획득된 검증수단값을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을 생성한다(S208).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확인 정보가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프라이빗 키에 대한 접근을 불허하여 사용자 서명값의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검증 대상 아이디는 인증 서버(200)로부터 검증수단값과 함께 획득된 사용자 정보 해쉬값일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검증 대상 아이디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의 모바일 아이디 앱(110)은 사용자 서명값,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앱(120)으로 전달하며(S209), 서비스 앱(120)이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S210, S211).
그러면,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의 사용자 서명값을 이용하여 인증 서버(200)로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로부터 사용자 서명값과 검증 대상 아이디를 추출하며(S212), 사용자 서명값과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를 인증 서버(200)로 전송하여 준다(S213).
그리고, 인증 서버(200)는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서의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검증 요청된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S214), 확인된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준다(S215).
이때, 검증 대상 아이디는 사용자의 퍼블릭 키이거나 인증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사용자 정보 해쉬값일 수 있으며, 인증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사용자 정보 해쉬값과 매칭되는 사용자 인증서에 포함된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값으로부터 검증수단값을 추출하며, 사용자 서명값으로부터 추출된 검증수단값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검증수단값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검증수단값이 타임스탬프일 경우, 검증수단값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한 제1 시각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는 제2 시각 사이의 시간 간격이 설정값 이상이면, 사용자 서명값이 무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서명값 무효에 의해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검증 실패로 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300)는 인증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며(S216), 수행된 비대면 인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의 서비스 앱(120)으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S217).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퍼블릭 키,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모바일 앱(110)은 사용자가 비대면 인증을 위한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의 모바일 아이디 앱(110)을 통해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하면(S300),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 서버(200)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인증 요청 트랜잭션을 전송하여 줄 수 있다(S301). 이때, 인증 요청 트랜잭션은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모바일 아이디가 선택될 경우, 사용자가 확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확인 정보가 설정된 확인 정보와 일치할 경우 사용자 확인에 따른 인증 요청 트랜잭션을 인증 서버(200)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그러면,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된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한다.
일 예로,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인증서 확인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로 전송하며(S302), 이에 대응하여 블록체인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되는 인증서를 확인한다(S303). 이때, 인증 서버(200)는 확인된 사용자 인증서가 유효한지를 확인하며, 사용자와 매칭되는 인증서가 없거나 사용자 인증서가 폐기 등에 의해 유효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에러 신호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서버(200)는 확인된 사용자 인증서를 참조하여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인증 서버(200)는 검증수단값을 생성하여(S304)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여 줄 수 있다(S305). 이때, 검증수단값은 논스(nonce), OTP,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서버(200)는 검증수단값과 더불어 검증 대상 아이디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때, 검증 대상 아이디는 생성된 검증수단값에 대한 소유자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서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 정보 해쉬값일 수 있다. 또한, 검증 대상 아이디는 사용자의 퍼블릭 키일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의 모바일 아이디 앱(110)은 사용자에게 확인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확인 정보가 설정된 정보와 일치할 경우 프라이빗 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여 인증 서버(200)로부터 획득된 검증수단값을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을 생성한다(S306).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확인 정보가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프라이빗 키에 대한 접근을 불허하여 사용자 서명값의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검증 대상 아이디는 인증 서버(200)로부터 검증수단값과 함께 획득된 사용자 정보 해쉬값일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검증 대상 아이디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의 모바일 아이디 앱(110)은 사용자 서명값,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한 후,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다수의 서비스 앱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 앱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S307).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 서비스 앱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모바일 아이디 앱(11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서비스 앱(120)으로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전달하며(S308), 서비스 앱(120)이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S309, S310).
그러면,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의 사용자 서명값을 이용하여 인증 서버(200)로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로부터 사용자 서명값과 검증 대상 아이디를 추출하며(S311), 사용자 서명값과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를 인증 서버(200)로 전송하여 준다(S312).
그리고, 인증 서버(200)는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서의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검증 요청된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S313), 확인된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준다(S314).
이때, 검증 대상 아이디는 사용자의 퍼블릭 키이거나 인증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사용자 정보 해쉬값일 수 있으며, 인증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사용자 정보 해쉬값과 매칭되는 사용자 인증서에 포함된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값으로부터 검증수단값을 추출하며, 사용자 서명값으로부터 추출된 검증수단값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검증수단값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검증수단값이 타임스탬프일 경우, 검증수단값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한 제1 시각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는 제2 시각 사이의 시간 간격이 설정값 이상이면, 사용자 서명값이 무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서명값 무효에 의해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검증 실패로 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300)는 인증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며(S315), 수행된 비대면 인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의 서비스 앱(120)으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S316)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퍼블릭 키,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비스 웹을 통해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하여 비대면 인증을 위하여 서비스 웹에서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S400), 일 예로, 사용자가 서비스 웹을 통해 해당 서비스로의 접근을 위한 비대면 인증을 진행하기 위하여 비대면 인증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면, 서비스 서버(300)는 비대면 인증을 위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 서버(200)로 전송하여 준다(S401).
그러면,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100)로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S402),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모바일 아이디 선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S403).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하면(S403),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 서버(200)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인증 요청 트랜잭션을 전송하여 줄 수 있다(S404). 이때, 인증 요청 트랜잭션은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모바일 아이디가 선택될 경우, 사용자가 확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확인 정보가 설정된 확인 정보와 일치할 경우 사용자 확인에 따른 인증 요청 트랜잭션을 인증 서버(200)로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그러면,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에 등록된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한다.
일 예로,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인증서 확인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로 전송하며(S405), 이에 대응하여 블록체인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되는 인증서를 확인한다(S406). 이때, 인증 서버(200)는 확인된 사용자 인증서가 유효한지를 확인하며, 사용자와 매칭되는 인증서가 없거나 사용자 인증서가 폐기 등에 의해 유효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에러 신호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서버(200)는 확인된 사용자 인증서를 참조하여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인증 서버(200)는 검증수단값을 생성하여(S407)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여 줄 수 있다(S408). 이때, 검증수단값은 논스(nonce), OTP, 타임스탬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서버(200)는 검증수단값과 더불어 검증 대상 아이디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때, 검증 대상 아이디는 생성된 검증수단값에 대한 소유자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서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 정보 해쉬값일 수 있다. 또한, 검증 대상 아이디는 사용자의 퍼블릭 키일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확인 정보 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확인 정보가 설정된 정보와 일치할 경우 프라이빗 키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여 인증 서버(200)로부터 획득된 검증수단값을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을 생성한다(S409).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확인 정보가 설정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프라이빗 키에 대한 접근을 불허하여 사용자 서명값의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서명값,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인증 서버(200)로 전송하여 준다(S410). 이때, 검증 대상 아이디는 인증 서버(200)로부터 검증수단값과 함께 획득된 사용자 정보 해쉬값일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검증 대상 아이디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면,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달하며,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웹을 통해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준다(S411).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확인하고 서비스 웹을 통해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면(S412, S413)),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웹을 통해 전송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의 사용자 서명값을 이용하여 인증 서버(200)로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300)는 서비스 웹을 통해 획득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로부터 사용자 서명값과 검증 대상 아이디를 추출하며(S414), 사용자 서명값과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를 인증 서버(200)로 전송하여 준다(S415).
그리고, 인증 서버(200)는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서의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검증 요청된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S416), 확인된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준다(S417).
이때, 검증 대상 아이디는 사용자의 퍼블릭 키이거나 인증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사용자 정보 해쉬값일 수 있으며, 인증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사용자 정보 해쉬값과 매칭되는 사용자 인증서에 포함된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서명값으로부터 검증수단값을 추출하며, 사용자 서명값으로부터 추출된 검증수단값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검증수단값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검증수단값이 타임스탬프일 경우, 검증수단값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한 제1 시각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는 제2 시각 사이의 시간 간격이 설정값 이상이면, 사용자 서명값이 무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200)는 사용자 서명값 무효에 의해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검증 실패로 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300)는 인증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며(S418), 수행된 비대면 인증 결과를 서비스 웹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줄 수 있다(S419).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모바일 아이디 앱,
120: 서비스 앱,
200: 인증 서버,
210: 통신부,
220: 프로세서,
300: 서비스 서버,
400: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Claims (30)

  1.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와 매칭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으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을 추출하며, 상기 사용자 서명값으로부터 추출된 검증수단값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검증수단값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수단값은 논스 또는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며,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는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수단값이 상기 타임스탬프일 경우,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한 제1 시각과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는 제2 시각 사이의 시간 간격이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 서명값이 무효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식별을 위하여 사용자 별로 주어지는 고유 정보로서, 푸시토콘, 사용자 아이디, 주민번호, 사용자 단말 아이디, 사용자 단말의 아이피 주소,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01)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이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인증서 등록을 요청하거나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a02) 상기 인증서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상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하거나 발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인증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검증수단값 - 상기 검증 수단값은,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증 서버가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임 - 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 - 상기 검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함 - 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수행된 비대면 인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도록 하고, 상기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확인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검증수단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함으로써,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며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서비스 앱과 상기 인증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모바일 아이디 앱을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앱을 통해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모바일 아이디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상기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아이디 앱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모바일 아이디 앱을 통해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앱으로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 앱이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거나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서비스 앱과 상기 인증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모바일 아이디 앱을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모바일 아이디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아이디 앱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모바일 아이디 앱을 통해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다수의 서비스 앱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서비스 앱으로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특정 서비스 앱이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거나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식별을 위하여 사용자 별로 주어지는 고유 정보로서, 푸시토콘, 사용자 아이디, 주민번호, 사용자 단말 아이디, 사용자 단말의 아이피 주소,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0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적어도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을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a02) 상기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서 등록 요청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인증키로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상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하거나 발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인증 서버가, (i)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함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는 단계;
    (b) (i)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웹으로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와 매칭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으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을 추출하며, 상기 사용자 서명값으로부터 추출된 검증수단값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 검증수단값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01)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이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인증서 등록을 요청하거나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a02) 상기 인증서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상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하거나 발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인증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가 관리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서버가,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함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어 상기 인증 서버가 (i)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어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서비스 웹으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웹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도록 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 인증서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대응한 서비스 서버로부터의 상기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가 획득되면,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확인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검증수단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서비스 웹으로 전송되도록 지원하며, (ii) 상기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도록 지원하고, (iii)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0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적어도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을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a02) 상기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서 등록 요청 신호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인증키로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상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하거나 발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을 획득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인증서 등록을 요청하거나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인증서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상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하거나 발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21.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인증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검증수단값 - 상기 검증 수단값은,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증 서버가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의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임 - 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 - 상기 검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함 - 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수행된 비대면 인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22.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도록 하고, 상기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확인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검증수단값이 획득되면,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함으로써,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며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서비스 앱과 상기 인증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모바일 아이디 앱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앱을 통해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모바일 아이디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상기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모바일 아이디 앱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이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모바일 아이디 앱을 통해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앱으로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 앱이 상기 비대면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거나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서비스 앱과 상기 인증 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모바일 아이디 앱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모바일 아이디 앱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이 획득되면, 상기 모바일 아이디 앱을 통해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다수의 서비스 앱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서비스 앱으로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특정 서비스 앱이 상기 비대면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 비대면 인증을 요청하거나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을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서 등록 요청 신호가 획득되면, 사용자 인증키로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상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하거나 발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6.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함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는 프로세스, (i)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면,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웹으로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을 획득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인증서 등록을 요청하거나 요청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인증서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상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하거나 발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서버.
  28.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인증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고 이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가 관리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특정 모바일 아이디를 선택함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가 확인되어 상기 인증 서버가 (i)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고, (ii)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어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서비스 웹으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상기 서비스 웹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가 획득되면,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서버.
  29.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해쉬값인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도록 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 인증서에 대응되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정보 입력 신호에 대응한 서비스 서버로부터의 상기 비대면 인증을 위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선택 요청 신호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특정 모바일 아이디 선택에 대응하는 모바일 아이디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참조하여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확인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검증수단값이 획득되면, 상기 검증수단값을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로 서명한 사용자 서명값, 상기 검증수단값을 서명한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인 검증 대상 아이디,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i) 상기 비대면 인증 요청 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상기 서비스 웹으로 전송되도록 지원하며, (ii) 상기 서비스 웹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비대면 인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서명값과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검증 대상 아이디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도록 지원하고, (iii) 확인된 상기 사용자 서명값의 유효 여부에 따른 상기 특정 모바일 아이디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검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비대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적어도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을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아이디 발급 신청 트랜잭션에 대응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서 등록 요청 신호가 획득되면, 사용자 인증키로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와 상기 사용자의 프라이빗 키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및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 전송하거나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인증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퍼블릭 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해쉬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서를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 인증서의 상기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상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블록체인 트랜잭션 아이디를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모바일 아이디를 발급하거나 발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70000435A 2017-01-02 2017-01-02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877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435A KR101877333B1 (ko) 2017-01-02 2017-01-02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CT/KR2018/000065 WO2018124857A1 (ko) 2017-01-02 2018-01-02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435A KR101877333B1 (ko) 2017-01-02 2017-01-02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805A true KR20180079805A (ko) 2018-07-11
KR101877333B1 KR101877333B1 (ko) 2018-08-09

Family

ID=6271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435A KR101877333B1 (ko) 2017-01-02 2017-01-02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7333B1 (ko)
WO (1) WO2018124857A1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751B1 (ko) * 2019-07-30 2019-11-15 주식회사 바스랩 블록체인 기반 사용자 인증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KR20200020291A (ko) * 2018-08-17 2020-02-2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163A (ko) * 2018-10-11 2020-04-21 주식회사 디지털존 통합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85997B1 (ko) * 2019-01-30 2020-04-24 연대겸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거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118962B1 (ko) * 2019-03-15 2020-06-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KR102118935B1 (ko) * 2018-12-31 2020-06-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KR102118921B1 (ko) * 2018-12-31 2020-06-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WO2020117020A1 (ko) * 2018-12-07 2020-06-1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생체 정보 기반의 pki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키 생성 장치
KR102118947B1 (ko) * 2018-12-31 2020-06-16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KR20200070124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생체 정보 기반의 pki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키 생성 장치
KR102140462B1 (ko) * 2019-06-13 2020-08-03 주식회사 키인사이드 블록체인 서비스의 사용자 인증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49706B1 (ko) * 2019-03-22 2020-08-31 현대페이(주)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 서명 기반의 사용자 인증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214001A1 (ko) * 2019-04-19 2020-10-22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Pki 기반의 일회성 아이디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한 사용자 단말
KR20200123029A (ko) * 2019-04-19 2020-10-2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Pki 기반의 일회성 아이디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한 사용자 단말
WO2021002692A1 (en) * 2019-07-03 2021-01-07 Coinplug, Inc.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asset service based on decentralized identifier and virtual asset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them
KR20210004842A (ko) * 2019-07-03 2021-01-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탈중앙화 아이디 기반의 가상 자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자산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227578B1 (ko) * 2019-12-31 2021-03-1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영지식 증명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인증 지원 서버 및 사용자 단말
KR102232963B1 (ko) * 2019-10-28 2021-03-29 주식회사 메디블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비대면 인증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1071157A1 (en) * 2019-10-07 2021-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blockchain address using the same
WO2021117931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디지털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전자문서 발급, 사용자 인증,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21172668A1 (ko) * 2020-02-27 2021-09-02 (주)브레인콜라 블록체인을 이용한 최초 저작권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00798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탈중앙화 아이디 기반의 가상 자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자산 서비스 제공 서버
WO2022045419A1 (ko) * 2020-08-31 2022-03-03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아이디를 이용한 운전 면허증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운전 면허증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US11943373B2 (en) * 2019-03-07 2024-03-26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for issuing identity certificate to blockchain node and related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0849B (zh) * 2018-09-26 2021-05-25 汤建男 一种基于区块链的云服务器组网方法
CN109587154B (zh) * 2018-12-14 2021-10-15 金蝶软件(中国)有限公司 数字身份验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9474439A (zh) * 2019-01-02 2019-03-15 广州市中智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电子证照可信签发、调用和使用方法
KR20210022378A (ko) 2019-08-20 2021-03-0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전자 출결 관리 시스템 및 전자 출결 관리 방법
KR20210072321A (ko) 2019-12-09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록체인에 기반하는 암호화 통신 시스템 및 암호화 통신 방법
CN114124418B (zh) * 2020-08-27 2023-11-21 中国移动通信集团河南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KR102490640B1 (ko) * 2021-03-15 2023-01-25 블록체인랩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개인대 개인간 사적 정보 인증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285B1 (ko) 2006-03-17 2007-08-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인증 방법
KR20080022826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신한은행 비대면 채널을 통한 보안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131929B1 (ko) 2009-08-11 2012-04-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공개키 기반 인증장치 및 방법
US20140298441A1 (en) 2013-03-28 2014-10-02 DeNA Co., Ltd.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system, and service delivery server
KR101575030B1 (ko) * 2014-07-11 2015-12-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상의 공유 데이터에 대한 다중 서명생성방법
JP2016508259A (ja) 2013-11-08 2016-03-17 チームブライン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eamblind inc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1637854B1 (ko) * 2015-10-16 2016-07-0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방법 및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방법
KR101661933B1 (ko) * 2015-12-16 2016-10-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534B1 (ko) * 2012-04-26 2014-04-1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위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285B1 (ko) 2006-03-17 2007-08-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인증 방법
KR20080022826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신한은행 비대면 채널을 통한 보안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131929B1 (ko) 2009-08-11 2012-04-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공개키 기반 인증장치 및 방법
US20140298441A1 (en) 2013-03-28 2014-10-02 DeNA Co., Ltd.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system, and service delivery server
JP2016508259A (ja) 2013-11-08 2016-03-17 チームブライン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eamblind inc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1575030B1 (ko) * 2014-07-11 2015-12-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상의 공유 데이터에 대한 다중 서명생성방법
KR101637854B1 (ko) * 2015-10-16 2016-07-0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방법 및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방법
KR101661933B1 (ko) * 2015-12-16 2016-10-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B국민은행, 비대면 실명확인정보 보관에 블록체인 적용’, ZDNet Korea(2016.04.29. 게재) 1부. *

Cited B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291A (ko) * 2018-08-17 2020-02-2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163A (ko) * 2018-10-11 2020-04-21 주식회사 디지털존 통합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20117020A1 (ko) * 2018-12-07 2020-06-11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생체 정보 기반의 pki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키 생성 장치
KR20200070124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생체 정보 기반의 pki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키 생성 장치
KR102118921B1 (ko) * 2018-12-31 2020-06-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KR102118935B1 (ko) * 2018-12-31 2020-06-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KR102118947B1 (ko) * 2018-12-31 2020-06-16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WO2020141782A1 (ko) * 2018-12-31 2020-07-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WO2020141783A1 (ko) * 2018-12-31 2020-07-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WO2020141780A1 (ko) * 2018-12-31 2020-07-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KR102085997B1 (ko) * 2019-01-30 2020-04-24 연대겸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거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1943373B2 (en) * 2019-03-07 2024-03-26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for issuing identity certificate to blockchain node and related apparatus
WO2020189927A1 (ko) * 2019-03-15 2020-09-24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KR102118962B1 (ko) * 2019-03-15 2020-06-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서버,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사용자 아이덴티티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및 단말
KR102149706B1 (ko) * 2019-03-22 2020-08-31 현대페이(주)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 서명 기반의 사용자 인증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0214001A1 (ko) * 2019-04-19 2020-10-22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Pki 기반의 일회성 아이디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한 사용자 단말
KR20200123029A (ko) * 2019-04-19 2020-10-2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Pki 기반의 일회성 아이디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한 사용자 단말
KR102140462B1 (ko) * 2019-06-13 2020-08-03 주식회사 키인사이드 블록체인 서비스의 사용자 인증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002692A1 (en) * 2019-07-03 2021-01-07 Coinplug, Inc.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asset service based on decentralized identifier and virtual asset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them
KR20210004842A (ko) * 2019-07-03 2021-01-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탈중앙화 아이디 기반의 가상 자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자산 서비스 제공 서버
US10944574B2 (en) 2019-07-03 2021-03-09 Coinplug, Inc.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asset service based on decentralized identifier and virtual asset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them
KR102044751B1 (ko) * 2019-07-30 2019-11-15 주식회사 바스랩 블록체인 기반 사용자 인증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US11621855B2 (en) 2019-10-07 202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blockchain address using the same
WO2021071157A1 (en) * 2019-10-07 2021-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blockchain address using the same
KR102232963B1 (ko) * 2019-10-28 2021-03-29 주식회사 메디블록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비대면 인증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1117931A1 (ko) * 2019-12-11 2021-06-17 주식회사 디지털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전자문서 발급, 사용자 인증,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21137396A1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영지식 증명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인증 지원 서버 및 사용자 단말
US11700133B2 (en) 2019-12-31 2023-07-11 Coinplug, Inc. Zero-knowledge proof-based certificate service method using blockchain network, certification support server using same, and user terminal using same
KR102227578B1 (ko) * 2019-12-31 2021-03-1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영지식 증명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인증 지원 서버 및 사용자 단말
WO2021172668A1 (ko) * 2020-02-27 2021-09-02 (주)브레인콜라 블록체인을 이용한 최초 저작권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09164A (ko) * 2020-02-27 2021-09-06 (주)브레인콜라 블록체인을 이용한 최초 저작권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28998A (ko) * 2020-02-27 2021-10-27 (주)브레인콜라 블록체인을 이용한 최초 저작권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00798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탈중앙화 아이디 기반의 가상 자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상 자산 서비스 제공 서버
WO2022045419A1 (ko) * 2020-08-31 2022-03-03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아이디를 이용한 운전 면허증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운전 면허증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333B1 (ko) 2018-08-09
WO2018124857A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3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877335B1 (ko) 블록체인 및 이와 연동되는 머클 트리 구조 기반의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비대면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829729B1 (ko) 블록체인 및 이와 연동하는 머클 트리 구조를 통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1829721B1 (ko) 블록체인을 통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US11664997B2 (en) Authentica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
JP6821828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基盤のトークンidを利用してカード使用を承認する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サーバ{method for approvin
KR101829730B1 (ko)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EP3416334B1 (en) Portable biometric identity on a distributed data storage layer
KR101877345B1 (ko) 블록체인 및 이와 연동되는 머클 트리 구조 기반의 토큰 아이디를 이용하여 카드 사용을 승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EP3499795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user equipment, authentication server, and service server for performing same method
US201902133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an access request
KR101858653B1 (ko)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및 이와 연동하는 머클 트리 구조를 통해 모바일 아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
AU201320539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ducting Smart Card Transactions
CN104065641A (zh) 用于在应用之间执行认证的方法和装置
KR101724401B1 (ko) 생체 정보 인식과 키 분할 방식을 이용한 공인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1669125A (zh) 对用户进行认证的方法和系统
CN108335105B (zh) 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KR20180087739A (ko) 신원확인 또는 부인방지가 가능한 fido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CN110674531B (zh) 基于区块链的居住信息管理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KR20070084801A (ko)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원 타임 패스워드 생성 및 인증방법그리고 이를 위한 스마트카드
KR101818601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카드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 인증용 단말, 인증 지원 서버 및 본인 인증 서버
KR20220028836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아이디를 이용한 운전 면허증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운전 면허증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KR101876672B1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전자 서명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220028870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아이디(Decentralized Identifier, DID)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 인증 서비스 방법 및 모바일 신분증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KR101767535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카드를 통하여 본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드, 인증용 단말, 인증 지원 서버 및 본인 인증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