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537A - 높낮이 조절 베개 및 그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베개 및 그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537A
KR20180079537A KR1020160183705A KR20160183705A KR20180079537A KR 20180079537 A KR20180079537 A KR 20180079537A KR 1020160183705 A KR1020160183705 A KR 1020160183705A KR 20160183705 A KR20160183705 A KR 20160183705A KR 20180079537 A KR20180079537 A KR 20180079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eight
pillow
engaging portions
adjustable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to KR102016018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9537A/ko
Publication of KR2018007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된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 및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중간 바디(4)를 포함하고,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 각각이 하부부재(10A, 10B), 하부부재(10A, 10B)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부재(20A, 20B) 및 상부부재(20A, 20B)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30A, 30B)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및 이러한 높낮이 조절 베개의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를 중간 바디(4)와 결합시키는 데 이용되는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베개 및 그 조립장치 {HEIGHT-ADJUSTABLE PILLOW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로 누울 때 머리를 받치기 위하여 이용하는 베개 등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0430호, 제10-1607997호, 제10-1645636호 등에는 본 출원인을 특허권자로 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가 제시되어 있다.
이들 높낮이 조절 베개는, 베개 몸체 및 베개 몸체 상의 베개 쿠션을 포함하는바, 베개 몸체가 상부부재, 하부부재 및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베개 쿠션이 상부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며, 승강장치가 상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부부재에 대한 상부부재의 높이 조절을 통하여, 사용자가 베개 높이를 사용하기 편안하거나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높낮이 조절 베개는, 하부부재가 상부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장치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고저차가 있는 바닥 등 평편하지 않은 자리 위에 놓고 사용하면, 도 1의 (a)와 같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도 1의 (b)와 같이 자꾸 움직거리므로 평편한 자리 위에서만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또, 사용 중 바로 누워 있다가 옆으로 돌아눕는 등 자세를 변경할 때마다 베개 높이를 변경된 자세에 적합한 높이로 일일이 직접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일례로, 바로 누운 자세에서 옆으로 누운 자세로 변경한 경우에는 베개 높이를 높이고, 이와 반대로 자세를 변경한 경우에는 베개 높이를 낮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0430호(2015.05.1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7997호(2016.04.0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5636호(2016.08.09. 공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의 편의성 향상 면에서 보다 유리한 높낮이 조절 베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와 같은 높낮이 조절 베개를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된 좌측 바디(2A) 및 우측 바디(2B)와; 상기 좌측 바디(2A)와 상기 우측 바디(2B)의 사이에서 상기 좌측 바디(2A)와 상기 우측 바디(2B)를 연결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중간 바디(4)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바디(2A) 및 상기 우측 바디(2B) 각각은, 하부부재(10A, 10B)와; 상기 하부부재(10A, 10B)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부재(20A, 20B)와; 상기 상부부재(20A, 20B)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부재(20A, 20B)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30A, 30B)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바디(2A)의 하부부재(10A)와 상기 우측 바디(2B)의 하부부재(10B)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단수 또는 복수의 암 결합부(52A, 52B)가 마련되고, 상기 중간 바디(4)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는 상기 좌측 바디(2A) 쪽 암 결합부(52A) 및 상기 우측 바디(2B) 쪽 암 결합부(52B)와 각각 결합되는 수 결합부(54A, 54B)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암 결합부(52A, 52B)는, 상기 수 결합부(54A, 54B)와의 결합을 위한 입구(522), 상기 입구(522)로부터 상기 입구(522)에 상기 수 결합부(54A, 54B)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통로(524) 및 상기 삽입통로(524)의 말단으로부터 양옆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입구(522)의 맞은편에 배치된 걸림턱면(526)을 가진, 삽입홈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 결합부(54A, 54B)는, 상기 입구(522)를 통하여 상기 삽입통로(524)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통로(524)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옆에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탄성에 의하여 서로에 대한 접근과 원상으로의 복원이 가능한 한 쌍의 후크 바디(542), 상기 한 쌍의 후크 바디(542)에 상기 입구(522)와의 걸림작용으로 상기 삽입통로(524)에 대한 상기 한 쌍의 후크 바디(54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마련된 삽입 이동 방지턱(544) 및 상기 후크 바디(542) 각각의 선단에서 상기 걸림턱면(526) 각각과의 걸림작용으로 상기 한 쌍의 후크 바디(542)가 상기 삽입홈부(52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 헤드(546)를 가진, 후크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부(520)는 상기 삽입통로(524)의 내벽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삽입통로(524)를 상기 한 쌍의 후크 바디(542)의 한쪽이 삽입되는 영역과 상기 한 쌍의 후크 바디(542)의 다른 쪽이 삽입되는 영역으로 구획하는 보강격벽(528)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통로(524)의 양옆에는 탄성에 의하여 원상으로 복원된 상기 한 쌍의 후크 바디(542)가 각각 밀착되는 접촉내면(52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바디(4)는 중앙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4m)가 마련된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저면이 상기 좌측 바디(2A)와 상기 우측 바디(2B)의 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바디(4)는 상하방향의 높이가 상기 좌측 바디(2A)와 상기 우측 바디(2B)의 상부부재(20A, 20B)의 최저 높이에 비하여 낮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 바디(2A)의 승강장치(30A) 또는 상기 우측 바디(2B)의 승강장치(30B)는, 상기 하부부재(10A 또는 10B)와 상기 상부부재(20A 또는 20B)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하부부재)에 각각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단일의 구동회전부재(3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회전부재(320)와; 상기 구동회전부재(310)의 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구동축(330)과; 상기 구동회전부재(310)에 상기 구동축(33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전동기구(342, 344)와; 상기 종동회전부재(320)에 상기 구동회전부재(3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동기구(352, 354)와; 상기 종동회전부재(320)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상기 하부부재(10A 또는 10B)와 상기 상부부재(20A 또는 20B)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상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상부부재(20A 또는 20B)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기구(360, 3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작동기구(360, 370)는, 상기 종동회전부재(320)에서 상기 하부부재(10A 또는 10B)와 상기 상부부재(20A 또는 20B)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상부부재)와 대향하는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종동회전부재(320)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지게 마련된 경사부(362) 및 상기 경사부(362) 상에 상기 경사부(362)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턱부(364)를 가진 승강유도부재(360)와; 상기 하부부재(10A 또는 10B)와 상기 상부부재(20A 또는 20B)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상부부재)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종동회전부재(32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걸림턱부(364)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접촉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걸림턱부(364)는 각각 단차면(366) 및 연결면(368)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차면(366)들은 상기 경사부(36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면(368)들은 서로 다른 높이의 상기 단차면(366)들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370)는 상기 종동회전부재(320)가 회전되면 단차면(366)들 중 현 위치의 단차면과 연결된 연결면(368)을 따라 승강되면서 이웃한 다른 단차면으로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의 좌우 양쪽에 상기 암 결합부(52A, 52B)가 각각 마련된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가 각각 놓이고 상기 상면의 중앙 부분에 상기 수 결합부(54A, 54B)가 마련된 중간 바디(4)가 놓이는 테이블(610)과; 상기 테이블(610)에 상기 수 결합부(54A, 54B)가 좌우 양쪽을 향하도록 놓인 상기 중간 바디(4)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기구(620)와; 상기 테이블(610)에 상기 암 결합부(52A, 52B)가 서로 대향하도록 놓인 상기 좌측 바디(2A)와 상기 우측 바디(2B)를 상기 위치고정기구(620)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된 상기 중간 바디(4) 쪽으로 각각 이동시켜서 상기 암 결합부(52A, 52B)의 삽입홈부(520)와 상기 수 결합부(54A, 54B)의 후크부(540)을 결합시키는 좌측푸시기구(630A)와 우측푸시기구(630B)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조립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 조립장치는, 상기 좌측푸시기구(630A)와 상기 우측푸시기구(630B)에 의한 상기 좌측 바디(2A)와 상기 우측 바디(2B)의 좌우방향 이동을 각각 안내하는 좌측가이드(640A)와 우측가이드(64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좌우로 배치된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 그리고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 사이에서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중간 바디(4)를 포함하기 때문에, 평편하지 않은 자리(고저차가 있는 바닥 등)에서도 중간 바디(4)의 유연성(탄성 변형)으로 인하여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자꾸 움직거리는 등의 문제 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도 8의 (c) 및 (d) 참조)
그리고, 중간 바디(4)의 저면이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의 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평편한 자리에서도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도 8의 (a) 및 (b)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좌측 바디(2A)의 상부부재(20A)에 대한 높이 조절과 우측 바디(2B)의 상부부재(20B)에 대한 높이 조절이 승강장치(30A, 30B)에 의하여 독립적(개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좌측 바디(2A)의 상부부재(20A)와 우측 바디(2B)의 상부부재(20B)를 선호하거나 필요로 하는 서로 다른 높이로 각각 조절한 후, 좌측 바디(2A) 쪽과 우측 바디(2B) 쪽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도 8의 (b) 참조) 예를 들어, 바로 누운 경우에는 좌측 바디(2A) 쪽과 우측 바디(2B) 쪽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쪽을 사용하고, 바로 누워 있다가 옆으로 돌아누운 경우에는 좌측 바디(2A) 쪽과 우측 바디(2B) 쪽 중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쪽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고저차가 있는 바닥 등에서 사용 시, 일례로, 좌측 바디(2A)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놓이고, 우측 바디(2B)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놓인 경우, 우측 바디(2B)의 상부부재(20B)를 상승시켜서 좌측 바디(2A)의 상부부재(20A)와 동일 높이 상에 위치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도 8의 (d) 참조)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중간 바디(4)의 높이가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의 상부부재(20A, 20B)의 최저 높이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에 비하여 더 낮은 베개 높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암 결합부(52A, 52B)와 수 결합부(54A, 54B)가 입구(522)에 대한 삽입 이동 방지턱(544)의 걸림작용, 접촉내면(525)에 대한 후크 바디(542)의 밀착력, 걸림턱면(526)에 대한 후크 헤드(546)의 걸림작용 등으로 인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좌측 바디(2A) 및 우측 바디(2B)와 중간 바디(4)를 미동현상(결합이 헐거워서 약간씩 움직이는 문제), 분리 등의 발생이 없는 안정적 결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높낮이 조절 베개 조립장치에 의하여 좌측 바디(2A) 및 우측 바디(2B)와 중간 바디(4)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테이블(610)의 상면에 좌측 바디(2A), 우측 바디(2B) 및 중간 바디(4)를 놓고, 중간 바디(4)의 위치 고정이 위치고정기구(620)에 의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좌측푸시기구(630A)와 우측푸시기구(630B)를 작동시키면,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가 중간 바디(4) 쪽으로 정확히 이동되면서 암 결합부(52A, 52B)와 수 결합부(54A, 54B)가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좌측 바디(2A) 및 우측 바디(2B)와 중간 바디(4)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베개 베이스(2A, 2B 및 4)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개 베이스의 좌측 바디(좌측의 베개 몸체, 2A)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좌측 바디의 승강장치(30A)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좌측 바디와 중간 바디(4)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 조립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 조립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하부의 베개 베이스(도 2의 도면부호 2A, 2B 및 4 참조), 베개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된 베개 쿠션(6), 그리고 베개 베이스 및 베개 쿠션(6)에 씌워진 베개 커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베개 커버는, 직물로 이루어지고, 베개 쿠션(6)과 함께 베개 베이스를 수용하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베개 베이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베개 베이스는, 서로 이격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좌측의 베개 몸체(2A)와 우측의 베개 몸체(2B), 그리고 좌측의 베개 몸체(2A)와 우측의 베개 몸체(2B)를 연결하는 중간의 베개 몸체(4)를 포함한다.
이하부터는 좌측의 베개 몸체(2A), 우측의 베개 몸체(2B) 및 중간의 베개 몸체(4)를 각각 좌측 바디, 우측 바디 및 중간 바디라 칭하기로 한다.
도 4는 베개 베이스의 좌측 바디(2A)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바디(2A)는, 하부부재(10A), 하부부재(10A)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상부부재(20A), 상부부재(20A)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하부부재(10A)에 대한 상부부재(20A)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30A), 그리고 승강장치(30A)에 의한 상부부재(20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수단(도 4의 도면부호 42 및 44 참조)을 포함한다.
또한, 우측 바디(2B)도, 하부부재(10B), 하부부재(10B)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상부부재(20B), 상부부재(20B)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하부부재(10B)에 대한 상부부재(20B)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30B, 도 4 참조) 및 승강장치(30B)에 의한 상부부재(20B)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수단(도 4의 도면부호 42 및 44 참조)을 포함한다.
좌측 바디(2A)의 하부부재(10A)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좌측 바디(2A)의 하부부재(10A)는, 바닥판 및 바닥판 상에 가장자리 쪽을 따라 세워진 벽체를 포함한다. 좌측 바디(2A)의 하부부재(10A)는 사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좌측 바디(2A)의 하부부재(10A)와 우측 바디(2B)의 하부부재(10B)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되는 것이므로, 우측 바디(2B)의 하부부재(10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좌측 바디(2A)의 상부부재(20A)는 짝을 이루는 하부부재(10A)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좌측 바디(2A)의 상부부재(20A)는 짝을 이루는 하부부재(10A)의 바닥판과 대향하는 상판을 포함한다. 상판의 좌우 및 뒤쪽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측판 및 뒤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좌측 바디(2A)의 상부부재(20A)와 우측 바디(2B)의 상부부재(20B)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되는 것이므로, 우측 바디(2B)의 상부부재(20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좌측 바디(2A)의 승강장치(30A)의 일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좌측 바디(2A)의 승강장치(30A)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좌측 바디(2A)의 승강장치(30A)는 복수의 회전부재(310, 320), 구동축(330), 제1전동기구(342, 344), 제2전동기구(352, 354) 및 승강작동기구(360, 370)를 포함한다.
회전부재(310, 320)로는 단일의 구동회전부재(3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회전부재(320)가 구비된다. 구동회전부재(310)와 종동회전부재(320)는 원판일 수 있다. 구동회전부재(310) 및 종동회전부재(320)는 하부부재(10A)의 바닥판 상에 각각 상하(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부재(10A)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구동축(330)은 구동회전부재(310)의 축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구동축(330)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축(330)은 양쪽 단부 중 한쪽이 구동회전부재(31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로 다른 쪽이 하부부재(10A)의 벽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구동축(330)의 노출된 단부에는 조작핸들이 장착될 수 있다. 물론, 구동축(330)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전동기구(342, 344)는 구동회전부재(310)에 구동축(330)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제1전동기구(342, 344)는, 구동축(330)의 한쪽 단부에 장착된 구동베벨기어(342) 및 구동회전부재(310)의 상측에 구동베벨기어(342)와 맞물리도록 장착된 종동베벨기어(344)를 포함한다. 종동베벨기어(344)는 구동회전부재(310)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전동기구(342, 344)에 의하여 구동축(330)으로부터 구동회전부재(310)에 전달된 동력은 제2전동기구(352, 354)에 의하여 종동회전부재(320)에 전달된다. 제2전동기구(352, 354)는 구동스퍼기어(352) 및 종동스퍼기어(354)를 포함한다. 구동스퍼기어(352)는 구동회전부재(310)에 구동회전부재(310)와 동축으로 장착된다. 구동스퍼기어(352)는 구동베벨기어(342)의 하측으로 배치된다. 종동스퍼기어(354)는 종동회전부재(320)에 구동스퍼기어(352)와 맞물리도록 장착된다. 참고적으로, 구동스퍼기어(352)는 구동회전부재(310)와 일체형이고, 종동스퍼기어(354)는 종동회전부재(320)와 일체형일 수 있다.
승강작동기구(360, 370)는 종동회전부재(320)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상부부재(20A)에 대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부부재(20A)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승강작동기구(360, 370)는 승강유도부재(360) 및 접촉부재(370)를 포함한다.
승강유도부재(360)는 종동회전부재(320)의 상부에 종동회전부재(32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승강유도부재(360)는 상부에 종동회전부재(320)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지도록 마련된 경사부(362)를 가진다. 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승강유도부재(360)는 경사부(362) 상에 경사부(3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턱부(364)를 가진다. 참고적으로, 승강유도부재(360)는 종동회전부재(320)와 일체형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촉부재(370)는 상부부재(20A)의 상판 하부로부터 승강유도부재(360)의 상부 쪽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접촉부재(370)는 하측의 선단이 종동회전부재(320)와 함께 회전되는 승강유도부재(360)의 회전각도에 따라 승강유도부재(360)의 걸림턱부(364)들 중 어느 하나와 접촉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접촉부재(370)의 선단은 둥근 형상이나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접촉부재(370)는 상부부재(20A)와 일체형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걸림턱부(364)는 단차면(366) 및 연결면(368)으로 구성된다. 먼저, 단차면(366)들은 경사부(3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동일 간격일 수 있다)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된다. 다음, 연결면(368)들은 서로 다른 높이의 단차면(366)들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접촉부재(370)는 종동회전부재(320)와 함께 승강유도부재(360)가 회전되면 연결면(368)을 따라 승강되면서 현재의 단차면(366) 상에서 이웃한 다른 단차면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접촉부재(370)가 의도하지 않게 연결면(368)을 따라 승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단차면(366)은 종동회전부재(320)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내리막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좌측 바디(2A)의 승강장치(30A)에 의하면, 좌측 바디(2A)의 상부부재(20A)는 접촉부재(370)가 최하단에 위치한 걸림턱부(364)의 단차면(366) 상에 위치되면 가장 낮은 높이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축(330)을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축(330)의 동력을 구동베벨기어(342) 및 종동베벨기어(344)에 의하여 구동회전부재(310)에 전달하여 구동회전부재(310)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구동회전부재(310)의 동력을 구동스퍼기어(352) 및 종동스퍼기어(354)에 의하여 종동회전부재(320)에 전달하여 종동회전부재(320)와 함께 승강유도부재(360)를 도 5 및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접촉부재(370)는 최하단의 단차면(366)과 연결된 연결면(368)을 따라 상승되면서 최하단의 단차면(366)과 이웃한 한 단계 높은 위치의 단차면 상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상부부재(20A)는 한 단계가 상승된 높이로 조절된다. 물론, 구동축(330)을 동일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시키면, 접촉부재(370)는 걸림턱부(364)들에 의하여 계속 상승되어 최상단의 단차면(366) 상에 위치되었다가(이 때, 상부부재(20A)는 가장 높은 높이로 조절된다) 낙하하여 최하단의 단차면 상으로 이동된다.
한편, 구동축(33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촉부재(370)가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단차면(366) 상에 위치되면서, 상부부재(20A)의 높이가 낮아진다.
좌측 바디(2A)의 승강장치(30A)와 우측 바디(2B)의 승강장치(30B)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되는 것이므로, 우측 바디(2B)의 승강장치(30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 바디(2A)의 안내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좌측 바디(2A)의 안내수단은, 상부부재(20A)의 상판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단수 또는 복수 개의 가이드 핀(42), 그리고 하부부재(10A)의 바닥판 상에 마련되며 가이드 핀(42)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홀을 가진 핀 삽입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핀(42)의 적용 위치와 핀 삽입부재(44)의 적용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좌측 바디(2A)의 안내수단과 우측 바디(2B)의 안내수단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되는 것이므로, 우측 바디(2B)의 안내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 사이에서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를 연결하는 중간 바디(4)는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의 플렉시블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중간 바디(4)의 중앙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4m)가 마련되어, 중간 바디(4)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등 다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힘(외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도 8의 (c) 및 (d) 참조)되었다가 원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플레이트의 중간 바디(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평편하지 않은 자리(고저차가 있는 바닥 등)에 놓고 사용하더라도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자꾸 움직거리는 등의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도 8의 (c) 및 (d) 참조)
좌측 바디(2A)와 중간 바디(4)의 결합 관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간 바디(4)는, 좌측 단부가 좌측 바디(2A)의 하부부재(10A)에 좌측결합수단(도 3, 도 7의 도면부호 52A 및 54A 참조)에 의하여 결합되고, 우측 단부가 우측 바디(2B)의 하부부재(10B)에 우측결합수단(도 3, 도 7의 도면부호 52B 및 54B 참조)에 의하여 결합된다. 좌측결합수단과 우측결합수단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씩 구비될 수 있다.
좌측결합수단은 서로 끼움방식으로 견고히 결합되는 암 결합부(52A)와 수 결합부(54A)를 포함한다. 우측결합수의 경우에도 서로 끼움방식으로 견고히 결합되는 암 결합부(52B)와 수 결합부(54B)를 포함한다.
좌측결합수단의 암 결합부(52A)와 우측결합수단의 암 결합부(52B)는 좌측 바디(2A)의 하부부재(10A)와 우측 바디(2B)의 하부부재(10B)가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해당되는 벽체(좌측 바디(2A)의 하부부재(10A)는 우측 벽체, 우측 바디(2B)의 하부부재(10B)는 좌측 벽체)에 각각 마련된다. 또한, 좌측결합수단의 수 결합부(54A)와 우측결합수단의 수 결합부(54B)는 중간 바디(4)의 좌우 양쪽의 단부에 각각 마련된다.
좌측결합수단의 암 결합부(52A)와 수 결합부(54A)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좌측결합수단의 암 결합부(52A)는 삽입홈부(520)를 포함하고, 좌측결합수단의 수 결합부(54A)는 후크부(540)를 포함한다.
삽입홈부(520)는, 후크부(540)를 도입하기 위한 입구(522), 입구(522)로부터 연장된 삽입통로(524), 그리고 삽입통로(524)의 말단(입구(522)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끝)으로부터 양옆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걸림턱면(526)을 가진다. 입구(522)는 좌측 바디(2A)의 하부부재(10A)를 구성하는 우측 벽체에 마련된다. 삽입통로(524)는 입구(522)에 후크부(540)가 삽입되는 방향인 우측에서 좌측으로 일정한 길이(깊이)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걸림턱면(526)과 함께 좌측 바디(2A)의 하부부재(10A) 내부에 배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삽입홈부(520)는 입구(522)의 맞은편인 삽입통로(524)의 말단 쪽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540)는, 입구(522)를 통하여 삽입통로(524)에 삽입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후크 바디(542), 후크 바디(542)가 삽입통로(524)에 삽입되는 깊이를 입구(522)와의 걸림작용에 의하여 제한하는 삽입 이동 방지턱(544), 그리고 삽입통로(524)에 삽입된 후크 바디(542)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걸림턱면(526)과의 걸림작용으로 방지하는 후크 헤드(546)를 가진다. 한 쌍의 후크 바디(542)는 삽입통로(524)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옆에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후크 바디(542)는 중간 바디(4)의 좌측 단부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접근하도록 변형되었다가 원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후크 헤드(546)는 걸림턱면(526)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후크 바디(542)의 선단에 각각 마련된다. 삽입 이동 방지턱(544)은 후크 헤드(546)가 걸림턱면(526)에 각각 걸린 때 입구(522)에 걸릴 수 있도록 후크 바디(542)의 후단 쪽에 각각 마련된다. 참고적으로, 삽입 이동 방지턱(544)은 후크 바디(542)를 절곡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삽입통로(524)의 길이(깊이)방향을 기준으로 삽입통로(524)의 좌우 내벽에는 삽입통로(524)에 삽입된 한 쌍의 후크 바디(542)가 원상으로 복원되려는 탄성에 의하여 각각 밀착되는 접촉내면(525)이 마련된다.
삽입홈부(520)는 삽입통로(524)의 상하 내벽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삽입통로(524)를 한 쌍의 후크 바디(542) 중 어느 한쪽이 삽입되는 영역과 다른 쪽이 삽입되는 영역으로 구획하는 보강격벽(528)을 가진다. 이러한 보강격벽(528)에 의하면, 삽입홈부(520)의 삽입통로(524) 등이 외력으로 인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삽입홈부(520)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좌측결합수단에 의하면, 암 결합부(52A)와 수 결합부(54A)는 입구(522)에 대한 삽입 이동 방지턱(544)의 걸림작용, 접촉내면(525) 각각에 대한 후크 바디(542)의 밀착력, 걸림턱면(526) 각각에 대한 후크 헤드(546)의 걸림작용 등으로 인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고, 이에 따라 좌측 바디(2A)와 중간 바디(4)는 미동현상(결합이 헐거워서 약간씩 움직이는 문제), 분리 등의 발생이 없는 안정적 결합 상태로 유지된다.
좌측결합수단과 우측결합수단은, 적용되는 위치는 서로 다르지만, 구성 면에서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이므로, 우측결합수단의 암 결합부(52B)와 수 결합부(54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 바디(4)는 저면이 좌측 바디(2A)의 저면 및 우측 바디(2B)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평편한 자리에서도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도 8의 (a) 및 (b) 참조)
중간 바디(4)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므로 상하방향 높이가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의 상부부재(20A, 20B)의 최저 높이에 비하여 낮도록 형성된다. 즉, 중간 바디(4)는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의 상부부재(20A, 20B)의 최저 높이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가지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사용자에게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에 비하여 더 낮은 베개 높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등에는 베개 쿠션(6)이 하나만 구비되고 좌측 바디(2A), 우측 바디(2B) 및 중간 바디(4)의 상부에 걸쳐 배치되는 크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베개 쿠션(6)은 좌측 바디(2A), 우측 바디(2B) 및 중간 바디(4)의 상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도면부호 4h는 연결고리이고, 도면부호 6b는 연결고리(4h)에 걸리는 연결밴드이다. 연결고리(4h)는 중간 바디(4) 뿐만 아니라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의 상부부재(20A, 20B)에도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씩 마련되고, 베개 쿠션(6)에도 상부부재(20A, 20B) 쪽 연결고리와 각각 걸린 형태로 연결되는 연결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밴드(6b)는 탄성밴드일 수 있다.
좌측 바디(2A), 우측 바디(2B) 및 중간 바디(4)의 상부에 베개 쿠션(6)을 배치하고, 연결고리(4h)에 연결밴드(6b)를 걸면, 베개 쿠션(6)은 베개 베이스(도 2의 도면부호 2A, 2B 및 4 참조)에 결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다음과 같은 장치에 의하여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가 중간 바디(4)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 조립장치의 구성 및 작동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 조립장치는 테이블(610), 위치고정기구(620), 좌측푸시기구(630A)와 우측푸시기구(630B), 그리고 좌측가이드(640A)와 우측가이드(640B)를 포함한다.
테이블(610)은 상면이 전반적으로 평편하도록 형성된다. 테이블(610)의 상면 좌측(좌측세팅위치)에는 좌측 바디(2A)가 놓이고, 테이블(610)의 상면 우측(우측세팅위치)에는 우측 바디(2B)가 놓이며, 테이블(610)의 상면 중간(좌측세팅위치와 우측세팅위치 사이 부분, 중간세팅위치)에는 중간 바디(4)가 놓인다. 테이블(610) 상에 놓인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는 암 결합부(52A, 52B)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테이블(610) 상에 놓인 중간 바디(4)는 좌측 및 우측의 수 결합부(54A, 54B)가 각각 좌우 양옆을 향하면서 양옆에 놓인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의 암 결합부(52A, 52B)와 정면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위치고정기구(620)는 테이블(610) 상에 놓인 중간 바디(4)에 대한 위치 고정을 수행한다. 위치고정기구(620)는 연결고리(4h)가 삽입되는 위치고정구멍(622) 또는 위치고정홈을 가진 위치고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위치고정기구(620)는 테이블(610)에 대하여 중간 바디(4)를 압박하여 중간 바디(4)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좌측푸시기구(630A)와 우측푸시기구(630B)는 테이블(610) 상에 놓인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를 위치고정기구(620)에 의하여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 중간 바디(4) 쪽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암 결합부(52A, 52B)와 수 결합부(54A, 54B)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를 각각 밀어서 중간 바디(4)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좌측푸시기구(630A)와 우측푸시기구(630B)는 각각, 푸시블록(632) 및 푸시블록(632)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634)를 포함한다. 구동실린더(634)는 공압실린더일 수 있다. 구동실린더(634) 대신 다른 타입의 직선구동유닛이 적용될 수도 있다.
좌측가이드(640A)와 우측가이드(640B)는 좌측푸시기구(630A)와 우측푸시기구(630B)에 의한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의 좌우방향 이동을 각각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좌측가이드(640A)로는, 좌측 바디(2A)가 좌측푸시기구(630A)의 푸시작용으로 인하여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양옆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되어 좌측 바디(2A)와 접촉하면서 좌측 바디(2A)가 정확히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측방 가이드블록(642), 그리고 테이블(610) 상에 놓인 좌측 바디(2A)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좌측 바디(2A)와 접촉하면서 좌측 바디(2A)가 정확히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상방 가이드블록(644)이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측방 가이드블록(642)은 테이블(610) 상에 직접 장착될 수 있고, 상방 가이드블록(644)은 마운팅프레임 등에 의하여 테이블(610)에 장착될 수 있다.
좌측가이드(640A)와 우측가이드(640B)는, 적용 대상 및 적용 위치는 서로 다르지만, 구성 면에서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이므로, 우측가이드(640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 조립장치는, 테이블(610)의 상면의 정해진 위치에 좌측 바디(2A), 우측 바디(2B) 및 중간 바디(4)를 각각 놓고, 중간 바디(4)의 위치 고정이 위치고정기구(620)에 의하여 이루어진 상태(도 10 참조)에서, 좌측푸시기구(630A)와 우측푸시기구(630B)를 각각 또는 함께 작동시키면,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가 좌측가이드(640A)와 우측가이드(640B)의 안내에 따라 중간 바디(4) 쪽으로 정확히 이동(도 11 참조)되면서 암 결합부(52A, 52B)와 수 결합부(54A, 54B)가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를 중간 바디(4)와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2A : 좌측 바디(좌측의 베개 몸체) 2B : 우측 바디(우측의 베개 몸체)
4 : 중간 바디(중간의 베개 몸체) 4m : 개구
10A : 좌측 바디의 하부부재 10B : 우측 바디의 하부부재
20A : 좌측 바디의 상부부재 20B : 우측 바디의 상부부재
30A : 좌측 바디의 승강장치 30B : 우측 바디의 승강장치
52A, 52B : 암 결합부 54A, 54B : 수 결합부
520 : 삽입홈부 522 : 입구
524 : 삽입통로 525 : 접촉내면
526 : 걸림턱면 528 : 보강격벽
540 :후크부 542 : 후크 바디
544 : 삽입 이동 방지턱 546 : 후크 헤드
610 : 테이블 620 : 위치고정기구
630A : 좌측푸시기구 630B : 우측푸시기구
640A : 좌측가이드 640B : 우측가이드

Claims (9)

  1. 서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된 좌측 바디(2A) 및 우측 바디(2B)와;
    상기 좌측 바디(2A)와 상기 우측 바디(2B)의 사이에서 상기 좌측 바디(2A)와 상기 우측 바디(2B)를 연결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중간 바디(4)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바디(2A) 및 상기 우측 바디(2B) 각각은,
    하부부재(10A, 10B)와;
    상기 하부부재(10A, 10B)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부재(20A, 20B)와;
    상기 상부부재(20A, 20B)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부재(20A, 20B)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30A, 30B)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바디(2A)의 하부부재(10A)와 상기 우측 바디(2B)의 하부부재(10B)는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단수 또는 복수의 암 결합부(52A, 52B)가 마련되고,
    상기 중간 바디(4)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는 상기 좌측 바디(2A) 쪽 암 결합부(52A) 및 상기 우측 바디(2B) 쪽 암 결합부(52B)와 각각 결합되는 수 결합부(54A, 54B)가 마련된,
    높낮이 조절 베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 결합부(52A, 52B)는, 상기 수 결합부(54A, 54B)와의 결합을 위한 입구(522), 상기 입구(522)로부터 상기 입구(522)에 상기 수 결합부(54A, 54B)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삽입통로(524) 및 상기 삽입통로(524)의 말단으로부터 양옆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입구(522)의 맞은편에 배치된 걸림턱면(526)을 가진, 삽입홈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수 결합부(54A, 54B)는, 상기 입구(522)를 통하여 상기 삽입통로(524)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통로(524)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옆에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탄성에 의하여 서로에 대한 접근과 원상으로의 복원이 가능한 한 쌍의 후크 바디(542), 상기 한 쌍의 후크 바디(542)에 상기 입구(522)와의 걸림작용으로 상기 삽입통로(524)에 대한 상기 한 쌍의 후크 바디(542)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마련된 삽입 이동 방지턱(544) 및 상기 후크 바디(542) 각각의 선단에서 상기 걸림턱면(526) 각각과의 걸림작용으로 상기 한 쌍의 후크 바디(542)가 상기 삽입홈부(52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 헤드(546)를 가진, 후크부(540)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520)는 상기 삽입통로(524)의 내벽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삽입통로(524)를 상기 한 쌍의 후크 바디(542)의 한쪽이 삽입되는 영역과 상기 한 쌍의 후크 바디(542)의 다른 쪽이 삽입되는 영역으로 구획하는 보강격벽(528)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통로(524)의 양옆에는 탄성에 의하여 원상으로 복원된 상기 한 쌍의 후크 바디(542)가 각각 밀착되는 접촉내면(525)이 마련된,
    높낮이 조절 베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바디(4)는 중앙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4m)가 마련된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저면이 상기 좌측 바디(2A)와 상기 우측 바디(2B)의 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높낮이 조절 베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바디(4)는 상하방향의 높이가 상기 좌측 바디(2A)와 상기 우측 바디(2B)의 상부부재(20A, 20B)의 최저 높이에 비하여 낮은,
    높낮이 조절 베개.
  8. 상면의 좌우 양쪽에 청구항 3의 암 결합부(52A, 52B)가 각각 마련된 좌측 바디(2A)와 우측 바디(2B)가 각각 놓이고 상기 상면의 중앙 부분에 청구항 3의 수 결합부(54A, 54B)가 마련된 중간 바디(4)가 놓이는 테이블(610)과;
    상기 테이블(610)에 상기 수 결합부(54A, 54B)가 좌우 양쪽을 향하도록 놓인 상기 중간 바디(4)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기구(620)와;
    상기 테이블(610)에 상기 암 결합부(52A, 52B)가 서로 대향하도록 놓인 상기 좌측 바디(2A)와 상기 우측 바디(2B)를 상기 위치고정기구(620)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된 상기 중간 바디(4) 쪽으로 각각 이동시켜서 상기 암 결합부(52A, 52B)의 삽입홈부(520)와 상기 수 결합부(54A, 54B)의 후크부(540)을 결합시키는 좌측푸시기구(630A) 및 우측푸시기구(630B)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조립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좌측푸시기구(630A)와 상기 우측푸시기구(630B)에 의한 상기 좌측 바디(2A)와 상기 우측 바디(2B)의 좌우방향 이동을 각각 안내하는 좌측가이드(640A)와 우측가이드(640B)를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조립장치.
KR1020160183705A 2016-12-30 2016-12-30 높낮이 조절 베개 및 그 조립장치 KR20180079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705A KR20180079537A (ko) 2016-12-30 2016-12-30 높낮이 조절 베개 및 그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705A KR20180079537A (ko) 2016-12-30 2016-12-30 높낮이 조절 베개 및 그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537A true KR20180079537A (ko) 2018-07-11

Family

ID=6291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705A KR20180079537A (ko) 2016-12-30 2016-12-30 높낮이 조절 베개 및 그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953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9979U (ko) * 1990-02-27 1991-11-12
US6481031B1 (en) * 2001-11-14 2002-11-19 In Mo Hwang Pillow oriented for comfort in varying sleeping positions
JP2008006413A (ja) * 2006-06-30 2008-01-17 Lion Corp 液体吐出装置
KR20160004049U (ko) * 2015-05-16 2016-11-24 황보국정 나무베개
KR101854387B1 (ko) * 2017-05-10 2018-05-08 주식회사 모텍스 저부 장착형 핸들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9979U (ko) * 1990-02-27 1991-11-12
US6481031B1 (en) * 2001-11-14 2002-11-19 In Mo Hwang Pillow oriented for comfort in varying sleeping positions
JP2008006413A (ja) * 2006-06-30 2008-01-17 Lion Corp 液体吐出装置
KR20160004049U (ko) * 2015-05-16 2016-11-24 황보국정 나무베개
KR101854387B1 (ko) * 2017-05-10 2018-05-08 주식회사 모텍스 저부 장착형 핸들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2009268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38936A1 (en) Instrument driving and transmission mechanism and assembly mechanism for surgical robot
US5588625A (en) Monitor stand assembly
US9270318B2 (en) Automated arrangement of a mobile apparatus in equipment
KR101854387B1 (ko) 저부 장착형 핸들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US11185731B2 (en) Kettlebell
KR101623817B1 (ko)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20180079537A (ko) 높낮이 조절 베개 및 그 조립장치
WO2005046388A1 (ja) 歯間ブラシ
KR20220159242A (ko) 허리 베개 지지력 조절 구조 및 시트
US9778675B2 (en) Foot pedal for a medical device having a self-leveling mechanism
EP0839479A2 (en) Safety device, particularly for mechanisms for lifting the back of a chair or armchair
US4109958A (en) Medical treatment chair
JP3232696U (ja) バックルおよび腰ベルト
US20080000332A1 (en) Electric wrench with a control switch
KR101778879B1 (ko) 시소형태의 밸런스 운동기구
KR10162544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마우스
WO2016068284A1 (ja) 天板付き什器
EP3877999B1 (en) Emergency stop
KR200362843Y1 (ko) 의자의 조절장치
KR101799197B1 (ko) 충전 장치
CN220706777U (zh) 高度可调的支撑座及具有其的厨房电器
KR20200039868A (ko)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
CN211254383U (zh) 溅镀下料机构
US20060156784A1 (en) Crimping apparatus
CN210931475U (zh) 用于口腔cbct装置的定位机构及口腔cbct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