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103A -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103A
KR20180079103A KR1020160184497A KR20160184497A KR20180079103A KR 20180079103 A KR20180079103 A KR 20180079103A KR 1020160184497 A KR1020160184497 A KR 1020160184497A KR 20160184497 A KR20160184497 A KR 20160184497A KR 20180079103 A KR20180079103 A KR 2018007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hematical
shape
user action
symbol
mathematical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012B1 (ko
Inventor
김윤옥
Original Assignee
김윤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옥 filed Critical 김윤옥
Priority to KR102016018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0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Abstract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이 개시된다. 디스플레이부는 물품 형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디스플레이된 물품 형상에서 수학기호가 부착될 합성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선택된 합성 영역을 기초로 복수의 수학기호를 선정하고, 선정된 복수의 수학기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복수의 수학기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수학기호 형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수학기호 형상에서 합성 영역에 부착될 부착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선택된 부착 지점이 합성 영역에 부착된 합성 물품 형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합성 물품 형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Method, desig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ing mathematics symbol}
본 발명은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및 디자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학기호를 사용하여 물품을 디자인 할 수 있는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및 디자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학은 연역적 추리를 사용해 수, 공간, 함수 등의 추상적 존재의 성질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는 학문으로, 과학기술의 진보의 초석일 뿐만 아니라 인문과학, 사회과학, 회계 및 경영에까지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학생 및 일반인은 수학을 어려운 학문으로만 생각하고, 이에 대한 학습을 게을리하는 경향이 있다. 수학기호는 특정한 수학 연산의 실행 또는 그러한 연산의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또는 수학적 관계를 간단히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식 기호로, 수학에서 추상적 존재의 관계는 수학기호(예를 들면, √, ∞, ∫, ∪, ∮, ∩, ?, Σ, +, - 등)로 나타내며, 그 형상 및 의미를 동시에 알아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상 생활에서 수학기호를 쉽게 접할 수가 없어서, 수학을 학습하는 학생들은 수학기호 형상을 기억하는 것도 어렵게 느끼고 있다. 이러한 수학 기호의 비친숙함으로 인해, 학생들은 수학을 등한시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일상 생활에서 수학기호를 쉽게 접하고, 수학기호의 흥미를 갖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학기호와 관련 없는 물품을 수학기호를 이용하여 디자인이 가능하게 하며, 디자인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어도 직관적 생각으로 쉽게 물품을 디자인할 수 있게 하는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물품의 형상에 맞추어 수학기호를 용이하게 선택 및 결합시킬 수 있는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물품을 보다 정교하고, 튼튼하게 제작 가능하게 하는 디자인을 용이하게 생성하는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은, 디스플레이된 물품 형상에서 수학기호가 부착될 합성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합성 영역을 기초로 복수의 수학기호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복수의 수학기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학기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수학기호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수학기호 형상에서 상기 합성 영역에 부착될 부착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부착 지점이 상기 합성 영역에 부착된 합성 물품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합성 물품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은, 상기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복수의 수학기호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학기호 형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수학기호 형상은 상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은, 복수의 물품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물품명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물품명과 연관된 복수의 물품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물품 형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물품 형상은 상기 선택된 물품 형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은, 디스플레이된 물품 형상에서 수학기호가 부착될 합성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합성 영역을 기초로 복수의 수학기호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복수의 수학기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학기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수학기호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수학기호 형상에서 상기 합성 영역에 부착 가능한 복수의 부착 가능 지점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복수의 부착 가능 지점을 상기 수학기호 형상에서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착 가능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부착 지점으로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합성 영역에서 상기 부착 지점이 부착될 결합 지점을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결합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결합 지점과 상기 부착 지점이 결합된 합성 물품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은, 상기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복수의 수학기호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학기호 형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수학기호 형상은 상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은, 복수의 물품명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물품명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물품명과 연관된 복수의 물품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물품 형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물품 형상은 상기 선택된 물품 형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는, 물품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된 물품 형상에서 수학기호가 부착될 합성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선택된 합성 영역을 기초로 복수의 수학기호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복수의 수학기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수학기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수학기호 형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학기호 형상에서 상기 합성 영역에 부착될 부착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부착 지점이 상기 합성 영역에 부착된 합성 물품 형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성 물품 형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하면, 수학기호와 관련 없는 물품에 수학기호를 이용하여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 및 일반인들이 수학기호에 대한 친근감을 높일 수 있고 수학기호에 대한 거리감을 줄일 수 있으며,
디자인하고자 하는 물품에 맞는 다양한 수학기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수학기호를 통해 제품을 독특하고 특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게 하고 제품 디자인의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학기호가 물품에 부착 가능한 다양한 위치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된 수학기호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독특하고 특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게 하고 제품 디자인의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물품의 선택, 물품에 접목시킬 수학기호의 선택 및 부착 위치 선정으로, 수학기호가 접목된 물품의 형상을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가 생성됨으로써, 직관적 생각을 쉽게 디자인으로 이미지화할 수 있고,
수학기호 형상에서 부착 가능 지점을 예측하고, 예측한 부착 가능 지점에서 선택된 부착 지점이 결합될 물품의 부분을 안내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 튼튼하게 물품을 제작할 수 있는 디자인을 생성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디스플레이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장치(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장치(100)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미니 컴퓨터, 노트북, 핸드헬드 컴퓨터 등의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고, 내비게이터 또는 IPTV 및 Smart TV 등의 디지털 TV일 수 있고,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빔프로젝터일 수 있다.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등으로 메시지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예로, 통신부(110)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조치는 단말기 또는 리모컨의 물리적인 버튼의 선택,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면 상의 소정의 터치 제스처의 실시 또는 소프트 버튼의 선택 및 촬상 장치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인식되는 소정의 공간 제스처의 실시 및 음성 감지부가 수신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발성의 실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 조치를 디자인 장치(100)의 리모컨의 물리적인 버튼이 선택되는 것, 디자인 장치(100)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면상의 소정의 지점이 터치되는 것, 디자인 장치(100)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면상의 소프트 버튼이 선택되는 것, 디자인 장치(100)의 촬상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인식되는 소정의 공간 제스처가 확인되는 것, 디자인 장치(100)의 음성 감지부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발성의 실시를 확인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로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및 통신부(110)가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제어부(140)는 명령을 실행하고 디자인 장치(100)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150)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부(140)는 디자인 장치(10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10)가 정보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운영 체제와 함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한다. 운영 체제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예로서, 운영 체제는 Window 계열 OS, Unix, LINUX, Palm OS, DOS, 안드로이드(Android), iOS 및 매킨토시 등일 수 있고, 라우터용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운영 체제, 다른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는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저장부(15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 생성 모듈 및 실행 코드 생성 모듈일 수 있다.
저장부(15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분리형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사용자 단말기(100) 상으로 로드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저장 매체는 CD-ROM, PC-CARD, 메모리 카드,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디스플레이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장치의 GUI가 디스플레이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물품명을 디스플레이한다(S100). 여기서, 물품명은 팬던트, 목걸이, 컵, 휴대폰 고리, 열쇠고리, 백, 가방, 지갑, 티셔츠 및 모자일 수 있다. 단계 S100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GUI(3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300)은 복수의 물품명(311 내지 316)을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00에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물품명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05).
디스플레이부(130)는 단계 S105에서 선택된 물품명과 연관된 복수의 물품 형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10). 단계 S110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4에 도시된 GUI(4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컵(313)이 선택된 경우에, GUI(400)가 디스플레이된다. GUI(400)는 복수의 컵 형상(411 내지 414)를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된 물품 형상은 사용자가 입력한 물품명으로 검색된 것일 수 있다. 물품명 검색을 위한 검색창(420)에서 컵을 입력하여 검색하면, 검색 결과로 GUI(4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복수의 물품 형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15)
디스플레이부(130)는 단계 S115에서 선택된 물품 형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20). 단계 S120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5에 도시된 GUI(5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컵 형상(412)이 선택되면, GUI(500)이 디스플레이된다. GUI(500)는 컵 형상(412)를 확대한 이미지(512)를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단계 S120에서 확대된 물품 형상에서 수학기호가 부착될 합성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25). 단계 S125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6에 도시된 GUI(6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600)은 선택된 합성 영역(610)을 표시한다. 합성 영역(610)은 포인트(601)로 드래깅되어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단계 S125에서 선택된 합성 영역을 기초로 복수의 수학기호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복수의 수학기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130). 여기서, 제어부(140)는 물품 형상의 속성 정보, 합성 영역의 크기 및 위치(예를 들어, 정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 평면, 밑면 등), 결합 방식 및 상기 수학기호 형상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수의 수학기호를 선정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7에 도시된 GUI(7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700)는 수학기호(711 내지 714)를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은 수학 기호 검색을 위한 검색창(72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구되는 수학 기호의 기능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수학 기호의 기능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수학기호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수학 기호의 기능 정보가 손잡이인 경우에는, 손잡이로 사용이 가능한 수학기호를 선정한다. 제어부(140)는 수학기호 형상의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손잡이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수학기호를 선택한다. 즉 제어부(140)은 물품과 연결되는 브릿지 및 손에 잡힐 그립부를 갖는 수학기호 형상을 수학기호 형상의 특징 정보로부터 찾을 수 있다. 참고로, 수학기호(711 내지 714)는 브릿지로 사용이 가능한 선 및 상기 선에 절곡되어 그립부가 가능 선을 갖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복수의 수학기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35).
디스플레이부(140)는 단계 S135에서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복수의 수학기호 형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40). 단계 S140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8에 도시된 GUI(8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수학기호(711)가 선택된 경우에, GUI(800)이 디스플레이된다. GUI(800)은 수학기호 형상(810 내지 840)을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상기 복수의 수학기호 형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45).
디스플레이부(140)는 단계 S145에서 선택된 수학기호 형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50). 여기서, 상기 물품 형상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된 수학기호 형상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고, 사전에 설정된 비율 및 상기 물품 형상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수학기호 형상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형상의 크기가 수정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수학기호 형상의 크기가 수정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9에 도시된 GUI(9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수학기호 형상(830)이 선택된 경우에, GUI(900)이 디스플레이된다. GUI(900)는 컵 형상(512)의 크기를 기초로 크기가 조절된 수학기호 형상(930)을 표시한다.
제어부(140)는 단계 S145에서 선택된 수학기호 형상에서 단계 S125에서 선택된 합성 영역과 결합 가능한 복수의 부착 가능 지점을 선정할 수 있고, 단계 S150에서 선정한 복수의 부착 가능 지점이 상기 수학기호 형상에서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10에 도시된 GUI(10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1000)는 부가 가능 지점(931 내지 934)를 표시한다.
제어부(140)는 물품 형상의 속성 정보, 합성 영역의 크기 및 위치(예를 들어, 정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 평면, 밑면 등), 결합 방식 및 상기 수학기호 형상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수의 부착 가능 지점을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방식은 물품과 수학기호 형상과의 결합 방식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결합 방식으로 끈을 매개로 물품과 수학기호 형상이 결합되는 방식, 수학기호 형상의 일단면이 물품에 접착되는 방식, 및 수학기호 형상의 일부가 물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특징 정보는 특징 지점의 위치를 지시하는 위치정보 및 특징 지점의 속성을 지시하는 속성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 지점은 수학기호 형상의 에지점, 무게 중심, 홀의 중심점, 모서리의 중심점일 수 있고, 속성정보는 특징 지점이 에지점, 무게 중심, 홀의 중심점 및 모서리의 중심점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특징 정보는 각 수학기호 형상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어 해당 수학기호 형상과 연관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고, 필요시 제어부(140)는 해당 수학기호 형상의 특징 정보를 저장부(150)에서 액세스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물품 형상의 속성 정보, 합성 영역의 크기 및 위치(예를 들어, 정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 평면, 밑면 등) 및 상기 수학기호 형상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물품에 대한 수학기호 형상의 기능(예를 들어, 수학기호 형상인 물품의 손잡이 기능을 수행)을 예측할 수 있고, 예측한 기능을 기초로 복수의 부착 가능 지점을 선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단계 S150에서 디스플레이된 수학기호 형상에서 상기 합성 영역에 부착될 부착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55).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수학기호 형상을 물품 형상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부착 지점은 드래깅된 수학기호 형상에서 물품 형상의 합성 영역과 접촉되는 지점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단계 S155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조치는 상기 복수의 부착 가능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부착 지점으로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즉 GUI(1000)에 표시된 부착 가능 지점(931 내지 934)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기하학적으로 가능한 경우에는, 복수의 부착 지점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UI(1000)에서 부착 가능 지점(933) 및 부착 가능 지점(934)이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단계 S150에서 선택된 수학기호 형상이 단계 S125에서 선택된 합성 영역에 부착된 합성 물품 형상을 생성한다(S160). 여기서 생성된 합성 물품 형상은 3차원 이미지일 수 있고, 2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단계 S155에서 감지된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단계 S120에서 선택된 합성 영역에서 상기 선택된 부착 지점이 부착될 복수의 결합 지점을 선정할 수 있고, 상기 합성 영역에서 상기 선정된 복수의 결합 지점을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11에 도시된 GUI(11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복수의 결합 지점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 조치로 선택된 결합 지점과 상기 부착 지점이 결합된 합성 물품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GUI(1100)은 부착 가능 지점(933) 및 부착 가능 지점(934)이 선택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된다. GUI(1100)는 제1 결합 지점(560) 및 제2 결합 지점(570)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1 결합 지점(560) 및 제2 결합 지점(570)은 각각 2개의 부착 지점(933, 934)가 부착되기 위한 2개의 저점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GUI(1100)에서 제1 결합 지점(560) 또는 제2 결합 지점(570)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한 위치에 수학기호 형상을 물품에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단계 S160에서 생성된 합성 물품 형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65). 단계 S160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12에 도시된 GUI(12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1200)은 합성 물품 형상(1210)을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로, 단계 S105에서 목걸이(312)가 선택되고, 단계 S145에서 수학기호 형상(1340)이 선택되고, 단계 S155에서 부착 지점(1341)이 선택된 경우에, GUI(130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GUI(1300)은 합성 물품 형상(1310)을 표시한다. 합성 물품 형상(1310)에서 수학 기호 형상(1340)의 홀(1341)이 고리(1311)를 통해 목걸이(522)와 연결되는 결합 방식으로, 수학 기호 형상(1340) 및 물품 형상(522)이 결합된다. 참고로, GUI(800)에서 수학 기호 형상(810 내지 840)에 더해 수학 기호 형상(1340)이 추가로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디자인 장치 100 통신부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150

Claims (5)

  1. 디스플레이된 물품 형상에서 수학기호가 부착될 합성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합성 영역을 기초로 복수의 수학기호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복수의 수학기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학기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수학기호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수학기호 형상에서 상기 합성 영역에 부착될 부착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부착 지점이 상기 합성 영역에 부착된 합성 물품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합성 물품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2. 디스플레이된 물품 형상에서 수학기호가 부착될 합성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합성 영역을 기초로 복수의 수학기호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복수의 수학기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학기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수학기호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수학기호 형상에서 상기 합성 영역에 부착 가능한 복수의 부착 가능 지점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복수의 부착 가능 지점을 상기 수학기호 형상에서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착 가능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부착 지점으로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합성 영역에서 상기 부착 지점이 부착될 결합 지점을 선택 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결합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결합 지점과 상기 부착 지점이 결합된 합성 물품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복수의 수학기호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학기호 형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수학기호 형상은 상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5. 물품 형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된 물품 형상에서 수학기호가 부착될 합성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선택된 합성 영역을 기초로 복수의 수학기호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복수의 수학기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수학기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수학기호와 연관된 수학기호 형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학기호 형상에서 상기 합성 영역에 부착될 부착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부착 지점이 상기 합성 영역에 부착된 합성 물품 형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성 물품 형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장치.

KR1020160184497A 2016-12-30 2016-12-30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1917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497A KR101917012B1 (ko) 2016-12-30 2016-12-30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497A KR101917012B1 (ko) 2016-12-30 2016-12-30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103A true KR20180079103A (ko) 2018-07-10
KR101917012B1 KR101917012B1 (ko) 2019-01-30

Family

ID=6291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497A KR101917012B1 (ko) 2016-12-30 2016-12-30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0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048A (ko) * 2000-09-28 2002-07-12 마치오 나카지마 상품 디자인 작성 및 처리 시스템
JP2003122803A (ja) * 2001-10-18 2003-04-25 G T B:Kk デザイン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6186785A (ja) * 2015-11-26 2016-10-27 ドゥーマンズ株式会社 3次元立体構造物を設計し、その3次元立体構造物の寸法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048A (ko) * 2000-09-28 2002-07-12 마치오 나카지마 상품 디자인 작성 및 처리 시스템
JP2003122803A (ja) * 2001-10-18 2003-04-25 G T B:Kk デザイン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6186785A (ja) * 2015-11-26 2016-10-27 ドゥーマンズ株式会社 3次元立体構造物を設計し、その3次元立体構造物の寸法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수학을 놀이로 배우는 미 수학박물관", 뉴시스 기사, 2012. 12. 26. *
"수학을 놀이로 배우는 미 수학박물관", 뉴시스 기사, 2012. 12. 2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012B1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4804B2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462856B1 (ko) 디스플레이의 확장 영역에 대한 사용 알림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0974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N101243429B (zh) 在计算机生成的绘图环境中的对象相关联
KR102285699B1 (ko)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US20130019206A1 (en) Providing accessibility features on context based radial menus
US11968594B2 (en) User interfaces for tracking and finding items
US20140160049A1 (en) Clipboard func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CN105808136A (zh) 控制屏幕的方法和用于处理该方法的电子设备
Quigley � From GUI to UUI: Interfaces for Ubiquitous Computing
KR20150082824A (ko)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CN103713843A (zh) 用于在移动装置中产生任务推荐图标的方法和设备
CN101689192A (zh) 基于对菜单画面的导航来限制搜索范围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KR20160023412A (ko) 전자 장치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5014585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페어링 방법
US20120179963A1 (en) Multi-touch electronic device, graphic display interface thereof and object selection method of multi-touch display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5160536A (zh) 一种室内环境下的信息推送方法及用户终端
KR101917012B1 (ko) 수학기호를 이용한 디자인 방법, 디자인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US10089958B2 (en) Color generat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0969859B2 (en) Human-computer interface comprising a token
US201703227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on a plurality of items on list
CN114547430A (zh) 信息对象的标签标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077276B (zh) 用于提供用户界面的方法和装置
Colley Extending mobile touchscreen inte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