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044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044A
KR20180079044A KR1020160184406A KR20160184406A KR20180079044A KR 20180079044 A KR20180079044 A KR 20180079044A KR 1020160184406 A KR1020160184406 A KR 1020160184406A KR 20160184406 A KR20160184406 A KR 20160184406A KR 20180079044 A KR20180079044 A KR 20180079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c electricity
display panel
conductive portion
conductiv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종
백두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4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9044A/ko
Publication of KR20180079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G02F2001/133314
    • G02F2001/133331
    • G02F2001/133334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기를 표시패널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전기배출부를 구비하여, 정전기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커버글라스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모으는 제1 도전부,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모으는 제2 도전부 및 제1 도전부와 제2 도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도전부를 구비하는 정전기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전기내구성을 강화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는 종래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표시장치를 대체하여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PDA 등의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 전화 단말기 등의 소형 경량화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표시장치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도록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대표적 평판표시장치이다.
도 1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액정표시장치(10)는 수광형 소자이므로 빛을 생성하는 백라이트유닛(BLU) 및 상기 생성된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액정패널(PL)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패널(PL)은 액정층(미도시), 상기 액정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박막트랜지스터가 구비되는 TFT어레이기판(15) 및 컬러필터기판(14)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10)는 상기 TFT어레이기판(15)을 제어하는 구동부(17), 액정패널(PL) 양면에 부착되는 편광판(13, 16) 및 상기 액정표시장치(10)를 모듈화시키는 커버글라스(11) 및 바텀커버(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7)와 커버글라스(11)는 상기 액정표시장치(10)의 다른 구성요소의 배치구조로 인하여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0)는 출시 이전에, 다양한 상황에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정전기(ESD) 내구성 테스트를 진행하게 된다. 이는 액정표시장치(10) 외부에서 높은 전압의 정전기(ESD)를 인가하여, 액정표시장치(10)의 손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인가된 높은 전압의 정전기(ESD)는 전술한 구동부(17)와 커버글라스(11) 사이의 공기 층을 통과하여 구동부(17)를 통해 TFT어레이기판(15)까지 인가되게 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라인에 따라 정전기(ESD)가 인가되게 된다.
이러한 정전기(ESD)는 TFT어레이기판(15) 내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회로(미도시)에 인가되어 이를 파손시킨다. 이는 곧 액정표시장치(10)의 화상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즉, 종래의 액정표시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전기(ESD) 내구성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기를 표시패널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전기배출부를 구비하여, 정전기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정전기를 상기 표시패널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전기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배출부는 커버글라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부, 상기 표시패널의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부, 상기 제1 도전부와 상기 제2 도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도전부 및 상기 제3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전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결도선를 구비한다.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에 정전기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인가되는 정전기를 셋프레임 및 바텀커버로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정전기를 배출함으로써,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감소시켜, 표시패널의 제2 기판에 배치된 회로에 전기적 안정성은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정전기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Ⅰ-Ⅰ라인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Ⅲ-Ⅲ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Ⅵ-Ⅵ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Ⅰ-Ⅰ라인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패널(110), 상기 표시패널(110)에 제공되는 빛을 발생시키는 백라이트유닛(130), 상기 표시패널(110)과 백라이트유닛(130)을 모듈화시키는 구성부재(101, 143, 153) 및 정전기배출부(12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10)은 제1 기판(111) 및 제2 기판(113)이 소정거리 이격 되어 합착 되고, 그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미도시)으로 이루어지며 구동부(115)로부터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영상을 구현한다. 제2 기판(113)에는 박막트랜지스터뿐만 아니라 각종 배선과 화소전극이 형성되며, 제1 기판(111)은 RGB 삼원색을 표시하기 위한 컬러필터기판으로서, 컬러필터층과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된다.
구동부(115)는 상기 제2 기판(113) 일측상에 형성되어, 전술한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스캔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구동부와, 화소전극에 데이터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패널(1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기판(113)에는 종횡으로 배열되어 복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복수의 게이트라인과, 이와 직교하는 데이터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화소영역에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또한,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라인과 접속되는 게이트전극, 및 게이트전극의 상부에 비정질실리콘 등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반도체층,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고 데이터라인 및 화소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제1 기판(111)은 적(Red), 녹(Green) 및 청(Blue)의 색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서브컬러필터로 구성된 컬러필터, 각 서브컬러필터를 구분하고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및 제2 기판(111, 113)은 화상표시 영역의 외곽에 형성된 실런트(sealant)에 의해 대향하도록 합착되어 표시패널(110)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기판(111, 113)에는 후술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 편광판(105) 및 제2 편광판(107)이 부착되어 표시패널(110)로 입사되고 출력되는 광을 편광시켜 영상을 구현한다.
커버글라스(101)는 표시패널(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글라스(101)를 통해 발광된 빛이 투과되어, 화상이 구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글라스(101)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1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Ⅲ-Ⅲ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Ⅵ-Ⅵ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기배출부(1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고전위의 정전기를 표시패널(110) 외부로 배출하며, 이는 전도성 있는 제1 도전부 내지 제4 도전부(121, 123, 125, 129) 및 상기 제3 도전부(125)와 제4 도전부(129)를 연결하는 연결도선(127)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부(121)는 커버글라스(101) 배면에 배치되어 커버글라스(101)를 통해 인가되는 고전위의 정전기를 모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표시장치(100)는 영상이 구현되는 표시영역(A/A)과 영상이 구현되지 않고, 구동부(115)등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가 배치되는 비표시영역(N/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도전부(121)를 포함하는 정전기배출부(120)는 영상을 구현하지 않으므로 상기 표시장치(100)의 비표시영역(N/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도전부(121)는 상기 비표시영역(N/A)에 배치되고, 특히, 커버글라스(101) 배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1 도전부(121)는 되도록 많은 정전기를 모을 수 있도록 비표시영역(N/A)의 넓은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글라스(101) 배면에 하나의 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부(121)는 정전기를 모을 수 있도록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크롬(Cr), 금(Au), 은(Ag)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래파이트 (graphite)과 같은 전도성 물질 및 폴리에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과 같은 전도성고분자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부(121)는 커버글라스(101)와 접촉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퍼터링(sputtering)과 같은 금속증착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공정의 편의성을 위하여 금속층을 미리 형성한 뒤 이를 접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도전부(123)는 상기 표시패널(110)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정전기는 상기 표시장치(100)의 표시영역(A/A) 및 비표시영역(N/A)에 상관없이 인가되므로, 표시영역(A/A)에 인가되어, 상기 커버글라스(101)와 표시패널(110)을 접착시키는 접착층(103)을 통해 표시패널(110)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상기 표시패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도전부(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113) 상에 제1 기판(111)과 구동부(1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기판(113)상에 제1 기판(111)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도전부(123)는 제1 기판(111)에 일측의 일부분에 접촉되어 정전기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상(123b)이나, 도트형상(123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막대형상(123b)은 제1 기판(111)에 넓은 면적이 접촉될 수 있도록, 구동부(115)의 장축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부(123) 또한 정전기를 모을 수 있도록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크롬(Cr), 금(Au), 은(Ag)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래파이트 (graphite)과 같은 전도성 물질 및 폴리에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과 같은 전도성고분자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시패널(110)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전도성이 높은 은(Ag)으로 제2 도전부(123)를 형성하였는데, 상기 도트형상(123a) 및 막대형상(123b)의 제2 도전부(123)를 은(Ag)으로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3 도전부(125)는 상기 제1 도전부(121)와 제2 도전부(1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도전부(121) 및 제2 도전부(123)를 통해 표시장치(100)의 표시영역(A/A) 및 비표시영역(N/A) 전체에 걸쳐 인가된 정전기를 통합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도전부(125)는 비표시영역(N/A)에서 커버글라스(101) 배면에 배치된 제1 도전부(121)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도전부(125)의 형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15)가 배치된 부분에는 제1 도전부(121)와 상기 구동부(115)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15)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상기 제2 기판(113)과 제1 도전부(1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도전부(125)의 양 측면에는 전술한 제2 도전부(123) 및 후술할 연결도선(127)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도전부(125)는 특정한 막대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도전부(121), 구동부(115) 및 연결도선(127) 사이의 이격공간에 맞추어 변형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3 도전부(125) 또한 정전기를 모을 수 있도록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크롬(Cr), 금(Au), 은(Ag)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래파이트 (graphite)과 같은 전도성 물질 및 폴리에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과 같은 전도성고분자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정상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패널(110)의 일측에 평행한 구리(Cu) 테이프를 붙이는 형태로 제3 도전부(125)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도전부(125) 측면에는 전술한 정전기가 표시패널(110)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는 절연층(124)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은 접착층(103)을 매개로 커버글라스(101)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103)과 상기 제1 내지 제3 도전부(121, 123, 125) 사이의 이격공간에 절연층(124)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24)는 정전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절연층(124)는 Al2O3, ZrO2, HfO2, TiO2, ZnO, Y2O3, CeO2, Ta2O5, La2O5, Nb2O5 , SiO2, SiNx과 같은 무기절연물질 혹은 벤조사이클로부텐(BCB) 과 아크릴(Acryl)계 수지 등과 같은 유기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절연층(124)을 배치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 정전기가 표시패널(110) 내부로 다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유닛(130)은 LED 패키지(137), PCB(135) 및 상기 발생된 빛을 변환하는 다수의 광학부재들(131, 133, 139)을 포함한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부재들(131, 133, 139)은 광학시트(131), 도광판(133) 및 반사판(139)을 포함하여, LED 패키지(135)의 발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빛을 전술한 표시패널(11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광판(133)은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LED 패키지(135)가 방출하는 빛을 인도하여 표시패널(1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광판(133)은 일측면으로 입사되는 빛이 도광판(133)의 상면 및 하면에서 반사 및 굴절을 반복하여 타측면까지 전파된 후, 상부로 출사도록 하는 것으로, 빛의 진행을 돕기 위해 확산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광판(133)은 양측단의 두께가 서로 다른 직육면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면에는 입사되는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소정의 패턴이나 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광학시트(131)는 표시패널(110)과 도광판(133) 사이에 구비되어 도광판(133)를 통과하여 표시패널(110)로 공급되는 빛을 확산하고 집광하는 역할을 하며, 하나이상의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산시트는 도광판(133)에서 출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프리즘시트는 확산시트에 의해 확산된 빛을 집광하여 표시패널(110)에 균일한 빛이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확산시트는 1매가 구비되지만 프리즘시트는 프리즘이 x, y축 방향으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1 프리즘시트 및 제2 프리즘시트를 구비하여 x, y축 방향에서 광을 굴절시켜 빛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판(139)은 도광판(133)의 하부로 구비되어 도광판(133)에서 굴절되어 하부방향, 즉 표시패널(110)과 반대방향으로 출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다시 도광판(133)으로 진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텀커버(143)는 상기 백라이트유닛(130)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백라이트유닛(130)의 모든 구성요소가 실장된다. 상기 바텀커버(143)는 외부충격으로부터 표시장치(100)를 보호하기 위해, 표면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프레임(153)은 상기 바텀커버(143)의 하부에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텀커버(143)와의 이격공간에서는 표시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셋프레임(153) 또한 외부충격으로부터 표시장치(100)을 보호하기 위해, 표면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제4 도전부(129)는 상기 바텀커버(143)와 셋프레임(153)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도전부 내지 제3 도전부(121, 123, 125)로부터 나오는 정전기를 셋프레임(153) 또는 바텀커버(143)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 도전부(129) 또한, 정전기를 모을 수 있도록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크롬(Cr), 금(Au), 은(Ag)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래파이트 (graphite) 와 같은 전도성 물질 및 폴리에틸렌, 폴리피롤, 폴리티오펜과 같은 전도성고분자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정상의 편의를 위하여, 표시패널(110)의 일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리(Cu) 테이프를 붙이는 형태로 제4 도전부(129)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제4 도전부(129)를 구비함으로써, 정전기를 접지된 셋프레임(153) 과 바텀커버(143)에 나누어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나누어 배출함으로써, 셋프레임(153) 또는 바텀커버(143)에 인가되는 정전기의 세기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이렇게 나누어진 정전기로 인하여, 상기 표시장치는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정전기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도전부(125)와 제4 도전부(129)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도선(127)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도선(127)은 상기 제3 도전부(125)와 제4 도전부(129)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도전부(121) 및 제2 도전부(123)를 통해 인가된 표시장치(100) 전면에 인가된 정전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도선(127)은 백라이트유닛(130)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3 도전부(125)와 제4 도전부(129)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백라이트유닛(130)에는 정전기가 흘러가지 않도록한다. 따라서, 연결도선(127)은 백라이트유닛(130)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도선(127)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케이블일 수 있다.그리고 상기 제3 도전부(125)와 제4 도전부(129)만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도선(127)의 양단에 제3 도전부(125)와 제4 도전부(129)와 접촉되는 부분만 제외하고, 나머지 외면은 모두 절연막으로 감싸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셋프레임(153)내부에는 상기 구동부(115)에 각종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타이밍제어부(미도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장치(100)에는 상기 타이밍제어부가 상기 구동부(115)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신호배선(미도시)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동신호배선 또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케이블일 수 있고, 이는 상기 FPC(flexible printed circuit)케이블인 연결도선(127)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115)와 상기 타이밍제어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N/A)에 정전기배출부(12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인가되는 정전기를 셋프레임(153) 및 바텀커버(143)로 배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도전부(121)롤 통해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N/A)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집적시킬 수 있고, 제2 도전부(123)를 통해 표시영역(A/A)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집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3 도전부(125)를 통해 상기 집적된 정전기를 연결도선(127)을 통해 제4 도전부(129)에 인가할 수 있고, 제4 도전부(129)는 셋프레임(153)과 바텀커버(143)에 상기 집적된 정전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정전기를 배출함으로써, 표시패널(110)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감소시켜, 표시패널(110)의 제2 기판(113)에 배치된 회로에 전기적 안정성은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정전기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같이 표시장치(100)를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발광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등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경우에는 표시패널(110)이 아닌 유기층이 형성된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패널(110)대신에 제2 기판(113)에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유기층 및 이를 감싸는 전극으로 구성되어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9)

  1.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제2 기판을 구비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위에 배치되는 커버글라스; 및
    상기 커버글라스 아래에 배치되어 정전기를 상기 표시패널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전기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기배출부는
    상기 커버글라스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글라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전부;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도전부; 및
    상기 제1 도전부와 상기 제2 도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도전부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배출부는
    상기 제3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전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결도선을 더 구비하는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선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케이블인 표시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실장하는 바텀커버 및 상기 바텀커버를 덮어 감싸는 셋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전기배출부는
    상기 바텀커버와 상기 셋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4 도전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선의 일단은 상기 제3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도선의 타단은 상기 제4 도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글라스를 부착하는 접착층; 및
    상기 제1 도전부와 상기 접착층을 사이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는 은으로 구성되는 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는 도트형상인 표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부는 구동부의 장축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막대형상인 표시장치.
KR1020160184406A 2016-12-30 2016-12-30 표시장치 KR20180079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406A KR20180079044A (ko) 2016-12-30 2016-12-30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406A KR20180079044A (ko) 2016-12-30 2016-12-30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044A true KR20180079044A (ko) 2018-07-10

Family

ID=6291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406A KR20180079044A (ko) 2016-12-30 2016-12-30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904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5587A1 (zh) * 2018-04-25 2019-10-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798746A (zh) * 2020-07-15 2020-10-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690182B2 (en) 2020-12-24 2023-06-27 L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11805609B2 (en) 2020-12-24 2023-10-31 L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5587A1 (zh) * 2018-04-25 2019-10-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199749B2 (en) 2018-04-25 2021-12-14 Beijing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CN111798746A (zh) * 2020-07-15 2020-10-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690182B2 (en) 2020-12-24 2023-06-27 L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11805609B2 (en) 2020-12-24 2023-10-31 L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2377B2 (en) Touch screen display with transparent electrical shielding layer
US979820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279119B1 (ko) 액정표시장치
EP312503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5940163B2 (ja) 半導体装置及び表示装置
EP2103988A2 (en) Object recognizing display device
KR20180079044A (ko) 표시장치
US8879020B2 (en) Display device and cushioning member usable in the same
JP6415073B2 (ja) 表示装置用ライ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KR20150116024A (ko) 표시 장치
WO2014199677A1 (ja) 表示装置
KR102587732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33125B1 (ko) 표시장치
CN111625113A (zh) 有源矩阵基板、液晶显示装置以及内嵌式触控面板
KR20190044406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76715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111545A (ko) 표시 장치
KR10152165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27163B1 (ko) 표시 장치
JP7478257B2 (ja) 表示装置
KR20140020441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40160066A1 (en) Display device
US20230176406A1 (en)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1424282B1 (ko) 액정표시장치
US11119614B2 (en)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