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878A -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 Google Patents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878A
KR20180078878A KR1020160184125A KR20160184125A KR20180078878A KR 20180078878 A KR20180078878 A KR 20180078878A KR 1020160184125 A KR1020160184125 A KR 1020160184125A KR 20160184125 A KR20160184125 A KR 20160184125A KR 20180078878 A KR20180078878 A KR 20180078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nkle
dial
wires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7593B1 (ko
Inventor
이정훈
김성중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5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for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착용이 용이하고, 스트랩 압박에 의한 불편함을 개선한 것은 물론, 발목의 내번 염좌 발생 시 착용자가 손쉽게 압박 정도를 조절하여 발목을 지지할 수 있는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는, 발뒤꿈치 내측면에 부착되는 고정패드; 복숭아뼈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부착되는 길이 조절부; 및 상기 고정패드와 길이 조절부를 연결하며, 발뒤꿈치 바닥과, 발뒤꿈치 외측면 및 복숭아뼈를 경유하여 발목을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Ankle support using a wire}
본 발명은 발목 염좌 등 발목을 다쳤을 때, 발목을 지지할 수 있는 발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발목 관절은 수많은 인대(ligament)와 건(tendon)으로 결합된 중요한 관절 중의 하나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부터의 충격에 가장 취약하며, 일반인들이 소홀히 하는 경우, 고질적인 통증으로 고생할 수도 있는바, 특히 발목은 걸을 때 발을 움직이게 하는 관절이 있는 부위에 해당하므로 발목을 움직이는 각도가 크거나 갑작스런 동작,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삐거나 다칠 수 있다.
통상 발목이 겹질려서 삐었을 때 발목을 압박해 줌으로써 그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발목 보호대를 착용하는바, 이러한 발목 보호대는 일반적으로 탄력이 강한 양말의 앞 발가락 부분과 뒷꿈치를 잘라낸 형태의 것이 대부분이다.
이런 종래의 발목 보호대는, 발목의 보호를 충실히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고탄력의 천을 많이 이용하였지만, 이와 같은 고탄력의 천은 착용자의 발목 부분과 그 주위를 사용자의 발 크기 및 사용자의 발목 상태에 관계없이 절대적인 탄력으로 상당히 압박하게 되므로, 착용자의 혈액 순환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0223(2006.06.23)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발목보호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발목보호대'는, 착용자의 발이 끼워지는 원통형의 자루부와, 이 자루부에서 연장되어 발목부와 복사뼈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내외측 감합를 포함하고, 내측 감합부에는 통증부를 압박시켜 동여매도록 신축성이 양호한 기다란 밴드를 구성하고, 외측 감합부에는 자루부를 당길 수 있는 손잡이 고리와, 복사뼈가 위치되는 부위에 복사뼈를 안정되게 지지하고 압박 가능한 “∪”형상의 탄성튜브를 수용시켜 구성되는 복사뼈 지지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발목보호대'는 복수 개의 스트랩(밴드)을 감거나, 당겨서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압착, 착용하기 불편한 것은 물론, 스트랩이 여러 개 존재하기 때문에 착용 시 일상 생활이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0420223 Y1(2006.06.23)
본 발명은 착용이 용이하고, 스트랩 압박에 의한 불편함을 개선한 것은 물론, 특히 발목의 내번(inversion sprain) 염좌 발생 시 착용자가 손쉽게 압박 정도를 조절하여 발목을 지지할 수 있는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는, 발뒤꿈치 내측면에 부착되는 고정패드; 복숭아뼈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부착되는 길이 조절부; 및 상기 고정패드와 길이 조절부를 연결하며, 발뒤꿈치 바닥과, 발뒤꿈치 외측면 및 복숭아뼈를 경유하여 발목을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는 복수 개가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되며, 상기 고정패드는 상기 와이어 당김 시 피부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젤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가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ㄷ"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가이드의 개방된 면은 반대 방향을 바라볼 수 있도록 설치되며,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와이어에는 상기 가이드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의 개방된 면이 동일한 방향을 바라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을 중심으로 상기 다이얼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되,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와이어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소정의 폭을 갖는 밴드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풀리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을 사이에 두고 원주 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다이얼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 풀리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과 치합되며, 상기 다이얼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한 쌍의 와이어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 풀리에 권취되는 각각의 와이어는 각각 한 쌍의 와어어로 분기되어 발목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 조절부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어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는 와이어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풀리 외주면에는 한 쌍의 와이어가 권취되되, 각각의 와이어는 상기 다이얼 외부로 인출되는 지점에서 두 개의 와이어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는 착용이 용이하고, 스트랩 압박에 의한 불편함이 제거되며, 발목의 내번 염좌 발생 시 착용자가 손쉽게 압박 정도를 조절하여 발목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착용 모습을 발뒤꿈치 외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착용 모습을 발뒤꿈치 바닥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착용 모습을 발뒤꿈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길이 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요부인 길이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요부인 길이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는 고정패드(10), 길이 조절부(20) 및 와이어(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패드(10), 길이 조절부(20) 및 와이어(30)는 환부에 그대로 부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환부를 감싸는 보호 커버에 내장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패드(10)와 길이 조절부(20)는 보호 커버 외부에 마련되고, 와이어(30)는 보호 커버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는바, 도 1은 상술한 구성이 보호 커버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또는 도 3은 환부에 그대로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패드(10)는 발뒤꿈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와이어(30)가 그 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지정된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패드(10)는 고정 기능일 실현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 및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인체에 접촉, 부착되는 것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는 고정패드(10)를 인체에 무해한 젤 타입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길이 조절부(20)는 복숭아뼈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곳에 부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와이어(30)를 당기거나 풀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절부(20) 역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바, 본 발명자는 다이얼 타입으로 설계하였다.
타이얼 타입의 설계된 길이 조절부(20)는, 커버(22), 다이얼(24), 와이어 풀리(26)를 포함한다.
커버(22)는 그 내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그 재질 및 외형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얼(24)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커버(22)의 중심에 설치되며, 커버(22) 내주면과 다이얼(24) 외주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다이얼(24)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커버(22)에 결합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다이얼(24)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바가 설치될 수 있으며, 커버(22) 자체를 회전시키는 경우 다이얼(24)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이얼(24) 외주면과 커버(22) 내주면 사이에는 와이어 풀리(26)가 설치된다.
또한 커버(22) 내주면을 따라 와이어 풀리(26)가 회전할 수 있도록 와이어 풀리(26)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고, 단순히 와이어 풀리(26)가 회전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와이어 풀리(26)는 커버(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바, 그 외주면에 권취된 와이어(30)는 와이어 풀리(2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 풀리(26)에 권취되거나, 와이어 풀리(26)로부터 풀려 커버(22)로부터 인출된다. 이러한 와이어 풀리(26)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복수 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이얼(24)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씩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와이어 풀리(26)에 권취된 와이어(30)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격 각도를 서로 달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와이어 풀리(26)는 다이얼(24)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원형의 다이얼(24) 외주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와이어 풀리(26)의 외주면에는 다이얼(24)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대응되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와이어 풀리(26)의 외주면에는 와이어(30)가 권취될 수 있는 홈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홈을 사이에 두고, 양 쪽에 상술한 다이얼(24)에 형성된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치를 원주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다이얼(24) 회전 시 와이어 풀리(26) 또한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길이 조절부(20)를 다이얼 타입으로 설계하였으나, 와이어(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설계를 변경하여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어(30)는, 고정패드(10)와 길이 조절부(20)를 연결하며, 발뒤꿈치 바닥과, 발뒤꿈치 외측면 및 복숭아뼈를 경유하여 발목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와이어(30)는 밴드 타입으로 단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는바, 본 발명자는 복수 개의 와이어(30)를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병렬 배치하였다. 와이어(30)를 복수 개로 구성한 경우라도 와이어(30)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구성(테이프 형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30)를 복수 개로 구성하는 경우, 와이어(30)가 상술한 길이 조절부(20) 내부에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하여진 경로를 통해 커버(22)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커버(22)의 내측면에는 와이어(30)를 안내하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와이어(30)가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경우, 다이얼(24)을 돌려 와이어(3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서로 인접한 와이어(3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와이어(30)가 서로 엉켜 발목을 지지하는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는 와이어(30)에 가이드(40)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30)가 정해진 경로 즉, 발뒤꿈치 바닥과, 발뒤꿈치 외측면 및 복숭아뼈를 경유하여 발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가이드(40)는 "ㄷ"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이드(40)를 와이어(3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40)를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가이드(40)의 개방된 면이 동일한 방향을 바라본다면 와이어(30)가 정해진 경로로부터 이탈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30)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40)는 개방된 면이 서로 반대 방향을 마주볼 수 있도록 교차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병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30) 중 폭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와이어(30)에는 각각 가이드(4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각각의 가이드(40)의 개방된 면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4개의 와이어(30)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데, 좌측 두 개의 와이어(30)는 내번 염좌 시 많이 손상되고, 약해지는 복숭아뼈 뒤쪽으로부터 내려오는 장비골근 및 단비골근을 지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20)는 다이얼(24)과 치합되며, 다이얼(24)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와이어 풀리(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와이어 풀리(26)에 권취되는 각각의 와이어(30)는 두 개의 와이어(30)로 분기되어, 총 4개의 와이어(30)가 발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20)는 다이얼(24) 내부 중심에 와이어 풀리(26)를 설치하고, 이러한 와이어 풀리(26) 외주면에 두 개의 와이어(30) 권취하되, 각각의 와이어(30)가 다시 다이얼(24) 외부로 인출 시 두 개의 와이어(30)로 분기됨으로써, 총 4개의 와이어(30)를 이용하여 발목을 지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20)를 구성하는 다이얼(24) 및 와이어 풀리(26)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 가능하며, 길이 조절 기능을 실현할 수만 있다면 길이 조절부(20) 구조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다이얼(24) 또는 커버(22) 내측은 피부와 맞닿는 부위에 해당되므로, 상술한 고정패드(10)와 동일한 재질의 패드를 다이얼(24) 또는 커버(22) 내측에 덧댐으로써 피부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다이얼(24) 또는 커버(22) 내측에 덧대어지는 패드는 다이얼(24)이 고정패드(10) 쪽으로 끌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발목 염좌가 발생하거나, 발목에 불안정성이 심한 환자는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를 착용, 발목을 지지, 고정함으로써 편안함을 느끼게 되는데, 먼저 길이 조절부(20)를 복숭아뼈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이 부착하고, 와이어(30)가 발뒤꿈치 바닥과, 발뒤꿈치 외측면 및 복숭아뼈를 경유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 후, 와이어(30)가 최대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패드(10)를 발뒤꿈치 내측면에 부착한다.
고정패드(10) 및 길이 조절부(20)가 부착된 상태에서 와이어(30)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다이얼(24)을 회전시켜 와이어(30)를 커버(22)로부터 인출하거나, 커버(22)로 인입킬 수 있는바, 사용자는 스트랩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발목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고정패드 20 : 길이 조절부
22 : 커버 24 : 다이얼
26 : 와이어 풀리 30 : 와이어
40 : 가이드

Claims (8)

  1. 발뒤꿈치 내측면에 부착되는 고정패드;
    복숭아뼈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부착되는 길이 조절부; 및
    상기 고정패드와 길이 조절부를 연결하며, 발뒤꿈치 바닥과, 발뒤꿈치 외측면 및 복숭아뼈를 경유하여 발목을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복수 개가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되며,
    상기 고정패드는 상기 와이어 당김 시 피부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젤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가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ㄷ"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가이드의 개방된 면은 반대 방향을 바라볼 수 있도록 설치되며,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와이어에는 상기 가이드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의 개방된 면이 동일한 방향을 바라볼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을 중심으로 상기 다이얼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되,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와이어 풀리를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소정의 폭을 갖는 밴드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풀리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을 사이에 두고 원주 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다이얼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 풀리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과 치합되며, 상기 다이얼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한 쌍의 와이어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 풀리에 권취되는 각각의 와이어는 각각 한 쌍의 와어어로 분기되어 발목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어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는 와이어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풀리 외주면에는 한 쌍의 와이어가 권취되되, 각각의 와이어는 상기 다이얼 외부로 인출되는 지점에서 두 개의 와이어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KR1020160184125A 2016-12-30 2016-12-30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KR101927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25A KR101927593B1 (ko) 2016-12-30 2016-12-30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25A KR101927593B1 (ko) 2016-12-30 2016-12-30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878A true KR20180078878A (ko) 2018-07-10
KR101927593B1 KR101927593B1 (ko) 2019-03-12

Family

ID=6291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125A KR101927593B1 (ko) 2016-12-30 2016-12-30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5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603B1 (ko) 2021-11-10 2023-09-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발목 관절 가변 압박 신발 및 압박력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9403A1 (en) * 2000-03-24 2002-11-14 Voskuilen Agnes T.M. Ankle support
KR200420223Y1 (ko) 2006-04-03 2006-06-29 조현준 발목보호대
JP2012521859A (ja) * 2009-03-31 2012-09-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足首固定器
WO2015156433A1 (ko) * 2014-04-09 2015-10-15 (주)하나인시스템 지지 성능 및 착용감이 향상된 족부 보조기
US20160220409A1 (en) * 2015-02-02 2016-08-04 Ossur Iceland Ehf Orthopedic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9403A1 (en) * 2000-03-24 2002-11-14 Voskuilen Agnes T.M. Ankle support
KR200420223Y1 (ko) 2006-04-03 2006-06-29 조현준 발목보호대
JP2012521859A (ja) * 2009-03-31 2012-09-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足首固定器
WO2015156433A1 (ko) * 2014-04-09 2015-10-15 (주)하나인시스템 지지 성능 및 착용감이 향상된 족부 보조기
US20160220409A1 (en) * 2015-02-02 2016-08-04 Ossur Iceland Ehf Orthoped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593B1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0414A (en) Knee brace
US10052221B2 (en)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osteoarthritis of the knee
EP2600808B1 (en) Orthopaedic device
AU701034B2 (en) Device for foot stabilization
US6019741A (en) Orthopedic foot splint
US7572241B2 (en) Orthopedic night foot splint
US20100331749A1 (en) Orthotic heel support device
RU140356U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7182743B2 (en) Orthopedic night foot splint
US20140005584A1 (en) Knee brace with expansible pressure components
KR20150045709A (ko) 이중 허리 보호대
CN210144826U (zh) 脚踝辅助固定装置
US20140013618A1 (en) Insole with arch strap
KR101927593B1 (ko) 와이어를 이용한 발목 지지대
KR101711749B1 (ko) 무릎 견인기
US20140213954A1 (en) Toe protecting cushion device
JP2620700B2 (ja) ベルト押さえ付膝蓋骨装具
KR102019541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외반슬 및 거위족 무릎 교정 보호기
KR20160130562A (ko) 퇴행성 관절 및 보행 불편자를 위한 보조기
KR101515757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KR102085862B1 (ko) 테니스 엘보 환자를 위한 치료용 보조기
KR101467143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CN208573870U (zh) 一种用于踝关节损伤后的固定放松仪
GB2375962A (en) Orthopaedic device
JPH11342143A (ja) 足首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